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6307B1 - 종자의 겔 피복장치 - Google Patents

종자의 겔 피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6307B1
KR100216307B1 KR1019960059248A KR19960059248A KR100216307B1 KR 100216307 B1 KR100216307 B1 KR 100216307B1 KR 1019960059248 A KR1019960059248 A KR 1019960059248A KR 19960059248 A KR19960059248 A KR 19960059248A KR 100216307 B1 KR100216307 B1 KR 100216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gel
passage
tank
gell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9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5362A (ko
Inventor
야스시 고노
요이치 이도
가즈시 나카츠카사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야스히코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야스히코,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야스히코
Publication of KR970025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5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6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63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6Coating or dressing s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01J2/006Coating of the granules without description of the process or the device by which the granules are obtain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겔피복장치는 종자를 겔화제로 피복하는 다수의 같은 공정들을 동시에 수행할 때 균일한 압력하에 종자 피복부로 겔화제를 공급할 수 있는 저가의 구조를 갖는다.
겔화제는 노즐블록(73)내 8개의 통로(73c)와 플런저(73h)사이에 형성된 폐쇄공간(73m)으로 공급되고 채워진다. 공간(73m)과 연통하는 8개의 겔공급로(73B)에 연결된 8개의 가압공기실린더(77)가 작동되어 겔통로(75a)를 통해 공간(73m)내 겔화제를 가압하여 각각의 통로(73c)내 플런저(73h)가 위로 이동하게 하고 통로(73c)의 하단부에서 밸브(73b)를 연다. 동시에, 가공할 종자는 위로부터 플런저(73h)내 통로(73v)로 던져져 통로(73v)의 하단부로부터 플런저(73h)아래로 떨어지는 종자가 통로(73c) 아래로 밸브(73b)를 통해 공간(73m)으로부터 적하되는 겔화제에 의해 둘러싸여 겔화제 피복종자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종자의 겔피복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한가지 구체예의 겔피복장치를 채택한 종자의 겔피복장치의 개략적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종자의 겔피복장치의 평면도이고,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종자의 겔피복장치의 측면도이고,
제4도는 제2도에 도시된 보조프레임 및 종자이송섹션의 확대평면도이고,
제5도는 제2도에 도시된 종자공급섹션 및 종자이송섹션의 부분 파단된 확대정면도이고,
제6도는 제2도에 도시된 종자 공급섹션의 확대평면도이고,
제7도는 제2도에 도시된 종자 공급섹션 및 종자이송섹션의 확대측면도이고,
제8도는 제5도에 도시된 어댑터의 확대단면도이고,
제9도는 제2도에 도시된 겔피복섹션의 확대정면도이고,
제10도는 제2도에 도시된 겔피복섹션의 확대평면도이고,
제11도는 제2도에 도시된 겔피복섹션의 확대측면도이고,
제12도는 제11도의 노즐블록의 확대측단면도이고,
제13도는 제1도에 도시된 겔경화섹션 및 겔세척섹션의 부분 파단된 확대정면도이고,
제14도는 제1도에 도시된 겔경화섹션의 확대평면도이고,
제15도는 제14도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제16도는 제14도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제17도는 제13도에 도시된 캡의 확대측단면도이고,
제18도는 제1도의 겔세척섹션의 확대평면도이고,
제19도는 제18도에 도시된 세척탱크 배면판의 확대배면도이고,
제20도는 제7도에 도시된 탱크 본체의 공기챔버의 또다른 구체예의 요부를 도시하는 확대측면도이고,
제21도는 제16도에 도시된 겔경화 섹션의 겔가이드 기구의 또다른 구체예의 요부의 확대측단면도이고,
제22도는 종래의 겔피복 장치의 정면도이고,
제23도는 제22도에 도시된 종래의 종자의 겔피복장치의 평면도이다.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폴리머 겔화제로 종자를 피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련분야의 설명]
겔피복 종자, 영양물질과 살균제를 함유하고 탄력성을 갖는 폴리머겔로 피복된 종자가 공지되어 있다.
이 겔피복 종자는 동물에게 먹히는 것으로부터 보호하고 그것을 살균하기에 효과적일뿐만 아니라, 종자크기의 증가로 취급이 용이하고 파종이 효율적이고 겔내의 영양물질의 흡수를 통해 발아율을 개선시키는 것과 같은 많은 다른 특징들을 갖는다.
이들 특징에 초점을 맞추어, 본원인은 종자를 겔로 자동으로 피복하는 장치들을 제안하였다. 제22도는 본원인이 제안한 종래의 장치예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일반적으로 A로 표시 한 겔피복장치는 스탠드(B), 종자호퍼(C), 종자이송섹션(D), 겔화제탱크(E), 겔가공섹션(F), 경화탱크(G) 및 수세탱크(J)를 갖는다.
종자호퍼(C)는 스탠드(B)의 상반부에서 공기실린더(C1)를 통하여 수직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스탠드(B)의 폭 중앙으로부터 한쪽으로 약간 치우쳐 위치되어 있다. 종자호퍼(C)는 제2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이 거의 원형이고 위로 열려 있으며, 제2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하부는 그 저부가 중심을 향해 줄어드는 거의 원추형이다. 종자호퍼(C)는 겔로 피복될 다수의 종자(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한다. 겔화제탱크(E)는 스탠드(B)의 하반부에서 측면 근처에 설치되고 종자를 피복하기 위한 고점성의 액체 겔화제를 수용한다.
겔가공섹션(F)은 스탠드(B)의 폭의 거의 중앙에서, 스탠드(B)의 상반부에 설치되어있다. 겔가공섹션(F)은 내부가 이중관으로 형성되어 있는 가공노즐(F1)을 갖는다.
가공노즐(F1)은 가공노즐(F1)의 상단부로부터 종자를 공급하는 내관과 가공노즐(F1)의 측면으로부터 도시되지 않은 관을 통해 겔화제탱크(E)로부터의 겔화제를 공급하는 외관을 갖는다. 겔가공섹션(F)에서는, 가공노즐(F1)내의 플런저(도시되지 않음)가 소정량의 겔화제를 외관의 하단부 밖으로 뿜어내는 한편, 동시에 내관의 하단부로부터 한번에 한 개씩 종자를 전달한다. 그 결과, 겔화제로 외면이 피복된 종자들이 자체중량에 의해 낙하한다.
종자이송섹션(D)은 스탠드(B)의 상반부에 설치되고 종자호퍼(C)와 가공노즐(F1) 사이에 위치한 회전식 액츄에이터(D1); 수평면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식 액츄에이터(D1)에 의해 중간부분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긴 회전식 아암(D3); 그리고 회전식 아암(D3)의 양단부의 하면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된 두 개의 일회용 흡입팁(D5, D7)을 갖는다. 종자이승섹션(D)은 회전식 액츄에이터(D1)를 가져 회전식아암(D3)을 한 번에 180도씩 회전시켜, 회전식 아암(D3)은 한쪽 흡입팁(D5)이 종자호퍼(C)위에 위치되고 다른쪽 흡입팁(D7)이 가공노즐(F1)위에 위치되는 제1상태와 제1입팁(D5)이 가공노즐(F1)위에 위치되고 제2흡입팁(D7)이 종자호퍼(C)위에 위치되는 제2상태를 교대로 취하도록 한다.
경화탱크(G)는 실질적으로 스탠드(B)의 수직방향 중앙에 설치되고 겔화제로 피복된 종자들이 자체중량에 의해 낙하하는 가공노즐(F1) 아래로부터 스탠드(B)의 측면 다른쪽으로 수평으로 연장된다. 경화탱크(G)에서는 액체 경화제가 흐르는데 이것은 종자위에 피복된 겔화제와 반응하여 겔화제를 경화시키고 이로써 겔피복 종자를 형성한다. 또한, 경화탱크(G)에는 게2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가공노즐(F1) 아래로부터 경화탱크(G)내의 측면 다른 쪽으로까지 겔피복된 종자를 이송하는 스쿠루 피더(G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수세탱크(J)는 경화탱크(G)뒤에 위치되고 경화탱크(G)를 따라 수평으로 연장된다. 수세탱크(J)에서는 물이 흘러 겔화제가 경화탱크(G)에서 경화된 겔피복된 종자를 세척한다. 수세탱크(J)에서는 또한 겔피복된 종자가 경화탱크(G)내에서 이송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겔피복된 종자를 이송하기 위해 스쿠루 피더(J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구조를 갖는 종래의 겔피복장치(A)에서는 종자를 다음과 같이 겔로 피복한다.
종자이송섹션(D)의 제1상태에서, 공기실린더(C1)가 가동하여 종자호퍼(C)를 상승시키고 제1흡입팁(D5)이 부압으로 비워져 종자를 종자호퍼(C)로부터 끌어들인다. 다음에, 종사호퍼(C)는 공기실린더(C1)에 의해 하강 한 후, 회전식 아암(D3)은 회전식 액츄에이터(D1)에 의해 수평으로 180도 회전되어 종자이송섹션(D)을 제2상태로 되게 한다. 이 제2상태에서, 제1흡입팁(D5)은 정압으로 되어 집어올린 종자를 상부로부터 가공노즐(F1)의 내관으로 집어넣는다. 동시에, 공기실린더(C1)가 가동하여 종자호퍼(C)를 상승시키고 이곳으로부터 종자는 팁을 부압으로 되게 함으로써 제2흡입팁(D7)으로 끌어 들여진다. 이들 조작은 반복되어 종자호퍼(C)로부터 가공노즐(F1)로 종자를 이송하게된다. 만일 호퍼가 공기실린더(C1)에 의해 올려졌는데도 종자호퍼(C)내의 종자가 흡입팁(D5, D7)으로 흡입되지 못하면 종자호퍼(C)는 종자를 흔들어 흡입팁(D5, D7)의 정면 단부에 더 접근 가능하게 만들도록 작은 피치만큼 위아래로 진동하게 된다.
종자는 가공노즐(F1)의 내관에 집어넣어짐과 동시에, 플런저가 가동되어 종자와 함께 소정량의 겔화제를 가공노즐(F1)의 정면단부밖으로 뿜어내어 종자가 겔화제로 피복되게 하고 자체중량에 의해 가공노즐(F1)의 정면단부로부터 경화탱크(G)로 낙하하게 한다.
경화탱크(G)로 낙하한 피복 종자는 스쿠루피더(G1)에 의해 이동되는 한편 종자의 외표면에 부착하는 겔화제는 경화되어 종자가 겔로 덮이게 된다. 경화탱크(G)의 측면 반대쪽에 도달한 겔피복 종자는 스쿠루피더(G1)의 회전과 또 스쿠루피더(G1)의 회전과 동기적으로 도시않은 송풍개구로부터 송풍되는 공기의 힘에 의해 경화탱크(G)와 수세탱크(J)사이의 격벽(G3)(제23도 참조)을 타고 가로질러 수세탱크(J)쪽으로 이송된다.
수세탱크(J)에 이송된 겔피복 종자는 물흐름에 의해 수세탱크(J)를 따라 이동되면서 스쿠루피더(J1)에 의해 만들어 그 물흐름에 의해 표면이 세척된다. 수세탱크(J)의 다른 단부에 도달한 겔피복 종자는 그 다음 스쿠루피터(J1)에 의해 이송되어 수세탱크(J)의 단부에서 격벽(J3)(제23도)을 타고 배출구(K)(제23도)로 이동하며, 여기서 겔피복 종자가 겔피복가공장치(A)의 저부에 놓인 생성물 받이(도시되지 않음)에 회수된다. 또한, 종자호퍼(C)의 종자의 잔량은 항상 감시되고 그 양이 줄어들면 종자호퍼(C)에 종자가 공급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종래 구조의 겔피복 장치(A)는 단 하나의 가공노즐(F1)을 갖는다.
장치의 전체 가공용량을 증가시키는 노력의 일부로서, 가공노즐(F1)과 겔화제탱크(E)로부터 겔화제를 공급하는 펌프와 같은 공급수단의 수를 증가시킬 때, 가공노즐(F1)에 대한 겔화제의 공급압력은 같게 만들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종자에 부착하는 겔화제의 앙과 이에 따른 종자의 직경은 가공노즐(F1)들간에 달라질 것이다.
이 상황을 처리하기 위해, 각각의 가공노즐(F1)에 해당하는 공급수단이 겔화제 탱크(E)로부터 겔화제를 공급하는 공급압력을 감시하고 공급압력을 같에 만드는 피드백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부품 수의 과잉증가와 제어의 더 큰 복잡성을 가져오고 따라서 적절한 대책이라고 할 수 없다.
또한, 상기한 종래 구조의 겔피복 장치(A)에서는, 겔화제탱크(E)내 겔화제가 가공노즐(F1)에 공급될 때 공급로내의 공기는 공급되는 겔화제에 혼합되어 가공노즐(F1)의 정면단부로부터 전달되는 겔화제의 양에 변동을 일으킨다. 이것은 차례로 종자에 부착되는 겔화제의 양 그리고 따라서 가공노즐(F1)에서 형성되는 겔화제 피복 종자의 직경에 변동을 일으킬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결점을 극복하기 위해 달성되었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가공용량을 개선하기 위해 겔화제로 종자를 피복하는 다수의 공정들을 동시에 수행할 때 저가로 같은 압력하에 다수의 겔화제 피복섹션에 겔화제를 공급할 수 있는 종자의 겔피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겔화제 피복섹션에 공급되는 겔파제에 공기가 혼합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종자의 겔피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요]
발명의 주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범위 제1항에 따르는 종자의 겔피복 장치는 수직 개방로에서 이동가능한 수직으로 수용된, 내부통로가 축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원통형 플런저; 플런저의 하단부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수직 개방로의 하단부의 밸브시트; 그리고 밸브시트와 플런저의 상부사이에 규정되는 수직개방로내의 폐쇄공간; 가공노즐의 수직개방로내 폐쇄공간 각각에 연결된 단일 매니폴드로 이루어지며, 매니폴드는 겔화제로 채워져 있고, 매니폴드내 겔화제의 충전압력은 매니폴드로부터 가공노즐 각각의 폐쇄공간으로 겔화제를 분산시키기 위해 증가되며, 폐쇄공간내 겔화제에 대한 충전압력은 밸브시트를 개방하기 위해 수직 개방로에서 플런저를 위로 이동시키기 위해 증가되며, 동시에 가공할 종자가 위에서 플런저의 내부통로내로 집어 넣어져 플런저의 내부통로의 하단부로부터 배출된 종자가 밸브시트를 통해 흘러나오는 겔화제로 둘러싸이도록 되어 있다.
청구범위 제2항에 따르는 종자의 겔피복 장치에서는, 수직 개방로내 폐쇄공간이 각각의 겔공급로를 통해 매니폴드와 각각 연통되어 있고, 겔공급로는 매니폴드로부터 폐쇄공간으로 흐르는 겔화제가 흘러들어갈 수 있는 분기된 폐쇄로와 연결되어 있으며, 공기 환기밸브는 폐쇄로의 단부에 연결되고, 폐쇄로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기 위해 개폐된다.
청구범위 제3항에 따르는 종자의 겔피복 장치는 폐쇄공간에서 겔화제에 대한 충전압력을 증가시키고 감소시키기 위해 폐쇄공간의 각각의 것에 겔공급로를 통해 연통하는 가압실린더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공기환기밸브는 각각 가압실린더와 수직 개방로의 각각의 것과 같은 평면에 연장된다.
겔화제가 충전된 매니폴드를 갖는 청구범위 제1항에 청구된 종자의 겔피복 장치에 따르면, 매니폴드내 겔화제의 충전압력은 가공노즐의 폐쇄공간과 매니폴드를 연통하는 겔화제 공급로의 압력을 매니폴드의 내압과 같고 균일하게 만들기 위해 증가된다.
따라서, 균등화된 압력을 갖는 겔화제 공급로로부터 가공노즐의 폐쇄공간으로의 겔화제 공급압력은 같아진다. 이것은 차례로 종자를 피복하기 위해 가공노즐로부터 분출되는 겔화제의 양을 같게 만든다. 이런 식으로, 피복된 종자의 낱알크기와 사용된 겔화제의 양을 노즐들간에 같아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범위 제2항에 청구된 종자의 겔피복장치에 따르면, 만일 공기가 매니폴드로부터 폐쇄공간으로 인도되는 겔공급로에서 겔화제에 그리고 겔공급로로부터 분기된 폐쇄로에서 겔화제에 기포로서 혼합되면, 공기는 폐쇄로의 말단부로 당겨져 거기에 보유되기 때문에 매니폴드로부터 통로에서의 폐쇄된 공간으로 겔화제를 충전하기에 앞서 공기환기밸브를 열어 폐쇄로의 말단부에서 수집된 공기를 배출한다. 따라서, 겔화제는 공기기포가 혼합된 채 가공노즐에 공급되는 것으로부터 방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종자를 피복하기 위해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겔화제의 양은 같게 되고 피복된 종자의 낱알크기와 사용된 겔화제의 양을 노즐들간에 일정하고 같게 한다.
또한, 청구범위 제3항에 청구된 종자의 겔피복 장치에 따르면, 폐쇄공간내 겔화제 충전압력이 증가되어 통로내 플런저를 움직임으로써 폐쇄로의 밸브시트를 열 때 그리고 충전압력의 상승이 폐쇄공간에 인접하게 제공된 가압실린더에 의해 행해질 때, 각 공기 환기밸브는 가압실린더의 연장방향과 통로의 연장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에서 연장되도록 배열되어 가압실린더와 공기환기밸브가 차지하는 통로둘레의 공간이 이 통로를 포함하는 단지 하나의 실질적으로 수직한 평면에 연장된다. 그러므로, 가공노즐둘레의 요구되는 공간이 복수의 평면들이 아닌 단일 평면에 수용될 수 있고, 따라서 겔피복장치 전체에 의해 요구되는 전체공간과 그것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동일부분 또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시하는 척부 도면과 연관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설명]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종자의 겔피복 장치를 본 명세서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구체예와 연관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르는 겔피복섹션을 사용하는 종자의 겔피복장치의 개략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제2도 및 제3도는 각각 그것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일반적으로 1로 표시한 본 구체예의 겔피복 장치는 스탠드(3), 종자공급섹션(5), 겔피복섹션(7), 종자이송섹션(9), 겔경화섹션(11), 및 겔세척섹션(13)을 갖는다.
스탠드(3)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측면으로 개방되어 있는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프레임은 종방향으로 긴, 평면도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주프레임(31)과 후방단부근처 주프레임(31)위에 세워진 보조프레임(33)으로 구성된다. 주프레임(31)은 프레임저부 네 구석에서 바퀴(34)에 의해 운반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측면보강프레임(35)은 주프레임(31)의 수직중앙 약간 위에 수평으로 장착되어 있다. 제4도의 보조프레임과 종자이송섹션의 확대평면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주상부가로대(36)는 보조프레임(33)의 전방단부와 후방단부의 약간 앞에서 보조프레임(33)의 왼쪽과 오른쪽 사이에 수평으로 놓인다.
두 개의 보조상부가로대(37)는 주상부가로대(36)를 보강하기 위해 보조프레임(33)의 횡방향으로 간격을 둔 위치에서 전방과 후방 주상부가로대(36)를 연결하며 수평으로 놓인다. 왼쪽 보조상부가로대(37)위에는 이 보조상부가로대(37)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이드레일(38)(제5도)이 지지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방 측가로대(39)는 보조프레임(33)의 수직 중앙보다 약간 더 낮은 높이에서 보조프레임(33)의 전방 측면부분들사이에 수평으로 장착된다. 지지판(36a)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오른쪽 보조상부가로대(37)를 향해 옆으로 약간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주상부가로대(36)에 놓인다. 지지판(36a)사이에 수평으로 걸쳐져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옆으로 간격진 가이드 샤프트(36b)가 있다.
종자공급섹션(5)은 겔피복 종자로 가공되는 종자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제3도에 도시 된 바와같이 주프레임(31)상에 보조프레임(33)내부에 위치된다. 종자공급섹션(5)은 주프레임(31)에 확고히 고정된 베이스(51)와 베이스(51)에 고정된 종자탱크(53)를 갖는다.
제5도는 종자공급섹션과 종자이송섹션의 확대정면도이다. 제6도는 종자공급섹션의 확대 평면도이다. 제7도는 종자공급섹션과 종자이송섹션의 확대 측단면도이다. 베이스(51)는 제6도에 도시도니 바와같이, 주프레임(31)의 측면부분들사이로 연장되는 평면도가 횡으로 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다.
평행가이드레일(51a)은 베이스(51)의 전방단부와 후방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베이스(51)에는 단면이 U-형상이고 제6도와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이드레일(51a)의 전체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가이드홈(51b)이 가이드레일(51a)의 내부양쪽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레일(51a)사이에는 미끄럼판(51c)이 지지되어 그것의 전방 및후방단부가 대응 가이드홈(51b)에 들이맞아 미끄럼판(51c)이 주프레임(31)의 오른쪽을 향해 끌려나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6도에는 미끄럼판(51c)을 당기기 위해 사용되는 손잡이가 51d로 표시되어 있다.
종자탱크(53)는 미끄럼판(51c)에 놓이고, 예를들면 아크릴수지판으로 만들어지며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미끄럼판(51c)의 측면으로부터 세워진 한쌍의 벽(53a)과,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측벽(53a)사이에 형성된 탱크본체부(53b)와 호퍼부(53c)를 갖는다. 탱크본체부(53b)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측벽(53a)으로 단부가 폐쇄된 원통형주변벽(53d)으로 형성된 실질적으로 횡으로 긴 원통이다. 주변벽(53d)은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측벽(53a)사이의 탱크본체부(53b)의 하부에 형성된 수평으로 긴 슬릿(53e)을 갖는다. 슬릿(53e)은 수직폭(H1)을 갖는다. 주변벽(53d)의 상부는 제5도에 부분파단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8개의 관통공(53f)으로 형성되고 평면도가 실질적으로 원형이고 같은 간격으로 횡으로 배열된다. 관통공(53f)의 각각은 거의 중앙에시 구멍(53A)을 갖는 환상어댑터(53g)와 탈착가능하게 들어맞는다.
어댑터(53g)의 구멍(53A)의 내주면은 제8도의 확대단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탱크본체부(53b)의 주변벽(53d)의 외부에 대직경부(53h)를 갖고 내부에 소직경부(53j)를 갖는다. 대직경부(53h)와 소직경부(53j) 사이의 경계에 층진부분(53k)이 있다. 구멍(53A)의 내경이 다른 두 개 이상 종류의 어댑터(53g)가 준비되이 있다. 탱크본체부(53b)에 수용된 종자의 크기에 따라, 종자가 통과할 수 있는 소직경부(53j)중 가장 작은 것을 가진 어댑터(53g)가 관통공(53f)에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측벽(53a)사이의 탱크본체부(53b)에는 직경이 탱크본체부(53b)보다 충분히 더 작고 탱크본체부(53b)의 저부내주면위에 작은 거리(H3)--슬릿(53e)의 수직폭(H1)과 거의 같음--를 두고 유지된 원통형 공기챔버(53m)가 놓여져 있다. 공기챔버(53m)는 측벽(53a)사이 거의 중앙에서 두 개의 측면부분으로 분할된다. 왼쪽과 오른쪽 공기챔버(53m)부분은 슬릿(53e)쪽과 반대쪽에 정면주변부에서 횡으로 배열되고 균등하게 간격진 송풍구(53n)가 형성되어 있다.
분할된 공기챔버(53m)부분 각각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두 개의 조인트(53p)의 단부와 저부에서 연결되어 있다. 이들 조인트(53p)는 탱크본체부(53b) 저부를 통과하고 밖으로 연장되며, 조인트(53p)의 다른 단부는 도시않은 고압호스를 통해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탱크본체부(53b)의 뒷면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베이스(51)에 확고히 장착된 매니폴드(53r)의 네 개의 조인트(53s)에 연결된다.
매니폴드(53r)에는 도시않은 감압기를 통해 겔피복 장치(1)밖으로 외부 공기압축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압축공기가 공급된다. 압축공기는 조인트(53s,53p) 및 고압호스를 통해 분할된 공기챔버(53m)부분의 각각에 공급된다.
호퍼부(53c)는 탱크본체부(53b)내 슬릿(53e)의 상부측에서 주변벽(53d)으로부터 거의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정면판(53t)과 탱크본체부(53b)로부터 점진적으로 연장되는 슬릿(53e)의 하부측으로부터 후방 상부방향으로 경사지고 정면단부는 거의 수직으로 올라가는 배면판(53v)에 의해 형성된다. 배면판(53v)은 후방상부방향으로 탱크본체부(53b)의 저부근처로부터 연장되는 주변벽(53d)부분의 접선방향으로 연장된다. 배면판(53v)은 주변벽(53d)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겔피복섹션(7)은 겔피복 종자를 형성하기 위해 겔화제로 종자를 피복하기 위한 것이여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조프레임(33)의 앞에 주프레임(31)위에 배열되고 주프레임(31)의 왼쪽과 오른쪽 단부사이로 연장되는 베이스(71); 베이스(71)위에 배열된 노즐블록(73), 노즐블록(73)의 앞에 베이스(71)위에 확고히 장착된 겔수용블록(75); 겔수용블록(75)에 연결된 8개의 가압공기실린더(77)와 8개의 공기환기밸브(78); 그리고 겔수용블륵(75)에 겔화제를 공급하기 위한 매니폴드(79)를 포함한다.
제9도는 겔피복섹션의 확대정면도이고, 제10도는 그것의 확대평면도이고, 제11도는 그것의 확대측면도이다. 베이스(71)는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평면도가 횡으로 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다. 베이스(71)의 후방단부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조프레임(33)의 정면측가로대(39)에 고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베이스(71)는 제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조프레임(33)의 정면측가로대(39)의 정면측면들로부터 아래로 돌출하는 두 개의 왼쪽 및 오른쪽 보강판(71a)에 의해 수평으로 지지된다.
노즐블록(73)은 베이스(71)의 완쪽과 오른쪽 단부사이에 설치된 게이트형상 베이스프레임(74)에 배치되고 제10도에 도시된 비와같이 횡으로 길고 베이스(71)보다 길이방향으로 더 짧은 평면도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다. 노즐블록(73)의 상부표면은 8개의 횡으로 같게 간격진 종자주입구(73a)로 형성된다. 종자주입구(73a)에 대응하는 노즐블록(73)의 하면부분은 제12도의 확대측단면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종자주입구(73a)보다 더 작은 내경을 갖는 밸브(73b)(밸브시트에 해당)로 형성된다. 노즐블록(73)은 종자주입구(73a)와 대응밸브(73b)를 연결하는 수직으로 통과하는 8개의 통로(73c)를 갖는다.
이 구체예에서, 겔화제 적용노즐(73A)은 주로 종자주입구(73a), 밸브(73b), 통로(73c), 및 통로(73c)에 설치된 플런저(73h)(후기함)로 이루어진다.
통로(73c)의 각각은 종자주입구(73a)와 연통하고 직경이 종자주입구(73a)와 거의 같은 대직경부(73d)와, 밸브(73b)와 연통하고 직경이 밸브(73b)보다 약간 더 크고 대직경부(73d)보다 더 작은 소직경부(73e)를 갖는다. 통로(73c)의 내주면은 종자주입구(73a)를 향해 수직으로 중심이 약간 벗어난 위치에서 대직경부(73d)와 소직경부(73e)사이의 층진부분(73f)으로 형성된다. 대직경부(73d)는 암나사(73g)로 형성된다.
통로(73c)의 각각에, 원통형 플런저(73h)가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플런저(73h)는 소직경부(73e)의 내경에 해당하는 외경을 갖는다. 플런저(73h)의 외주변에 통로(73c)의 대직경부(73d)의 내경에 해당하는 외경을 갖는 플랜지(73j)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73j)에서 일정한 거리로 플런저(73h)의 한 단부 부분은 다른 단부보다 외경이 더 작은 소직경부(73k)(플런저의 하단부에 해당)로 형성되어 있다
플런저(73h)는 소직경부(73k)가 아래로 향하면서 종자주입구(73a)를 통해 위로부터 통로(73c)에 삽입된다. 플랜지(73j)가 통로(73c)의 층진부분(73f)과 맞물린 상태에서 플런저(73h)의 상단부(제2단부)는 종자주입구(73a)로부터 위로 돌출하고, 플런저(73h)의 하단부(제1단부), 즉 소직경부(73k)의 하단부는 실질적으로 노즐블록(73)의 하면과 같은 높이이고 플런저(73h)의 하단부의 주변표면은 틈없이 밸브(73b)의 내주면에 꼭 들어맞아 밸브(73b)를 폐쇄한다. 이 상태로, 환형공간(73m)(폐쇄공간에 해당)은 통로(73c)의 소직경부(73e)와 플런저(73h)의 소직경부(73k)사이에 형성된다. 이 공간(73m)은 통로(73n)를 통해 겔수용블록(75)에 노즐블록(73)의 전방측으로 연통된다.
상기 상태에서, 환형공간(73p)은 플랜지(73j)보다 더 높은 플런저(73h)의 주변표면과 통로(73c)의 대직경부(73d)사이에 형성된다. 코일스프링(73r)은 이 공간(73p)에 설치된다. 대직경부분(73d)의 암나사(73g)는 캡(73s)의 수나사(73t)를 수용한다. 캡(73s)을 통로(73c)에 나사 맞춤하면, 수나사(73t)의 단부표면은 플랜지(73j)쪽을 향하여 코일스프링(73r)을 누른다. 따라서, 플런저(73h)는 소직경부(73k)의 하단부가 밸브(73b)를 폐쇄하도록 플랜지(73j)를 통해 코일스프링(73r)에 의해 가압한다.
제12도에서, 부재번호 73v는 플런저(73h)를 통과하는 통로를 표시하며 몇가지 종류의 어댑터(53g)의 내경중 가장 큰 것을 갖는 대직경부분(53h)과 거의 같은 내경을 갖는다.
그것들이 밸브(73b)와 면하는 경우, 베이스프레임(74)과 베이스(71)는 통로구멍(74a, 71b)를 각각 가져서 밸브(73b)로부터 떨어지는 낱알같은 겔화제가 아래로 베이스(71)를 통과하게 한다. 소직경부(73k)의 외경을 다르게한 두가지 종류 이상의 플런저(73h)가 준비된다. 어댑터(53g)의 경우에도, 소직경부(73k)가 종자공급섹션(5)에서 겔피복섹션(7)으로 이송된 종자의 크기 및 형태에 대해 가장 적당한 크기의 환형공간(73m)을 갖는 플런저(73h)는 종자를 피복하는 적당량의 겔화제가 적하될 수 있도록 각 통로(73c)에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겔수용블록(75)은 횡방향으로 길고 그것의 횡길이가 노즐블록(73)의 길이에 상당하는, 평면도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다. 겔수용블록(75)에는 제1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노즐블록(73)의 통로(73c)에 상당하는 같은 간격으로 횡으로 배열되는 8개의 하향개구 겔통로(75a)가 형성되어 있다.
각 겔통로(75a)의 상단부는 노즐블록(73)에서 대응통로(73n)에 면하는 셀수용블록(75)의 뒤쪽과 통로(75b)를 통해 연통한다. 통로(75b)와 노즐블록(73)의 통로(73n)를 통해, 겔통로(75a)와 노즐블록(73)의 대응통로(73c)의 공간(73m)사이에 연통이 이루어진다.
가압공기실린더(77)(승압실린더에 해당)는 통로(75b)에 면하는 겔수용블록(75)의 앞쪽에 수평으로 연결된다. 각 가압공기실린더(77)의 내부는 통로(75b) 아래 지점에서 대응 겔통로(75a)와 연통한다. 제12도에서, 부재번호 75c는 가압공기실런더(77)의 확장 및 수축작용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 제어기를 가리킨다. 겔통로(75a)의 하단부에 겔통로(75a)로부터 외부를 향해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벨브(75d)가 제공되어 있다.
공기환기밸브(78)는 가압공기실린더(77)가 연결되는 겔수용블록(75)의 경사진 전방상부에 약 45도 각도로 연결되어 있다. 공기환기밸브(78)의 내부는 통로(75b)보다 높은 겔통로부분(75e)(밀폐로에 해당)의 상단부(75f)(밀폐로의 전방단부에 해당)와 연통한다.
제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매니폴드(79)는 가압공기실린더(77) 아래에 그들사이에 베이스(71)를 위한 틈을 가지고 위치되며 거의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매니폴드(79)의 단부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베이스(71)의 횡말단의 하면에 장착되고 베이스(7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브래킷(71c)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매니폴드(79)의 한단부는 브래킷(71c)을 통과하는 자유결합조인트(커플러라고도 함)와 연결되어있다. 이 커플러(79a)는 고압호스와 펌프(둘다 도시않음)를 통해 겔화제탱크(도시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매니폴드(79)의 배면부의 외주변은 겔피복장치(1)의 횡방향으로 같은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8개의 조인트(79bf)와 그것들의 한 단부에서 연결되어 있다. 제1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조인트(79b)의 다른 단부는 베이스(71)의 통로(71d)를 통과하고 겔수용블록(75)의 대응 겔통로(75a)의 하부단부에 연결된다.
이 구체예에서, 조인트(79b), 겔통로(75a), 통로(75b) 및 통로(73n)는 함께 겔공급로(73B)를 형성한다.
종자이송 섹션(9)은 종자공급섹션(5)으로부터 겔피복섹션(7)으로 종자를 운반하기 위한 것이며,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겔피복 장치(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보조프레임(33)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이동대(91),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도록 이동대(91)에 지지된 매니폴드(93), 매니폴드(93)에 의해 지지된 8개의 흡입팁(95), 및 이동대(91)에 고정 장착된 진공펌프(97)를 포함한다. 이동대(91)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기판(91a)과 기판(91a)을 구동하는 로들리스 자기실린더(91b)를 갖는다.
기판(91a)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조프레임(33)의 왼쪽과 오른쪽 사이에 걸친횡으로 긴 평면도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판(91a)은 보조프레임(33)위에 수평으로 배치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라이더(91c)는 보조프레임(33)의 왼쪽부분근처기판(91a)의 하면에 장착된다. 슬라이더(91c)의 하면에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향개구 가이드홈(91d)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왼쪽 보조상부가로대(37)위의 가이드레일(38)에 들어맞는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주 상부가로대(36)사이에 위치된 기판(91a)으로 칼라를 가진 블록(91e)이 가이드샤프트(36b)에 면하는 위치에서 기판(91a)의 하면에 장착된다. 가이드샤프트(36b)는 대응블록(91e)의 칼라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통과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로들리스 자기실린더(91b)는 두 개의 가이드샤프트(36b)사이의 거의 중앙에서 주 상부가로대(36)의 지지판(36a)사이에 연장된다. 로들리스 자기실린더(91b)의 실린더통(91f)은 블록(91e)사이의 기판(91a) 아래에 배치되어 기판(91a)과 블록(91e)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실린더통(91f)의 상부는 실린더통의 거의 전길이에 걸쳐 슬릿(91h)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통(91f)에는 자석의 작용에 의해 실린더통(91f)의 단부사이에서 미끄러지는 피스톤요크(도시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요크와 함께 미끄러지는 피스톤 장착부(91j)는 실린더통(91f)의 슬럿(91h)의 밖으루 돌출한다. 블록(91e)사이의 기판(91a)의 하면으로부터 아래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브래킷(91k)은 나사(91m)에 의해 피스톤 장착부(91j)에 고정된다. 매니폴드(93)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자탱크(53)보다 횡폭이 약간 더 작으며, 단면이 거의 원형인 그것의 단부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폐쇄되어 있다.
매니폴드(93)는 상승-하강장치(94)를 통해 기판(91a)에 의해 지지된다.
상승-하강장치(94)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 슬라이더(91c)의 횡으로 내측에시 기판(91a)의 하면으로부터 아래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판(94a); 측판(94a)의 내측에 배열된 한쌍의 상승-하강 프레임(94b); 기판(91a) 아래에 위치되고 측말단이 상승-하강프레임(94b)에 의해 지지되는 리테이너판(94c); 그리고 기판(91a)에 대하여 리테이너판(94c)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공기실린더(94d)를 포함한다.
슬라이드판(94a)은 각각 내측에 장착된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레일(94e)을 가지며 상승-하강프레임(94b)은 각각 바깥쪽에 고정된 슬라이더(94f)를 갖는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라이더(94f)의 각각은 대응측판(94a)의 가이드레일(94e)위에 들어맞는 외측개방가이드흠(94g)이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판(94c)은 기판(91a)보다 길이방향 길이가 더 크게 형성되고 리테이너판(94c)의 후방단부는 기판(91a)의 거의 길이방향중심에 위치되고, 리테이너판(94c)의 정면단부는 기판(91a)의 앞에 위치된다.
공기실린더(94d)는 블록(91e)의 왼쪽에서 정면에서 약간 가까운 지점에서 기판(91a)의 윗표면에 장착된다. 공기실린더(94d)의 실린더로드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판(91a)을 통과하고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것의 후방 단부근처에서 조인트로드(94h)를 통해 리테이너판(94c)의 윗표면에 결합된다.
매니폴드(93)는 리테이너판(94c)의 정면 하면에 장착되고 횡으로 간격져 떨어진 위치에서 후방주변벽에 부착된 두 개의 조인트(93a)를 갖는다. 매니폴드(93)의 저부주변벽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탱크본체부(53b)의 관통공(53f)에 대응하는 횡으로 같은 간격으로 8개의 구멍(93b)이 형성되어 있다. 두 개의 조인트(93a)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기실린더(94d)뒤의 지점에서 리테이너판(94c)의 하면에 고정되는 포크로된 조인트(94j)에 도시않은 고압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흡입팁(95)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매니폴드(93)의 각각의 구멍(93b)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실질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흡입팁(95)은 각각 그 중심에서 매니폴드(93)의 내부와 연통하는 흡입로(도시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외경과 흡입로내경을 달리하는 몇가지 종류의 흡입팁(95)이 준비되어 있다. 탱크본체부(53b)의 어댑터(53g)의 경우에서와 같이 종자공급섹션(5)으로부터 겔피복섹션(7)으로 이송되는 종자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외경과 흡입로 내경이 흡입에 의해 종자를 집고 지지하기에 가장 적합하게 되고 외경이 어댑터(53g)의 구멍(53A)의 대직경부(53h)에 삽입될 수 있는 흡입팁(95)이 선택된다. 그러면 선택된 흡입팁(95)은 구멍(93b)에 끼워맞춤된다.
로들리스 자기실린더(91b)는 피스톤 장착부(91j)를 앞뒤로 미끄러뜨림으로써 후방위치와 전방위치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매니폴드(93)를 구동한다. 상승-하강장치(94)의 공기실린더(94d)가 수축하면, 후방위치는 각 흡입팁(95)의 전방단부가 탱크본체부(53b)의 대응어댑터(53g)위에 위치할 때이고 전방위치는 각 흡입팁(95)의 전방단부가 노즐블록(73)의 대응종자주입구(73a)위에 위치될 때이다.
로들리스 자기실런더(91b)의 후방위치에서, 상승-하강장치(94)의 공기실린더(94d)는 피스톤로드를 확장시켜 제8도의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대응 어댑터(53g)의 층진부분(53k)을 접촉하기 바로 앞의 높이에서 각 흡입팁(95)의 정면단부를 위치시킨다.
로들리스 자기실린더(91b)의 정면위치에서, 공기실린더(94d)는 그 피스톤 로드를 확장시켜서 종자주입구(73a)로부터 통로(73c)에 끼워맞춤된 플런저(73h)의 통로(73v)에 삽입되도록 각 흡입팁(95)의 정면단부를 위치시킨다.
로들리스자기실린더(91b)의 후방위치에서 공기실린더(94d)가 확장하는 동안에, 어댑터(53g)와 흡입팁(95)간에 작은틈이 있는데, 이것을 통해 탱크본체부(53b)의 내부가 외부와 연통된다. 진공펌프(97)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블록(91e)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기판(91a)의 윗표면에 시트(97a)를 통해 장착된다. 진공펌프(97)는 상부에 사이렌서(97b)를 갖는다. 기판(91a)위의 진공펌프(97)의 왼쪽에, 매니폴드(98)릍 통해 공기필터(99)가 장착된다. 진공펌프(97)는 도시않은 고압호스를 통해 공기필터(99)에 연결된다.
공기필터(99)는 도시않은 고압호스와 매니폴드(98)를 통해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매니폴드(98)의 뒤쪽에 기판(91a)위에 장착되는 압력센서(97c)에 연결된다
매니폴드(98)는 도시않은 고압호스와 포크로된 조인트(94j)를 통해 매니폴드(98)의 두 조인트(93a)에 더 연결된다.
겔 경화섹션(11)은 겔피복섹션(7)에 의해 가공된 낱알같은 종자들에 부착하는 겔화제가 경화제와 반응하여 경화시키게 하며 이로서 겔피복종자를 형성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겔경화섹션(11)은 경화탱크(111), 겔가이드장치(113) 및 경화제공급장치(115)로 이루어진다.
제13도는 겔경화섹션과 겔세척섹션의 부분파단 확대정면도이고, 제14도는 겔경화섹션의 확대평면도이고, 제15도는 제14도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제16도는 제14도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경화탱크(111)는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겔피복장치(1)의 길이방향으로 길고 겔피복섹션(7)의 노즐블록(73)보다 겔피복장치(1)의 측방향으로 약간 더 넓은 평면도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다.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경화탱크(111)의 전방 및 후방단부는 주프레임(31)의 측면보강프레임(35)의 왼쪽과 오른쪽사이에 걸친 두 개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진 박판(35a)에 지지된다.
경화탱크(111)는 공급액탱크(111a), 반응탱크(111b), 종자낙하구(111c), 폐액탱크(111d), 및 우회액통로(111e)를 갖는다.
공급액탱크(111a)는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겔피복장치(1)의 후방단부에서 경화탱크(111)에 형성되어 있다. 정면쪽위에 공급액탱크(111a)에 인접하여 제1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급액탱크(111a)의 저부보다 저부가 더 높은 반응탱크(111b)가 형성되어 있다. 공급액탱크(111a)의 저부의 길이방향중심부에서,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반응탱크(111b)의 저부보다 더 높고 공급액탱크(111a)의 상단부 보다 더 낮으며 경화탱크(111)의 전체 폭에 걸쳐 횡으로 뻗는 흐름조절막(111g)이 세워져 있고, 흐름조절막(111g)은 베이스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멍을 갖는다.
흐름조절막(111g)의 앞쪽에, 즉, 반응탱크(111b)와 인접한 쪽에 공급액탱크(1113)의 제1반부는 겔피복섹션(7)의 노즐블록(73)에 형성된 8개의 밸브(73b) 아래에 위치된다.
흐름조절막(111g)의 뒤쪽에 공급액탱크(111a)의 제2반부는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부에 형성된 공급액구(111h)를 갖는다. 경화탱크(111)보다 폭이 작고 위로 볼록하게 굴곡진 플라스틱 박판으로 만들어진 장벽판(111j)은 흐름조절막(111g)뒤의 공급액탱크(111a)의 후반부에 수용되어 공급액구(111h)를 둘러싼다.
반응탱크(111b)의 전방단부저부에서 제1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물저지막(111k)이 형성되어 있다. 물저지막(111k)은 겔피복장치(1)를 옆에서 볼 때 산꼭대기 같은 모양이고 흐름조절막(111g)보다 더 높고 공급액탱크(111a)의 상단부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다.물저지막(111k)은 위로 오목한 호형표면으로 형성된 뒤로 경사진 표면(111m)을 갖는다.
종자낙하구(111c)는 물저지막(111k)의 앞에 배치되고,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로폭이 상부에서 저부로 점차 감소하는 깔대기 같이 형성되어 있다. 이 종자낙하구(111c)는 경화탱크(111)위의 공간으로와 경화탱크(111)의 전방단부쪽을 지지하는 박판(35a)뒤의 경화탱크(111)의 일부아래의 공간으로 개방된 통로를 형성한다. 종자낙하구(111c)에는 가로폭이 상부로부터 하향 증가하는 산같은 장벽판(111n)이 설시되어 있다.
정면쪽에 종자낙하구(111c)에 인접하여 폐액탱크(111d)가 제공되어 있고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횡으로 중앙의 분배벽(111p)에 의해 둘로 나뉘는데, 경화탱크(111)의 오른쪽에 탱크홀더(111r)와 왼쪽에 세척부(111s)이다.
탱크홀더(111r)는 제1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공급액탱크(111a)의 저부보다 더 높고 반응탱크(111b)의 저부보다 더 낮은 저부를 갖는다. 탱크홀더(111r)의 저부의 중심부에서 제13도 및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물저지막(111k)의 상단부보다 약간 더 낮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맞물림 돌출부(111t)가 세워져 있다. 탱크홀더(111r)의 측벽에는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물을 배수하기 위해 개폐밸브(111v)가 갖추어져 있다.
탱크홀더(111r)의 네 구석에서,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페이서(111w)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것의 상단부는 제1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물저지막(111k)의 상단부와 높이가 거의 같다.
세척부(111s)의 저부는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급액탱크(111a)의 저부보다 더 높고 탱크홀더(111r)의 저부보다 약간 더 낮다. 측벽근처 세척부(111s)의 저부에서 경화제내 종자찌꺼끼를 제거하기 위해 필터(111x)가 설치된다. 필터(111x) 아래에 폐액구(111y)가 형성된다. 종자낙하구(111c)근처 분배벽(111p)의 배면부는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탱크홀더(111r)와 세척부(111s)가 연통하는 노치(111z)가 형성되어 있다.
우회액통로(111e)는 공급액탱크(111a)의 측면에 물저지막(111k)뒤의 반응탱크(111b)의 측벽영역을 폐액탱크(111d)의 측벽영역에 연결한다. 우회액통로(111e)는 경화탱크(11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한다. 우회액통로(111e)가 연결되는 반응탱크(111b)의 측벽부는 제1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빗모양 이빨부(teeth)(111A)로 덮여있는데, 이것은 겔피복섹션(7)의 밸브(73b)로부터 낙하하는 낱알같은 종자피복 겔화제의 진입을 제한한다.
공급액탱크(111a)의 공급액구(111h)와 세척부(111s)의 폐액구(111y)가 호스(117)와 자기펌프(119)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자기펌프(119)의 상류의 (폐액구(111y)쪽의) 호스(117)는 통로 교환밸브(도시않음)를 통해 도시않은 경화제탱크와 연결되어 있다.
전환밸브를 경화제탱크쪽으로 전환한 상태에서 자기펌프(119)가 가동될 때, 경화제탱크내의 경화제는 호스(117)와 공급액구(111h)를 통해 공급액탱크(111a)로 공급되고, 이로부터 경화제는 또한 반응탱크(111b), 우회액통로(111e), 그리고 페액탱크(111d)의 탱크홀더(111r), 분배벽(111p) 및 세척부(111s)에 공급된다. 그 결과, 전체경화탱크(111)는 경화제로 채워지는데 그 높이는 물저지막(111k)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이다. 세척부(111s)의 폐액구(111y)로부터 배출된 경화제는 전환밸브가 폐액구(111y)쪽으로 전환된 상태에서 자기펌프(119)를 가동시킴으로써 호스(117)와 공급액구(111h)를 통해 공급액탱크(111a)로 복귀된다.
겔가이드 기구(113)는 벨트콘베이어(113a), 벨트콘베이어(113a)에 의해 순환되는 가이드패들(113b), 벨트콘베이어(113a)를 구동하는 모터(113c) 및 모터(113c)의 회전을 벨트콘베이어(113a)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장치(113d)를 갖는다.
벨트콘베이어(113a)는 제1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두 개의 풀리(113e) 둘레에 감긴 벨트(113f)로 구성된다. 풀리(113e)는 흐름조절막(111g)의 반응탱크(111b)쪽의 공급액탱크(111a)의 전방반부, 즉 겔화제가 겔피복섹션(7)의 밸브(73b)로부터 낙하되는 공급액탱크(111a)의 그 부분위에 설치되고 또한 믈저지막(111k)의 공급액탱크(111a)쪽의 반응탱크(111b)의 부분위에 설치된다. 이때 그것들의 축은 가로로 수평하게 향한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풀리(113e)의 단부는 겔피복장치(1)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지지판(31f)의 전방 및 후방단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두 개의 지지판(31f)의 전방 및 후방단부는 주프레임(31)내부의 위치에서 두 개의 기판(31e) 하면에 지지되어 있고 두 개의 판(31e)은 길이방향 중심부에서와 중심부 약간 앞의 위치에서 주프레임(31)의 왼쪽과 오른쪽사이로 걸쳐진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벨트(113f)는 경화탱크(111)의 전체폭에 걸쳐 횡으로 뻗는다.
가이드패들(113b)은, 제1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같은 간격으로 벨트(113f)의 표면에 세워져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이드패들(113b)은 벨트(113f)에 대응하는 폭과 폭보다 충분히 더 작은 높이를 갖는, 평면도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다. 가이드패들(113b)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패들의 전체높이에 걸쳐 연장되는 횡으로 같은 간격의 많은 수직슬릿으로 형성된다.
제1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이드패들(113b)은 반응탱크(111b)의 저부에 면하는 벨트(113f)의 그 부분위의 가이드패들(113b)의 정면단부가 반응탱크(111b)의 측벽과 저부에 밀접하게 그들사이에 작은틈을 가지고 배치되고 반응탱크(111b)의 정면부위에 위치된 풀리(113e)의 주변표면둘레로 이동하는 벨트(113f)의 그 부분위에 가이드패들(113b)의 정면단부가 패들정면단부와 경사진 표면간에 작은 틈을 가지고 물저지막(111k)의 경사진 표면(111m)을 따르도록 하는 길이로 돌출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모터(113c)는 두 기판(31e)사이의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중간에 위치한 두 개의 지지판(31f)사이에 걸친 기판(35c)위에 지지된다.
동력전달장치(113d)는 기판(35c)위에 지지된 모터(113c)의 출력샤프트에 연결된 감속기어 장치(113h)와, 감속기어 장치(113h)의 출력샤프트와 겔피복장치(1)의 정면부에 장착된 풀리(113e)의 샤프트 둘레에 감긴 벨트풀리 장치(113j)를 포함한다.
벨트 컨베이어(113a)는 모터(113c)와 동력전달장치(113d)의 작용에 의해 경화탱크(111)내 경화제에 면하는 벨트(113f)부분이 공급액탱크(111a)로부터 폐액탱크(111d)를 향해 이동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순환된다.
제1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경화제공급기구(115)는 저장탱크(115a)와 캡(115b)을 갖는다. 저장탱크(115a)는 경화탱크(111)내 경화제의 밀도를 조절하기 위한 고도로 농후한 경화제를 저장한다. 저장탱크(115a)는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정면도가 수직으로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평면도로 볼 때,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저장탱크(115a)는 탱크홀더(111r)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제1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저장탱크(115a)의 저부의 중심부에는 탱크구(115c)가 형성되어 내부가 외부와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캡(115b)은 탱크구(115c)에 틀어죄어져 그것을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제17도의 확대 측단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것은 캡(115b)을 탱크구(115c)에 틀어죌 때 노출되는 리세스(115d)를 갖는다. 소직경 슬라이드핀(115f)은 리세스(115d)의 저부의 중심부로 삽입된다. 슬라이드핀(115f)이 삽입되는 리세스(115d)의 저부의 주변에, 캡(115b)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관통공(115e)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핀(115f)의 한 단부는 리세스(115d)로 뻗어 나오고 다른 단부는 캡(115b)의 내부에 위치된다. 슬라이드핀(115f)의 내부단부는 관통공(115e)을 폐쇄하는 고무마개(115g)와 부착되어 있다. 외부단부에서 슬라이드핀(115f)의 플랜지와 슬라이므핀(I15f)이 삽입되는 리세스(115d)의 저부의 주변부사이에 슬라이드핀(115f)위에 달린 코일스프링(115h)은 캡(115b)의 외부를 향해 슬라이드핀(115f)을 밀어 통공(115e)을 고무마개(115g)로 폐쇄한다.
저장탱크(115a)는 캡(115b)이 탱크구(115c)에 틀어죄어지고 저장탱크(115a)가 캡(115b)쪽을 아래로하여 탱크홀더(111r)에 놓일 때, 캡(115b)의 리세스(115d)의 저부가 물저지막(111k)의 상단부보다 약간 더 낮게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겔세척섹션(13) 은 겔경화섹션(11)에서 경화제와 반응한 후 겔화제가 경화된 겔피복종자를 세척하기 위한 것이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것은 수세탱크(131), 겔가이드 장치(133), 및 겔방출 장치(135)를 포함한다.
수세탱크(13I)는 제1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자낙하구(111c)로부터 반응탱크(111b)의 길이방향 중심부로 연장된다. 지지판(31a)위에 지지되어, 수세탱크(131)가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주프레임(31)의 횡으로 중심부에 경화탱크(111) 아래에 위치된다.
지지판(31a)은 한 단부에서 측보강프레임(35) 아래 주프레임(31)의 왼쪽과 오른쪽 전면부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박판(31b)에 장착되어 있다. 지지판(31a)의 다른 단부는 제16도와 겔세척섹션의 확대평면도를 나타내는 제1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주프레임(31)의 왼쪽과 오른쪽 상부사이에 길친 보강프레임(31c)의 횡으로 간격진 부분들로부터 현수되는 두 박판(31d)의 하단부에 왼쪽과 오른쪽에 장착되어 있다.
수세탱크(131)는 평면도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수직개방외부프레임과 또한 외부프레임에 수용되고 정면판(131a)으로부터 배면판(131b)으로 연장되는 본체판(131c)도 갖는다. 수세탱크(131)는 종자에 부착하는 겔화제가 경화된 후 겔피복 종자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저장한다.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정면판(131a)은 정면이 수직으로 긴 직사각형이고 수직중심부에서 수세탱크(131)의 내부와 연통하는 물공급구(131d)로 형성되어 있다. 배면판(131b)은 제19도의 확대배면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것의 상반부에 대략 역 L형 노치(131e)를 갖는다. 본체판(131c)은 앞에서 볼 때, U자형이고 하부가 반원으로 굽고 위로 개방되어 있다. 본체판(131c)의 외표면과 지지판(313)의 사이에는 제1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길이방향으로 간격진 위치에서 보강판(131f)이 설치되어 있다. 제16도에 131g로 표시된 것은 정면판(131a)근처에 본체판(131c)의 저부에 부착되어 있는 세척수를 배수하는 마개이다.
겔가이드 기구(133)는 스크루피더(133a)와 스크루피더(133a)를 구동하는 모터(도시않음)를 갖는다. 스크루피더(133a)는 제1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샤프트(133b)와 나선상블레이드(133c)를 갖는다. 샤프트(133b)는 본체판(131c)의 하부의 굴곡중심을 따라 연장되고 그것의 단부는 정면판(131a)과 배면판(131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나선상 블레이드(133c)는 정면판(131a)과 배면판(131b)사이에 샤프트(133b)의 외주변에 고정되어 있다. 도시않은 모터는 기어(133d)-정면판(131a)을 통과하고 세척탱크(13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샤프트(133b)의 부분에 고정되어 있음-를 통해서와 기어(13)와 맞물려 도시않은 감속기어트례인을 통해 샤프트(133b)에 연결되어 있다.
스크루피더(133a)는 모터, 감속기어트레인 및 기어(133d)의 작용에 의해 정면판(131a)으로부터 배면판(131b)을 향해 수세탱크(131)내 세척수에서 겔피복 종자를 이동시키게 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겔방출기구(135)는 물분리박스(135a), 물방출팬(135b), 및 종자수용케이지(135c)를 갖는다. 물분리박스(135a)는 배면판(131b)의 뒤쪽에 인접하여 거기에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갖는 평면도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다. 물분리박스(135a)는 위로 개방되어 있고 제1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세탱크(131)의 폭에 해당하는 가로폭을 갖는다.
물분리박스(135a)의 저부의 길이방향 중심부에 제1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맞물림벽(135d)이 세워져 있다. 맞물림벽(135d)의 상단부와 배면판(131b)의 배면의 노치(131e)의 하단부사이에 배면판(131b)으로부터 맞물림벽(135d)을 향해 아래로 경사진 물분리판(135e)이 설치되어 있다. 물분리판(135e)의 하단부는 배면판(131b)쪽에 맞물림벽(135d)의 구석에 고착되어 있다.
맞물림벽(135d)의 상부와 배면판(131b)의 사이에 물분리판(135e)은 서로 길이방향으로 간격진 많은 옆으로 긴 슬릿(135f)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슬릿(135f)이 수세탱크(131)로부터 동시에 물은 통과하도록 하면서 겔피복 종자의 통과를 방지한다.
맞물림벽(135d)의 배면판(131b)쪽의 물분리박스(135a)의 저부에, 제1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물분리판(135e)의 슬릿(135f)을 통과한 물을 배출하기 위해 물배출구(135g)가 형성되어 있다. 맞물림벽(135d)의 뒤쪽에, 즉 물배출구(135g)의 반대쪽에 물분리박스(135a)의 저부에 개폐될 수 있는 종자배출구(135h)가 형성되어 있다.
물배출팬(135b)은 위로 개방된 편평한 직사각형 디스크 같은 모양이다. 물배출팬(135b)은 물배출박스(135a) 아래로부터 주프레임(31)의 후방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주프레임(31)보다 더 작은 가로폭을 갖는다. 물배출팬(135b)의 전방 및 후방단부는 주프레임(31)의 후방단부 및 길이방향 중심부에서 주프레임(31)의 왼쪽과 오른쪽 하부에 지지되어 있다. 물배출팬(135b)의 저부는 물배출팬(135b)의 오른쪽에 설치된 배출밸브(135j)에 연통하는 물배출구(도시않음)로 형성되어 있다. 종자수용케이지(135c)는 평면도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며 위로 열려 있고 겔피복 종자의 통과를 방지하는 메시로 형성되어 었다. 종자수용케이지(135c)는 물배출팬(135d)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형태와 크기로 된다.
다음에, 상기 구조를 갖는 이 구체예의 겔피복 장치(1)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종자의 겔피복 방법을 개시하는데 있어서, 소직경부(53j)의 내경이 가공할 종자의 종류 또는 크기에 가장 적합한 몇가지 종류의 어댑터(53g)중 하나를 선택하고 종자탱크(53)내 탱크본체부(53b)의 8개의 관통공(53f)에 장착한다.
몇가지 종류의 플런저(73h)중에서, 소직경부(73k)의 외경이 가공할 종자의 크기에 가장 직합한 하나를 선택한다. 선택된 플런저는 겔피복섹션(7)의 노즐블록(73)의 8개의 통로(73c)에 설치되고 코일스프링(73r)은 통로(73c)의 각각에 들어맞으며 여기에 캡(73s)이 틀어맞춰진다. 또한, 몇가지 종류의 흡입팁(95)으로부터 외경과 흡입로내경이 가공할 종자의 크기에 가장 적합하고 어댑터(53g)의 구멍(53A)의 대직경부(53h)에 삽입될 수 있는 하나를 선택한다. 선택된 흡입팁(95)은 종자이송섹션(9)에 매니폴드(93)의 8개의 구멍(93b)의 각각에 설치된다.
다음에, 겔피복 장치(1)의 도시않은 파워 스위치를 켜서 겔수용블록(75)의 가압공기실린더(77)를 수축시킨다. 상승-하강 장치(94)의 공기실린더(94d)도 또한 수축되어 리테이너판(94c)을 기판(91a)쪽으로 상승시킨다. 동시에, 로들리스 자기실린더(91b)를 작동시켜 피스톤 장착부(91j)를 뒤로 미끄러뜨려 매니폴드(93)를 후방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파워스위치를 켜서 진공펌프(97)를 가동하여 흡입팁(95)의 흡입로로부터 매니폴드(93), 조인트(93a,94j) 및 도시않은 고압호스를 통해 공기를 끌어당기기 시작하도록한다. 이 때, 공기는 진공펌프(97)와 흡입팁(95)사이에 설치된 매니폴드(93)를 통해 흡입팁(95)으로부터 끌어당겨지므로 흡입팁(95)에서 생성된 흡입압력은 같다.
경화제 탱크쪽으로 전환된 전환밸브로, 파워스위치를 켜면 자기펌프(119)가 경화제탱크로부터 경화탱크(111)로 경화제를 공급하게 된다. 이 때, 공급액구(111h)를 통해 공급액탱크(111a)로 들어온 경화제는 흐름조절막(111g)위로 또는 막의 베이스에서 개구를 통해 공급액탱크(111a)의 정면반부로 흘러들어오고 반응탱크(111b)로 또한 들어와 전체 경화탱크(111)를 채운다.
자기펌프(119)는 경화제 탱크로부터의 경화제의 양이 경화탱크(111)의 액면이 물저지막(111k)의 상단부와 하단부사이의 소정높이와 같아지도록 하는 일정한 부피에 이를 때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전환밸브가 폐액구(111y)쪽으로 바뀌면, 자기펌프(l19)는 재 시동된다. 이와같이, 소정량의 경화제가 경화제탱크로부터 경화탱크(111)로 공급된 후, 세척부(111s)의 폐액구(111y)로부터 배출된 경화제는 호스(117)와 공급액구(111h)를 통해 공급액탱크(111a)로 복귀된다.
경화제 탱크로부터 공급된 경화제가 전체 경화탱크(111)를 채울때, 또는 경화제가 세척부의(111s)의 폐액구(111y)로부터 호스(117)와 공급액구(111h)를 통해 공급액탱크(111a)로 복귀될 때, 경화제는 흐름조절막(111g) 위로 또는 아래로하여 반응탱크(111b)로 흐르고 공급액탱크(111a)로부터 반응탱크(111b)와 탱크홀더(111r)의 우회액통로(111e)와 폐액탱크(111d)의 세척부(111s)로 흐르는 경화탱크(111)내 경화제의 흐름을 조장한다.
다음에, 경화제 탱크로부터 공급된 소정량의 경화제가 경화탱크(111)의 액면을 물저지막(111k)의 상단부와 하단부사이의 소 정높이로 상승한 후, 저장탱크(115a)는 탱크홀더(111r)에 놓이고 캡(115b)은 아래로 향한다. 그 결과, 탱크홀더(111r)의 맞물림 둘출부(111t)는 캡(115b)의 리세스(115d)에 삽입되고 그것의 전방단부는 코일스프링의 힘에 대해 캡(115b)으로 슬라이므핀(115f)을 밀어 슬라이드핀(115f)을 맞물리고 계속해서 캡(115b)의 관통공(115e)으로부터 고무마개(115g)가 분리되게하여 관통공(115e)과 슬라이드핀(115f)의 주면표면사이에 틈을 형성한다.
이 때, 분리고무마개(115g)에 의해 열린 캡(115b)의 관통공(115e)의 위치는 맞물림돌출부(111t)에 의해 밀려들어간 슬라이드핀(115f)의 전방단부보다 약간 더 높기 때문과 경화탱크(111)내 경화제의 높이가 물저지막(111k)의 상단부와 하단부사이의 소정높이에 이르렀기 때문에, 저장탱크(115a)so 고밀도 경화제는 경화제의 현재 액면을 가지며 경화탱크(111)밖으로 흘러나오지 않을 것이다.
다음에, 겔경화섹션(111)의 겔가이드 장치(113)의 모터(113c)가 켜져 경화탱크(111)내 경화제의 흐름을 따라 벨트콘베이어(113a)를 순환시키기 시작한다.
겔 세척섹션(13)에 도시않은 모터가 작동되어 스크루피더(133a)를 회전시켜 수세탱크(131)내 세척수가 정면판(131a)쪽으로부터 배면판(131b)을 향해 흐르고 배면판(131b)의 노치(131e)를 약간 흘러넘치게 한다. 그 결과, 수세탱크(131)에서 겔피복종자는 정면판(131a)쪽으로부터 배면판(131b)쪽을 양해 운반된다. 배면판(131b)의 노치(131e)로부터 흘러넘친 세척수는 물분리박스(135a)로 들어가고 거기서 슬릿(135f)을 통해 물배출구(L35g)로 통과하고 그곳으로부터 수세탱크(131)밖으로 배출된다. 세척수는 또한 물공급구(131d)를 통해 수세탱크(131)로 복귀된다.
또한, 동력이 켜질 때, 도시않은 콤프레서는 겔화제탱크에 정압을 가하여 겔화제를 겔화제탱크로부터 고압호스 펌프 및 고무관조인트(79a)를 통해 매니폴드(79)로 전달하여 매니폴드(79)를 겔화제로 충전시킨다. 매니폴드(79)에 충전된 겔화제는 가압하에 8개의 조인트(79b)로 또한 이동되고 하단부쪽으로부터 겔수용블록(75)의 대응 겔통로(75a)로 더 이동된다. 매니폴드(79)는 겔화제탱크와 겔수용블록(75)사이에 개재되어있기 때문과 겔화제가 이 매니폴드(79)를 통해 겔수용블록(75)의 각각의 겔통로(75a)에 공급되기 때문에, 겔통로(75a)에 대한 겔화제 공급압력은 같고, 각 겔통로(753)에 그것들의 용량에 따라 일정하고 같은양의 겔화제의 공급이 보장된다.
겔화제가 겔통로(75a)에 공급될 때, 공기환기밸브(78)가 열려 겔통로(75a)의 상부--여기에 하단부쪽으로부터 겔화제가 공급됨--로부터 공기가 환기되어 겔화제가 틈없이 겔통로(75a)를 채우도록 보장된다. 겔통로(75a)로부터, 겔화제는 또한 가압하에 통로(75b)와 통로(73n)을 통해 공간(75m)이 틈없이 겔화제로 채워질 때까지 노즐블륵(73)내 통로(73c)의 해당 공간(73m)으로 공급되며, 이 때 공기환기밸브(78)는 닫힌다.
겔화제가 겔통로(75a)로 공급될 때, 겔통로(75a)로부터 매니폴드(79)쪽으로 겔화제의 역류는 겔통로(75a)의 하단부에서 체크밸브(75d)에 의해 방지된다.
이 상황하에, 가압공기실린더(77)는 확장되어 겔통로(75a)를 가압하여 겔화제로 채워진 통로(75b,73n)를 통해 공간(73m)내 압력을 증가시킨다. 이것은 플런저(73h)가 코일스프링(73r)의 힘에 대해 통로(73c)위로 이동되게 하고 소직경부(73k)의 하단부에 의해 폐쇄된 밸브(73b)를 열고, 그 결과 공간(73m)에 채워진 소정량의 겔화제가 밸브(73b)밖으로 밀려나오고 낱알 같은 방울형태로 노즐블록(73)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가압공기실런더(77)가 겔화제방울이 밸브(73b)로부터 떨어짐과 동시에 수축될 때. 밸브(73b)로부터 적하하는 겔화제로 말미암은 공간(73m)내 겔화제의 양의 감소에 의해 가속된 공간(73m)내 압력은 코일스프링(73r)의 힘이 플런저(73h)를 이동하여 소직경부(73k)의 하단부를 갖는 밸브(73b)를 폐쇄할 때까지 감소한다. 밸브(73b)가 닫힘에 따라, 밸브(73b)와 소직경부(73k)의 하단에 부착하는 겔화제는 소직경부(73k)의 하단부에서 막을 형성한다. 겔화제가 밸브(73b)로부터 낙하하기 때문에 겔화제가 부피가 감소하는 정도로, 겔통로(75a)는 매니폴드(79)를 통해 겔화제탱크로부터의 겔화제로 보충된다.
다음에, 가공할 종자는 종자공급섹션(5)에서 종자탱크(53)의 호퍼부분(53c)으로 집어넣어진다. 굴러들어간 종자는 배면판(53v)의 경사부를 미끄러져 슬릿(53e)을 통해 탱크본체부(53b)로 들어 간다.
슬릿(53e)을 통과하는 종자의 양은 슬릿(53e)의 수직높이(H1)에 의해 구한 특정양으으로 제한되고 따라서 탱크본체부(53b)에서 종자의 양은 호퍼부분(53c)에 넣어진 종자의 양과 무관하게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호퍼부(53c)로부터 탱크본체부(53b)로 공급된 종자의 양의 제한은 또한 어느정도 탱크본체부(53b)의 저부주변표면으로부터 공기챔버(53m)까지의 거리(H3)를 수반한다.
종자가 탱크본체부(53b)에 수용된 후, 도시않은 공기압축기가 작동되어 매니폴드(53r)를 통해 공기챔버(53m)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며, 이곳으로부터 압축공기가 송풍구(53n)를 통해 불려 나오고 탱크본체부(53b)의 저부로부터 전방단부로 상부로 후방단부로 순환하는 탱크본체부(53b)에서의 공기흐름을 조장하여, 따라서 탱크본체부(53b)에서 종자를 교반한다.
이 구체예에서, 매니폴드(53r)는 공기 압축기와 공기챔버(53m)사이에 배치되고 압축공기가 이 매니폴드(53r)를 통해 송풍구(53n)로 공급되기 때문에, 송풍구(53n)에서의 압축공기의 송풍압력은 같다. 또한, 이 구체예에서, 탱크본체부(53b)에서 교반된 종자의 양은 공기챔버(53m)와 탱크본체부(53b)의 저부내부주변표면사이로 통과하고 탱크본체부(53b)의 저부로부터 전방단부로 상부로 후방단부로 순환하는 공기흐름에 의해 탱크본체부(53b)의 저부로부터 전방단부를 향해 더 운반되는 종자의 양에 의해 결정된다.
환언하면, 교반된 종자의 양은 공기챔버(53m)와 탱크본체부(53b)의 저부내부 주변표면사이의 수직거리에 의해 구해진다.
다음에, 후방위치에서 왼쪽의 매니폴드(93)로, 상승-하강 장치(94)의 공기실린더(94d)는 확장되어 기판(91a)으로부터 리테이너판(94c)을 낮추어 각 흡입팁(95)의 전방단부를 대응 어댑터(53g)의 층진부분(53k)을 접촉하기 바로 전의 높이에 위치시킨다.
탱크본체부(53b)에서 교반되는 종자가 통공(53f) 가까이옴에 따라, 그것들은 흡입에 의해 통공(53f)에 의해 집어올려진다.
공기실린더(94d)의 확장으로부터 명시된 길이의 시간이 경과한 후, 압력센서(97c)는 매니폴드(98)내의 공기압을 측정한다. 공기압이 소정압력을 초과한 것이 발견될 때, 흡입팁(95)의 적어도 일부의 흡입압력은 종자를 잡기 위한 흡입압력으로 아직 낮아지지 않았고 모든 흡입팁(95)이 종자를 잡고 있는 것이 아닌 것으로 결정된다.
이 결정을 토대로, 진공펌프(97)에 의한 공기배기가 중지되고 공기실린더(94d)가 수축되어 기판(91a)을 향해 원래위치로 리테이너판(94c)을 상승시킨다. 공기실런더(94d)가 수축된 후, 진공펌프(97)는 재시동된다.
다음에, 압력센서(97c)에 의해 측정된 매니폴드(98)에서의 공기압력이 소정압력보다 낮은 것으로 발견될 때, 진공펌프(97)는 중지되지 않고 모든 흡입팁(95)이 흡입에 의해 종자를 잡고 있으면서. 공기실린더(94d)는 수축하여 리테이너판(94c)을 기판(91a)을 향해 상승시킨다.
흡입팁(95)이 흡입에 의해 종자를 잡고 있는 동안 탱크본체부(53b)의 내부와 외부는 각 흡입팁(95)의 정면단부와 어댑터(53g)사이에 작은 틈을 통해 서로 연통되어 있으므로, 송풍구(53n) 밖으로 불려나오는 압축공기에 의해 탱크본체부(53b)에 조장된 공기흐름의 일부가 각 흡입팁(95)의 정면단부와 어댑터(53g)의 구멍(53A)사이의 작은 틈을 통해 탱크본체부(53b)의 밖으로 이탈한다. 이와같이, 탱크본체부(53b)에서 교반되는 종자의 일부는 어댑터(53g)의 구멍(53A) 근처로 이탈하는 일부공기흐름에 의해 운반된다.
또한, 흡입팁(95)이 흡입에 의해 종자를 유지하는 동안, 송풍구(53n)로부터 송풍하는 압축공기에 의해 소장된 공기흐름은 탱크본체부(53b)에서 종자뿐만 아니라 먼지-- 종자가 탱크본체부(53b)의 내벽을 접촉할 때 일어나는 종자찌끼와 어댑터(53g)를 통해 탱크본체부(95b)로 들어가는 먼지같은 것--도 또한 순환시키고 이러한 먼지가 흡입팁(95)으로 흡입되는 가능성을 일으킨다. 그러나, 진공펌프(97)에 인접하여 설치된 공기필터(99)는 흡입팁(95)으로 당겨진 먼지를 제거하고 이로써 공기를 정화하여 흡입팁(95)의 막힘과 과부하로 인한 진공펌프(97)의 과열을 방지한다.
종자공급섹션(5)내 어댑터(53g)를 바꾸거나 종자탱크(53)를 유지시키는데 있어서, 사용자는 종자탱크(53)를 오른쪽으로 당기고 주프레임(31)밖으로 꺼내기 위해 손잡이(51d)를 잡고 가이드레일(51a)의 가이드홈(51b)을 따라 슬라이드판(51c)을 이동하는 것만이 필요하다. 이것은 종자공급섹션(5)의 상부에서 종자이소섹션(9)에 의해 방해받음이 없이 메인테이넌스를 수행하도록 허용한다.
다음에, 흡입팁(95)이 흡입에 의해 종자를 잡고 있으면서, 공기실린더(94d)는 수축되어 리테이너판(94c)을 기판(91a)을 향해 상승시키고, 이어서 로들리스 자기실린더(91b)가 작동되어 피스톤 장착부(91j)를 전방으로 미끄러뜨려 매니폴드(93)를 전방위치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공기실린더(94d)는 확장되어 리테이너판(94c)을 기판(94a)으로부터 멀리 하강시켜 각 흡입팁(95)의 전방단부를 대응노즐블록(73)의 종자주입구(73a)로부터 통로(73c)내 플런저(73h)의 통로(73v)로 삽입되도록 위치시킨다. 이후, 진공펌프(97)에 의한 공기의 끌림이 중시되어 흡입에 의해 종자를 잡고 있는 흡입팁(95)을 해제시키고 정압이 흡입팁(95)에 가해지고 종자가 흡입팁(95)으로부러 플런저(73h)의 통로(73v)로 낙하한다.
진공펌프(97)의 작동은 중지되어 흡입팁(95)에 의해 잡혀있던 종자를 플런저(73h)의 통로(73v)로 낙하시킨다. 이후, 공기실린더(94d)는 수축되어 리테이너판(94c)을 기판(91a)을 향해 상승시킨다. 그 다음 로들리스 자기실린더(91b)가 작동되어 피스톤 장착부(91j)를 후방으로 미끄러뜨려 매니폴드(93)를 원래의 후방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종자이송섹션(9)이 종자를 종사공급섹션(5)으로부터 겔피복섹션(7), 즉 이송방향의 수평성분으로 이송하는 수평 방향이 제4도와 제7도에 화살표 X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흡입팁(95)에 의해 잡힌 종자들이 플런저(73h)로 낙하할 때, 종자는 플런지(73h)의 소직경부(73k)의 하단부에서 형성된 겔화제 막위에 놓인다. 이 공정과 동기적으로, 가압공기실린더(77)는 팽창되어 겔통로(75a)와 통로(75b, 73n)를 통해 공간(73m)내 압력을 증가시켜 플런저(73h)를 위로 이동하게 하고 밸브(73b)를 연다. 그 결과, 공간(73m)내 소정량의 겔화제가 공간(73m)의 내압에 의해 밸브(73b)를 통해 노즐블록(73)밖으로 밀려내려와 종자가 놓여있는 소직경부(73k)의 하단부에서 형성된 겔화제막과 접촉한다. 따라서, 종자는 겔화제에 의해 둘러싸이고 그 다음 낱알같은 피복된 종자로서 베이스프레임(74)과 베이스(71)의 구멍(74a, 71d)을 통해 베이스(71)아래 경화탱크(111)로 낙하한다.
이때, 겔수용블록(75)으로부터 매니폴드(79)쪽으로의 겔화제의 역류가 체크밸브(75d)에 의해 방지된다.
그 다음, 가압공기실린더(77)는 수축되어 플런저(73h)를 하강시켜 밸브(73b)를 폐쇄하고 소직경부(73k)의 하단부에서 겔화제막을 형성한다. 동시에, 종자를 피복하기 위해 밸브(73b)밖으로 밀려나온 양에 해당하는 양의 겔화제는 매니폴드(79)를 통해 겔화제탱크로부터 겔통로(75a)로 가압하에 공급된다.
종자공급섹션(5), 겔피복섹션(7) 및 종자이송섹션(9)의 상기한 작동은 도시않은 시퀀서를 제어함으로써 수행된다. 이 조작순서를 반복함으로씨, 겔화제에 의해 둘러싸인 8개의 낱알갈은 피복종자가 한 공정으로 동시에 제조된다. 8개의 피복종자는 베이스(71) 아래에 배치된 경화탱크(111)에서 흐름조절막(111g)의 반응탱크(111b)쪽 위의 공급액탱크(111a)의 정면반부로 적하되고 경화제로 들어간다.
피복된 종자가 흐름조절막(111g)의 반응탱크(111b)쪽위의 경화탱크(111)의 공급액탱크(111a)의 정면반부로 낙하할 때, 그것들은 경화탱크(111)내 흐름에 의해 운반되고 경화제를 통해 반응탱크(111b)로 이송되고 여기서 그것들은 약간 앞으로 이동된 후 벨트콘베이어(113a)가 순환함에 따라 경화제내에 침지된 가이드패들(113b)에 의해 물저지막(111k)을 향해 밀린다.
그 동안, 반응탱크(111b)내 경화제는 슬릿(113g)을 통해서 또는 가이드패들(113b)과 반응탱크(111b)의 측벽 및 저부표면의 사이의 작은틈을 통해 침지된 가이드패들(113b)이 구동됨에 따라 가이드패들(113b)의 공급액탱크(111a)쪽으로 이탈한다.
이와같이, 경화제를 통해 가이드패들(113b)의 이동은 경화제의 흐름을 크게 방해하지도 않고 경화제가 경화탱크(111)밖으로 흘러나오거나 물저지막(111k)을 넘쳐 종자낙하구(111c)로 흐르지 않도록 한다.
그 다음, 경화제내 피복종자는 물저지막(111k) 바로 뒤의 반응탱크(111b)내 지점으로 가이드패들(113b)에 의해 안내될 때, 가이드패들(113b)의 정면단부는 벨트(113f)가 상부풀리(113e)의 주변표면을 따라 순환함에 따라 그들사이에 작은틈을 가지고 물저지막(111k)의 경사진 표면(111m)을 따라 위로 이동한다. 가이드패들(113b)이 위로 돌아감에 따라 경화제내 피복종자는 가이드패들(113b)에 의해 밀리고 물저지막(111k)의 경사진 표면(111m)위로 울라간다. 가이드패들(113b)의 전방단부가 물저 지막(111k)의 정점의 높이에 이를 때 바로 피복종자는 경사진 표면(111m)반대쪽의 물저지막(111k)의 앞표면에서 구르고 종자낙하구(111c)로 떨어진다.
그것들이 종자낙하구(111c)로 집어넣어질 때까지 노즐블록(73)의 플런저(73h)의 밸브(73b) 밖으로 낙하된 피복종자는 종자를 둘러싸는 겔화제를 겔화제의 경화제와의 반응을 통해 겔로 만들어 겔피복종자를 만들기 위해 명시된 시간동안 경화제에 침지시킨다.
종자낙하구(111c)의 왼쪽과 오른쪽 내벽과 장벽판(111n)은 경사져 있기 때문에, 겔피복종자는 일부 경화제가 그것들에 들러 붙을지라도 종자낙하구(111c) 아래에 배치된 정면판(131a)근처 수세탱크(131)로 신뢰성 있게 낙하할 것어다.
상기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겔경화섹션(11)의 겔가이드장치(113)가 피복종자를 공급액탱크(111a)로부터 물저지막(111k)을 넘쳐 경화탱크(111)내 종자낙하구(111c)로 안내하는 방향, 즉, 안내의 수평방향이 제16도에 화살표(Y)로 표시되어 있다.
노즐블록(73)의 플런저(73h)의 밸브(73b)에서 낙하된 낱알같은 피복된 종자가 경화제에 명시된 시간동안 침지되어 그것과 반응하고 경화함에 따라 경화제가 밀도와 양에 있어서 감소할 때, 경화탱크(111)내 경화제의 액면은 지정된 높이--물저지막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임--아래로 가고 올려진 고무마개(115g)에 의해 열려 있는 캡(115b)의 통공(115e)보다 더 낮아진다. 그 결과, 지장탱크(115a)의 고밀도경화제가 탱크홀더(111r)의 맞물림돌출부(111t)에 의해 밀어넣어진 슬라이드핀(115f)의 주변표면과 캡(115b)의 통공(115e)사이의 틈을 통해 흘러나와 탱크홀더(111r)로 들어가고, 여기서 그것을 우회액통로(111e)를 통해 반응탱크(111b)로부터 탱크홀더(111r)로 흐른 경화된 피복종자가 제거된 쓰여진 경화제와 혼합한다.
다음에, 저장탱크(115a)로부터 고밀도 경화제의 공급이 경화탱크(111)내 경화제의 밀도를 상승시키고 경화제 높이를 명시된 위치로 회복할 때, 경화제 높이는 들어올려진 고무마개(115g)에 의해 열린 캡(115b)의 통공(115e)의 위치보다 더 높아지고 경화제의 경화탱크(111)로의 유입을 중지시킨다. 이런식으로, 겅화탱크(111)내의 경화제의 높이는 항상 물저지막(111k)의 상단부와 하단부사이의 위치와 피복종자를 경화시키기 위한 적당한 수준의 경화제의 밀도로 항상 유지시킨다.
정면판(131a) 근처 수세탱크(131)로 낙하한 겔피복 종자는 수세탱크(131)내 물흐름--도시되지 않은 모터에 의해 구동된 스크루피더(133a)에 의해 일어나며 정면판(131a)으로부터 배면판(131b)을 향해 흐름--에 의해서와 또한 스크루피더(133a)가 회전함에 따라 정면판(131a)으로부터 배면판(131b)을 항해 나선상블레이드(133c)의 잠긴부분의 외견 움직임에 의해서 배면판(131b)을 향해 안내된다.
겔피복종자가 배면판(131b)바로 앞의 지점에 도달할 때, 그것들은 스크루피더(133a)가 회전함에 따라 세척수내에서부터 위로 움직이는 배면판(131b)쪽위의 나선상 블레이드(133c)로 퍼내어진다.
상기 설명한 바와같이, 겔피복종자가 세척수내에서부터 나선상블레이드(133c)에 의해 퍼올려 질 때까지, 경화탱크(111)의 종자낙하구(111c)로부터 정면판(131a)가까이의 수세탱크(131)로 낙하한 겔피복종자는 세척수에 침지되고 그것으로 세척되면서 지정된 지속시간동안 세척수를 통해 이동된다. 스크루피더(113a)가 회전함에 따라 겔피복종자를 퍼낸 나선상 블레이드(133c)는 배면판(131b)를 향해 아래로 경사지기 때문에, 세척된 겔피복종자는 경사진 나선상블레이드(133c)를 따라 구르고 배면판(131b)의 노치(131e)의 하단부를 지나 물분리판(135e)위로 통과한다.
그것들은 경화탱크(111)의 종자낙하구(111c)로 넣어질 때 까지 종자탱크(53)의 탱크본체부(53b)밖으로 이동한 후, 8개의 종자 또는 종자를 둘러싸는 겔화제의 낱알이 겔피복장치(1)내 가로선으로 배열되고 이송, 이동 및 나란히 가공된다. 종자낙하구(111c)는 아래로 감소하는 가로폭을 갖기 때문에, 종자낙하구(111c)에 던져진 겔화제 낱알은 집단으로 수집되어 겔세척섹션(13)에서 8개의 낱알이 한그룹으로 세척된다.
겔피복종자에 부착하는 세척수 뿐만 아니라 나선상 블레이드(133c)에 의해 물분리판(135e)상의 겔피복종자와 함께 퍼올린 일부 세척수가 남아 슬릿(135f)을 통과하고 물배출구(135g)를 통해 물분리박스(135a)밖으로 흘러나온다. 물분리판(135e)에 던져진 물이 닦인 겔피복종자는 경사진 물분리판(135e) 아래로 구르고 종자배출구(135h)를 통해 물분리박스(135a)로부터 종자수용케이지(135c)로 배출된다. 다음에, 종자수용케이지(135c)에서 겔피복종자에 부착하는 세척수는 종자수용케이지(135c)의 메시를 통해 자체중량에 의해 물배출팬(135b)의 저부에 떨어지도록 하고, 이로부티 물은 배출구의 배출밸브(135j)를 통해 배수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겔세척섹션(13)의 겔가이드 장치(133)가 수세탱크(131)에서 정면판(131a)으로부터 배면판(131b)의 노치(131e)로 세척수를 통해 겔피복종자를 안내하는 방향, 즉 안내방향의 수평성분을 제16도와 제18도의 화살표(Z)에 의해 표시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겔피복장치(1)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겔피복섹션(7)의 매니폴드(79)에 채워진 겔화제는 8개의 통로(73c)와 플런저(73h)사이에 형성된 공간(73m)으로 8개의 공급로(73B)를 통해 공급되고, 8개의 겔 공급로(73B)의 각각은 조인트(79b), 겔통로(75a), 통로(75b) 및 통로(73n)로 이루어진다. 통로(73c)의 하단부에서 밸브(73b)는 개방되어 있고 가공할 종자는 위로부터 플런저(73h)의 통로(73v)로 던져져 통로(73c)의 하단부에서 형성된 겔화제 막에 놓인다. 동시에, 겔 공급로(73B)에 대응하는 8개의 가압공기실린더(77)는 확장되어 겔통로(75a)를 통해 공간(73m)내 겔화제를 가압하여 통로(73c)내 플런저(73h)를 상승시키고 통로(73c)의 하단부에서 밸브(73b)를 연다. 그 결과, 겔화제는 열린 밸브(73b)를 통해 플런저(73h)로부터 아래로 배출되고, 통로(73c)의 하단부에서 형성된 겔화제막에 놓여 있는 종자를 둘러싸서 낱알같은 피복종자릍 형성한다.
매니폴드(79)내 겔화제 충전압력은 일정하기 때문에, 매니폴드(79)로부터 공급되고 같은 겔공급로(73B)를 통해 노즐블록(73)에서 8개의 통로(73c)의 공간(73m)으로 채워진 겔화제의 양은 같다. 따라서, 공기실린디(77)에 의해 공간(73m)내 겔화제를 가압함으로써 밸브(73b)가 열릴때 통로(73c)로부터 낙하하는 겔화제의 양은 같고, 이로써 각 통로(73c)에 형성된 피복종자의 낱알크기와 또한 사용된 겔화제의 양을 균일하게 만든다.
이 구체예의 겔피복장치(1)에서, 공기환기밸브(78)는 겔통로부분(75e)--겔통로(75a)로부터 분기하는 통로(75b)위의 8개의 겔공급로(73B)에 배치됨--의 상단부(75f)에 연결되어 있고 겔수용 블록(75)의 외부와 겔통로부분(75e)을 연통하기 위해 개폐되며, 겔공급로(73B)는 노즐블록(73)에서 8개의 통로(73c)내 공간(73m)과 매니폴드(79)를 연통한다.
겔화제를 먼저 매니폴드(79)로부터 조인트(79b), 겔통로(75a), 통로(75b) 및 통로(73n)로 구성되는 겔공급로(73B)를 통해 통로(73c)와 플런저(73h)사이의 공간(73m)으로 공급하는데 있어서, 공기환기밸브(78)가 열려 통로(75b)위 겔통로부분(75e)으로부터 겔수용블록(75)의 외부로 공기를 배출한다. 이 공기환기밸브는 매니폴드(79)로부터 공간(73m)으로 이어지는 겔공급로(73B)에 채워진 겔화제로부터와 통로(75b)위 겔통로부분(75e)의 상단부(75f)를 향해 통로(75b)위 겔공급로(73B)에서 겔통로부분(75e)에 채워진 겔화제로부터 공기기포를 끌어내어 열린 밸브(78)로부터 방출한다. 이것은 겔화제가 공기가 기포로서 여전히 혼합된 채 겔화제 적용노즐(73A)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여 겔파제 적용노즐(73A)로부터 전달된 겔화제의 양이 종자를 피복하고 따라서 겔화제 적용노즐(73A)에서 형성된 피복종자의 크기가 일정하다.
또한, 이 구체예의 겔피복 장치(1)에 따르면, 공기환기밸브(78)는 노즐블록(73)의 정면상부경사부에 연결되어 따라서 그것들은 겔통로(75a)내 겔화제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공기실런더(77)가 연장되는 길이방향과 노즐블록(73)의 통로(73c)가 연장되는 수직방향으로 모두 연장되는 수직평면에 약 45도 전방으로 기울어진다.
따라서, 각 가압실린더(77)와 공기환기밸브(78)가 차지한 겔피복섹션(7)둘레공간은 노즐블록(73)의 통로(73c)를 포함하여 단지 하나의 거의 수직한 평면으로 연장된다.
환언하면, 겔화제 적용노즐(73A)을 둘러싸는 요구되는 공간은 복수의 평면이 아닌 단지 하나의 평면에 수용되어 겔피복섹션(7) 또는 겔피복장치(1) 전체에 의해 요구되는 전체 둘러싸는 공간을 감소시키며, 이것은 차례로 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이 구체예에서, 겔공급섹션(5)의 통로(73c)로부터 탱크본체부(53b)로 수용될 수 있는 종자의 양은 호퍼부(53c)로 던져지는 종자의 양과 무관하게 호퍼부(53c)와 탱크본체부(53b)를 연통하는 슬릿(53e)의 수직폭(H1)에 의해 결정된다. 탱크본체부(53b)의 저부내주변 표면과 공기챔버(53m) 사이의 거리(H3)도 또한 탱크본체부(53b)에 수용된 종자의 양의 결정에 약간 수반된다. 그러나, 요부의 확대측면도를 나타내는 제2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탱크본체부(53b)의 저부 내주변 표면으로부터 공기챔버(53m)의 거리(H5)를 조절가능하게 만들어 탱크본체부(53b)에서 교반된 종자의 양에다가 종자공급섹션(5)의 호퍼부(53c)로부터 탱크본체부(53b)로 수용되는 종자의 양이 이 거리(H5)에 따라 주로 조절가능하게 한다.
상기 경우에서 종자탱크(53)의 구성을 간단히 설명한다. 종자탱크(53)의 측벽(53a)은 수직으로 긴 슬릿(53w)으로 형성되어 있다. 측벽(53a)사이의 탱크본체부(53b)를 통해 연장되는 공기챔버(53m)는 공기챔버(53m)보다 직경이 더 큰 블랭크판(53y)이 단부에 갖춰져 있다. 블랭크판(53y)의 거의 중심으로부터 밖으로 돌출하는 볼트(53x)는 측벽(53a)의 내부로부터 슬롯 (53w)에 삽입된다. 너트(53z)는 측벽(53a)으로부터 돌출하는 볼트(53x)의 단부에 틀어 조여지고, 슬롯(53w)을 통해 볼트(53x)의 위치를 수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공기챔버(53m)의 수직높이(H5)를 조절할 수 있다.
블랭크판(53y)은 슬롯(53w)내에 볼트(53x)가 취할 수 있는 어느 위치에서도 전체 볼트(53w)를 덮을 수 있도록 하는 직경의 크기로 되어 있다.
이 구체예에서, 경화탱크(111)내 경화제를 통해 피복된 종자를 안내하는 겔가이드장치(113)의 가이드패들(113b)은 같은 간격으로 벨트콘베이어(113a)의 벨트(113f)의 표면에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한편, 그것들은 벨트 콘베이어(113a)이외의 것에 세워질 수 있다.
예를들면, 요부의 확대측단면을 나타내는 제2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경화탱크(111)의 가로폭과 거의 같은 길이를 갖는 다수의 로울러(113k)가 경화탱크(111)의 반응탱크(111b)위에 길이방향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고 다수의 가이드패들(113b)이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하여 겔가이드장치(113A)를 형성하도록 하는 식으로 각 로울러(113k)의 주변 표면에 원주에 간격을 두고 세워질 수 있다. 이 경우에, 경화탱크(111)내 경화제를 통해 피복종자의 안내는 공급액체탱크(111a)로부터, 교대로 경화제에 담그고 꺼내 올리는 가이드패들을 가진 물저지막(111k)으로 각 로울러(113k)의 가이드패들(113b)을 구동시키기 위해 로울러(113k)를 회전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겔피복장치는 종자공급섹션(5), 종자이송섹션(9), 겔경화섹션(11) 및 겔세척섹션(13)을 갖는 겔피복장치(1)의 이 구체예의 구조에 제한되지 않으며, 겔피복섹션(7)이외의 다른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구체예에서, 겔피복섹션(7)의 겔피복과정은 노즐블록(73)에서 8개의 통로(73c)에서 나란히 수행된다.
겔피복섹션(7)에서 종자에 나란히 수행되는 겔피복 공정의 수는 8개 미만 또는 이상이 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청구범위 제1항에 정의된 바와같은 종자의 겔피복장치는 수직 개방로에서 이동가능한 수직으로 수용된 원통형 플런저; 플런저의 하단부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수직 개방로의 하단부에 형성된 밸브시트; 밸브시트와 통로의 상부사이에 형성되고 밸브시트위 플런저의 상부에 의해 폐쇄되는 폐쇄공간; 겔화제로 종지를 피복하기 위한 다수의 가공노즐; 가공노즐의 폐쇄공간에 연결된 단일 매니폴드로 이루어지며, 매니폴드는 겔화제로 채워져 었고, 매니폴드내 겔화제의 충전압력은 매니폴드로부터 가공 노즐내 폐쇄공간으로 겔화제를 분신시키기 위해 증가되며 폐쇄공간내 겔화제충전압력은 밸브시트를 개방하기 위해 통로에서 플런저를 이동시키기 위해 증가되며, 동시에 가공할 종자가 위에서 플런지의 내부통로내로 집어 넣어져 플런저의 내부통로의 하단부로부터 배출된 종자가 밸브시트를 통해 통로밖으로 분출된 겔화제로 둘러싸이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각각의 가공노즐의 폐쇄된 공간과 매니폴드를 연통하는 다수의 겔화제 공급로는 매니폴드에서 압력이 거의 같은 균일한 압력을 갖는다. 겔화제 공급로로부터 대웅노즐의 폐쇄된 공간으로 겔화제 공급압력은 같아지고, 따라서 종자를 피복하기위해 노즐로부티 전달된 겔화제의 양은 피복된 종자의 낱알크기를 같게 만들고 노즐들간에 사용된 겔화제의 양을 같게 만든다.
청구범위 제2항에 정의된 바와같은 본 발명의 종자의 겔피복 장치에서는, 통로내 페쇄공간이 폐쇄공간이 형성되는 통로의 부분들과 한 단부에서 연결되는 겔공급로를 통해 매니폴드와 연통되어 있고, 겔공급로는 매니폴드로부터 폐쇄공간으로 인도되는 겔화제가 흘러들어갈 수 있는 분기된 폐쇄로와 연결되어 있으며, 공기환기밸브는 폐쇄로의 단부에 연결되고, 폐쇄로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기 위해 개폐된다.
이와같이, 매니폴드로부터 공급로내 폐쇄공간으로 겔화제를 채우기 전에, 공기환기밸브는 열려 폐쇄로의 말단쪽을 향하여 끌린 공기를 배출한다. 따라서, 겔화제는 공기기포를 보유하면서 가공노즐에 공급되는 것으로부터 방지될 수 있다. 이것은 종자를 피복하기 위해 가공노즐로부터 분출되는 겔화제의 양을 일정하게 하고, 이것은 차례로 피복종자의 입도와 사용된 겔화제의 양을 일정하게 되게 한다
또한, 청구범위 제3항에 정의된 바와같은 본 발명의 종자의 겔피복 장치는 페쇄공간에서 겔화제의 충전압력을 증가시키고 감소시키기 위해 폐쇄공간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가압실린더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공기환기밸브는 각각 가압실린더가 연장되는 방항과 통로가 연장되는 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에 놓인다.
이와같이, 가압실린더와 공기환기밸브가 차지한 공급로 둘레의 공간은 이 통로를 포함하여 거의 수직한 평면으로만 연장된다. 그러므로, 가공노즐을 둘러싸는 요구되는 공간은 다수의 평면이 아니라 단지 한 평면에 수용되어 겔피복장치 전체에 의해 요구되는 전체공간과 크기를 감소킬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을 충분히 기술한 바 여기 제시된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로부터 이탈함이 없이 거기에 많은 변경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다.

Claims (8)

  1. 수직 개방로(73c)내에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내부통로(73v)가 축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원통형 플런지(73h), 상기 플런저(73h)의 하단부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상기 수식 개방로(73c)의 하단부에 있는 밸브시트(73b), 그리고 상기 밸브시트(73b)와 상기 플런저의 상부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수직개방로내에 있는 페쇄공간(73m)으로 각각 이루어지는 복수의 가공노즐(73A)과, 가공노즐(73A)의 상기 수직개방로(73c)내의 상기 폐쇄공간(73m) 각각에 연결된 단일 매니폴드(79)로 이루어지며, 상기 매니폴드(79)는 겔화제로 채워져 있고, 상기 매니폴드내 겔화제의 충전압력은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상기 가공노즐(73A) 각각의 폐쇄공간(73m)으로 겔화제를 분산시키기 위해 증가되며, 상기 폐쇄공간(73m)내 겔화제에 대한 충전압력은 상기 밸브시트(73b)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수직 개방로(73c)에서 상기 플런저(73h)를 위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증가되며, 동시에 가공처리될 종자가 위쪽으로부터 플런저(73h)의 상기 내부통로(73v)내로 집어 넣어져 플런저(73h)의 상기 내부통로(73v)의 하단부로부터 배출된 종자가 상기 밸브시트(73b)를 통해 흘러나오는 겔화제로 둘러 싸이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자의 겔피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각 플런저(73h)는 상기 폐쇄공간(73m)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수직 개방로(73c)의 내주면과 협력하는 감소된 직경부(73k)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자의 겔피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각 플런저(73h)는 상기 밸브시트(73b)를 폐쇄하기 위해 스프링(73r)에 의해 정상적으로는 아래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자의 겔피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개방로(73c)는 동일한 간격으로 일렬로 배열되는 특징으로 하는 종자의 겔피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8개의 상기 수직 개방로(73c)가 일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자의 겔피복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수직 개방로(73c)내 상기 폐쇄공간(73m)이 각각의 겔공급로(73B)를 통해 상기 매니폴드(79)와 각각 연통되어 있고, 상기 겔공급로(73B)는 상기 매니폴드(79)로부터 상기 폐쇄공간(73m)으로 흐르는 겔화제가 흘러들어갈 수 있는 분기된 폐쇄로(73e)와 연결되어 있으며, 공기환기밸브(78)는 상기 폐쇄로(75e)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폐쇄로(75e)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기 위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자의 겔피복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공간(73m)에서 겔화제에 대한 충전압력을 증가시키고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폐쇄공간(73m)의 각각의 것에 상기 겔공급로(73B)를 통해 연통하는 가압실린더(77)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공기환기밸브(78)는 각각 상기 가압실린더(77)와 상기 수직 개방로(73c)의 각각의 것이 연장되는 평면과 동일한 평면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자의 겔피복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겔공급로(73B)로부터 외부로 향하는 겔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겔공급로(73B)의 각각의 것에 제공된 체크밸브(75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자의 겔피복장치.
KR1019960059248A 1995-11-29 1996-11-29 종자의 겔 피복장치 KR1002163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7310701A JP3095120B2 (ja) 1995-11-29 1995-11-29 種子のゲル被覆加工装置
JP95-310701 1995-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362A KR970025362A (ko) 1997-06-24
KR100216307B1 true KR100216307B1 (ko) 1999-08-16

Family

ID=18008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9248A KR100216307B1 (ko) 1995-11-29 1996-11-29 종자의 겔 피복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728218A (ko)
EP (1) EP0776602B1 (ko)
JP (1) JP3095120B2 (ko)
KR (1) KR100216307B1 (ko)
DE (1) DE6960683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7605A (en) * 1997-01-31 2000-06-20 Elisha Technologies Co Llc Silicate coatings and uses thereof
JP4106406B2 (ja) * 1998-04-20 2008-06-25 アグリテクノ矢崎株式会社 種子のゲル被覆加工装置
JP2007282545A (ja) * 2006-04-14 2007-11-01 Agritecno Yazaki Co Ltd 水性ゲル体製造装置、及び、水性ゲル体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6357A (en) * 1987-11-25 1989-02-2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pparatus and method for encapsulating seeds and the like
JPH0646887B2 (ja) * 1988-11-08 1994-06-22 矢崎総業株式会社 種子のゲル被覆装置
US5254358A (en) * 1990-10-02 1993-10-19 Yazaki Corporation Method of gel-coating seed and apparatus therefore
US5632819A (en) * 1995-09-29 1997-05-27 Geissler; Robert G. High pressure chemical seed tre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06830D1 (de) 2000-04-06
DE69606830T2 (de) 2000-06-29
KR970025362A (ko) 1997-06-24
US5728218A (en) 1998-03-17
EP0776602B1 (en) 2000-03-01
JPH09149709A (ja) 1997-06-10
JP3095120B2 (ja) 2000-10-03
EP0776602A1 (en) 1997-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0271A (en) Seeds feeding tank of a gel coating apparatus
US5254358A (en) Method of gel-coating seed and apparatus therefore
JPH02128611A (ja) 種子のゲル被覆装置
KR100216308B1 (ko) 종자의 겔 피복 가공방법 및 장치
KR100216306B1 (ko) 피복종자의 경화장치
EP2209360A1 (en) High speed seed treatment apparatus
KR100216307B1 (ko) 종자의 겔 피복장치
CN108207175A (zh) 一种种子包衣装置
CN107836161A (zh) 一种附带过滤装置的种子包衣机
CN114190135A (zh) 一种立式丸化种子包衣机
JP2956885B2 (ja) 種子のゲル被覆加工装置の硬化槽
CN208445986U (zh) 一种玉米种子包衣机
CN115088426B (zh) 一种水流式马铃薯播种装置
CN209151520U (zh) 种子包衣机
JP2956884B2 (ja) 種子のゲル被覆加工装置の製品回収部
CN216392039U (zh) 一种立式离心式种子包衣机
RU2815106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увлажнения семян перед посевом
JP3928012B2 (ja) 種子のゲル被覆加工装置
CN116746339A (zh) 一种马铃薯栽培选种设备及方法
CN220441252U (zh) 一种玉米种子病害防治装置
CN117339743A (zh) 一种农业水稻栽培用种子水选装置
CN116138119A (zh) 一种彩甜糯鲜食玉米的育种方法
CN116784052A (zh) 一种水稻育秧装置及育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