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8415B1 - 겔 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 - Google Patents

겔 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8415B1
KR100208415B1 KR1019960059250A KR19960059250A KR100208415B1 KR 100208415 B1 KR100208415 B1 KR 100208415B1 KR 1019960059250 A KR1019960059250 A KR 1019960059250A KR 19960059250 A KR19960059250 A KR 19960059250A KR 100208415 B1 KR100208415 B1 KR 100208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tank body
tank
gel
gel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9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5363A (ko
Inventor
야스시 고노
요이치 이도
가즈시 나카츠카사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야스히코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야스히코,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야스히코
Publication of KR970025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5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8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84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6Coating or dressing seed

Abstract

종자를 겔화제로 피복하기 위해 종자이송부에 배치된 흡인팁에 의해 종자공급부의 탱크본체에 수용된 종자를 겔피복부에 공급하기 위하여, 총 8개의 관통구가 흡인팁에 대응하는 위치에 탱크본체의 주벽의 상단부를 따라 형성되고,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구를 갖는 환상 어댑터가 각각의 관통구에 끼워지도록 규칙적 간격으로 배치된다. 관통구의 내주벽은 흡인팁을 수용하기 위해 주벽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대직경부와, 종자를 탱크본체로부터 통과시키기 위해 주벽의 내주면에 위치하는 대직경보다보다 작은 소직경부를 가진다. 종자를 겔화제로 피복하고 겔화제를 경화시켜 겔피복종자를 제조하기 위한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에서, 가공될 종자는 그들을 수용하는 종자호퍼에 남아 있는 종자량에 관계 없이 흡인팁에 의해 확실하고 안전하게 흡인되어 유지된 후에 종자를 겔화제로 피복하는 하류 가공단계로 이동된다.

Description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
제1도는 본 발명의 따른 종자공급탱크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이용한 겔피복장치의 개략정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겔피복장치의 개략평면도이다.
제3도는 제1도의 겔피복장치의 개략측면도이다.
제4도는 제2도의 장치의 보조프레임 및 종자이송부의 부분절단된 개략정면도이다.
제5도는 제2도의 장치의 종자공급부 및 종자이송부의 부분절단된 개략정면도이다.
제6도는 제2도의 장치의 종자공급부의 확대된 개략평면도이다.
제7도는 제2도의 장치의 종자공급부 및 종자이송부의 확대된 개략측면도이다.
제8도는 제5도의 어댑터의 확대된 개략단면도이다.
제9도는 제2도의 장치의 겔피복부의 확대된 개략정면도이다.
제10도는 제2도의 장치의 겔피복부의 확대된 개략평면도이다.
제11도는 제2도의 장치의 겔피복부의 확대된 개략측면도이다.
제12도는 제11도의 겔피복부의 노즐블록의 확대된 개략단면도이다.
제13도는 제1도의 장치의 겔경화부 및 겔세척부의 부분절단확대된 개략정면도이다.
제14도는 제1도의 장치의 겔경화부의 확대된 개략평면도이다.
제15도는 제14도의 A-A선을 따라 얻어진 개략단면도이다.
제16도는 제14도의 B-B선을 따라 얻어진 개략단면도이다.
제17도는 제13도의 캡의 확대된 개략측면도이다.
제18도는 제1도의 장치의 겔세척부의 확대된 개략평면도이다.
제19도는 제18도의 세척탱크 뒷면의 확대된 개략배면도이다.
제20도는 제7도의 탱크본체의 공기챔버를 변형하여 얻은 공기챔버의 확대된 개략측면도이다.
제21도는 제16도의 겔경화부의 겔가이드기구를 변형하여 얻은 겔가이드기구의 확대된 개략측면도이다.
제22도는 공지된 겔피복장치의 개략정면도이다.
제23도는 제22도의 공지된 겔피복장치의 개략평면도이다.
[발명의분야]
본 발명은 폴리머겔로 피복하는 단계에 공급하여 가공하기 위한 종자를 수용하는 종자공급탱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의 설명]
한가지 이상의 영양물질 및 살균제를 함유하는 탄력성의 폴리머겔로 종자를 피복함으로써 제조된 겔피복종자가 공지되어 있다.
겔피복은 종자를 살균하고 종자를 설치류에 의해 갉아먹히는 피해로부터 보호하기에 효과적인 기술이다. 그것은 또한 종자가 피복으로 크기가 커져서 취급이 용이하므로 종자의 파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겔피복종자는 겔로부터 영양물질을 흡수할 수 있어서 발아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겔피복은 종자에 수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특허출원의 출원인은 이들 이점을 알아내고 겔피복종자를 자동제조하기 위한 각종 겔피복장치를 제안하였다.
제22도는 본 특허출원의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그러한 장치의 개략정면도이다. 이 겔피복장치는 제22도에서 일반적으로 부재번호 A로 표시되어 있고, 하우징(B), 종자호퍼(C), 종자이송부(D), 겔화제탱크(E), 젤가공부(F), 경화탱크(G) 및 세척수탱크(J)를 포함한다.
종자호퍼(C)는 하우징(B)의 폭방향 중앙선에서 약간 떨어져 위치하고, 공기실린더(C1)를 통해 수직이동가능하게 하우징(B)에 의해 지지된다. 종자호퍼(C)는 상단부가 개방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원뿔형의 외형을 갖고 있어 좁은 바닥단부가 종자호퍼(C)의 수직축 주위에 위치된 제23도에서와 같은 원형 평면형상과 제22도에서와 같은 테이퍼진 측면형상을 갖는다. 그것은 내부에 겔로 피복될 다수의 종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겔화제탱크(E)는 하우징(B) 하부측의 한쪽 위치에 위치하며, 종자를 피복하기 위한 고점성의 액체겔화제를 수용한다.
겔가공부(F)는 실질적으로 하우징(B)의 상부 중앙위치에 위치하며, 그 안에 내부 및 외부 파이프가 이중벽을 형성하는 가공노즐(F1)이 구비되어 있다. 종자는 가공노즐(F1)이 상단부로부터 상기 가공노즐(F1)의 내부파이프내로 공급되는 반면, 겔화제는 관(도시안됨)에 의해 가공노즐(F1)의 측면으로부터 외부파이프내로 공급된다. 따라서 종자가 가공노즐(F1)의 내부파이프의 바닥단으로부터 하나씩 방출되는 동안, 겔화제가 플런저(도시안됨)의 영향하에 소정 속도로 외부파이프의 바닥단부로부터 주입되어서, 가공노즐(F1)로부터 방출된 각각의 종자는 겔화제로 피복된 후 그 자체의 중량에 의해 낙하한다.
종자이송부(D)는 종자호퍼(C) 및 가공노즐(F1)의 사이의 하우징(B)의 상반부에 배치된 회전식 액츄에이터(D1), 회전식 액츄에이터(D1)에 의해 중간위치에서 지지되고 수평면으로 회전 가능한 직사각형 회전식 아암(D3), 및 회전식 아암(D3)의 양 단부의 각 하부면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한쌍의 1회용 흡인팁(D5 및 D7)을 포함한다.
회전식 아암(D3)의 회전식 액츄에이터(D1)에 의해 180°씩 회전할 때마다, 상기 종자이송부는(D)는 흡인팁의 하나 즉 흡인팁(D5)이 종자호퍼워에 위치하는 한편 다른 흡인팁(D7)이 가공노즐(F1)위에 위치하는 제1위치와 흡인팁(D5 및 D7)이 가공노즐(F1) 및 종자호퍼(C)위에 각각 위치하는 제2위치를 교대로 취한다.
경화탱크(G)는 하우징(B)의 중간레벨에 위치하고, 겔피복종자를 그들 자체의 중량에 의해 하나씩 낙하하는 가공노즐(F1) 아래로부터 하우징의 반대편 측단부까지 수평으로 연장되며, 탱크내를 흘러서 낙하된 피복종자를 피복하고 있는 겔화제와 반응하여 겔화제를 경화시키고 겔피복종자를 생성하는 액체 경화제를 수용한다.
제23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경화탱크(G)는 그 안에 회전식 스크루 피더(G1)를 수용하여 겔피복종자를 가공노즐(F1) 아래로부터 경화탱크(G)의 반대편 측단부쪽으로 구동시킨다.
세척수탱크(J)는 상기 경화탱크(G)뒤에 위치하고, 경화탱크(G)를 따라 수평으로 연장된다. 그것은 겔화제가 경화됨에 따라 경화탱크(G)에서 제조된 겔피복종자를 세척하기 위해 내부에 유동수를 수용한다.
세척수탱크(J)는 또한 겔피복종자를 경화탱크(G)의 종자구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구동시키도록 회전하는 회전식 스크루 피더(J1)를 수용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공지의 겔피복장치(A)는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작동하여 종자를 겔로 피복시킨다.
현재, 종자이송부(D)가 제1위치에 있다고 가정한다. 종자호퍼(C)는 공기실린더(C1)에 의해 상향이동하고, 종자호퍼(C)내의 일부 종자가 부압하에 유지되는 대응하는 흡인팁(D5)에 의해 흡인된다. 그 다음, 종자호퍼(C)가 공기실린더(C1)에 의해 하향이동하고, 회전식 아암(D3)이 회전식 액츄에이터(D1)에 의해 180°만큼 수평으로 회전하여 종자이송부(D)를 제2위치로 가져간다.
이 제2위치에서는, 흡인된 종자가 흡인팁(5)을 정압하로 가져감에 따라 위로부터 가공노즐(F1)의 내부파이프내로 투입되는 동안, 공기실린더(C1)에 의해 상향이동된 종자호퍼(C)내에 남아 있는 일부의 종자는 이제 부압하에 유지된 대응하는 흡인팁(D5)에 의해 흡인된다. 그 다음, 상기 작동사이클이 반복되어 종자를 종자호퍼(C)로부터 가공노즐(F1)로 이동시킨다.
종자호퍼가 공기실린더(C1)에 의해 상향 및 하향이동함에 따라 종자호퍼(C)내의 종자가 흡인팁(D5 및 D7)에 의해 쉽게 흡인되지 않으면, 종자호퍼는 높은 피치로 수직으로 진동하여 종자호퍼(C)내의 종자를 교반하여 종자가 흡인팁(D5 및 D7)에 더 가까이 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종자가 위로부터 가공노즐(F1)의 내부파이프내로 투입됨에 따라, 플런저가 작동되어 겔화제로 피복된 종자가 그들 자체의 중량에 의해 하나씩 가공노즐(F1)의 정단부로부터 낙하되는 것과 연계되어 겔화제를 가공노즐(F1)의 정단부로부터 경화탱크(G)내로 분사한다.
경화탱크(G)내의 낙하된 피복종자가 스크루 피더(G1)에 의해 구동되어 탱크(G)를 통해 이동함에 따라, 종자를 피복하고 있는 겔하제 피막이 경화되어 겔피복종자를 생성하고, 따라서 그 다음 경화탱크(G)의 다른 측단부에 이른 겔피복종자가 스크루 피더(G1)의 회전운동과 동시에 공기출구(도시안됨)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에 의해 구동되어 경화탱크(G) 및 세척수탱크(J)를 구분하는 격벽(G3)(제23도 참조)을 타고 후자의 탱크(J)로 이동한다.
그 후에, 세척수탱크(J)로 이동된 겔피복종자가 스크루 피더(J1)에 의해 일어난 물흐름에 의해 구동되어 탱크(J)를 거쳐 이동함에 따라, 그것들이 세척수탱크(J)의 말단부에 이를 때까지 표면이 물로 세척되고, 여기서 그것들은 스크루 피더(J1)에 의해 구동되어 말단부(제23도 참조)의 격벽(J3)을 타고 겔피복종자 수용운반구(K)(제23도 참조)내로 이동하고, 그 다음 겔피복장치(A)의 하부에 배치된 생성물 수집기(도시안됨)내로 이동한다.
종자호퍼(C)에 남아 있는 종자는 항상 모니터되어 호퍼(C)내의 종자량이 소정 레벨 이하로 낙하될 때마다 추가의 종자가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공지된 겔피복장치(A)는 종자들이 부압하에 유지되는 흡인팁(D5 및 D7)에 의해 흡인될 때 높은 피치로 수직으로 진동하기 때문에 종자가 필연적으로 흡인팁(D5 및 D7)에 가까이 가지 못하고 후자에 의해 흡인되며, 따라서 종자호퍼내의 종자가 종자호퍼(C)내의 종자량에 따라 다른 정도로 다른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다는 단점을 수반한다.
그러한 공지된 겔피복장치(A)는 종자호퍼(C)내의 종자를 도약시키기 위해 전체 종자호퍼(C)가 수직으로 진동하기 때문에 공기실린더(C1) 주위의 종자호퍼(C)를 구동하기 위한 성분의 구성이 복잡하고, 종자호퍼(C)내의 일정량의 종자의 진동 때문에 종자가 종자호퍼(C)로부터 흔들려 떨어질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그러한 공지된 겔피복장치(A)는 필요할 때마다 추가의 종자를 공급하기 위해 종자호퍼(C)에 남아 있는 종자량이 항상 모니터되지 않으면 추가의 종자를 수동으로 공급하기 위해 겔피복장치(A)의 작동이 자주 중단되어야 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발명의 개요]
공지된 겔피복장치의 상기 단점 및 다른 문제점에 비추어,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종자를 겔화제로 피복하고 이 겔화제를 경화시켜 겔피복종자를 제조하기 위한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에 있어서, 가공될 종자를 그것들을 수용하는 종자호퍼에 남아 있는 종자량에 관계 없이 흡인팁에 의해 확실하고 안전하게 흡인하여 유지한 후에 그것들을 겔화제로 피복하는 하류 가공단계로 이동시킬 수 있는 종자공급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가공될 종자를 그것들을 수용하는 종자호퍼 밖으로 구동시키지 않고 확실하고 안전하게 교반시킬 수 있는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종자가 결화제로 종자를 피복하는 가공단계에 공급되어 호퍼에 남아있는 종자량이 감소됨에 따라 종자호퍼에 추가의 종자를 자동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목적은 폴리머 겔로 피복될 다수의 종자를 수용하기 위한 탱크본체와, 이 탱크본체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하도록 유지하기 위한 종자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종자배출구는 상기 탱크본체로부터 종자를 흡인하여 유지하고 그것을 탱크본체의 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탱크본체 외부에 위치한 흡인팁을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탱크본체내의 상기 종자는 공기제트흐름에 의해 반되는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에 있어서, 상기 종자배출구는 탱크본체의 외부에서 종자배출구를 마주보도록 위치한 상기 흡인팁을 수용하도록 상기 흡인팁의 외형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상기 탱크본체의 외부측의 상기 종자배출구에 배치된 대직경부와, 이 대직경부의 내경보다 작으나 종자를 통과시키기에 충분히 큰 내경을 갖는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측의 상기 종자배출구에 배치된 소직경부를 갖고, 상기 대직경부 및 상기 소직경부는 서로 연통하도록 유지되는 종자공급탱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겔치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는 그것의 탱크본체가 각각 상기 종자배출구의 것보다 큰 내경을 갖는 관통구를 갖고, 이 종자배출구가 각각의 상기 관통구에 제거가능하게 끼워지는 환상 어댑터의 내주부에 배치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는 추가로 서로 다른 외형을 가는 복수의 흡인팁을 구비하고 이 흡인팁중에서 각각의 가공될 종자의 외형에 가장 적합한 외형을 갖는 하나가 사용을 위해 선택되며, 또한 상기 복수의 흡인팁의 각 외형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내경의 각 종자배출구를 갖는 복수의 어댑터를 구비하고 이 어댑터중에서 각각의 가공될 종자의 외형에 가장 적합한 내경을 갖는 하나가 사용을 위해 선택된다.
상기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는 상기 탱크본체 내부의 하부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공기제트흐름을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로 분사하여 상기 가공될 종자를 교반하도록 설계된 공기챔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탱크본체내에서의 상기 가공될 종자의 상기 공기제트흐름에 의한 교반율은 상기 공기챔버와 상기 탱크본체 내부의 하단부 사이의 갭에 의해 정의된다.
본 발명의 제2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2목적은 폴리머 겔로 피복될 다수의 종자를 수용하기 위한 탱크본체로서, 이 탱크본체내의 종자가 공기제트흐름에 의해 상기 탱크본체내에서 교반되는 탱크본체와, 이 탱크본체 내부의 하부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탱크본체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공기제트흐름을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로 본사하여 상기 가공될 종자를 교반하도록 설계된 공기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탱크본체내에서의 상기 가공될 종자의 상기 공기제트흐름에 의한 교반율은 상기 공기챔버와 상기 탱크본체 내부의 하단부 사이의 갭에 의해 정의되는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는 그것의 탱크본체가 아치형의 내주면을 가져서 상기 공기침버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로부터 상기 내주면을 따라 아치형의 교반공기제트흐름을 형성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는 상기 공기침버가 상기 탱크본체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추가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3목적은 상기와 같은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로서, 추가적으로 탱크본체가 가공을 위해 상기 탱크본체에 수용될 종자를 수용하는 호퍼부와, 이 호퍼부의 내부를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유지하기 위한 슬릿을 구비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호퍼부의 내부로부터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로의 가공될 종자의 공급속도가 상기 슬릿의 면적에 의해 정의되는 종자공급탱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에 따르면, 탱크본체의 내부 및 외부는 흡인팁의 정단부가 종자배출구의 대직경부 및 소경부의 경계에 근접할 때까지 삽입됨에 따라 흡인팁 주위에 배치된 종자배출구에서 생성되는 작은 공기통로에 의해 서로 연통되도록 유지되며, 따라서 가공용 탱크본체에 수용된 종자를 교반하기 위한 공기제트흐름이 공기유통로에 의해 탱크본체로부터 부분적으로 누출된다.
따라서 탱크본체의 내부에 있는 종자를 그것들이 탱크본체로부터 부분적으로 누출되는 공기제트흐름에 의해 구동됨에 따라 종자배출구에 쉽게 접근할 수 있으므로 탱크본체내의 모든 교반종자는 탱크본체에 수용된 종자량에 관계 없이 흡인팁에 의해 확실하고 안전하게 흡인될 수 있다.
상기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가 그것의 탱크본체가 상기 종자배출구의 것보다 큰 내경을 각각 갖는 관통구를 가지도록 설계되고, 이 종자배출구가 각각의 관통구에 제거가능하게 끼워지는 환상 어댑터의 내주부에 배치되면, 대직경부 및 소직경부를 가지는 복잡한 외형의 종자배출구를 탱크본체에 직접 형성하는 귀찮은 작업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가 추가로 서로 다른 외형을 갖는 복수의 흡인팁을 구비하고 이 흡인팁중에서 각각의 가공될 종자의 외형에 가장 적합한 외형을 갖는 하나가 사용을 위해 선택되며, 또한 상기 복수의 흡인팁의 각 외형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내경의 각 종자배출구를 갖는 복수의 어댑터를 구비하고 이 어댑터중에서 각각의 가공될 종자의 외형에 가장 적합한 내경을 갖는 하나가 사용을 위해 선택되면, 흡인팁을 교체할 때마다 흡인팁에 가장 적합한 조립식 어댑터중 하나를 단순히 선택함으로써 종자배출구의 내경을 제위치의 흡인팁의 외형에 쉽게 적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가 상기 탱크본체 내부의 하부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탱크본체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공기제트흐름을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로 분사하여 상기 가공될 종자를 교반하도록 설계된 공기챔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탱크본체내에서의 상기 가공될 종자의 상기 공기제트흐름에 의한 교반율이 상기 공기챔버와 상기 탱크본체 내부의 하단부 사이의 갭에 의해 정의되면, 가공용 탱크본체에 수용된 종자의 공기제트흐름에 의한 교반율은 탱크본체에 수용된 종자량에 관계 없이 실질적으로 일정한 레벨로 유지된다.
상기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가 그것의 탱크본체가 아치형 내주면을 가져서 상기 공기 챔버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로부터 상기 내주면을 따라 아치형 교반공기제트흐름을 형성하도록 설계되면, 탱크본체에 수용된 종자는 탱크본체에 수용된 종자량에 관계 없이 실질적으로 일정한 방향으로 공기제트흐름에 의해 교반된다.
상기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가 상기 공기챔버가 상기 탱크본체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추가적으로 설계되면, 탱크본체에 수용된 종자의 공기제트흐름에 의한 교반율은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공기챔버와 탱크본체 내부의 하단부 사이의 갭을 조절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가 추가적으로 탱크본체가 가공용 상기 탱크본체에 수용될 종자를 수용하는 호퍼부와, 이 호퍼부의 내부를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로부터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로의 가공될 종자의 공급률이 상기 슬릿의 면적에 의해 정의되면, 종자가 그것들을 겔로 피복하는 하류단계로 점차 이동됨에 따라 탱크본체내 종자량이 소정 레벨 이하로 낙하될 때마다 탱크본체의 내부로 자동적으로 공급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다른 목적 및 특징은 첨부도면과 관련된 다음 설명에 의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
이제 본 발명을 본 발명에 따른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종자공급탱크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이용한 겔피복장치의 개략정면도이다. 제2도 및 제3도는 각가 제1도의 겔피복장치의 평면도 및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상기 겔피복장치는 일반적으로 부재번호 1로 표시되고, 다른 성분들과 함께 하우징(3), 종자공급부(5), 겔피복부(7), 종자이송부(9), 겔경화부(11) 및 겔세척부(13)를 초함한다.
제3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3)은 종축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의 평면형상을 갖는 측면개방 주프레임(31)과 주프레임(31)의 후단부에 가깝게 배치된 보조프레임(33)을 포함한다. 주프레임(31)은 그것의 4개의 바닥코너에 배치된 4개의 바퀴(34)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수평보강프레임(35)은 주프레임(31)의 중간 높이보다 약간 위에 배치된다.
보조프레임 및 종자공급부의 확대평면도를 도시하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상부 주빔(36)이 보조프레임(33)의 정단부에 그리고 후단부의 약간 전방에 위치한 선상에 수평으로 배치된다.
한쌍의 상부 보조 측면빔(37)은 쌍으로 된 주빔(36)들 사이에 종축으로 연장되고, 보조프레임(33)을 따라 소정 거리를 두고 분리된다. 가이드레인(38)은 또한 보조 빔(37)과 평행하게 종축으로 연장된다(제5도 참조).
제1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방 횡단빔(39)은 그 높이의 중간보다 약간 위의 레벨로 보조프레임(33)의 측전방 프레임 부재들 사이에 수평으로 연장된다.
더욱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지지패널(36a)은 상부 주빔(36)의 중간점 부근에 그리고 제4도의 좌측에 도시된 상부 보조빔(37)에 약간 가깝게 위치하고, 한쌍의 가이드 샤프트(36b)는 지지패널(36a) 사이에 서로 평행하게 수평으로 연장된다.
상기 종자공급부(5)는 겔로 코팅될 원료종자를 수용하고,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프레임(33)의 내부의 상기 주프레임(31)상에 배치된다. 그것은 주프레임(31)상에 단단히 고정된 기재(51)와 기재(51)에 단단히 고정된 종자탱크(종자공급탱크로서 작동)를 포함한다.
제5도는 종자공급부 및 종자이송부의 부분절단 개략정면도이고 제6도는 종자공급부의 확대개략 평면도이고 제7도는 종자공급부 및 종자이송부의 확대개략측면도이다. 제6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기재(51)는 주프레임(31)의 측면 프레임 부재들 사이에 연장되는 측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평면형상 갖고, 한쌍의 가이드레일(51a)은 각각 기재(51)의 전방 및 후방에지를 따라 연장된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가이드레일(51a)은 미끄럼패널(51c)과 맞물려 이를 제거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해 가이드 레일의 내측벽상에 형성된 가이드홈(51b)을 구비한다. 따라서 미끄럼패널(51c)은 제6도의 우측으로 잡아당겨져 그것을 가이드홈(51b)으로부터 꺼낼 수 있다.
제6도에서 부재기호51d는 미끄럼패널(51c)을 잡아당기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미끄럼패널(51c)의 손잡이를 표시한다.
상기 종자탱크(53)는 상기 미끄럼패널(51)상에 배치되고 전형적으로 아크릴수지로 제조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은 미끄럼패널(51c)의 각 측방에지를 따라 서로 평행하게 직립하는 한쌍의 측벽(53a)과, 측벽(53a)들 사이에 배치된 탱크본체(53b) 및 호퍼(53c)를 포함한다.
제6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탱크본체(53b)는 원통형 주벽(53d)에 의해 정의되고 한쌍의 측단벽(53a)에 근접한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외형을 가진다.
탱크본체(53b)의 주벽(53d)은 그것의 하부위치에 상기 측단벽(53a) 사이에서 연장되는 평평하고 직사각형인 슬릿(53e)을 구비한다. 상기 슬릿(53e)은 H1의 높이(또는 슬릿의 치수)를 가진다.
제5도의 부분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8개의 관통구(53f)는 상기 주벽(53d)의 상단부에 있는 수평선을 따라 규칙적 간격으로 배치된다. 각각의 관통구(53f)는 환상 어댑터(53g)를 제거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으며, 이 어댑터는 그것의 실질적으로 중앙에 관통구(53a)(종자배출구로서 작동)를 구비한다.
상기 어댑터(53g)의 관통구(53a)의 주벽은 탱크본체(53d)의 주벽(53d) 외부측에 위치되는 대직경부(53h)와 탱크본체(53b)의 주벽(53d) 내부측에 위치되는 소직경부(53j)를 갖고, 상기 대직경 및 소직경부(53h 및 53j)는 계단부(53k)에 의해 구분된다.
서로 다른 내경을 갖는 관통구(53a)를 가지는 어댑터(53g)가 구비되어서, 각각의 가공될 종자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구(53a)들 중에서 가장 작은 관통구(53a)를 가지는 어댑터(53g)가 선택되어 각각의 관통구(53f)에 끼워질 수 있다.
작은 원통형 공기챔버(53m)는 대향 배치된 측단벽들 사이의 상기 탱크본체(53b) 내부로, 그리고 상기 슬릿(53e)의 높이(H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탱크본체(53b) 바닥으로부터 높이 H3(또는 탱크본체와 공기챔버의 바닥을 구분하는 갭)으로 수평으로 연장된다.
상기 공기챔버(53m)는 측단벽(53a)들 사이의 중간점에서 두 개의 측부로 분할되고, 각각의 공기챔버부(53m)는 제5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 (53e) 반대편에 공기챔버(53m)의 주벽측면을 따라 규칙적 간격으로 수평으로 배치된 복수의 공기출구(53n)를 구비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커플러(53p)가 각각의 공기챔버부(53m)에 그것의 단부에서 연결된다. 각각의 커플러(53p)는 탱크본체(53b)의 바닥을 통해 후자의 외부로 연장되는 한편, 그것의 내단부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본채(53b)의 뒤에 인접하여 위치한 기재(51)상에 단단히 고정된 매니폴드(53r)의 커플러(53s)중 하나에 연결된다.
상기 매니폴드(53r)는 감압장치(도시안됨)에 의해 겔피복장치(1) 외부의 공기압축기(도시안됨)로부터 압축공기가 공급되고, 공급된 압축공기는 각 커플러(53s 및 53p)와 고압호스를 통해 분할된 공기챔버부(53m)로 더 공급된다.
상기 호퍼(53c)는 상기 탱크본체(53b)의 슬릿(53e)의 상부에지위의 주벽(53d)상의 한 위치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직립하는 전방패널(53t)과, 탱크본체(53b)로부터 떠나는 슬릿(53e)의 하부에지로부터 기울어져 상향으로 연장되고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직립하는 정단부를 가지는 후방패널(53v)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방패널(53v)은 탱크본체(53b)의 주벽(53d)과 일체로 형성되고 후자를 탱크본체(53b)의 바닥에 있는 종축 선을 따라 연결한다.
상기 겔피복부(7)에 공급된 종자는 겔화제로 피복되어 겔피복종자가 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겔피복부(7)는 상기 주프레임(31)상의 상기 보조프레임(33)의 전방에 배치되며, 주프레임(31)의 측방에지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기판, 기판(71)상에 배치된 노즐블록(73), 노즐블록(73)의 전방에 직접 배치되고 기판(71)에 단단히 고정된 겔수용블록(75), 셀수용블록(75)에 연결된 8개의 압축공기실린더(77)와 8개의 배기밸브(78), 및 겔수용블록(75)에 겔화제를 공급하기 위한 매니폴드(79)를 포함한다.
제9도는 겔피복부의 확대개략측면도이고, 제10도는 겔피복부의 확대개략평면도이고, 제11도는 겔피복부의 확대개략측면도이다.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71)은 횡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평면형상을 갖고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프레임(33)의 상기 전방횡단빔(39)상에 유지된다. 이 조건하에, 기판(71)은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횡단빔(39)의 전방으로부터 하향 돌출된 한쌍의 측변 배치된 보강패널에 의해 후평으로 지지된다.
상기 노즐블록(73)은 상기 기판(71)의 측방에지들 사이에 배치되고 실질적으로 역 U자형 정면형상을 가지는 기저프레임(74)상에 배치된다. 제10도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블록(73)은 기판(71)과 같이 횡축으로 긴 직사각형 평면형상을 가지나, 기판(71)보다 종축으로 더 짧다.
총 8개의 종자입구(73a)는 상기 노즐블록(73)의 정상벽상에 규칙적 간격으로 횡으로 비치되고, 8개의 밸브(73b)는 각 종자입구(73a)에 적확히 대응하는 상기 노즐블록(73)의 바닥벽상에 대향 배치되는 반면, 밸브(73b)는 제12도의 확대측단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자입구(73a)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진다.
각 종자입구(73a) 및 이것에 대응하는 밸브(73b)는 노즐블록(73)을 통해 수직으로 관통하는 총 8개의 통로(73c) 각각에 의해 서로 연통되도록 유지된다.
각 통로(73c)는 대응하는 종자입구(73a)와 연통하고, 종자입구(73a)의 직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는 대직경부(73d)와 밸브(73b)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큰 직경을 갖는 대응하는 밸브(73b)와 연통하는 소직경부(73e)를 갖고, 대직경부(73d) 및 소직경부(73e)는 그것의 내주상에 통로(73c)의 중간점으로부터 종자입구(73b)에 좀 더 가까운 위치에 위치한 계단부(73f)에 의해 구분된다.
각각의 통로(73)는 내부에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원통형 플런저(73h)를 수용한다.
플런저(73h)는 상기 소직경부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고, 통로(73c)의 대직경부(73d)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플랜지(73j)를 그것의 외주상에 구비한다. 플런저는 플랜지(73j)로부터 떨어진 그것의 단부(하단부)에 가까운 부분에 그것의 다른 단부(상단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감소된 직경부(73k)를 구비한다.
상기 플런저(73h)는 플랜지(73j)가 통로(73c)의 계단부(73f)에 인접하고 그것의 하단부가 노즐블록(73)의 하부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이 될 때까지 하향의 감소된 직경부(73k)를 갖는 종자입구(73a)를 통해 위로부터 통로(73c)내로 삽입되고, 따라서 플런저(73h)의 주면은 그것의 하단부테 가까운 부분에서 상기 밸브(73b)의 내주면과 단단히 접촉되나 플런저(73h)의 상단부는 종자입구(73a)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된 채 남아있다.
이 상태하에서, 환상공간(73m)이 통로(3c)의 소직경부(73e)와 플런저(73h)의 감소된 직경부(73k) 상이에 형성되며, 관통구(73n)에 의해 겔수용블록(75)을 마주보도록 위치한 노즐블록(73)의 전방과 연통되도록 유지된다.
또한 이 상태하에, 또 다른 환상공간(73p)이 그것의 상단부()에 가깝고 플랜지(73j)위에 있는 플랜저의 주면부분과 코일스프링(73r)을 수용하는 통로(73c)의 대직경부(73d) 사이에 형성된다. 대직경부(73d)는 암나사(73g)를 구비하고, 이곳으로 캡(73t)의 수나사(73t)가 들어가서 플랜지(73j)가 나사형 캡(73s)의 수나사(73t) 말단부에 의해 하향 압축되는 코일스프링(73r)에 의해 하향추진된다.
따라서 플런저(73h)는 코일스프링(73r)의 탄성력의 효과로 하향추진되어 밸브(73b)를 그것의 감소된 직경부(73k)에 접근시킨다. 제12도에서, 부재기호 73v는 플런저(73h)를 관통하고, 조립식의 다른 어댑터(53g)의 대직경부(53h)중 최대인 어댑터(53g)의 대직경부(53h)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내경을 가지는 통로를 표시한다.
상기 기저프레임(74) 및 상기 기관(71)은 밸브(73b)로부터 낙하된 겔화제의 방울이 기판(71) 아래로 더 낙하하도록 허용하는 각 관통구(74a 및 71b)를 상기 밸브(73b)에 면하는 그것의 각 부분에 구비한다.
어댑터(53g)의 경우에서와 같이, 다른 플런저(73h)는 감소된 직경부(73k)에 대해 서로 다른 외경을 구비하여서, 종자 크기의 관점에서 최적 환상공간(73m)을 형성하고 그것을 각각의 상기 통로(73c)에 배치하기에 양호한 감소된 직경부(73k)를 갖는 플런저(73h)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종자공급부(5)로부터 겔피복부(7)로 이동하는 종자를 피복하기에 양호한 속도로 겔화제가 낙하하도록 할 수 있다.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겔수용블록(75)은 상기 노즐블록(73)의 것에 대응하는 횡단길이를 갖는 횡축으로 긴 직사각형의 평면형상을 보여준다.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8개의 하향 개방 수직 겔통로(75a)는 노즐블록(73)의 각 통로(73c)에 대응하는 위치의 겔수용블록(75)에 규칙적 간격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상기 겔통로(75a)는 그것의 후면측의 상부위치에서 노즐블록(73)의 관통구(73n)중 대응하는 것과 연통하는 수평관통구(75b)를 구비하여서, 결과적으로 상기 겔통로(75a)는 노즐블록(73)의 관통구(73b) 및 대응 관통구(73n)에 의해 노즐블록(73)의 대응 통로(73c)의 공간(73m)과 연통한다.
각각의 상기 압축공기시린더(77)는 겔수용블록(75)의 대응 관통구(75b)의 정방위치에 수평연결되고, 압축공기실린더(77)의 내부는 상기 관통구(75b)보다 낮은 위치에서 대응 겔통로(75a)와 연통되어 있다.
제12도의 부재기호 75c는 대응 압축공기실린더(77)가 왕복이동하는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제어기를 표시한다.
각각의 상기 겔통로(75a)는 그것의 하단부에 겔통로(75a)밖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겔의 역류를 체크하기 위한 체크밸브(75d)를 구비한다.
각각의 배기밸브(78)는 전방으로 약 45°경사지고 정면의 비스듬한 정상부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여기서 대응 압축공기실린더(77)가 연결되고 배기밸브(78)의 내부가 그것의 상부에서 대응 겔통로(75a)와 연통되도록 유지된다.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니폴드(79)는 형태가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기판(71)에 의해 그 사이에 제공되는 갭을 갖는 압축공기실린더(77) 아래에 배치된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니폴드(79)는 기판(71)의 하부면에 대응 위치로부터 하향연장된 한쌍의 브래킷(71c)에 의해 양 단부에 매달려 폐쇄되어 있다.
상기 매니폴드(79)는 그것의 단부에서 그 사이에 삽입된 대응 브래킷(71c)을 갖는 제거가능한 커플러(79a)와 연결되어 있고, 그 커플러(79a)는 이어서 고압호스 및 펌프(도시안됨)에 의해 겔화제탱크(도시안됨)에 연결된다.
매니폴드(79)는 그것이 외주면의 후방부에 규칙적 간격으로 횡으로 배열된 총 8개의 커플러(79b)를 구비하여서, 커플러가 그것의 단부에서 매니폴드(79)의 외주면과 연결되고 그것의 다른 단부에서 기판(71)의 관통구(71d)에 의해 겔수용블록(75)의 겔통로(75a)의 대응하는 각 하단부와 연결된다.
상기 종자이송부(9)는 작동되어 종자를 종자공급부(5)로부터 겔피복부(7)로 이동시키며,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겔피복장치(1)상에 종축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병진운동대(91), 병진운동대(91)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매니폴드(93), 매니폴드(93)에 의해 지지되는 흡인팁(95), 및 병진운동대(91)에 견고히 고정된 진공펌프(97)를 포함한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진운동대(91)는 기판(91a)과 상기 기판(91a)을 이동시키기위한 로들리스 자기실린더(91b)를 포함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91a)은 횡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평면형상을 갖고 보조프레임(33)의 측면 프레임 부재들 사이에 뻗어있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은 보조프레임(33)위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슬라이더(91c)는 제5도에서 보조프레임(33)의 좌측 프레임 부재에 가까운 위치에서 기판(91a)의 하면부에 끼워진다.
제5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91c)는 그것의 하부면상에 좌상부 보조빔(37a)상에 배치된 가이드 레일(38)을 맞물리도록 수용하는 가이드홈(19d)을 구비한다.
제4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기판(91a)은 쌍으로 된 상부 주빔(36)들 사이에 배치되고, 칼라장착 블록(91e)은 가이드샤프트(36b)가 위치한 위치에서 기판(91a)의 하부면에 끼워져서 가이드샤프트(36b)는 블록(91e)의 각 칼라를 통해 종축으로 관통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들리스 자기실린더(91b)는 상부 주빔(36)의 지지패널(36a)들 사이에 그리고 또한 쌍으로 된 가이드 샤프트(36b)의 대략 중간에서 뻗어 있고, 기판(91a) 아래에 위치하고 기판(91a) 및 쌍진 블록(91e)을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서 쌍진 블록(91e)들 사이에 뻗어 있는 실린더 배럴(91f)을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 배럴(91f)은 그것의 상부에 실질적으로 실린더 배럴(91f)의 전체길이를 따라 뻗은 슬릿(91h)을 구비하고, 내부에 마그네트의 효과하에 실린더 배럴(91f)의 양 단부 사이에서 미끄러지게 이동가능한 피스톤 요크(도시안됨)를 구비한다.
상기 실린더 배럴(91f)은 또한 상기 피스톤 요크로 미끄러지게 이동하고 슬릿(91h)을 통해 실린더 배럴(91f)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피스톤 장착부(91j)를 구비한다. 브래킷(91k)은 나사(91m)에 의해 피스톤 장착부(91)에 견고히 고정되고, 상기 기판(91a)의 쌍진 블록(91e)들 사이에서 그것으로부터 매달린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외 같이, 상기 메니포드(93)는 상기 종자탱크(53)의 폭보다 약간 더 작은 폭을 갖고, 제7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폐쇄된 원형의 양 단부를 갖는 대략 원통형이고 승강기구(94)에 의해 상기 기판(91a)으로 지지된다.
상기 승강기구(94)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기판(91a)의 저면에 매달린 한쌍의 측패널(94a), 각 측패널(94a)의 내부에 배치된 한쌍의 승강프레임부재(94b), 승강프레임부재(94b)에 의해 각각 그것의 양 측단부에 수평으로 배열되어 유지된 홀더패널(94c), 및 홀더패널(94c)을 상기 기판(91a)에 대해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공기실린더(94d)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패널(94a)은 그것의 내면상에 수직으로 뻗은 각 가이드레일(94e)을 구비한 반면, 상기프레임부재(94b)는 그것의 외면상에 각 슬라이더(94f)를 구비하여,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94f)의 각각의 외면상에 배열된 가이드홈(94g)이 측패널(94a)의 각각의 가이드레일(94e)과 맞물린다.
상기 홀더패널(94c)은 기판(91a)의 길이보다 긴 종축 길이를 갖고, 그것의 후방에지가 상기 기판(91a)의 종축 길이의 대략 중간에 위치할 때 그것의 전방에지가 기판(91a)의 상대방의 먼 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공기실린더(94d)는 상기 블록(91e)의 좌측에 위치하는 기판(91a)상의 전방위치에 끼워지는 반면, 상기 공기실린더(94d)의 실린더 로드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91a)을 거쳐 통과하고 상기 홀더패널(94c)의 후단부에 밀접한 위치에서 조인트 로드(94b)에 의해 홀더패널(94c)의 상부면상에 끼워진다.
상기 매니폴드(93)는 상기 홀더패널(94c)의 하부면상에 후자의 전방에지를 따라 끼워지고, 매니폴드(93)의 주벽에 후단부를 따라 횡으로 떨어져 공간을 둔 한쌍의 커플러(93a)를 구비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8개의 관통구(93b)는 상기 탱크본체(53b)의 각 관통구(53f)에 대응하는 각 바닥위치에 횡으로 규칙적 간격으로 상기 매니폴드(93)의 주벽을 통해 형성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쌍진 커플러(93a)는 공기실린더(94d)에 대해 그것의 후단부에 밀접한 위치에서 홀더패널(94c)의 저면에 끼워진 포크 조인트(94j)에 각 고압호스에 의해 연결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인팁(95)은 원통형 외형을 갖고, 상기 매니폴드(93)의 각 관통구(93b)에 제거가능하게 끼워진다. 흡인로(도시안됨)는 각각의 흡인팁(95)의 축을 따라 형성되고 매니폴드(93)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유지된다.
탱크본체(53)의 어댑터(53g)의 경우에서와 같이, 다른 흡인팁(95)은 흡인로의 서로 다른 외경 및 내경을 구비하여서, 최적 흡인팁(95)이 종자의 흡인 및 유지의 관점에서 선택되고, 흡인팁(95)이 각 어댑터(53g)의 관통구(53a)의 대직경부(53h)내로 안전히 끼워지도록 하는 외경을 가질 때 각 관통구(93b)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로들리스 자기실린더(91b)는 승강기구(94)재의 공기실린더(94d)가 수축될 때, 흡인팁(95)의 전단부가 탱크본체(53b)의 대응 어댑터(53g)위에 각각 위치하는 후방위치와 흡인팁(95)의 전단부가 노즐블록(73)의 대응 종자입구(73a)위에 각각 위치하는 전방위치 사이에서 그것의 피스통 장착부(91j)의 종축 미끄럼운동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한편, 상기 로들리스 자기실린더(91b)는 또한 흡인팁(95)의 전단부가 피스톤 로드가 상기 로들리스 자기실린더(91b)의 전방 위치에서 신장될 때 대응 어댑터(53g)의 각 계단부(53k)보다 약간 위에 위치하고, 피스통 로드가 상기 로들리스 자기실린더(91b)의 전방 위치에서 신장될 때 대응 종자입구(73a)의 통로(73c)에서 플런저(63h)의 각통로(73v)내로 삽입되도록 충분히 높이 위치하도록 설계된다.
공기실린더(94d)가 상기 로들리스 자기실린더(91b)의 후방위치에서 연장될 때, 약간의 갭이 각각의 어댑터(53g)와 대응 흡인팁(95) 사이에 형성되고 탱크본체(53b) 내부가 이 갭을 통해 탱크본체(53g) 외부와 연통된다는 것을 주의하여야 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펌프(97)는 기판(91a)의 블록(91e)의 반대편에 위치한 위치에서 시트(97a)상에 끼워지고 그 위에 사일렌서(97b)를 구비한다. 한편, 제5도에서 상기 진공펌프(97)의 좌측위치의 기판(91a)상에는 공기필터(99)가 끼워지고 그들 사이에 매니폴드(98)가 삽입된다.
상기 진공펌프(97)는 고압호스(도시안됨)에 의해 공기 필터(99)에 연결되고, 상기 공기필터(99)는 다시 제4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매니폴드(98)쪽에서 보면 겔피복장치(1)의 후방위치에서 기판(91a)상에 위치한 압축센서(97c)에 연결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매니폴드는 고압호스(도시안됨) 및 상기 포크조인트(94j)에 의해 매니폴드(93)의 한쌍의 커플러(93a)에 연결된다.
상기 겔수용부(11)는 겔피복종자를 위해 경화제를 겔화제와 반응시킴으로써 겔피복부(7)로부터 나오는 각각의 종자의 겔화제 피막을 경화시키도록 설계되며, 경화탱크(111), 겔가이드기구(113) 및 경화제공급기구(115)를 포함한다.
제13도는 본 장치의 겔경화부 및 겔세척부의 부분절단화대 개략정면도이고, 제14도는 겔경화부의 확대개략평면도이고, 제15도는 제14도의 A-A선을 따라 얻은 개략단면도이고, 제16도는 제14도의 B-B선을 따라 얻은 개략단면도이다.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화탱크(111)는 겔피복장치(1b)의 상기 겔피복부(7)의 노즐블록(73)의 폭보다 약간 더 큰 폭을 갖고, 겔피복장치(11)의 종축으로 긴 직사각형의 평면형상을 보인다.
상기 겔경화탱크(111)는 주프레이임(31)의 수평 보강프레임(35)의 측면 프레임 부재를 가교하는 한쌍의 박판(35a)에 의해 그것의 전방 및 후방단부에서 지지된다.
상기 겔경화탱크(111)는 액체공급탱크부(111a), 반응탱크부(111b), 종자낙하구(111c), 액체배수탱크부(111d) 및 액체우회로(111e)를 포함한다.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체공급탱크부(111a)는 겔피복장치(1)의 후단부 근처에 위치한 겔경화탱크(111)내에 배치되고, 겔피복장치(1)내의 액체공급탱크부(111a)의 전단측에 위치한 반응탱크부(111b)에 인접한다. 제15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반응탱크부(111b)에 인접한다. 제15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반응탱크부(111b)의 바닥은 액체공급탱크부(111a)의 바닥보다 높은 레벨에 위치한다.
상기 액체공급탱크부(111a)는 그것의 종축 중간점에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으로부터 반응탱크부(111b)의 바닥보다 높으나 액체공급탱크부(111a)의 상단부보다 낮은 높이까지 가로질러 직립하고 겔경화탱크(111)의 측벽들 사이에서 전부 뻗어 나온 정류막(111g)을 구비한다. 정류막(111g)은 그것의 기저부에 전방 및 후방 개구를 가진다.
상기 정류막(111g)보다 겔피복장치(1)의 전단부에 더 가깝고 따라서 반응탱크부(111b)에 더 가까운 겔경화탱크(111) 부분은 상기 겔피복부(7)의 노즐블록(73)에 형성된 8개의 밸브(73b) 아래에 배치된다. 한편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겔경화탱크(111)는 정류막(111g)보다 겔피복장치(1)의 후단부에 더 가까운 위치에서 바닥상에 액체공급구(111h)를 구비하고, 겔경화탱크(111)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플라스틱 패널을 만곡시켜 제조된 스크린패널(111j)은 또한 정류막(111g)보다 겔피복장치(1)의 후단부에 더 가까운 위치에서 겔경화탱크(111)에 배치되고 액체공급구(111h)를 커버하기에 적합하다.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응탱크부(111b)는 겔피복장치(1)의 전단부에 가까운 위치의 바닥에서 경사진 측면 형상을 갖고 정류막(111g)의 높이보다 높고 겔경화탱크(111)의 상단부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액체 차단막(111k)를 구비한다.
상기 액체 차단막(111k)의 후방 경상부(111m)는 상향으로 오목한 곡면을 구비한다.
상기 종자낙하구(111c)는 액체 차단막(111k)의 전방에지의 앞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쪽으로 접차 감소되는 폭을 갖는 깔대기 형상의 외형을 가진다. 그것은 각각 겔경화탱크(111)의 상하의 상부 및 하부통로를 획정하고, 하부통로는 겔경화탱크(111)의 전단부를 지지하는 박판(35a)뒤에 위치한다.
횡으로 그리고 하향으로 뻗어 있는 경사진 외형을 갖는 또 다른 스크른 패널(111n)이 종자낙하구(111c)내에 배치된다.
상기 액체배수탱크부(111d)는 종자낙하구(111c)에 인접하고 겔피복장치(1)의 후단부에 가까이 배치된다.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은 횡방향 중간접에 배치된 격벽(111p)에 의해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은 횡방향 중간점에 배치된 격벽(111p)에 의해 제14도에서 겔경화탱크(111)의 우측에 위치한 탱크홀더부(111r)와 겔경화탱크(111)의 좌측에 위치한 정제부(111s)로 분할된다. 상기 탱크홀더부(111r)는 액체공급탱크부(111)의 바닥보다 높고 반응탱크부(111b)의 바닥보다 약간 낮은 레벨에 위치된 바닥을 갖고, 제13도 및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의 맞물림 돌출부(111t)는 액체 차단막(111k)의 상단부보다 약간 더 높은 높이로 탱크홀더부(111r)의 바닥의 대략 중앙에서 직립한다.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홀더부(111r)는 그것의 측벽에 배수 스위치 밸브(111v)를 더 구비한다.
더욱이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탱크홀더부(111r)는 그것의 바닥의 4개 코너에 각각 스페이서(111w)를 구비하고, 이 스페이서(111w)는 제16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액체차단막(11k)의 상단부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의 상단부를 가진다.
상기 정제부(111s)의 바닥은 액체공급탱크부(111a)의 바닥보다 높고 탱크홀더부(111r)의 바닥보다 약간 낮은 레벨에 있고, 측벽에 가까운 위치에서 경화제에 함유된 종자 부스러기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111x)를 구비한다. 액체배출구(111y)는 필터(111x) 아래에 배치된다.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111p)은 종자낙하구(111c)에 가까이 위치된 전방 위치에 탱크홀더부(111r) 및 정제부(111s)를 서로 연통하도록 유지하기 위한 노치(111z)를 구비한다.
상기 액체우회로(111e)는 액체차단막(111k)보다 액체공급탱크부(111a)에 더 가깝게 위치한 반응탱크부(111b)의 측벽부와 액체배수탱크부(111d)의 측벽구를 연결시키고, 겔경화탱크(111)의 옆쪽으로 뻗는다.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우회로(111e)에 연결된 반응탱크부(111b)의 측벽부는 겔화제에 의해 피복되어 겔피복부(7)의 밸브(73b)로부터 낙하하는 종자의 진입을 제어하는 빗형상 격자(111A)에 의해 덮인다.
액체공급탱크부(111a)의 액체공급구(111h)와 정제부(111s)의 액체배출구(111y)는 액체공급호스(117) 및 자기펌프(119)에 의해 연결된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경화제탱크(도시안됨)는 공급경로를 바꾸기 위한 전환밸브(도시안됨)에 의해 자기펌프(119)의 상류(배수구(111y)쪽)에 위치한 액체공급호스(117) 부분에 연결된다.
전환밸브가 경화제탱크쪽으로 전환되고 자기펌프(119)가 작동될 때, 경화제탱크(111)내의 경화제는 액체공급호스(117)에 의해 액체 공급구(111h)로부터 액체공급탱크부(111a)로 공급되고, 그 다음 전체 겔경화탱크(111)에서의 겔경화제의 레벨이 그것의 상하 양 단부 사이에 위치한 액체차단막(111k)에서의 액체 레벨과 같은 높이가 될 때까지 반응탱크부(111b), 액체우회로(111e) 및 탱크홀더부(111r), 격벽(111p) 빛 액체배수탱크부(111d)의 정제부(111s)내로 순차적으로 더 공급된다.
정제부(111s)의 액체배출구(111y)로부터 배출되는 경화제는 전환밸브를 액체배출구(111y)쪽으로 전환하고 자기펌프(119)를 작동시킴으로써 액체공급호스(117) 및 액체공급구(111h)에 의해 병진운동대(91)로 역공급된다.
상기 겔가이드기구(113)는 벨트컨베이어(113a)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가이드패들(113b), 벨트컨베이어(11e)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113c), 및 모터(113c)의 회전운동을 벨트컨데이어(113a)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113d)를 포함한다.
상기 벨트컨베이어(113a)는 한쌍의 풀리(113e)를 배열하고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단 벨트(113f)에 의해 그것들을 연결함으로써 구성된다.
상기 풀리(113e)는 정류막(113g)보다 오히려 반응탱크부(111b)에 더 가깝게 위치한 액체공급탱크부(111a) 부분을 향한 그들 각각의 축과 평행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겔화제가 겔피복부(7)의 밸브(73b)로부터 낙하하는 위치에 비해 상류에 그리고 반응탱크부(111b)에 비해 상류에 그리고 액체 차단막(11k)보다 액체공급탱크부(111a)에 더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리(113e)는 겔피복장치(1)의 종축의로 배치된 한쌍의 지지판(31f)에 의해 그것의 양 단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지지판(31f)의 전방 및 후방에지에 가까운 각 위치에 위치한다. 쌍진 지지판(31f)은 다음에 그것의 전방에지에서 상기 주프레임(31)에 의해 상기 주프레임(31)의 대략 중간에서, 그리고 그것의 후방에지에서 주프레임(31)의 측프레임 부재들 사이에 배치된 한쌍의 기판(31e)에 의해 상기 주프레임(31)의 전단부에 가까운 위치에서 지지된다.
제1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벨트(113f)는 겔경화탱크(111)의 측방에지를 실질적으로 가교하는 폭을 가진다.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패들(113b)은 벨트(113f)의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직립하고, 상기 벨트(113f)는 서로 평행하게 뻗는 선형 절편을 갖는 종축으로 긴 타원형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패들(113b)은 벨트(113f)의 폭에 대응하는 폭과 이 폭보다 상당히 작은 높이를 갖는 대략 직사각형의 평면형상을 가진다.
또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가이드 패들(113b)은 높이를 따라 뻗는 복수의 슬릿(113g)을 구비하고, 규칙적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가이드 패들(113b)은 상기 반응탱크부(111b)의 바닥을 마주 보도록 배치된 벨트(113f) 부분으로부터 돌출하는 그것의 전단부가 작은 간격으로 반응탱크부(111b)의 측벽 및 바닥으로부터 분리되고 액체공급탱크부(111a)위에 위치한 풀리(113e)의 둥근 표면주위에 배치된 벨트(113f) 부분으로부터 돌출하는 그것의 전단부가 작은 간격으로 액체차단막(111k)의 후방 경사부(111m)로부터 분리되어 그것이 후방 경사부(111m)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113c)는 쌍진 기판(31e)의 종축 중간점 부근에 위치하는 쌍진 지지판(31f)을 가교하는 기판(35c)상에 지지된다.
상기 동력전달부(113d)는 기판(35c)상에 지지된 모터(113c)의 출력샤프트에 연결된 감속기어장치(113h)와 감속기어장치(113h)의 출력샤프트 및 겔피복장치(1)의 전방풀리(113e)의 샤프트를 연결하도록 배치된 벨트-풀리장치(113j)를 포함한다.
상기 벨트컨베이어(113e)는 겔경화탱크(111)에서 경화제와 면하는 부분이 액체공급탱크부(111a)쪽으로부터 액체배출탱크부(111d)쪽으로 모터(113c) 및 동력전달부(113d)에 의해 구동되도록 설계된다.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화제공급장치(115)는 저장탱크(115a) 및 켑(115)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탱크(115a)는 겔경화탱크(111)에 수용된 경화제의 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 고농축 경화제를 저장하도록 설계되며,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긴 직사각형의 정면형상으로 보여준다. 제14도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은 탱크홀더부(111r)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저장탱크(115a)는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의 하부면의 중앙에서 탱크의 내부를 탱크의 외부와 연통하도록 유지하는 탱크개구(115c)를 구비한다.
상기 캡(115b)은 이것을 탱크개구에 돌려넣을 때 탱크개구(115c)를 밀봉하도록 설계된다. 제17도의 확대측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15b)은 캡을 탱크개구(115c)내로 제대로 돌려넣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상에 오목부(115d)를 갖고, 작은 직경을 갖는 미끄럼핀(115)은 오목부(115d)의 바닥면의 중앙을 통해 통과하도록 만들어진다.
관통구(115e)는 캡(115)의 내부를 그것의 외부와 연통하도록 유지하기 위해 미끄럼핀(115f)을 따라 캡(115b)을 통해 형성된다.
상기 미끄럼핌(115f)의 외단부는 상기 오목부(115d)내로 뻗어 있고, 그것의 내단부는 캡(115b)의 내부에 위치하고 관통구(115e)내에 끼워지는 고무마개(115g)를 구비한다. 상기 미끄럼핀(115f)은 그것의 단부에 배치된 플랜지와 오목부(115d) 바닥의 주변부에 끼워진 코일스프링(111h)의 협력하에 캡(115b) 외부로 돌출하도록 만들어지고, 상기 오목부를 통해 미끄럼핀(115f)이 삽입되어 고무마개(115)가 관통구(115e)를 폐쇄하도록 추진된다.
캡(115b)이 탱크개구(115c)내로 돌려넣어지고 탱크(115c)가 하향 대면하는 캡(115b)을 갖는 탱크홀더부(111r)에 의해 수용될 때, 상기 저장탱크(115a)는 캡(115b)의 오목부(115d)바닥이 액체차단막(111k)의 상단부보다 약간 위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겔세척부(13)는 겔화제가 이미 겔경화부(11)내의 경화제와 반응하고 이에 의해 경화된 겔피복종자를 세척하도록 설계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은 세척수탱크(131), 겔가이드기구(133) 및 겔 배출장치(135)를 포함한다.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수탱크(131)는 종자낙하구(111c) 및 반응탱크부(111b)의 종축 종간점 사이에 뻗어 있는 일정 길이를 갖고, 지지패널(31a)상에 지지된다. 그것은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프레임931)의 횡방향 중간부에서 겔경화탱크(111) 아래에 위치한다.
상기 지지패널(31a)는 겔세척부의 확대평면도인 제16도 및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의 한 단부에서 주프레임(31) 아래의 횡방향 보강프레임(35)의 측프레임 부재들 사이에 수평으로 재열된 박판(31b)에 끼워지고, 그것의 다른 단부의 측방에지에서 주프레임(31)의 상부 측방부재들 사이에 배열된 보강 프레임(31c)의 각 측방위치에 매달린 각 박판(31d)의 하단부에 끼워진다.
상기 세척수탱크(131)는 정산 및 바닥이 모두 개방되고 대략 직사각형의 평면형상을 가지는 외부프레임과 상기 외부프레임에 수용되고 전방패널(131a)에서 후방패널(131b)로 뻗어있는 종축 측방패널(131c)을 포함한다. 세척수는 겔피막을 경화시키기 위해 가공된 겔피복 종자를 세척하기 위해 세척수탱크(131)를 통해 흐르게 된다.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패널(131a)은 수직으로 긴 직사각형의 정면형상을 갖고, 그것의 중앙에 세척수탱크(131)의 내부와 연통하는 물공급구(131d)를 구비한다.
제19도의 확대배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패널(131b)은 그것이 상반부 부분에 역 L자형 노치를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방패널(131a)과 유사하고 측방패널(131c)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U자형 외형을 가진다.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보강패널(131f)은 측방패널(131c)의 하부면과 지지패널(31a)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보강패널(131f)은 서로 분리되어 있다.
제16도에 관하여, 부재기호 131g는 전방패널(131)에 가까이 위치한 측방패널(131c)의 하부위치에 배치된 세척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마개를 표시한다.
상기 겔가이드기구(133)는 스크루 피더(133a)와 스크루 피더(133a)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도시안됨)를 포함한다.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루 피더(133a)는 샤프트(133b) 및 나선형 블레이드(133c)를 갖고, 이 중에서 샤프트(133b)는 측방패널(131c)의 만곡부의 중앙축을 따라 뻗어있고 상기 전방 및 후방패널(131a 밑 131b)에 의해 각각 그것의 양 단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나선형 블레이드(133c)는 전방패널(131a)과 후방패널(131b) 사이에 뻗어 있는 샤프트(133b)의 외주면에 끼워진다.
상기 모터(도시안됨)는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탱크(131)를 향해 전방패널(131a)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샤프트(133b)의 전방부상에 배치된 기어(133d)와 샤프트(133b) 자체에, 기어(133d)와 맞물리는 감속기어세트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스크루 피더(133a)는 전방패널(131a)쪽에서 후방패널(131b)쪽으로 세척수탱크(131)에 수용된 세척수내에서 겔피복종자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모터, 상기 감속기어세트 및 상기 기어(133d)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상기 겔 배출장치(135)는 배수박스(135a), 배수팬(135d) 및 종자수용바스켓(135c)을 포함한다.
상기 배수박스(135a)는 상기 후방패널(131b)의 후면에 인접하고 소정의 종축 길이에 의해 정상이 개방되고 직사각형의 평면형상을 가진다.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은 세척수탱크(131)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측방향 폭을 가진다.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박스(135a)는 종축 중간점에 맞물림벽(135d)를 구비하고 이 맞물림벽(135d)의 상단부와 상기 후방패널(131b) 후면의 노치부(131e)의 하단부 사이의 중간점에서 후방패널(131b)로부터 맞물림벽(135d)쪽으로 하향 연장되는 비스듬한 배수패널(135e)을 구비하며, 배수패널(135e)의 하단부는 후방패널(131b)과 면하는 맞물림벽(135d)의 코너에 맞물려 있다.
상기 배수패널(135e)은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벽9135d)의 상단부와 후방패널(131b) 사이에 배수박스(135a)의 전체폭으로 횡단하여 뻗어 있고, 물은 통과시키면서 세척수탱크(131)에서 나오는 겔피복종자를 차단하기 위해 복수의 긴 횡단슬릿(135f)을 구비한다.
상기 배수박스(135a)는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상의 맞물림벽(135d)보다 후방패널(131b)에 더 가까운 위치에 슬릿(135f)을 통해 통과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135g)를 구비한다. 상기 배수박스(135a)는 맞물림벽(135d)에 비해 배수구(135g)와는 반대쪽 위치에 폐쇄가능한 종자배출구(135h)를 더 구비한다.
상기 배수팬(135b)은 정상이 개방되고 직사각형의 평면형상을 보인다. 그것은 상기 배수박스(135a)의 하부로부터 주프레임(31)의 후단부까지 뻗어 있는 종축 길이와 주프레임(31)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진다. 배수팬(135b)의 전방 및 후방단부는 주프레임(31)의 후단부 및 종축 중간점에 횡단하여 배치된 각 하부 프레임 부재상에 지지된다.
상기 배수팬(135b)은 바닥상에 배수구(도시안됨)를 구비하고, 그 배수구는 제16도에서 배수팬(135b)의 우측에 배치된 배수밸브(135j)와 연통한다.
상기 종자수용바스켓(135c)은 정상이 개방되고 직사각형의 평면형상을 보인다. 그것의 망상조직은 그것이 겔피복종자를 차단하도록 설계되고, 그것은 상기 배수팬(135b)상에 놓일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겔피복장치의 구체예는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작동한다.
종자를 겔로 피복하는 작동을 시작하기 전에, 소직경부(53j)가 가공될 종자에 최적인 내경을 갖는 8개의 어댑터(53g)를 어댑터의 푸울로부터 선택하고 종자탱크(53)의 탱크본체(53b)의 8개의 관통구(53f)에 각각 끼운다.
마찬가지로, 감소된 직경부(73k)가 가공될 종자에 최적인 외경을 가지는 8개의 플런저(73h)를 플런저의 푸울로부터 선택하고, 겔피복부(7)의 노즐블록(73)의 8개의 통로(73c)에 각각 끼우고, 그 후에 켑(73s)을 각각의 통로(73c)에 돌려넣기 전에 8개의 코일스프링(73r)을 각각 통로(73c)에 집어넣는다.
추가적으로, 가공될 종자에 최적인 외경을 갖고 선택된 각 어댑터(53b)의 관통구(53a)의 대직경부(53h)내로 안전히 도입될 수 있고 그것의 흡인로가 또한 종자에 최적인 내경을 가지는 8개의 흡인팁(95)을 흡인팁의 푸울로부터 선택하고, 종자이송부(9)의 8개의 매니폴드(93)의 관통구(93b)내로 각각 끼운다.
그 다음 겔피복장치(1)의 동력스위치(도시안됨)를 켜서 겔수용블록(75)의 압축공기실린더(77)를 수축시킨다.
동시에, 승강기구(94)의 공기실린더(94d)를 수축시켜 홀더페널(94c)을 기판(91a)쪽으로 끌어올리고, 피스톤 장착부(91j)를 로들리스 자기실린더(91b)에 의해 후방으로 미끄러지게 하여 매니폴드(93)를 그것의 후방위치로 이동시킨다.
추가적으로, 동력스위치를 켠 후에, 진공펌프(97)를 작동시켜 매니폴드(93), 커플러(93a, 94j) 및 고압호스(도시안됨)에 의해 흡인팁(95)의 흡인로를 진공화시킨다.
이러한 상태하에, 매니폴드(93)가 진공펌프(97) 및 흡인팁(95) 사이에 배치되고 후자가 매니펄드(93)에 의해 진공화되기 때문에, 흡인팁(95)은 균등한 흡인압력이 된다.
동력스위치가 켜진 후에, 전환밸브를 경화제탱크쪽으로 전환하여 자기펌프(119)에 의해 경화제탱크에 저장된 경화제를 겔경화탱크(111)에 공급한다.
이러한 상태하에, 액체공급구(111h)부터 액체공금탱크부(111a)내로 유도된 경화제는 정류막(111g)을 넘어 또는 그것의 기저부의 전방 및 후방 개구를 통해 액체공급구(111h)의 반대편에 위치한 액체공급탱크부(111a)내로 흐르고 또한 반응탱크부(111b)내로 흘러서 겔경화탱크(111) 전체를 채운다.
자석펌프(119)의 작동은 경화제탱크로부터 겔경화탱크(111)로 공급되는 경화제가 겔경화탱크(111)내에서 액체차단막(111k)의 상하 양 단부 사이의 소정 레벨에 도달하면 정지되고, 전환밸브가 액체배출구(111y)로 전환되면 다시 개시된다.
따라서 주어진 양의 경화제가 경화제탱크로부터 겔경화탱크(111)내로 공급된 후, 정제부(111s)의 액체배출구(111y)로부터 배출되는 경화제가 액체공급호스(117) 및 액체공급구(111h)에 의해 액체공급부(111a)로 역공급된다.
겔경화탱크(111)가 경화제탱크로부터 공급되는 경화제로 채워지고, 정제부(111s)내의 경화제가 액체배출구(111y), 액체공급호스(117) 및 액체공급구(111h)에 의해 액체공급탱크부(111a)내로 역공급될 때에는, 액체공급탱크부(111a)내의 경화제가 정류막(111g)의 상하로부터 반응탱크부(111b)로 흐르기 때문에 액체공급탱크부(111a)로부터 반응탱크부(111b), 액체우회로(111e), 액체배수탱크부(111d)의 탱크홀더부(111r) 및 정제부(111s)를 향하는 경화제의 유동이 생성된다.
그 다음, 소정량의 경화제가 경화제탱크로부터 공급되어 겔경화탱크(111)내의 경화제가 액체차단막(111k)의 상하 양 단부 사이의 소정 레벨에 도달할 때, 저장탱크(115a)는 캡(115b)이 아래로 향한 상태에서 탱크홀더부(111r)에 놓여진다.
이러한 상태하에, 탱크홀더부(111r)의 맞물림 돌출부(111t)는 캡(115b)의 오목부(115d)내로 삽입되고, 맞물림 돌출부의 선단부는 고무마개(115)가 캡(115b)의 관통구(115e)로부터 분리되어 관통구(115e)와 미끄럼핀(115f)의 주면 사이에 공간을 생성할 때까지 미끄럼핀(115f)에 접하여 코일스프링의 추진력에 대항하여 캡(115)의 내1부로 미끄럼핀(115f)을 밀어 넣는다.
고무마개(115)가 분리되면 개방되는 캡(115b)의 관통구(115e)는 맞물림 돌출부(111t)에 의해 밀어넣어진 미끄럼핀(115f)의 선전단부보다 약간 위에 위치하고, 겔경화탱크(111)내의 경화제의 레벨이 상기와 같이 액체 차단막(111k)의 상하 양 단부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저장탱크(115a)내의 고농축 경화제는 경화제가 현재 레벨을 유지하는 한 겔경화탱크(111)내로 흐르지 않을 것이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그 다음, 겔경화부(11)의 겔가이드기구(113)의 모터(113c)를 작동시켜 벨트컨베이어(113a)를 겔경화탱크(111)내의 경화제의 순환을 따라 이동시킨다.
동시에, 겔세척부(13)의 모터를 작동시켜 스크루 피더(133a)를 회전 구동시키고, 세척수탱크(131)내의 세척수를 전방패널(131a)로부터 후방패널(131b)쪽으로 흐르고 후방패널(131b)의 노치(131e)를 통해 약간 넘치도록 한다.
그러면, 세척수탱크(131)내의 겔피복종자가 전방패널(131a)의 측면으로부터 후방패널(131b)쪽으로 이동된다.
후방패널(131b)의 노치(131e)를 통해 넘친 물을 그 다은 배수박스(135a)로 들어가서 배수패널(135e)의 슬릿(135f)을 통과한 후, 배출구(135g)를 통해 세척수탱크(131)밖으로 배출되어 물 공급구(131d)를 통해 세척수탱크(131)로 역공급된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동력스위치가 커지면, 겔화제탱크의 내부를 공기압축기(도시안됨)에 의해 정압하에 놓아서, 매니폴드(79)가 겔화제로 채워질 때까지 겔화제탱크내 압력하의 겔화제를 고압호스, 펌프 q 및 고무 파이프 커플러(79a)에 의해 매니폴드(79)로 이동시킨다.
그 다음, 매니폴드(79)에 채워진 겔화제를 대응하는 8개의 커플러(79b)에 의해 그것의 하단부로부터 겔수용블록(75)의 겔 통로(75a)로 압력하에 공급한다.
매니폴드(79)가 겡화제탱크 및 겔수용블록(75) 사이에 배치되고 겔화제가 매니폴드(79)에 의해 겔수용블록(75)의 겔 통로(75a)로 공급되기 때문에, 동등한 압력이 겔 통로(75a)내의 겔화제에 적용되어 겔화제가 일정한 속도로 겔 통로(75a)에 공급된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배기밸브(78)를 개방해 두어 겔화제가 아래로부터 공급되는 겔 통로(75a)의 상부부분을 배기시켜 겔 통로(75a)가 완전히 겔화제로 채울 수도 있다.
이어서, 압력하에 겔화제탱크로부터 공급되는 겔화제를 배기밸브(78)가 폐쇄될 때공간(73m)을 완전히 채우기 위해 겔 통로(75a), 관통구(75b 및 73n)를 통해 노즐블록(73)의 통로(73c)의 공간(73m)으로 더 공급한다.
겔화제가 겔 통로(75a)로 공급되는 동안. 겔 통로(75a)로부터 매니폴드(79)로의 겔화제의 어떤 역류도 겔통로(75a)의 바닥에 배치된 체크밸브(75d)에 의해 차단된다는 것을 주위해야 한다.
이러한 상태하에, 압축공기실린더(77)를 신장시켜 겔 통로(75a)의 내부에 압력을 가하고, 관통구(75b 및 73n)에 의해 겔화제로 채워진 공간(73n)의 압력을 상승시킨다.
그러면, 각각의 플런저(73h)는 코일스프린(73r)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대응 통로(73c)를 통해 상향이동되어 감소된 직경부(73k)의 하단부에 있는 지금까지 폐쇄된 밸브(73b)를 개방하여서, 공간(73m)을 채우는 주어진 양의 겔화제가 공간(73m)의 내부압력에 의해 밸브(73b)를 통해 노즐블록(73)에서 하향으로 밀어지고 결국 겔화제의 방울로서 낙하한다.
겔화제가 각각의 밸브(73b)로부터 방울로 낙하하고 공간(73m)의 내부압력이 공간(73m)내 겔화제의 양에 따라 감소됨에 따라 압축공기실린더(77)는 코일스프링(73r)의 탄성력이 공간(73m)의 내부압력을 초과할 때까지 수축하며, 이때 플런저(73h)가 코일스프링(73r)에 의해 통로(73c)를 통해 하향이동하고 감소된 직경부(73k)의 하단부에 있는 밸브(73b)를 폐쇄하도록 추진된다.
밸브(73b)가 폐쇄되면, 감소된 직경부(73k)의 하단부에서 거기에 부착된 겔화제에 의해 막이 형성된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밸브(73b)에 의해 소비된 겔화제는 겔화제탱크내 고압의 효과하에 매니폴드(79)에 의해 겔통로(75a)내로 보내지고 추가의 겔화제에 의해 대체된다는 것을 또한 주의해야 한다.
그 다음, 종자를 종자공금부(5)의 종자탱크(53)의 호퍼부(53c)내로 도입한다.
도입된 종자는 후방패널(53v)의 슬로프를 따라 낙하되어 슬릿(53e)을 통해 탱크본체(53b)에 수용된다.
슬릿(53e)을 통과하는 종자의 공급속도는 슬릿(53e)의 높이(H1)에 의해 정의되므로, 탱크본체(53b)에 수용된 종자량은 호퍼부(53c)에 도입되는 양에 관계 없이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호퍼부(53c)로부터 탱크본체(53b)로 공급되는 종자의 공급속도는 또한 탱크본체(53b)의 바닥부의 내주면과 공개챔버(53m) 사이의 갭(H3)에 의해 어느 정도 제어된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탱크본체(53b)가 일정한 정도로 종자로 채워지면, 공기압축기(도시안됨)를 작동시켜 매니폴드(53r)에 의해 압축공기를 공기챔버(53m)에 공급한다.
그러면, 압축공기가 공기챔버(53m)의 공기출구(53n)를 통해 송풍되어 탱크본체(53b)의 하단부로부터 탱므본체(53b)의 전단부, 상단부 및 후단부로 순환하는 공기흐름을 생성하고, 이 공기흐름에 의해 탱크본체(53b)내의 종자가 교반된다.
이 구체예의 공기압축기와 공이챔버(53m) 사이에 매니폴드(53r)가 삽입되어 있고 압축공기가 이 매니폴드(53r)에 의해 공기출구(53n)로 보내지기 때문에, 공기는 동등한 압력을 갖고 공기출구(53n)로부터 송풍된다.
탱크본체(53b)내 종자의 교반율은 탱크본체(53b)에서 저단부, 전단부, 상단부, 후단부 및 다시 저단부를 통해 순환하는 공기흐름에 의해 공기챔버(53m)와 탱크본체(53b)의 바닥부의 내주면 사이의 갭을 관통하고 이어서 탱크본체(53b)의 하단부로부터 전단부로 가는 종자의 유속에 의해 결정된다. 즉, 탱크본체(53b)내 존자의 교반율은 공기챔버(53m)와 탱크본체(53b)의 바닥부의 내주면 사이의 갭(H3)에 의해 결정된다.
이어서 매니폴드(93)를 상기 후방위치에 두면서, 승강기수(94)의 공기실린더를 신장시켜 흡인팁(95)의 전단부가 탱크본체(53b)의 각 어댑터(53g)의 대응 계단부(53k)에 인접할 때까지 기판(91a)으로부터 홀더패널(94c)을 낮춘다.
그 결과, 탱크본체(53b)에서 이동하여 관통구(53f)에 매우 근접해진 종자는 흡인팁(95)에 의해 각각 흡착되어 거기에 유지된다.
공기실린더(94d)의 신장후 소정 시간이 경화한 후에는 매니폴드(98)내 공기 압력을 압력센서(97c)에 의해 검출하여, 만약 공기압력이 소정 레벨을 초과하면, 흡인팁(95)의 적어도 몇 개의 부압이 거기에 종자를 유지하기에 좋은 소정의 압력레벨로 떨어지지 않아서 모든 흡인팁(95)이 종자를 유지하지는 않는다고 판정한다. 그러한 경우에는 진공펌프(97)에 의해 종자를 흡인하는 작동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공기실린더를 수축시켜 기판(91a)쪽으로 홀더패널(94c)을 끌어올려 초기 상태를 다시 유지한다.
공기실린더(94d)가 완전히 수축된 후, 진공펌프(97)의 작동은 다시 개시된다.
한편, 매니폴드(98)내 압력센서(97c)에 의해 검출되는 공기압력이 소정 레벨 이하이면, 진공펌프(97)의 작동을 유지하고, 모든 흡인팁(95)이 각 종자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 공기실린더(94d)를 수축시켜 기판(91a)쪽으로 홀더패널(94c)을 끌어올린다.
탱크본체(53b)의 내부 및 외부는 흡인팁(95)이 각 종자를 유지하고 있을 때에도 흡인팁(95) 및 대응 어댑터(53g) 사이의 작은 갭을 통해 서로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탱크본체(53b)의 내부에서 공기 출구(53n)로부터 송풍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흐름의 일부는 흡인팁(95)의 전단부와 대응 어댑터(53g)의 관통구(53a) 사이의 약간의 갭을 통해 탱크본체(53b)의 외부로 향한다.
따라서 탱크본체(53b)내에서 교반되는 종자의 일부는 탱크본체(53b)의 외부로 향하는 공기흐름에 의해 어댑터(53g)의 관통구(53a)쪽으로 유도된다.
흡인팁(95)이 각 종자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 종자가 탱크본체(53b)의 내벽과 충돌할 때 생성되는 종자 부스러기와 어댑터(53g)를 통해 탱크본체(53b)내로 들어온 먼지 입자가 공기 출구(53n)를 통해 들어오는 압축공기의 흐름에 의해 종자와 함께 순환되면, 흡인팁(95)이 그러한 종자 부스러기와 먼지 입자를 흡입할 수 있다.
그러나 흡인팁(95)에 의해 흡인된 원치않는 이물질이 진공펌프(97)에 인접배치된 공기필터(99)에 의해 제거되어 순환공기가 정화되고, 따라서 과부하 상태로 인한 흡인팁(95)의 막힘이나 진공폼프(7)의 과열은 전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종자공급부(5)의 어댑터(53g)를 대체하여 종자탱크(53)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종자탱크(53)가 주프레임(31)의 대응 단부로부터 끌려나올 때까지 손잡이 (51d)를 손으로 잡음으로써 미끄럼패널(51c)을 가이드래일(51a)의 가이드홈(51b)을 따라 이동시키고, 따라서 종자공급1부(5)위에 위치한 종자이송부(9)에 영향을 주지 않고 탱크를 공급할 수 있다.
흡인팁(95)이 각 종자를 유지하는 동안, 공기실린더(94d)를 수축시켜 상기와 같이 기판(91a)쪽으로 홀더패널(94c)을 끌어올리고, 이어서 로들리스 자기실린더(91b)에 의해 피스톤 장착부(91j)를 전방으로 미끄러뜨려 매니폴드(93)를 상기 전방위치로 이동시킨다.
그 다음, 흡인팁(95)의 전단부가 노즐블록(73)의 대응 종자입구(73a)에서 각 통로(73c)내 플런저(73h)의 대응 통로(73v)로 도입될 수 있는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공기실린더(94d)를 신장시켜 홀더패널(94c)을 기판(91a)으로부터 멀리 밑으로 이동시킨다.
그 후에, 진공펌프(97)의 작동을 중단시켜 흡인팁(95)이 각 종자를 방출하도록 하고, 그 다음 정압을 흡인팁(95)에 적용하여 종자가 각 흡인팁(95)으로부터 각 플런저(73h)의 대응통로(73v)로 낙하하도록 한다.
진공펌프(97)의 작동을 중단시켜 종자를 흡인팁(95)으로부터 방출시켜 각 플런저(73h)의 대응 통로(73v)로 낙하시킨 후에, 공기실린더를 다시 수축심켜 홀더패런(94c)을 기판(91a)쪽으로 끌어올리고, 피스톤 장착부(91j)를 로들리스 자기실린더(91b)에 의해 후방으로 미끄러뜨려 매니폴드(93)를 후방위치로 되돌려 초기상태를 회복한다.
상기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종자이송부(9)는 종자를 종자공급부(5)로부터 겔피복부(7)로 제4도의 화살표 X와 제7도의 화살표 X를 따라 이동시킨다. 즉, 화살표는 종자운동의 수평성분을 나타낸다.
흡인팁(95)에 의해 유지된 종자가 상기와 같이 방출되어 대응 플런저(73h)내로 낙하되면, 각각의 종자는 대응 플런저(73h)의 감소된 직경부(73k)의 하단부에 형성된 겔화제의 막상에 놓이고, 종자의 정착과 동시에 압축공기실린더(77)가 신장된다.
그 결과, 공간(73m)내의 공기압력이 겔 통로(75m) 및 관통구(75b 및 73n)에 의해 상승되어 플런저(73h)가 밀어올려져 밸브(73b)가 개방되고, 따라서 각각의 공간(73m)내의 겔화제는 종자를 포함하는 대응 겔화제의 막에 이르고 종자를 감쌀 때까지 밸브(73b)를 통해 노즐블록(73)의 하부부분으로 일정한 양만큼 밀려나간 후, 겔피복종자가 각 기판(74 및 71)의 대응 관통구(74a 및 71d)에 의해 기판(71) 아래에 위치한 겔경화탱크(111)내로 낙하한다.
여기서 다시, 겔통로(75)로부터 매니폴드(79)를 향하는 겔화제의 어떤 역류도 체크밸브(75d)에 의해 차단된다.
그 후에, 압축공기실린더(77)가 수축되어 플런저(73h)를 낮추어 밸브(73b)를 폐쇄하므로, 겔화제의 막이 각 플런저(73h)의 감소된 직경부(73k)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각 플런저(73h)의 밸브(73b)로부터 낙하하는 종자에 의해 소비된 겔화제는 매니폴드(79) 및 대응 겔통로(75a)를 통해 게롸제탱크로부터 공급되는 겔화제에 의해 대체된다.
종자공급부(5), 겔피복부(7) 및 종자이송부(9)의 상기 작동들은 순차기(도시안됨)에 의해 연계되어 제어된다. 총 8개의 겔피복종자가 상기 구체예의 한 작동사이클에서 동시에 생성되고, 그 다음 겔경화탱크(111)의 정류막(111g)보다 반응탱크부(111b)에 더 가까이 위치한 액체공급탱크부(111a) 부분으로 낙하하여, 여기서 경화제에 침수된다.
한편 종자가 겔경화탱크(111)의 정류막(111g)보다 반응탱크부(111b)에 더 가까이 위치한 액체공급탱크부(111a)부분에 낙하하여 그 곳의 경화제에 침수되면, 종자는 겔경화탱크(111)내의 경화제의 흐름에 의해 반응탱크부(111b)쪽으로 이동된다. 그 다음, 그것들은 반응탱크부(111b)에 진입하고 액체차단막(111k)에 약간 가까이 와서, 여기서 경화제에 침수된 가이드 패들(113b)에 의해 액체공급탱크쪽으로부터 멀리 밀쳐지고 회전하는 벨트컨베이어(113a)의 영향하에 경화제에 잠긴 액체차단막(111k)쪽으로 유도된다.
그 동안, 반응탱크부(111b)내의 경화제는 가이드 패들(113b)로부터 슬릿(113g)을 통해 또는 가이드 패들(113b)과 반응탱크부(111b)의 측벽 및 바닥 사이의 약간의 갭을 통해 액체공급탱크부(111a)쪽으로 유도된다.
따라서 경화제를 통한 가이드 패들(113b)의 운동으로 인하여 경화제의 흐름에 중대한 장애는 발생하지 않는다. 경화제는 겔경화탱크(111)로부터 넘쳐 흐르지도 않고, 액체차단막(111k)을 타고 넘어 종자낙하구(111c)로 침투하지도 않는다.
겔피복종자가 액체 차단막(111k)의 앞에 위치한 반응탱크부 부분으로 가이드 패들(113b)에 의해 유도되면, 가이드 패들(113b)이 벨트(113)가 회전함에 따라 역으로 돌려져서 가이드 패들(113b)의 전단부는 비록 그것이 짧은 거리로 슬로프(11m)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액체차단막(111k)의 슬로프(111)를 따른다.
그 다음, 경화제내 종자는 가이드 voelmf(113b)의 역회전운동의 결과로 가이드 패들(111b)에 의해 밀려서 액체차단막(111k)의 슬로프(111m)에 올라타고, 가이드 패들(113b)의 전단부가 액체차단막(111k)의 정상위에 간 순간, 종자는 액체차단막(111k)의 슬로프(111m)에 올라타서 그들이 종자낙하구(111c)에 낙하될 대까지 차단막의 다른 슬로프를 따라 굴러 내려간다.
상기와 같이, 노즐블록(73)의 플런저(73h)의 밸브(73b)로부터 방출되어 낙하된 겔피복종자는 그것들이 종자낙하구(111c)로 투입될 때까지 주어진 시간 동안 경화제에 침수되며, 그 기간 동안 겔은 경화제와 반응하여 경화되어 경화 겔피복종자를 생성하고, 이어서 그것은 종자낙하구(111c)의 내측벽의 경사진 외형으로 인해 부드러운 동작으로 전방패널(131a)에 가까운 세척수탱크(131) 부분에 낙하되고 만약 경화제가 벽 및 스크린 패널에 약간 달라 붙으면 스크린 패널(111n) 부분에 낙하된다.
상기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겔경화부(11)의 종자가이드기구(113)는 겔경화탱크(111)의 경화제에 침수된 피복종자를 액체공급탱크부(111a)로부터 제16도의 화살표 Y를 따라 액체차단막(111k)을 넘어 종자낙하구(111c)로 유도된다. 즉, 화살표는 유도된 종자운동의 수평성분을 표시한다.
피복종자가 노즐블록(73)의 플런저(73h)의 밸브(73b)로부터 낙하되어 소정 경화시간 동안 경화제에 침수됨에 따라, 경화제는 겔경화탱크(111)내의 경화제의 레벨이 액체차단막(111k)의 상하 양 단부 사이의 소정 레벨 아래로 또한 고무마개(115)가 재거되면 개방되는 캡(115b)의 관통구(115e) 아래로 낙하될 때까지 덜 농축되고 그것의 부피를 잃는다.
그 다음, 저장탱크(115a)에 저장된 고농축 경화제는 탱크홀더부(111r)의 맞물림 돌출부(111t)에 의해 인접하여 밀려지는 미끄럼핀(115f)의 주면과 캡(115b)의 관통구(115e) 사이의 갭을 통해 탱크홀더부(111r)내로 유동되고, 경화 겔피복종자가 제거된 액체우회로(111e)에 의해 반응탱크부(111b)로부터 탱크홀더부(111r)로 흐르는 경화제와 혼합된다.
따라서, 겔경화탱크(111)내 경화제의 농도는 저장탱크(115a)로부터 유입된 고농도 경화제에 의해 상승되고, 탱크내 경화제는 상기 소정 레벨을 회복한다. 그 다음 고무마개(115)가 갭(115b)의 관통구(115e)내로 다시 삽입되어 후자를 폐쇄하고 겔경화탱크(111)로의 경화제의 흐름을 정지시킨다.
결과적으로, 겔경화탱크(111)내의 경화제는 액체차단막(111k)의 상하 양 단부 사이의 소정 레벨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경화제의 농도는 가공될 종자의 겔피복을 경화시키기에 양호한 레벨로 유지된다.
이어서, 전방패널(131a)에 가까운 세척수탱크(131) 부분에 낙하된 겔피복종자는 모터(도시안됨)에 의해 구동되는 스크루 피더(133a)의 회전운동과 스크루 피더(133a)의 회전에 의해 일어나는 전방패널(131a)로부터 수방패널(131b)로의 침수된 나선형 블레이드(133c)의 외견상 전진운동에 의해 세척수탱크(131)에 발생된 물흐름에 의해 후방패널(131b)쪽으로 유도된다.
겔피복종자가 후방패널(131b)의 바로 앞의 위치에 도달할 때, 그것들은 후방패널(131b)에 가까이 위치하고 스크루 피더(133a)의 회전에 의해 상향으로 돌려진 나선형 블레이드(133c)의 부분에 의해 세척수로부터 집어올려진다.
따라서. 겔경화탱크(111)의 종자낙하구(111c)에서 세척수탱크(131a) 부분으로 낙하된 겔피복종자는 탱크(131a)의 세척수에 침수되고, 그것들이 나선형 블레이드(133c)에 의해 건져올려질 때까지 이동됨에 따라 소정의 기간 동안 세척된다.
그 다음, 세척수로부터 겔피복종자를 집어올리는 나선형 블레이드(133c)의 1부분은 스크루피더(133a)의 회전에 의해 후방패널(131b)쪽으로 기울어져서, 종자는 그것들이 후방패널(131b)의 노치(131e)의 에지에 올라타서 배수패널(135e)로 배출될 때까지 나선형 블레이드(133c)의 경사부분을 따라 이동된다.
8개의 겔피복종자가 종자탱크(53)의 탱크본체(53b)를 떠난 때부터 그것들이 겔경화탱크(111)의 종자낙하구(111c)에 진입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종자 및 종자를 덮은 겔화제는 실질적으로 단일 횡단라인상에서 겔피복장치(1)에서 동시에 횡으로 이동 및 가공된다. 그러나 그 후에 종자낙하구(111c)의 폭이 감소됨에 따라 그것들은 군으로 모여져서 겔세척부(13)에서 함께 세척된다.
배수패널(135e)은 나선형 블레이드(133c)에 의해 종자와 함께 배출된 세척수와 겔피복종자에 붙은 물이 슬릿(135f)을 통해 낙하되고 배수구(135g)를 통해 배수박스(135a)밖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배수패널(135e)상의 배수된 겔피복종자는 배수패널(135e)의 슬로프를 따라 굴러 내려가서 종자배출구(135h)를 통해 배수박스(135a)밖으로 배출되고 종자바스켓(135c)에 의해 수집된다.
종자바스켓(135c)에서 겔피복종자에 부착된 세척수는 종자바스켓(135c)의 망의 구멍을 통해 자체 중량에 의해 낙하되고, 배수팬(135b)의 바닥상에 흐른 다음 배수구(135j)를 통해 배수팬(135b)밖으로 흐른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겔세척부(13)의 종자가이드기구(133)는 세척수탱크(131)의 세척수에 침수된 겔피복종자를 제16도의 화살표 Z와 제18도의 화살표 Z를 따라 전방패널(131a)로부터 후방패널(131b)의 노치(131e)쪽으로 유도한다. 즉 화살표는 유도된 종자운동의 수평성분을 가리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겔피복장치의 상기 구체예에서는, 종자를 겔화제로 피복하는 겔피복부(7)로 이동시키기 위해 하나씩 종자공급부(5)의 종자탱크(53)의 탱크본체(53b)에 수용된 종자를 유지하기 위한 종자이송부(9)의 흡인팁(95)에 대응하는 위치에 탱크본체(53b)의 주벽(53d)의 상부부분에 규칙적 간격으로 대략 원형의 평면형상을 갖는 총 8개의 관통구(53f)가 횡으로 배치되며, 그것의 중앙에 각 관통구(53a)를 갖는 환상 어댑터(53g)는 각각의 관통구(53a)의 내주면이 대직경부(53h)(주벽(53d)의 외주면쪽에 대응 흡인팁(95)을 수용할 수 있는)와 소경부(53j)(대직경부(53h)보다 작고, 종자를 주벽(53d)의 내주면상에서 탱크본체(53b)로부터 통과시킬 수 있는) 를 구비하도록 각 관통구(53f)에 제거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배치로, 흡인팁(95)이 그것의 전단부가 대직경부(53h) 및 소직경부(53j)를 구분하는 계단부(534)를 마주 보도록 위치하는 방식으로 어댑터(53g)의 관통구(53a) 각각에 끼워질 때, 작은 갭이 흡인팁(95)과 어댑터(53g) 사이에 생성되어 탱크본체(53b)내의 공기챔버(53m)의 공기출구(53n)에서 송풍된 압축공기에 의해 탱크본체(53b)에 발생된 공기흐름의 일부가 탱크본체(53b)를 통과하여 그 외부로 향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탱크본체(53b)에 수용되어 교반되는 종자는 어댑터(53g)의 관통구(53a)로 유도되고, 탱크본체(53b)에 수용된 종자량에 관계없이 탱크본체(53b)의 외부로 향하는 공기흐름에 의해 흡인팁(95)으로 안전하게 유지된다.
추가적으로, 제거가능한 환상 어댑터(53g)를 각각 수용하여 다시 각각 흡인팁(95)를 수용하는 관통구(53a)를 제공하기 위한 탱크본체(53b)의 주벽(53d)의 상부부분에 관통구(53f)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겔피복장치(1)의 상기 구체예는 그것이 계단부(53k)로 구분된 대직경부(53h) 및 소직경부(53j)를 갖는 복잡한 외형을 각각 가지는 관통구(53a)가 구비된 탱크본체(53b)를 위한 원통형 주벽(53d)을 제조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단순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더 추가적으로, 탱크본체(53b)의 주벽(53d)의 대응 관통구(53f)에 제거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설계된 각각의 어댑터(53g)는 흡인팁(95)을 수용하기 위한 어댑타(53g)의 축을 따라 관통하는 관통구(53a)를 구비하기 때문에, 겔화제로 피복될 종자의 크기에 최적인 공기유동로의 외경 및 내경을 갖는 흡인팁(95)과 정합되는 관통구(53a)를 갖는 어댑터(53g)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결과적으로 종자가 가공되기 좋은 관통구(53a)와 흡인팁의 외형이 제위치에 쉽게 배치될 수 있다.
더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겔피복장치(1)의 상기 구체예에서는, 공기챔버(53m)의 공기출구(53n)로부터 송풍되는 압축공기의 흐름에 의해 탱크본체(53b)내에서 교반되는 종자량이 탱크본체(53b)의 바닥이 내주면과 공기챔버(53m) 사이의 거리(H3)에 의해 결정되며, 따라서 탱크본체(53b)내에서 가공될 종자의 교반율은 탱크본체(53b)에 수용된 종자량에 관계없이 일정한 레벨로 유지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겔피복장치의 상기 구체예에서는 호퍼부(53c)가 종자탱크(53)의 탱크본체(53b)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호퍼부(53c)내로 공급되는 종자가 호퍼부(53c)의 내부와 탱크본체(53b)의 내부를 서로 연통되도록 유지하는 슬릿(53e)에 의해 탱크본체(53b)의 내부로 이송된다.
이러한 배치로, 가공될 종자가 호퍼부(53c)에 충분히 공급되는 한, 종자는 호퍼부(53c)의 내부에서 탱크본체(53b)의 내부로 슬릿(53e)의 높이(H1)에 의해 결정되는 속도로 공급된다.
즉, 충분한 양의 종자가 미리 호퍼부(53c)에 공급되면, 탱크본체(53b)에 남아 있는 종자량을 항상 모니터하지 않고 종자이송부(9)내의 종자가 겔피복부(7)로 이송됨에 따라 종자가 호퍼부(53c)로부터 탱크본체(53b)의 내부로 준자동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겔피복장치의 상기 구체예에서는, 종자공급부(5)의 소퍼부(53c)로부터 탱크본체(53b)로 공급되는 종자량이 호퍼부(53c)에 공급되는 종자량에 관계 없이 호퍼부(53c)의 내부를 탱크본체(53b)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유지하는 슬릿(53e)의 높이(H1)에 의해 주로 결정되고, 탱크본체(53b)의 바닥의 내주면부터 공기챔버(53m)까지의 높이(H3)에 의해 약간 결정된다.
그러나, 제20도의 확대측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53b)의 바닥의 내주면과 공기챔버(53) 사이의 갭(H5)(이것은 공기챔버와 탱크본체의 내부의 저단부 사이의 갭에 대응한다)이 조절가능하여 탱크본체(53b)에서 교반되는 종자량 뿐만 아니라 종자공급부(5)의 호퍼부(53c)로부터 탱크본체로 공급되는 종자량도 갭(H5)에 의해 주로 조절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러한 배치로, 종자 탱크(53)는 종자탱크(53)의 각각의 측벽(53a)에 수직인 직사각형 홀(53w)을 구비할 수 있으며, 탱크본체(53b)에 배치된 공기챔버(53m)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 측벽(53a) 사이에 뻗어 있는 블라인드 패널(53y)은 공기챔버(53m)의 측단부에 끼워진다.
그 다음, 블라인드 패널(53y)의 중앙으로부터 외향 동출된 볼트(53x)는 직사각형 홀(53w)을 통과하게 되고, 너트(53z)는 측벽(53a)을 통해 돌출된 볼트(53x)의 양 단부상에 돌려지며, 따라서 공기챔버(53m)의 높이(H5)는 직사각형 홀(53w)을 따라 볼트(53x)의 수직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블라인드 패널(53y)은 직사각형 홀(3w)에서 볼트(53x)의 수직위치에 관계 없이 전체 직사각형 홀(53w)을 덮을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직경이 크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겔경화탱크(111)의 경화제에서 겔피복 종자를 유도하기 위한 겔가이드기구(113)의 가이드패들(113b)은 상기 구체예에서 벨트컨베이어(113a)의 벨트(113f)의 표면으로부터 규칙적 간격으로 수직으로 직립하는 반면, 그것들은 반드시 벨트컨베이어(113a)로부터 직립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제21도의 솩대 측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겔가이드기구(113A)는 겔경화탱크(111)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복수의 롤러(113k)를 겔경화탱크(111)의 반응탱크부(11b)위에 간격을 두고 종축으로 배열하고, 그 다음 복수의 가이드 패들(113b)을 각 롤러(113)의 주변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되도록 배열함으로써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로, 겔경화탱크(111)의 경화제에 있는 겔피복종자는 롤러(113k)를 회전 구동하고 롤러(113k)의 가이드 패들(113b)이 액체공급탱크부(111a)로부터 액체 차단막(111k)쪽으로 주행하도록 함으로써 경화제의 내부 또는 외부로 유도된다.
상기 구체예는 종자공급부(5) 및 겔세척부(13)를 포함하는 한편, 그들중 하나 또는 둘다는 본 발명에 따른 겔피복장치의 효과에 기능적인 해를 주지 않고 생략될 수도 있다.
총 8개의 겔피복종자가 횡으로 배열되어 상기 구체예의 겔경화부(11)내의 경화제에서 동시에 처리되는 한편, 겔세척부(13)의 것으로서 스크루 피더는 겔경화부 (11)에 선택적으로 배열되어 8개의 겔피복종자가 경화를 위해 순차적으로 가공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8개의 종자가 상기 구체예의 종자이송부(9), 겔피복부(7) 및 겔경화부(11)에서 동시에 가공되는 한편, 동시에 처리될 종자의 수는 8 이외의 수이거나 8 미만 또는 초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양태에 따르면, 폴리머겔로 피복될 다수의 종자를 수용하기 위한 탱크본체와 이 탱크본체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되도록 유지하기 위한 종자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종자배출구는 상기 탱크본체로부터 종자를 흡인하여 유지하고 그것을 탱크본체의 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탱크본체 외부에 위치한 흡인팁을 마주 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탱므본체내의 종자는 공기제트흐름에 의해 교반되는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에 있어서, 상기 종자배출구는 탱크본체의 외부에서 종자배출구를 마주 보도록 위치한 상기 흡인팁을 수용되록 상기 흡인팁의 외형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상기 탱크본체의 외부측의 상기 종자배출구에 배치된 소직경부를 갖고, 상기 대직경부 및 소직경부는 서로 연통하도록 유지되는 종자공급탱크가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에서, 탱크본체의 내부 및 외부는 흡인딥의 전단부가 종자배출구의 대직경부 및 소경부의 경계에 가까이 올 때까지 삽입됨에 따라 흡인팁 주위에 배열된 종자배출구에서 생성되는 작은 공기 통로에 의해 서로 연통하도록 유지되어서, 가공용 탱크본체에 수용된 종자를 교반하기 위한 공기제트흐름이 공기유동로에 의해 탱크본체로부터 부분적으로 누출된다.
따라서 탱크본체의 내부에 있는 종자는 그것들이 탱크본체로부터 부분 누출되는 공기제트흐름에 의해 구동됨에 따라 종자배출구에 쉽게 접근할 수 있어서 탱크본체내 모든 교반 종자는 탱크본체에 수용된 종자량에 관계 없이 흡인팁에 의해 확실하고 안전하게 흡인될 수 있다.
상기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가 그것의 탱크본체가 각각의 관통구에 제거가능하게 끼워지는 환상 어댑터의 내주부에 배치된 상기 종자배출구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각각 가지는 관통구를 가지도록 설계되면, 탱크본체에 직접 대직경부와 소직경부를 갖는 복잡한 외형의 종자배출구를 형성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는 추가로 서로 다른 외형을 갖는 복수의 흡인팁을 구비하고 이 흡인팁 중에서 각각의 가공될 종자의 외형에 가장 적합한 외형을 갖는 하나가 사용을 위해 선택되며, 또한 상기 복수의 흡인팁의 각 외형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내경의 각 종자배출구를 갖는 복수의 어댑터를 구비하고 이 어댑터 중에서 각각의 가공될 종자의 외형에 가장 적합한 내경을 갖는 하나가 사용을 위해 선택될 수 있다.
그 다음, 종장배출구의 내경은 단순히 매번 교체되는 흡인팁에 가장 잘 맞는 조립식 어댑터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제 위치의 흡인티의 외형에 쉽게 적용시킬 수 있다.
상기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는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의 하부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탱크본체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공기제트흐름을 상기 탱트본체의 내부로 분사하여 상기 가공될 종자를 교반하도록 걸계된 공기챕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탱크본에 내에서의 상기 가공될 종자의 상기 공기제트흐름에 의한 교반율을 상기 공기챔버와 상기 탱크본체내부의 하단부 사이의 갭에 의해 정의된다.
본 발명의 제 2양태에 따르면, 포리머겔로 피복될 다수의 종자를 수용하는 탱크본체로서, 이 탱크본체내의 상기 종자가 공기제트흐름에 의해 상기 탱크본체에서 교반되는 탱크본체와, 이 탱크본체의 내부의 하부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탱크본체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공기제트흐름을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로 분사하여 상기 가공될 종자를 교반하도록 설계된 공기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탱크본체내에서의 상기 가공될 종자의 상기 공기제트흐름에 의한 교반율은 상기 공기챔버와 상기 탱크본체 내부의 하단부 사이의 갭에 의해 정의되는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가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탱크본체 내에서의 상기 가공될 종자의 상기 공기제트흐름에 의한 교반율은 상기 공기챔버와 상기 탱크본체 내부의 하단부 사이의 갭에 의해 정의되고, 가공용 탱크본체에 수용된 종자의 공기제트흐름에 의한 교반율은 탱크본체에 수용된 종자량에 관계 없이 실질적으로 일정한 레벨로 유지된다.
상기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는 그것의 탱크본체가 아치현 내주면을 가져서 상기 공기챔버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로부터 상기 내주면을 따라 아치형으로 교반하는 공기제트흐름을 형성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탱크본체에 수용된 종자는 탱크본체에 수용된 종자량에 관계 없이 실질적으로 일정한 방향으로 공기제트흐름에 의해 교반된다.
상기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는 추가적으로 상기 공기챔버가 상기 탱크본체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탱크본체에 수용된 종자는 탱크본체에 수용된 종자량에 관계 없이 실질적으로 일정한 방향으로 공기제트흐름에 의해 교반된다.
본 발명의 제 3양태에 따르면, 상기와 같고 추가적으로 탱크본체가 가공용 상기 탱크본체에 수용될 종자를 수용하는 호퍼부와, 이 호퍼부의 내부를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유지하기 위한 슬릿을 더 구비하도록 설계된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가 제공되며, 상기 호퍼부의 내부로부터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로의 가공될 종자의 공급속도는 상기 슬릿의 면적에 의해 정의된다.
따라서, 상기 호퍼의 내부로부터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로의 가공될 종자의 공급속도는 상기 슬릿의 면적에 의해 정의되고, 종자는 그것들이 겔로 피복되는 하류단계로 점차 이동됨에 따라 탱크본체내 종자량이 소정 레벨 이하로 떨어질 때마다 탱크본체의 내부로 자동공급된다.

Claims (19)

  1. 플리머겔로 피복될 다수의 종자를 수용하기 위한 탱크본체(53b)와, 이 탱크본체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되도록 유지하기 위한 종자배출구(53a)를 포함하고, 상기 종자배출구(53a)는 상기 탱크본체(53b)로부터 종자를 흡인하여 유지하고 그것을 탱크본체(53b)의 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탱크본체 외부에 위치한 흡인팁(95)을 마주 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탱크본체내의 상기 종자는 공기제트흐름에 의해 교반되는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53)에 있어서 상기 종자배출구는 탱크본체(53b)의 외부에서 종자배출구(53a)를 마주 보도록 위치한 상기 흡인팁(95)을 수용하도록 상기 흡인팁(95)의 외형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상기 탱크본체(53b)의 외부측의 상기 종자배출구(53a)에 배치된 대직경부(53h)와, 이 대직경부의 내경보다 작으나 종자가 통과하기에 충분히 큰 내경을 갖는 상기 탱크본체(53b)의 내부측의 상기 종자배출구에 배치된 소직경부(53j)를 갖고, 상기 대직경부 및 소직경부는 서로 연통하도록 유지되는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53).
  2. 제1항에 있어서, 탱크본체(53b)는 상기 종자배출구(53a)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각각 갖는 관통구(53f)를 갖고, 이 종자배출구(53a)는 각각의 상기 관통구(53f)에 재거가 능하게 끼워지는 환상 어댑터(53g)의 내주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
  3. 제2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외형을 갖는 복수의 흡인팁(95)을 더 포함하고 이 흡인팁 중에서 각각의 가공될 종자의 형상에 가장 적합한 형상을 갖는 하나가 사용을 휘애 선택되며, 또한 상기 복수의 흡인팁(95)의 각 외형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내경의 각 종자배출구(53a)를 갖는 복수의 어댑터(53g)를 더 포함하고 이 어댑터 중에서 각각의 가공될 종자의 외형에 가장 적합한 내경을 갖는 하나가 사용을 위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53b) 내부의 하부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탱크본체(53b)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공기제트흐름을 상기 탱크본체(53b)의 내부로 분사하여 상기 가공될 종자를 교반하도록 설계된 공기챔버(53m)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탱크본체(53b)내에서의 상기 가공될 종자의 상기 공기제트흐름에 의한 교반율은 상기 공기챕버(53m)와 상기 탱크본체(53b) 내부의 하단부 사이의 갭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53b) 내부의 하부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탱크본체(53b)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공기제트흐름을 상기 탱크본체(53b)의 내부로 분사하여 상기 가공될 종자를 교반하도록 설계된 공기챔버(53m)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탱크본체(53b)내에서의 상기 가공될 종자의 상기 공기제트흐름에 의한 교반율은 상기 공기챔버(53m)와 상기 탱크본체(53b) 내부의 하단부 사이의 갭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53b) 내부의 하부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탱크본체(53b)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공기제트흐름을 상기 탱크본체(53b)의 내부로 분사하여 상기 가공될 종자를 교반하도록 설계된 공기챔버(53m)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탱크본체(53b) 내에서의 상기 가공될 종자의 상기 공기제트흐름에 의한 교반율은 상기 공기챔버(53m)와 상기 탱크본체(53b) 내부의 하단부 사이의 갭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
  7. 폴리머겔로 피복될 다수의 종자를 수용하기 위한 탱크본체(53b)로서, 이 탱크본체내의 상기 종자가 공기제트흐름에 의해 상기 탱크본체에서 교반되는 탱크본체(53b)와, 상기 탱크본체(53b) 내부의 하부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탱크본체(53b)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공기제트흐름을 상기 탱크본체(53b)의 내부로 분사하여 사기 가공될 종자를 교반하도록 설계된 공기챔버를 포함하는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53b) 내에서의 상기 가공될 종자의 상기 공기제트흐름에 의한 교반율은 상기 공기챔버와 상기 탱크본체(53b) 내부의 하단부 사이의 갭에 의해 정의되는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
  8. 제4항에 있어서, 탱크본체(53b)는 아치형 내주먼을 가져서 상기 공기챔버(53m)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로부터 상기 내주면을 따라 아치형의 교반공기제트흐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
  9. 제7항에 있어서. 탱크본체(53b)는 아치형 내주면을 가져서 상기 공기챔버(53m)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로부터 상기 내주면을 따라 아치형 교반의 공기제트흐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챔버(53m)는 상기 탱크본체(53b)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챔버(53m)는 상기 탱크본체(53b)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챔버(53m)는 상기 탱크본체(53b)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
  13. 제1항에 있어서, 탱크본체(53b)는 가공을 위해 상기 탱크본체(53b)에 수용될 종자를 수용하는 호퍼부(53c)와, 이 호퍼부(53c)의 내부를 상기 탱크본체(53b)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유지하기 위한 슬릿(53e)을 더 구비하고, 상기 호퍼부(53c)의 내부로부터 상기 탱크본체(53b)의 내부로의 가공될 종자의 공급속도는 상기 슬릿(53e)의 면적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
  14. 제2항에 있어서, 탱크본체(53b)는 가공을 위해 상기 탱크본체(53b)에 수용될 종자를 수용하는 호퍼부(53c), 이 호퍼부(53c)의 내부를 상기 탱크본체(53b)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유지화기 위한 슬릿(53e)을 더 구비하고, 상기 호퍼부(53c)의 내부로부터 상기 탱크본체(53b)의 내부로의 가공될 종자의 공급속도는 상기 슬릿(53e)의 면적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
  15. 제3항에 있어서, 탱크본체(53b)는 가공을 위해 상기 탱크본체(53b)에 수용될 종자를 수용하는 호퍼부(53c)와, 이 호퍼부(53c)의 내부를 상기 탱크본체(53b)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유지하기 위한 슬릿(53e)을 더 구비하고, 상기 호퍼부(53c)의 내부로부터 상기탱크본체(53b)의 내부로의 가공될 종자의 공급속도는 상기 슬릿(53e)의 면적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
  16. 제4항에 있어서, 탱크본체(53b)는 가공을 위해 상기 탱크본체(53b)에 수용될 종자를 수용하는 호퍼부(53c)와, 이 호퍼부(53c)의 내부를 상기 탱크본체(53b)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유지하기 위한 슬릿(53e)을 더 구비하고, 상기 호퍼부(53c)의 내부로부터 상기탱크본체(53b)의 내부로의 가공될 종자의 공급속도는 상기 슬릿(53e)의 면적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
  17. 제7항에 있어서, 탱크본체(53b)는 가공을 위해 상기 탱크본체(53b)에 수용될 종자를 수용하는 호퍼부(53c)와, 이 호퍼부(53c)의 내부를 상기 탱크본체(53b)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유지하기 위한 슬릿(53e)을 어 구비하고, 상기 호퍼부(53c)의 내부로부터 상기탱크본체(53b)의 내부로의 가공될 종자의 공급속도는 상기 슬릿(53e)의 면적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
  18. 제8항에 있어서, 탱크본체(53b)는 가공을 위해 상기 탱크본체(53b)에 수용될 종자를 수용하는 호퍼부(53c)와, 이 호퍼부(53c)의 내부를 상기 탱크본체(53b)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유지하기 위한 슬릿(53e)을 더 구비하고, 상기 호퍼부(53c)의 내부로부터 상기 탱크본체(53b)의 내부로의 가공될 종자의 공급속도는 상기 슬릿(53e)의 면적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
  19. 제10항에 있어서, 탱크본체(53b)는 가공을 위해 상기 탱크본체(53b)에 수용될 종자를 수용하는 호퍼부(53c)와, 이 호퍼부(53c)의 내부를 상기 탱크본체(53b)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유지하기 위한 슬릿(53e)을 더 구비하고, 상기 호퍼부(53c)의 내부로부터 상기 탱크본체(53b)의 내부로의 가공될 종자의 공급속도는 상기 슬릿(53e)의 면적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
KR1019960059250A 1995-11-29 1996-11-29 겔 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 KR1002084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310699 1995-11-29
JP07310699A JP3095118B2 (ja) 1995-11-29 1995-11-29 ゲル被覆加工装置の種子供給用タン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363A KR970025363A (ko) 1997-06-24
KR100208415B1 true KR100208415B1 (ko) 1999-07-15

Family

ID=18008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9250A KR100208415B1 (ko) 1995-11-29 1996-11-29 겔 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30271A (ko)
EP (1) EP0776601B1 (ko)
JP (1) JP3095118B2 (ko)
KR (1) KR100208415B1 (ko)
DE (1) DE6960695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8010B2 (ja) * 1997-07-31 2007-06-13 アグリテクノ矢崎株式会社 種子のゲル被覆加工装置
JP3928012B2 (ja) * 1997-08-06 2007-06-13 アグリテクノ矢崎株式会社 種子のゲル被覆加工装置
JP4106406B2 (ja) 1998-04-20 2008-06-25 アグリテクノ矢崎株式会社 種子のゲル被覆加工装置
NZ517137A (en) * 1999-08-23 2003-08-29 Weyerhaeuser Co An embryo delivery system for manufactured seeds
US7228658B2 (en) 2003-08-27 2007-06-12 Weyerhaeuser Company Method of attaching an end seal to manufactured seeds
US7555865B2 (en) 2003-11-25 2009-07-07 Weyerhaeuser Nr Company Method and system of manufacturing artificial seed coats
CA2486289C (en) 2003-11-25 2008-01-08 Weyerhaeuser Company Combination end seal and restraint
CA2486311C (en) 2003-11-26 2008-08-12 Weyerhaeuser Company Vacuum pick-up device with mechanically assisted release
US7356965B2 (en) 2003-12-11 2008-04-15 Weyerhaeuser Co. Multi-embryo manufactured seed
US7591287B2 (en) 2003-12-18 2009-09-22 Weyerhaeuser N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filling a seedcoat with a liquid to a selected level
US7568309B2 (en) 2004-06-30 2009-08-04 Weyerhaeuser Nr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manufactured seeds
US7547488B2 (en) 2004-12-15 2009-06-16 Weyerhaeuser Nr Company Oriented strand board panel having improved strand alignment and a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7654037B2 (en) 2005-06-30 2010-02-02 Weyerhaeuser Nr Company Method to improve plant somatic embryo germination from manufactured seed
US9302231B2 (en) * 2012-04-03 2016-04-05 Dubois Agricultural Engineering Incorporated Seed treating device
JP2016540638A (ja) * 2013-12-17 2016-12-28 バイエル クロップサイエンス エルピーBayer Cropscience Lp 展開可能なインペラを備えた混合システム、方法、および装置
US9725254B2 (en) 2014-08-21 2017-08-08 Cnh Industrial Canada, Ltd. Configurations of inlet and outlets of air filled auxiliary tank of air seeders
US9950876B2 (en) * 2014-09-26 2018-04-24 Cnh Industrial Canada, Ltd. Downward elbow with cyclonic effect and product overflow capability
US20160302352A1 (en) * 2015-04-16 2016-10-20 Daniel Tramp High redundancy seed coating apparatus and method
FR3043882B1 (fr) * 2015-11-24 2017-12-15 Rhodia Operations Procede de traitement de semences
CN112892002B (zh) * 2021-01-15 2022-08-02 戚皎珺 一种用于丁腈胶乳的脱气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6357A (en) * 1987-11-25 1989-02-2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pparatus and method for encapsulating seeds and the like
JPH0646887B2 (ja) * 1988-11-08 1994-06-22 矢崎総業株式会社 種子のゲル被覆装置
US5254358A (en) * 1990-10-02 1993-10-19 Yazaki Corporation Method of gel-coating seed and apparatus therefore
JP2904389B2 (ja) * 1993-11-15 1999-06-14 矢崎総業株式会社 種子被覆加工装置の種子供給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06956D1 (de) 2000-04-13
JP3095118B2 (ja) 2000-10-03
KR970025363A (ko) 1997-06-24
EP0776601B1 (en) 2000-03-08
JPH09149711A (ja) 1997-06-10
EP0776601A1 (en) 1997-06-04
US5830271A (en) 1998-11-03
DE69606956T2 (de) 2000-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8415B1 (ko) 겔 피복장치의 종자공급탱크
JP4772671B2 (ja) 遺伝子的に形質転換可能な植物組織の調製用の方法および装置
JPH02128611A (ja) 種子のゲル被覆装置
US20100192818A1 (en) Differential Pressure Seed Meter With An Endless Belt Seed Transport Member
JP3095121B2 (ja) 種子のゲル被覆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CA2755334C (en) Differential pressure seed meter with an endless belt seed transport member
KR100216306B1 (ko) 피복종자의 경화장치
KR100216307B1 (ko) 종자의 겔 피복장치
CN112970391A (zh) 一种便于操作的水稻栽培种植用插秧装置及方法
JP2956885B2 (ja) 種子のゲル被覆加工装置の硬化槽
JP2956884B2 (ja) 種子のゲル被覆加工装置の製品回収部
RU22069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шлифования семян овощных культур
CN115088426B (zh) 一种水流式马铃薯播种装置
AU775826B2 (en) Seed processing apparatus
CN117339743A (zh) 一种农业水稻栽培用种子水选装置
CN117483326A (zh) 一种作物种子清洗、烘干一体化装置
SU1556558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комплексной обработки сем н
SU1246914A1 (ru) Агрегат дл комплексной обработки сем н свеклы
SU1342441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предпосевной обработки сем н
JPH0819305A (ja) 毛付種子用の播種装置
JPH0734682B2 (ja) 種子のゲル被覆加工装置の液体処理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