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9922B1 - 화격자를 구성하기 위한 화격자 요소 - Google Patents

화격자를 구성하기 위한 화격자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9922B1
KR100209922B1 KR1019920016555A KR920016555A KR100209922B1 KR 100209922 B1 KR100209922 B1 KR 100209922B1 KR 1019920016555 A KR1019920016555 A KR 1019920016555A KR 920016555 A KR920016555 A KR 920016555A KR 100209922 B1 KR100209922 B1 KR 100209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e
frame
lamella
transverse
side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6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6371A (ko
Inventor
끌라 쟝-끌로드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죤 캡스
어브레이젼엔지니어링컴파니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20712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0992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죤 캡스, 어브레이젼엔지니어링컴파니리미티드 filed Critical 데이비드 죤 캡스
Publication of KR930006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9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99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13/00Grates not covered by any of groups F23H1/00-F23H11/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5/00Handling or treating discharged material; Supports or receiving chambers therefor
    • F27D15/02Cooling
    • F27D15/0206Cooling with means to convey the charge
    • F27D15/0213Cooling with means to convey the charge comprising a cooling grate
    • F27D15/022Cooling with means to convey the charge comprising a cooling grate grat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21/00Open or uncovered sintering apparatus; Other heat-treatment apparatus of like construction
    • F27B21/02Sintering grates or 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 Furnace Details (AREA)
  • Floor Finish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Golf Clubs (AREA)
  • Finishing Wall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두 측벽(12,14), 이 측벽들 사이에서 그 횡방향으로 차례대로 배열되는 다수의 박편체들(6)을 포함하고, 박편체(6)들 사이에 기체배출 틈새(34)가 나 있는, 화격자를 구성하기 위한 화격자 요소(8)에 관한 것이다. 측벽(12,14)들은 견고한 프레임(2)의 서로 마주보는 두 수직벽부들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박편체(6)들은 측벽(12,14)들에 착탈자재로 결합될 수 있는 독립된 부품들로 형성되어 있다. 박편체(6)들은 주로 프레임에 부여된 횡방향 안내섹션(18,20)속으로 차례대로 끼워지며, 간격유지 돌출부(30,32)에 의해, 가스배출 틈새(34)를 형성하기 위한 필요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Description

화격자를 구성하기 위한 화격자 요소
제1도는 화격자 받이상에 설치된 한 화격자 요소에 다른 한 화격자 요소가 계단식으로 조합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발췌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화격자 요소를 A-A 선을 따라 절단해 보인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화격자 요소에서 프레임의 사시도.
제4도는 위 화격자 요소에 사용된 한 박편체의 사시도.
제5도는 위 화격자 요소에 사용된 고정 박편체의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발췌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프레임 6,52,54 : 박편체
8,70 : 화격자 요소 12,14,44,46 : 측벽
15 : 프레임 전면 16 : 프레임 전면벽
18,20,56,58 : 횡방향홈 22 : 박편체의 주요부
24 : 박편체의 숄더 26,28,48,50 : 돌출부
30,32 : 간격유지 돌출부 34 : 기체배출 틈새
36 : 고정 박편체 38 : 고정박편체의 주요부
40 : 폐쇄 플랜지 42 : 용접 솔기
60 : 바닥벽 62 : 덮개벽
66,68 : 플랜지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1항의 상위 개념에 의해 서술된, 예컨대 고체를 연소시키거나 냉각시키거나 달리 열처리할 때 그 고체를 받아들이는 데 쓰이는 화격자(grate)를 구성하기 위한 화격자 요소에 관한 것이다. 박편체(薄片體)들 사이에 있는 틈새는, 화격자 상에 놓인 재료를 아래에서 위로 거쳐나가는 기체, 예컨대 공기를 내보내기 위한 것이다. 그 기체는 알려져 있는 바대로 여러 가지 일을 할 수 있는데, 예컨대 화격자의 냉각, 화격자상에 놓인 재료의 냉각 또는 열처리, 그 재료의 운반 등의 일을 한다.
이러한 화격자는 일반적으로 마모되는 정도가 심하다. 이것은 특히 무게가 많이 나가고 표면도 아주 거친 시멘트 소괴(燒塊)를 냉각시키기 위해 화격자를 사용할 경우에 그러하다.
EP 0 167 658 B1을 통해 특허청구범위 1항의 상위개념에 제시된 종류의 한 화격자 요소가 이미 공지된 바 있다. 이 화격자 요소는 두 기본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기본부품은 하나의 측방 테두리와, 고려된 박편체 간격의 2배 간격으로 측방 테두리와 한몸이 되게 결합되는 다수의 박편체들을 포함하고 있다. 화격자 요소의 조립은 두 측방 테두리가 서로 결합될 때 한 측방 테두리의 박편체들이 다른 측방 테두리의 박편체들 사이로 들어가 그 측방 테두리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구들 속에 삽착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기본부품들로 형성된 화격자 요소를 단단히 결합시키기 위해 추가로 상기 두 기본부품에서 예컨대 화격자 요소의 하부를 이루는 부위를 나사로 결합한다.
이 공지된 구조물의 단점은, 개별 박편체와/또는 각 측방 테두리가 허용수치를 넘어서 마모된 경우에 화격자 요소 전체 또는 적어도 한 기본부품 전체를 교환하지 않으면 안되는데, 후자의 경우에는 번거롭게도 기본부품들을 결합시켜 주고 있는 연결부를 풀어야 하고 한 기본부품을 교체한 후에 다시 결합해야 하는 점이다. 이때는 일반적으로 아직 사용할 수 있는 마모되지 않은 화격자 요소 부품들도 함께 교체되기 때문에, 재료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분해와 조립 작업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해당 설비 전체가 오랜 시간동안 쉬어야 하는 일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더욱 더 심화시키는 요인이 있는데 이는 즉, 다수의 화격자 요소들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화격자를 이루고, 이 화격자는 다시 하나의 화격자 받이 위에 고정됨으로써, 예컨대 개별 박편체들을 교체해야 될 필요가 생기면 그것과 결합된 측방 테두리들을 교체해야 하고, 이웃한 화격자 요소들의 측방 테두리들과 연결된 연결부와 화격자 받이와 연결된 연결부도 풀어야 하며 교체후에 다시 결합해야 하는 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상의 번거로움을 줄이고 재료를 절약할 수 있게끔 마모 부분들을 개별적으로 교체할 수 있는, 특허청구범위 1항의 상위개념에 제시된 종류의 화격자 요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특허청구범위 1항에 서술된 특징들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요지는, 화격자 요소를 종전과 달리 두 측방 테두리(또는 측벽)를 일체로 형성한 하나의 프레임과, 이 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는 개개의 박편체들로 분할하는 데 있다. 이렇게 해서 먼저, 무엇보다도 박편체들이 쉽게 마모되어 교체되어야 하는 상황에 효과있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은, 조립상의 번거러움이 없는 동시에 손상되지 않은 측방 테두리 자체를 교체할 필요없이 박편체들을 개별적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해준다. 박편체와 측방 테두리 사이의 결합은 여러 실시예들을 통해 후술되는 바와 같이 구조상 매우 간단하게 해체할 수 있다.
또 다른 장점이 되는 것은 화격자 요소의 두 측방테두리를 앞에서 서술한 것과 같이 나사로 결합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결합시킬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취해진 화격자 요소의 분할은, 주로 박편체들을 위한 조립요소로서 사용되는 측방 테두리들을 한 편으로 하고, 주로 화격자의 표면을 이루고 그래서 우선적으로 마모되는 박편체들을 다른 한 편으로 해서 이 양자의 상이한 기능을 따른 것이다. 이러한 분할을 통해 또한 가능한 것은, 예컨대 프레임을 한편으로 하고 박편체들을 다른 한편으로 해서 이 양자를 각자의 기능에 최대로 적합한 상이한 재료로써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우선 실시예에서는, 각 측방 테두리에 이서의 횡방향으로 뻗어 있고 안내레일 역할을 하는 횡방향 안내섹션이 있으며, 박편체들의 측방 단부에는 상기 측방 테두리에 부여된 횡방향 안내섹션과 상호 작용하는 카운터섹션(counter-section)이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박편체들이 차례대로 측방 테두리의 횡방향 안내섹션 안으로 하나하나 끼워짐으로써 매우 간단하게 박편체들을 조립할 수가 있다.
여러 가지 실시예들이 보여주듯이 횡방향 안내섹션은 홈의 형태로, 카운터섹션은 돌출부의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그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우선 실시예에서는, 측방 테두리가 프레임 평면상에 상호 평행하게 수직으로 세우지는 측벽으로 형성되며, 그 측벽들은 적어도 프레임의 제1 전면(前面)에서 그 측벽들 보다 높이가 낮은 전면벽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횡방향 안내섹션은 측벽들의 서로 마주보고 있는 쪽의 내부면에, 그 전면벽보다 높은 위치에서, 제1 프레임 전면에서 측벽의 끝모서리까지 연장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박편체들이 프레임의 제1 전면에서부터 일직선을 이루어 양 측벽 사이로 줄지어 삽착조립됨으로써 화격자 요소 전체가 치밀하고 바깥쪽으로 매끈한 부품으로 되고, 이 부품은 간단한 방법으로 다른 화격자 요소돌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하나의 화격자로 구성될 수가 있다.
여기서 프레임의 제1 전면은 주로 운반 방향으로 앞쪽에 있는 전면이 되는데, 이 부위는 마모가 가장 심한 화격자 요소의 부위로서, 이부위에 있는 박편체들이 가장 먼저 교체된다.
각 박편체의 인접 박편체들에 대한 상호위치를 잡아주기 위해서 본 발명이 제안하고 있는 바는, 각 박편체에 인접 박편체와의 접촉간격을 한정하는 돌출부들을 측방 테두리의 종방향으로 부여토록 하는 것이다. 이 간격유지 돌출부들은, 박편체들이 서로 닿을 때까지 그것들을 차례대로 횡방향 안내섹션 속으로 하나하나 밀어넣을 수 있게 해주는데, 여기서 간격유지 돌출부들은 또한 박편체들 사이에 남아 있는 기체 배출 틈새를 결정해 준다.
앞에서 서술한 바와같이 프레임과 박편체 양자의 기능 분할의 측면에서 본질적인 개선점은, 박편체의 양측 단부에 각 단부에 소속된 측방 테두리의 상부 모서리를 덮기 위해 부설된 횡방향 플랜지가 있다는 것이다. 박편체들을 횡방향 안내섹션 속으로 끼워 넣을 때 횡방향 플랜지는 측방 테두리의 상부 모서리위에 놓이게 되고 이 모서리를 위에서 덮는다. 이렇게 해서 측방 테두리는 화격자 바닥 위에 놓인 재료에 의해 야기되는 마모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됨으로써, 프레임 전체를 교체해야 될 필요가 전혀 없게 된다.
박편체가, 화격자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주요부와 이웃한 박편체를 아래에서 떠받치는 숄더(shoulder)를 갖도록 박편체를 구성할 때, 횡방향 안내섹션 안으로 맞물려 들어갈 카운터섹션과 측방 테두리를 덮을 횡방향 플랜지는 주요부의 양측 단부에만 형성된다.
박편체들을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아주 간단한 해결책으로서 고저 박편체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것에는 그 자체를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들이 부여되어 있다. 이 고정 박편체는 프레임에 조립되는 박편체들중 마지막 박편체로서, 횡방향 안내섹션 안으로 삽입된 후 어떤 적절한 방법을 통해 프레임과 결합됨으로써 다른 박편체들을 함께 고정시킨다. 프레임에 대한 고정 박편체의 고정은 예컨대 용접, 나사 체결, 기타 알려진 방법을 통해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격자 요소의 우선적인 적용영역은 이른바 계단식 화격자이다. 이 경우에 프레임은 그 제1 전면에 위치한 끝부분에 바닥벽이 있고, 프레임의 제1 전면 반대쪽의 그 끝부분에는 덮개벽이 있는데, 각 화격자 요소에서 바닥벽을 화격자 상에 놓이는 재료의 운반 방향으로 후속되는 화격자 요소의 덮개벽 위에 놓인다. 모든 화격자 요소의 앞쪽 프레임 전면은 그렇게 해서 조립된 상태에서도 항상 접근이 가능하게 되어, 프레임을 해체할 필요없이 개별 박편체들을 교체할 수가 있게 된다.
그 밖의 개별 사항들, 장점들, 특징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의 범위를 통해 파악된다. 본문에 설명되지 않은 개별 사항들은 모두 거기에 의존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 설명에서는 본문의 서두에 제시된 EP 0 167 658 B1이 참조 된다. 이것의 제8도에는 화격자 요소를 이용해 화격자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개별 사항들이 제시되어 있다. 화격자 상에 놓이는 재료의 운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서로 연결된 화격자 요소들이 여러 개 모여 화격자 열을 이룬다. 이때 운반방향으로 차례대로 배열된 화격자 요소들은 본 발명의 제1도의 예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계단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도에서, 주로 단일체로 된 프레임 2와, 화살표 4로 표시된 운반방향으로 차례대로 배치된 박편체 6들로 구성된 화격자 요소 8은 화격자 받이 10위에 설치되어 있다. 화격자 받이 10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기체 공급 연결선과 연결되어 있다. 특히 제3도에서 볼 수 있듯이, 프레임 2는 두 개의 측벽 12, 14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들은 프레임 주(主)평면 상에서 수직으로서 있는 측벽들로서 형성되어 있다. 측벽12, 14가 운반방향으로 볼 때 앞쪽에 있는 프레임 전면 15 부위에서 전면벽 16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전면벽 16은 측벽 12, 14 보다 낮은 벽 높이를 갖고 있어서, 측벽 12, 14는 전면벽 16의 상부 모서리보다 높다.
제2도와 제3도에서 볼 수 있듯이, 서로 마주보고 있는 측벽 12, 14의 내부면들에는 횡방향 홈 18,2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은 박편체 6들을 받아들이기 위한 횡방향 안내섹션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 횡방향 홈들은 전면벽 16의 상부에 위치하여, 앞쪽의 프레임 전면의 부위에서 측벽들의 끝모서리까지 이어짐으로써, 그 쪽에서부터 프레임 2에 대한 박편체 6들의 조립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제4도는 한 박편체 6을 보여 주고 있다. 이것은 대체로 보아, 화격자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주요부 22와, 여기에 부속된 숄더 24로 구성되는데, 숄더 24는 제1도에 보인 바대로 이웃한 박편체를 아래에서 떠받쳐준다. 주요부 22의 양측 단부에는 돌출부 26, 28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은 횡방향 홈 18, 20에 부합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박편체 6들은 앞쪽의 프레임 전면 15으로부터 횡방향 홈 18, 20 속으로 차례대로 끼워진다.
삽입방향으로 볼 때 앞쪽에 있는 주요부 22의 모서리에는 두 개의 간격유지 돌출부 30, 3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은 앞서 끼워진 박편체 6의 뒷쪽 모서리와 닿는다. 이 간격유지 돌출부 30, 32는 박편체 6들 사이에 존재하는 기체배출 틈새 34(제 1도 참조)를 결정하게 된다. 간격유지 돌출부 30, 32 는 간단한 방법으로 연마를 통해 작게 만들거나 또는 하드 페이싱(덧대기 용접)을 통해 크게 할 수도 있어서 틈새의 폭을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박편체 6들을 프레임에서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조립 박편체들중 마지막의 것으로서 제5도에 도시된 예와 같은 고정 박편체 36을 프레임 2에 최종적으로 끼워 넣게 되는데, 이것이 정상적인 박편체 6과 다른 점은, 주요부 38에서 삽입방향으로 볼 때 뒤쪽에 있는 그 단부에 아래쪽으로 돌출한 폐쇄 플랜지 40이 있어서 이것이 대체로 전면벽 16의 상부 모서리에 일치하여 닿게 되는 점이다. 폐쇄플랜지 40과 전면벽 16에는 각각 고정 박편체 36을 프레임 2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들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주로 폐쇄 플랜지 40 내지 전면벽 16의 서로 접하는 두 모서리 중 적어도 한 모서리에 챔퍼(chamfer)가 있어서, 이것이 간단하게 용접 솔기 42를 만드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
제6도는 박편체들을 프레임에서 횡방향으로 조립되도록 안내하는 다른 실시예의 일부를 보여 주는 것이다. 제6도에는 한 화격자 열에서 서로 나란히 배치된 두 화격자 요소들에서 서로 접해 있는 두 측벽 44,46이 보인다. 측벽 44,46은 그 각각의 상단부에 횡방향 안내섹션의 역할을 하는 돌출부 48,50이 있는 반면에, 이에 상응하여 박편체 52,54에 부여된 카운터섹션은 상기 돌출부 48,50에 부합되도록 형성된 홈 56,58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6도에서 또 알 수 있듯이, 박편체 52,54는 그 양측 단부에 측벽 44, 46의 상부 모서리를 덮기 위해 마련된 횡방향 플랜지 66,68를 갖는다. 횡방향 플랜지 66,68은 측벽 44,46이 화격자 상에 놓이는 재료와 접촉하는 것을 막아, 쉽게 교체할 수 있는 박편체에만 마모가 일어나도록 하여준다.
제1도와 제3도에서 볼 수 있듯이, 프레임 2는 프레임의 제1 전면 15쪽에 있는 단부에 바닥벽 60이 제공되고, 이 바닥벽 60은 프레임 2에 있어서 화격자 받이 10 외측에 있는 부위를 아래에서 폐쇄한다. 프레임 2에 있어서, 화격자 받이 10위에 놓이는 부분은 아래쪽이 개방되어 있어서, 기체가 화격자 받이로부터 화격자 요소 8 안으로 들어갈 수 있고 기체배출 틈새 34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바닥벽 60은 프레임 2의 화격자 받이 10을 넘어서는 부위에서 기체가 아래쪽으로 새지않게 밀폐시켜 준다.
프레임 2에서 제1 전면 15의 반대쪽 단부에는 덮개벽 62가 제공되어 있다. 이 덮개벽 62의 프레임 전면쪽으로 향해 있는 단부에는 가장 먼저 조립되는 박편체가 와 닿는다. 덮개벽 62에서 프레임 전면 15쪽으로 향해 있는 부위에는 주로 주요부 22와 비슷하게 횡단면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덮개벽 62과 박편체 6의 숄더 24사이에도 마찬가지로 기체배출 틈새가 형성된다.
제1도와 제2도는 64로 표시된 빗금친 부분을 보이고 있는데, 이 부위는 화격자 요소에서 보통 마모되는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화격자 상에 놓이는 재료의 운반방향으로 볼 때 앞쪽에 있는 부위가 주로 마모됨을 알 수 있다. 마모가 허용 한계에 도달하게 되면, 제1도에서 제5도까지의 도면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고정 박편체 36을 고정시키는 용접솔기 42를 떼어내 앞쪽의 마모된 박편체를 제거하고 새로운 것으로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측벽 12,14의 상부 모서리의 마모는 예컨대 덧대기 용접을 통해 상쇄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가장 마모되기 쉬운 박편체들을 앞쪽의 전면 15의 부위에 배치함으로써 마모되지 않은 박편체들을 분리해 내지 않고도 마모된 박편체들만 간단히 교체할 수 있어서, 박편체의 손쉬운 교체가능성의 조건이 충족된다.
제6도에 의해 설명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측벽 44,46이 마모되지 않기 때문에 박편체 52,54만 교체하면 된다.
제1도는 또 다른 화격자 열의 화격자 요소 70이 운반방향 4로 볼 때 화격자 요소 8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 화격자 열은 계단식으로 아래쪽으로 내려와 있다. 이 때 상부 화격자 요소 8은 하부 화격자 요소 70과 기껏해야 덮개벽 62의 부위에서 겹치기 때문에 화격자의 실사용면은 축소되지 않는다. 또 상술할 바에서 알 수 있듯이, 모든 화격자 요소의 앞쪽 전면은 계단식의 화격자 요소 조합구조로 인해 항상 접근 가능하기 때문에, 화격자 요소를 해체하지 않고도 주로 마모되는 박편체 6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마모로 인한 다른 수리작업, 예컨대 측벽 12,14에 대한 덧대기 용접 작업도 화격자 요소를 해체하지 않고 위에서부터 접근하여 행할 수 있다.

Claims (13)

  1.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두 측벽(12,14)들과, 이 측벽들 사이에서 그 횡방향으로 차례대로 배열되는 박편체들(6)을 포함하고, 박편체들(6) 사이에 기체배출 틈새(34)가 형성되는, 화격자를 구성하기 위한 화격자요소(8)로서, 상기 측벽(12,14)들이 프레임(2)의 서로 마주보는 수직벽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박편체(6)들은 상기 측벽(12,14)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독립된 부품들로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화격자를 구성하기 위한 화격자 요소.
  2. 제1항에 있어서, 측벽(12,14)들은 그 횡방향으로 나 있는 횡방향안내섹션(18,20)을 가지고, 박편체들(6)은 그 양측 단부에 상기 횡방향 안내섹션(18,20)과 상호작용하는 카운터섹션(26,28)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격자 요소.
  3. 제2항에 있어서, 횡방향 안내섹션(18,20)은 횡방향 홈의 형태로, 카운터섹션(26,28)은 상기 횡방향 홈과 부합하는 돌출부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격자 요소.
  4. 제2항에 있어서, 횡방향 안내섹션(48,50)이 돌출부의 형태로, 카운터섹션(56,58)은 이 돌출부와 부합하는 홈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격자 요소.
  5. 제2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벽(12,14)들이 프레임평면상에 상호 평행을 이루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측벽으로 형성되고, 이 측벽(12,14)들은 적어도 프레임의 제1 전면(15)에서 이 측벽(12,14)들보다 벽높이가 낮은 전면벽(16)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횡방향 안내섹션(18,19)은 상기 서로 마주보는 측벽(12,14)들의 내부면에 상기 전면벽(16)보다 높은 위치에서 프레임의 제1 전면(15)으로부터 측벽(12,14)의 끝모서리까지 연장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
  6. 제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박편체(6)가 인접 박편체와 마주보는 곳에 전방 및/또는 후방 간격유지 돌출부(30,32)를 가지며, 이들 돌출부는 인접한 박편체(6)들과 접촉하여 그들 사이에 기체배출 틈새(34)를 형성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격자 요소.
  7. 제1항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박편체(6)들이 그 양측단부에 측벽(44,46)의 상부 모서리를 덮기 위해 마련된 횡방향 플랜지(66,68)들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격자 요소.
  8. 제2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박편체(6)들이 화격자의 표면을 이루는 주요부(22)와, 인접한 박편체를 아래에서 떠받치는 숄더(24)를 가지며, 이 주요부(22)의 양측 단부에 카운터섹션(26,28)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격자 요소.
  9. 제8항에 있어서, 주요부(22)의 양측 단부에 횡방향 플랜지(66,68)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격자 요소.
  10. 제2항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체를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들이 부여된 고정 박편체(36)가 마련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화격자 요소.
  11. 제1항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임(2)은 프레임의 제1 전면(15)에 위치한 끝부분에서 바닥벽(60)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격자 요소.
  12. 제1항 내지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임(2)은 프레임의 제1 전면(15) 반대측의 끝부분에 덮개벽(62)을 가지며, 이 덮개벽(62)은 프레임의 제1 전면(15)쪽의 단부에 주로 박편체(6)의 주요부(22)와 상응하는 횡단면섹션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격자 요소.
  13. 제1항 내지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임(2)에는 이를 화격자 받이(10) 상에 설치하기 위한 수단들과, 화격자 열을 구성하는 또 다른 프레임과 연결시키기 위한 수단들이 부여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화격자 요소.
KR1019920016555A 1991-09-09 1992-09-09 화격자를 구성하기 위한 화격자 요소 KR1002099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1-115207.2 1991-09-09
EP91115207A EP0549816B2 (de) 1991-09-09 1991-09-09 Rostbodenelement zum Aufbau eines Rostbode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371A KR930006371A (ko) 1993-04-21
KR100209922B1 true KR100209922B1 (ko) 1999-07-15

Family

ID=8207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6555A KR100209922B1 (ko) 1991-09-09 1992-09-09 화격자를 구성하기 위한 화격자 요소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5299555A (ko)
EP (1) EP0549816B2 (ko)
JP (1) JP2961469B2 (ko)
KR (1) KR100209922B1 (ko)
CN (1) CN1060858C (ko)
AT (1) ATE148218T1 (ko)
AU (1) AU655060B2 (ko)
BR (1) BR9203481A (ko)
CA (1) CA2077724C (ko)
CZ (1) CZ280893B6 (ko)
DE (1) DE59108512D1 (ko)
DK (1) DK0549816T4 (ko)
ES (1) ES2097172T5 (ko)
HU (1) HU213426B (ko)
MX (1) MX9205144A (ko)
PL (1) PL169153B1 (ko)
RU (1) RU2079789C1 (ko)
TR (1) TR2615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41009C2 (de) * 1994-11-17 2001-03-29 Karl Von Wedel Rostplattenanordnung
US5766001A (en) * 1995-01-20 1998-06-16 Bentsen; Bo Grate element for a grate surface, e.g. in a clinker cooler
DE19622636A1 (de) * 1996-06-05 1997-12-11 Krupp Polysius Ag Rostplatt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Rostplatte
DE10133973B4 (de) * 2001-07-17 2004-12-30 Michael Janzer Rost und Verfahren zum Aufbau eines Rostes bestehend aus untereinander formschlüssig verbundenen Lamellenkörpern
DE102004045927A1 (de) * 2004-09-22 2006-03-30 Heike Gerkin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Vermeidung von Verformungen unter Wärmeeinwirkung an Lamellenrostplatten
DE102007019530C5 (de) 2007-04-25 2018-01-04 Alite Gmbh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Kühlen einer auf einem Förderrost liegenden Schüttgutschicht
DE102009009285B4 (de) 2009-02-17 2013-11-28 Ikn Gmbh Rostplattenanordnung
DE102011080998B4 (de) 2011-08-16 2016-07-14 IKN GmbH Ingenieurbüro-Kühlerbau-Neustadt Kühlrost und Rostsegment zum Kühlen von Zementklinker
MX2017015819A (es) * 2015-06-12 2018-08-01 Hitachi Zosen Inova Ag Bloque de parrilla para parrilla de combustion.
EP3667222A1 (en) * 2018-12-11 2020-06-17 Paul Wurth S.A. Method for fitting or retrofitting a sinter cool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8351C (de) D. J. MORGAN in 33 Fitzhamon Embankment, Cardiff, Grfsch. Glamorgan Rost
FR464509A (fr) * 1912-11-08 1914-03-24 Verner Russell Chadwick Foyer de chaudière
US1802960A (en) 1929-03-22 1931-04-28 Fillmore Hyde A Hearth
US2371619A (en) 1940-06-03 1945-03-20 Minerals And Metals Corp Process of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and controlling chemical reactions and physical treatments
GB1566382A (en) * 1977-03-09 1980-04-30 Peters Ag Claudius Grate plate
GB2059050B (en) * 1979-07-19 1983-01-26 Bentall & Co Ltd Ventilating and drying grain in silos
DE3049086C2 (de) * 1980-12-24 1983-07-14 Widmer & Ernst AG, 5430 Wettingen Roststabreihe für Feuerungsroste von Verbrennungsöfen
DE3332592C1 (de) * 1983-09-08 1985-05-15 Karl von Dipl.-Ing. Dipl.-Wirtsch.-Ing. 3057 Neustadt Wedel Aus Rostelementen zusammengesetzter Rostboden fuer Schuettgueter,wie Zementklinker
JPS60147015A (ja) * 1984-01-09 1985-08-02 Takuma Co Ltd 並列揺動式階段スト−カ
DE3435222A1 (de) * 1984-09-06 1986-03-13 Krupp Koppers GmbH, 4300 Essen Verfahren zur regeneration einer waschloesung, die zur simultanen auswaschung von stickoxid und schwefeldioxid aus rauchgasen eingesetzt wird
FR2574160A1 (fr) * 1984-11-30 1986-06-06 Electricite De France Grille de foyer realisee a partir d'elements permettant un controle ameliore de l'apport en air primaire
DE3734043A1 (de) * 1987-10-08 1989-04-20 Kloeckner Humboldt Deutz Ag Rostkuehler zum kuehlen von heissem schuettg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97172T3 (es) 1997-04-01
DK0549816T3 (da) 1997-07-28
AU2283592A (en) 1993-03-11
CN1072487A (zh) 1993-05-26
RU2079789C1 (ru) 1997-05-20
EP0549816B1 (de) 1997-01-22
HU9202871D0 (en) 1992-12-28
HUT62409A (en) 1993-04-28
CZ268592A3 (en) 1993-07-14
CA2077724C (en) 2000-04-11
ES2097172T5 (es) 2000-10-16
PL295854A1 (en) 1993-08-23
CN1060858C (zh) 2001-01-17
US5299555A (en) 1994-04-05
MX9205144A (es) 1993-07-01
EP0549816A1 (de) 1993-07-07
BR9203481A (pt) 1993-04-13
DE59108512D1 (de) 1997-03-06
AU655060B2 (en) 1994-12-01
EP0549816B2 (de) 2000-07-19
DK0549816T4 (da) 2000-09-18
PL169153B1 (pl) 1996-06-28
HU213426B (en) 1997-06-30
ATE148218T1 (de) 1997-02-15
JP2961469B2 (ja) 1999-10-12
CA2077724A1 (en) 1993-03-10
JPH06281354A (ja) 1994-10-07
CZ280893B6 (cs) 1996-05-15
KR930006371A (ko) 1993-04-21
TR26157A (tr) 1995-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9922B1 (ko) 화격자를 구성하기 위한 화격자 요소
KR20010020174A (ko) 미립자로 된 재료용 냉각기
US5549471A (en) Cooler grate for a reciprocating grate cooler
GB1572376A (en) Conveyor support way
EA014358B1 (ru) Охлажд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ыпучего материала, имеющее уплот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между соседними транспортирующими планками
EP0663993B1 (en) Grate element
UA31353U (uk) Секція напрямної струга ковзної дії
EP0663060B1 (en) Grate element
KR102425248B1 (ko) 공랭식 화격자의 수명 향상 및 연소공기홀의 폐쇄 현상을 방지하는 구조
US1775790A (en) Grate bar
GB2143493A (en) Scraper-chain conveyor channel section
US5766001A (en) Grate element for a grate surface, e.g. in a clinker cooler
EP0730722B1 (en) Grate cooler
JP2004239604A (ja) 換気エレメント
KR101501369B1 (ko) 소각로 내의 화격자 배열 구조
DE10133973B4 (de) Rost und Verfahren zum Aufbau eines Rostes bestehend aus untereinander formschlüssig verbundenen Lamellenkörpern
JPS631197Y2 (ko)
SU1760998A3 (ru) Печь с роликовым подом
KR101867544B1 (ko) 소각로용 사이드 화격자 및 그 배치구조
WO1994008187A1 (en) Grate element for a grate surface
RU2059557C1 (ru) Желоб для гидро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пульпы
GB2047648A (en) Connection means for a scraper-chain conveyor
SU1016240A1 (ru) Секци скребкового конвейера
CS272244B2 (en) Needle bed for flat-bed knitting machine or circular knitting frame
GB2181074A (en) Gas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