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6306B1 - 피복종자의 경화장치 - Google Patents

피복종자의 경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6306B1
KR100216306B1 KR1019960059249A KR19960059249A KR100216306B1 KR 100216306 B1 KR100216306 B1 KR 100216306B1 KR 1019960059249 A KR1019960059249 A KR 1019960059249A KR 19960059249 A KR19960059249 A KR 19960059249A KR 100216306 B1 KR100216306 B1 KR 100216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curing
seed
guide
cur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9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0108A (ko
Inventor
야스시 고노
요이치 이도
가즈시 나카츠카사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야스히코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야스히코,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야스히코
Publication of KR19980040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0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6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63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6Coating or dressing se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피복종자 경화장치는 종자의 겔화제를 경화하는 동시적이고 평행한 공정을 실행하는데 적당한 구조를 가진다. 겔화제로 피복된 종자는 겔피복섹션(7)의 밸브(73b)로 부터 겔경화섹션(11)의 경화탱크(111)내 흐름조절막(111g)의 반응탱크(111b)측상의 공급액 탱크(111a)의 전반부내 액체경화제로 낙하한다. 경화제내에 침지된 피복종자는 가이드 패들(113b)이 경화제 저지막(111k)의 경사면(111m)근처의 반응탱크(111b)내 지점으로 이동하여 경화제 밖으로 나올때까지 가이드 패들(113b)이 공급액 탱크(111a)상의 반응탱크(111b)내 경화제로 침지된 후 가이드 패들(113b)에 의해 가이드방향(Y)으로 경화제를 통하여 이동한다.

Description

피복종자의 경화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한가지 구체예의 경화장치를 채택하는 종자의 겔피복 장치의 개략적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종자의 겔피복 장치의 평면도이고,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종자의 겔피복 장치의 측면도이고,
제4도는 제2도에 도시된 보조프레임 및 종자 이송섹션의 확대평면도이고,
제5도는 제2도에 도시된 종자 공급섹션 및 종자 이송섹션의 부분 파단된 확대정면도이고,
제6도는 제2도에 도시된 종자 공급섹션의 확대평면도이고,
제7도는 제2도에 도시된 종자 공급섹션과 종자 이송섹션의 확대 측면도이고,
제8도는 제5도에 도시된 어댑터의 확대단면도이고,
제9도는 제2도에 도시된 겔피복 섹션의 확대정면도이고,
제10도는 제2도에 도시된 겔피복 섹션의 확대평면도이고,
제11도는 제2도에 도시된 겔피복 섹션의 확대측면도이고,
제12도는 제11도의 노즐 블록의 확대측단면도이고,
제13도는 제1도에 도시된 겔경화 섹션 및 겔세척 섹션의 부분 파단된 확대정면도이고,
제14도는 제1도에 도시된 겔경화 섹션의 확대평면도이고,
제15도는 제14도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제16도는 제14도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제17도는 제13도에 도시된 캡의 확대측단면도이고,
제18도는 제1도의 겔세척 섹션의 확대평면도이고,
제19도는 제18도에 도시된 수세탱크 후방판의 확대배면도이고,
제20도는 제7도에 도시된 탱크 본체의 공기챔버의 또다른 구체예의 요부를 도시하는 확대측면도이고,
제21도는 제16도에 도시된 겔경화 섹션의 겔가이드 메카니즘의 또다른 구체예의 요부의 확대측단면도이고,
제22도는 종래의 겔피복 장치의 정면도이고,
제23도는 제22도에 도시된 종래의 종자의 겔피복 장치의 평면도이다.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중합체 겔화제로 피복된 종자가 공급되고 피복종자가 내부저장소내에 저장된 경화화제내에서 이동하여 겔화제를 경화제와 반응시켜서 겔화제를 경화시키는 피복 종자경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련분야의 설명]
겔피복 종자, 즉 영양분과 살균제를 함유하는 중합체 겔화제로 피복된 종자가 공지되어있다.
이 겔피복 종자는 동물이 먹어치우지 못하게 하고 또한 살균하기에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종자크기의 증가로 취급이 용이하고 파종이 효율적이고 겔내에 영양분의 흡수를 통해 발아율을 개선시키는 것과 같은 많은 다른 특징들을 갖는다.
상술된 많은 특징을 이용하여, 본원인은 종자를 겔로 자동으로 피복하는 장치들을 제안하였다. 제22도는 본원인이 제안한 종래의 장치예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일반적으로 A로 표시한 겔피복장치는 스탠드(B), 종자호퍼(C), 종자이송섹션(D), 겔화제탱크(E), 겔가공섹션(F), 경화탱크(G) 및 수세탱크(J)를 갖는다.
종자호퍼(C)는 스탠드(B)의 상반부에서 공기실린더(C1)를 통하여 수직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스탠드(B)의 폭 중앙으로부터 한쪽으로 약간 비껴 위치되어 있다.
종자호퍼(C)는 제2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평면이 거의 원형이고 위쪽으로 열려 있으며, 제2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하부는 그 저부가 중심을 향해 줄어드는 거의 원추형이다.
종자호퍼(C)는 겔로 피복될 많은 종자(도시 안됨)를 수용한다. 겔화제탱크(E)는 스탠드(B)의 하반부 측면 근처에 설치되고 종자를 피복하기 위한 고점성의 액체 겔화제를 함유한다.
겔 가공섹션(F)은 스탠드(B)의 폭의 거의 중앙에서, 스탠드(B)의 상반부에 설치되어 있다. 겔 가공섹션(F)은 내부가 이중관으로 형성되어 있는 가공노즐(F1)을 갖는다.
가공노즐(F1)은 가공노즐(F1)의 상단부로부터 종자를 공급하는 내관과 가공노즐(F1)의 측면으로부터 도시되지 않은 관을 통해 겔화제탱크(E)로부터 겔화제를 공급하는 외관을 갖는다. 겔 가공섹션(F)에서는, 가공노즐(F1)내의 플런저(도시안됨)가 소정량의 겔화제를 외관의 하단부 밖으로 뿜어내는 한편, 동시에 내관의 하단부로부터 한 번에 한 개씩 종자를 전달한다. 그 결과, 겔화제로 외면이 피복된 종자들이 자체 중량에 의해 낙하한다.
종자이송섹션(D)은 스탠드(B)의 상반부에 설치되고 종자호퍼(C)와 가공노즐(F1)사이에 위치한 회전식 액츄에이터(D1) , 수평면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식 액츄에이터(D1)에 의해 중간부분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긴 회전식아암(D3) , 그리고 회전식 아암(D3)의 양단부의 하면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된 두 개의 일회용 흡입팁(D5, D7)을 갖는다. 종자이송섹션(D)은 회전식 액츄에이터(D1)를 가져 이것은 회전식아암(D3)을 한번에 180도씩 회전시켜 회전식아암(D3)이 흡입팁중 하나(D5)가 종자호퍼(C)위에 위치되고 다른 흡입팁(D7)이 가공노즐(F1)위에 위치되는 제1상태와 제1흡입팁(D5)이 가공노즐(F1) 위에 위치되고 제2흡입팁(D7)이 종자호퍼(C)위에 위치되는 제2상태를 교대로 취하도록 한다.
경화탱크(G)는 실질적으로 스탠드(B)의 수직중앙에 설치되고 겔화제 피복된 종자들이 자체중량에 의해 낙하하는 가공 노즐(F1)아래로부터 스탠드(B)의 측면 다른쪽으로 수평으로 연장된다. 경화탱크(G)에서 액체 경화제가 흐르는데 이것은 종자위에 피복된 겔화제와 반응하여 겔화제를 경화시키고 이로써 겔피복된 종자를 형성한다. 또한, 경화탱크(G)에는 제2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가공노즐(F1)의 아래쪽으로부터 경화탱크(G)내의 측면 다른 쪽으로 까지 겔 피복된 종자를 이송하는 스쿠루 피더(G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경화탱크(G)의 일면에는 경화탱크(G)내 경화제의 액높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고밀도 경화제를 함유하는 저장탱크(G5)가 배치된다. 저장탱크(G5)가 설치된 탱크 홀더(G7)는 경화탱크(G)내 경화제 흐름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연결된다. 경화탱크(G)의 상류측으로부터 탱크홀더(G7)로 흐르는 경화제의 액높이가 기준 레벨아래로 저하되면, 저장탱크(G5)내 고밀도 경화제는 액높이가 기준레벨로 되돌아올때까지 탱크홀더(G7)로 유출되고 경화탱크(G)의 하류측으로 순환된다.
수세탱크(J)는 경화탱크(G)뒤에 위치되고 경화탱크(G)를 따라 수평으로 연장된다.
수세탱크(J)에서는 물이 흘러 겔 피복된 종자를 세척하는데, 겔화제는 경화탱크(G)에서 경화되어 있는 상태이다. 수세탱크(J)에서는 또한 겔 피복된 종자가 경화탱크(G)에 이송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겔 피복된 종자를 이송하기 위해 tm쿠루 피더(1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구조를 갖는 종래의 겔 피복장치(A)에서 종자는 다음과 같이 겔로 피복된다.
종자이송섹션(D)의 제1상태에서, 공기실린더(C1)가 가동하여 종자호퍼(C)를 상승시키고 제1흡입팁(D5)이 부압으로 비워져 종자를 종자호퍼(C)로부터 끌어들인다.
다음에, 종자호퍼(C)는 공기실린더(C1)에 의해 하강한 후, 회전식 아암(D3)은 회전식 액츄에이터(D1)에 의해 수평으로 180도 회전되어 종자이송섹션(D)을 제2상태로 되게 한다.
이 제2상태에서, 제1흡입팁(D5)은 정압으로 되어 집어올린 종자를 상부로부터 가공노즐(F1)의 내부파이프로 집어넣는다. 동시에, 공기실런더(C1)가 가동하여 종자호퍼(C)를 상승시키고 이곳으로부터 종자는 팁을 부압으로 되게 함으로써 제2흡입팁(D7)으로 끌어들여진다. 이들 조작은 반복되어 종자호퍼(C)로부터 가공노즐(F1)로 종자를 이송하게 된다. 만일 호퍼가 공기실린더(C1)에 의해 올려졌는데도 종자호퍼(C)내의 종자가 흡입팁(D5, D7)으로 흡입되지 못하면 종자호퍼(C)는 종자를 흔들어 흡입팁(D5, D7)의 정면단부에 더 접근 가능하게 만들도록 작은 피치만큼 위아래로 진동하게 된다.
종자는 가공노즐(F1)의 내관에 투입됨과 동시에, 플런저가 가동되어 종자와 함께소정량의 겔화제를 가공노즐(F1)의 정면단부밖으로 뿜어 내어 종자가 겔화제로 피복되게 하고 자체중량에 의해, 가공노즐(F1)의 정면단부로부터 경화탱크(G)로 낙하하게 한다.
경화탱크(G)로 낙하한 피복된 종자는 스쿠루피더(G1)에 의해 이동되는 한편 종자의 외표면에 부착하는 겔화제는 경화되어 종자가 겔로 덮이게 된다. 경화탱크(G)의 측면 반대쪽에 도달한 겔피복 종자는 스쿠루피더(G1)의 회전과 또 스쿠루피더(G1)의 회전과 동기적으로 도시않은 송풍개구로부터 송풍되는 공기의 힘에 의해 경화탱크(G)와 수세 탱크(J)사이의 격벽(G3)(제23도 참조)을 타고 가로질러 수세탱크(J)쪽으로 이송된다.
수세탱크(J)에 이송된 겔피복 종자는 물흐름에 의해 수세탱크(J)를 따라 이동되면서 스쿠루피더(J1)에 의해 만들어진 물흐름에 의해 표면이 세척된다. 수세탱크(J)의 다른 단부에 도달한 겔피복 종자는 그 다음 스쿠루피더(J1)에 의해 이송되어 수세탱크(J)의 단부에서 격벽(J3)(제23도)을 타고 배출구(K)(제23도)로 이동하며, 여기서 겔피복 종자가 겔피복장치(A)의 저부에 놓인 생성물 받이(도시안됨)에 회수된다. 게다가 종자호퍼(C)내에 남아있는 종자들은 항상 모니터되며, 이 종자들이 적다면 종자호퍼(C)로 종자들이 공급된다.
경화탱크(G)에서, 종자의 표면을 피복하는 겔화제가 소정시간 동안 경화제에 침지되어 경화제와 반응하여 경화될때, 경화제의 밀도와 양은 감소한다. 탱크홀더(G7)내 경화제의 액높이가 기준레벨 아래가 되면 저장탱크(G5)내 고밀도 경화제는 탱크홀더(G7)로 유출되고, 그로부터 경화탱크(G)로 적당량이 공급된다.
경화탱크(G)내 스크루피더(G1)에 의해 생성된 액체 경화제의 흐름에 의하여 겔화제 피복종자를 이동시키는 종래의 피복장치(A)에서, 경화탱크(G)로 투입된 피복종자가 스크루 피더(G1)에 의해 생성된 액체경화제 흐름에 의하여 확실히 수송되도록 하기 위하여, 경화탱크(G)의 폭은 스크루피더(G1)의 나선형블레이드의 직경으로부터 크게 확장될 수 없다. 그러므로 경화탱크(G)의 크기가 증가되어 액체 경화제를 통하는 피복종자의 동시적인 평행 이동을 허용할때, 겔피복장치(A)의 처리능력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 으로서, 스크루피더(G1)의 증가된 직경에 따라서 경화탱크(G)의 평면크기 뿐만아니라 그 높이까지도 늘리는 것이 필요하며, 따라서 장치 크기가 과도하게 증가된다.
스크루피더(G1)를 사용하는 종래 겔 피복장치에서 제2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반 피치에 해당하는 스크루 피더의 나선형 블레이드의 일부는 약간의 겔화제 피복종자가 경화제에 도달할 수 없도록 액체 경화제 표면을 덮는다. 그러므로, 피복종자가 경화탱크(G)로 투입되는 시간이 스크루피더(G1)의 회전사이클과 일치하는지 아닌지에 따라서 피복 종자가 경화제에 침지되는 시간, 즉 종자의 겔화제가 경화제와 반응하는 시간의 변화가 일어난다. 이것은 순차적으로 경화반응후 겔 피복종자의 경화도 변화를 가져오고, 따라서 발아시간과 같은 파종후 종자의 성장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또한, 종래 겔 피복장치(A)에서 경화탱크(G)내 경화제의 밀도가 저하됨에 따라서 액체경화제의 전체량이 감소될때, 저장탱크(G5)내 고밀도 경화제가 경화탱그(G)내 경화제의 흐름으로 직접 공급되어 경화제밀도가 크게 변화되면서 피복종자는 스크루피더(G1) 에 의해 발생된 경화제 흐름에 의하여 경화탱크(G)로 이동한다. 피복종자가 경화제에 침지되는 동안의 시간 변화와 같이, 경화제 밀도변화는 경화후 종자를 피복하는 겔의 경도변화를 야기시켜서 발아시간과 같이 파종된 종자의 성장변화가 일어난다.
본 발명은 상술된 상황하에서 이루어졌으며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종자의 겔화제를 동시적이고 평행하게 경화시키는 공정을 실행하기에 적당한 피복종자 경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경화제와의 반응을 통하여 종자상의 겔화제를 경화하는 공정에 피복종자가 액체경화제에 침지되는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피복종자 경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경화제내에서 피복종자를 경화하는 공정을 행하지 않고 그것과의 반응을 통하여 겔화제를 경화시키는데 사용되는 경화탱크내 경화제의 밀도와 양을 사실상 자동적으로 조정 할 수 있는 피복종자 경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요]
제1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피복종자 경화장치는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이, 가공될 종자를 피복하는 중합체 겔화제를 경화하기 위한 액체 경화제를 함유하는 경화탱크, 피복종자가 경화제내에서 이동하는 방향을 가로지르는 경화탱크의 폭 크기에 해당하는 폭을 가지며, 경화탱크의 폭방향과 평행한 폭 방향으로 뻗는 가이드 패들, 및 경화제를 통하여 피복종자를 이동시키기 위해 가이드 시점으로부터 가이드종점까지 경화댕크의 경화제내에서 가이드 패들을 이동시키는 패들 구동장치로 이루어지며, 중합체 겔화제로 피복된 종자가 가이드 시점에서 경화탱크내 경화제로 투입되고 가이드 시점에서 가이드 종점을향해 경화제내 가이드 패들에 의해 이동되어 종자의 겔화제가 경화제와 반응하여 경화된다.
제2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피복종자 경화장치는 제2항에 정의된 바와같이 다음 특징을 가진다. 패들구동장치는 축이 경화탱크의 폭 방향으로 향하고 가이드 시점과 가이드 종점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설치된 한쌍의 풀리, 한쌍의 풀리에 감긴 벨트, 및 풀리를 통해 벨트를 순환시키는 순환구동원으로 이루어지며, 벨트는 한쌍의 풀리사이에 위치된 두개의 절반부로 이루어지고, 벨트의 전반부는 경화제와 대면하고 벨트의 후반부는 벨트의 전반부를 통해 대면하도록 배치되며, 가이드 패들은 풀리의 회전축 방향으로 정렬된 가이드 패들의 폭 방향과 함께 순환구동원에 의해 벨트의 순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벨트의 외주면상에 직립되고, 벨트후반부에 직립된 가이드 패들은 경화제 외부로 위치되고 순환구동원에 의하여 가이드 종점으로부터 가이드 시점으로 이동하며, 벨트 전반부에 직립된 가이드 패들은 경화제내에 위치되고, 순환구동원에 의하여 가이드 시점으로부터 가이드 종점으로 이동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피복종자 경화장치는 제3항에 정의된 바와같이,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패들구동장치는 경화탱크의 폭방향으로 향하는 롤러의 축과 함께 피복종자의 이동 방향으로 간격을 둔 복수개의 롤러, 및 동일 회전방향으로 롤러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원으로 이루어지며, 가이드 패들은 롤러의 회전축 방향으로 정렬된 패들의 폭방향과 함께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둔 각각의 롤러의 주변면상에 직립되고, 롤러는경화제와 대면하는 롤러의 제1주변부상에 직립된 가이드 패들이 경화제내에 위치되고 대향하는 제1및 제2주변부사이의 각각의 롤러의 회전축과 함께 제1주변부와 대향하는 롤러의 제2주변부상에 직립된 가이드 패들이 경화제 외부에 위치되도록 배치되고, 경화제내에 위치된 가이드 패들은 종자 이동방향으로 회전구동원에 의해 경화제로 이동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피복종자 경화장치는 제4항에 정의된 바와같이,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경화제 저지막은 경화탱크 부분의 하류측으로 경화제가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종자이동방향으로 가이드 종점의 경화탱크부 하류에 형성되고, 경화제 저지막의 가이드 시점측상의 막표면은 경화제내로부터 외부로 이동하는 가이드 패들의 선단위치 다음에 형성되고, 종자이동방향으로 경화제 저지막의 경화탱크부 하류에는 경화탱크의 외부와 연통하는 종자낙하부가 형성되고, 가이드 종점에서의 피복종자는 가이드 패들에 의해 밀려져서 막표면위에 탑재되고 가이드 패들과 함께 경화제밖으로 나오고 가이드 패들이 경화제 저지막위로 상승할때 피복종자는 가이드 패들로부떠 종자낙하부로 떨어 진다.
제3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피복종자 경화장치는 제5항에 정의된 바와 같이, 종자이동방향으로 경화제 저지막의 경화탱크부 상류에서 경화제를 가이드 시점으로 복귀시키는 복귀통로, 및 복귀통로내 경화제 위로 부터 대면하는 탱크개구를 갖추며, 경화탱크내 경화제의 밀도를 조정하는데 사용되는 밀도조정 경화제를 유지하기 위한 저장탱크로 이루어지며, 복귀통로내 액체 경화제의 레벨이 탱크 개구로부터 떨어질때 밀도 조정 경화제는 탱크개구를 통하여 그 자체의 중량에 의해 복귀통로로 저장탱크 밖으로 유출되고, 복귀통로내 액체경화제의 레벨이 탱크개구에 도달하면, 저장탱크로부터 밀도 조정 경화제의 유출은 탱크개구를 통해 인가되는 복귀통로내 경화제압력에 의해 중지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피복종자 경화장치는 제6항에 정의된 바와같이, 가이드 패들이 적어도 피복종자보다 더 작은 폭의 슬릿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피복종자 경화장치는 제7항에 정의된 바와같이, 가공될 종자를 피복하는 중합체 겔화제를 경화하기 위한 액체경화제를 함유하는 경화탱크, 가이드 종점으로부터 가이드 시점으로 경화제를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통로, 및 복귀통로내 경화제 위로 부터 대면하는 탱크개구를 갖추며, 경화탱크내 경화제의 밀도를 조정하는데 사용되는 밀도 조정 경화제를 유지하기 위한 저장탱크로 이루어지며, 중합체 겔화제로 피복된 종자는 가이드시점에서 경화탱크내 경화제로 투입되고 가이드 시점으로부터 가이드 종점으로 경화제내에서 이동하여 종자의 겔화제가 경화제와 반응하여 경화되고, 경화된 겔화제로 피복된 종자는 가이드 종점에서 경화제밖으로 이동하며, 복귀탱크내 액체경화제의 레벨이 탱크개구로부터 떨어질때 밀도조정 경화제는 탱크개구를 통하여 그 자체의 중량에 의해 복귀통로로 저장탱크밖으로 유출되고, 복귀통로내 액체경화제의 레벨이 탱크개구에 도달하면, 저장 탱크로부터 밀도조정 경화제의 유출은 탱크개구를 통해 인가되는 복귀통로내 경화제압력에 의해 중지된다.
제1항에 기재된 피복종자 경화장치로, 경화탱크의 가이드 시점에서 액체경화제에 투입된 피복종자가 가이드 시점으로부터 가이드 종점으로 흐르는 경화제의 흐름으로 이동할때, 이것은 패들 구동장치에 의하여 가이드 시점으로 부터 가이드 종점으로 경화제내에서 이동하는 가이드 패들에 의하여 달성되며, 이에 의하여 경화제를 통하여 가이드 시점으로부터 가이드 종점으로 피복종자를 가이드 한다.
가이드 패들은 폭방향이 피복종자가 경화제내에서 이동하는 방향을 가로지르는 경화탱크의 폭에 해당하는 크기의 폭을 가지며, 가이드 패들폭은 경화탱크의 폭방향으로 뻗기 때문에 가이드 패들의 폭 크기와 피복종자의 크기간의 비율에 해당하는 수의 피복종자는 가이드 패들에 의하여 가이드 시점으로 부터 가이드 종점으로 경화제를 통하여 이동될 수 있다.
제2항에 기재된 피복종자 경화장치에서, 가이드 패들은 패들구동장치를 구성하는 벨트의 외부면에 세워지고, 벨트는 패들구동장치를 구성하는 한쌍의 풀리주위에 감기고, 벨트는 풀리를 통하여 순환구동원에 의하여 순환된다. 경화제와 대면하는 한쌍의 풀리사이에 위치된 벨트의 절반부에 세워진 가이드 패들은 경화제내에서 사이드 시점으로부터 가이드 종점으로 이동하여 경화제를 통하여 피복종자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순환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의 순환시간을 조정함으로써 경화종자가 경화제에 침지되는 동안의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경화제와의 반응을 통하여 종자의 겔화제를 경화시킨다.
가이드 시점에서 가이드 종점까지 범위의 침지부분을 제외한 경화탱크부분에서, 가이드패들은 경화제 외부에 배치되어 침지부분을 제외한 경화탱크의 이 부분에서 가이드 패들의 이동이 경화제 흐름을 방해하지 않게 한다.
또한, 제2항의 장치와 유사한 제3항에 정의된 피복종자 경화장치에서 가이드 패들은 패들 구동장치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롤러의 주변면에 세워지고 이들 롤러는 패들구동장치를 구성하는 회전구동원에 의해 구동되어 경화제를 대면하는 롤러의 주변면의 그 부분에 세워진 가이드 패들이 경화제를 통하여 피복종자를 가이드하는 종자이동방향으로 액체 경화제를 통하여 이동하게 한다.
따라서, 회전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롤러의 회전시간을 조정함으로써 피복종자가 경화제내에 침지되는 동안의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서 경화제와의 반응을 통하여 종자의 겔화제를 경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2항의 피복종자경화장치와 같이, 가이드 시점에서 가이드 종점까지 범위의 침지부분을 제외한 경화탱크부분에서 가이드 패들은 경화제 외부에 배치되어 침지부분을 제외한 경화탱크의 이 부분에서의 가이드 이동이 경화제 흐름을 방해하지 않게 한다.
제4항에 기재된 피복종자 경화장치에서, 가이드 패들이 경화탱크의 가이드 종점에서 액체경화제 밖으로 이동할때, 피복종자는 가이드 패들에 의해 운반되어 물저지막의 경사막 표면을 따라서 이동하고 가이드 패들과 함께 액체경화제 밖으로 나온다. 피복종자를 경화제밖으로 나오게 하는 장치는 경화제를 통하여 가이드 시점에서 가이드 종점으로 피복종자를 가이드하는 주요기능을 가진 가이드 패들에 의해 작동된다.
제5항에 정의된 피복종자 경화장치에서, 경화탱크와 연통하고 경화제를 경화탱크내 가이드 종점에서 가이드 시점으로 복귀시키는 복귀통로의 액체레벨이 저장탱크의 탱크 개구에서 떨어질때, 밀도조성 경화제는 액체레벨이 탱크개구에 도달 할때까지 저장 탱크에서 복귀통로로 흐른다. 저장탱크내 밀도조정경화제는 가이드 종점에서 가이드시점까지의 범위로 침지된 피복종자가 이동하는 경화탱크의 침지부분을 제외한 복귀통로내 경화제로 흘러서, 침지부분내 경화제 밀도가 피복종자가 이동하는 동안에 변화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종자상의 경화제경도는 변화없으며, 있다면 피복종자가 이동할때 생성되는 침지부분내 경화제의 밀도의 큰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그러므로, 경화제내에서 피복종자의 경화공정을 실행하지 않고 경화탱크내 액체경화제의 밀도와 양을 사실상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유사한 효과는 제7항에 정의된 피복종자 경화장치에 의해서도 얻어진다.
제6항에 정의된 본 발명의 피복종자 경화장치에서 가이드 패들이 경화제를 통하여 이동할때, 가이드 패들의 슬릿폭보다 더 큰 피복종자는 경화제를 통하여 가이드 시점에서 가이드 종점으로 가이드되는 한편 동시에 가이드 패들의 가이드 종점측 상의 경화제는 슬릿을 통하여 가이드 패들의 가이드 시점측으로 배출된다. 이 작동은 경화제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액체경화제를 통하여 피복종자를 신뢰성 있게 가이드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양태 및 이점은 동일한 부재를 동일한 참조기호로 나타낸 첨부도면과 함께 다음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의 범위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설명]
이제, 본 발명에 따른 피복종자의 경화장치를 본 명세서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구체예와 연관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르는 겔경화장치를 사용하는 종자의 겔피복장치의 개략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제2도 및 제3도는 각각 그것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일반적으로 1로 표시한 본 구체예의 겔피복 장치는 스탠드(3), 종자공급섹션(5), 겔피복섹션(7), 종자이송섹션(9), 겔경화섹션(11), 및 겔세척섹션(13)을 갖는다.
스탠드(3)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측면으로 개방되어 있는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프레임은 종방향으로 긴, 평면도에서 대체로 직사각형인 주프레임(31)과 후방단부근처 주프레임(31)위에 세워진 보조프레임(33)으로 구성된다. 주프레임(31)은 프레임저부의 네 구석에 있는 바퀴(34)에 의해 운반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측면보강프레임(35)은 주프레임(31)의 수직중앙 약간 위에 수평으로 장착되어 있다.
제4도의 보조프레임과 종자이송섹션의 확대평면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주상부가로대(36)는 보조프레임(33)의 전방단부와 후방단부의 약간 앞에서 보조프레임(33)의 왼쪽과 오른쪽 사이에 수평으로 놓인다.
두 개의 보조상부가로대(37)는 주상부가로대(36)를 보강하기 위해 보조프레임(33)의 횡방향으로 간격을 둔 위치에서 전방과 후방 주상부가로대(36)를 연결하여 수평으로 놓인다. 왼쪽 보조상부가로대(37)위에는 이 보조상부가로대(37)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이드레일(38)(제5도)이 지지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방 측가로대(39)는 보조프레임(33)의 수직 중앙보다 약간 더 낮은 높이에서 보조프레임(33)의 전방, 측면부분들사이에 수평으로 장착된다. 지지판(36a)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오른쪽 보조상부가로대(37)를 향해 옆으로 약간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주상부가로대(36)에 놓인다. 지지판(36a)사이에 수평으로 걸쳐져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옆으로 간격진 가이드 샤프트(36b)가 있다.
종자공급섹션(5)은 겔피복 종자로 가공되는 종자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주프레임(31)상에 보조프레임(33)내부에 위치된다. 종자공급섹션(5)은 주프레임(31)에 확고히 고정된 베이스(51)와 베이스(51)에 고정된 종자탱크(53)를 갖는다.
제5도는 종자공급섹션과 종자이송섹션의 확대정면도이다.
제6도는 종자공급섹션의 확대 평면도이다. 제7도는 종자공급섹션과 종자이송섹션의 확대 측단면도이다. 베이스(51)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주프레임(31)의 측면부분들사이로 연장되는, 평면도에서 횡으로 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다. 평행가이드레일(51a)은 베이스(51)의 전방단부와 후방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베이스(51)에는 단면이 U-형상이고 제6도와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이드레일(51a)의 전체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가이드홈(51b)이 가이드레일(51a)의 내부대향면에 형성되어있다. 이들 가이드레일(51a)사이에는 미끄럼판(51c)이 지지되는데, 그것의 전방 및 후방 단부가 대응 가이드홈(51b)에 들어맞아 미끄럼판(51c)이 주프레임(31)의 오른쪽을 향해 끌려나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6도에는 미끄럼판(51c)을 당기기 위해 사용되는 손잡이가 51d로 표시되어 있다.
종자탱크(53)는 미끄럼판(51c)에 놓이고, 예를들면 아크릴수지판으로 만들어지며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미끄럼판(51c)의 측면으로부터 세워진 한쌍의 측벽(53a)과,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측벽(53a)사이에 형성된 탱크본체부(53b)와 호퍼부(53c)를 갖는다. 탱크본체부(53b)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측벽(53a)과 단부에서 폐쇄된 원통형주변벽(53d)으로 형성된 실질적으로 횡으로 긴 원통이다. 주변벽(53d)은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측벽(53a)사이의 탱크본체부(53b)의 하부에 형성된 수평으로 긴 슬릿(53e)을 갖는다. 슬릿(53e)은 수직폭(H1)을 갖는다. 주변벽(53d)의 상부는 제5도에 부분파단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8개의 관통구(53f)로 형성되고 평면도가 실질적으로 원형이고 같은 간격으로 힁으로 배열된다. 관통구(53f)의 각각은 거의 중앙에서 구멍(53A)을 갖는 환형상어댑터(53g)와 탈착가능하게 들어맞는다.
어댑터(53g)의 구멍(53A)의 내주면은 제8도의 확대단면도로 도시된 바와같이 탱크 본체부(53b)의 주변벽(53d)의 외부에 대경부(53h)를 갖고 내부에 소경부(53j)를 갖는다. 대경부(53h)와 소경부(53j)사이의 경계에 층진부분(53k)이 있다.
구멍(53A)의 내경이 다른 두 개이상 종류의 어댑터(53g)가 준비되어있다.
탱크본체부(53b)에 수용된 종자의 크기에 따라 종자가 통과할 수 있는 소경부(53j)중 가장 작은 것을 가진 어댑터(53g)는 관통구(53f)에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측벽(53a)사이의 탱크본체부(53b)에는 직경이 탱크본체부(53b)보다 충분히 더 작고 탱크본체부(53b)의 저부내주면위로 작은거리(H3)--슬릿(53e)의 수직폭내(H1)과 거의 같음--로 유지되어 있다. 공기챔버(53m)는 측벽(53a)사이 거의 중앙에서 두 개의 측면부분으로 분할된다. 왼쪽과 오른쪽 공기챔버(53m)부분은 슬릿(53e)쪽과 반대쪽에 정면주변부에서 힁으로 배열되고 균등하게 간격진 송풍구(53n)가 형성되어 있다.
분할된 공기챔버(53m)부분 각각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두 개의 조인트(53p)의 단부를 갖는 저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들 조인트(53p)는 탱크본체부(53b) 저부를 통과하고 밖으로 연장되며, 조인트(53p)의 다른 단부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탱크본체부(53b)의 뒷면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베이스(51)에 확고히 장착된 다기관(53r)의 네 개의 조인트(53s)에 도시안된 고압호스를 통해 연결된다.
다기관(53r)에는 도시않은 압력리듀서를 통해 겔피복 장치(1)밖으로 외부 공기압축기(도시안됨)로부터 압축공기가 공급된다. 압축공기는 조인트(53s, 53p) 및 고압호스를 통해 분할된 공기챔버(53m)부분의 각각에 공급된다.
호퍼부(53c)는 탱크본체부(53b)내의 슬릿(53e)의 상부측에서 주변벽(53d)으로부터 거의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전방판(53t)과, 탱크본체부(53b)로부터 점진적으로 연장되는 슬릿(53e)의 하부측으로부터 후방위로 경사지고 전방단부는 거의 수직으로 올라가는 후방판(53v)에 의해 형성된다. 후방판(53v)은 후방상부방향으로 탱크본체부(53b)의 저부근처로부터 연장되는 주변벽(53d)부분의 접선방향으로 연장된다. 후방판(53v)은 주변벽(53d)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겔피복 섹션(7)은 겔피복 종자를 형성하기 위해 겔화제로 종자를 피복하기 위한 것이며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조프레임(33)의 앞에 주프레임(31)위에 배열되고 주프레임(31)의 왼쪽과 오른쪽 단부사이로 연장되는 베이스(71), 베이스(71)위에 배열된 노즐블록(73), 노즐블록(73)의 앞에 베이스(71)위에 확고히 장착된 겔수용블록(75) , 겔수용블록(75)에 연결된 8개의 가압공기실린더(77)와 8개의 공기환기밸브(78), 그리고 겔수용블록(75)에 겔화제를 공급하기 위한 다기관(79)을 포함한다.
제9도는 겔피복 섹션의 확대정면도이고, 제10도는 그것의 확대평면도이고, 제11도는 그것의 확대측면도이다. 베이스(71)는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평면도가 횡으로 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다. 베이스(71)의 후방단부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조프레임(33)의 정면측가로대(39)에 고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베이스(71)는 제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조프fp임(33)의 정면측가로대(39)의 정면측면들로부터 아래로 돌출하는 두 개의 왼쪽 및 오른쪽 보강판(71a)에 의해 수평으로 지지된다.
노즐블록(73)은 베이스(71)의 왼쪽과 오른쪽 단부사이에 설치된 게이트형상 베이스프레임(74)에 배치되고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횡으로 길고 베이스(71)보다 길이방향으로 더 짧은 평면도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다. 노즐블록(73)의 상부표면은 8개의 횡으로 같게 간격진 종자주입구(73a)로 형성된다. 종자주입구(73a)에 대응하는 노즐블록(73)의 하면부분은 제12도의 확대측단면도로 도시된 바와같이 종자주입구(73a)보다 더 작은 내경을 갖는 밸브(73b)로 형성된다. 노즐블록(73)은 종자주입구(73a)와 대응밸브(73b)를 연결하기 위해 수직으로 통과하는 8개의 통로(73c)를 갖는다.
통로(73c)의 각각은 종자주입구(73a)와 연통하고 직경이 그와 거의 같은 대경부(73d)와, 밸브(73b)와 연통하고 직경이 밸브(73b)보다 약간 더 크고 대경부(73d)보다 더 작은 소경부(73e)를 갖는다. 통로(73c)의 내주면은 종자주입구(73a)를 향해 수직으로 중심이 약간 벗어난 위치에서 대경부(73d)와 소경부(73e)사이의 층진부분(73f)으로 형성된다. 대경부(73d)는 암나사(73g)로 형성된다.
통로(73c)의 각각에, 원통형 플런저(73h)가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플런저(73h)는 소경부(73e)의 내경에 해당하는 외경을 갖는다. 플런저(73h)의 외주변에 통로(73c)의 대경부(73d)의 내경에 해당하는 외경을 갖는 플랜지(73j)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73j)에서 일정한 거리로 플런저(73h)의 한 단부 부분은 다른 단부보다 외경이 더 작은 소경부(73k)로 형성되어 있다.
플런저(73h)는 소경부(73k)가 아래로 향하면서 종자주입구(73a)를 통해 위로부터 통로(73c)에 삽입 된다. 통로(73c)의 층진부분(73f)과 맞물린 플랜지(73j)로, 플런저(73h)의 상단부(제2단부)는 종자주입구(73a)로부터 위로 돌출하고, 플런저(73h)의 하단부(제1단부), 즉 소경부(73k)의 하단부는 궁극적으로 노즐블록(73)의 하면과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이고 플런저(73h)의 하단부의 주변표면은 틈없이 밸브(73b)의 내주변 표면에 꼭 들어맞아 밸브(73b)를 폐쇄한다. 이 상태로, 환형상공간(73m)이 통로(73c)의 소경부(73e)와 플런저(73h)의 소경부(73k)사이에 형성된다. 이 공간(73m)은 통로(73n)를 통해 겔수용블록(75)의 노즐블록(73)의 전방측으로 연통된다.
상기 상태에서, 환형상공간(73p)은 플랜지(73j)보다 더 높은 플런저(73h)의 주변표면과 통로(73c)의 대경부(73d)사이에 형성된다. 코일스프링(73r)은 이 공간(73p)에 설치된다. 대경부(73d)의 암나사(73g)는 캡(73s)의 수나사(73t)를 수용한다.
캡(73s)을 통로(73c)에 나사 맞춤하면, 수나사(73t)의 단부표면은 플랜지(73j)쪽을 향하여 코일스프링(73r)을 누른다. 따라서, 플런저(73h)는 소경부(73k)의 하단부가 밸브(73b)를 폐쇄하도록 플랜지(73j)를 통해 코일스프링(73r)에 의해 가압된다.
제12도에서, 부재번호 73v는 플런저(73h)를 통과하는 통로를 표시하며 몇가지 종류의 어댑터(53g)의 내경중 가장 큰 것을 갖는 대경부(53h)와 거의 같은 내경을 갖는다. 그것들이 밸브(73b)와 면하는 경우, 베이스프레임(74)과 베이스(71)는 통로구멍(74a, 71b)를 각각 가져서 밸브(73b)로부터 떨어지는 낱알같은 겔화제가 아래로 베이스(71)를 통과하게 한다. 소경부(73k)의 외경을 다르게하여 두가지 종류이상의 플런저(73h)를 제조한다. 어 댑터(53g)의 경우에도, 소경부(73k)가 종자공급섹션(5)에서 겔피복 섹션(7)으로 이송된 종자의 크기 및 형태에 대해 가장 적당한 크기의 환형상공간(73m)을 갖는 플런저(73h)는 종자를 피복하는 적당량의 겔화제가 떨어질 수 있도록 각 통로(73c)에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겔수용블록(75)은 횡방향으로 길고 그것의 횡길이가 노즐블록(73)의 길이에 상당하는, 평면도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다. 겔수용블록(75)에는 제1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노즐블록(73)의 통로(73c)에 상당하는 같은 간격으로 횡으로 배열되는 8개의 하향개구 겔통로(75a)가 형성되어 있다.
각 겔통로(75a)의 상단부는 노즐블록(73)에서 대응통로(73n)에 면하는 겔수용블록(75)의 뒤쪽과 통로(75b)를 통해 연통한다. 통로(75b)와 노즐블록(73)의 통로(73n)를 통해, 겔통로(75a)와 노즐블록(73)의 대응통로(73c)의 공간(73m)사이에 연통이 이루어진다.
가압공기실린더(77)는 통로(75b)에 면하는 겔수용블록(75)의 앞쪽에 수평으로 연결된다. 각 가압공기실린더(77)의 내부는 통로(75b)아래 지점에서 대응 겔통로(75a)와 연통한다.
제12도에서, 부재번호 75c는 가압공기실린더(77)의 확장 및 수축작용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 제어기를 가리킨다. 겔통로(75a)의 하단부에 겔통로(75a)로부터 외부를 향하는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75d)가 제공되어 있다.
공기환기밸브(78)는 가압공기실린더(77)가 연결되는 겔수용블록(75)의 경사진 전방상부에 약 45도 각도로 연결되어 있다. 공기환기밸브(78)의 내부는 겔통로부분(75a)의 상단부(75f)와 연통한다.
제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기관(79)은 가압공기실린더(77)아래에 그들사이에 베이스(71)를 위한 틈을 가지고 위치되며 거의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다기관(79)의 단부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베이스(71)의 횡말단의 하면에 장착되고 베이스(7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브래킷(71c)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다기관(79)의 한단부는 브래킷(71c)을 통과하는 자유결합조인트(커플러라고도 함)와 연결되어 있다. 이 커플러(79a)는 고압호스와 펌프(둘다 도시안됨)를 통해 겔화제탱크(도시안됨)에 연결되어 있다. 다기관(79)의 후방부의 외주변은 겔피복장치(1)의 횡방향으로 같은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8개의 조인트(79bf)와 그것들의 한 단부에서 연결 되어 있다
제1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조인트(79b)의 다른 단부는 베이스(71)의 통로(71d)를 통과하고 겔수용블록(75)의 대응 겔통로(75a)의 하부단부에 연결된다.
종자이송 섹션(9)은 종자공급섹션(5)으로부터 겔피복 섹션(7)으로 종자를 운반하기 위한 것이며,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겔피복 장치(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보조프레임(33)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이동대(91),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도록 이동대(91)에 지지된 다기관(93), 다기관(93)에 의해 지지된 8개의 흡입팁(95), 및 이동대(91)에 고정 장착된 진공펌프(97)를 포함한다. 이동대(91)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베이스판(91a)과 베이스판(91a)을 구동하는 로들리스 자기실린더(91b)를 갖는다.
베이스판(91a)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조프레임(33)의 왼쪽과 오른쪽 사이에 걸친 횡으로 긴 평면도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베이스판(91a)은 보조프레임(33)위에 수평으로 배치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라이더(91c)는 보조프레임(33)의 왼쪽부분근처 베이스판(91a)의 하면에 장착된다. 슬라이더(91c)의 하면에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향개구 가이드흠(91d)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왼쪽 보조상부가로대(37)위의 가이드레일(38)에 들어맞는다. 제4도에 도시된바와같이 볘이스판(91a)이 주 상부가로대(36)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칼라를 가진 블록(91e)이 가이드샤프트(36b)에 면하는 위치에서 베이스판(91a)의 하면에 장착된다. 가이드샤프트(36b)는 대응블록(91e)의 칼라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통과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로들리스 자기실린더(91b)는 두 개의 가이드샤프트(36b)사이의 거의 중앙에서 주 상부가로대(36)의 지지판(36a)사이에 연장된다. 로들리스 자기실린더(91b)의 실린더통(91f)은 블록(91e)사이의 베이스판(91a)아래에 배치되어 베이스판(91a)과 블록(91e)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실린더통(91f)의 상부는 실린더통의 거의 전길이에 걸쳐 슬릿(91h)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통(91f)에는 자석의 작용에 의해 실린더통(91f)의 단부사이로 미끄러지는 피스톤요크(도시안됨)가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요크와 함께 미끄러지는 피스톤 장착부(91j)는 실린더통(91f)의 슬릿(91h)의 밖으로 돌출한다. 블록(9le)사이의 베이스판(91a)의 하면으로부터 아래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브래킷(91k)은 나사(91m)에 의해 피스톤 장착부(91j)에 고정된다. 다기관(93)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자탱크(53)보다 횡폭이 약간 더 작으며, 단면이 거의 원형인 그것의 단부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폐쇄 되어 있다. 다기관(93)은 상승-하강장치(94)를 통해 베이스판(91a)에 의해 지지된다.
상승-하강장치(94)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 슬라이더(91c)의 횡으로 내측에서 베이스판(91a)의 하면으로부터 아래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판(94a), 측판(94a)의 내측에 배열된 한쌍의 상승-하강 프레임(94b), 베이스판(91a)아래에 위치되고 측말단이 상승-하강프레임(94b)에 의해 지지되는 리테이너판(94c), 그리고 베이스판(91a)에 대하여 리테이너판(94c)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공기실린더(94d)를 포함한다.
미끄럼판(94a)은 각각 내측에 장착된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레일(94e)을 가지며 상승-하강프레임(94b)은 각각 바깥쪽에 고정된 슬라이더(94f)를 갖는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라이더(94f)의 각각은 대응측판(94a)의 가이드레일(94e)위에 들어맞는 외측개방가이드흠(94g)과 함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판(94c)은 베이스판(91a)보다 길이방향 길이가 더 크게 형성되고 리테이너판(94c)의 후방단부 베이스판(91a)의 거의 길이방향중심에 위치되고, 리테이너판(94c)의 정면단부는 베이스판(91a)의 앞에 위치된다. 공기실린더(94d)는 블록(91e)의 왼쪽에서 정면에서 약간 가까운 지점에서 베이스판(91a)의 윗표면에 장착된다. 공기실린더(94d)의 실린더로 드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베이스판(91a)을 통과하고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것의 후방 단부근처에서 조인트로드(94h)를 통해 리테이너판(94c)의 윗표면에 결합된다.
다기관(93)는 리테이너판(94c)의 정면 하면에 장착되고 횡으로 간격져 떨어진 위치에서 후방주변벽에 부착된 두 개의 조인트(93a)를 갖는다.
다기관(93)의 저부주변벽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탱크본체부(53b)의 관통구(53f)에 대응하는 횡으로 같은 간격으로 8개의 구멍(93b)으로 형성되어 있다. 두 개의 조인트(93a)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기실린더(94d)뒤의 지점에서 리테이너판(94c)의 하면에 고정되는 포크로된 조인트(94j)에 도시안된 고압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흡입팁(95)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기관(93)의 각각의 구멍(93b)에 이동가능하게 부착되고 실질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흡입팁(95)은 각각 그것들의 중심에서 다기관(93)의 내부와 연통하는 흡입로(도시안됨)가 형성되어 있다.
외경과 흠입로내경을 달리하여 몇가지 종류의 흡입팁(95)이 준비되어 있다.
탱크본체부(53b)의 어댑터(53g)의 경우에서와 같이 종자공급섹션(5)으로부터 겔피복 섹션(7)으로 이송되는 종자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외경과 흡입로 내경에 흡입에 의해 종자를 집고 지지하기에 가장 적합하게 되고 외경이 어댑터(53g)의 구멍(53A)의 대경부(53h)에 삽입될 수 있는 흡입팁(95)이 선택된다. 그러면 선택된 흡입팁(95)은 구멍(93b)에 끼워 맞춤된다.
로들리스 자기실린더(91b)는 피스톤 장착부(91j)를 앞뒤로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후방위치와 전방위치사이로 길이방향으로 다기관(93)을 구동한다. 상승-하강장치(94)의 공기실린더(94d)가 수축한 상태에서, 후방위치는 각 흡입팁(95)의 전방단부가 탱크본체부(53b)의 대응어댑터(53g)위에 위치할 때이고 전방위치는 각 흡입팁(95)의 전방단부가 노즐블록(73)의 대응종자주입구(73a)위에 위치될 때이다.
로들리스 자기실린더(91b)의 후방위치에서, 상승-하강장치(94)의 공기실린더(94d)는 피스톤로드를 확장시켜 제8도의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대응 어댑터(53g)의 층진 부분(53k)을 접촉하기 바로 전의 높이에 각 흡입팁(95)의 정면단부를 위치시킨다.
로들리스 자기실린더(91b)의 정면위치에서, 공기실린더(94d)는 그것의 피스톤 로드를 확장시켜서 종자주입구(73a)로부터 통로(73c)에 끼워맞춤된 플런저(73h)의 통로(73v)에 삽입되도록 각 흡입팁(95)의 정면단부를 위치시킨다.
로들리스자기실린더(91b)의 후방위치에서 공기실린더(94d)의 확장작용 동안에, 어댑터(53g)와 흡입팁(95)간에 작은틈이 있고 이것을 통해 탱크본체부(53b)의 내부가 외부와 연통된다.
진공펌프(97)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블록(91e)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베이스판(91a)의 윗표면에 시트(97a)를 통해 장착된다. 진공펌프(97)는 상부에 사이렌서(97b)를 갖는다. 베이스판(91a)위의 진공펌프(97)의 왼쪽에, 다기관(98)을 통해 공기필터(99)가 장착된다. 진공펌프(97)는 도시안된 고압호스를 통해 공기필터(99)에 연결된다. 공기필터(99)는 도시안된 고압호스와 다기관(98)을 통해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기관(98)의 뒤쪽에 베이스판(91a)위에 장착되는 압력센서(97c)에 연결된다.
다기관(98)는 도시않은 고압호스와 포크로된 조인트(94j)를 통해 다기관(98)의 두 조인트(93a)에 더 연결된다.
겔 경화섹션(11)은 겔피복섹션(7)에 의해 가공된 낱알같은 종자들에 부착하는 겔화제가 경화제와 반응하여 겔화제를 경화시키게 하며 이로써 겔피복종자를 형성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겔경화섹션(11)은 경화탱크(111), 겔가이드장치(113) 및 경화제공급장치(115)로 이루어진다.
제13도는 겔경화섹션과 겔세척섹션의 부분파단 확대정면도이고, 제14도는 겔경화섹션의 확대평면도이고, 제15도는 제14도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제16도는 제14도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경화탱크(111)는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겔피복장치(1)의 길이방향으로 길고 겔피복섹션(7)의 노즐블록(73)보다 겔피복장치(1)의 측방향으로 약간 더 넓은 평면도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다.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경화탱크(111)의 전방 및 후방단부는 주프레임(31)의 측보강프레임(35)의 왼쪽과 오른쪽사이에 걸친 두개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진 박판(35a)에 지지된다.
경화탱크(111)는 공급액탱크(111a), 반응탱크(111b), 종자낙하구(111c), 폐액탱크(111d), 및 우회액통로(111e)를 갖는다.
공급액탱크(111a)는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겔피복장치(1)의 후방단부에서 경화탱크(111)에 형성되어 있다. 정면쪽위에 공급액탱크(111a)에 인접하여 제1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급액탱크(111a)의 저부보다 저부가 더 높은 반응탱크(111b)가 형성되어 있다. 공급액탱크(111a)의 저부의 길이방향중심부에서,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반응탱크(111b)의 저부보다 더 높고 공급액탱크(111a)의 상단부 보다 더 낮으며 경화탱크(111)의 전체 폭에 걸쳐 횡으로 뻗는 흐름조절막(111g)이 세워져 있고, 흐름조절막(111g)은 베이스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멍을 갖는다.
흐름조절막(111g)의 앞쪽에, 즉, 반응탱크(111b)에 인접한쪽에 공급액탱크(111a)의 전반부는 겔피복 섹션(7)의 노즐블록(73)에 형성된 8개의 밸브(73b)아래에 위치된다.
흐름조절막(111g)의 뒤쪽의 공급액탱크(111a)의 후반부는 제1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저부에 형성된 공급액구(111h)를 갖는다. 경화탱크(111)보다 폭이 작고 위로 볼록하게 굴곡진 플라스틱 박판으로 만들어진 장벽판(111j)은 흐름조절막(111g)뒤의 공급액탱크(111a)의 후반부에 수용되어 공급액구(111h)를 둘러싼다.
반응탱크(111b)의 전방단부저부에서 제1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물저지막(111k)이 형성되어 있다. 물저지막(111k)은 겔피복장치(1)를 옆에서 볼 때 산꼭대기 같은 모양이고 흐름조절막(111g)보다 더 높고 공급액탱크(111a)의 상단부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다. 물저지막(111k)은 위로 오목한 호형상표면으로 형성된 뒤로 경사진 표면(111m)을 갖는다.
종자낙하구(111c)는 물저지막(111k)의 앞에 배치되고,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로폭이 상부에서 저부로 점차 감소하는 깔대기 같이 형성되어 있다. 이 종자낙하구(111c)는 경화탱크(111)위의 공간으로와 경화탱크(111)의 전방단부쪽을 지지하는 박판(35a)뒤의 경화탱크(111)의 일부아래의 공간으로 개방된 통로를 형성한다. 종자낙하구(111c)에는 가로폭이 상부로부터 하향 증가하는 산같은 장벽판(111n)이 설치되어 있다.
폐액탱크(111d)는 정면쪽에 종자낙하구(111c)에 인접하여 제공되어 있고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횡으로 중앙의 격벽(111p)에 의해 둘로 나뉘는데, 경화탱크(111)의 오른쪽에 탱크홀더(111r)와 왼쪽에 세척부(111s)이다.
탱크홀더(11lr)는 제1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공급액탱크(111a)의 저부보다 더 높고 반응탱크(111b)의 저부보다 더 낮은 저부를 갖는다. 탱크홀더(111r)의 저부의 중심부에서 제13도 및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물저지막(111k)의 상단부보다 약간 더 낮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맞물림 돌출부(111t)가 세워져 있다. 탱크홀더(111r)의 측벽에는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물을 배수하기 위해 개폐밸브(111v)가 갖추어져 있다.
탱크홀더(111r)의 네 구석에,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페이서(111w)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것의 상단부는 제1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물저지막(111k)의 상단부와 높이가 거의같다.
세척부(111s)의 저부는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급액탱크(111a)의 저부보다 더 높고 탱크홀더(111r)의 저부보다 약간 더 낮다. 측벽근처 세척부(111s)의 저부에서 경화제내 종자찌끼를 제거하기 위해 필터(111x)가 설치된다. 필터(111x)아래에 폐액구(111y)가 형성된다. 종자낙하구(111c)근처 격벽(111p)의 배면부는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탱크홀더(111r)를 세척부(111s)와 연통하는 노치(111z)로 형성되어 있다.
우회액통로(111e)는 공급액탱크(111a)의 측면에 물저지막(111k)뒤의 반응탱크(111b)의 측벽영역을 폐액탱크(111d)의 측벽 영역에 연결한다. 우회액통로(111e)는 경화탱크(11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한다. 우회액통로(111e)가 연결되는 반응탱크(111b)의 측벽부는 제1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빗모양 이빨부(teeth)(111A)로 덮여있는데, 이것은 겔피복섹션(7)의 밸브(73b)로부터 낙하하는 낱알같은 종자피복 겔화제의 진입을 제한한다.
공급액 탱크(111a)의 공급액구(111h)와 세척부(111s)의 폐액구(111y)가 호스(117)와 자기펌프(119)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자기펌프(119)의 상류의 (폐액구(111y)쪽의) 호스(117)는 통로 전환밸브(도시안됨)를 통해 도시안된 경화제탱크와 연결되어 있다.
자기펌프(119)가 경화제탱크쪽으로 전환된 전환밸브로 가동될 때, 경화제탱크내의 경화제는 호스(117)와 공급액구(111h)를 통해 공급액탱크(111a)로 공급되고, 이로부터 경화제는 또한 반응탱크(111b), 우회액통로(111e), 그리고 폐액탱크(111d)의 탱크홀더(111r), 격벽(111p) 및 세척부(111s)에 공급된다. 그 결과, 전체경화탱크(111)는 경화제로 채워지는데 그 높이는 물 저지막(111k)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이다.
세척부(111s)의 폐액구(111y)로부터 배출된 경화제는 폐액구(111y)쪽으로 전환된 전환밸브로 자기핌프(119)를 가동시킴으로써 호스(117)와 공급액구(111h)를 통해 공급액탱크(111a)로 복귀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구체예에서 액체경화제를 폐액탱크(111d)로부터 공급액 탱크(111a)로 복귀시키기 위한 순환통로(111B)는 우회액 통로(111e), 탱크홀더(111r), 격벽(111p), 세척부(111s), 호스(117)및 공급액 탱크(111a)로 형성된다.
겔가이드 장치(113)는 벨트컨베이어(113a), 벨트컨베이어(113a)에 의해 순환된 가이드패들(113b), 벨트컨베이어(113a)를 구동하는 모터(113c) 및 모터(113c)의 회전을 벨트컨베이어(113a)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장치(113d)를 갖는다.
벨트컨베이어(113a)는 제1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두 개의 풀리(113e) 둘레에 감긴 벨트(113f)로 구성된다. 풀리(113e)는 흐름조절막(111g)의 반응탱크(111b)쪽의 공급액탱크(111a)의 전반부, 즉, 겔화제가 겔피복섹션(7)의 밸브(73b)로부터 낙하되는 공급액 탱크(111a)의 그 부분위에 설치되고 또한 물저지막(111k)의 공급액탱크(111a)쪽의 반응탱크(111b)의 부분위에 설치되며, 이때 그것들의 축은 가로로 수평하게 향한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풀리(113e)의 단부는 겔피복장치(1)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지지판(31f)의 전방 및 후방단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두 개의 지지판(31f)의 전방 및 후방단부는 주프레임(31)내부의 위치에서 두 개의 베이스판(31e) 하면에 지지되어 있고 두 개의 베이스판(31e)은 길이방향 중심부에서와 중심부 약간 앞의 위치에서 주프레임(31)의 왼쪽과 오른쪽사이로 걸쳐진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벨트(113f)는 경화탱크(111)의 전체폭에 걸쳐 횡으로 뻗는다.
가이드패들(113b)은, 제1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같은 간격으로 벨트(113f)의 표면에 세워져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이드패들(113b)은 벨트(113f)에 대응하는 폭과 폭보다 충분히 더 작은 높이를 갖는, 평면도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다. 가이드패들(113b)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패들의 전체높이에 걸쳐 연장되는 횡으로 같은 간격의 많은 수직슬릿으로 형성된다.
제1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이드패들(113b)은 반응탱크(111b)의 저부에 면하는 벨트(113f)의 그 부분위의 가이드패들(113b)의 정면단부가 반응탱크(111b)의 측벽과 저부에 밀접하게 그들사이에 작은틈을 가지고 배치되고 반응탱크(111b)의 정면부위에 위치된 풀리(113e)의 주변표면둘레로 이동하는 벨트(113f)의 그 부분위에 가이드패들(113b)의 정면단부가 패들정면단부와 경사진 표면간에 작은 틈을 가지고 물저지막(111k)의 경사면(111m)을 따르도록 하는 길이로 돌출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모터(113c)(순환구동원에 해당함)는 두 베이스판(31e)사이의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중간에 위치한 두 개의 지지판(31f)사이에 걸친 베이스판(35c)위에 지지된다.
동력전달장치(113d)는 베이스판(35c)위에 지지된 모터(113c)의 출력샤프트에 연결된 감속기어 장치(113h)와, 감속기어 장치(113h)의 출력샤프트와 겔피복장치(1)의 정면부에 장착된 풀리(113e)의 샤프트 둘레에 감긴 벨트풀리 장치(113j)를 포함한다. 벨트컨베이어(113a)는 모터(113c)와 동력전달장치(113d)의 작용에 의해 경화탱크(111)내경화제에 면하는 벨트(113f)부분이 공급액탱크(111a)로부터 폐액탱크(111d)를 향해 이동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순환된다.
제1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경화제공급장치(115)는 저장탱크(115a)와 캡(115b)을 갖는다.
저장탱크(115a)는 경화탱크(111)내 경화제의 밀도를 조절하기 위한 고도로 농후한 경화제를 저장한다. 저장탱크(115a)는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정면도가 수직으로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평면도로 볼 때, 저장탱크(115a)는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탱크홀더(111r)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제1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저장탱크(115a)의 저부의 중심부에 탱크구(115c)가 형성되어 내부를 외부와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캡(115b)은 탱크구(115c)에 틀어죄어져 그것을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제17도의 확대측단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것은 캡(115b)을 탱크구(115c)에 틀어죌 때 노출되는 리세스(115d)를 갖는다. 소직경 미끄럼핀(115f)은 리세스(115d)의 저부의 중심부로 삽입된다. 미끄럼핀(115f)이 삽입되는 리세스(115d)의 저부의 주변에, 캡(115b)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관통구(115e)가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핀(115f)의 한 단부는 리세스(115d)로 뻗어 나오고 다른 단부는 캡(115b)의 내부에 위치된다. 미끄럼핀(115f)의 내부단부에는 관통구(115e)을 폐쇄하는 고무마개(115g)가 부착되어 있다. 외부단부에서 미끄럼핀(115f)의 플랜지와 슬라이드괸(115f)이 삽입되는 리세스(115d)의 저부의 주변부사이에서 미끄럼핀(115f)위에 달린 코일스프링(115h)은 캡(115b)의 외부를 향해 미끄럼핀(115f)을 밀어 관통구(115e)를 고무마개(115g)로 폐쇄한다.
저장탱크(115a)는 캡(115b)이 탱크구(115c)에 틀어죄어지고 저장탱크(115a)가 캡(115b)쪽을 아래로하여 탱크홀더(111r)에 놓일 때, 캡(115b)의 리세스(115d)의 저부가 물저지막(111k)의 상단부보다 약간 더 낮게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겔경화섹션(11)에서 경화제와 반응한 후 겔화제가 경화된 겔피복종자를 세척하기 위한 것이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겔세척섹션(13)은 수세탱크(131), 겔가이드 장치(133), 및 겔방출 장치(135)를 포함한다.
수세탱크(131)는 제1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자낙하구(111c)로부터 반응탱크(111b)의 길이방향 중심부로 연장된다. 지지판(31a)위에 지지되어, 수세탱크(131)가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주프레임(31)의 횡방향 중심부에서 경화탱크(111)아래에 위치된다.
지지판(31a)은 한 단부에서 측보강프레임(35)아래 주프레임(31)의 왼쪽과 오른쪽 전면부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박판(31b)에 장착되어 있다. 지지판(31a)의 다른 단부는 제16도와 겔세척섹션의 확대평면도를 나타내는 제1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주프레임(31)의 왼쪽과 오른쪽 상부사이에 걸친 보강프레임(31c)의 횡으로 간격진 부분들로부터 현수되는 두 박판(31d)의 하단부에 왼쪽과 오른쪽에 장착되어 있다.
수세탱크(131)는 평면도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수직개방외부프레임과 또한 외부프레임에 수용되고 전방판(131a)으로부터 후방판(131b)으로 연장되는 본체판(131c)도 갖는다. 수세탱크(131)는 종자에 부착하는 겔화제가 경화된 후 겔피복 종자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저장한다.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방판(131a)은 정면이 수직으로 긴 직사각형이고 수직중심부에서 수세탱크(131)의 내부와 연통하는 물공급구(131d)로 형성되어 있다. 후방판(131b)은 제19도의 확대배면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것의 상반부에 대략 역 L자형 노치(131e)를 갖는다. 본체판(131c)은 앞에서 볼 때, U자형이고 하부가 반원으로 굽고 위로 개방되어 있다. 본체판(131c)의 외표면과 지지판(31a)의 사이에는 제1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길이방향으로 간격진 위치에서 보강판(131f)이 설치되어 있다.
제16도에 131g로 표시된 것은 전방판(131a)근처에 본체판(131c)의 저부에 부착되어 있는 세척수를 배수하는 마개이다.
겔가이드 장치(133)는 스크루피더(133a)와 스크루피더(133a)를 구동하는 모터(도시안됨)를 갖는다. 스크루피더(133a)는 제1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샤프트(133b)와 나선상 블레이드(133c)를 갖는다. 샤프트(133b)는 본체판(131c)의 하부의 굴곡중심을 따라 연장되고 그것의 단부는 전방판(13la)과 후방판(131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나선상 블레이드(133c)는 전방판(131a)과 후방판(131b)사이에 샤프트(133b)의 외주변에 고정되어 있다. 도시 안된 모터는 기어(133d)-전방판(131a)을 통과하고 수세 탱크(13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샤프트(133b)의 부분에 고정되어 있음-를 통해서 그리고 기어(133d)와 맞물려 있는 도시안된 감속기어트레인을 통해 샤프트(133b)에 연결되어 있다.
스크루피더(133a)는 모터, 감속기어트레인 및 기어(133d)의 작용에 의해 전방판(131a)으로부터 후방판(131b)을 향해 수세탱크(131)내 세척수에서 겔피복 종자를 이동시키게 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겔방출 장치(135)는 물분리박스(135a), 물방출팬(135b), 및 종자수용케이지(135c)를 갖는다. 물분리박스(135a)는 후방판(131b)의 뒤쪽에 인접하여 거기에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갖는 평면도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다. 물분리박스(135a)는 위로 개방되어 있고 제1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세탱크(131)의 폭에 해당하는 가로폭을 갖는다.
물분리박스(135a)의 저부의 길이방향 중심부에 제1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맞물림벽(135d)이 세워져 있다. 맞물림벽(135d)의 상단부와 후방판(131b)의 배면의 노치(131e)의 하단부사이에 후방판(131b)으로부터 맞물림벽(135d)을 향해 아래로 경사진 물분리판(135e)이 설치되어 있다. 물분리판(135e)의 하단부는 후방판(131b)쪽에 맞물림벽(135d)의 구석에 고착되어 있다.
맞물림벽(135d)의 상부와 후방판(131b)의 사이에 있는 물분리판(135e)은 물분리박스(135a)의 길이방향 정도로 넓으며 서로 길이방향으로 간격진 많은 옆으로 긴 슬릿(135f)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슬릿(135f)은 수세탱크(131)로부터 동시에 물은 통과하도록 하면서 겔피복 종자의 통과를 방지한다.
맞물림벽(135d)의 후방판(131b)쪽에 물분리박스(135a)의 저부에, 제1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물분리판(135e)의 슬릿(135f)을 통과한 물을 방출하기 위해 물방출구(135g)가 형성되어 있다. 맞물림벽(135d)의 뒤쪽에, 즉 물방출구(135g)의 반대쪽에 물분리박스(135a)의 저부에 개폐될 수 었는 종자방출구(135h)가 형성되어 있다.
물방출팬(135b)은 위로 개방된 편평한 직사각형 접시 같은 모양이다.
물방출팬(135b)은 물방출박스(135a)아래로부터 주프레임(31)의 후방단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주프레임(31)보다 더 작은 가로폭을 갖는다. 물방출팬(135b)의 전방 및 후방단부는 주프레임(31)의 후방단부 및 길이방향 중심부에서 주프레임(31)의 왼쪽과 오른쪽 하부에 지지되어 있다. 물방출팬(135b)의 저부는 물방출팬(135b)의 오른쪽에 설치된 방출밸브(135j)에 연통하는 물방출구(도시안됨)로 형성되어 있다.
종자수용케이지(135c)는 평면도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며 위로 열려 있고 겔피복 종자의 통과를 방지하는 메시로 형성되어 있다. 종자수용케이지(135c)는 물방출팬(135d)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형태와 크기로 된다.
다음에, 상기 구조를 갖는 이 구체예의 겔피복 장치(1)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종자의 겔피복 방법을 개시하는데 있어서, 소경부(53j)의 내경이 가공할 종자의 종류 또는 크기에 가장 적합한 몇가지 종류의 어댑터(53g)중 하나를 선택하여 종자탱크(53)내 탱크본체부(53b)의 8개의 관통구(53f)에 장착한다.
몇가지 종류의 플런저(73h)중에서, 소경부(73k)의 외경이 가공할 종자의 크기에 가장 적합한 하나를 선택한다. 선택된 플런저는 겔피복섹션(7)의 노즐블록(73)의 8개의 통로(73c)에 설치되고 코일스프링(73r)은 통로(73c)의 각각에 끼워맞춰지며 여기에 캡(73s)이 틀어맞춰진다. 또한, 몇가지 종류의 흡입팁(95)으로부터 외경과 흡입로내경이 가공할 종자의 크기에 가장 적합하고 어댑터(53g)의 구멍(53A)의 대경부(53h)에 삽입될 수 있는 하나를 선택한다. 선택된 흡입팁(95)은 종자이송섹션(9)의 다기관(93)의 8개의 구멍(93b)의 각각에 설치된다.
다음에, 겔피복 장치(1)의 도시안된 전원 스위치를 켜서 겔수용블록(75)의 가압공기 실린더(77)를 수축시킨다. 상승-하강 장치(94)의 공기실린더(94d)도 또한 수축되어 리테이너판(94c)을 베 이스판(91a)쪽으로 상승시킨다. 동시에 , 로들리스 자기실린더(91b)를 작동시켜 피스톤 장착부(91j)를 뒤로 미끄러뜨려 다기관(93)을 후방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전원스위치를 켜서 진공펌프(97)를 가동하여 흡입팁(95)의 흡입로로부터 다기관(93), 조인트(93a, 94j) 및 도시안된 고압호스를 통해 공기를 인입하기 시작하도록 한다. 이 때, 공기는 진공펌프(97)와 흡입팁(95)사이에 설치된 다기관(93)을 통해 흡입팁(95)으로부터 인입되므로 흡입팁(95)에서 생성된 흡입압력은 같다.
전화밸브를 경화제 탱크쪽으로 전환시키고, 전원스위치를 켜면 자기펌프(119)가 경화제 탱크로부터 경화탱크(111)로 경화제를 공급하게 된다. 이 때, 공급액구(111h)를 통해 공급액탱크(111a)의 후반부로 들어온 경화제는 흐름조절막(111g)위로 또는 막의 베이스에서 개구를 통해 공급액탱크(111a)의 전반부로 흘러들어오고 반응탱크(111b)로 또한 들어와 전체 경화탱크(111)를 채운다.
자기펌프(119)는 경화제 탱크로부터의 경화제의 양이 경화탱크(111)의 액높이가 물저지막(111k)의 상단부와 하단부사이의 소정높이와 같아지도록 하는 일정한 부피에 이를 때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전환밸브가 폐액구(111y)쪽으로 바뀌면, 자기펌프(119)는 재시동된다. 이와같이, 소정량의 경화제가 경화제탱크로부터 경화탱크(111)로 공급된 후, 세척부(111s)의 폐액구(111y)로부터 배출된 경화제는 호스(117)와 공급액구(111h)를 통해 공급액탱크(111a)로 복귀된다.
경화제탱크로부터 공급된 경화제가 전체 경화탱크(111)를 채울때, 또는 경화제가 세척부(111s)의 폐액구(111y)로부터 호스(117)와 공급액구(111h)를 통해 공급액탱크(111a)로 복귀될 때, 경화제는 흐름조절막(111g) 위로 또는 아래로 하여 반응탱크(111b)로 흐르고 공급액탱크(111a)로부터 반응탱크(111b)와 탱크홀더(111r)의 우회액통로(111e)와 폐액 탱크(111d)의 세척부(111s)로 흐르는 경화탱크(111)내 경화제의 흐름을 만들어낸다.
다음에, 경화제 탱크로부터 공급된 소정량의 경화제가 경화탱크(111)의 액높이를 물저지막(111k)의 상단부와 하단부사이의 소정높이로 상승시킨 후, 저장탱크(115a)는 탱크홀더(111r)에 놓이고 캡(115b)은 아래로 향한다. 그 결과, 탱크홀더(111r)의 맞물림 돌출부(111t)는 캡(115b)의 리세스(115d)에 삽입되고 그것의 전방단부는 코일스프링의 힘에 대해 캡(115b)으로 미끄럼핀(115f)을 밀어 미끄럼핀(115f)을 맞물리고 계속해서 캡(115b)의 관통구(115e)로부터 고무마개(115g)가 분리되게하여 관통구(115e)와 미끄럼핀(115f)의 주변표면사이에 틈을 형성한다.
이 때, 분리되는 고무마개(115g)에 의해 열린 캡(115b)의 관통구(115e)의 위치는 맞물림 돌출부(111t)에 의해 밀려들어간 미끄럼핀(115f)의 전방단부보다 약간 더 높고 경화탱크(111)내 경화제의 높이가 물저지막(111k)의 상단부와 하단부사이의 소정높이에 이르렀기 때문에, 저장탱크(115a)내 고밀도 경화제는 경화제의 현재 액높이를 가지며 경화탱크(111)밖으로 흘러나오지 않을 것이다.
다음에, 겔경화섹션(111)의 겔가이드 장치(113)의 모터(113c)가 켜져 경화탱크(111)내 경화제의 흐름을 따라 벨트컨베이어(113a)를 순환시키기 시작한다.
겔 세척섹션(13)의 도시안된 모터가 작동되어 스크루피더(133a)를 회전시켜 수세탱크(131)내 세척수가 전방판(131a)쪽으로부터 후방판(131b)을 향해 흐르고 후방판(131b)의 노치(131e)를 약간 흘러넘치게 한다. 그 결과, 수세탱크(131)에서 겔피복종자는 전방판(131a)쪽으로부터 후방판(131b)쪽을 향해 운반된다. 후방판(131b)의 노치(131e)로부터 흘러넘친 세척수는 물분리박스(135a)로 들어가고 거기서 슬릿(135f)을 통해 물방출구(135g)로 통과하고 그곳으로부터 수세탱크(131)밖으로 배출된다. 세척수는 또한 물공급구(131d)를 통해 수세탱크(131)로 복귀된다.
또한, 동력이 켜질 때, 도시안된 콤프레서는 겔화제 탱크에 정압을 가하여 겔화제를 겔화제탱크로부터 고압호스, 펌프 및 고무관조인트(79a)를 통해 다기관(79)으로 전달하여 다기관(79)을 겔화제로 충전시킨다. 다기관(79)에 충전된 겔화제는 가압하에 8개의 조인트(79b)로 또한 이동되고 하단부쪽으로부터 겔수용블록(75)의 대응 겔통로(75a)로 더 이동된다. 다기관(79)은 겔화제탱크와 겔수용블록(75)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겔화제가 이 다기관(79)을 통해 겔수용블록(75)의 각각의 겔통로(75a)에 공급되기 때문에, 겔통로(75a)에 대한 겔화제 공급압력은 같고, 각 겔통로(75a)에 그것들의 용량에 따라 일정하고 같은 양의 겔화제의 공급이 보장된다.
겔화제가 겔통로(75a)에 공급될 때, 공기환기밸브(78)가 열려 겔통로(75a)의 상부--여기에 하단부쪽으로부터 겔화제가 공급됨--로부터 공기가 환기되어 겔화제가 틈없이 겔통로(75a)를 채우도록 보장된다. 겔통로(75a)로부터, 겔화제는 또한 가압하에 통로(75b)와 통로(73n)를 통해 공간(75m)이 틈없이 겔화체로 채워질 때까지 노즐블록(73)내 통로(73c)의 해당 공간(73m)으로 공급되며, 이 때 공기환기밸브(78)는 닫힌다. 겔화제가 겔통로(75a)로 공급될 때, 겔통로(75a)로부터 다기관(79)쪽으로 겔화제의 역류는 겔통로(75a)의 해단부에 있는 체크밸브(75d)에 의해 방지된다.
이 상황하에, 가압공기실린더(77)는 확장되어 겔통로(75a)를 가압하여 겔화제로 채워진 통로(75b, 73n)를 통해 공간(73m)내 압력을 증가시킨다. 이것은 플런저(73h)가 코일스프링(73r)의 힘에 대해 통로(73c)위로 이동되게 하고 소경부(73k)의 하단부에 의해 폐쇄된 밸브(73b)를 열고, 그 결과 공간(73m)에 채워진 소정량의 겔화제가 밸브(73b)밖으로 밀려나오고 낱알 같은 방울형태로 노즐블록(73)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가압공기실린더(77)가 겔화제방울이 밸브(73b)로부터 떨어짐과 동시에 수축될 때, 밸브(73b)로부터 떨어지는 겔화제로 말미암은 공간(73m)내 겔화제의 양의 감소에 의해 가속된 공간(73m)내 압력은, 코일스프링(73r)의 힘이 플런저(73h)를 이동시켜 소경부(73k)의 하단부를 갖는 밸브(73b)를 폐쇄할 때까지 감소한다. 밸브(73b)가 닫힘에 따라, 밸브(73b)와 소경부(73k)의 하단부에 부착하는 겔화제는 소경부(73k)의 하단부에서 막을 형성한다. 겔화제가 밸브(73b)로부터 낙하하기 때문에 겔화제가 부피가 감소하는 정도로, 겔통로(75a)는 다기관(79)을 통해 겔화제탱크로부터의 겔화제로 보충된다.
다음에, 가공할 종자는 종자공급섹션(5)에서 종자탱크(53)의 호퍼부분(53c)으로 집어 넣어진다. 굴러들어간 종자는 후방판(53v)의 경사부를 미끄러져 슬릿(53e)을 통해 탱크본체부(53b)로 들어간다.
슬릿(53e)을 통과하는 종자의 양은 슬릿(53e)의 수직높이(H1)에 의해 구한 특정양으로 제한되고 따라서 탱크본체부(53b)에서 종자의 양은 호퍼부분(53c)에 넣어진 종자의 양과 무관하게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호퍼부(53c)로부터 탱크본체부(53b)로 공급된 종자의 양의 제한은 또한 어느정도 탱크본체부(53b)의 저부주변표면으로부터 공기챔버(53m)까지의 거리내(H3)를 수반한다.
종자가 탱크본체부(53b)에 수용된 후, 도시안된 공기압축기가 작동되어 다기관(53r)을 통해 공기챔버(53m)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며, 이곳으로부터 압축공기가 송풍구(53n)를 통해 나오고 탱크본체부(53b)의 저부로부터 전방단부로 상부로 후방단부로 순환 하는 탱크본체부(53b)에서의 공기흐름을 만들어, 따라서 탱크본체부(53b)에서 종자를 교반한다.
이 구체예에서, 다기관(53r)은 공기압축기와 공기챔버(53m)사이에 배치되고 압축공기가 이 다기관(53r)을 통해 송풍구(53n)로 공급되기 때문에, 송풍구(53n)에서의 압축공기의 송풍압력은 같다. 또한, 이 구체예에서, 탱크본체부(53b)에서 교반된 종자의 양은 공기챔버(53m)와 저부내부주변표면사이로 통과하고 탱크본체부(53b)의 저부로부터 전방단부로 상부로 후방단부로 순환하는 공기흐름에 의해 탱크본체부(53b)의 저부로부터 전방단부를 향해 더 운반되는 종자의 양에 의해 결정된다.
환언하면 교반된 종자의 양은 공기챔버(53m)와 탱크본체부(53b)의 저부내부 주변표면사이의 수직거리에 의해 구해진다.
다음에, 후방위치에서 왼쪽에 다기관(93)으로, 상승-하강 장치(94)의 공기실린더(94d)는 확장되어 베이스판(91a)으로부터 리테이너판(94c)을 낮추어 각 흡입팁(95)의 전방단부를 대응 어댑터(53g)의 층진부분(53k)을 접촉하기 바로 전의 높이에 위치시킨다.
탱크본체부(53b)에서 교반되는 종자가 관통구(53f) 가까이옴에 따라, 그것들은 흡입에 의해 관통구(53f)에 의해 집어올려진다.
공기실린더(94d)의 확장으로부터 특정 시간이 경과한 후, 압력센서(97c)는 다기관(98)에서 공기압을 측정한다. 공기압이 소정압력을 초과한 것이 발견될 때, 흡입팁(95)적어도 일부의 흡입압력은 종자를 잡기 위한 흡입압력으로 아직 낮아지지 않았고 모든 흡입팁(95)이 종자를 잡고 있는 것이 아닌 것으로 결정된다.
이 결정을 토대로, 진공펌프(97)에 의한 공기배기가 중지되고 공기실린더(94d)가 수축되어 베이스판(91a)을 향해 원래위치로 리테이너판(94c)을 상승시킨다. 공기실린더(94d)가 수축된 후, 진공펌프(97)는 재시동된다.
그 다음, 압력센서(97c)에 의해 측정된 다기관(98)에서의 공기압력이 소정압력보다 낮은 것으로 발견된 때, 진공펌프(97)는 중지되지 않고 모든 흡입팁(95)이 흡입에 의해 종자를 잡고 있으면서, 공기실린더(94d)는 수축하여 리테이너판(94c)는 수축하여 리테이너판(94c)을 베이스판(91a)을 향해 상승시킨다.
흡입팁(95)이 흡입에 의해 종자를 갑고 있는 동안 탱크본체부(53b)의 내부와 외부는 각흡입팁(95)의 정면단부와 어댑터(53g)사이에 작은 틈을 통해 서로 연통되어 있으므로, 송풍구(53n) 밖으로 나오는 압축공기에 의해 탱크본체부(53b)에 조장된 공기흐름의 일부가 각 흡입팁(95)의 정면단부와 어댑터(53g)의 구멍(53A)사이의 작은 틈을 통해 탱크본체부(53b)의 밖으로 이탈한다. 이와같이, 탱크본체부(53b)에서 교반되는 종자의 일부는 어댑터(53g)의 구멍(53A) 근처로 이탈하는 일부공기흐름에 의해 운반된다.
또한, 흡입팁(95)이 흡입에 의해 종자를 유지하는 동안, 송풍구(53n)로부터 송풍하는 압축공기에 의해 조장된 공기흐름은 탱크본체부(53b)에서 종자뿐만 아니라 먼지-- 종자가 탱크본체부(53b)의 내벽을 접촉할 때 일어나는 종자찌끼와 어댑터(53g)를 통해 탱크본체부(53b)로 들어가는 먼지같은 것--도 또한 순환시키고 이러한 먼지가 흡입팁(95)으로 흡입되는 가능성을 일으킨다. 그러나, 진공펌프(97)에 인접하여 설치된 공기필터(99)는 흡입팁(95)으로 당겨진 먼지를 제거하고 이로써 공기를 정화하여 흡입팁(95)의 막힘과 과부하로 인한 진공펌프(97)의 과열을 방지한다.
종자공급섹션(5)내 어댑터(53g)를 바꾸거나 종자탱크(53)를 유지시키는데 있어서, 사용자는 종자탱크(53)를 오른쪽으로 당기고 주프레임(31)밖으로 꺼내기 위해 손잡이(51d)를 잡고 가이드레일(51a)의 가이드홈(51b)을 따라 미끄럼판(51c)을 이동하는 것 만이 필요하다. 이것은 종자공급섹션(5)의 상부에서 종자이송섹션(9)에 의해 방해받음이 없이 정비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에, 흡입팁(95)이 흡입에 의해 종자를 잡고 있으면서, 공기실린더(94d)는 수축되어 리테이너판(94c)을 베이스판(91a)을 향해 상승시키고, 이이서 로들리스 자기실린더(91b)가 작동되어 피스톤 장착부(91j)를 전방으로 미끄러뜨려 다기관(93)을 전방위치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공기실린더(94d)는 확장되어 리테이너판(94c)을 베이스판(91a)으로부터 멀리 하강시켜 각 흡입팁(95)의 전방단부를 대응노즐블록(73)의 종자주입구(73a)로부터 통로(73c)내 플런저(73h)의 통로(73v)로 삽입되도록 위치시킨다. 이후, 진공펌프(97)에 의한 공기의 인입이 중지되어 흡입에 의해 종자를 잡고 있는 흡입팁(95)을 해제시키고 정압이 흡입팁(95)에 가해지고 송자가 흡입팁(95)으로부터 플런저(73h)의 통로(73v)로 낙하한다.
진공펌프(97)의 작동은 중지되어 흡입팁(95)에 의해 잡혀있던 종자를 플런저(73h)의 통로(73v)로 낙하시킨다. 이후, 공기실린더(94d)는 수축되어 리테이너판(94c)을 베이스판(91a)을 향해 상승시킨다. 그 다음 로들리스 자기실린더(9lb)가 작동되어 피스톤 장착부(91j)를 후방으로 미끄러뜨려 다기관(93)을 원래의 후방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종자이송섹션(9)이 종자를 종자공급섹션(5)으로부터 겔피복섹션(7), 즉 이송방향의 수평성분으로 이송하는 수평 방향이 제4도와 제7도에 화살표 X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흡입팁(95)에 의해 잡힌 종자들이 플런저(73h)로 낙하할 때, 종자는 플런저(73h)의 소경부(73k)의 하단부에서 형성된 겔화제 막위에 놓인다.
이 공정과 동기적으로, 가압공기실린더(77)는 팽창되어 겔통로(75a)와 통로(75b,73n)를 통해 공간(73m)내 압력을 증가시켜 플런저(73h)를 위로 이동하게 하고 밸브(73b)를 연다.
그 결과, 공간(73m)내 소정량의 겔화제가 공간(73m)의 내압에 의해 밸브(73b)를 통해 노즐블록(73)밖으로 밀려내려와 종자가 놓여있는 소경부(73k)의 하단부에서 형성된 겔화제막과 접촉한다. 따라서, 종자는 겔화제에 의해 둘러싸이고 그다음 낱알같은 피복된 종자로서 베이스프레임(74)과 베이스(71)의 구멍(74a,71d)을 통해 베이스(71)아래 경화탱크(111)로 낙하한다.
이때, 겔수용블록(75)으로부터 다기관(79)쪽으로의 겔화제의 역류가 체크밸브(75d)에 의해 방지된다.
그 다음, 가압공기실린더(77)는 수축되어 플런저(73h)를 하강시켜 밸브(73b)를 폐쇄하고 소경부(73k)의 하단부에서 겔화제막을 형성한다. 동시에, 종자를 피복하기 위해 밸브(73b)밖으로 밀려나온 양에 해당하는 양의 겔화제는 다기관(79)을 통해 겔화제탱크로부터 겔통로(75a)로 가압하에 공급된다.
종자공급섹션(5), 겔피복섹션(7) 및 종자이송섹션(9)의 상기한 작동은 도시안된 시퀀서를 제어함으로써 수행된다. 이 조작순서를 반복함으로써, 겔화제에 의해 둘러싸인 8개의 낱알같은 피복종자가 한 공정에서 동시에 제조된다. 8개의 피복종자는 베이스(71)아래에 배치된 경화탱크(111)에서 흐름조절막(111g)의 반응탱크(111b)쪽위의 공급액탱크(111a)의 전반부로 떨어져 경화제로 들어간다.
피복된 종자가 흐름조절막(111g)의 반응탱크(111b)쪽위의 경화탱크(111)의 공급액탱크(111a)의 전반부로 낙하할 때, 그것들은 경화탱크(111)내 흐름에 의해 운반되고 경화제를 통해 반응탱크(111b)로 이송되고 여기서 그것들은 약간 앞으로 이동된 후 벨트컨베이어(113a)가 순환함에 따라 경화제내에 침지된 가이드패들(113b)에 의해 물저지막(111k)을 향해 밀린다.
그 동안, 반응탱크(111b)내 경화제는 슬릿(113g)을 통해서 또는 가이드패들(113b)과 반응탱크(111b)의 측벽 및 저부표면의 사이의 작은틈을 통해 침지된 가이드패들(113b)이 구동됨에 따라 가이드패들(113b)의 공급액 탱크(111a)쪽으로 이탈한다.
이와같이, 경화제를 통해 가이드패들(113b)의 이동은 경화제의 흐름을 크게 방해하지도 않고 경화제가 경화탱크(111)밖으로 흘러나오거나 물저지막(111k)을 넘쳐 종자낙하구(111c)로 흐르지 않도록 한다.
그다음, 경화제내 피복종자는 물저지막(111k) 바로 뒤의 반응탱크(111b)내 지점으로 가이드패들(113b)에 의해 안내될 때, 가이드패들(113b)의 전단부는 벨트(113f)가 상부 풀리(113e)의 주변표면을 따라 순환함에 따라 그들사이에 작은틈을 가지고 물저지막(111k)의 경사진 표면(111m)을 따라 위로 이동한다. 가이드패들(113b)이 위로 돌아감에 따라 경화제내 피복종자는 가이드패들(113b)에 의해 밀리고 물저지막(111k)의 경사진 표면(111m)위로 울라간다. 가이드패들(113b)의 전방단부가 물저지막(111k)의 정점의 높이에 이를 때 바로 피복종자는 경사진 표면(111m)반대쪽의 물저지막(111k)의 앞표면에서 구르고 종자낙하 구(111c)로 떨어진다.
그것들이 종자낙하구(111c)로 집어넣어질 때까지 노즐블록(73)의 플런저(73h)의 밸브(73b) 밖으로 낙하된 피복종자는 종자를 둘러싸는 겔화제를 겔화제와 경화제와의 반응을 통해 겔로 만들어 겔피복종자를 만들기 위해 명시된 시간동안 경화제에 침지시킨다.
종자낙하구(111c)의 왼쪽과 오른쪽 내벽과 장벽판(111n)은 경사져 있기 때문에, 겔피복종자는 일부 경화제가 그것들에 들러 붙을지라도 종자낙하구(111c)아래에 배치된 전방판(131a)근처 수세탱크(131)로 신뢰성 있게 낙하할 것이다.
상기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겔경화섹션(11)의 겔가이드장치(113)가 피복종자를 공급액탱크(111a)로부터 물저지 막(111k)을 거쳐 경화탱크(111)내 종자낙하구(111c)로 안내하는 방향, 즉, 안내의 수평방향이 제16도에 화살표(Y)로 표시되어 있다.
노즐블록(73)의 플런저(73h)의 밸브(73b)에서 낙하된 낱알같은 피복된 종자가 경화제에 명시된 시간동안 침지되어 그것과 반응하고 경화하므로써 경화제의 밀도와 양이 감소하는 경우, 경화탱크(111)내 경화제의 액높이는 지정된 높이--물저지막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임-- 아래로 가고 올려진 고무마개(115g)에 의해 열려 있는 캡(115b)의 관통구(115e)보다 더 낮아진다. 그 결과, 저장탱크(115a)의 고밀도경화제가 탱크홀더(111r)의 맞물림 돌출부(111t)에 의해 밀어넣어진 미끄럼핀(115f)의 주변표면과 캡(115b)의 관통구(115e)사이의 틈을 통해 흘러나와 탱크홀더(111r)로 들어가고, 여기서 그것을 우회액통로(111e)를 통해 반응탱크(111b)로부터 탱크홀더(111r)로 흐른 경화된, 피복종자가 제거된 쓰여진 경화제와 혼합한다.
다음에, 저장탱크(115a)로부터 고밀도 경화제의 공급이 경화탱크(111)내 경화제의 밀도를 상승시키고 경화제 높이가 명시된 위치로 회복할 때, 경화제 높이는 들어올려진 고무마개(115g)에 의해 열린 캡(115b)의 관통구(115e)의 위치보다 더 높아지고 경화제의 경화탱크(111)로의 유입을 중지시킨다. 이런식으로, 경화탱크(111)내의 경화제의 높이는 항상 물저지막(111k)의 상단부와 하단부사이의 위치와 피복종자를 경화시키기 위한 적당한 높이에서의 경화제의 밀도로 항상 유지시킨다.
전방판(131a) 근처 수세탱크(131)로 낙하한 겔피복 종자는 수세탱크(131)내 물흐름 --도시되지 않은 모터에 의해 구동된 스크루피더(133a)에 의해 일어나며 전방판(131a)으로부터 후방판(131b)을 향해 흐름--에 의해서와 또한 스크루피더(133a)가 회전함에 따라 전방판(131a)으로부터 후방판(131b)을 향해 나선상블레이드(133c)의 잠긴부분의 외견 움직임에 의해서 후방판(13lb)을 향해 안내된다.
겔피복종자가 후방판(131b)바로 앞의 지점에 도달할 때, 그것들은 스크루피더(133a)가 회전함에 따라 세척수내에서부터 위로 움직이는 후방판(131b)쪽위의 나선상 블레이드(133c)로 퍼내어진다.
상기 설명한 바와같이, 겔피복종자가 세척수내에서부터 나선상블레이드(133c)에 의해 퍼올려질 때까지, 경화탱크(111)의 종자낙하구(111c)로부터 전방판(131a)가까이의 수세 탱크(131)로 낙하한 겔피복종자는 세척수에 침지되고 그것으로 세척되면서 지정된 지속시간동안 세척수를 통해 이동된다. 스크루피더(133a)가 회전함에 따라 겔피복종자를 퍼낸 나선상 블례이드(133c)는 후방판(131b)를 향해 아래로 경사지기 때문에, 세척된 겔피복종자는 경사진 나선상블레이드(133c)를 따라 구르고 후방판(131b)의 노치(131e)의 하단부를 지나 물분리판(135e)위로 통과한다.
그것들은 경화탱크( 111)의 종자낙하구(111c)로 넣어질 때 까지 종자탱크(53)의 탱크본체부(53b)밖으로 이동한 후, 8개의 종자 또는 종자를 둘러싸는 겔화제의 낱알이 겔피복장치(1)내 가로선으로 배열되고 이송, 이동 및 나란히 가공된다. 종자낙하구(111c)는 아래로 감소하는 가로폭을 갖기 때문에, 종자낙하구(111c)에 던져진 겔화제낱알은 집단으로 수집되어 겔세척섹션(13)에서 8개의 낱알이 한그룹으로 세척된다.
겔피복종자에 부착하는 세척수 뿐만 아니라 나선상 블레이드(133c)에 의해 물분리판(135e)상의 겔피복종자와 함께 퍼올린 일부 세척수가 남아 슬릿(135f)을 통과하고 물방출구(135g)를 통해 물분리박스(135a)밖으로 흘러나온다. 물분리판(135e)에 던져진 물이 닦인 겔피복종자는 경사진 물분리판(135e)아래로 구르고 종자방출구(135h)를 통해 물분리박스(135a)로부터 종자수용케이지(135c)로 배출된다. 다음에, 종자수용케이지(135c)에서 겔 피복종자에 부착하는 세척수는 종자수용케이지(135c)의 메시를 통해 자체중량에 의해 물방출팬(135b)의 저부에 떨어지도록 하고, 이로부터 물은 방출구의 방출 밸브(135j)를 통해 배수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겔세척섹션(13)의 겔가이드 장치(133)가 수세탱크(131)에서 전방판(L31a)으로부터 후방판(131b)의 노치(131e)로 세척수를 통해 겔피복종자를 안내하는 방향, 즉 안내방향의 수평성분을 제16도와 제18도의 화살표(Z)에 의해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구체예의 겔 피복장치(1)에서, 겔 피복 섹션(7)의 밸브(73b)로부터 낙하된 피복종자는 겔 경화섹션(11)의 경화탱크(111)내 흐름조절막(111g)의 반응탱크(111b)측상의 공급액 탱크(111a)의 전반부로 떨어지게 된다. 액체 경화제에 침지된 피복종자는 가이드 패들(113b)이 공급액 탱크(111a)로부터 반응탱크(111b)내 경화제로 들어가고 가이드 패들(113b)이 경화제 밖으로 꺼내지는 물 저지막(111k)의 경사면(111m)을 향하여 반응탱크(111b)를 통해 이동할때 가이드패들(113b)에 의해 방향(Y)으로 경화제를 통하여 이동한다.
겔피복장치(1)의 측면크기, 즉 경화탱크(111)의 측방향으로의 가이드패들(113b)의 크기와 피복종자의 크기간의 비율에 따라서, 본 구체예는 한번에 여덟개의 종자에 대하여 병렬적으로 종자 표면에 부착된 겔화제를 경화시키는 공정을 실행할 수 있다. 순차적으로 이것은 장치가 겔화제경화 가공용량과 따라서 겔피복장치(1)의 전체 공정용량을 향상시키는 복수개의 피복종자를 위한 병렬 공정을 다룰 수 있게 한다.
본 구체예의 갤 피복장치(l)로, 반응탱크(111b)를 통하여 공급액 탱크(111a)측으로부터 물 저지막(111k)의 경 사면(111m)으로 가이드 패들(113b)을 이동시키는 겔 가이드 장치(113)는 한쌍의 풀리(113e), 이들 풀리(113e)에 감기고 가이드 패들(113b)이 그위에 세워진 벨트(113f) 및 풀리(113e)를 통하여 벨트(113f)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113c)로 이루어진다.
모터(113c)의 회전속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가이드패들(113b)이 반응탱크(111b)를 통하여 공급액 탱크(111a)측으로부터 물저지막(111k)의 경사면까지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겔피복섹션(7)의 밸브(73b)에서 경화제로 낙화되는 피복종자가 경화제 밖으로 제거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순차적으로 겔화제가 경화되는 정도만큼 피복종자가 경화제와 반응하는 반응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물 저지막(111k) 에서 피복종자가 경사면(111m)을 따라서 가이드 패들(113b)에 의해 밀쳐져서 경화제밖으로 꺼내지고 가이드 패들(113b)에 의해 더 밀쳐져서 물 저지막(111k)의 정점에 탑재되고 종자낙하포트(111c)로 떨어지기 때문에, 가이드 패들(113b)은 액체경화제를 통하여 피복종자를 가이드하는 것과 경화제밖으로 피복종자를 이동시키는 두가지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장치의 구조를 단순하게 한다.
또한, 본 구체예의 겔 피복장치(1)에서, 피복종자가 경화제와 반응하기 위한 특정 시간동안에 액체경화체에 침지될때, 경화탱크(111)내 경화제의 밀도와 전체량은 감소한다. 경화탱크(111)내 액체경화제의 레벨이 물저지막(111k)의 상단과 하단사이의 특정위치 아래로 되고 상승된 고무마개(115g)에 의해 개구되는 캡(115b)의 관통구(113e)위치보다 낮아질때, 저장탱크(115a)내 고밀도 경화제는 탱크홀더(111r)의 맞물림 돌출부(111t)에 의해 밀려진 미끄럼 핀(115t)의 주변면과 캡(115b)의 관통구(115e)사이에서 갭을 통하여 유출되어 탱크홀더(111r)로 들어가게 되는데, 여기서 경화된 피복종자에서 제거된 것과 반응탱크(111b)로부터 우회액통로(111e)를 통하여 탱크홀더(111r)로 흐르는 소비된 경화제는 혼합된다.
그다음, 저장탱크(115a)로부터 고밀도 경화제의 공급이 경화탱크(111)내 경화제의밀도를 상승시키고 경화제 레벨을 특정위치로 회복시킬때, 경화제 레벨은 상승된 고무마개(115g)에 의해 개구된 캡(115b)의 관통구(115e)의 위치보다 높게 되어 경화탱크(111)로의 경화제 유입을 막는다.
따라서 물저지막(111k)의 상단과 하단사이의 특정위치에서 경화탱크(111) 내 경화제의 레벨을 유지하고 피복종자를 경화시키는데 필요한 것보다 더 높은 레벨로 경화제 밀도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한 고밀도 액체경화제의 공급은 경화탱크내 액체경화제의레벨을 모니터할 필요없이 사실상 자동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경화탱크(111)내 경화제와 저장탱크(115a)로부터의 고밀도 경화제는 탱크홀더(111r)내에서 혼합되기 때문에, 액체경화제의 밀도가 경화탱크(111)의 중간에서 크게 변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흐름조절막(111g)의 반응탱크(111b)측상의 공급액 탱크(111a)의 전반부와 물저지막(111k)의 약간상류의 반웅탱크(111b)내 위치 사이의 지점에서 피복종자가 경화제내에 침지되는 경우 저장탱크(115a)의 고밀도 경화제가 반응탱크(111b)로 직접 흐른다면 다르게 일어날 것이다.
본 구체예에서, 종자공급섹션(5)의 호퍼부(53c)로부터 탱크본체부(53b)에 수용된 종자의 양은 호퍼부(53c)로 투입된 종자의 양에 의존하지 않지만 호퍼부(53c)와 탱크본체부(53b)를 연통하는 슬릿(53e)의 수직폭내(H1)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이것은 탱크본체부(53b)의 저부내주면으로 부터 공기챔버(53m)까지의 거리내(H3)에 의해 어느정도 영향받는다. 요부의 확대측면도를 나타내는 제2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탱크본체부(53b)의 저부내주면으로부터 공기챔버(53m)까지의 거리내(H5)는 조절가능하게 할 수 있어서 탱크본체부(53b)에서 교반되는 종자의 양외에 종자공급섹션(5)의 호퍼부(53c)로부터 탱크본체부(53b)로 수용되는 종자의 양이 주로 이 거리(H5)를 따라서 조절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상기경우의 종자탱크(53)구조를 간단히 설명하다. 종자탱크(53)의 측벽(53a)은 수직으로 가늘고 긴 슬롯(53w)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측벽(53a)사이의 탱크본체부(53b)를 통하여 뻗는 공기챔버(53m)는 공기챔버(53m)보다 더 큰 직경의 블랭크판(53y)을 그 단부에 구비하고 있다. 블랭크판(53y)의 거의 중심으로부터 바깥으로 돌출하는 볼트(53x)는 측벽(53a)내부로부터 슬롯(53w)으로 삽입된다. 너트(53z)는 측벽(53a)으로부터 돌출하는 볼트(53x)의 단부위에 나사맞춤되고, 슬롯(53w)을 통하여 볼트(53x)의 위치를 수직이동시킴으로써 공기챔버(53m)의 수직높이(H5)가 조절가능해진다. 블랭크판(53y)은 슬롯(53w)내 어느 위치에서건 볼트(53x)가 설치될 수 있는 전체 슬롯(53w)을 커버할 수 있는 직경의 크기이다.
본 구체예에서 경화탱크(111)내 경화제를 통하여 피복종자를 가이드하기 위한 겔 가이드장치(113)의 가이드 패들(113b)이 동일한 간격으로 벨트컨베이어(113a)의 벨트(113f)표면에 직립되지만 벨트컨베이어(113a)이외에도 직립될 수 있다. 예를들면, 요부의 확대측면도를 나타내는 제2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경화탱크(111)의 측폭과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가진 복수개의 롤러(113k)가 경화탱크(111)의 반응탱크(111b)의 위에 종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가이드 패들(113b)은 방사방향으로 돌출하여 겔 가이드 장치(113A)를 형성하도록 각 롤러(113k)의 주변면에 원주상으로 간격을 두고 세워질 수 있다. 이경우에서, 경화탱크(111)내 경화제를 통한 피복종자의 가이드는 가이드 패들을 교대로 경화제에 담궜다 올렸다 하면서 각 롤러(113k)의 가이드 패들(113b)을 공급액탱크(111a)측으로부터 물저지막(111k)측으로 구동시키기 위하여 롤러(1113k)를 회전시킴으로써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을 응용하는 겔 피복장치는 종자공급섹션(5), 겔피복섹션(7), 종자이송섹션(9), 및 겔세척섹션(13)을 갖춘 겔 피복장치(1)의 본 구체예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겔 경화섹션(11)이외의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구체예에서, 종자를 피복하는 겔화제를 경화시키기 위한 동작은 경화탱크(111)내 경화제내에서 측면으로 배치된 여덟개의 피복종자에 대하여 병렬로 겔경화섹션(11)에서 실행된다. 겔 경화섹션(11)에서 종자에 대하여 병렬로 실행되는 겔화제 경화공정의수는 여덟보다 많거나 적을 수 있다.
상술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피복종자 경화장치는 제1항에 정의된 바와같이, 가공될 종자를 피복하는 중합체 겔화제를 경화하기 위한 액체 경화제를 함유하는 경화탱크 : 피복종자가 경화제내에서 이동하는 방향을 가로지르는 경화탱크의 폭 크기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경화탱크의 폭방향과 평행한 폭 방향으로 뻗는 가이드 패들, 및 경화제를 통하여 피복종자를 이동시키기 위해 가이드 시작점으로부더 가이드 종말점까지 경화탱크의 경화제 내에서 가이드 패들을 이동시키는 패들 구동장치로 이루어지며, 중합체 겔화제로 피복된 종자가 가이드 시작점에서 경화탱크내 경화제로 투입되고 가이드 시작점에서 가이드 종말점을 향해 흐르는 경화제내 가이드 패들에 의해 이동되어 종자의 겔화제가 경화제와 반웅하여 경화된다.
그러므로, 가이드 패들의 측면폭과 피복종자의 크기간의 비율에 해당하는 수의 피복 종자는 경화탱크의 가이드 시작점으로부터 가이드 종말점까지 가이드 패들에 의해 액체경화제를 통하여 가이드 될 수 있다. 장치는 복수개의 겔화제 피복종자를 위한 병렬경화공정을 쉽게 대처할 수 있으며, 실질적인 처리용량 증가를 실현하게 된다.
본 발명의 피복종자 경화장치에 따르면, 제2항에 정의된 바와같이, 패들구동장치는 축이 경화탱크의 폭 방향으로 향하고 가이드 시작점과 가이드 종말점에 해당하는 위치에 설치된 한쌍의 풀리, 한쌍의 풀리에 감긴 벨트, 및 풀리를 통해 벨트를 순환시키는 순환구동원으로 이루어지며, 벨트는 한쌍의 풀리사이에 위치된 두개의 절반부로 이루어지고, 벨트의 전반부는 경화제와 대면하고 벨트의 후반부는 벨트의 전반부를 통해 대면하도록 배치되며, 가이드 패들은 풀리의 회전축 방향으로 정렬된 가이드 패들의 폭 방향과 함께 순환구동원에 의해 벨트의 순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벨트의 외주면상에 직립되고, 벨트후반부에 직립된 가이드 패들은 경화제 외부에 위치되고 순환구동원에 의하여 가이드 종말점으로 부터 가이드 시작점으로 이동하며, 벨트 전반부에 직립된 가이드 패들은 경화제내에 위치되고, 순환구동원에 의하여 가이드 시작점으로부터 가이드 종말점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순환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의 순환시간을 조정함으로써, 피복종자가 액체경화제에 침지되는 동안의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종자를 피복하는 겔화제를 경화제에 의해 경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 패들이 경화제 밖에 있는, 가이드 시작점에서 가이드 종말점까지의 범위에 있는 부분을 제외한 경화탱크에서, 가이드 패들을 이동시킴으로써 야기될 수 있는 액체경화제의 흐름 교란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 하다.
본 발명의 피복종자 경화장치에 따르면 제3항에 정의된 바와같이, 패들구동장치는 경화탱크의 폭방향으로 향하는 롤러의 축과 함께 피복종자의 이동방향으로 간격을 둔 복수개의 롤러, 및 동일 회전방향으로 롤러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원으로 이루어지며, 가이드 패들은 롤러의 회전축 방향으로 정렬된 패들의 폭방향과 함께 주위방향으로 간격을 둔 각각의 롤러의 주변면상에 직립되고, 롤러는 경화제와 대면하는 롤러의 제1주변부상에 직립된 가이드 패들이 경화제내에 위치되고 대향하는 제1및 제2주변부 사이의 각각의 롤러의 회전축과 함께 제1주변부와 대향하는 롤러의 제2주변부상에 직립된 가이드 패들이 경화제 외부에 위치되도록 배치되고, 경화제내에 위치된 가이드 패들은 종자 이동방향으로 회전구동원에 의해 경화제내에서 이동된다.
그러므로, 제2항에 기재된 피복종자 경화장치에서와 같이, 회전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롤러의 회전시간을 조정함으로써, 피복종자가 액체경화제에 침지되는 동안의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종자를 피복하는 겔화제를 경화제에 의해 경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 패들이 경화제밖에 있는, 가이드 시작점에서 가이드 종말점까지의 범위에 있는 부분을 제외한 경화탱크에서, 가이드 패들을 이동시킴으로써 야기될 수 있는 액체경화제의 흐름교란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피복종자 경화장치에 따르면, 제4항에 정의된 바와같이, 물 저지막은 경화탱크 부분의 하류측으로 경화제가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종자이동방향으로 가이드 종말점의 경화탱크부 하류에 형성되고, 물 저지막의 가이드 시작점측상의 막표면은 경화제내로부터 외부로 이동하는 가이드 패들의 선단위치 다음에 형성되고, 종자이동방향으로 물 저지막의 경화탱크부 하류에는 경화탱크의 외부와 연통하는 종자낙하부가 형성되고, 가이드 종말점에서의 피복종자는 가이드 패들에 의해 밀려져서 막표면위에 탑재되고 가이드 패들과 함께 경화제 밖으로 나오고 가이드 패들이 물 저지막위로 상승할때 피복종자는 가이드 패들로부터 종자낙하부로 떨어진다.
따라서, 액체경화제내로부터 외부로 피복종자를 이동시키는 조작은 또한 경화탱크내 액체경화제를 통하여 가이드 시점으로부터 가이드종말점으로 피복종자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패들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복종자 경화장치는 제5항에 정의된 바와같이, 종자이동방향으로 물 저지막의 경화탱크부 상류에서 경화제를 가이드 시작점으로 복귀시키는 복귀통로, 및 복귀통로내 경화제위로 부터 대면하는 탱크개구를 갖추며, 경화탱크내 경화제의 밀도를 조정하는데 사용되는 밀도조정 경화제를 유지하기 위한 저장탱크로 이루어지며, 복귀통로내 액체 경화제의 레벨이 탱크 개구로부터 떨어질때 밀도 조정 경화제는 탱크개구를 통하여 그 자체의 중량에 의해 복귀통로로 저장탱크 밖으로 유출되고, 복귀통로내 액체경화제의 레벨이 탱크개구에 도달하면, 저장탱크로부터 밀도 조정 경화제의 유출은 탱크개구를 통해 인가되는 복귀 통로내 경화제 압력에 의해 중지 된다.
밀도조정경화제는 피복종자가 이동하는 경화탱크의 가이드 종말점에서 가이드 시작점까지의 범위에 있는 경화제 부분을 제외한 복귀통로내 액체경화제로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기 때문에, 피복종자가 이동하는 액체경화제 부분의 밀도는 피복종자가 이동하는동안 변화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피복종자가 이동할때 액체경화제의 밀도가 크게 변하더라도 종자에 대한 겔화제의 경화도는 변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경화제내 피복종자의 경화공정에 영향을 주지 않고 겔화제를 경화하기 위한 액체 경화제의 밀도와 양을 사실상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피복종자 경화장치에 따르면, 제6항에 정의된 바와같이, 가이드 패들은 적어도 피복종자보다 더 작은 폭의 슬릿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가이드 패들이 액체경화제를 통하여 구동될때, 슬릿폭보다 더 큰 크기의 피복종자는 가이드 시작점측으로부터 가이드 종말점측을 향하여 가이드 패들에 의하여 가이드됨과 동시에 가이드 패들의 가이드 종말점 측 상의 경화제가 패들의 슬릿을 통하여 가이드 시작점측으로 배출되게 한다. 이 방식으로, 피복종자는 경화제의 흐름을 교란하지 않고 액체경화제내에서 신뢰성 있게 가이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복종자 경화장치는 제7항에 정의된 바와같이, 가공될 종자를 피복하는 중합체 겔화제를 경화하기 위한 액체경화제를 함유하는 경화탱크, 가이드 종말점으로부터 가이드 시작점으로 경화제를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통로, 및 복귀통로내 경화제위로 부터 대면하는 탱크개구를 갖추며, 경화탱크내 경화제의 밀도를 조정하는데 사용되는 밀도 조정 경화제를 유지하기 위한 저장탱크로 이루어지며, 중합체 겔화제로 피복된 종자는 가이드시작점에서 경화탱크내 경화제로 투입되고 가이드 시작점으로부터 가이드 종말점으로 흐르는 경화제내에서 이동하여 종자의 겔화제가 경화제와 반응하여 경화되고, 경화된 겔화제로 피복된 종자는 가이드 종말점에서 경화제밖으로 이동하며, 복귀통로내 액체경화제의 레벨이 탱크개구로부터 떨어질때 밀도조정 경화제는 탱크개구를 통하여 그 자체의 중량에 의해 복귀통로로 저장탱크밖으로 유출되고, 복귀통로내 액체경화제의 레벨이 탱크개구에 도달하면, 저장 탱크로부터 밀도조정 경화제의 유출은 탱크개구를 통해 인가되는 복귀통로내 경화제 압력에 의해 중지된다.
따라서, 제5항에 기재된 피복종자 경화장치에서와 같이, 밀도 조정 경화제는 피복종자가 이동하는 경화탱크의 가이드 종말점에서 가이드 시작점까지의 범위에 있는 경화제 부분을 제의한 복귀통로내 액체경화제로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기 때문에, 피복종자가 이동하는 액체경화제 부분의 밀도는 피복종자가 이동하는 중에 변하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피복종자가 이동할 때 액체경화제의 밀도가 크게 변화되나 종자상의 겔화제의 경화도는 변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경화제내 피복종자의 경화공정에 영향을 주지 않고 겔화제의 경화를 위한 액체경화제의 밀도와 양을 사실상 자동적으로 조정하는것이 가능하다.
이제 본 발명을 완전히 기술하였지만 많은 변형과 개량이 상술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음이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9)

  1. 가공될 종자를 피복하는 중합체 겔화제를 경화시키는 액체 경화제를 함유하는 경화탱크(111), 상기 피복종자가 경화제내에서 이동하는 향(Y)을 가로지르는 상기 경화탱크(l11)의 폭방향과 평행한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경화탱크(111)의 폭 크기에 해당하는 폭을 가지는 패들(113b), 및 경화제를 통하여 피복종자를 이동시키기 위해 가이드 시작점으로부터 가이드 종말점까지 상기 경화탱크(111)내의 경화제내에서 상기 가이드 패들(113b)을 이동시키는 패들 구동장치(113, 113A)로 이루어지며, 중합체 겔화제로 피복된 종자가 상기 가이드 시작점(111a)에서 경화탱크(111)내 경화제로 투입되고 상기 가이드 시작점(111a)에서 상기 가이드 종말점을 향해 흐르는 경화제내에서 상기 가이드 패들에 의해 이동되어 종자의 겔화제가 경화제와 반응하여 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종자의 경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들구동장치(113, 113A)는 축이 상기 경화탱크(111)의 폭방향으로 향하고 상기 가이드 시작점과 상기 가이드 종말점에 해당하는 위치에 설치된 한쌍의 풀리(113e), 상기 한쌍의 풀리(113e)에 감긴 벨트(113f), 및 풀리(113e)를 통해 상기 벨트(113f)를 순환시키는 순환구동원(113c)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벨트는 한쌍의 풀리사이에 위치된 두개의 절반부로 이루어지고, 벨트(113f)의 전반부는 경화제와 대면하고 벨트(113f)의 후반부는 벨트의 상기 전반부를 통해 경화제와 대면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패들(113b)은 상기 가이드 패들의 폭 방향이 상기 풀리(113e)의 회전축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순환구동원(113c)에 의해 상기 벨트의 순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벨트(113f)의 외주면상에 직립되고, 상기 벨트(113f)후반부에 직립된 가이드 패들(113b)은 경화제 외부에 위치되고 순환구동원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종말점으로 부터 상기 가이드 시작점(111a)으로 이동하며, 상기 벨트(113f) 전반부에 직립된 가이드 패들(113b)은 경화제내에 위치되고 순환구동원(113c)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시작점(111a)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종말점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종자의 경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들구동장치(113, 113A)는 그 축이 상기 경화탱크(111)의 폭방향으로 향하며 피복종자의 이동방향(Y)으로 간격을 둔 복수개의 롤러(113k), 및 동일 회전방향으로 상기 롤러(113k)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 패들(113b)은 상기 패들(113b)의 폭방향이 상기 롤러(113k)의 회전축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주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각 롤러의 주변면상에 직립되고, 상기 롤러는 경화제와 대면하는 상기 롤러(113k)의 제1주변부상에 직립된 가이드 패들(113b)이 경화제내에 위치되고 그리고 대향하는 제1및 제2주변부 사이에 있는 각각의 롤러의 회전축과 함께 제1주변부와 대향하는 상기 롤러(113k)의 제2주변부상에 직립된 가이드 패들(113b)이 경화제 외부에 위치되도록 배치되고, 경화제내에 위치된 가이드 패들(113b)은 종자 이동방향(Y)으로 상기 회전구동원에 의해 경화제내에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종자의 경화장치.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경화제 저지막(111k)이 상기 경화탱크 부분의 하류측으로 경화제가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종자이동방향(Y)으로 상기 가이드 종말점의 경화탱크부 하류에 형성되고, 상기 경화제저지막(111k)의 가이드 시작점측상의 막표면(111m)은 경화제내로부터 외부로 이동하는 상기 가이드 패들(113b)의 선단위치 다음에 형성되고, 종자이동방향으로 경화제저지막(111k)의 경화탱크부 하류에는 상기 경화탱크(111)의 외부와 연통하는 종자낙하구(111c)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종말점에서의 피복종자는 상기 가이드 패들(113b)에 의해 밀려져서 상기 막표면(111m)위에 탑재되고 상기 가이드 패들과 함께 경화제밖으로 나오고, 상기 가이드 패들(113b)이 경화제저지막(111k)위로 상승할때 피복종자는 상기 가이드 패들로부터 종자낙하구(111c)로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종자의 경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종자이동방향(Y)으로 상기 경화제저지막(111k)의 경화탱크부 상류에서 경화제를 상기 가이드 시작점(111a)으로 복귀시키는 복귀통로(111B), 및 상기 복귀통로(111B)내 경화제위로부터 대면하는 탱크개구(115c)를 가지며, 상기 경화탱크(111)내의 경화제의 밀도를 조정하는데 사용되는 밀도조정 경화제를 수용하기 위한 저장탱크(115a)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귀통로(111B)내 액체경화제의 레벨이 상기 탱크 개구(115c)로부터 떨어질때 밀도 조정 경화제가 상기 탱크개구를 통하여 그 자체의 중량에 의해 상기 복귀통로(111B)로 상기 저장탱크(115a) 밖으로 유출되고, 상기 복귀통로(111B)내 액체경화제의 레벨이 상기 탱크개구(115c)에 도달하면, 상기 저장탱크(115a)로부터 밀도조정 경화제가 유출되는 것이 상기 탱크개구를 통해 가해지는 상기 복귀통로내 경화제의 압력에 의해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종자의 경화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패들(113b)은 적어도 피복종자 보다 더 작은 폭의 슬릿(113g)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종자의 경화장치.
  7. 가공될 종자를 피복하는 중합체 겔화제를 경화하기 위한 액체경화제를 함유하는 경화탱크(111), 가이드 종말점으로부터 가이드 시작점(111a)으로 경화제를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통로(111B), 및 상기 복귀통로(111B)내 경화제위로부터 대면하는 탱크개구(115c)를 가지며, 상기 경화탱크(111)내 경화제의 밀도를 조정하는데 사용되는 밀도 조정 경화제를 수용하기 위한 저장탱크(115a)로 이루어지며, 중합체 겔화제로 피복된 종자는 상기 가이드시작점(111a)에서 상기 경화탱크(111)내 경화제로 투입되고 상기 가이드 시작점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종말점으로 경화제내에서 이동하여 종자의 겔화제가 경화제와 반응여 경화되고, 경화된 겔화제로 피복된 종자는 상기 가이드 종말점에서 경화제밖으로 이동하며, 상기 복귀통로(111B)내 액체경화제의 레벨이 상기 탱크개구(115c)로부터 떨어질때 밀도조정 경화제는 상기 탱크개구(115c)를 통하여 그 자체의 중량에 의해 상기 복귀통로(111B)로 상기 저장탱크(115a) 밖으로 유출되고, 상기 복귀통로(111B)내 액체경화제의 레벨이 상기 탱크개구에 도달하면, 상기 저장 탱크(115a)로부터 밀도조정 경화제가 유출하는 것이 상기 탱크개구(115c)를 통해 가해지는 상기 복귀통로(111B)내 경화제압력에 의해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종자의 경화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패들(113b)은 적어도 피복종자보다 더 작은 폭의 슬릿(113g)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종자의 경화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패들(113b)은 적어도 피복종자보다 더 작은 폭의 슬릿(113g)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종자의 경화장치.
KR1019960059249A 1995-11-29 1996-11-29 피복종자의 경화장치 KR1002163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7310700A JP3095119B2 (ja) 1995-11-29 1995-11-29 被覆種子の硬化装置
JP95-310700 1995-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0108A KR19980040108A (ko) 1998-08-17
KR100216306B1 true KR100216306B1 (ko) 1999-08-16

Family

ID=18008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9249A KR100216306B1 (ko) 1995-11-29 1996-11-29 피복종자의 경화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728217A (ko)
EP (1) EP0776600B1 (ko)
JP (1) JP3095119B2 (ko)
KR (1) KR100216306B1 (ko)
DE (1) DE6960682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7605A (en) * 1997-01-31 2000-06-20 Elisha Technologies Co Llc Silicate coatings and uses thereof
EP1181856B1 (en) * 1999-04-23 2011-12-14 Agritecno Yazaki Co., Ltd. Gel coating method and apparatus
DE19920071B4 (de) * 1999-05-03 2004-07-08 Sollich Kg Vorrichtung zum Überziehen von Warenstücken, insbesondere Süßwarenstücken, mit einer fließfähigen Überzugsmasse
DE10159091A1 (de) * 2001-12-01 2003-06-12 Evotec Ag Trägersystem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8458953B2 (en) * 2007-11-13 2013-06-11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High speed seed treatment apparatus
CN112913375B (zh) * 2021-01-23 2022-10-11 青岛袁策集团有限公司 一种自动化育种用种子加工处理装置
CN113261412B (zh) * 2021-05-27 2022-05-17 安徽永民种业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小麦种子预处理的药剂浸泡包膜设备及方法
CN113330854B (zh) * 2021-07-13 2022-02-22 内蒙古佰惠生新农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甜菜种子丸粒化辅助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6887B2 (ja) * 1988-11-08 1994-06-22 矢崎総業株式会社 種子のゲル被覆装置
US5254358A (en) * 1990-10-02 1993-10-19 Yazaki Corporation Method of gel-coating seed and apparatus therefore
JP2956884B2 (ja) * 1994-11-25 1999-10-04 矢崎総業株式会社 種子のゲル被覆加工装置の製品回収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0108A (ko) 1998-08-17
EP0776600B1 (en) 2000-03-01
US5728217A (en) 1998-03-17
DE69606828D1 (de) 2000-04-06
EP0776600A1 (en) 1997-06-04
JPH09149708A (ja) 1997-06-10
DE69606828T2 (de) 2000-11-16
JP3095119B2 (ja) 2000-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95118B2 (ja) ゲル被覆加工装置の種子供給用タンク
US5254358A (en) Method of gel-coating seed and apparatus therefore
KR100216306B1 (ko) 피복종자의 경화장치
JPH02128611A (ja) 種子のゲル被覆装置
KR100216308B1 (ko) 종자의 겔 피복 가공방법 및 장치
CN114190135A (zh) 一种立式丸化种子包衣机
KR100216307B1 (ko) 종자의 겔 피복장치
EP0894425A1 (en) Apparatus for encapsulating seed by gel
CN115088426B (zh) 一种水流式马铃薯播种装置
JP2956885B2 (ja) 種子のゲル被覆加工装置の硬化槽
EP1181856B1 (en) Gel coating method and apparatus
JP2956884B2 (ja) 種子のゲル被覆加工装置の製品回収部
CN209151520U (zh) 种子包衣机
JP2018102256A (ja) 播種機
CN117339743A (zh) 一种农业水稻栽培用种子水选装置
JPH07102011B2 (ja) 種子のゲル被覆加工装置
CN116746339A (zh) 一种马铃薯栽培选种设备及方法
CN115382442A (zh) 一种成套一体化自动加药装置
JPH05199805A (ja) 種籾用脱水装置
CN115413762A (zh) 一种发芽糙米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