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0361B1 - 신호혼성장치 - Google Patents

신호혼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0361B1
KR100210361B1 KR1019960038941A KR19960038941A KR100210361B1 KR 100210361 B1 KR100210361 B1 KR 100210361B1 KR 1019960038941 A KR1019960038941 A KR 1019960038941A KR 19960038941 A KR19960038941 A KR 19960038941A KR 100210361 B1 KR100210361 B1 KR 100210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sd
voltage
video sig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8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0893A (ko
Inventor
도시스구 와카바야시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970060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0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0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03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3Colour balance circuits, e.g. white balance circuits or colour temperatur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신호혼성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단자(19)를 통하여 수신한 각 R,G,B비디오신호와 OSD(5)로부터 입력제어단자의 1개를 통하여 수신한 블랭크신호를 수신하여 혼성하는 입력제어단자를 가진 제1의 듀얼게이트 FET(7)와, 전압원에서의 직류제어전류와 입력제어단자의 1개를 통하여 OSD(5)에서의 비디오신호를 수신하여 혼성하는 제2의 듀얼게이트 FET(8)과, 제1 및 제2의 듀얼게이트(7, 8)에 의해 생성된 혼성비디오신호를 공급하는 CRT드라이버(4)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신호혼성장치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신호혼성장치(100)를 나타내는 회로도.
제2(a)도제2(g)도는 제1도에 나타난 신호혼성장치(100)의 각 회로소자의 신호파형도.
제3(a)도제3(g)도는 제1도에 표시된 신호혼성장치(100)에 의해 시행되는 화이트유니홈이티보정(white uniformity compensation)의 타이밍챠트.
제4도는 종전의 신호혼성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제5(a)도제5(d)도는 제4도의 각 회로소자의 신호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CRT드라이버(출력수단) 5 :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S.D)
6 : D/A콘버터(전압원) 7 : 듀얼게이트 FET(제1의 능동소자)
8 : 듀얼게이트 FET(제2의 능동소자) 23 : 모니터
24 : 카메라(검출수단)
25 : 애널라이저(보정데이터발생수단)
26 : 임의파형발생장치(보정전압발생장치)
C : 직류파형발생장치(보정전압발싱장치)
G1, G2 : 게이트(입력제어단자)
이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등에 있어서, 비디오신호와 온스크린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이하 OSD로 약칭함)에서의 신호의 혼성 및 화이트유니홈이티(white uniformity)보정에 사용되는 신호혼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4도는 종전의 신호혼성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도면에서, 41은 전압(Vcc1)의 인가전압, 42는 전압(Vcc2)의 인가전압, 419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R(적), G(록), B(청)비디오신호의 입력단자, 410은 입력단자(419)와 증폭기(Pre-Amp)(43)의 입력단자간에 접속한 AC결합콘덴서, 413은 증폭기(43)의 출력단자에 접속한 부하저항이다.
또, 55는 OSD, 433, 434, 435는 믹싱회로(M)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이며, 트린지스터(433)의 베이스에는 증폭기(43)의 출력단자가, 트랜지스(435)의 베이스에는 OSD(45)의 블랭크신호출력단자가(421)가, 트랜지스터(434)의 베이스에는 OSD (45)의 비디오신호출력단자(422)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44는 믹싱회로(M)의 출력신호를 증폭하여 CRT(도면생략)를 구동하는 출력수단으로서의 CRT드라이버, 414와 416은 저항이다.
제5(a)5(d)도는 제4도의 종전의 신호혼성장치의 각부의 신호파형도를 나타내며, 제5(a)도는 증폭기(43)의 출력측 a점의 비디오신호파형, 제5(b)도는 OSD (45)의 출력측 b점의 블랭크신호파형, 제5(c)도는 OCD(45)의 출력측 C점의 비디오신호파형, 제5(d)도는 믹싱회로(M)의 출력측 d점의 출력신호파형이다.
다음에 제4도의 종전의 신호혼성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입력단자(419)에 입력된 R,G,B비디오신호는, AC결합콘덴서(10)를 통하여 증폭기(43)에 입력되여, 각각 임의의 증폭으로 변환된다. 이 증폭기(43)의 출력파형에는 저주파와 고주파가 포함되여 있으며, 여기서 저주파 파형은 전백신호와 같이 반복주파수가 느린(시간길이가 긴) 비디오신호이며, 고주파신호는 1도트(dot)의 온·오프와 같이 반복주파수가 빠른 (시간길이가 짧은)비디오 신호이다.
제5(a)5(d)도에 표시된 t0-t2(OSD45에서의 비디오신호 OFF)기간중에는, OSD(45)의 블랭크신호출력단자(421)(b점)이 HI(제4(b)도), 비디오 신호출력단자(422)이 HI(제5(c)도)로 되어 있음으로, 트랜지스터(433, 435)는 OFF, 트랜지스터(434)는 ON으로 되고, CRT드라이버(44)의 입력단자에는 OSD비디오신호(제5(d))도 인가된다.
또, 제5(a)5(d)도에 표시된 t1-t3기간중, 입력단자(419)에 고주파의 R,G,B비디오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AC결합콘덴서(410), 증폭기(43), 믹싱회로(M)를 통하여 CRT드라이버(44)의 입력단자에 공급되는 믹싱회로(M)의 출력신호파형은 제5d도에 표시된 것과 같이 된다.
이 경우에 R,G,B비디오신호는 트랜지스터(434, 435)의 단자간 용량의 영향을 주고 받아, 고주파특성의 열화를 일으킨 것으로 된다.
또한, 상기 종전의 기술에 관련하는 선행기술로서, 특개평 6-105185호 공보, 특개평 6-105346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종전의 신호혼성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음으로, R,G,B비디오신호의 고주파특성의 열화, OSD비디오신호에 위상지연등이 발생한다. 또, 믹싱회로를 스위치로서 동작시킴으로, OSD비디오신호의 진폭조정, 직류레벨 조정이 안된다. 또한, R,G,B비디오신호에 수평, 수직 변조를 걸기 위한 기능부가가 어려운 과제등이 있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R,G,B비디오신호의 고주파특성의 열화를 발생하지 않고, 이상적으로 OSD비디오신호를 혼성시켜, 진폭조정, 직류레벨 조정을 가능케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R,G,B비디오신호를 수평, 수직방향으로 변조하여, 화이트유니홈이티 보정을 가능케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한 신호혼성장치는, 외부에서의 비디오신호와 OSD에서의 불랭크신호를 각각 별개 독립한 입력제어단자에 입력하는 제1의 능동소자와, 전압자원에서의 직류제어전압과 OSD에서의 비디오신호를 각각 별개 독립한 입력제어단자에 입력하는 제2의 능동소자와 구비하고, 출력단자는 상기 제1, 제2의 능동소자에서 혼성된 신호를 출력하여, CRT를 구동하는 것이다.
또, 이 발명에 의한 신호혼성자치는, 전압원에서의 직류제어전압을 가변으로 한것이다.
또한, 이 발명에 의한 신호혼성장치는, OSD에서의 비디오신호를 입력하는 제2의 능동소자의 입력제어단자에 가변전압을 공급하는 직류전압가변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이 발명에 의한 신호혼성장치는, 모니터의 표시화면의 휘도, 색도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그 검출된 휘도, 색도에서 보정데이터를 발생하는 보정데이터 발생수단과, 그 보정데이터에 의거하여 수평, 수직의 화이트유니홈이티 보정전압을 출력하여, 블랭크신호를 입력하는 제1의 능동소자의 입력제어단자에 인가하는 보정전압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또, 이 발명에 의한 신호혼성장치는, 제1, 제2의 능동소자에 각각 2개의 게이트 FET를 사용한 것이다.
또한, 이 발명에 의한 신호혼성장치는, 전압원은 D/A콘버터인 것이다.
[실시예 1]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신호혼성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제1도에서, 1은 전압(Vcc1)의 인가단자, 2는 전압(Vcc2)의 인가단자, 19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R,G,B비디오신호의 입력단자, 10은 입력단자(19)와 증폭기(Pre-Amp)(3)의 입력단자간에 접속한 AC결합콘덴서, 13은 증폭기(3)의 출력단자에 접속한 부하저항이다.
또, 5는 OSD(ON Screen Display), 7, 8은 믹싱회로(M)를 구성하는 2개 게이트FET FET(제1의 능동소자, 제2능동소자)이며, 2개 게이트 FET(7,8)의 제1의 게이트(G1)는 비디오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제어단자, 제2의 게이트(G2)는 입력제어단자, 1417은 저항이다.
여기서, 콘덴서(12), 저항(17), 다이오드(18), FET(9) 및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D/A콘버터(6)에 의해 직류전압가변수단으로서의 직류클램프회로(C)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직류클램프회로(C)의 입력단자(20)에 수평주기에 동기한 구형파의 클램프펄스가 입력된다.
이 클램프펄스(PC)는 OSD비디오신호의 DC레벨 변동이 생기지 않도록 DC레벨을 클램프하기 위한 것으로 블랭크신호와는 위상이 상이하다. 6은 OSD비디오신호의 진폭, 직류레벨을 임의로 가변하기 위한 직류제어전압을 출력하는 전압원으로서의 D/A콘버터이다.
23은 출력수단으로서의 CRT드라이버(4)의 출력으로 구동되는 모니터, 24는 모니터(23)의 표시면상의 색도, 휘도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으로서의 카메라, 25는 카메라(24)에서의 검출화상과 참조테이블에 기억된 화상과를 비교하여, 보정데이터를 발생하는 보정데이터발생수단으로서의 애널라이저이다.
26은 게이트어레이(이하, Q/A로 약칭함)을 구성하고 있는 보정전압발생수단으로서의 보정데이터에 의거하여 화이트유니홈이티 보정전압을 출력한다.
제1도에 표시된 신호혼성장치(100)가 R,G 및 B의 비디오신호의 1개를 위해 사용될지라도, 사실로 신호혼성장치는 R,G 및 B 비디오신호의 각각에 대해서 표시 시스템(도면생략)내에 복합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설명에 있어서, R,G 및 B의 비디오신호는 동작 및 구성에서 동일함으로 간결을 위해 R,G 및 B 비디오신호용 신호혼성장치중의 1개만을 나타낸다.
제2(a)도제2(g)도는 상기 제1도에 나타낸 신호혼성장치(100)의 회로각부의 신호파형을 나타내는 도이며, 제2(a)도는 증폭기(3)의 출력측 a점의 비디오신호파형, 제2(b)도는 OSD(5)의 출력측 b점의 블랭크신호파형, 제2(c)도는 OSD(5)의 출력측 c점의 비디오신호파형, 제2(d)도는 믹싱회로(M)의 출력신호파형이다.
제2(e)도는 D/A콘버터에서의 직류전압에 의해 OSD비디오신호의 진폭을 변경했을 때의 신호파형, 제2(f)는 입력단자(20)에 공급인가된 클램프펄스(제2(g)도 참조)에 의거하여 직류클램프회로(C)에서의 직류전압에 의해, OSD비디오신호의 직류레벨을 변경했을때의 신호파형이다.
다음, 제1도의 신호혼성장치(1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도에서, 입력단자(19)에 입력된 R,G 및 B비디오신호는, AC결합콘덴서(10)를 통하여 증폭기(3)에 입력되어, 임의의 진폭으로 변화된다(제2(a)도).
제2(a)2(g)도에 표시된 t0-t1(OSD에서의 비디오신호 OFF)기간중은, OSD(5)의 블랭크신호출력단자(21)가 하이레벨(제2(b)도)이고, 듀얼게이트 FET7의 게이트 G2가 하이레벨로 바이어스됨으로, 듀얼게이트 FET7는 버퍼로서 동작하고, 듀어얼게이트 FET7의 소스에서, R,G,B비디오신호인 영상파형이 출력된다.
한편, OSD(5)의 비디오신호출력단자(22)가 로레벌로 되어 있음으로, 이 OSD비디오신호출력단자(22)가 게이트 G1에 접속된 듀얼게이트 FET8은 동작않고, CRT드라이버(4)의 입력단자에는 R,G,B비디오신호(제2(d))만이 인가된다.
또, 제2(a)2(d)도에 표시된 t1-t2(OSD에서의 비디오신호 ON)기간중에는, OSD(5)의 블랭크신호출력(21)이 로레벌(제2(b)도)로 되고, 듀얼게이트 FET7의 게이트 G2에 인가됨으로, 듀얼게이트 FET7은 차단되고, R,G,b비디오신호는 듀얼게이트 FET7의 소스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한편, OSD(5)신호출력단(22)에서 OSD비디오신호(제2(c)도)가 출력되고, 콘덴서(11)를 통하여 듀얼게이트 FET8의 게이트 G1에 인가된다. 이때, 듀얼게이트 FET8의 게이트 G2는 D/A콘버터(6)에 의해 직류제어전압이 인가되어 있음으로, 듀얼게이트 FET8은 동작하고, CRT드라이버(4)의 입력단자에는 OSD비디오신호(제2(d)도)만이 인가된다.
또, 제2(a)2(d)도에 표기된 t2-t1기간중, 입력단자(19)에서 고주파의 R,G,B비디오신호가 입력된 경우, CRT드라이버(4)의 입력단자에 공급되는 믹싱회로의 출력은 제2(d)도의 t2-t3기간과 같이 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1에 의하면, 믹싱회로(M)의 응답속도가 빠르고 단자간 용량이 작은 능동소자로 구성되어 있음으로, R,G,B비디오신호의 고주파특성의 열화를 발생하지 않고, 이 R,G,B비디오신호를 정도좋게 OSD비디오신호와 혼성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예 2]
이 발명의 실시예 2의 신호혼성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나타낸 신호혼성장치(100)에 있어서, D/A콘버터(6)에서 듀얼게이트 FET8의 게이트 G2에 임의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서, 제2(e)도의 t1-t2기간중에서와 같이 믹싱회로 M에 출력되는 OSD비디오신호의 진폭을 가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 2의 신호혼성장치에 의하면, R,G,B비디오신호에 혼성될 OSD비디오신호의 진폭이 가변될때 CRT와 같은 화면에 고품질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 3]
이 발명의 실시예 3의 신호혼성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의 신호혼성장치(100)에 있어서, 직류클램프회로(C)에서 듀얼게이트 FET8의 게이트 G1, G2에 인가하는 직류전압에 의해, OSD(5)에서 출력되는 OSD비디오신호는, 임의의 전압으로 클램프됨으로 D/A콘버터(6)에서의 제어전압을 변화함으로서, 제2(f)도의 t1-t2기간중과 같이, OSD비디오신호의 직류레벨을 가변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하면, OSD비디오신호의 직류레벨을 가변으로 함으로서, CRT같은 화면에 고품질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 4]
다음, 이 발명의 실시예 4의 신호혼성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a)3(g)도는 화이트유니홈이티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며, 도면에서 제3(a)도는 모니터(23)의 표시화면이며, 우하의 사선부는 색차이를 일으키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제3(b)도는 수평주기의 R,G,B비디오신호, 제3(c)도는 임의 파형발생장치(26)에서 출력되는 수평주기의 화이트유니홈이티 보정전압, 제(3d)도는 듀얼게이트 FET7에 의하여, 상기 제 3(b)도에 나타난 R,G,B비디오신호와 혼성되는 수평비디오변조파형, 제3(e)도는 수직주기의 R,G,B비디오신호, 제3(f)도는 임의파형발생장치(26)에서 출력되는 수직주기의 화이트유니홈이티 보정전압, 제3(g)도는 듀얼게이트 FET7에 의해, 상기 제3(e)도에 표시된 R,G,B비디오신호와 혼성되는 수직비디오 변조파형이다.
다음, 이 발명의 실시예 4의 신호혼성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카메라(24)로 모니터(23)의 표시화면의 휘도, 색도를 검출하고, 그 카메라에서의 검출화상에 의거하여 애널라이저(25)에 의해 휘도, 색도의 보정데이터를 임의파형발생장치(26)에 송출한다.
그러므로, 제3(a)도에 표시된 것같이 우하의 화이트유니홈이티 보정이 나쁠 경우, 수평, 수직 각각의 비디오신호(제3(b)도, 제3(e)도)와 혼성되어, 수평, 수직주기 각각의 변조파형(제3(d)도, 제3(g)도)으로 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4에 의하면, 수평, 수직주기 각각의 변조파형을 R,G,B비디오신호와 혼성함으로서, 표시화면의 화이트유니홈이티를 보정하여, 모니터(23)의 표시화면상의 휘도, 색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위에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신호혼성장치는, 외부에서의 비디오신호와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OSD)에서의 블랭크신호를 각각 별개 독립한 입력제어단자에 입력하는 제1의 능동소자와, 전압원에서의 직류제어전압과 OSD에서의 비디오신호를 각각 별개 독립한 입력제어단자에 입력하는 제2의 능동소자와, 제1 및 제2의 능동소자의 출력을 혼성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신호혼성장치는 R,G,B비디오신호의 주파수특성열화를 생성하지 않고, R,G,B비디오신호를 OSD비디오신호와 고정확도로 혼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이 발명의 신호혼성장치에 의하면, 전압원에서의 직류제어전압을 가변할 수 있음으로, OSD에서의 비디오신호의 진폭을 가변할 수 있어, CRT와 같은 화면에 고품질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이 신호혼성장치에 의하면, 전압레벨을 가변할 수 있는 가변전압이 직류전압가변수단에서 제2의 능동소자의 입력제어단에 입력됨으로, 비디오신호의 직류레벨을 가변할 수 있어, CRT와 같은 화면에 고품질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 이 발명의 신호혼성장치에 의하면, 보정데이터발생수단은 상기 보정데이터에 의거하여 수평, 수직의 화이트유니홈이티 보정전압을 블랭크신호를 입력하는 능동소자제어단자에 인가하도록 구성하였음으로, 표시화면의 화이트유니홈이티를 보정하고, 표시화면상의 휘도, 색도를 균일하게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 발명의 신호혼성장치에 의하면, 제1, 제2의 능동소자를 각각 듀얼게이트 FET로 구성하여 있음으로, 신호혼성장치의 제작비를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OSD)신호 및 블랭크신로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OSD와, 외부에서의 비디오신호와 OSD에서의 블랭크신호를 각각 별개 독립한 복수의 입력제어단자에 입력하고 비디오신호와 블랭크신호를 혼성하는 제1의 능동소자와, 직류제어전압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전압원과, 전압원에서의 직류제어전압과 OSD에서의 OSD비디오신호를 각각 별개 독립한 복수의 입력제어단자에 입력하고, 직류제어전압을 OSD비디오신호와 혼성하는 제2의 능동소자와; 제1 및 제2의 능동소자에 의해 혼성된 혼성신호를 수신하고 출력하는 출력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혼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압원에서의 직류제어전압을 가변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혼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OSD에서의 비디오신호를 입력하는 제2의 능동소자의 입력제어단자에 임의의 직류전압을 공급하는 직류전압가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혼성수단.
  4. 제1항에 있어서, 모니터의 표시화면의 휘도, 색도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그 검출된 휘도, 색도에 의해 보정데이터를 발생하는 보정데이터발생수단과, 이 보정데이터에 의거하여 수평, 수직의 화이트유니홈이티 보정전압을 출력하고, 블랭크신호를 입력하는 제1의 능동소자의 입력단자에 인가하는 보정전압 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혼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각 제1 및 제2의 능동소자는 각각 듀얼게이트 FET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혼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전압원은 D/A콘버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혼성장치.
KR1019960038941A 1996-01-23 1996-09-09 신호혼성장치 KR1002103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9586 1996-01-23
JP00958696A JP3494793B2 (ja) 1996-01-23 1996-01-23 信号混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893A KR970060893A (ko) 1997-08-12
KR100210361B1 true KR100210361B1 (ko) 1999-07-15

Family

ID=11724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8941A KR100210361B1 (ko) 1996-01-23 1996-09-09 신호혼성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734423A (ko)
JP (1) JP3494793B2 (ko)
KR (1) KR100210361B1 (ko)
TW (1) TW3519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5468A (ja) * 1996-08-30 1998-03-17 Sony Corp フォーカス測定方法
JP3097904B2 (ja) * 1997-01-10 2000-10-10 株式会社シマノ 自転車用ハブ体
US6118490A (en) * 1997-05-01 2000-09-12 Interactive Learning Group, Inc. Display base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KR100263090B1 (ko) * 1997-05-27 2000-08-01 윤종용 OSD를이용한상조정패턴(Pattern)을표시하는회로및방법
JP3720813B2 (ja) * 2003-02-26 2005-11-30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CN103731662B (zh) * 2013-11-27 2016-05-11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一种可提示vga信号源状态的显示装置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2722A (en) * 1974-11-27 1976-06-08 Zenith Radio Corporation Color television setup apparatus and method
US4858006A (en) * 1987-07-28 1989-08-15 Sony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servicing mode of an electronic apparatus
US5371537A (en) * 1991-10-31 1994-12-06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alibrating a CRT display
JPH06105185A (ja) * 1992-09-18 1994-04-15 Hitachi Denshi Ltd 輝度補正方法
JPH06105346A (ja) * 1992-09-18 1994-04-15 Sony Corp ユニフォミティー補正方法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734423A (en) 1998-03-31
KR970060893A (ko) 1997-08-12
TW351907B (en) 1999-02-01
JPH09200795A (ja) 1997-07-31
JP3494793B2 (ja) 2004-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6058A (en) Video signal adjusting apparatus, display using the apparatus, and method of adjusting the display
KR100222160B1 (ko) D/a 콘버터
KR0170003B1 (ko) 차동 증폭기의 함수 전압의 복합 구동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lcd 구동 아날로그 비선형 연산 회로
JPH0783487B2 (ja) カラ−映像信号のレベルコントロ−ル回路
KR100210361B1 (ko) 신호혼성장치
US6483496B2 (en) Drive circuit for display apparatus
US6650371B1 (en) Multiplexed video signal interface signal, system and method
US6369858B1 (en) On-screen display system
US10971090B2 (en) Method for preventing image sticking in display panel
US7030936B2 (en) Pedestal level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pedestal level
US4024529A (en) Image display device
JP3107444B2 (ja) 液晶表示装置
US6369527B1 (en) Vertical blanking circuit and bias clamp boost supply
JP3423193B2 (ja) 液晶駆動回路
JP3237207B2 (ja) カラー映像表示装置と映像信号処理回路
JP3451583B2 (ja) 液晶表示装置のクランプ回路
US6215465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by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5657098A (en) Control circuit for use with a cut-off adjusting circuit and a drive adjusting circuit
JPH07105899B2 (ja) デジタル・ビデオ信号処理装置
JP3256062B2 (ja) 液晶表示装置の信号処理回路
JPH06197241A (ja) ガンマ補正回路及び輪郭補正装置
SU140164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ображени символьной и графической информации
JPH0744671B2 (ja) 液晶表示装置
JPH1138942A (ja) 液晶駆動回路
JP2004040534A (ja) 映像表示回路及び映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