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9165B1 -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9165B1
KR100209165B1 KR1019960046423A KR19960046423A KR100209165B1 KR 100209165 B1 KR100209165 B1 KR 100209165B1 KR 1019960046423 A KR1019960046423 A KR 1019960046423A KR 19960046423 A KR19960046423 A KR 19960046423A KR 100209165 B1 KR100209165 B1 KR 100209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ulse
activated
compariso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6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1832A (ko
Inventor
김백용
Original Assignee
엄기화
동양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기화, 동양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엄기화
Priority to KR1019960046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9165B1/ko
Publication of KR970001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9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91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05F15/695Control circui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05F15/697Motor units therefor, e.g. geared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Abstract

본 발명은 윈도우 상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윈도우 모터를 제어하는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윈도우 스위칭부(10), 모터부(60), 모터부(80)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상기의 회전속도에 따라 펄스폭이 가변되는 제1펄스(PS)를 출력하는 제어펄스발생부(20), 윈도우 상에 부하가 없을 때의 모터부(60)의 회전속도를 정상회전속도라 하면 정상회전속도일때의 펄스폭을 갖는 상기의 제1펄스폭(PS)의 펄스폭보다 소정치 큰펄스폭을 갖는 제1기준펄스(PS1)를 출력하는 제1기준펄스발생부(30), 제1펄스(PS) 및 제1기준펄스(PS1)를 수신하여 제1펄스(PS)의 폭과 제1기준펄스(PS1)의 폭을 비교하여 제1펄스(PS)의 폭이 제1기준펄스(PS1)의 폭보다 크면 활성화된 제1비교신호(COMP1)를 출력하는 제1비교부(40) 및 상향신호(UP), 하향신호(DW) 및 제1비교신호(COMP1)를 수신하여 상향신호(UP)가 활성화되고 하향신호(DW) 및 제1비교신호(COMP1)가 비활성화되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되고 상향신호(UP) 및 제1비교신호(COMP1)가 비활성화되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1비교신호(COMP1)가 활성화되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모터제어부(5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에 사용되는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윈도우 상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윈도우 모터를 제어하는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은 종래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종래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는 자동차의 창문을 올리고자 할 때 상향스위치를 한 번 누르면 활성화된 상향신호(UP)를, 자동차의 창문을 내리고자 할 때 하향스위치를 한 번 누르면 활성화된 하향신호(DW)를 출력하는 윈도우 스위칭부(1), 상향신호(UP), 하향신호(DW) 및 모터정지신호(STOP)를 수신하여 상향신호(UP)가 활성활될 때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와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를 출력하고 하향신호( DW)가 활성화될 때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와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를 출력하고 모터정지신호(STOP) 활성화되면 동일한 논리값을 갖는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와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를 출력하는 제어부(2), 제1모터구동제어신호( C1) 를 수신하여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가 하이논리값을 가지면 제1공급전압(Vdd), 즉 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해 주는 축전지의 전압을 갖고, 로우논리값을 가지면 제2공급전압(Vss)인 접지전압을 갖는 제1모터신호(M1)를 출력하는 제1모터구동부(3),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를 수신하여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가 하이논리값을 가지면 제1공급전압(Vdd)을 갖고 로우논리값을 가지면 제2공급전압(Vss)을 갖는 제2모터신호(M2)를 출력하는 제2모터구동부(4), 한 단자가 제1모터신호(M1)에 연결되고 다른 단자가 제1노드(A)에 연결된 모터부(5), 한 단자가 제1노드(A)에 연결되고 다른 단자가 제2모터신호(M2)에 연결된 제1저항(Rm), 제2저항(Ra) 및 제3저항(Rb)이 직렬로 구성되며 제2저항(Ra)의 한 단자는 제1모터신호(M1)에 연결되고 제3저항(Rb)의 한 단자는 제2모터신호(M2)에 연결되고 제2저항(Ra) 및 제3저항(Rb)의 다른 단자는 공통으로 제2노드(B)에 연결된 기준전류 발생부(6) 및 제1노드(A)와 제2노드(B)의 전압을 비교하여 모터 정지신호(STOP)를 출력하는 비교부(7)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따른 종래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1저항(Rm)에 흐르는 전류를 모터전류(Im)라 하고, 기준전류발생부(6)의 제2저항(Ra)과 제3저항(Rb)에 흐르는 전류를 기준전류(Iref)라 하면, 기준전류(Iref) 는 윈도우 스위칭부(1)에서 활성화된 상향신호(UP) 또는 활성화된 하향신호(DW)를 출력하여 윈도우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즉 모터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동작할 때는 모터전류(Im)보다 큰 전류를 갖도록 하고, 활성화된 상향신호(UP)에 의해 윈도우가 완전히 닫히거나 활성화된 하향신호(DW)에 의해 윈도우가 완전히 열릴때에는 모터전류(Im)는 증가하게 되며 이때의 모터전류(Im)보다 작은 전류를 갖도록 제2저항(Ra)과 제3저항(Rb)의 저항값을 조정한다.
제2도는 모터전류(Im)와 기준전류(Iref)와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로 제1도에서 윈도우 스위칭부(1)에서 상향신호(UP) 또는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되면 구간 I의 영역은 윈도우가 완전히 닫히기 전 또는 완전히 열리기 전의 상태로 이때에는 윈도우에 이물질 등에 의하여 모터전류(Im)는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고 약간의 증가 또는 감소된다. 구간Ⅱ의 영역에서는 윈도우가 완전히 닫히거나 완전히 열려져 있는 상태로 이때에는 모터전류(Im)는 급속도로 증가한다. 기준전류(Iref)는 구간Ⅱ의 영역중 P점에서의 모터전류(Im)와 동일한 값을 갖도록 제1도에서의 제2저항(Ra)과 제3저항(Rb)의 저항값을 조정한다. 즉 구간Ⅰ의 영역에서는 기준전류(Iref)는 모터전류(Im)보다 크고, 구간Ⅱ의 영역에서는 기준전류(Iref)는 모터전류(Im)보다 작다.
윈도우 스위칭부(1)에서 상향신호(UP)가 활성화되면 제어부(2)의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는 하이논리값을 갖고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는 로우논리값을 갖는다. 제1모터구동부(3)는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에 의하여 제1모터신호(M1)는 제1공급전압(Vdd)을 출력하고, 제2모터구동부(4)는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에 의하여 제2모터신호(M2)는 제2공급전압(Vss)을 출력한다. 모터부(5) 및 제1저항(Rm)은 직렬로 구성되어 있고 모터부(5)의 한 단자는 제1공급전압(Vdd)에 연결되고 제1저항(Rm)의 다른 단자는 제2공급전압(Vss)에 연결되어 모터전류(Im)는 제1모터신호(M1)로부터 제2모터신호(M2)로 전류가 흐르며 모터부(5)는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자동차의 윈도우는 서서히 닫히게 된다. 즉 모터부(5)는 제2도의 구간Ⅰ의 영역에서 동작하게 된다. 기준전류발생부(6)에 흐르는 기준전류(Iref)는 구간Ⅰ의 영역에서 모터전류(Im)보다 크므로 제1노드(A)의 전압(Va)은 제2노드(B)의 전압(Vb)보다 작으므로 비교부(7)의 출력인 모터정지신호(STOP)는 로우논리값을 갖는다. 모터부(5)는 계속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자동차의 창문이 완전히 닫히면, 즉 제2도의 구간Ⅱ의 영역에 진입하여 P점에 도달하면 모터전류(Im)는 기준전류(Iref)보다 크므로 비교부(7)의 출력인 모터정지신호(STOP)는 하이논리값을 갖게되어 제어부(2)의 출력들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와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는 동일한 논리값, 즉 하이 또는 로우논리값을 갖는다. 따라서 제1모터구동부(3) 및 제2모터구동부(4)의 출력들인 제1모터신호(M1)와 제2모터신호(M2)들은 동시에 제1공급전압(Vdd) 또는 제2공급전압(Vss)이 되어 모터부(5)의 모터는 정지되어 자동차의 윈도우는 정지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윈도우 스위칭부(1)의 하향신호(UP)가 활성화되면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는 로우논리값을 갖고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는 하이논리값을 갖는다. 제1모터구동부(3)는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에 의하여 제1모터신호(M1)는 제2공급전압(Vss)을 출력하고, 제2모터구동부(4)는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에 의하여 제2모터신호(M2)는 제1공급전압(Vdd)을 출력한다. 따라서 모터전류(Im)는 제2모터신호(M2)로부터 제1모터신호(M1)로 전류가 흐르므로 모터부(5)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자동차의 윈도우는 서서히 열리게 되며, 모터부(5)는 제2도의 구간Ⅰ의 영역에서 동작하게 된다. 기준전류발생부(6)에 흐르는 기준전류(Ierf)는 구간Ⅰ의 영역에서 모터전류(Im)보다 크므로 제1노드(A)의 전압(Va)은 제2노드(B)의 전압(Vb)보다 작으므로 비교부(7)의 출력인 모터정지신호(STOP)는 로우논리값을 갖는다. 모터부(5)는 계속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자동차의 창문이 완전히 열리면, 즉 제2도의 구간Ⅱ의 영역에 진입하여 P점에 도달하면 모터전류(Im) 는 기준전류(Iref)보다 크므로 비교부(7)의 출력 모터정지신호(STOP)는 하이논리값을 갖게되어 제어부(2)의 출력들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와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는 동일한 논리값을 갖는다. 따라서 제1모터구동부(3) 및 제2모터구동제어신호(4)의 출력들인 제1모터신호(M1)와 제2모터신호(M2)들은 동시에 제1공급전압(Vdd) 또는 제2공급전압(Vss)이 되어 모터부(5)는 정지된다.
종래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는 윈도우 스위치, 즉 상향 또는 하향스위치를 한 번만 눌러 온되면 윈도우가 완전히 개폐되기 전까지는 계속적으로 모터를 회전시켜 윈도우는 동작되므로 윈도우가 완전히 닫히기 전에 윈도우 상에 사람의 손이나 목 등의 장애물이 있는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없으므로 사람의 손이나 목 등에 치명적인 손상을 야기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 번의 윈도우 스위치 조작을 의하여 윈도우가 개폐되나 윈도우가 완전히 닫히기 전에 윈도우 상에 사람의 손이나 목 등의 장애물이 있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윈도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모터를 정지 시켜 사람의 손이나 목등에 치명적인 손상을 방지하는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윈도우 상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모터의 회전을 역회전시켜 사람의 손이나 목 등에 치명적인 손상을 방지하는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제1도는 종래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
제2도는 종래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에 있어서 모터전류와 기준전류의 관계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의 제1실시예.
제4도는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의 제2실시예.
제5도는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의 제3실시예.
제6도는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의 제4실시예.
제7도는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의 제5실시예.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는 윈도우 스위칭부, 모터부, 모터부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상기의 회전속도에 따라 펄스폭이 가변되는 제1펄스를 출력하는 제어펄스발생부, 윈도우 상에 부하가 없을 때의 모터부의 회전속도를 정상회전속도라 하면 정상회전속도일때의 펄스폭을 갖는 제1펄스의 펄스폭보다 소정치 큰 펄스폭을 갖는 제1기준펄스를 출력하는 제1기준펄스발생부, 제1기준펄스 및 제1클럭을 수신하여 제1기준펄스의 하이논리값을 갖는 구간 또는 로우논리값을 갖는 구간을 제1클럭에 동기시켜 카운터하는 제1계수부, 제1펄스, 제1클럭 및 제1계수부의 출력을 수신하여 제1펄스가 하이논리값에서 로우논리값으로 또는 로우논리값에서 하이논리값으로 천이될 때 마다 제1펄스를 제1클럭에 동기시켜 제1계수부에서 카운트된 값으로부터 제1클럭에 동기될때마다 1씩 감산하는 제1감산부, 제1감산부의 감산결과가 양수이면 비활성화된 제1비교신호를 출력하고 양수가 아니면 활성화된 제1비교신호를 출력하는 제1비교신호발생부, 상향신호, 하향신호 및 제1비교신호를 수신하여 상향신호가 활성화되고 하양신호 및 제1비교신호가 비활성화 될 때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와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하향신호가 활성화되고 상향신호 및 제1비교신호가 비활성화 될 때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와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제1비교신호가 활성화되면 동일한 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와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제1,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1모터구동제어신호가 하이논리값을 갖고 제2모터구동제어신호가 로우논리값을 가지면 모터부는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모터구동제어신호가 로우논리값을 갖고 제2모터구동제어신호가 하이논리값을 가지면 모터부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 제2모터구동제어신호가 모두 하이논리값 또는 로우논리값을 가지면 모터부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모터구동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는 입력클력, 상향신호, 하향신호 및 제1펄스를 수신하여 상향신호 또는 하향신호가 활성화될 때 제1펄스를 입력클럭에 동기시켜 제1펄스의 수를 카운터하여 현재의 윈도우의 위치를 나타내는 현위치신호를 출력하는 현위치판단부 및 윈도우가 완전히 열려있는 상태에서 윈도우가 완전히 닫힐때까지 모터부의 총회전수를 펄스의 수로 변환하여 총펄스수를 나타내는 총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총펄스수발생부를 더 구비하여 윈도우 상에 장애물을 감지한 경우 모터부를 역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는 위치보상펄스신호, 제1선택신호, 상향신호, 하향신호, 현위치신호 및 총펄스신호를 수신하여 제1선택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향신호가 활성화될 때 현위치신호가 총펄스신호에서 위치보상펄스신호를 감산한 값 이상이거나 제1선택신호가 비활성화되고 하향신호가 활성화될 때 현위치신호가 위치보상펄스신호 이하이면 활성화된 위치보상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위치보상부를 더 구비하여 위치보상제어신호가 활성화될 때 현위치신호를 0 또는 총펄스신호를 갖도록 하여 위치보상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는 윈도우 스위칭부, 모터부, 제어펄스발생부, 제1기준펄스발생부, 제1선택신호, 제1펄스 및 제1기준펄스를 수신하여 제1선택신호가 비활성화될 때 제1펄스의 폭과 제1기준펄스의 폭을 비교하여 제1펄스의 폭이 제1기준펄스의 폭보다 크면 활성화된 제1비교신호를 출력하고, 제1선택신호가 활성화되면 비활성화된 제1비교신호를 출력하는 제1비교부, 입력클럭, 제2선택신호, 상향신호, 하향신호 및 제1펄스를 수신하여 제2선택번호가 활성화되면 리세트되고, 제2선택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향신호 또는 하향신호가 활성화될 때 제1펄스를 입력클럭에 동기시켜 제1펄스의 수를 카운터하여 현재의 윈도우의 위치를 나타내는 현위치신호를 출력하는 현위치판단부, 제1기준펄스의 펄스폭보다 소정치 큰 펄스폭을 갖는 제2기준펄스를 출력하는 제2기준펄스발생부, 제1펄스, 제2기준펄스 및 제1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제1선택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의 제1펄스의 폭과 제2기준펄스의 폭을 비교하여 제1펄스의 폭이 제2기준펄스의 폭보다 크면 활성화된 제2비교신호를 출력하고, 제1선택신호가 비활성화되면 비활성화된 제2비교신호를 출력하는 제2비교부, 제2비교신호 및 현위치신호를 수신하여 제2비교신호가 로우논리값에서 하이논리값으로 천이될 때 현위치신호를 저장하여 총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저장부,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압 인가시 활성화된 제1선택신호를 출력하고, 제2비교신호 및 상향신호가 모두 활성화되면 비활성화된 제1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제1선택부,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압 인가시 활성화된 제2선택신호를 출력하고, 제2비교신호가 활성화되면 비활성화된 제2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제2선택부 및 위치보상펄스신호, 상향신호, 하향신호, 제1비교신호, 현위치신호, 총펄스신호, 제1,제2선택신호 및 제2비교신호를 수신하여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제1, 제2선택신호가 모두 활성화되고 상향신호 또는 하향신호가 활성화되면 모터부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2선택신호 및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제1선택신호 및 상향신호가 활성화되면 모터부의 회전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2비교신호가 활성화되면 모터부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제1, 제2선택신호, 하향신호 및 제1, 제2비교신호가 모두 비활성화되고 상향신호가 활성화되면 모터부의 회전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1, 제2선택신호, 상향신호 및 제1, 제2비교신호가 모두 비활성화되고 하향신호가 활성화되면 모터부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1, 제2선택신호, 하향신호 및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제1비교신호 및 상향신호가 활성화되고 현위치신호가 위치보상펄스신호보다 크고 상기의 총펄스신호에서 상기의 위치보상펄스신호를 감산한 값보다 작은 값을 가지면 모터부의 회전을 역회전시키고, 제1, 제2선택신호, 상향신호 및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제1비교신호 및 하향신호가 활성화되고 현위치신호 위치보상펄스신호보다 크고 총펄스신호에서 위치보상펄스신호를 감산한 값보다 작은 값을 갖거나 제1, 제2선택신호 및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제1비교신호가 활성화되고 현위치신호가 총펄스신호에서 위치보상펄스신호를 감산한 값 이상이거나 위치보상펄스신호 이하이면 모터부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모터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의 제1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는 자동차의 윈도우를 올리고자 할 때 상향스위치를 한 번 누르면 활성화된 상향신호(UP)를 출력하고 자동차의 윈도우를 내리고자 할 때 하향스위치를 한 번 누르면 활성화된 하향신호(DW)를 출력하는 윈도우 스위칭부(10), 상향신호(UP) 또는 하향신호(DW)에 따라 윈도우가 닫혀지는 정방향 또는 윈도우가 열려지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부(60), 모터부(60)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회전속도에 따라 펄스폭이 가변되는 제1펄스(PS)를 출력하는 제어펄스발생부(20), 윈도우 상에 부하가 없을 때의 모터부(60)의 회전속도를 정상회전 속도라 하면 정상회전속도일때의 펄스폭을 갖는 제1펄스(PS)의 펄스폭보다 소정치 큰 펄스폭을 갖는 제1기준펄스(PS1)를 출력하는 제1기준펄스발생부(30), 제1펄스(PS) 및 제1기준펄(PS1)를 수신하여 제1펄스(PS)의 폭과 제1기준펄스(PS1)의 폭을 비교하여 제1펄스(PS)의 폭이 제1기주펄스(PS1)의 폭보다 크면 활성화된 제1비교신호(COMP1)를 출력하는 제1비교부(40) 및 상향신호(UP), 하향신호(DW), 제1비교신호(COMP1)를 수신하여 상향신호(UP)가 활성화되고 하향신호(DW) 및 제1비교신호(COMP1)가 비활성화되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되고 상향신호(UP) 및 제1비교신호(COMP1)가 비활성화되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1비교신호(COMP1)가 활성화되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모터제어부(50)로 구성된다.
제1비교부(40)는 제1기준펄스(PS1) 및 제1클럭(CK)을 수신하여 제1기준펄스(PS1)의 하이논리값을 갖는 구간 또는 로우논리값을 갖는 구간을 제1클럭(CK)에 동기시켜 카운터하는 제1계수부(41), 제1펄스(PS), 제1클럭(CK) 및 제1계수부(41)의 출력을 수신하여 제1펄스(PS)가 하이논리값에서 로우논리값으로 또는 로우논리값에서 하이논리값으로 천이될 때마다 제1펄스(PS)를 제1클럭(CK)에 동기시켜 제1계수부(41)에서 카운트된 값으로부터 제1클럭(CK)에 동기될때마다 1씩 감산하는 제1감산부(42) 및 제1감산부(42)의 감산결과가 양수이면 비활성된 제1비교신호(COMP1)를 출력하고 양수가 아니면 활성화된 제1비교신호(COMP1)를 출력하는 제1비교신호 발생부(43)로 구성된다.
모터제어부(50)는 상향신호(UP), 하향신호(DW) 및 제1비교신호(COMP1)를 수신하여 상향신호(UP)가 활성화되고 하향신호(DW) 및 제1비교신호(COMP1)가 비활성화 될 때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와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를 출력하고,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되고 상향신호(UP) 및 제1비교신호(COMP1)가 비활성화 될때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와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를 출력하고, 제1비교신호(COMP1)가 활성화되면 동일한 논리값을 갖는 제1,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1, C2)를 출력하는 제어부(51) 및 제1,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1, C2)를 수신하여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 하이논리값을 갖고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가 로우논리값을 가지면 모터부(60)는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가 로우논리값을 갖고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가 하이논리값을 가지면 모터부(60)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1, C2)가 모두 하이논리값 또는 로우논리값을 가지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모터구동부(52)로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인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어펄스발생부(20)의 출력인 제1펄스(PS)는 윈도우 상에 부하가 없는 경우에는 제1펄스(PS)의 폭은 제1기준펄스발생부(30)의 펄스폭보다 짧고, 윈도우 상에 사람의 손 또는 목등과 같은 장애물이 있거나 윈도우가 완전히 열리거나 완전히 닫힌 경우, 즉 윈도우 상에 부하가 있는 경우에는 제1기준펄스발생부(30)의 제1기준펄스(PS1)의 폭보다 길어진다.
제1비교부(40)의 제1계수부(41)는 제1기준펄스펄생부(30)의 출력인 제1기준펄스(PS1)를 제1클럭(CK)에 동기시켜 제1기준펄스(PS1)가 하이 또는 로우논리값을 갖는 구간동안 몇 개의 제1클럭(CK)이 동기되는 지를 카운트한다. 제1감산부(42)는 제어펄스발생부(20)의 제1펄스(PS)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1클럭(CK)에 동기시켜 동기될때 마다 제1계수부(41)에서 카운트한 값으로부터 1씩 감산한다. 만약에 윈도우 상에 부하가 없는 경우 제1펄스(PS)의 폭은 제1기준펄스(PS1)의 폭보다 작으므로 제1감산부(42)의 감산결과는 양수가 되고, 윈도우상에 부하가 있는 경우 0또는 음수가 된다. 제1비교신호발생부(43)는 제1감산부(42)의 출력이 양수이면 비활성화된 제1비교신호(COMP1)를 출력하고 양수가 아니면 활성화된 제1비교신호(CPMP1)를 출력한다. 즉 제1비교부(40)는 윈도우 상에 부하의 유무를 판단하여 부하가 있는 경우에만 활성화된 제1비교신호(COMP1)를 출력한다. 모터제어부(50)의 제어부(51)는 제1비교신호(COMP1)가 비활성화되면 윈도우 스위칭부(10)의 출력인 상향신호(UP) 또는 하향신호(DW)에 따라 모터부(6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제1,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들(C1, C2)를 출력한다. 즉 윈도우 스위칭부(10)에서 상향신호(UP)가 활성화되고 하향신호(DW)가 비활성화되면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는 하이논리값을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는 로우논리값을 출력하며, 반대로 상향신호(UP)가 비활성화되고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되면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는 로우논리값을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는 하이논리값을 출력한다. 만약에 윈도우 상에 부하가 있는 경우에는 제1비교신호(COMP1)는 활성화되어 제어부(51)는 모터부(60)의 회전을 정지시키기위해 동일한 논리값을 갖는 제1,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들(C1,C2)을 출력한다.
따라서 제3도의 본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윈도우가 완전히 닫히기 전에 윈도우 상에 사람의 손이나 목 등의 장애물이 있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윈도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모터를 정지시켜 사람의 손이나 목 등에 치명적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의 제2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제3도의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에다 윈도우의 현재의 위치를 알기 위하여 입력클럭(ICK), 상향신호(UP), 하향신호(DW) 및 제1펄스(PS)를 수신하여 상향신호(UP) 또는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될 때 제1펄스(PS)를 입력클럭(ICK)에 동기시켜 제1펄스(PS)의 수를 카운터하여 현재의 윈도우의 위치를 나타내는 현위치신호(CO)를 출력하는 현위치판단부(70) 및 윈도우가 완전히 열려있는 상태에서 상기의 윈도우가 완전히 닫힐때까지 상기의 모터부의 총회전수를 펄스의 수로 변환하여 총펄스수를 나타내는 총펄스신호(TPO)를 출력하는 총펄스수발생부(80)를 더 구비한다. 또한 제3도의 모터제어부(50)와는 달리 상향신호(UP), 하향신호(DW) 및 제1비교신호(COMP1) 뿐만 아니라 현위치신호(CO)와 총펄스신호(TPO)를 수신하여 상향신호(UP)가 활성화되고 하향신호(DW) 및 제1비교신호(COMP1)가 비활성화되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되고 상향신호(UP) 및 제1비교신호(COMP1)가 비활성화되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1비교신호(COMP1)가 활성화되고 현위치신호(CO)가 0보다 크고 총펄스신호(TP0)보다 작은 값을 가지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역회전시키고, 제1비교신호(CPMP1)가 활성화되고 현위치신호(CO)가 총펄스신호(TPO)보다 같거나 큰 값 또는 0이하이면 모터부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모터제어부(50a)로 구성된다.
또한 윈도우가 계속적으로 상향 또는 하향으로 움직이기 위하여 모터부(60)는 전기적신호가 입력되어 회전하고 그 회전에 따라 기계적으로 상하로 움직이는 도어레귤레어터를 작동시켜 윈도우는 상하로 움직이며 이때 전기적신호에 대응되어 기계적신호로 변환될 때 오차가 발생될 수 있고, 윈도가 상하로 이동될 때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밀봉되고 방수 처리된 고무와 접촉되면 그러한 접촉에 의한 마찰에 의하여 윈도우가 완전히 닫히거나 완전히 열릴때 현위판단부(70)에서 카운트된 전체펄스수와 총펄스수발생부(80)의 출력인 총펄스신호(TPO)와 의 차이가 발생되므로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의 모터제어부(50a)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즉 모터제어부(50a)는 위치보상펄스신호(IP), 상향신호(UP), 하향신호(DW), 제1비교신호(COMP1) 현위치신호(CO)및 총펄스신호(TPO)를 수신하여 상향신호(UP)가 활성화되고 하향신호(DW) 및 제1비교신호(COMP1)가 비활성되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되고 상향신호(UP) 및 제1비교신호(COMP1)가 비활성화되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하향신호(DW)가 비활성화되고 제1비교신호(COMP1) 및 상향신호(UP)가 활성화되고 현위치신호(CO)가 위치보상펄스신호(IP)보다 크고 총펄스신호(TPO)에서 위치보상펄스신호(CO)가 감산한 값보다 작은 값을 가지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역회전시키고, 상향신호(UP)가 비활성화되고 제1비교신호(COMP1) 및 하향신호가 활성화되고 현위치신호(CO)가 위치보상펄스신호(IP)보다 크고 총펄스신호(TPO)에서 위치보상펄스신호(IP)를 감산한 값보다 작은 값을 갖거나 제1비교신호(COMP1)가 활성화되고 현위치신호(CO)가 총펄스신호(TPO)에서 위치보상펄스신호(IP)를 감산한 값 이상이거나 위치보상펄스신호(IP) 이하이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의 모터제어부(50a)는 제3도의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의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제어부(51a) 및 모터구동부(52)로 구성된다.
제어부(51a)는 상향신호(UP), 하향신호(DW), 제1비교신호(COMP1), 현위치신호(CO) 및 총펄스신호(TPO)를 수신하여 상향신호(UP)가 활성화되고 하향신호(DW) 및 제1비교신호(COMP1)가 비활성화될 때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와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를 출력하고,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되고 상향신호(UP) 및 제1비교신호(COMP1)가 비활성화 될대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와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를 출력하고, 하향신호(DW)가 비활성화되고 상향신호(UP) 및 제1비교신호(COMP1)가 활성화 현위치신호(CO)가 0보다 크고 총펄스신호(TPO)보다 작은 값을 가지면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와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2구동제어신호(C2)를 출력하고, 상향신호(UP)가 비활성화되고 하향신호(DW) 및 제1비교신호(COMP1)가 활성화되고 현위치신호(CO)가 0보다 크고 총펄스신호(TPO)보다 작은 값을 갖거나 제1비교신호(COMP1)가 활성화되고 현위치신호(CO)가 총펄스(TPO)보다 같거나 큰 값 또는 0이하이면 동일한 논리값을 갖는 제1,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1,C2)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의 제어부(51a)는 위치보상펄스신호(IP), 상향신호(UP), 하향신호(DW), 제1비교신호(COMP1), 현위치신호(CO) 및 총펄스신호(TPO)를 수신하여 상향신호(UP)가 활성화되고 하향신호(DW) 및 제1비교신호(COMP1)가 비활성화될 때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와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를 출력하고,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되고 상향신호(UP) 및 제1비교신호(COMP1)가 비활성화 될 때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와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를 출력하고, 하향신호(DW)가 비활성화되고 상향신호(UP) 및 제1비교신호(COMP1)가 활성화되고 현위치신호(CO)가 위치보상펄스신호(IP)보다 크고 총펄스신호(TPO)에서 위치보상펄스신호(IP)를 감산한 값보다 작은 값을 가지면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와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를 출력하고, 상향신호(UP)가 비활성화되고 하향신호(DW) 및 제1비교신호(CMP1)가 활성화되고 현위치신호(CO)가 위치보상펄스신호(IP)보다 크고 총펄스신호(TPO)에서 위치보상펄스신호(IP)를 감산한 값보다 작은값을 갖거나 제1비교신호(COMP1)가 활성화되고 현위치신호(CO)가 총펄스신호(TPO)에서 위치보상펄스신호(IP)를 감산한 값 이상이거나 위치보상펄스신호(IP) 이하이면 동일한 논리값을 갖는 제1,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1,C2)를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현위치판단부(70)는 상향신호(UP)가 활성화되고 하향신호(DW)가 비활성화되면 제1펄스(PS)를 입력클럭(ICK)에 동기시켜 동기될때마다 기저장된 현위치신호(CO)를 1씩 증가시키는 증가카운터 및 상향신호(UP)가 비활성화되고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되면 제1펄스(PS)를 입력클럭(ICK)에 동기시켜 동기될때마다 기저장된 현위치신호(CO)를 1씩 감소시키는 감소카운터로 구성된다.
제4도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인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3도의 구성과 동일한 윈도우스위칭부(10), 제어펄스발생부(20), 제1기준펄스발생부(30), 제1비교부(40)의 동작은 동일하다.
만약에 윈도우 상에 부하가 없는 경우 제1펴스(PS)의 폭은 제1기준펄스(PS1)의 폭보다 작으므로 제1비교부(40)는 비활성화된 제1비교신호(COMP1)를 출력하고 윈도우 상에 부하가 있는 경우 활성화된 제1비교신호(COMP1)를 출력한다. 현위치판단부(70)는 제1펄스(PS)를 입력클럭(ICK)에 동기시켜 제1펄스의 수를 카운터하여 현재의 윈도우의 위치를 나타내는 현위치신호(CO)를 출력한다. 즉 윈도우가 완전히 열려져 있을때를 0라하면 0에서부터 윈도우가 완전히 닫혀질때까지 제1펄스의 수를 총펄스신호(TPO)라 하면, 현위치신호(CO)는 0에서부터 총펄스신호(TPO) 중 어느 한 값을 가지게 된다. 총펄스발생부(80)는 윈도우가 완전히 열려있는 상태에서 상기의 윈도우가 완전히 닫혀질때까지 모터부(60)의 총회전수를 펄스의 수로 변화하여 총펄스수를 나타내는 총펄스신호(TPO)를 출력한다. 모터제어부(50a)의 제어부(51a)는 윈도우 상에 부하가 없는 경우, 즉 제1비교신호(COMP)가 비활성화되면 윈도우 스위칭부(10)의 출력인 상향신호(UP) 또는 하향신호(DW)에 따라 모터부(60)를 정방향 회전시키기 위하여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와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를 출력하거나 또는 모터부(6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와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를 출력한다. 윈도우 상에 부하가 있는 경우 그 부하가 사람의 손이나 목 등의 장애물인 경우에는 제1비교신호(COMP1)는 활성화되고, 윈도우가 완전히 닫혀지거나 열려저 있는 경우가 아니므로 현위치신호(CO)는 0보다 크고 총펄스신호(TPO)보다 작은 값을 갖는다. 따라서 제어부(51a)는 모터부(60)가 회전하고 있던 방향과 반대의 회전을 주기 위하여, 만약 상향신호(UP)가 활성화되고 하향신호(DW)가 비활성화되어 있으면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와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를 출력한다. 또한 제1비교신호(COMP1)는 활성화되고, 윈도우가 완전히 닫혀지거나 열려저 있는 경우, 즉 현위치신호(CO)는 0 이하거나 총펄스신호(TPO)와 같거나 큰 값을 가지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정지시켜야 하므로 동일한 논리값을 갖는 제1, 제2모터구동제어 신호들(C1,C2)를 출력한다.
상기에서 윈도우 상에 부하가 있는 경우 그 부하가 사람의 손이나 목 등의 장애물일 때 그 장애물이 손상되는 경우는 상향신호(UP)가 활성되어 윈도우가 상방으로 움직이는 경우로서 이때에 단지 모터부(6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모터제어부(50a)가 모터부(60)에 주면 모터부(60)는 관성에 의하여 어느정도 상방으로 움직이게 되어 장애물에 손상이 생길 수도 있으므로 장애물에 어떠한 손상도 발생되지 않도록 모터부(60)의 회전을 역회전시킨다.
또한 위치보상을 위하여 모터제어부(50)에 위치보상펄스신호(IP)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의 모터제어부(50a)의 동작 설명중 0의 값은 위치보상펄스신호(IP)가 되고 총펄스신호(TPO)는 총펄스신호(TPO)에서 위치보상펄스신호(IP)를 감산한 값으로 치환하면 된다. 즉 윈도우 상에 장애물이 있어서 제1비교신호(COMP1)가 활성화되고 하향신호(DW)가 비활성화되고 상향신호(UP)가 활성화되고, 현위치신호(CO)가 위치 보상펄스신호(IP)보다 크고 총펄스신호(TPO)에서 위치보상펄스신호(CO)를 감산한 값보다 작은 값을 가지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역회전시키고, 상향신호(UP)가 비활성화되고 제1비교신호(COMP1) 및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되고 현위치신호(CO)가 위치보상펄스신호(IP)보다 크로 총펄스신호(TPO)에서 위치보상펄스신호(IP)를 감산한 값보다 작은 값을 갖거나 제1비교신호(COMP1)가 활성화되고 현위치신호(CO)가 총펄스신호(TPO)에서 위치보상펄스신호(IP)를 감산한 값 이상이거나 위치보상펄스신호(IP)이하이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제4도의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윈도우가 완전히 닫히기 전에 윈도우 상에 사람의 손이나 목 등의 장애물이 있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윈도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모터의 회전을 역회전시키므로써, 모터를 정지시키기 위하여 정지신호를 주더라도 관성에 의하여 모터는 윈도우가 상향으로 움직이도록 회전하므로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윈도우를 하향으로 움직이도록 모터의 회전을 역회전시켜 사람의 손이나 목 등에 치명적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의 제3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제4도의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에다 위치보상을 위한 위치보상부(140)를 더 구비하므로서, 윈도우가 완전히 닫혀질 때 또는 윈도우가 완전히 열릴 때 현위치판단부(70)의 출력인 현위치신호(CO)는 0 또는 총펄스신호(TPO)의 값을 갖지 못한 경우 강제적으로 현위치신호(CO)는 0 또는 총펄스신호(TPO)의 값을 갖도록 할수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의 제3실시예의 구성은 제4도와 동일한 구성를 갖는 윈도우 스위칭부(10), 제어펄스발생부(20), 제1기준펄스발생수(30), 제1비교부(40) 및 총펄스발생부(80)를 구비하여, 제4도의 본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의 제2실시예의 구성과는 다른 현위치판단부(70a), 모터제어부(50b) 및 위치보상부(140)로 구성된다.
현위치판단부(70a)는 입력클럭(ICK), 위치보상제어신호(CPC), 총펄스신호(TPO), 상향신호(UP), 하향신호(DW) 및 제1펄스(PS)를 수신하여 위치보상제어신호(CPC)가 비활성화되고 상향신호(UP) 또는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될 때 제1펄스(PS)를 입력클럭(ICK)에 동기시켜 제1펄스(PS)의 수를 카운터하여 현재의 윈도우의 위치를 나타내는 현위치신호(CO)를 출력하고, 상향신호(UP) 및 위치보상제어신호(CPC)가 활성화되면 현위치신호(CO)는 총펄스신호(TPO)와 동일한 값을 갖고, 하향신호(DW) 및 위치보상제어신호(CPC)가 활성화되면 현위치신호(CO)는 0로 리세트된다.
상기의 현위치판단부(70a)는 상향신호(UP)가 활성화되고 하향신호(DW) 및 위치보상제어신호(CPC)가 비활성화되면 제1펄스(PS)를 입력클럭(ICK)에 동기시켜 동기될때마다 기저장된 현위치신호(CO)를 1씩 증가시키고, 상향신호(UP) 및 위치보상제어신호(CPC)가 활성화되고 하향신호(DW)가 비활성화되면 현위치신호(CO)는 총펄스신호(TPO)와 동일한 값을 갖는 증가카운터와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되고 상향신호(UP) 및 위치보상제어신호(CPC)가 비활성화되면 제1펄스(PS)를 입력클럭(ICK)에 동기시켜 동기될때마다 기정장된 현위치신호(CO)를 1씩 감소시키고, 하향신호(DW) 및 위치보상제어신호(CPC)가 활성화되고 상향신호(UP)가 비활성화되면 현위치신호(CO)는 0로 리세트되는 감소 카운터로 구성된다.
위치보상부는(140)는 위치보상펄스신호(IP), 상향신호(UP), 하향신호(DW), 현위치신호(CO) 및 총펄스신호(TPO)를 수신하여 상향신호(UP)가 활성화될 때 현위치신호(CO)가 총펄스신호(TPO)에서 위치보상펄스신호(IP)를 감산한 값 이상이거나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될 때 현위치신호(CO)가 위치보상펄스신호(IP) 이하이면 활성화된 위치보상제어신호(CPC)를 출력한다. 모터제어부(50a)는 위치보상제어신호(CPC), 상향신호(UP), 하향신호(DW) 및 제1비교신호(COMP1)를 수신하여 상향신호(UP)가 활성화되고 위치보상제어신호(CPC), 하향신호(UP) 및 제1비교신호(COMP1)가 비활성화되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되고 위치보상제어신호(CPC), 상향신호(UP) 및 제1비교신호(COMP1)가 비활성화되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1비교신호(COMP1)가 활성화되고 위치보상제어신호(CPC)가 비활성화되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역회전시키고, 위치보상제어신호(CPC)가 활성화되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또한 상기의 모터제어부(50b)는 제어부(51b)와 모터구동부(52)로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51b)는 위치보상제어신호(CPC), 상향신호(UP), 하향신호(DW) 및 제1비교신호(COMP1)를 수신하여 상향신호(UP)가 활성화되고 위치보상제어신호(CPC), 하향신호(DW) 및 제1비교신호(COMP1)가 비활성화되면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와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를 출력하고,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되고 위치보상제어신호(CPC), 상향신호(IP) 및 제1비교신호(COMP1)가 비활성화되면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와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를 출력하고, 제1비교신호(COMP1) 및 상향신호(UP)가 활성화되고 하향신호(DW) 및 위치보상제어신호(CPC)가 비활성화되면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와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를 출력하고, 제1비교신호(COMP1) 및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되고 상향신호(UP) 및 위치보상 제어신호(CPC)가 비활성화되거나 위치보상제어신호(CPC)가 활성화되면 동일한 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와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를 출력한다. 모터구동부(52)는 제1,2모터구동제어신호(C1, C2)를 수신하여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가 하이논리값을 갖고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가 로우논리값을 가지면 모터부(60)는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가 로우논리값을 갖고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가 하이논리값을 가지면 모터부(60)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1,C2)가 모두 하이논리값 또는 로우논리값을 가지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상기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의 제3실시예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윈도우 상에 사람의 손 또는 목 등의 장애물이 있는 경우 제4도의 본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의 제2실시예의 동작과 동일하게 제1비교신호(COMP1)는 활성화되어 모터제어부(50b)는 모터부(60)의 회전방향을 반대로 역회전시킨다. 윈도우 상에 상기의 장애물이 아니고 윈도우가 완전히 닫혀지거나 완전히 열려져서 제1비교신호(COMP1)가 활성화된 경우, 즉 상향신호(UP)가 활성화되고 현위치판단부(70a)의 출력인 현위치신호(CO)가 총펄스수발생부(80)의 출력인 총펄스신호(TPO)에서 위치보상펄스신호(IP)를 감산한 값 이상이거나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되고 현위치신호(CO)가 위치보상펄스신호(IP) 이하이면 위치보상부(140)는 활성화된 위치보상제어신호(CPC)를 출력한다. 위치보상제어신호가(CPC)가 활성화되면 모터제어부(50b)는 모터부(6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때 이상적으로는 상향신호(UP)가 활성화될 때 현위치판단부(70a)의 출력인 현위치신호(CO)는 총펄스신호(TPO)의 값을 갖거나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될 때 현위치신호(CO)는 0의 값을 가져야 하나 윈도우를 상·하로 움직이기 위하여 전기적신호에 대응되어 기계적신호로 변환되는데 이때 오차가 발생될 수 있고, 윈도우가 고무와 접촉될 때 발생되는 마찰에 의하여 현위치신호(CO)는 다른 값을 가지므로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위치보상제어신호(CPC)가 활성화되고 상향신호(UP)가 활성화될 때 현위치판단부(70a)의 출력인 현위치신호(CO)는 총펄스신호(TOP)의 값을 갖도록 하고, 위치보상제어신호(CPC)가 활성화되고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될 때 현위치신호(CO)는 0의 값을 갖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의 제5도의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윈도우가 완전히 닫히기 전에 윈도우 상에 사람의 손이나 목 등의 장애물이 있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윈도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모터의 회전을 역회전시키고 또한 위치보상을 위하여 윈도우가 완전히 닫히거나 완전히 열려졌을 때 현위치신호를 보정하므로서, 사람의 손이나 목 등에 치명적인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현위치 신호는 항상 올바른 값을 가진다
제6도은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의 제4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제4도의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총펄스수 발생을 위하여 제2기준펄스발생수(90), 제2비교부(100), 저장부(110), 및 제1, 2선택부(120, 130)를 더 구비하며, 제1비교부(40a), 현위피판단부(70b) 및 모터제어부(50c)들은 제4도의 구성과 상이하다.
즉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의 제4실시예의 구성은 윈도우 스위칭부(10), 모터부(60), 모터부(60)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회전속도에 따라 펄스폭이 가변되는 제1펄스(PS)를 출력하는 제어펄스발생수(20), 윈도우 상에 부하가 없을 때의 모터부(60)의 회전속도를 정상회전속도라 하면 정상회전속도일때의 펄스폭을 갖는 제1펄스(PS)의 펄스폭보다 소정치 큰 펄스폭을 갖는 제1기준펄스(PS1)를 출력하는 제1기준펄스발생부(30), 제1선택신호.(S1), 제1펄스(PS) 및 제1기준펄스(PS1)를 수신하여 제1선택신호(S1)가 비활성화될 때 제1펄스(PS)의 폭과 제1기준펄스(PS1)의 폭을 비교하여 제1펄스(PS)의 폭이 제1기준펄스(PS1)의 폭보다 크면 활성화된 제1비교신호(COMP1)를 출력하고, 제1선택신호(S1)가 활성화되면 비활성화된 제1비교신호(COMP1)를 출력하는 제1비교부(40a), 입력클럭(ICK), 제2선택신호(S2), 상향신호(UP), 하향신호(DW) 및 제1펄스(PS)를 수신하여 제2선택신호(S2)가 활성화되면 리세트되고, 제2선택신호(S2)가 비활성화되고 상향신호(UP) 또는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될 때 제1펄스(PS)를 입력클럭(ICK)에 동기시켜 제1펄스(PS)의 수를 카운터하여 현재의 윈도우의 위치를 나타내는 현위치신호(CO)를 출력하는 현위치판단부(70b), 제1기준펄스(PS1)의 펄스폭보다 소정치 큰 펄스폭을 갖는 제2기준펄스(PS2)를 출력하는 제2기준펄스발생부(90), 제1펄스(PS), 제2기준펄스(PS2) 및 제1선택신호(S1)를 수신하여 제1선택신호(S1)가 활성화될 때 제1펄스 (PS)의 폭과 제2기준펄스(PS2)의 폭을 비교하여 제1펄스(PS)의 폭이 제2기준펄스(PS2)의 폭보다 크면 활성화된 제2비교신호(COMP2)를 출력하고, 제1선택신호(S1)가 비활성화되면 비활성화된 제2비교신호(COMP2)를 출력하는 제2비교부(100), 제2비교신호(COMP2) 및 현위치신호(CO)를 수신하여 제2비교신호(COMP2)가 로우논리값에서 하이논리값으로 천이될 때 현위치신호(CO)를 저장하여 총펄스신호(TPO)를 출력하는 저장부(110),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압(PW) 인가시 활성화된 제1선택신호(S1)를 출력하고, 제2비교신호(COMP2) 및 상향신호(UP)가 모두 활성화되면 비활성화된 제1선택신호(S1)를 출력하는 제1선택부(120),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압(PW) 인가시 활성화된 제2선택신호(S2)를 출력하고, 제2비교신호(COMP2)가 활성화되면 비활성화된 제2선택신호(S2)를 출력하는 제2선택부(130) 및 상향신호(UP), 하향신호(DW), 제1제2비교신호(COMP1, COMP2), 현위치신호(CO), 총펄스신호(TPO), 제1선택신호(S1) 및 제2선택신호(S2)를 수신하여 제2비교신호(COMP2)가 비활성화되고 제1, 제2선택신호(S1, S2)가 모두 활성화되고 상향신호(UP) 또는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되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2선택신호(S2) 및 제2비교신호(COMP2)가 비활성화되고 제1선택신호(S1) 및 상향신호(UP)가 활성화되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2비교신호(COMP2)가 활성화되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제1, 제2선택신호(S1,S2), 상향신호(UP) 및 제1,제2비교신호(COMP1,COMP2)가 모두 비활성화되고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되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1, 제2선택신호(S1, S2), 상향신호(UP) 및 제1, 제2비교신호(COMP1, COMP2)가 모두 비활성화되고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되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1, 제2선택신호(S1, S2), 하향신호(DW) 및 제2비교신호(COMP2)가 비활성화되고 제1비교신호(S1) 및 상향신호(UP)가 활성화되고 현위치신호(CO)가 0보다 크고 총펄스신호(TPO)보다 작은 값을 가지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역회전시키고, 제1, 제2선택신호(S1, S2), 상향신호(UP) 및 제2비교신호(COMP2)가 비활성화되고 제1비교신호(S1) 및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되고 현위치신호(CO)가 0보다 크고 총펄스신호(TPO)보다 작은 값을 갖거나 제1, 제2선택신호(SA1, S2) 및 제2비교신호(COMP2)가 비활성화되고 제1비교신호(COMP1)는 활성화되고 현위치신호(CO) 총펄스신호(TPO)보다 같거나 큰 값 또는 0이하이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모터제어부(50c)로 구성된다.
제1비교부(40a)는 제1기준펄스(PS1) 및 제1클릭(CK)을 수신하여 제1기준펄스(PS1)위 하이논리값을 갖는 구간 또는 로우논리값을 갖는 구간을 제1클럭(CK)에 등기시켜 카운터하는 제1계수부(41), 제1펄스(PS), 제1클럭(CK), 제1선택신호(S1) 및 제1계수부(41)의 출력을 수신하여 제1선택번호(S1)가 비활성화될 때 제1펄스(PS)가 하이논리값에서 로우논리값으로 또는 로우논리값에서 하이논리값으로 천이될 때마다 제1펄스(PS)를 제1클럭(CK)에 동기시켜 제1계수부(41)에서 카운트된 값으로부터 제1클럭(CK)에 동기될때마다 1씩 감산하고, 제1선택신호(S1)가 활성화되면 감산을 정지하는 제1감산부(42a) 및 제1감산부(42a)의 감산결과 양수이면 비활성화된 제1비교신호(COMP1)를 출력하고 양수가 아니면 활성화된 제1비교신호(COMP1)를 출력하는 제1비교신호발생부(43)로 구성된다. 제2비교부(100)는 제2기준펄스(PS2) 및 제1클릭(CK)을 수신하여 제2기준펄스(PS2)의 하이논리값을 갖는 구간 또는 로우논리값을 갖는 구간을 제1클릭(CK)에 동기시켜 카운터하는 제2계수부(101), 제1펄스(PS), 제1클럭(CK), 제1선택신호(S1) 및 제2계수부(101)의 출력을수신하여 제1선택신호(S1)가 활성화될 때 제1펄스(PS)가 하이논리값에서 로우논리값으로 또는 로우논리값에서 하이논리값으로 천이될 때마다 제1펄스(PS)를 제1클럭(CK)에 동기시켜 제2계수부(101)에서 카운트된 값으로부터 제1클럭(CK)에 동기될때마다 1씩 감산하고, 제1선택번호(S1)가 비활성화되면 감산을 정지하는 제2감산부(102) 및 제2감산부(102)의 감산결과가 양수이면 비활성화된 제2비교신호(COMP2)를 출력하고 양수가 아니면 활성화된 제2비교신호(COMP2)를 출력하는 제2비교신호발생부(103)로 구성된다.
모터제어부(50c)는 상향신호(UP), 하향신호(DW), 제1,제2비교신호(COMP1, COMP2), 현위치신호(CO), 총펄스신호(TPO), 및 제1, 제2선택신호(S1, S2)를 수신하여 제2비교신호(COMP2)가 비활성화되고 제1, 제2선택신호(S1, S2)가 모두 활성화되고 상향신호(UP) 또는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되면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와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0를 출력하고, 제2선택신호(S2) 및 제2비교신호(COMP2)가 비활성화되고 제1선택신호(S1) 및 상향신호(UP)가 활성화되면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와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를 출력하고, 상기의 제2비교신호(COMP2)가 활성화되면 동일한 논리값을 갖는 제1,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1, C2)를 출력하고, 제1, 제2선택신호(S1, S2), 하향신호(DW) 및 제1, 제2비교신호(COMP1, COMP2)가 모두 비활성화되고 상향신호(UP)가 활성화되면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와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를 출력하고, 제1,제2선택신호(S1, S2), 상향신호(UP) 및 제1, 제2비교신호(COMP1, COMP2)가 모두 비활성화되고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되면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와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를 출력하고, 제1, 제2선택신호(S1, S2), 하향신호(DW) 및 제2비교신호(COMP2)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비교신호(COMP1) 및 상향신호(UP)가 활성화되고 현위치신호(CO)가 0보다 크고 상기의 총펄스신호보다 작은 값을 가지면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와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를 출력하고, 제1, 제2선택신호(S1, S2), 상향신호(UP) 및 제2비교신호(COMP2)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비교신호(COMP1) 및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되고 현위치신호(CO)가 0보다 크고 상기의 총펄스신호보다 작은 값을 갖거나 제1, 제2선택신호(S1, S2) 및 제2비교신호(COMP2)가 비활성화되고 제1비교신호(COMP1)는 활성화되고 현위치신호(CO)가 총펄스신호(TPO)보다 같거나 큰 값 또는 0미만이면 동일한 논리값을 갖는 제1,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1, C2)를 출력하는 제어부(51c) 및 제1,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1, C2)를 수신하여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가 하이논리값을 갖고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가 로우논리값을 가지면 모터부(60)는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가 로우논리값을 갖고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가 하이논리값을 가지면 모터부(60)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1, C2)가 모두 하이논리값 또는 로우논리값을 가지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모터구동부(52)로 구성된다.
또한 모터제어부(50c)는 위치보상을 위하여 위치보상펄스신호(IP), 상향신호(UP), 하향신호(DW), 제1비교신호(COMP1), 현위치신호(CO), 총펄스신호(TPO), 제1, 제2선택신호(S1, S2) 및 제2비교신호(COMP2)를 수신하여 제2비교신호(COMP2)가 비활성화되고 제1, 제2선택신호(S1, S2)가 모두 활성화되고 상향신호(UP) 또는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되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2선택신호(S2) 및 제2비교신호(COMP2)가 비활성되고 제1선택신호(S1) 및 상향신호(UP)가 활성화되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2비교신호(COMP2)가 활성화되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제1, 제2선택신호(S1, S2), 하향신호(DW) 및 제1, 제2비교신호(COMP1 , COMP2)가 모두 비활성화되고 상향신호(UP)가 활성화되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1, 제2선택신호(S1, S2), 상향신호(UP) 및 제1, 제2비교신호(COMP1, COMP2)가 모두 비활성화되고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되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1, 제2선택신호(S1, S2), 하향신호(DW) 및 제2비교신호(COMP2)가 비활성화되고 제1비교신호 (COMP1) 및 상향신호(UP)가 활성화되고 현위치신호(CO)가 위치보상펄스신호(IP)보다 크고 총펄스신호(TPO)에서 위치보상펄스신호(IP)를 감산한 값보다 작은 값을 가지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역회전시키고, 제1, 제2선택신호(S1, S2), 상향신호(UP) 및 제2비교신호(COMP2)가 비활성화되고 제1비교신호(COMP1) 및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되고 현위치신호(CO)가 위치보상펄스신호(IP)보다 크고 총펄스신호(TPO)에서 위치보상펄스신호(IP)를 감산한 값보다 작은 값을 갖거나 제1, 제2선택신호(S1, S2) 및 제2비교신호(COMP2)가 비활성화되고 제1비교신호(COMP1)가 활성화되고 현위치신호(CO)가 총펄스신호(TPO)에서 위치보상펄스신호(IP)를 감산한 값 이상이거나 위치보상펄스신호(IP) 이하이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상기의 모터제어부(50c)는 마찬가지로 제어부(51c)와 모터구동부(52)로 구성된다.
현위치판단부(70b)는 제2선택신호(S2)가 활성화되면 리세트되고, 제2선택신호(S2) 및 하향신호(UP)가 비활성화되고 상향신호(UP)가 활성화되면 제1펄스(PS)를 입력클럭(ICK)에 동기시켜 동기될때마다 기저장된 현위치신호(CO)를 1씩 증가시키는 증가카운터 및 제2선택신호(S2)가 활성화되면 리세트되고, 제2선택신호(S2) 및 상향신호(UP)가 비활성화되고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되면 제1펄스(PS)를 입력클럭(ICK)에 동기시켜 동기될때마다 기저장된 현위치신호(CO)를 1씩 감소시키는 감소카운터로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의 제4실시예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의 제4실시예의 동작은 제4도의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의 제2실시예의 동작과 동일하나 총펄스신호를 발생 시키기 위하여 제2기준펄스발생부(90)와 제2비교부(100)를 구비하며,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압 인가시 활성화되는 제1, 제2선택신호(S1, S2)를 출력하는 제1, 제2선택부(120, 130)를 더 구비한다.
전압(PW) 인가시 제1, 제2선택신호(S1, S2)는 모두 활성화되어 제1비교부(40a)는 동작을 하지않으므로 제1비교부(40a)의 출력인 제1비교신호(COMP1)는 비활성화되고 제2비교부(100)는 동작을 개시하여 윈도우 스위칭부(10)의 출력인 상향신호(UP) 또는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되면 모터제어부(50c)는 모터부(60)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윈도우는 하방으로 내려간다. 제어펄스발생부(20)는 모터부(60)의 회전속도에 따라 제1펄스(PS)를 출력한다. 현위치판단부(70b)는 제2선택신호(S2)가 활성화되면 리세트되므로 현위치신호(CO)는 0의 값을 갖는다. 제2비교부(100)는 제2기준펄스발생부(90)에서 출력되는 제2기준펄스(PS2)와 제1펄스(PS)의 각각의 펄스폭을 비교한다. 따라서 윈도우가 완전히 열리면 제1펄스(PS)의 폭은 길어지므로 제2비교부(100)는 활성화된 제2비교신호(COMP2)를 출력한다. 활성화된 제2비교신호(COMP2)에 의하여 모터부(60)는 회전을 정지시켜 윈도우는 완전히 열린 상태고 있고, 제2선택신호(S2)는 비활성화되며 제1선택신호(S1)는 계속 활성화상태에 있다. 윈도우 스위칭부(10)에서 활성화된 상향신호(UP)를 출력하면 제2비교신호(COMP2)는 비활성화되고 모터부(60)는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윈도우는 상방으로 움직이고 현위치판단부(70b)는 입력클럭(ICK)에 동기되어 모터부(60)의 회전에 따른 펄스수를 카운터하여 현위치신호(CO)를 출력한다. 제2비교부(100)는 비활성화된 제2비교신호(COMP2)를 계속 출력하다가 윈도우가 완전히 닫히게 되면 활성화된 제2비교신호(COMP2)를 출력한다. 저장부(110)는 제2비교신호(COMP2)가 비활성화에서 활성화될 때 동기되어 현위치신호(CO)를 저장하여 이를 총펄스신호(TPO)로 출력한다. 즉 총펄스신호(TPO)는 윈도우가 완전히 열릴때를 0라하면 윈도우가 완전히 닫힐때까지 모터부(60)의 총회전수를 펄스수로 변환시킨 값을 갖는다. 제2선택신호(S2)는 상향신호(UP) 및 제2비교신호(COMP2)가 모두 활성화되면 리세트되어 비활성화되므로 제2비교부(100)는 동작을 하지않고 제1비교부(40a)는 동작을 개시하며, 이의 동작은 제4도의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의 제2실시예의 동작과 동일하다.
제7도는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의 제5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제6도의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의 제4실시예에다 제5도의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의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위치보상부(140a)를 더구비하였다.
즉 제7도의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의 제5실시예의 구성은 제6도와 동일한 윈도우 스위칭부(10), 제어펄스발생부(20), 제1기준펄스발생부(30), 제1비교부(40a), 모터부(60), 제2기분펄스발생부(90), 제2비교부(100), 저장부(110), 제1, 제2선택부(120, 130)들과 제6도와 상이한 현위치판단부(70c), 위치보상부(140a) 및 모터제어부(50d)로 구성된다.
현위치판단부(70c)는 입력클럭(ICK), 위치보상제어신호(CPC), 제2선택신호(S2), 총펄스신호(TPO), 상향신호(UP), 하향신호(DW), 및 제1펄스(PS)를 수신하여 제2선택신호(S2)가 활성화되면 리세트되고, 제2선택신호(S2) 및 위치보상제어신호(CPC)가 비활성화되고 상향신호(UP),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될 때 제1펄스(PS)를 입력클럭(ICK)에 동기시켜 제1펄스(PS)의 수를 카운터하여 현재의 윈도우의 위치를 나타내는 현위치신호(CO)를 출력하고, 제2선택신호(S2) 및 하향신호(DW)가 비활성화되고 하향신호(UP) 및 위치보상제어신호(CPC)가 활성화되면 현위치신호(CO)는 총펄스신호(TPO)와 동일한 값을 갖고, 제2선택신호(S2) 및 상향신호(UP)가 비활성화되고 하향신호(DW) 및 위치보상제어신호(CPC)가 활성화되면 현위치신호(CO)는 0로 리세트된다. 또한 상기의 현위치판단부(70c)는 제2선택신호(S2)가 활성화되면 리세트되고, 제2선택신호(S2), 위치보상제어신호(CPC) 및 하향신호(DW)가 비활성화되고 상향신호(UP)가 활성화되면 제1펄스(PS)를 입력클럭(ICK)에 동기시켜 동기될때마다 기저장된 현위치신호(CO)를 1씩 증가시키고, 제2선택신호(S2) 및 하향신호(DW)가 비활성화되고 상향신호(UP) 및 위치보상제어신호(CPC)가 활성화되면 현위치신호(CO)는 총펄스신호(TPO)와 동일한 값을 갖는 증가카운터와 제2선택신호(S2)가 활성화되거나 제2선택신호(S2), 상향신호(UP)가 비활성화되고 하향신호(DW) 및 위치보상제어신호(CPC)가 활성화되면 현위치신호(CO)는 리세트되고, 제2선택신호(S2), 위치보상제어신호(CPC) 및 상향신호(UP)가 비활성화되고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되면 제1펄스(PS)를 입력클럭(ICK)에 동기시켜 동기될때마다 기저장된 현위치신호(CO)를 1씩 감소시키는 감소카운터로 구성할 수 있다.
위치보상부(140a)는 위치보상펄스신호(IP), 제1선택신호(S1), 상향신호(UP), 하향신호(DW), 현위치신호(CO) 및 총펄스신호(TPO)를 수신하여 제1선택신호(S1)가 비활성화되고 상향신호(UP)가 활성화될 때 현위치신호(CO)가 총펄스신호(TPO)에서 위치보상펄스신호(IP)를 감산한 값 이상이거나 제1선택신호(S1)가 비활성화되고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될 때 현위치신호(CO)가 위치보상펄스신호(IP) 이하이면 활성화된 위치보상제어신호(CPC)를 출력한다.
모터제어부(50d), 위치보상제어신호(CPC), 상향신호(UP), 하향신호(DW), 제1, 제2비교신호(COMP1, COMP2), 제1선택신호(S1) 및 제2선택신호(S2)를 수신하여 제2비교신호(COMP2)가 비활성화되고 제1, 제2선택신호(S1, S2)가 모두 활성화되고 상향신호(UP) 또는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되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2선택신호(S2) 및 제2비교신호(COMP2)가 비활성화되고 제1선택신호(S1) 및 상향신호(UP)가 활성화되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2비교신호(COMP2)가 활성화되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제1, 제2선택신호(S1, S2), 위치보상제어신호(CPC), 제1, 제2비교신호(COMP1, COMP2) 및 하향신호(DW)가 모두 비활성화되고 상향신호(UP)가 활성화되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1, 제2선택번호(S1, S2), 위치보상제어신호(CPC), 제1, 제2비교신호(COMP1, COMP2) 및 상향신호(UP)가 모두 비활성되고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되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1, 제2선택신호(S1, S2), 제2비교신호(COMP2) 및 위치보상제어신호(CPC)가 비활성화되고 제1비교신호(COMP1)가 활성화되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역회전시키고, 제1, 제2선택신호(S1, S2) 및 제2비교신호(COMP2)가 비활성화되고 위치보상제어신호(CPC)가 활성화되면 모터부(6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또한 상기의 모터제어부(50d)는 제어부(51d)와 모터구동부(52)로 구성된다. 상기의 제어부(51d)는 위치보상제어신호(CPC), 상향신호(UP), 하향신호(DW), 제1, 제2비교신호(COMP1, COMP2), 제1선택신호(S1) 및 제2선택신호(S2)를 수신하여 제2비교신호(COMP2)가 비활성화되고 제1, 제2선택신호(S1, S2)가 모두 활성화디고 상향신호(UP) 또는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되면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와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를 출력하고, 제2선택신호(S2) 및 제2비교신호(COMP2)가 비활성화되고 제1선택신호(S1) 및 상향신호(UP)가 활성화되면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와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를 출력하고, 제2비교신호(COP2)가 활성화되면 동일한 논리값을 갖는 제1, 제2구동제어신호(C1, C2)를 출력하고, 제1, 제2선택신호(S1, S2), 위치보상제어신호(CPC), 하향신호(UP) 및 제1, 제2선택신호(COMP1, COMP2)가 모두 비활성화되고 상향신호(UP)가 활성화되면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와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를출력하고, 제1, 제2선택신호(S1, S2), 위치보상제어신호(CPC), 상향신호(UP) 및 제1, 제2비교신호(COMP1, COMP2)가 모두 비활성화되고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되면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와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를 출력하고, 제1, 제2선택신호(S1, S2), 위치보상제어신호(CPC), 제2비교신호(COMP2) 및 하향신호(DW)가 비활성화되고 제1비교신호(COMP1) 및 상향신호(UP)가 활성화되면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C1)와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2)를 출력하고, 제1, 제2선택신호(S1, S2), 위치보상제어신호(CPC), 제2비교신호(COMP2) 및 상향신호(UP)가 비활성화되고 제1비교신호(COMP2) 및 하향신호(DW)가 활성화되거나 제1, 제2선택신호(S1, S2) 및 제2비교신호(COMP1)가 비활성화되고 위치보상제어신호(CPC)가 활성화되면 동일한 논리값을 갖는 제1, 제2모터구동제어신호(C1, C2)를 출력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의 제5실시예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의 제5실시예의 동작은 제6도의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의 제4실시예의 동작과 동일하나 다만, 윈도우가 완전히 닫혀질 때 또는 윈도우가 완전히 열릴 때 현위치판단부(70c)의 출력인 현위치신호(CO)가 0 또는 총펄스신호(TPO)의 값을 갖기 위하여 위치보상부(140a)를 구비하여 위치보상부(140a)의 출력인 위치보상제어신호(CPC)가 활성화될 때 현위치신호(CO)를 상향신호가 활성화되면 총펄스신호(TPO)를 , 하향신호가 활성화되면 0의 값을 갖도록 하였다.
제6도 및 제7도에서 제2기준펄스발생부(90)의 제2기준펄스(PS2)의 폭을 제1기준펄스발생부(30)의 제1기준펄스(PS1)의 폭보다 크게하는 이유는 윈도우 상에 이물질 등에 의하여 제1펄스(PS)의 폭이 커질 수 있으며 총펄스신호(TPO)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상기의 이물질 등에 의하여 모터부(60)가 정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한 번의 윈도우 스위치 조작에 의하여 윈도우가 개폐되나 윈도우가 완전히 닫히기 전에 윈도우 상에 사람의 손이나 목 등의 장애물이 있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윈도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모터를 정지시킬 수 있고, 윈도우의 현재의 위치를 파악하여 윈도우 상에 사람의 손이나 목 등의 장애물이 있는 경우 모터를 정지시키더라도 관성에 의하여 모터는 회전하므로 회전방향과 반대로 회전시켜 사람의 손이나 목 등에 치명적인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윈도우 스위치의 계속적인 조작시 윈도우의 현재의 위치가 틀려질 수 있으므로 윈도우가 완전히 닫히거나 완전히 열려졌을 때 현위치신호를 보정하므로서 현위치신호는 항상 올바른 값을 가질 수 있다.

Claims (29)

  1. 자동차의 윈도우를 올리고자 할 때 상향스위치를 한 번 누르면 활성화된 상향신호를 출력하고 자동차의 윈도우를 내리고자 할 때 하향스위치를 한 번 누르면 활성화된 하향신호를 출력하는 윈도우 스위칭부, 상기의 상향신호 또는 하향신호에 따라 윈도우가 닫혀지는 정방향 또는 윈도우가 열려지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부를 구비하여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자동차의 윈도우를 닫거나 열 수 있는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상기의 회전속도에 따라 펄스폭이 가변되는 제1펄스를 출력하는 제어펄스발생수단; 상기의 윈도우 상에 부하가 없을 때의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속도를 정상회전 속도라 하면 상기의 정상회전속도일때의 펄스폭을 갖는 상기의 제1펄스의 펄스폭보다 소정치 큰 펄스폭을 갖는 제1기준펄스를 출력하는 제1기준펄스발생수단; 상기의 제1기준펄스 및 제1클럭을 수신하여 상기의 제1기준펄스의 하이논리 값을 갖는 구간 또는 로우논리값을 갖는 구간을 상기의 제1클럭에 동기시켜 카운터하는 제1계수수단; 상기의 제1펄스, 제1클럭 및 상기의 제1계수수단의 출력을 수신하여 상기의 제1펄스가 하이논리값에서 로우논리값으로 또는 로우논리값에서 하이논리값으로 천이될 때마다 상기의 제1펄스를 상기의 제1클럭에 동기시켜 상기의 제1계수수단에서 카운트된 값으로부터 상기의 제1클럭에 동기될때마다 1씩 감산하는 제1감산수단; 상기의 제1감산수단의 감산결과가 양수이면 비활성화된 제1비교신호를 출력하고 양수가 아니면 활성화된 제1비교신호를 출력하는 제1비교신호발생수단; 상기의 상향신호, 하향신호 및 제1비교신호를 수신하여 상기의 상향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하향신호 및 제1비교신호가 비활성화 될 때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와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하향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 및 제1비교신호가 비활성화 될 때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와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제1비교신호가 활성화되면 동일한 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와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의 제1,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의 제1모터구동제어신호가 하이논리값을 갖고 상기의 제2모터구동제어신호가 로우논리값을 가지면 상기의 모터부는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의 제1모터구동제어신호가 로우논리값을 갖고 상기의 제2모터구동제어신호가 하이논리값을 가지면 상기의 모터부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의 제1, 제2모터구동제어신호가 모두 하이논리값 또는 로우논리값을 가지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모터구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
  2. 자동차의 윈도우를 올리고자 할 때 상향스위치를 한 번 누르면 활성화된 상향신호를 출력하고 자동차의 윈도우를 내리고자 할 때 하향스위치를 한 번 누르면 활성화된 하향신호를 출력하는 윈도우 스위칭부, 상기의 상향신호 또는 하향신호에 따라 윈도우가 닫혀지는 정방향 또는 윈도우가 열려지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부를 구비하여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자동차의 윈도우를 닫거나 열 수 있는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상기의 회전속도에 따라 펄스폭이 가변되는 제1펄스를 출력하는 제어펄스발생수단; 상기의 윈도우 상에 부하가 없을 때의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속도를 정상회전 속도라 하면 상기의 정상회전속도일때의 펄스폭을 갖는 상기의 제1펄스의 펄스폭보다 소정치 큰 펄스폭을 갖는 제1기준펄스를 출력하는 제1기준펄스발생수단; 상기의 제1펄스 및 제1기준펄스를 수신하여 상기의 제1펄스의 폭과 상기의 제1기준펄스의 폭을 비교하여 상기의 제1펄스의 폭이 상기의 제1기준펄스의 폭보다 크면 활성화된 제1비교신호를 출력하는 제1비교수단; 입력클럭, 상기의 상향신호, 하향신호 및 상기의 제1펄스를 수신하여 상기의 상향신호 또는 하향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의 제1펄스를 상기의 입력클럭에 동기시켜 상기의 제1펄스의 수를 카운터하여 현재의 윈도우의 위치를 나타내는 현위치 신호를 출력하는 현위치판단수단; 상기의 윈도우가 완전히 열려있는 상태에서 상기의 윈도우가 완전히 닫힐때 까지 상기의 모터부의 총회전수를 펄스의 수로 변환하여 총펄스수를 나타내는 총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총펄스수발생수단; 및 상기의 상향신호, 하향신호, 제1비교신호, 현위치신호 및 총펄스신호를 수신하여 상기의 상향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하향신호 및 제1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의 하향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 및 상기의 제1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의 제1비교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현위치신호가 0보다 크고 상기의 총펄스신호보다 작은 값을 가지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역회전시키고, 상기의 제1비교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현위치신호가 상기의 총펄스신호보다 같거나 큰 값 또는 0이하이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모터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제1비교수단은 상기의 제1기준펄스 및 제1클럭을 수신하여 상기의 제1기준펄스의 하이논리값을 갖는 구간 또는 로우논리값을 갖는 구간을 상기의 제1클럭에 동기시켜 카운터 하는 제1계수수단; 상기의 제1펄스, 제1클럭 및 제1계수수단의 출력을 수신하여 상기의 제1펄스가 하이논리값에서 로우논리값으로 또는 로우논리값에서 하이논리값으로 천이될 때 마다 상기의 제1펄스를 상기의 제1클럭에 동기시켜 상기의 제1계수수단에서 카운트 된 값으로부터 제1클럭에 동기될때마다 1씩 감산하는 제1감산수단; 및 상기의 제1감산수단의 감산결과가 양수이면 비활성화된 제1비교신호를 출력 하고 양수가 아니면 활성화된 제1비교신호를 출력하는 제1비교신호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
  4. 제2항에서 있어서, 상기의 모터제어수단은 상기의 상향신호, 하향신호, 제1비교신호, 현위치신호 및 총펄스신호를 수신하여 상기의 상향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하향신호 및 제1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방향을 회전시키고, 상기의 하향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 및 상기의 제1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의 하향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 및 제1비교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현위치신호가 0보다 크고 상기의 총펄스신호보다 작은 값을 가지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역회전시키고, 상기의 상향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비교신호 및 상기의 하향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현위치신호가 0보다 크고 상기의 총펄스신호보다 작은 값을 갖거나 상기의 제1비교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현위치신호가 상기의 총펄스신호보다 같거나 큰 값 또는 0이하이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의 모터제어수단은 상기의 상향신호, 하향신호, 제1비교신호, 현위치신호 및 총펄스신호를 수신하여 상기의 상향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하향신호 및 제1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될 때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와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하향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 및 제1비교신호가 비활성화 될 때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와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하향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 및 제1비교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현위치신호가 0보다 크고 상기의 총펄스신호보다 작은 값을 가지면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와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상향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 및 제1비교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현위치신호가 0보다 크고 상기의 총펄스신호보다 작은 값을 갖거나 상기의 제1비교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현위치신호가 상기의 총펄스신호보다 같거나 큰 값 또는 0이하이면 동일한 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와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의 제1,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의 제1모터구동제어신호가 하이논리값을 갖고 상기의 제2모터구동제어신호가 로우논리값을 가지면 상기의 모터부는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의 제1모터구동제어신호가 로우논리값을 갖고 상기의 제2모터구동제어신호가 하이논리값을 가지면 상기의 모터부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의 제1, 제2모터구동제어신호가 모두 하이논리값 또는 로우논리값을 가지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모터구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모터제어수단은 위치보상펄스신호, 상기의 상향신호, 하향신호, 제1비교신호, 현위치신호 및 총펄스신호를 수신하여 상기의 상향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하향신호 및 제1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의 하향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 및 상기의 제1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의 제1비교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현위치신호가 상기의 위치보상펄스신호보다 크고 상기의 총펄스신호에서 상기의 위치보상펄스신호를 감산한 값보다 작은 값을 가지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역회전시키고, 상기의 제1비교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현위치신호가 상기의 총펄스신호에서 위치보상펄스신호를 감산한 값 이상이거나 상기의 위치보상펄스신호 이하이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모터제어수단은 위치보상 펄스신호, 상기의 상향신호, 하향신호, 제1비교신호, 현위치신호 및 총펄스신호를 수신하여 상기의 상향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하향신호 및 제1비교 신호가 비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의 하향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 및 상기의 제1비교신호가 비활성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의 하향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비교신호 및 상향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현위치신호가 상기의 위치보상펄스 신호보다 크고 상기의 총펄스신호에서 상기의 위치보상펄스신호를 감산한 값보다 작은 값을 가지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역회전시키고, 상기의 상향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비교신호 및 하향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현위치신호가 상기의 위치보상펄스신호보다 크고 상기의 총펄스신호에서 상기의 위치보상펄스신호를 감산한 값보다 작은 값을 갖거나 상기의 제1비교신호 활성화되고 상기의 현위치 신호가 상기의 총펄스신호에서 위치보상펄스신호를 감산한 값 이상이거나 상기의 위치보상펄스신호 이하이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
  8. 제2항 또는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의 모터제어수단은 위치보상펄스신호, 상기의 상향신호, 하향신호, 제1비교신호, 현위치신호 및 총펄스신호를 수신하여 상기의 상향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하향신호 및 제1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될 때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와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하향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 및 제1비교신호가 비활성화 될 때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와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하향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 및 제1비교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현위치신호가 상기의 위치보상펄스신호보다 크고 상기의 총펄스신호에서 상기의 위치보상펄스신호를 감산한 값보다 작은 값을 가지면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와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상향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하향신호 및 제1비교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현위치신호가 위치보상펄스신호보다 크고 상기의 총펄스신호에서 상기의 위치보상펄스신호를 감산한 값보다 작은 값을 갖거나 상기의 제1비교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현위치신호가 상기의 총펄스신호에서 상기의 위치보상펄스신호를 감산한 값 이상이거나 상기의 위치보상펄스신호 이하이면 동일한 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와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의 제1,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의 제1모터구동제어신호가 하이논리값을 갖고 상기의 제2모터구동제어신호가 로우논리값을 가지면 상기의 모터부는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의 제1모터구동제어신호가 로우논리값을 갖고 상기의 제2모터구동제어신호가 하이논리값을 가지면 상기의 모터부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의 제1, 제2모터구동제어신호가 모두 하이논리값 또는 로우논리값을 가지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모터구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현위치판단수단은 상기의 상향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하향신호가 비활성화되면 상기의 제1펄스를 상기의 입력클럭에 동기시켜 동기될때마다 기저장된 현위치신호를 1씩 증가 시키는 증가카운터수단; 및 상기의 상향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하향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제1펄스를 상기의 입력클럭에 동기시켜 동기될때마다 기저장된 현위치신호를 1씩 감소시키는 감소카운터수단을 구비한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
  10. 자동차의 윈도우를 올리고자 할 때 상향스위치를 한 번 누르면 활성화된 상향신호를 출력하고 자동차의 윈도우를 내리고자 할 때 하향스위치를 한 번 누르면 활성화된 하향신호를 출력하는 윈도우 스위칭부, 상기의 상향신호 또는 하향신호에 따라 윈도우가 닫혀지는 정방향 또는 윈도우가 열려지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부를 구비하여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자동차의 윈도우를 닫거나 열 수 있는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상기의 회전속도에 따라 펄스폭이 가변되는 제1펄스를 출력하는 제어펄스발생수단; 상기의 윈도우 상에 부하가 없을 때의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속도를 정상회전 속도라 하면 상기의 정상회전속도일때의 펄스폭을 갖는 상기의 제1펄스의 펄스폭보다 소정치 큰 펄스폭을 갖는 제1기준펄스를 출력하는 제1기준펄스발생수단; 제1선택신호, 상기의 제1펄스 및 제1기준펄스를 수신하여 상기의 제1선택신호가 비활성화될 때 상기의 제1펄스의 폭과 상기의 제1기준펄스의 폭을 비교하여 상기의 제1펄스의 폭이 상기의 제1기준펄스의 폭보다 크면 활성화된 제1비교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제1선택신호가 활성화되면 비활성화된 제1비교신호를 출력하는 제1비교수단; 입력클럭, 제2선택신호, 상기의 상향신호, 하향신호 및 상기의 제1펄스를 수신하여 상기의 제2선택신호가 활성화되면 리세트되고, 상기의 제2선택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 또는 하향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의 제1펄스를 상기의 입력클럭에 동기시켜 상기의 제1펄스의 수를 카운터하여 현재의 윈도우의 위치를 나타내는 현위치신호를 출력하는 현위치판단수단; 상기의 제1기준펄스의 펄스폭보다 소정치 큰 펄스폭을 갖는 제2기준펄스를 출력하는 제2기준펄스발생수단; 상기의 제1펄스, 제2기준펄스 및 상기의 제1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의 제1선택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의 제1펄스의 폭과 상기의 제2기준펄스의 폭을 비교하여 상기의 제1펄스의 폭이 상기의 제2기준펄스의 폭보다 크면 활성화된 제2비교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제1선택신호가 비활성화되면 비활성화된 제2비교신호를 출력하는 제2비교수단; 상기의 제2비교신호 및 상기의 현위치신호를 수신하여 상기의 제2비교신호가 로우논리값에서 하이논리값으로 천이될 때 상기의 현위치신호를 저장하여 총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저장수단; 상기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압 인가시 활성화된 제1선택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제2비교신호 및 상기의 상향신호가 모두 활성화되면 비활성화된 제1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제1선택수단; 상기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압 인가시 활성화된 제2선택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제2비교신호가 활성화되면 비활성화된 제2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제2선택수단; 및 상기의 상향신호, 하향신호, 제1비교신호, 현위치신호, 총펄스신호, 제1, 제2선택신호 및 제2비교신호를 수신하여 상기의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가 모두 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 또는 하향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의 제2선택신호 및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선택신호 및 상향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의 제2비교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하향신호 및 제1, 제2비교신호가 모두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상향신호 및 제1, 제2비교신호가 모두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하향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및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비교신호는 활성화되고 상기의 현위치신호가 0보다 크고 상기의 총펄스신호보다 작은 값을 가지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역회전시키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및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비교신호는 활성화되고 상기의 현위치신호가 상기의 총펄스신호보다 같거나 큰 값 또는 0이하이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모터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의 제1비교수단은 상기의 제1기준펄스 및 제1클럭을 수신하여 상기의 제1기준펄스의 하이논리값을 갖는 구간 또는 로우논리값을 갖는 구간을 상기의 제1클럭에 동기시켜 카운터하는 제1계수수단; 상기의 제1펄스, 제1클럭, 상기의 제1계수수단의 출력 및 상기의 제1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의 제1선택신호가 비활성화될 때 상기의 제1펄스가 하이논리값에서 로우논리값으로 또는 로우논리값에서 하이논리값으로 천이될 때마다 상기의 제1펄스를 상기의 제1클럭에 동기시켜 상기의 제1게수기에서 카운트된 값으로부터 사이의 제1클럭에 동기될때마다 1씩 감산하고, 상기의 제1선택신호가 활성화되면 감산을 정지하는 제1감산수단; 및 상기의 제1감산수단의 감산결과가 양수이면 비활성화된 제1비교신호를 출력하고 양수가 아니면 활성화된 제1비교신호를 출력하는 제1비교신호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의 제2비교수단은 상기의 제2기준펄스 및 제1클럭을 수신하여 상기의 제2기준펄스의 하이논리값을 갖는 구간 또는 로우논리값을 갖는 구간을 상기의 제1클럭에 동기시켜 카운터 하는 제2계수수단; 상기의 제1펄스, 제1클럭, 상기의 제2계수수단의 출력 및 상기의 제1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의 제1선택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의 제1펄스가 하이논리값에서 로우논리값으로 또는 로우논리값에서 하이논리값으로 천이될 때마다 상기의 제1펄스를 상기의 제1클럭에 동기시켜 상기의 제2계수수단에서 카운트된 값으로부터 상기의 제1클럭에 동기될때마다 1씩 감산하고, 상기의 제1선택신호가 비활성화되면 감산을 정지하는 제2감산수단; 및 상기의 제2감산수단의 감산결과가 양수이면 비활성화된 제2비교신호를 출력하고 양수가 아니면 활성화된 제2비교신호를 출력하는 제2비교신호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의 모터제어수단은 상기의 상향신호, 하향신호, 제1비교신호, 현위치신호, 총펄스신호, 제1, 제2선택신호 및 제2비교신호를 수신하여 상기의 제1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 제1, 제2선택신호가 모두 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 또는 하향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의 제2선택신호 및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선택신호 및 상향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의 제2비교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하향신호 및 제1, 제2비교신호가 모두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상향신호 및 제1, 제2비교신호가 모두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하향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하향신호 및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비교신호 및 상기의 상향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현위치신호가 0보다 크고 상기의 총펄스신호보다 작은 값을 가지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역회전시키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상향신호 및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비교신호 및 상기의 하향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현위치신호가 0보다 크고 상기의 총펄스신호보다 작은 값을 갖거나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및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비교신호는 활성화되고 상기의 현위치신호가 상기의 총펄스신호보다 같거나 큰 값 또는 0이하이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
  14. 제10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의 모터제어수단은 상기의 상향신호, 하향신호, 제1비교신호, 현위치신호, 총펄스신호, 제1, 제2선택신호 및 제2비교신호를 수신하여 상기의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가 모두 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 또는 하향신호가 활성화되면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와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제2선택신호 및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선택신호 및 상향신호가 활성화되면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와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제2비교신호가 활성화되면 동일한 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와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하향신호및 제1, 제2비교신호가 모두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가 활성화되면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와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상향신호 및 제1, 제2비교신호가 모두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하향신호가 활성화되면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와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하향신호 및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비교신호 및 상향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현위치신호가 0보다 크고 상기의 총펄스신호보다 작은 값을 가지면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체어신호와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상향신호 및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비교신호 및 하향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현위치신호가 0보다 크고 상기의 총펄스신호보다 작은 값을 갖거나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및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비교신호는 활성화되고 상기의 현위치신호가 상기의 총펄스신호보다 같거나 큰 값 또는 0미만이면 동일한 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와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의 제1,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의 제1모터구동제어시호가 하이논리값을 상기의 제2모터구동제어신호가 로우논리값을 가지면 상기의 모터부는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의 제1모터구동제어신호가 로우논리값을 갖고 상기의 제2모터구동제어신호가 하이논리값을 가지면 상기의 모터부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의 제1, 제2모터구동제어신호가 모두 하이논리값 또는 로우논리값을 가지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모터구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의 모터제어수단은 위치보상펄신호, 상기의 상향신호, 하향신호, 제1비교신호, 현위치신호, 총펄스신호, 제1, 제2선택신호 및 제2비교신호를 수신하여 상기의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가 모두 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 또는 하향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의 제2선택신호 및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선택신호 및 상향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의 제2비교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하향신호 및 제1, 제2비교신호가 모두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상향신호 및 제1, 제2비교신호가 모두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하향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및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비교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현위치신호가 상기의 위치보상펄스신호보다 크고 상기의 총펄스신호에서 상기의 위치보상펄스신호를 감산한 값보다 작은 값을 가지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역회전시키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및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비교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현위치신호가 상기의 총펄스신호에서 상기의 위치보상펄스신호를 감산한 값 이상이거나 상기의 위치보상펄스신호 이하이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의 모터제어수단은 위치보상펄스신호, 상기의 상향신호, 하향신호, 제1비교신호, 현위치신호, 총펄스신호, 제1, 제2선택신호 및 제2비교신호를 수신하여 상기의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가 모두 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 또는 하향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의 제2선택신호 및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선택신호 및 상향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의 제2비교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하향신호 및 제1, 제2비교신호가 모두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상향신호 및 제1, 제2비교신호가 모두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하향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하향신호 및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비교신호 및 상향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현위치신호가 상기의 위치보상펄스신호보다 크고 상기의 총펄스신호에서 상기의 위치보상펄스신호를 감산한 값보다 작은 값을 가지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역회전시키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상향신호 및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비교신호 및 하향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현위치신호가 상기의 위치보상펄스신호보다 크고 상기의 총펄스신호에서 상기의 위치보상펄스신호를 감산한 값보다 작은 값을 갖거나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및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비교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현위치신호가 상기의 총펄스신호에서 상기의 위치보상펄스신호를 감산한 값 이상이거나 상기의 위치보상펄신호 이하이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
  17. 제10항 또는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의 모터제어수단은 위치보상펄스신호, 상기의 상향신호, 하향신호, 제1비교신호, 현위치신호, 총펄스신호, 제1, 제2선택신호 및 제2비교신호를 수신하여 상기의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가 모두 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 또는 하향신호가 활성화되면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와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제2선택신호 및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선택신호 및 상향신호가 활성화되면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와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제2비교신호가 활성화되면 동일한 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와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하향신호 및 제1, 제2비교신호가 모두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가 활성화되면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와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상향신호 및 제1, 제2비교신호가 모두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하향신호가 활성화되면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와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하향신호 및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비교신호 및 상향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현위치신호가 위치보상펄스신호보다 크고 사이의 총펄스신호에서 상기의 위치보상펄스신호를 감산한 값보다 작은 값을 가지면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와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상향신호 및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비교신호 및 하향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현위치신호가 위치보상펄스신호보다 크고 상기의 총펄스신호에서 상기의 위치보상펄스신호를 감산한 값보다 작은 값을 갖거나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및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비교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현위치신호가 상기의 총펄스신호에서 상기의 위치보상펄스신호를 감산한 값 이상이거나 상기의 위치보상펄스신호 이하이면 동일한 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와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의 제1,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의 제1모터구동제어신호가 하이논리값을 갖고 상기의 제2모터구동제어신호가 로우논리값을 가지면 상기의 모터부는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의 제1모터구동제어신호가 로우논리값을 갖고 상기의 제2모터구동제어신호가 하이논리값을 가지면 상기의 모터부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의 제1, 제2모터구동제어신호가 모두 하이논리값 또는 로우논리값을 가지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모터구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의 현위치판단은 상기의 제2선택신호가 활성화되면 리세트되고, 상기의 제2선택신호 및 상기의 하향신호가 비활성되고 상기의 상향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제1펄스를 상기의 입력클럭에 동기시켜 동기될때마다 기저장된 현위치신호를 1씩 증가시키는 증가 카운터수단; 및 상기의 제2선택신호가 활성화되면 리세트되고, 상기의 제2선택신호 및 상기의 상향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하향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제1펄스를 상기의 입력클럭에 동기시켜 동기될때마다 기저장된 현위치신호를 1씩 감소시키는 감소 카운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
  19. 자동차의 윈도우를 올리고자 할 때 상향스위치를 한 번 누르면 활성화된 상향신호를 출력하고 자동차의 윈도우를 내리고자 할 때 하향스위치를 한 번 누르면 활성화된 하향신호를 출력하는 윈도우 스위칭부, 상기의 상향신호 또는 하향신호에 따라 윈도우가 닫혀지는 정방향 또는 윈도우가 열려지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부를 구비하여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자동차의 윈도우를 다거나 열 수 있는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상기의 회전속도에 따라 펄스폭이 가변되는 제1펄스를 출력하는 제어펄스발생수단; 상기의 윈도우 상에 부하가 없을 때의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속도를 정상회전 속도라 하면 상기의 정상회전속도일때의 펄스폭을 갖는 상기의 제1펄스의 펄스폭보다 소정치 큰 펄스폭을 갖는 제1기준펄스를 출력하는 제1기준펄스발생수단; 상기의 제1펄스 및 제1기준펄스를 수신하여 상기의 제1펄스의 폭과 상기의 제1기준펄스의 폭을 비교하여 상기의 제1펄스의 폭이 상기의 제1기준펄스의 폭보다 크면 활성화된 제1비교신호를 출력하는 제1비교수단; 상기의 윈도우가 완전히 열려있는 상태에서 상기의 윈도우가 완전히 닫힐때가지 상기의 모터부의 총회전수를 펄스의 수로 변환하여 총펄스수를 나타내는 총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총펄스수발생수단; 입력클럭, 위치보상제어신호, 상기의 총펄스신호, 상향신호, 하향신호 및 상기의 제1펄스를 수신하여 상기의 위치보상제어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 또는 하향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의 제1필스를 상기의 입력클럭에 동기시켜 상기의 제1펄스의 수를 카운터하여 현재의 윈도우의 위치를 나타내는 현위치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상향신호 및 위치보상제어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현위치신호는 상기의 총펄스신호와 동일한 값을 갖고, 상기의 하향신호 및 위치보상제어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현위치신호는 0로 리세트되는 현위치판단수단; 위치보상펄스신호, 상기의 상향신호, 하향신호, 현위치신호 및 총펄스신호를 수신하여 상기의 상향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의 현위치신호가 상기의 총펄스신호에서 상기의 위치보상펄스신호를 감산한 값 이사이거나 상기의 하향신호가 활성화 될 때 상기의 현위치신호가 상기의 위치보사펄스신호 이하이면 활성화된 위치보상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위치보상수단; 및 상기의 위치보상제어신호, 상향신호, 하향신호 및 제1빅신호를 수신하여 상기의 상향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위치보상제어신호, 하향신호 및 제1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의 하향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위치보상제어신호, 상향신호 및 상기의 제1비교신호가 비활성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의 제1비교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위치보상제어신호가 비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역회전시키고, 상기의 위치보상제어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의 제1비교수단은 상기의 제1기준펄스 및 제1클럭을 수신하여 상기의 제1기준펄스의 하이논리값을 갖는 구간 또는 로우논리값을 갖는 구간을 상기의 제1클럭에 동기시켜 카운터 하는 제1계수수단; 상기의 제1펄스, 제1클럭 및 상기의 제1계수수단의 출력을 수신하여 상기의 제1펄스가 하이논리값에서 로우논리값으로 또는 로우논리값에서 하이논리값으로 천이될 때마다 상기의 제1펄스를 상기의 제1클럭에 동기시켜 상기의 제1계수수단에서 카운트된 값으로부터 상기의 제1클럭에 동기될때마다 1씩 감산하는 제1감산수단; 및 상기의 제1감산수단의 감산결과가 양수이면 비활성화된 제1비교신호를 출력하고 양수가 아니면 활성화된 제1비교신호를 출력하는 제1비교신호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모터 제어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의 모터제어수단은 상기의 위치보상제어신호, 상향신호, 하향신호 및 제1비교신호를 수신하여 상기의 상향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위치보상제어신호, 하향신호 및 제1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의 하향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위치보상제어신호, 상향신호 및 상기의 제1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의 제1비교신호 및 상향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하향신호 및 위치보상제어신호가 비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역회전시키고, 상기의 제1비교신호 및 하향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 및 위치보상제어신호가 비활성화되거나 상기의 위치보상제어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
  22. 제19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의 모터제어수단은 상기의 위치보상제어신호, 상향신호, 하향신호 및 제1비교신호를 수신하여 상기의 상향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위치보상제어신호, 하향신호 및 제1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면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와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하향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위치보상제어신호, 상향신호 및 상기의 제1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면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와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제1비교신호 및 상향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하향신호 및 위치보상제어신호가 비활성화되면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와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제1비교신호 및 하향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 및 위치보상제어신호가 비활성화되거나 상기의 위치보상제어신호가 활성화되면 동일한 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와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의 제1,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의 제1모터구동제어신호가 하이논리값을 갖고 상기의 제2모터구동제어신호가 로우논리값을 가지면 상기의 모터부는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의 제1모터구동제어신호가 로우논리값을 갖고 상기의 제2모터구동제어신호가 하이논리값을 가지면 상기의 모터부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의 제1, 제2모터구동제어신호가 모두 하이논리값 또는 로우논리값을 가지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모터구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의 현위치판단수단은 상기의 상향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하향신호 및 위치보상제어신호가 비활성화되면 상기의 제1펄스를 상기의 입력클럭에 동기시켜 동기될때마다 기저장된 현위치신호를 1씩 증가시키고, 상기의 상향신호 및 위치보상제어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하향신호가 비활성화되면 상기의 현위치신호는 상기의 총펄스신호와 동일한 값을 갖는 증가카운터수단; 및 상기의 하향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 및 위치보상제어신호가 비활성화되면 상기의 제1펄스를 상기의 입력클럭에 동기시켜 동기될때마다 기저장된 현위치신호를 1씩 감소시키고, 상기의 하향신호 및 위치보상제어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가 비활성화되면 상기의 현위치신호는 0로 리세트되는 감소카운터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
  24. 자동차의 윈도우를 올리고자 할 때 상향스위치를 한 번 누르면 활성화된 상향신호를 출력하고 자동차의 윈도우를 내리고자 할 때 하향스위치를 한 번 누르면 활성화된 하향신호를 출력하는 윈도우 스위칭부, 상기의 상향신호 또는 하향신호에 따라 윈도우가 닫혀지는 정방향 또는 윈도우가 열려지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부를 구비하여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자동차의 윈도우를 닫거나 열 수 있는 파워 윈도우 모터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상기의 회전속도에 따라 펄스폭이 가변되는 제1펄스를 출력하는 제어펄스발생수단; 상기의 윈도우 상에 부하가 없을 때의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속도를 정상회전속도라 하면 상기의 정상회전속도일때의 펄스폭을 갖는 상기의 제1펄스의 펄스폭보다 소정치 큰 펄스폭으르 갖는 제1기준펄스를 출력하는 제1기준펄스발생수단; 제1선택신호, 상기의 제1펄스 및 제1기준펄스를 수신하여 상기의 제1선택신호가 비활성화될 때 상기의 제1펄스의 폭과 상기의 제1기준펄스의 폭을 비교하여 상기의 제1펄스의 폭이 상기의 제1기준펄스의 폭보다 크면 활성화된 제1비교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제1선택신호가 활성화되면 비활성화된 제1비교신호를 출력하는 제1비교수단; 상기의 제1기준펄스의 펄스폭보다 소정치 큰 펄스폭을 갖는 제2기준펄스를 출력하는 제2기준펄스발생수단; 상기의 제1펄스, 제2기준펄스 및 상기의 제1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의 제1선택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의 제1펄스의 폭과 상기의 제2기준펄스의 폭을 비교하여 상기의 제1펄스의 폭이 상기의 제2기준펄스의 폭보다 크면 활성화된 제2비교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제1선택신호가 비활성화되면 비활성화된 제2비교신호를 출력하는 제2비교수단; 상기의 제2비교신호 및 상기의 현위치신호를 수신하여 상기의 제2비교신호가 로우논리값에서 하이논리값으로 천이될 때 상기의 현위치신호를 저장하여 총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저장수단; 입력클럭, 위치보상제어신호, 제2선택신호, 상기의 총펄신호신호, 상향신호, 하향신호, 및 상기의 제1펄스를 수신하여 상기의 제2선택신호가 활성화되면 리세트되고, 상기의 제2선택신호 및 위치보상제어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 또는 하향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의 제1펄스를 상기의 입력클럭에 동기시켜 상기의 제1펄스의 수를 카운터하여 현재의 윈도우의 위치를 나타내는 현위치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제2선택신호 및 상향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하향신호 및 위치보상제어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현위치신호는 상기의 총펄스신호와 동일한 값을 갖고, 상기의 제2선택신호 및 상향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하향신호 및 위치보상제어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현위치신호는 0로 리세트되는 현위치판단수단; 위치보상펄스신호, 제1선택신호, 상기의 상향신호, 하향신호, 현위치신호 및 총펄스신호를 수신하여 상기의 제1선택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의 현위치신호가 상기의 총펄스신호에서 상기의 위치보상펄스신호를 감산한 값 이상이거나 상기의 제1선택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하향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의 현위치신호가 상기의 위치보상펄스신호 이하이면 활성화된 위치보상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위치보상수단; 상기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압 인가시 활성화된 제1선택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제2비교신호 및 상기의 상향신호가 모두 활성화되면 비활성화된 제1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제1선택수단; 상기의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압 인가시 활성화된 제2선택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제2비교신호가 활성화되면 비활성화된 제2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제2선택수단; 및 상기의 위치보상제어신호, 상향신호, 하향신호, 제1, 제2비교신호, 제1선택신호 및 제2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의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가 모두 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 또는 하향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의 제2선택신호 및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선택신호 및 상향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의 제2비교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위치보상제어신호, 제1, 제2비교신호 및 하향신호가 모두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방향으로 정지시키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위치보상제어신호, 제1, 제2비교신호 및 하향신호가 모두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제2비교신호 및 위치보상제어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비교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역회전시키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및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위치보상제어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모터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
  25. 제26항에 있어서, 상기의 제1비교수단은 상기의 제1기준펄스 및 제1클럭을 수신하여 상기의 제1기준펄스의 하이논리값을 갖는 구간 또는 로우논리값을 갖는 구간을 상기의 제1클럭에 동기시켜 카운터하는 제1계수수단; 상기의 제1펄스, 제1클럭, 상기의 제1게수수단의 출력 및 상기의 제1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의 제1선택신호가 비활성화될 때 상기의 제1펄스가 하이논리값에서 로우논리값으로 또는 로우논리값에서 하이논리값으로 천이될 때마다 상기의 제1펄스를 상기의 제1클럭에 동기시켜 상기의 제1계수기에서 카운트된 값으로부터 상기의 제1클럭에 동기될때마다 1씩 감산하고, 상기의 제1선택신호가 활성화되면 감산에 정지하는 제1감산수단; 및 상기의 제1감산수단의 감산결과가 양수이면 비활성화된 제1비교신호를 출력하고 양수가 아니면 활성화된 제1비교신호를 출력하는 제1비교신호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모터 제어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의 제2비교수단은 상기의 제2기준펄스 및 제1클럭을 수신하여 상기의 제2기준펄스의 하이논리값을 갖는 구간 또는 로우논리값을 갖는 구간을 상기의 제1클럭에 동기시켜 카운터 하는 제2단계수수단; 상기의 제1펄스, 제1클럭, 상기의 제2계수수단의 출력 및 상기의 제1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의 제1선택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의 제1펄스가 하이논리값에서 로우논리값으로 또는 로우논리값에서 하이논리값으로 천이될 때마다 상기의 제1펄스를 상기의 제1클럭에 동기시켜 상기의 제2계수수단에서 카운트된 값으로부터 상기의 제1클럭에 동기될때마다 1씩 감산하고, 상기의 제1선택신호가 비활성화되면 감산을 정지하는 제2감산수단; 및 상기의 제2감산수단의 감산결과가 양수이면 비활성화된 제2비교신호를 출력하고 양수가 아니면 활성화된 제2비교신호를 출력하는 제2비교신호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의 모터제어수단은 상기의 위치보상제어신호, 상향신호, 하향신호, 제1, 제2비교신호, 제1선택신호 및 제2선택신호를 수시하여 상기의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가 모두 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 또는 하향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의 제2선택신호 및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선택신호 및 상향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의 제2비교신호가 활성화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위치보상제어신호, 하향신호 및 제1, 제2비교신호가 모두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위치보상제어신호, 상향신호 및 제1, 제2비교신호가 모두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하향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위치보상제어신호, 제2비교신호 및 하향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비교신호 및 상향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역회전시키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위치보상제어신호, 제2비교신호 및 상향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비교신호 및 하향신호가 활성화되거나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및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위치보상제어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
  28. 제24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의 모터제어수단은 상기의 위치보상제어신호, 상기의 상향신호, 하향신호, 제1비교신호, 제1, 제2선택신호 및 제2비교신호를 수신하여 상기의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가 모두 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 또는 하향신호가 활성화되면 로우 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와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제2선택호 및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선택신호 및 상향신호가 활성화되면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와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제2비교신호가 활성화되면 동일한 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와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위치보상제어신호, 하향신호, 및 제1, 제2비교신호가 모두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가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와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위치보상제어신호, 상향신호 및 제1, 제2비교신호가 모두 비활성되고 상기의 하향신호가 활성화되면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와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위치보상제어신호, 제2비교신호 및 하향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비교신호 및 상향신호가 활성화되면 로우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와 하이논리값을 갖는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위치보상제어신호, 제2비교신호 및 상향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제1비교신호 및 하향신호가 활성화되거나 상기의 제1, 제2선택신호 및 제2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위치보상제어신호가 활성화되면 동일한 논리값을 갖는 제1모터구동제어신호와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의 제1, 제2모터구동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의 제1모터구동제어신호가 하이논리값을 갖고 상기의 제2모터구동제어신호가 로우논리값을 가지면 상기의 모터부는 정ㅇ향으로 회전하고, 상기의 제1모터구동제어신호가 로우논리값을 갖고 상기의 제2모터구동제어신호가 하이논리값을 가지면 상기의 모터부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의 제1, 제2모터구동제어신호가 모두 하이논리값 또는 로우논리값을 가지면 상기의 모터부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모터구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의 현위치판단수단은 상기의 제2선택신호가 활성화되면 리세트되고, 상기의 제2선택신호, 위치보상제어신호 및 하향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제1펄스를 상기의 입력클럭에 동기시켜 동기될때마다 기저장된 현위치신호를 1씩 증가시키고, 상기의 제2선택신호 및 하향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상향신호 및 위치보상제어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현위치신호는 상기의 총펄스신호와 동일한 값을 갖는 증가카운터수단; 및 상기의 제2선택신호가 활성화되거나 상기의 제2선택신호, 상향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하향신호 및 위치보상제어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현위치신호는 리세트되고, 상기의 제2선택신호, 위치보상제어신호 및 상기의 상향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의 하향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의 제1펄스를 상기의 입력클럭에 동기시켜 동기될때마다 기저장된 현위치신호를 1씩 감소시키는 감소카운터수단을 구비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
KR1019960046423A 1996-10-17 1996-10-17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 KR100209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423A KR100209165B1 (ko) 1996-10-17 1996-10-17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423A KR100209165B1 (ko) 1996-10-17 1996-10-17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832A KR970001832A (ko) 1997-01-24
KR100209165B1 true KR100209165B1 (ko) 1999-07-15

Family

ID=19477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6423A KR100209165B1 (ko) 1996-10-17 1996-10-17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91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2675B2 (ja) * 2000-07-28 2005-11-3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パワーウインド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7067996B2 (en) * 2003-06-20 2006-06-27 Asmo Co., Ltd. Open-and-close control system for openabl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832A (ko) 199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30795B2 (ja) パワーウインド装置の挟み込み検知方法
US8030877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back electromotive force phase and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citation
JPH11270226A (ja) パワーウインド装置の挟み込み検知方法
KR20050012155A (ko) 개폐 부재 제어 시스템
US6034495A (en) Apparatus for detecting pinching of an object in a power window
JPH08165842A (ja) パワーウインド制御装置
KR100209165B1 (ko) 파워 윈도우 모터 제어장치
KR20020011893A (ko) 파워윈도우장치
KR920007515B1 (ko) 권선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와 방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3675622B2 (ja) パワーウインド装置の挟み込み検知方法
KR101840212B1 (ko)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갖는 전력 저하 검출기
JP2002038817A (ja) パワーウインド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09324581A (ja) ウィンドガラスの挟持有無検出装置
JP3387281B2 (ja) 開閉体の開閉制御装置
US6700346B2 (en) Motor driving circuit with a motor failure detecting function
US200701389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motor
KR970022626A (ko) 위치결정장치
JP2001098842A (ja) 自動車用開閉体制御装置
JP4591761B2 (ja) Pwmサイクロコンバータとその制御方法
JP3572360B2 (ja) パワーウインド装置
JP2773788B2 (ja) 電圧切換回路
JP3480085B2 (ja) デッドタイム補償回路
JP2005030200A (ja) 開閉部材制御装置
KR970002515B1 (ko) 자동차 윈도우 모터의 구동장치
JPH07150860A (ja) 開閉体駆動制御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