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7868B1 -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크롬 강판 - Google Patents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크롬 강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07868B1 KR100207868B1 KR1019960701097A KR19960701097A KR100207868B1 KR 100207868 B1 KR100207868 B1 KR 100207868B1 KR 1019960701097 A KR1019960701097 A KR 1019960701097A KR 19960701097 A KR19960701097 A KR 19960701097A KR 100207868 B1 KR100207868 B1 KR 1002078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less
- steel sheet
- press formability
- conten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7/00—Alloys based on rhenium or a refractory metal not mentioned in groups C22C14/00 or C22C16/00
- C22C27/06—Alloys based on chromium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titanium or zirconium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bor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프레스 성형성, 특히 디이프 드로잉 성형성과 내 2 차 가공 취성이 동시에 우수한크롬 강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구성은 C : 0.03 중량 % 이하, Si : 1.0 중량 % 이하, Mn : 1.0 중량 % 이하, P : 0.05 중량 % 이하, S : 0.015 중량 % 이하, Al : 0.10 중량 % 이하, N : 0.02 중량 % 이하, Cr : 560 중량 %, Ti : 4 (C+N)0.5 중량 %, Nb : 0.0030.020 중량 %, B : 0.00020.005 중량 %, 를 함유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Mo : 0.015.0 중량 %, Ca : 0.00050.01 중량 %, Se : 0.0005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크롬 강판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r 에 대한 Nb 함유량의 영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제2도는 r값과 균열 발생온도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제3도는 반복 굽힘 시험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크롬 강판(띠강을 포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이프 드로잉 성형성이 우수하고, 내 2 차 가공 취성이 우수한 크롬 강판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전형적인 크롬 강판에 있어서, 페라이트 스테인레스 강판은 통상 연속 주조 슬랩을 가열한 후, 열간압연-열연강판의 풀림-냉간압연-마무리 풀림의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이 제조된 페라이트 스테인레스 강은 응력부식 균열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하므로, 주방용품, 자동차 부품 등에 폭넓게 사용된다. 그렇지만, 특히 자동차용 연료 필터 케이싱 등에 사용시 깊은 디이프 드로잉을 행해야 하므로, 2 차 가공 취성에 기인한 균열이 생성되는 문제점이 빈번히 발생한다.
따라서, 페라이트 스테인레스 강판에 있어서, 디이프 드로잉 성형성과 내 2 차 가공 취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많은 시도가 있어 왔다.
예컨데, 일본국 특허공고공보 소 54-11770호에는 Ti를 첨가하여 냉간 가공성을 향상시킨 페라이트 스테인레스 강판의 제조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반면, 일본국 특허공고공보 소 57-55787 호에는 B를 첨가하여 높은 랜크포드 값(Lankford value, 이후에는 간단히 r 값으로 표기)을 가지는 페라이트 스테인레스 강판의 제조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더 나아가, 일본국 특허공고공보 평 2-7391 호에는 Ti 와 B를 첨가하여 디이프 드로잉 가공을 한 후 벌징 가공시 취성 균열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페라이트 스테인레스 강판의 제조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기술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즉, 일본국 특허공고공보 소 54-11770 호에 개시된 기술에서 깊은 디이프 드로잉 가공 후 2 차 가공에서 취성 균열이 빈번히 발견되고 있다는 점이다. 더 나아가, 일본국 특허공고공보 소 57-55787 호에 개시된 기술은 디이프 드로잉 성형성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깊은 디이프 드로잉 가공이 부적합하다. 또한, 일본국 특허공고공보 평 2-7391 호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Ti 와 B 를 첨가하지만, 디이프 드로잉 성형성이나, 내 2 차 가공 취성 중 하나가 불량하며, 양 특성이 동시에 만족되지 않는다. 더우기, 이러한 기술들은 r값의 면내 이방성(이후 △r 로 표기)을 충분하게 개선되지 않는 문제점을 가진다.
상기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든 기술은 디이프 드로잉 성형성이나 내 2 차 가공 취성 중 하나를 개선시키지만, 양 특성을 동시에 개선시키지 못하는 공통된 문제점을 가진다. 그러므로, 깊은 디이프 드로잉 가공 후 연속하는 2 차 가공에서 발생하는 취성 균열이 염려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특히 디이프 드로잉 성형성과 내 2 차 가공 취성이 우수한 크롬 강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r 값이 1.5 이상이고, △r이 0.3 이하이며, 취성 균열 발생온도가 -50℃ 이하인 것을 만족하는 크롬 강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발명자들은 크롬 강판의 화학 조성을 적절한 범위에서 제어함으로써, 디이프 드로잉 성형성과 내 2 차 가공 취성이 동시에 개선되고, 더 나아가 용접부의 연성이 개선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 특성을 가진 크롬 강판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1) 본 발명의 크롬 강판은 C : 0.03 중량 % 이하, Si : 1.0 중량 % 이하, Mn : 1.0 중량 % 이하, P : 0.05 중량 % 이하, S : 0.015 중량 % 이하, Al : 0.10 중량 % 이하, N : 0.02 중량 % 이하, Cr : 1060 중량 %, Ti : 4(C+N)0.5 중량 %, Nb : 0.0030.020 중량 %, B : 0.00020.005 중량 %, 잔부의 Fe와 불가피하게 섞인 불순물로 구성된다.
(2) 본 발명의 크롬 강판은 상기 (1)의 주요 성분에 추가로 Mo : 0.013.0 중량 % 를 더 포함한다.
(3) 본 발명의 크롬 강판은 상기 (1)의 주요 성분에 추가로 Ca : 0.00050.01 중량 % 를 더 포함한다.
(4) 본 발명의 크롬 강판은 상기 (1)의 주요 성분에 추가로 Se : 0.00050.025 중량 % 를 더 포함한다.
(5) 본 발명의 크롬 강판은 상기 (1)의 주요 성분에 추가로 Mo : 0.013.0 중량 % 와 Ca : 0.00050.01 중량 % 를 더 포함한다.
(6) 본 발명의 크롬 강판은 상기 (1)의 주요 성분에 추가로 Mo : 0.013.0 중량 % 와 Se : 0.00050.025 중량 % 를 더 포함한다.
(7) 본 발명의 크롬 강판은 상기 (1)의 주요 성분에 추가로 Ca : 0.00050.01 중량 % 와 Se : 0.00050.025 중량 % 를 더 포함한다.
(8) 본 발명의 크롬 강판은 상기 (1)의 주요 성분에 추가로 Mo : 0.013.0 중량 %, Ca : 0.00050.01 중량 % 및 Se : 0.00050.025 중량 % 를 더 포함한다.
(9) 본 발명의 크롬 강판은 상기 (1)(9) 중에서 Ti 함유량과 Nb 함유량 사이의 관계가 Ti/Nb ≥ 7 를 만족한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바람직한 조건을 아래에 기술한다.
상기 발명의 개시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크롬 강판은 프레스 성형성, 특히 디이프 드로잉 성형성 및 내 2 차 가공 취성이 우수하고, 1.5 이상의 r 값, 0.3 미만의 △r 및 -50℃ 이하의 취성 균열 온도를 만족시킨다.
본 발명에서의 각 주요 성분의 작용 및 수치한정의 이유를 아래에 기술한다.
C:0.03중량 % 이하; C는 r값 및 신장 특성을 저하시키는 원소이다. 특히, 0.03 중량 %를 초과하면, C의 영향이 현저하게 되므로, 함유량을 0.03 중량 % 이하로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 이하의 범위가 좋다.
Si : 1.0 중량 % 이하 ; Si는 탈산에 유효한 원소이다. 하지만, 과잉 첨가는 냉간 가공성을 저하시키므로, 첨가 범위는 1.0 중량 %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 이하로 한다.
Mn : 1.0 중량 % 이하 ; Mn은 강중에 존재하는 S를 석출, 고정시켜 열간압연성을 유지하는 데 유효한 원소이다. 하지만, 과잉 첨가는 냉간 가공성을 저하시키므로, 첨가 범위는 1.0 중량 %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 이하로 한다.
P : 0.05 중량 % 이하 ; P는 열간 가공성에 유해한 원소이다. 특히, 함유량이 0.05 중량 %를 초과하면, 그 영향이 현저하게 되므로, 함유량을 0.05 중량 % 이하, 바람직하게는 0.04 중량 % 이하로 한다.
S : 0.015 중량 % 이하 ; S는 결정립계에 편석되어 입계 취성을 촉진시키는 유해한 원소이다. 특히, 함유량이 0.015 중량 %를 초과하면, 그 영향이 현저하게 되므로, 함유량을 0.015 중량 % 이하, 바람직하게는 0.008 중량 % 이하로 한다.
Al : 0.10 중량 % 이하 ; Al은 탈산에 유효한 원소이다. Al의 과잉 첨가는 Al계 개재물의 증가에 의해, 표면 결함을 유발시키므로, 함유량을 0.10 중량 % 이하, 바람직하게는 0.07 중량 % 이하로 한다.
N : 0.02 중량 % 이하 ; N은 C와 동일하게 디이프 드로잉 성형성에 유해한 원소이다. 특히, 함유량이 0.02 중량 %를 초과하면, 그 영향이 현저하게 되므로, 함유량을 0.02 중량 % 이하로 할 필요가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 이하로 한다.
Cr : 560 중량 % ; Cr은 스테인레스 강으로서의 내식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필수 불가결한 원소이다. 함유량이 5 중량 % 미만인 경우는 내식성이 부족하게 되며, 반면 60 중량 %를 초과할 경우는 냉간 가공성이 저하되므로, 첨가 범위는 560 중량 %, 바람직하게는 1045 중량 %로 한다.
Ti : 4(C+N)0.5 중량 % ; Ti는 디이프 드로잉 성형성외 유해한 C, N을 석출, 고정시켜, 높은 디이프 드로잉 성형성을 확보하기 위해 유용한 원소이다. 그 효과는 함유량이 4(C+N) 중량 % 미만에서는 얻지 못하며, 한편 0.5 중량 %를 초과하여도 이들의 효과가 포화되고, 제조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Ti의 첨가량은 4(C+N)0.5 중량 %, 바람직하게는 4(C+N)0.3 중량 %로 한다.
Nb : 0.0030.020 중량 % ;
본 발명에 있어서, Nb는 Ti, B 등의 복합 첨가에 의해 디이프 드로잉 성형성과 내 2 차 가공 취성을 동시에 개선하는 특히 중요한 원소이다. 이러한 효과는 첨가량이 0.003 중량 % 미만에서는 얻지 못하며, 한편 첨가량이 0.020 중량 %를 초과하여도 효과가 포화하고, 제조비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Nb의 첨가량은 0.0030.020 중량 %, 바람직하게는 0.0040.018 중량 %로 한다.
디이프 드로잉 성형성과 내 2 차 가공 취성에 미치는 Nb의 영향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C : 0.0070.009 중량 %, Si : 0.30.4 중량 %, Mn : 0.30.4 중량 %, P : 0.020.03 중량 %, S : 0.0050.007 중량 %, Al : 0.020.03 중량 %, N : 0.00700.0090 중량 %, Cr : 1618 중량 %, Ti : 0.150.17 중량 %, B : 0.00080.0010 중량 %를 함유하는 냉연강판(롤 직경 150㎜ 이상의 가공 롤에 의한 냉간 압하율 : 82.5%)의 △r에 미치는 Nb의 영향을 도시한 것이다. 제1도에서, △r은 0.003 중량 % 이상의 Nb 첨가에 의해 현저하게 개선되며, 디이프 드로잉 성형 후의 에지(edge) 형상이 크게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제2도는 C : 0.0070.009 중량 %, Si : 0.30.4 중량 %, Mn : 0.30.4 중량 %, P : 0.020.03 중량 %, S : 0.0050.007 중량 %, Al : 0.020.03 중량 %, N : 0.00700.0090 중량 %, Cr : 1618 중량 %, Ti : 0.150.17 중량 %, Nb : 0.0010.018 중량 %, B : 0.00080.0010 중량 %를 함유하는 냉연강판(롤 직경 150㎜ 이상의 가공 롤에 의한 냉간 압하율 : 82.5%)의 가공 후의 2 차 가공 취성 균열과 r 값과의 관계에 미치는 Nb 량의 영향을 도시한 것이다. 제2도에서, Nb를 0.003 중량 % 이상 함유하는 강판은 디이프 드로잉 성형시 성형한계 지표가 되는 r 값이 높고, 취성 균열 발생온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0.003 중량 % 이상의 Nb를 함유시킴으로써, 디이프 드로잉 성형성 및 내 2 차 가공 취성의 양자가 높은 수준으로 조절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i/Nb ≥ 7
상기한 Ti 와 Nb 는 각각 단독으로 첨가하는 것보다, 복합 첨가함으로써 프레스 성형성이 향상된다. 특히, △r는 Ti 와 Nb를 동시에 첨가한 경우에 현저하게 작게되며, 프레스 성형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은 효과는 Ti/Nb ≥ 7 를 만족시키는 조건에서 Ti 와 Nb를 복합 첨가함으로써 한층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B : 0.00020.005 중량 % ; B는 디이프 드로잉 성형 후의 내 2 차 가공 취성을 개선시키기 유효한 원소이다. 이 효과는 0.0002 중량 % 미만에서는 얻지 못하나, 과잉 첨가는 디이프 드로잉 성형성을 열화시킴으로, 그의 첨가량은 0.00020.005 중량 %, 바람직하게는 0.00030.003 중량 %로 한다.
Mo : 0.015.0 중량 %, 바람직핫게는 0.13.0 중량 % ; Mo는 프레스 성형성(r 값, △r, 내 2 차 가공 취성) 및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며, 선택적으로 첨가된다. Mo 첨가에 의한 r 값, △r 의 향상은 풀림된 강판의 재결정립이 미세화되는 동시에 재결정립의 연신율이 1 에 가까워짐에 의한 것이다. 이 효과는 0.01 중량 % 이상의 Mo 를 첨가하여 얻을 수 있으나, 첨가량이 5.0 중량 % 초과시에는 디이프 드로잉 성형성의 저하를 초해함으로써, Mo의 첨가량은 0.015.0 중량 %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0.13.0 중량 %로 한다.
Ca : 0.00050.01 중량 % ; Ca는, 제강 및 주조 공정에서, Ti계 개재물에 의한 노즐 막힘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는 원소이며, Ti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첨가된다. 하지만, Ca가 과량 첨가되면, Ca계 개재물은 취성 파괴의 기점이 될 수 있으므로, 0.00050.01 중량 %, 바람직하게는 0.00050.006 중량 %로 한다.
Se : 0.00050.025 중량 % ; Se는, 용접시, 용접금속에 유동성을 높이고, 용접부의 표면 결함(균열)을 억제하여, 용접부의 연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원소이다. 이 효과는 첨가량이 0.0005 중량 % 이상인 경우 나타나지만, 0.025 중량 %를 초과하면 내식성이 저하되므로, Se의 첨가범위는 0.00050.025 중량 %, 바람직하게는 0.00080.010 중량 %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화학성분에 의해 달성되나, 이들 성분에 V : 0.010.5 중량 %, Ni 0.36 중량 %, Co : 0.36 중량 %, Cu : 0.13 중량 %, W : 0.36 중량 %를 첨가하여도 본 발명의 효과가 손상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제조 공정은 상기 성분으로 이루어진 강을 전로, 전기로 등의 통상의 제강로에서 용제하여, 연속주조법 또는 조괴법으로 강 슬랩을 제조한 후, 열간압연-(열연강판 풀림)-산세척-냉간압연-냉연강판 풀림-산세척-필요에 따라, 냉간압연 반복-풀림-산세척을 반복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그렇지만, 상기 냉간압연 공정에 있어서, 냉간압연 조건 중, 특히 냉간압연 가공 롤의 직경과 냉간압연의 압하율을, 롤 직경 : 150 ㎜ 이상, 바람직하게는 2501000㎜, 압하율은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4095% 이상의 범위로 제어하면 보다 유리하게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즉, 냉연 스테인레스 강판은 일반적으로 롤 직경 100㎜ 이하의 가공 롤에 의해 압연된다. 롤 직경이 상기한 롤 직경보다 큰 경우, 롤과 강판 표면의 마찰에 의한 압연방향으로의 전단 응력이 경감되는 동시에, 판면내에 있어서 응력의 차가 적게된다. 그 결과, 내 2 차 가공 취성을 열화시키지 않으면서, r 값 및 △r를 한층 개선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서, 롤 직경이 150㎜ 미만인 경우, 혹은 롤 직경이 150㎜이상이라도 롤에 의한 압하율이 30% 미만인 경우에는 이 효과가 불충분하며, 롤 직경이 1000㎜를 초과하면 롤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동력이 과대하게 됨으로 경제적으로 불리하게 되고, 또 이 롤에 의한 압하율이 95%를 초과하면, 롤과 강판과의 고착에 의해 강판의 표면 성질이 열화하는 경향이 있다.
[실시예 1]
표 1, 표 2 및 표 3 에 표시된 화학조성을 가진 강을 전로에서 녹이고, 2 차 정련을 통해 강 슬랩으로 한 후, 1250℃로 가열한 후, 열간압연하여 판두께 4.0㎜로 하였다. 이 열연강판을 열연강판 풀림 (800950℃)-산세척-냉간압연-냉연강판 풀림 (800950℃)-산세척에 의해 판두께 0.7㎜의 냉연강판으로 하였다.
상기 방법에 의해 얻어진 강판을 공시재로 하여, 디이프 드로잉 성형성(r 값, △r) 및 내 2 차 가공취성을, 또 일부의 강판에 대하여는 용접부의 연성을 하기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r값, △r
강판의 압연방향, 압연방향에 대하여 45°의 방향, 압연방향에 대하여 90°의 각 방향에서 JIS 5 호 시험편을 채취하여, 이 시험편에 515% 의 단축인장 예정변형을 부여할 때의 가로 변형 및 판두께의 변형의 비에서 각 방향의 랜크포드 값을 측정하여, 다음식에 의하여 구하였다.
단, rL, rD및 rT은 각각 압연방향, 압연방향에 대하여 45°의 방향, 압연방향에 대하여 90°의 방향의 랜크포드 값을 나타냄.
·내 2 차 가공취성
드로잉비 2 에서 디이프 드로잉 가공한 컵상 시험편을 -10020℃의 특정온도로 유지한 후, 추낙하시험 (추무게 5㎏, 낙차 0.8m)에 의해 컵두부에 충격하중을 부여하여, 컵부의 측벽에서의 취성 균열의 유무로부터 균열발생온도를 구하였다.
모든 강에 대하여, 온도는 5℃ 간격으로 2 개씩 행하고, 그 중 1 개에서도 취성균열이 발생하면, 그때의 가장 높은 온도를 균열발생온도로 하였다.
·용접부 연성
냉연강판 (판두께 0.7㎜)을 TIG 용접법으로 용접하여, 용접부를 중심선에 배치한 15㎜ ×70㎜의 스트립형 시험편을 채취하여, 굽힘-굽힘복귀가공을 20회 왕복시키는 반복 굽힘시험(제3도 참도)을 행한 후, 용접부로부터의 균열발생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이 조사를 각 시험강의 20개 시편에 대하여 행하고, 균열발생 시험편의 갯수로부터 균열발생율을 구하였다.
이들의 시험결과를 표 4에 표시한다.
표 4에서, 본 발명의 강판은, r 값이 1.5 이상, △r 이 0.3 이하, 또는 내 2 차 가공 취성을 표시하는 균열발생온도가 -50℃ 이하의 특성을 나타내며, 모두 비교예에 비하여 우수한 디이프 드로잉 성형성 및 내 2 차 가공취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Se를 첨가한 본 발명의 강판은 상기 특성에 추가로 비드의 균열 발생율도 10% 이하이다.
[실시예 2]
표 1에 표시한 강중에서, 강 No. 1 과 6을 전로에서 용융하고, 2차 정련을 행하여, 강슬랩을 얻은 후, 1250℃로 가열한 후, 열간압연에 의해 판 두께 4.0㎜의 열연강판으로 하였다. 이 열연강판을,열연판 풀림 (800950℃)-산세척-냉간압연-냉연강판 풀림 (800950℃)-산세척에 의해 판두께 0.7㎜의 냉연강판으로 하였다. 여기에서, 판두께 4.0㎜ → 0.7㎜ (총압하율 82.5%)의 냉간압연 공정을 냉간압연공정 I (판두께 4.0 → X㎜) 및 냉간압연 공정 II (판두께 X → 0.7㎜)로 나누어 여러 가지의 롤 직경, 압하율 조건에서 압연을 행하였다. 얻어진 강판에서 시험편을 채취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시험을 행하여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압연조건과 동시에 표 5에 도시하였다.
표 5에서, 본 발명의 모든 강판은 모두 한층 우수한 디이프 드로잉 성형성 및 내 2 차 가공 취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크롬 강판은, 종래의 크롬 강판에서는 얻지 못했던 프레스 가공 특성, 즉 우수한 디이프 드로잉 성형성과 우수한 내 2 차 가공취성을 동시에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크롬 강판에 의하면, 예컨대 바닥이 깊은 개수대 등의 주방기구, 연료 케이스 등의 자동차용 부품 등의 깊은 디이프 드로잉 가공이 가능하게 되고, 그리고 그후의 2 차 가공 취성 균열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Claims (16)
- C : 0.03 중량 % 이하, Si : 1.0 중량 % 이하, Mn : 1.0 중량 % 이하, P : 0.05 중량 % 이하, S : 0.015 중량 % 이하, Al : 0.10 중량 % 이하, N : 0.02 중량 % 이하, Cr : 1060 중량 %, Ti : 4(C+N)0.5 중량 %, Nb : 0.0030.020 중량 %, B : 0.00020.005 중량 %를 함유하며,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크롬강판.
- C : 0.03 중량 % 이하, Si : 1.0 중량 % 이하, Mn : 1.0 중량 % 이하, P : 0.05 중량 % 이하, S : 0.015 중량 % 이하, Al : 0.10 중량 % 이하, N : 0.02 중량 % 이하, Cr : 1060 중량 %, Ti : 4(C+N)0.5 중량 %, Nb : 0.0030.020 중량 %, B : 0.00020.005 중량 %, Mo : 0.013.0 중량 %를 함유하며,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크롬강판.
- C : 0.03 중량 % 이하, Si : 1.0 중량 % 이하, Mn : 1.0 중량 % 이하, P : 0.05 중량 % 이하, S : 0.015 중량 % 이하, Al : 0.10 중량 % 이하, N : 0.02 중량 % 이하, Cr : 1060 중량 %, Ti : 4(C+N)0.5 중량 %, Nb : 0.0030.020 중량 %, B : 0.00020.005 중량 %, Ca : 0.00050.01 중량 %를 함유하며,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크롬강판.
- C : 0.03 중량 % 이하, Si : 1.0 중량 % 이하, Mn : 1.0 중량 % 이하, P : 0.05 중량 % 이하, S : 0.015 중량 % 이하, Al : 0.10 중량 % 이하, N : 0.02 중량 % 이하, Cr : 1060 중량 %, Ti : 4(C+N)0.5 중량 %, Nb : 0.0030.020 중량 %, B : 0.00020.005 중량 %, Se : 0.00050.025 중량 %를 함유하며,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크롬강판.
- C : 0.03 중량 % 이하, Si : 1.0 중량 % 이하, Mn : 1.0 중량 % 이하, P : 0.05 중량 % 이하, S : 0.015 중량 % 이하, Al : 0.10 중량 % 이하, N : 0.02 중량 % 이하, Cr : 1060 중량 %, Ti : 4(C+N)0.5 중량 %, Nb : 0.0030.020 중량 %, B : 0.00020.005 중량 %, Mo : 0.013.0 중량 %, Ca : 0.00050.01 중량 %를 함유하며,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크롬강판.
- C : 0.03 중량 % 이하, Si : 1.0 중량 % 이하, Mn : 1.0 중량 % 이하, P : 0.05 중량 % 이하, S : 0.015 중량 % 이하, Al : 0.10 중량 % 이하, N : 0.02 중량 % 이하, Cr : 1060 중량 %, Ti : 4(C+N)0.5 중량 %, Nb : 0.0030.020 중량 %, B : 0.00020.005 중량 %, Mo : 0.013.0 중량 %, Se : 0.00050.025 중량 %를 함유하며,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크롬강판.
- C : 0.03 중량 % 이하, Si : 1.0 중량 % 이하, Mn : 1.0 중량 % 이하, P : 0.05 중량 % 이하, S : 0.015 중량 % 이하, Al : 0.10 중량 % 이하, N : 0.02 중량 % 이하, Cr : 1060 중량 %, Ti : 4(C+N)0.5 중량 %, Nb : 0.0030.020 중량 %, B : 0.00020.005 중량 %, Ca : 0.00050.01 중량 %, Se : 0.00050.025 중량 %를 함유하며,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크롬강판.
- C : 0.03 중량 % 이하, Si : 1.0 중량 % 이하, Mn : 1.0 중량 % 이하, P : 0.05 중량 % 이하, S : 0.015 중량 % 이하, Al : 0.10 중량 % 이하, N : 0.02 중량 % 이하, Cr : 1060 중량 %, Ti : 4(C+N)0.5 중량 %, Nb : 0.0030.020 중량 %, B : 0.00020.005 중량 %, Mo : 0.013.0 중량 %, Ca : 0.00050.01 중량 %, Se : 0.00050.025 중량 %를 함유하며,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크롬강판.
- 제1항에 있어서, Ti 함유량과 Nb 함유량과의 관계가 Ti/Nb ≥ 7를 만족하며,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크롬 강판.
- 제2항에 있어서, Ti 함유량과 Nb 함유량과의 관계가 Ti/Nb ≥ 7를 만족하며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크롬강판.
- 제3항에 있어서, Ti 함유량과 Nb 함유량과의 관계가 Ti/Nb ≥ 7를 만족하며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크롬강판.
- 제4항에 있어서, Ti 함유량과 Nb 함유량과의 관계가 Ti/Nb ≥ 7를 만족하며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크롬강판.
- 제5항에 있어서, Ti 함유량과 Nb 함유량과의 관계가 Ti/Nb ≥ 7를 만족하며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크롬강판.
- 제6항에 있어서, Ti 함유량과 Nb 함유량과의 관계가 Ti/Nb ≥ 7를 만족하며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크롬강판.
- 제7항에 있어서, Ti 함유량과 Nb 함유량과의 관계가 Ti/Nb ≥ 7를 만족하며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크롬강판.
- 제8항에 있어서, Ti 함유량과 Nb 함유량과의 관계가 Ti/Nb ≥ 7를 만족하며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크롬강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4-153831 | 1994-07-05 | ||
JP6153831A JP2933826B2 (ja) | 1994-07-05 | 1994-07-05 | 深絞り成形性と耐二次加工脆性に優れるクロム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PCT/JP1995/001341 WO1996001335A1 (fr) | 1994-07-05 | 1995-07-05 | Tole d'acier au chrome a excellente formabilite a la press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705069A KR960705069A (ko) | 1996-10-09 |
KR100207868B1 true KR100207868B1 (ko) | 1999-07-15 |
Family
ID=15571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701097A KR100207868B1 (ko) | 1994-07-05 | 1995-07-05 |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크롬 강판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5709836A (ko) |
EP (1) | EP0727502B1 (ko) |
JP (1) | JP2933826B2 (ko) |
KR (1) | KR100207868B1 (ko) |
DE (1) | DE69525730T2 (ko) |
WO (1) | WO199600133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73983B2 (ja) * | 1995-08-24 | 2003-02-04 | 川崎製鉄株式会社 | プレス成形性、耐リジング性および表面性状に優れる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帯の製造方法 |
US5851316A (en) * | 1995-09-26 | 1998-12-22 | Kawasaki Steel Corporation | Ferrite stainless steel sheet having less planar anisotropy and excellent anti-ridging characteristic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
US6855213B2 (en) | 1998-09-15 | 2005-02-15 | Armco Inc. | Non-ridging ferritic chromium alloyed steel |
US6214289B1 (en) * | 1999-09-16 | 2001-04-10 | U. T. Battelle | Iron-chromium-silicon alloys for high-temperature oxidation resistance |
CN1225614C (zh) * | 2000-08-01 | 2005-11-02 | 日新制钢株式会社 | 由不锈钢制成的供燃料管 |
US6935529B2 (en) * | 2000-08-01 | 2005-08-30 | Nisshin Steel Co., Ltd. | Stainless steel fuel tank for automobile |
US6733601B2 (en) * | 2001-01-18 | 2004-05-11 | Jfe Steel Corporation | Ferritic stainless steel sheet with excellent workability |
KR100762151B1 (ko) * | 2001-10-31 | 2007-10-01 |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 딥드로잉성 및 내이차가공취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스테인리스강판 및 그 제조방법 |
JP2003277891A (ja) * | 2002-03-27 | 2003-10-02 | Nisshin Steel Co Ltd | 耐衝撃特性に優れたステンレス鋼製の自動車用燃料タンクまたは給油管 |
JP4014907B2 (ja) * | 2002-03-27 | 2007-11-28 | 日新製鋼株式会社 | 耐食性に優れたステンレス鋼製の自動車用燃料タンクおよび給油管 |
US7111401B2 (en) * | 2003-02-04 | 2006-09-26 |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 Razor head having skin controlling means |
KR20090005252A (ko) | 2004-01-29 | 2009-01-12 |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 |
KR100660444B1 (ko) * | 2005-06-14 | 2006-12-22 | 울산화학주식회사 | 삼불화질소 가스의 저장방법 |
JP5505575B1 (ja) | 2013-03-18 | 2014-05-28 | Jfeスチール株式会社 |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
US9377751B2 (en) | 2014-03-31 | 2016-06-28 |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developer cartridge rotatable between first and second positions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411770A (en) * | 1977-06-28 | 1979-01-29 |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 Electronic watch |
JPS56123356A (en) * | 1980-03-01 | 1981-09-28 | Nippon Steel Corp | Ferritic stainless steel with superior formability |
JPS61261460A (ja) * | 1985-05-11 | 1986-11-19 | Nippon Steel Corp | 深絞り加工後の張出し成形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
JPH0261033A (ja) * | 1988-08-26 | 1990-03-01 | Kawasaki Steel Corp | 深絞り用冷延鋼板 |
JPH0826436B2 (ja) * | 1990-08-03 | 1996-03-13 | 日本鋼管株式会社 | プレス成形加工性と表面特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3027012B2 (ja) * | 1990-12-28 | 2000-03-27 | 日新製鋼株式会社 | 耐食性および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クロム含有鋼板 |
JP3068216B2 (ja) * | 1990-12-28 | 2000-07-24 | 東北特殊鋼株式会社 | 高冷鍛性電磁ステンレス鋼 |
JP3225442B2 (ja) * | 1991-07-30 | 2001-11-05 | 日新製鋼株式会社 | 耐孔あき腐食性に優れた深絞り用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
JP3309860B2 (ja) * | 1991-07-30 | 2002-07-29 | 日新製鋼株式会社 | 耐食性に優れた深絞り用冷延鋼板の製造方法 |
JP3249572B2 (ja) * | 1992-04-15 | 2002-01-21 | 川崎製鉄株式会社 | 常温遅時効性を有する焼付硬化型薄鋼板 |
-
1994
- 1994-07-05 JP JP6153831A patent/JP2933826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5
- 1995-07-05 EP EP95924505A patent/EP0727502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5-07-05 DE DE69525730T patent/DE69525730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5-07-05 US US08/602,857 patent/US5709836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5-07-05 WO PCT/JP1995/001341 patent/WO1996001335A1/ja active IP Right Grant
- 1995-07-05 KR KR1019960701097A patent/KR10020786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727502A4 (en) | 1996-12-27 |
DE69525730D1 (de) | 2002-04-11 |
KR960705069A (ko) | 1996-10-09 |
EP0727502B1 (en) | 2002-03-06 |
DE69525730T2 (de) | 2002-08-01 |
US5709836A (en) | 1998-01-20 |
EP0727502A1 (en) | 1996-08-21 |
JPH0820843A (ja) | 1996-01-23 |
WO1996001335A1 (fr) | 1996-01-18 |
JP2933826B2 (ja) | 1999-08-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918399B1 (en) | Ferritic stainless-steel sheet with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 |
KR100380833B1 (ko) | 딥드로잉성과 내리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판 및 그 제조방법 | |
KR100207868B1 (ko) |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크롬 강판 | |
JP5505575B1 (ja) |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 |
JP5014807B2 (ja) | 熱間プレス用鋼板 | |
KR101940427B1 (ko) |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 |
JP4173609B2 (ja) | 成形性および熱間加工性に優れたプレス成形用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および鋼板 | |
JP2002275595A (ja) | 耐リジング性および深絞り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3420373B2 (ja) | 成形加工性に優れるクロム鋼板 | |
JP2001271148A (ja) | 耐高温酸化性に優れた高Al鋼板 | |
JP5505555B1 (ja) |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 |
JPH0617519B2 (ja) | 加工性の良好なフエ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鋼板または鋼帯の製造法 | |
JP3477113B2 (ja) | 深絞り成形後の耐二次加工脆性に優れた高純度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 |
JP3420371B2 (ja) | 成形加工性と耐候性に優れるクロム鋼板 | |
JP2007270168A (ja) | Cr含有フェライト系鋼板の製造方法 | |
KR920009990B1 (ko) | 우수한 성형성과 2차 가공성을 가진 p첨가 페라이트 스텐레스강 | |
JP3003495B2 (ja) | 加工性に優れた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H0510418B2 (ko) | ||
JP3132728B2 (ja) | 成形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 |
JP3420372B2 (ja) | 成形加工性および溶接部延性に優れるクロム鋼板 | |
JPH07157844A (ja) | 加工性に優れた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H10298720A (ja) | 深絞り成形後の耐二次加工脆性に優れた高純クロム鋼板 | |
JP2023118656A (ja) | 二相ステンレス鋼および二相ステンレス鋼の製造方法 | |
JP3420375B2 (ja) | 成形性と耐二次加工脆性に優れる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 |
JP3213234B2 (ja) | 高延性クロム鋼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0331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