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5967B1 - 주조용 주사금형의 조형방법 - Google Patents

주조용 주사금형의 조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5967B1
KR100205967B1 KR1019960003682A KR19960003682A KR100205967B1 KR 100205967 B1 KR100205967 B1 KR 100205967B1 KR 1019960003682 A KR1019960003682 A KR 1019960003682A KR 19960003682 A KR19960003682 A KR 19960003682A KR 100205967 B1 KR100205967 B1 KR 100205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injection mold
injection
die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3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1399A (ko
Inventor
박종탁
Original Assignee
박종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탁 filed Critical 박종탁
Priority to KR1019960003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5967B1/ko
Publication of KR970061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1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5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59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 또는 스테인레스 용융뮬을 주사 금형에 넣어 주형때 사용하는 중자 주사 금형 및 외곽 주사 금형을 조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철 또는 스테인레스, 주형때 사용하는 중자 주사 금형 및 외곽 주사 금형은 양각된 목형 및 음각된 목형을 지지틀에 체결한 후 이때 형성된 공실내에 주사를 충입하여 애폭시수지로 고형화 시켜 주사로 된 중자 금형 및 외곽 금형을 얻어 이들 중자 금형 및 외곽 금형 사이에 형성된 틈 사이에 주물을 충입시켜 주형물을 주형하고 있는바, 이때 주사 금형은 1회 사용후는 파괴시키는 1회용이기 때문에 계속하여 목형을 이용하게 되면 목형 그 자체가 변형되어 주형물의 품질을 불량하게 함으로서 이와같은 폐단을 방지할 목적으로 목형 대용으로 알미늄으로 대용 금형을 조형하고 있으나, 이와같은 대용 금형은 무겁고 고가일 뿐만 아니라 표면을 2차 가공해야하기 때문에 사용상 및 제작상 난점이 있어 이는 원가 상승 원인 및 주형물의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이의 발명 요지는 중자 금형 성형용 양각 목형 및 외곽 금형 성형용 음각 목형의 표면에 실리콘 고무층(2)(102), FRP수지층(3)(103), 석고층(4)(104) 및 외곽 형체 유지용 FRP수지층(3')(103')을 차례로 형성한 후 이를 지지틀(5)(105)내에 끼움할 때 목형을 제거한 자리에 주사를 충입한 후 애폭시수지액을 침투시켜 고형화 시킴으로서 중자 주사 금형(6A)및 외곽 주사 금형을 얻게 되면 이의 표면은 전기한 실리콘 고무층에 의해 매우 정교하기 때문에 종래의 알미늄이나 목형처럼 후가공하지 않아도 될뿐만 아니라 가볍고 저염가액으로 양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조용 주사 금형의 조형 방법
본 발명은 주조용 주사금형의 조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철이나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을 고열에 용해하여 이를 주형할 때 이의 주형에 사용되고 있는 외곽 주사 금형과 중자주사금형(鑄砂金型)의 조형(造型)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주형용 주사 금형의 조형 방법은 중자(仲子) 주사 금형의 조형 경우는 음각된 목형을 지지틀 내에 고정시킨 후 이때 형성된 공실 내에 주사를 충입한 후 이에 애폭시수지액을 침투시져 주사가 고형화된 다음에 지지틀을 해체하면 주사로된 중자 금형을 얻을 수 있게 되고, 또한 외곽 주사 금형의 경우는 양각된 목형을 지지틀 내에 고정시킨 후 이때 형성된 공실 내에 주사를 충입한 후 이에 애폭시수지액을 침투시켜 주가사 고형화된 다음에 지지틀을 해체하면 외곽 주사 금형을 얻게되며 이와 같이 된 외곽 주사 금형 내에 전기한 중자 주사 금형을 넣어 고정시킨 후 양 금형 사이에 형성된 틈사이에 주물을 주입하여 냉각시킨 후 주사로된 외곽 금형과 중자 금형을 파괴시키면 바로 주조 성형물을 얻을 수 있게 하고 있는 바, 이때 사용되고 있는 주사로 된 중자 주사 금형과 외과 주사 금형은 1회 이상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많은량의 주물 제품을 얻기 위해서는 이에 상당한 많은량의 주사 금형 성형용 목형이 필요로 하게된다.
이와 같은 많은량의 목형 금형을 일일이 사용한다는 것은 비능률적일 뿐만 아니라 경제적 과부담이 있고, 또한 사용과정 변형 균열등의 폐단이 있기 때문에 이점을 개선하고자 근래에는 알미늄과 같은 주형 재료로서 목형 대용 금형을 마련하고 있는 실정이나, 이와 같은 목형 대용 알미늄 금형의 경우는 고가일 뿐만 아니라 표면 가공등의 2차 가공을 해야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과부담 등이 있어 이 또한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이의 발명 요지는 주조용 주사 금형을 조형함에 있어 중자 주사 금형의 경우는 양각 목형을 사용하고 외곽 주사 금형의 경우는 음각된 목형을 사용하되 이의 표면에 실리콘 고무층을 도포하고, 그 위에 다시 FRP수지층 및 석고층을 조성한 다음 이를 FRP수지층으로 고정하므로서 목형 대용 금형을 얻고 이를 주입구가 있는 지지틀에 넣을 때는 목형을 제거시켜 공실을 형성하고 이와같이 형성된 공실 내에 주입구를 통해 주사를 충입한 후 애폭시수지액를 침투시켜 고형화 시키면 중자 주사 금형과 외곽 주사 금형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외곽 주사 금형과 중자 주사 금형의 표면은 전기한 실리콘 고무층과 접합됨으로 인하여 비교적 정밀한 면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목형이나 알미늄 금형처럼 2차 가공이 불필요하며, 염가로 대량 제작이 가능케 한 것이다.
제1a도 내지 제1e도는 본 발명의 중자 주사 금형의 조형 공정 표시도.
제2a도 내지 제2e도는 본 발명의 외곽 주사 금형의 조형 공정 표시도.
제3a도 내지 제3e도는 본 발명의 주사 금형을 이용한 주조 성형 공정 표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양각목형 1' : 대판
2 : 실리콘고무층 2A : 목형대용금형체
3, 3' : FRP수지층 4 : 석고층
5 : 지지틀 5' : 주입구
6, 6' : 중자주사금형편 6A : 중자주사금형
101 : 음각목형 101' : 대판
102 : 실리콘고무층 102A : 목형대용금형
103, 103' : FRP수지층 104 : 석고층
105 : 지지틀 105' : 주입구
106, 106' : 외각주사금형편 106A : 외곽주사금형
205 : 지지틀 205' : 주입구
206 : 주조성형물 206' : 완제품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이의 실시예를 동시에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먼저 중자용 주사 금형의 조형에 있어서 이의 공법 및 실시예를 설명하면
제1공정-제1도 "a"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대판(1')이 부차되어 있는 임의 형상의 양각 목형(1)을 얻는다
제2공정-제1도 "b"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1공정에서 얻어진 양각 목형(1)의 표면에 실리콘 고무층(2), FRP수지층(3),석고층(4)을 차례로 형성한 후 FRP수지층(3')을 외포하여 목형대용 금형(2A)를 조성한다.
제3공정-제1도 "c"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2공정에서 얻어진 목형대용 금형(2A)에 있어 양가목형(1)을 제거하고, 목형 대용금형(2A)의 외주에 지지틀(5)을 끼움 설치한 후 주입구(5')를 통해 양각 목형(1)이 차지하였던 공실 내에 주사를 충입한 후 애폭시 수지액을 침투시켜 주사를 고형화 시킨다.
제4공정-제1도 "d"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3공정에서 얻어진 것에 지지틀(5)을 수거한 후 목형 대용금형(2A)과 주사 금형물을 분리시키면 이대 조형된 주사 주형물은 중자 주사금형편(6)이 된다.
제5공정-제1도 "e"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4공정에서 얻어진 중자 주사금형편(6)을 2개를 대합 접착시키면 중자 주사금형(6A)이된다.
2)다음으로 외곽 주사 금형의 조형에 있어서 이의 공법 및 실시예를 설명하면
제1공정-제2도 "a"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대판(101')이 잇는 음각 목형에 있어 양각 목형(1)의 형상 모양이 대합되는 형상의 음각을 조각하되, 이때는 얻고자 하는 주물 제품의 두께를 가산한 크기의 음각을 조성한다.
제2공정-제2도 "b"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1공정에서 얻어진 음각 목형(101)의 음각면 표면에 실리콘 고무층(102),FRP수지층(103),석고층(104)및 외곽(FRP) 수지층(103')을 조성하므로서 목형 대용금형(10A)을 형성한다.
제3공정-제2도 "c"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2공정에서 형성된 대용금형(102A)에 있어 음각 목형(101)을 제거한 상태에서 주입구(105')가 있는 지지틀(105)을 끼움 설치하고 주입구(105')를 통해 공실 내에 주사를 충입한 후 애폭시 수지액을 침투시켜 주사를 고형화 시킨다.
제4공정-제2도 "d"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3공정에서 얻어진 것에 있어 지지틀(105), 수거한 후 목형 대용금형(102A)과 주사 주형물을 분리시키면 이때 조형된 주사 주형물은 외곽 주사 금형편(106)이 된다.
제5공정-제2도 "e"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4공정에서 얻어진 2개(또는 2개이상)의 외곽 주사 금형편(106)(106')을 대합 접착시키면 외곽 주사 금형(106A)이 된다.
3)끝으로 주형물 성형에 있어서 이의 공정과 실시예를 설명하면
제1공정-제3도 "a"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지지틀(205)내에 고정구를 개재시켜 외곽 주사 금형(106A) 및 중자 주사 금형(6A)을 장치한 후 주입구(205')를 통하여 외곽 주사 금형(106A)과 중자 주사 금형(6A)사이에 형성된 틈사이에 주물을 주입하여 고형화 시킨다.
제2공정-제3도 "b"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1공정에서 얻어진 것에 있어 지지틀(205)을 해체한 다음 외곽 주사 금형(106A)과 중자 주사 금형(6A)을 파괴시키면 주형물(206)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제3공정-제3도 "c"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2공정에서 얻어진 주형물(206)을 표면 가공하면 완제품이(206')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목형 또는 알미늄 주조 금형 대용의 중자 주사 금형(6A) 및 외곽 주사 금형(106A)을 얻음에 있어 이의 표면이 실리콘 고무층(2)(102)에 의해 전사된 형식으로 이루어지게 하였기 때문에 매우 정교하여 종래의 목형이나 알미늄 금형처럼 후가공을 하지 않아도 되며, 또한 이 목형 대용 금형(6A)(106A)은 가벼워서 작업상 편리하고 내구성이 있어 장기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염가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성 제고 등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Claims (1)

  1. 철 또는 스테인레스 주형용 주사 금형을 조형함에 있어서 양각된 목형(1)및 음각된 멱형(101)의 표면에 실리콘 고무층(2)(102), FRP수지층(3)(103), 석고층(4)(104) 및 외곽 지지용 FRP수지층(3')(103')을 차례로 조성한 후 목형(1)(101)을 제거한 다음 이를 지지틀(5)(105)내에 끼움 설치할때 목형(1)(101)이 차지한 공실 내에 통상의 주사를 충입한 후 애폭시 수지액으로 고형화 시킴으로서 중자 주사 금형(6A) 및 외각 주사 금형(12A)의 표면이 전기한 실리콘 고무층(2)에 의해 윤활면이 되어짐을 특징으로 한 주조용 주사 금형의 조형 방법.
KR1019960003682A 1996-02-13 1996-02-13 주조용 주사금형의 조형방법 KR100205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3682A KR100205967B1 (ko) 1996-02-13 1996-02-13 주조용 주사금형의 조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3682A KR100205967B1 (ko) 1996-02-13 1996-02-13 주조용 주사금형의 조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399A KR970061399A (ko) 1997-09-12
KR100205967B1 true KR100205967B1 (ko) 1999-07-01

Family

ID=19451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3682A KR100205967B1 (ko) 1996-02-13 1996-02-13 주조용 주사금형의 조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596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850A (ko) * 2000-05-03 2000-08-05 계충식 무발포 우레탄 입체부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0007307A (ko) * 2002-12-09 2003-01-23 전광명 나무질감을 살린 성형물을 갖는 벽걸이 및 그 제조방법
KR100667355B1 (ko) 2005-05-06 2007-01-10 오병춘 몰타르를 위한 성형틀의 제조방법 및 그 성형틀
KR101656282B1 (ko) * 2016-03-16 2016-09-09 주식회사 진보 보강층을 가지는 수지 금형 및 그 제조방법
CN108044037A (zh) * 2017-12-23 2018-05-18 安徽鑫宏机械有限公司 一种石膏砂型复合熔模型壳铸造工艺
KR20200046893A (ko) * 2018-10-26 2020-05-07 배철호 대형 입체조형물 제작을 위한 실리콘 몰드 제조방법 및 실리콘 몰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079A (ko) * 2000-10-30 2001-03-05 박종탁 주물사 성형용 형틀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850A (ko) * 2000-05-03 2000-08-05 계충식 무발포 우레탄 입체부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0007307A (ko) * 2002-12-09 2003-01-23 전광명 나무질감을 살린 성형물을 갖는 벽걸이 및 그 제조방법
KR100667355B1 (ko) 2005-05-06 2007-01-10 오병춘 몰타르를 위한 성형틀의 제조방법 및 그 성형틀
KR101656282B1 (ko) * 2016-03-16 2016-09-09 주식회사 진보 보강층을 가지는 수지 금형 및 그 제조방법
CN108044037A (zh) * 2017-12-23 2018-05-18 安徽鑫宏机械有限公司 一种石膏砂型复合熔模型壳铸造工艺
KR20200046893A (ko) * 2018-10-26 2020-05-07 배철호 대형 입체조형물 제작을 위한 실리콘 몰드 제조방법 및 실리콘 몰드
KR102212839B1 (ko) * 2018-10-26 2021-02-05 배철호 대형 입체조형물 제작을 위한 실리콘 몰드 제조방법 및 실리콘 몰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399A (ko) 199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5967B1 (ko) 주조용 주사금형의 조형방법
JP2010234437A (ja) シリンダブロック製造方法およびダミーライナ並びにダミーライナ鋳造方法
JPH09216046A (ja) 内燃機関のシリンダブロック製造方法
US5690159A (en) Casting apparatus and casting method for producing cylinder block
DK0625386T3 (da) Præcisionsstøbemetode til fremstilling af støbeemner
KR100236376B1 (ko) 냉각봉을 구비한 수지금형 및 그의 제조방법
KR970014972A (ko) 에폭시 수지를 이용한 사출금형 제조방법
KR20190066236A (ko) 솔트 코어
CN219233908U (zh) 一种防壳体端部坡口处缩孔的浇铸模具
JP2603085B2 (ja) 鋳造用中子
JP2741283B2 (ja) 成形型の製造方法
KR100405700B1 (ko) 중공 캠축의 주조방법
KR100529972B1 (ko) 주물구멍의형성방법과주물구멍형성용코어구조물및코어구조물용지지체
JP2711923B2 (ja) 射出成形型の製造方法
KR950031310A (ko) 실리콘과 에폭시로 구성된 진공 주형용 몰드와 그 제조방법
JPS6339053Y2 (ko)
JPH02276612A (ja) 射出成形法及び複合プラスチックロータ
KR100237813B1 (ko) 금형 제조방법
KR20040043803A (ko) 알루미늄 실린더 블록 주조방법
JP2613075B2 (ja) 空洞を有する鋳物の製造方法
KR100240581B1 (ko) 파워 스티어링 오일펌프 하우징 제조방법
JP2000084954A (ja) ポリアミド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KR950004232B1 (ko) 자동차용 육각형 중공캠축과 이 캠축을 주조하는 제조방법
KR20030026467A (ko) 고강도 판수지재 마스터 모델을 이용한 주물 제조 방법
JPH0425206A (ja) フィード導波管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