KR0132983B1 -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983B1
KR0132983B1 KR1019940027356A KR19940027356A KR0132983B1 KR 0132983 B1 KR0132983 B1 KR 0132983B1 KR 1019940027356 A KR1019940027356 A KR 1019940027356A KR 19940027356 A KR19940027356 A KR 19940027356A KR 0132983 B1 KR0132983 B1 KR 0132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projector
conveying means
guid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7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6511A (ko
Inventor
박준현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40027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983B1/ko
Priority to JP7279339A priority patent/JP2859572B2/ja
Priority to US08/548,474 priority patent/US5708534A/en
Priority to CN95119958A priority patent/CN1057847C/zh
Publication of KR960016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9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 Forwarding And Storing Of Filamentary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젝터의 투사가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지지 플레이트가 용접부착된 상태에서 서로 나란히 설치되는 한쌍의 경통과 상기 경통의 높이보다 다소 높게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상·하부 브라켓과, 상기 상·하부 브라켓의 내면 중심선상에 설치되어 전후 직선이동되면서 상기 각 경통이 전후방향으로 동시에 직선이동되도록 하는 경통전후 이송수단과, 중심부가 상기 경통전후이송수단과 결합되고, 좌우 양단이 상기 각 경통상의 지지플레이트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경통전후이송수단의 전후 직선이동시 중심선에 대하여 좌우로 멀어지거나 좁혀지면서 경통의 좌우이송을 안내하는 경통좌우이송수단으로 구성하므로써 입체용 프로젝터를 구성하는 각 경통이 정해진 궤적범위내에서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동시에 연동되면서 조정되도록 하여 각 경통을 통하여 스크린상에 투사된 영상의 포커싱과 화면 맞춤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 선택도 : 제1도

Description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서 경통전후이송수단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서 경통좌우이송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로서, (a)는 경통이 후방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좌우양쪽으로 벌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경통이 전방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중심쪽으로 모아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상부브라켓 22 : 하부브라켓
24 : 지지플레이트 26 : 경통
28 : 경통전후이송수단 30 : 경통좌우이송수단
32 : 가이드공 34 : 가이드레일
36 : 궤적홈 40 : 인내장공
50 : 이송와이어 52 :지지간
56 : 가이드핀 60 : 좌우이송안내판
본 발명은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린전면으로부터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나란히 설치된 상태에서 동일한 투사체를 하나의 스크린상에 동시에 겹쳐지게 투사하여 입체영상을 만들어내는 한쌍의 프로젝터가 단일의 구동모터의 작용에 의하여 정해진 궤적범위에서 동시에 조정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스크린상에 투사된 영상의 포커싱과 화면 맞춤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체용 프로젝터는 한쌍의 경통을 스크린 전면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고, 그 각각의 경통을 통하여 동일한 투사체를 하나의 스크린상에 투사하여 그 영상이 겹쳐지도록 하므로써 관찰자가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인 바, 이와 같은 3빔분리방식의 입체용 프로젝터에서 스크린과 각 경통 사이의 거리 및 경통 상호간의 거리가 정확히 맞지 않는 경우에는 각 경통을 통하여 투사된 화면이 스크린상에서 겹쳐질 때 서로 어긋나게 겹쳐지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스크린상에서 영상이 제대로 결상되지 않게 되어 관찰자가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입체용 프로젝터에서의 화면 맞춤과 포커싱을 정확히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경통의 조정이 불가피한 데, 종래의 경우 각 경통으로부터 스크린으로 투사되는 화면이 서로 일치되지 않는 경우와, 스크린에 대한 각 경통의 거리가 부적절하여 포커싱조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상기 각 경통을 다른 경통에 대하여 불일치를 보정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투사방향과 투사각도를 조정해야 되기 때문에 그 조정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그 조정작업 또한 스크린상의 화면을 응시하면서 수동조작을 해야되기 때문에 전문기술자가 아니면 정확한 조정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입체용 프로젝터를 구성하는 각 경통이 정해진 궤적범위내에서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동시에 연동되면서 조정되도록 하여 각 경통을 통하여 스크린상에 투사된 영상의 포커싱과 화면 맞춤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지지플레이트가 용접부착된 상태에서 서로 나란히 설치되는 한쌍의 경통과, 상기 경통의 높이보다 다소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상·하부브라켓과 상기 상·하부 브라켓의 내면 중신선상에 설치되어 전후 직선이동되면서 상기 각 경통이 전후방향으로 동시에 직선이동되도록 하는 경통전후 이송수단과, 중심부가 상기 경통전후이송수단과 결합되고, 좌우 양단이 상기 각 경통상의 지지플레이트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경통전후 이송수단의 전후 직선이동시 중심선에 대하여 좌우로 멀어지거나 좁혀지면서 경통의 좌우이송을 안내하는 경통좌우이송수단으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로서, 상부브라켓(20)과 하부브라켓(22)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하에서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브라켓(22)의 상면 좌우양측에는 내측면에 지지플레이트(24)가 용접등 통상적인 방식에 의하여 부착된 형태의 한쌍의 경통(26)이서로 나란히 설치되며, 상기 상부브라켓(20)과 하부브라켓(22) 사이의 내면 중심선상에는 상기 경통(26) 의 전후이송동작을 수행하는 경통전후 이송수단(28)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각 경통(26) 사이에는 중앙부가 상기 경통전후이송수단(28)에 끼워져 결합되고, 양단은 상기 각 경통(26) 내면상의 지지플레이트(24)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경통전후 이송수단의 전후 이송동작시 좌우로 접혀지거나 벌려지면서 각 경통(26)이 동시에 좌우로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경통좌우이송수단(30)이 설치된 구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브라켓(20) 상면의 길이방향 중심선상의 소정위치에는 최소한 경통(26)의 전후 이송거리와 동일한 길이의 가이드공(32)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하부브라켓(22)의 상면상에는 상기 가이드공(32)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가이드레일(34)이 형성되는 한편, 하부브라켓(22) 상면의 선단 좌우양쪽에는 계산식에 의해 얻어진 한쌍의 궤적홈(36)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한편, 상기 각 경통(26)의 내면에 부착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24)는 경통(26)과의 부착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상단과 하단이 일정길이 만큼 내측으로 구부러져 절곡면(38)이 형성되는 데, 상기 상하절곡면(38)의 선단부에는 경통(26)의 좌우이송거리에 상당하는 길이의 안내장공(40)이 형성되고, 상기 각 절곡면(38)의 후단부에는 핀끼움공(4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제2도는 본 발명에서 경통전후이송수단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로서, 상·하부 브라켓(20)(22)의 내면 중심선상에 설치되는 경통전후이송수단(28)은 하부브라켓(22)상면 중심선상의 후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통상의 모터(44)의 구동에 따라 회동되는 구동풀리(46), 상기 구동풀리(46)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하부브라켓(22) 상면의 선단부와 상부브라켓(20)의 내면 전후단에 임의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종동풀리(48), 상기 구동풀리(46)와 각 종동풀리(48)사이에 권취되어 폐쇄회로를 형성하면서 구동풀리(46)의 회동방향에 따라 전후 이송되는 이송와이어(50)와, 상기 이송와이어(50)상에 고정설치되며, 상단은 상부브라켓(20)상의 가이드공(32)에, 하단은 하부브라켓(22)상면상의 가이드레일(34)에 끼워진 상태에서 그 이송와이어(50)의 이송방향에 따라 전후직선이동되는 지지간(52)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나타낸다.
제3도는 본 발명에서 경통좌우이송수단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로서, 상기 경통전후이송수단(28)을 구성하는 지지간(52)에 중심부가 결합되고, 좌우양단은 경통(26)상의 지지플레이트(24)에 결합되는 경통좌우이송수단(30)은 중심부에 소정높이만큼의 지지간끼움공(54)이 형성되고, 선단의 저면에는 지지플레이트(24)상의 절곡면(38) 선단하부에 형성된 안내장공(40)을 통하여 하부브라켓(20) 선단 상면에 형성된 궤적홈(36)에 끼워지는 가이드핀(56)이 돌설되며, 선단 상면과, 후단 상하면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24)의 절곡면(38)에 형성된 핀끼움공(42)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핀(58)이 돌설된 한쌍의 좌우이송안내판(60)이 서로 교차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상기 좌우이송안내판(60)의 교차결합을 위하여 상기 지지간(50)은 상하부로 분리형성하되, 상부 지지간(50)의 저면에는 나사공(62)을 형성하고, 하부지지간(50')의 상단부에는 체결나사(64)를 일체로 형성한다.
제4도의 (a)는 본 발명에서 한쌍의 경통이 후방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좌우양쪽으로 벌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각 경통(26)의 내면에 부착설치된 지지플레이트(24)상의 상하절곡면(38)의 선단하부에 형성된 안내장공(40)에 지지간(52)에 의하여 교차결합된 한쌍의 좌우이송안내판(60)의 선단저면으로부터 돌설된 가이드핀(56)을 끼워 하부브라켓(22)상의 궤적홈(36)에 도달되도록 하고, 상기 각 좌우이송판(60)의 선단 상면과 후단 상하면에 돌설된 고정핀(58)을 상기 지지플레이트(24)상의 핀끼움공(42)에 끼워 결합한 상태에서 이송와이어(50)가 후방쪽으로 직선이동되면, 상기 지지간(52)에 의하여 교차결합된 한쌍의 좌우이송안내판(60) 역시 안내장공(40)의 범위내에서 후방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가이드핀(56)이 궤적홈(36)내에서 궤적이동되어 각 경통(26)이 중심선에 대하여 좌우 바깥쪽으로 일정거리만큼 멀어지는 것을 나타낸다.
제4도의 (b)는 제4도(a)의 설명에서와 같이 경통(26)이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송와이어(50)가 전방쪽으로 이송되면, 지간(52) 역시 전방으로 직선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교차결합된 좌우이송안내판(60)이 전방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좌우이송안내판(60)상의 가이드핀(56)이 궤적홈(36)을 따라 궤적이동되어 각 경통(26)이 중심선쪽으로 모아지게 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상부브라켓(20)과 하부브라켓(22) 사이에서 나란히 설치된 각 경통(26)이 이송와이어(5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직선이동에 따른 지지간(52)과 좌우이송안내판(60)의 직선이동에 의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직선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좌우이송안내판(60)상으로부터 돌설되어 지지플레이트(24)상의 안내장공(40)을 통하여 궤적홈(36)에 끼워진 가이드핀(56)의 궤적운동에 의하여 중심선에 대하여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동시 이동되기 때문에 단일의 모터를 이용하여 경통을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동시에 조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전문기술자가 아니라도 쉽게 조작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내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지지플레이트(24)가 용접부착된 상태에서 서로 나란히 설치되는 한쌍의 경통(26)과; 상기 경통(26)의 높이보다 다소 높게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상·하부 브라켓(20)(22)과; 상기 상·하부브라켓의 내면 중심선상에 설치되어 전후 직선이동되면서 상기 각 경통(26)이 전후방향으로 동시에 직선이동되도록 하는 경통전후 이송수단(28)과; 중심부가 상기 경통전후이송수단(28)과 결합되고, 좌우 양단이 상기 각 경통(26)상의 지지플레이트(24)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경통전후이송수단(28)의 전후 직선이동시 중심선에 대하여 좌우로 멀어지거나 좁혀지면서 각 경통(26)의 좌우이송을 안내하는 경통좌우이송수단(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경통전후이송수단(28)은 하부브라켓(22)상면 중심선상의 후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통상의 모터(44)의 구동에 따라 회동되는 구동풀리 (46)와, 상기 구동풀리(46)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하부브라켓상면의 선단부와 상부브라켓(20)의 내면 전후단에 임의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종동풀리(48)와, 상기 구동풀리(48)와 각 종동풀리(48) 사이에 권취되어 폐쇄회로를 형성하면서 구동풀리(46)의 회동방향에 따라 전후 이송되는 이송와이어(50)와, 상기 이송와이어(50)상에 고정설치되며, 상단은 상부브라켓(20)상의 가이드공(32)에, 하단은 하부브라켓(22)상면상의 가이드레일(34)에 끼워진 상태에서 그 이송와이어(50)의 이송방향에 따라 전후 직선이동되는 지지간(1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경통좌우이송수단(30)은 중심부에 소정높이만큼의 지지간끼움공(54)이 형성되고, 선단의 저면에는 지지플레이트(24)상의 절곡면(38)선단하부에 형성된 안내장공(40)을 통하여 하부브라켓(20) 선단상면의 궤적홈(36)에 끼워지는 가이드핀(56)이 돌설되며, 선단 상면과, 후단 상하면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24)의 절곡면(38)에 형성된 핀끼움공(42)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핀(58)이 돌설된 한쌍의 좌우이송안내판(60)이 서로 교차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
KR1019940027356A 1994-10-26 1994-10-26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 KR0132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7356A KR0132983B1 (ko) 1994-10-26 1994-10-26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
JP7279339A JP2859572B2 (ja) 1994-10-26 1995-10-26 プロジェクタの投射角調整装置
US08/548,474 US5708534A (en) 1994-10-26 1995-10-26 Apparatus for adjusting the projecting angle of a projection system
CN95119958A CN1057847C (zh) 1994-10-26 1995-10-26 投影系统的投影角调整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7356A KR0132983B1 (ko) 1994-10-26 1994-10-26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511A KR960016511A (ko) 1996-05-22
KR0132983B1 true KR0132983B1 (ko) 1998-04-16

Family

ID=19395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7356A KR0132983B1 (ko) 1994-10-26 1994-10-26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708534A (ko)
JP (1) JP2859572B2 (ko)
KR (1) KR0132983B1 (ko)
CN (1) CN105784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9114B1 (en) * 2000-01-27 2004-03-23 Thomson Licensing S.A. Spherical mounting system for three axis adjustment of light projector assembly in a projection television
US6473245B1 (en) 2000-08-10 2002-10-29 Nikon Corporation Catadioptric lens barrel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platform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631038B1 (en) * 2000-08-10 2003-10-07 Nikon Corporation Catadioptric lens barrel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for positioning the lens barrel structure
CN105700276B (zh) * 2016-04-06 2017-11-07 浙江大学 自动定位投影仪及自动定位方法
CN111290201B (zh) * 2018-12-07 2021-09-28 深圳光峰科技股份有限公司 投影装置及其盖门组件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7272A (en) * 1994-05-26 1996-03-05 Umax Data Systems Inc. Lens switching device for multi-lens optical scanners
KR970011873B1 (ko) * 1994-09-08 1997-07-18 대우전자 주식회사 3빔분리방식 프로젝터의 투사각조정장치
US5537169A (en) * 1994-09-08 1996-07-16 Daewoo Electronics Co., Ltd. Projection-lens driving apparatus for a 3-beam projector
KR0134549B1 (ko) * 1994-09-08 1998-04-20 배순훈 3빔분리방식 프로젝터의 투사각조정장치
KR100200141B1 (ko) * 1995-02-15 1999-06-15 전주범 3빔투사방식의 투영기의 투영렌즈 구동장치
KR0153117B1 (ko) * 1995-02-15 1998-12-01 배순훈 입체용 투영기의 투영렌즈 구동장치
US5631776A (en) * 1995-12-21 1997-05-20 Eastman Kodak Company Zoom lens apparatus and bearing block assembly
US5552939A (en) * 1995-07-07 1996-09-03 Umax Data Systems Inc. Multi-lens changing mechanism for use in optical scann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859572B2 (ja) 1999-02-17
CN1057847C (zh) 2000-10-25
US5708534A (en) 1998-01-13
JPH08211517A (ja) 1996-08-20
KR960016511A (ko) 1996-05-22
CN1151031A (zh) 1997-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818747T2 (de) Ausrichtungsmodul für Aufzeichnungsträger
CH618797A5 (ko)
KR0132983B1 (ko)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
DE4017777C2 (ko)
KR0134549B1 (ko) 3빔분리방식 프로젝터의 투사각조정장치
EP0729060A1 (en) Projection system
KR100210772B1 (ko) 3빔분리방식의 프로젝트의 투사각 조정장치
JP3831579B2 (ja) レンズ駆動装置
KR0134551B1 (ko) 3빔분리방식 프로젝터의 투사각조정장치
DE2723677C2 (de) Reproduktionsvorrichtung zum streifenweisen Abbilden eines Originals in der Objektebene in eine Bildebene
KR970010484B1 (ko) 3빔분리방식의 입체용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
JPH08297337A (ja) 立体形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
KR970011873B1 (ko) 3빔분리방식 프로젝터의 투사각조정장치
KR0134550B1 (ko) 3빔분리방식 프로젝터의 투사각조정장치
KR970010483B1 (ko) 입체용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
DE3622972C2 (ko)
DE3217014C2 (ko)
JP2736782B2 (ja) 変倍ファインダ装置
KR0123833B1 (ko) 입체용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
KR940002674A (ko) 복사기의 광학계 렌즈 조정장치
JP2515624Y2 (ja) 変倍光学装置
JPH09230439A (ja) ズームファインダ装置
DE2930958C2 (de) Überblend-Stehbildwerfer
US3523723A (en) Nonintermittent motion picture film cameras and projectors
JPH0810809Y2 (ja) カメラのカム装置およびストロ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