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0272B1 - 모터차량용 루프레일 구조물 - Google Patents

모터차량용 루프레일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0272B1
KR100210272B1 KR1019960027880A KR19960027880A KR100210272B1 KR 100210272 B1 KR100210272 B1 KR 100210272B1 KR 1019960027880 A KR1019960027880 A KR 1019960027880A KR 19960027880 A KR19960027880 A KR 19960027880A KR 100210272 B1 KR100210272 B1 KR 100210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rail
groove
legs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7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마모토 도시유키
Original Assignee
다나카 다케시
후지 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나카 다케시, 후지 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나카 다케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0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02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루프홈을 갖춘 차량에 있어서, 상기 루프홈은 루프판의 각 측면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루프레일이 상기 루프홈에 부착되어지며, 루프레일을 부착하는데 필요한 부품수가 감소되어 레일의 장착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루프레일(1)은 합성수지로 일체로 형성되는데, 레일바디(2)와 레일바디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정면과 배후 선단다리(3), 중간다리(4) 및, 다리(3,4)의 하부선단부들을 서로 결합하는 몰딩 유니트(5)로 구성되는 바; 상기한 몰딩 유니트(5)는 루프홈(8)의 상부를 덮는 커버부(5a)와 이 루프홈(8)에 체결된 능선부(5b)로 구성되고, 체결볼트(9)의 각 헤드는 능선부(5b)의 바닥내에 적절한 위치에 고정되게 삽입되어지며, 루프레일(1)은 홈(8)의 바닥내 장착홀(8a)안으로 개별적으로 체결볼트(9)를 삽입하고 차량 내부로부터 너트수단(10)으로 볼트(9)를 조여줌으로써 루프홈(8)에 부착되어지게 된다.

Description

모터차량용 루프레일 구조물
본발명은 차량의 루프판의 각 측면에 부착되어 그 종방향으로 연장가능한 루프레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루프몰딩들을 구비한 다양한 차량이 공지된 바, 예컨대 일본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59-13344호와 제5-64068호가 있다. 상기한 고안에서는 루프홈이 루프판의 각 측부사이에 결함점을 누름으로써 지붕판의 각 선단을 따라 차량의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면서, 루프몰딩이 루프홈에 부착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루프레일의 정면다리와 배후다리들이 볼트와 너트수단에 의해 루프홈에 고정된다.
상기한 종래의 고안에서 루프몰딩과 루프레일들은 개별부품으로 형성되어지고, 루프레일을 루프홈에 부착함에 있어서, 레일의 다리들은 홈을 덮은 루프몰딩을 부분적으로 절단함으로써 형성되어지면서 볼트와 너트수단에 의해 고정되어진다.
그리고 종래의 루프레일들이 루프몰딩에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부착되어지므로 장착작용이 난해하고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될 뿐만 아니라, 레일 다리와 몰딩내 노치의 선단모서리 사이에 솔기를 용이하게 가릴 수 없게 되며 때때로 루프레일의 외관을 손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루프레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제1a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루프레일을 구비한 차량의 일례를 도시한 측면도.
제1b도는 제1a도의 B-B선 단면도.
제1c도는 제1a도의 C-C선 단면도.
제2a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루프레일을 구비한 차량의 일례를 도시한 측면도.
제2b도는 제2a도의 B-B선 단면도.
제2c도는 제2a도의 C-C선 단면도.
제3a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루프레일을 구비한 차량의 일례를 도시한 측면도.
제3b도는 제3a도의 B-B도 단면도.
제3c도는 제3a도의 C-C선 단면도.
제4a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루프레일을 구비한 차량의 일례를 도시한 측면도.
제4b도는 제4a도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제4c도는 돌부상에 장착된 브레킷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루프레일 2 : 레일바디
3 : 선단다리 4 : 중간다리
5 : 몰딩 유니트 5a : 커버부
5b : 능선부 6 : 루프판
8 : 루프홈 9 : 체결볼트
10 : 너트 11 : 캐리어
11a : 장착고정쇠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차량루프는 일체형의 합성수지로 제조되어지고, 차량의 루프판의 각 측면을 따라 차량바디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루프홈에 부착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루프레일은 레일바디와, 레일바디의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다수의 다리 및, 루프레일이 제위치에 부착되어질 때 루프홈을 연속적으로 덮어주게 되는 몰딩 유니트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루프레일과 일체로 루프몰딩이 형성되므로 부품수가 감소되어지고, 몰딩과 레일이 동시에 부착될 수 있으므로 장착작용의 효율이 상당히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루프레일의 다리와 루프몰딩의 사이의 솔기가 없으므로 레일의 외관이 손상되지 않게 되어 결론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외관이 수려하고 조작이 용이한 루프레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예시도면에 의거 상술한다.
제1a도와 제1b도 및 제1c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기술한 것으로 제1a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루프레일을 구비한 차량의 측면도인 바, 제1a도에서 참조번호 1번은 루프홈(8)에 부착된 루프레일을 도시한 것인데, 상기 루프홈(8)은 루프판(6)의 각 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있다.
제1b도와 제1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레일(1)은 합성수지재의 일체구조로써 레일바디(2)와 이 레일바디(2)의 정면과 배후선단에 위치한 다리(3), 상기한 다리(3)와 몰딩 유니트(5)사이에 적절하게 위치된 중간다리(4)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상기한 몰딩 유니트(5)는 각 다리들(3,4)의 하부를 서로 결합하도록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몰딩 유니트(5)에는 루프홈(8)의 상부를 덮는 커버부(5a)와 사각형의 횡단면을 가지면서 상기 루프홈(8)내에 밀착체결되는 능선부(5b)로 구성된다. 그리고 능선부(5b)의 바닥부 안으로 각 체결볼트(9)의 헤드가 삽입되어지는 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체결볼트(9)는 다리들(3,4) 각각의 중심 바로 하부에 고정된다. 한편 각 중간다리(4)의 상부선단부의 폭은 레일바디(2)의 바닥부의 폭보다 짧으므로 후크부(2a)가 레일바디(2)의 하부면상과 각 중간다리(4)의 상부선단의 각 측면상에 형성되어져 루프 캐리어(11)의 장착고정쇠(11a)가 걸려 고정되어진다.
바람직하기로, 상기한 레일바디(2)와 능선부(5b)는 중공구조로 되어 중량을 감소시켜주어야만 한다.
또한 종래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루프홈(8)은 루프판(6)과 그 대응 측판(7)의 각 측선단부사이에 결합부를 누름으로써 차량바디의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지며, 루프판(6)과 측판(7)사이의 용접된 결합부는 루프홈(8)의 바닥을 구성한다.
한편 상기한 방식으로 일체형의 수지구성물로 형성된 루프레일(1)은 루프홈(8)안으로 몰딩 유니트(5)의 능선부(5b)를 끼워 체결하고, 체결볼트(9)를 개별적으로 루프홈(8)의 바닥내에 장착홀(8a)안으로 삽입하며, 상기한 체결볼트(9)를 차량의 내부로부터 너트(10)수단을 사용하여 조여줌으로써 루프홈(8)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한 방식으로 루프레일(1)이 부착된 채로 몰딩 유니트(5)의 능선부(5b)가 루프홈(8)을 채우게 되고, 커버부(5a)의 대향 측부들이 탄성적으로 루프판(6)의 각 상면과 루프홈(8)의 각 측상에 측판(7)과 탄성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연속적으로 루프홈(8)을 커버하게 된다.
따라서 루프몰딩이 루프레일과 일체로 형성되어지므로 부품수가 감소되어 질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몰딩 유니트(5)의 능선부(5b)가 루프홈(8)안으로 체결되어지고, 너트(10)가 개별적으로 체결볼트(9)상에 스크류되어 고정되어지게 되는 매우 간단한 조작으로 루프몰딩과 루프레일이 동시에 부착될 수 있게 되므로 장착작용의 효율이 크게 향상되어진다. 또한 루프레일과 루프몰딩이 일체로 형성되며, 이들 사이에 솔기가 없으므로 루프레일의 외관이 향상 되어지게 됨과 더불어, 레일바디(2)를 묶거나 루프 캐리어를 레일바디(2)에 고정하는 것이 용이하여 루프레일의 조작성이 양호하게 된다.
제2a도와, 제2b도 및, 제2c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중간다리(4)가 부분적으로 제1a도 내지 제1c도로 도시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적절한 간격으로 선단다리(3)들사이에 형성되어지게 되고, 제2a도 내지 제2c도에 도시한 제2실시예에 따른 중간다리(4)는 레일바디(2)의 정면선단과 배후 선단다리(3)들사이에 간격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진다. 이외 다른 부품구조와 부착방법들은 제2실시예에서도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체결볼트(9)들이 선단다리(3)들의 각 중심의 바로 하부에 중심들 사이에 적절한 위치에 위치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다리들(3,4)은 레일바디(2)의 종방향으로 전체 지역을 커버하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되어져 다리들(3,4)과, 루프판(6), 측판(7) 등을 포함하는 레일바디(2)상의 화물의 중량이 차량바디상에 넓게 분산적으로 지지되어지므로 레일바디는 강도의 감소없이 중량이 추가로 감소되어진다.
제3a도와 제3b도 및, 제3c도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가 도시된 바, 제1a도 내지 제1c도로 도시한 제1실시예에 따른 각 중간다리(4)의 폭은 레일바디(2)의 바닥부폭보다 작게 제조되어 루프캐리어 장착고정쇠용 후크부(2a)가 레일바디(2)의 하부면과, 각 중간다리(4)의 상부선단의 측상에 형성되어 진다. 반면에 제3a도 내지 제3c도에 도시된 제3실시예에 따르면, 레일바디(2)는 후크부(2a)를 구비하지 않으며, 각 중간다리(4)의 대향 측면들은 연속적이면서 레일바디(2)의 바닥부와 몰딩 유니트(5)의 커버부(5a)와 동일하게 되어 루프레일(1)의 외관이 심미성이 증가된다. 다른 구조와 부착방법등은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묶기 또는 구정이 레일바디(2)의 다리들(3,4)의 위치보다 다른 위치에서 수행되어진다. 제4a도와 제4b도 및 제4c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 실시예에 따르면, 몰딩 유니트(5)는 레일바디(2)와 정면과 배후 선단다리(3), 중간다리(4)와 일체로 형성된 플라스틱 구조물로, 루프홈(8)의 상부를 덮은 커버부(5a)와, 루프홈(8)안으로 돌출한 돌부(5c)를 구비한다. 그리고 길다란 보유홈(5d)은 돌부(5c)의 각 측면의 상부내에서 절단되며, 루프레일(1)은 개별 부품인 금속 브라켓(12)을 종방향 슬라이딩 운동으로 돌부(5c)의 보유홈(5d)안으로 체결하고, 너트(10)수단에 의해 체결볼트(9)를 조여서 루프홈(8)의 바닥에 브라켓(12)을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몰딩 유니트(5)의 커버부(5a)는 루프레일(1)이 부착될 때 종방향으로 전체 루프홈(8)을 덮어주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돌부(5c)는 연속적으로 종방향으로 형성되어지거나 다수의 돌부(5c)가 제4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질 수 있으며, 돌부(5c)가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경우에 개별적으로 다리들(3,4)하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브라켓(12)은 바닥부(12a)와, 한쌍의 측면(12b) 및, 측면(12b)의 각 상부 선단들을 내부적으로 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진 결합 플랜지부(12c)를 구비한 적절한 길이의 챈널형상의 구조물이다. 여기서 상기한 바닥부(12a)는 체결볼트(9)에 의해 고정되게 관통되어지고, 루프레일(1)을 4지점에서 루프홈(8)에 부착하고 정면선단부와 배후선단부를 2개의 중간지점에서 부착함에 있어서, 에컨대 4개의 브라켓(12)들이 개별적으로 돌부(5c)에 장착되어지는데, 이때 결합 플랜지부(12c)가 각 돌부의 보유홈(5d)내에 체결되어지게 되고, 각 브라켓(12)이 상기한 방식으로 장착되어질 때 해당 돌부(5)의 보유홈에 따라 종방향으로 미끄럼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브라켓(12)은 각각 체결볼트(9)를 구비하며, 돌부(5c) 또는 돌부들상에 장착되어지는데, 브라켓(12)의 각 체결볼트(9)들이 개별적으로 루프홈(8)의 바닥내에 장착홀(8a)안으로 삽입되어지며, 너트(10)수단에 의해 차량의 내면으로부터 조여지게 된다. 이에 따라 루프레일(1)이 몰딩 유니트(5)의 커버부(5a)가 연속적으로 루프홈(8)을 커버하는 방식으로 루프홈(8)에 부착되어지게 된다.
제1 또는 제3실시예에 따르면, 체결볼트(9)들이 몰딩 유니트(5)의 능선부(5b)에 고정되게 삽입되고, 제4실시예에 따르면 체결볼트(9)는 분리된 부품으로 금속 브라켓(12)에 고정되어지게 된다. 제4실시예의 설비에 사용된 부품의 수가 제1 내지 제3실시예에서 보다는 많기는 하지만 종래에 비하면 적은 것이다. 또한 루프레일과 루프몰딩이 동시에 부착되어 장착작업의 효율을 상당히 증가시킬 수 있게 되고, 루프레일과 루프몰딩들이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루프레일 사이에 솔기도 없어서 외관의 손상이 방지되어진다. 더불어 용이하게 레일바디(2)상에 루프 캐리어를 묶거나 고정시켜 루프레일이 루프상에 용이하게 설치되어지는 한편, 브라켓(12)은 루프레일(1)의 돌부(5c)상에 종방향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할 뿐만 아니라, 체결볼트(9)가 장착홀(8a)과 용이하게 정렬되어질 수 있어서 장착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브라켓(12)의 상대적인 미끄럼 운동은 루프레일(1)자체의 열팽창과 수축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제2도와 제3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2와 제3실시예에 따른 능선부(5b)와 이들 사이에 고정되게 삽입된 체결볼트(9)는 제4실시예에 따른 돌부(5c) 또는 돌부들과 그 위에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된 브라켓(12)의 조합체로 대체될 수 있고, 이 경우 루프레일(1)은 루프홈(8)에 브라켓(12)의 하부에 고정된 체결볼트(9)에 의해 부착되어진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루프레일이 종래의 사출성형 방법으로 가소성 합성수지로 루프몰딩과 일체로 형성되어진다면, 각 물품은 그 프로파일(profile)이 변화되는 지역에 오목한 마크가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문제는 가스-사출 몰딩방법(일본 특허 출원 제6-136024호)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루프레일이 루프몰딩과 일체로 형성되어져 부품의 수가 감소하고 장착작업의 효율이 상당히 향상되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루프레일의 외관을 손상시키는 루프레일의 다리와 루프몰딩 사이에 솔기가 존재하지 않게 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외양의 심미성을 향상시키면서 조작성이 양호한 루프레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로써 기술하고 도시하였지만 하기에 첨부되는 특허청구항에서 기재하는 바와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하다.

Claims (6)

  1. 루프바디상에 루프판위에 수하물을 지지하는 루프레일구조물의 상부상에 장착된 레일바디와; 이 레일바디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다수의 다리 및; 합성수지에 의해 상기 레일바디와 다리에 일체로 평행하게 형성된 몰딩 유니트를 구비한 차량의 루프판의 각 측면을 따라 차량바디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루프홈을 갖춘 차량의 루프레일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는 레일바디의 정면선단과 배후선단에 한쌍의 선단다리와, 상기 선단다리사이에 중간다리로 구성되고, 중간다리의 상부선단부가 레일바디의 하부면보다 좁혀져서 루프캐리어 장착고정쇠용 후크부가 중간다리의 상부 선단의 각 측면상에 레일바디의 하부면상에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레일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중간다리가 정면과 배후선단 다리 사이에 간격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루프레일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다리는 레일바디의 정면선단과 배후선단에 한쌍의 선단다리와, 이 선단다리 사이에 적절한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중간다리들로 구성되고, 각 중간다리의 대향 측면들이 연속적이게 되면서 레일바디의 바닥부와 몰딩 유니트의 상부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레일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 유니트는 루프홈의 상부를 연속적으로 덮는 커버부와, 이 커버부의 하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고 루프홈내에 타이트하게 체결되는 능선부를 구비하고, 상기 능선부는 적절한 간격으로 바닥부내에 삽입된 다수의 체결볼트의 헤드를 구비하여 상기 볼트가 능선부의 하부면으로부터 하부로 돌출하게 되어 체결볼트를 개별적으로 홈의 바닥내에 장착홀안으로 삽입하고 너트수단으로 차량의 내면으로부터 볼트를 조임으로써 루프레일이 루프홈에 부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레일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 유니트에는 루프홈의 상부를 연속적으로 덮는 커버부와, 이 커버부의 하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대향 측면들 내에 개별적으로 절단된 종방향 보유홈을 갖추어 금속 브라켓의 플랜지부를 개별적으로 보유홈안으로 체결하고 차량의 내면으로부터 볼트를 너트수단으로 조여줌으로써 루프레일을 루프홈에 부착할 수 있게 되며, 상기한 브라켓은 챈널형구조물로 바닥과 한쌍의 측면 및 측면의 상부를 안쪽으로 구부림으로써 형성된 결합플랜지부들로 구성되고, 구정 볼트가 브라켓의 바닥에 고정되어져 하방으로 돌출되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레일 구조물.
KR1019960027880A 1995-07-20 1996-07-11 모터차량용 루프레일 구조물 KR1002102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651295A JP3580508B2 (ja) 1995-07-20 1995-07-20 車両のルーフレール
JP206512/1995 1995-07-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0272B1 true KR100210272B1 (ko) 1999-07-15

Family

ID=16524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7880A KR100210272B1 (ko) 1995-07-20 1996-07-11 모터차량용 루프레일 구조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782392A (ko)
JP (1) JP3580508B2 (ko)
KR (1) KR100210272B1 (ko)
DE (1) DE19629060A1 (ko)
GB (1) GB230334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2847B1 (ko) * 2013-10-21 2017-06-01 (주)엘지하우시스 슬롯 결합 방식을 갖는 차량용 루프랙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5737A (en) * 1995-06-30 1998-06-16 Jac Products, Inc. One-piece end support and method of forming thereof
DE19716047C2 (de) * 1997-04-17 1999-11-25 Porsche Ag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Dachlastträger
DE19716048C1 (de) * 1997-04-17 1998-12-10 Porsche Ag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Dachlastträger an Kraftfahrzeugen, insbesondere Personenkraftwagen
DE19732288A1 (de) * 1997-07-26 1999-02-11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Dachgepäckträgers, insbesondere einer Reling
US5975391A (en) * 1998-04-22 1999-11-02 Jac Products, Inc. Mounting member for a slat of a vehicle article carrier
DE69937425T2 (de) 1998-06-11 2008-08-07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Dachreling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KR100388171B1 (ko) * 2000-12-29 2003-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루프랙 마운팅 구조
DE10105167B4 (de) * 2001-02-06 2008-08-14 Jac Products Deutschland Gmbh Fahrzeugdach
DE10105165B4 (de) * 2001-02-06 2011-06-09 Jac Products Deutschland Gmbh Fahrzeugdach
DE10210141A1 (de) * 2002-03-07 2003-09-18 Arvinmeritor Gmbh Karosserieteil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7017788B2 (en) 2002-03-21 2006-03-28 Jac Products, Inc. Adapter bracket for securing a support foot of a article carrier support rail to an outer surface of a vehicle having a roof channel
SE0300521L (sv) * 2003-02-28 2004-06-08 Thule Sweden Ab Kopplingsanordning
US7044348B2 (en) * 2003-03-27 2006-05-16 Lear Corporation Modular storage system
US7004537B2 (en) * 2004-02-27 2006-02-28 Sport Carriers, Inc. Molding apparatus for vehicles and methods for use
JP4402549B2 (ja) * 2004-09-06 2010-01-20 マツダ株式会社 外装部材取付けユニット、外装部材取付け構造及び外装部材取付けユニットの使用方法
DE102005018158A1 (de) * 2004-09-24 2006-04-06 Hans und Ottmar Binder GmbH Oberflächenveredelung Dachträgersystem für ein Fahrzeu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Dachträgersystems und Fahrzeug mit einem Dachträgersystem
DE102011054861A1 (de) * 2011-10-27 2013-05-02 Böllhoff Verbindungstechnik GmbH Befestigungselement mit Toleranzausgleichsfunktion
US9022264B2 (en) * 2012-11-14 2015-05-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Reconfigurable roof rack attachment assembly for a vehicle
DE202015004902U1 (de) * 2015-07-08 2016-10-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Dachreling zur lösbaren Befestigung am Dachrahmen eines Kraftfahrzeugs
DE102018200115B4 (de) 2018-01-05 2024-01-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chienensystem zur Dachgepäckträgerbefestigung
WO2020197369A1 (ko) * 2019-03-28 2020-10-01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루프랙
KR102262660B1 (ko) * 2019-03-28 2021-06-09 (주)엘지하우시스 루프랙
KR102450626B1 (ko) * 2019-03-28 2022-10-05 (주)엘엑스하우시스 루프랙
JP2022052424A (ja) * 2020-09-23 2022-04-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4048A (en) * 1985-09-20 1987-08-04 Bott John Anthony Vehicle article carrier
US5133490A (en) * 1989-03-27 1992-07-28 John A. Bott Article carrier
SE9201934L (sv) * 1992-06-24 1993-06-07 Thule Ind Ab Anordning vid reling
DE4223898A1 (de) * 1992-07-21 1994-01-27 Happich Gmbh Gebr Dachreling für Fahrzeuge
US5476201A (en) * 1994-12-29 1995-12-19 Chrysler Corporation Vehicle attached bicycle carrying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2847B1 (ko) * 2013-10-21 2017-06-01 (주)엘지하우시스 슬롯 결합 방식을 갖는 차량용 루프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80508B2 (ja) 2004-10-27
GB2303345B (en) 1997-10-08
DE19629060A1 (de) 1997-01-23
JPH0930334A (ja) 1997-02-04
GB2303345A (en) 1997-02-19
US5782392A (en) 1998-07-21
GB9614464D0 (en) 1996-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0272B1 (ko) 모터차량용 루프레일 구조물
US4834448A (en) Structure for mounting roof carriers on a roof of motorcar
EP0437514A1 (en) LUGGAGE RACKS FOR VEHICLES.
JPS6137553Y2 (ko)
US6786520B2 (en) Motor vehicle bumper and motor vehicle
US7866516B2 (en) Roof rack for a vehicle
JPS6125574B2 (ko)
JP4080637B2 (ja) 車両用フロントエンド枠体構造
KR0113805Y1 (ko) 버스 측면 고정창문의 장착구조
JPH06144295A (ja) 車体の後部構造
KR960005108Y1 (ko) 승용차의 뒷범퍼 체결용 브래킷
KR200142671Y1 (ko) 자동차의 로커몰딩 취부구조
KR200150886Y1 (ko) 루프 랙 고정장치
JPH061483Y2 (ja) 自動車のル−フ用キヤリア
JP2515386Y2 (ja) 自動車用ルーフモールの取付構造
JP2555754Y2 (ja) 屋根用雪止め金具
KR970006055A (ko) 자동차의 헤드 라이닝의 결합구조
JP2001294096A (ja) 車両用ルーフラック
KR19990043232A (ko) 버스 차체 측면에 부착되는 몰딩재 부착구조
JPH0352371B2 (ko)
JPS609294Y2 (ja) 屋根パネルの取付構造
JPS5821792Y2 (ja) 自動車用荷台支持脚の取付装置
KR970038955A (ko) 자동차의 트렁크 사이드 트림 고정구조
JPH0681841B2 (ja) レールの挫屈防止装置
KR970039288A (ko) 자동차 범퍼의 사이드 레인포스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