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7355B1 - 몰타르를 위한 성형틀의 제조방법 및 그 성형틀 - Google Patents

몰타르를 위한 성형틀의 제조방법 및 그 성형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7355B1
KR100667355B1 KR1020050037983A KR20050037983A KR100667355B1 KR 100667355 B1 KR100667355 B1 KR 100667355B1 KR 1020050037983 A KR1020050037983 A KR 1020050037983A KR 20050037983 A KR20050037983 A KR 20050037983A KR 100667355 B1 KR100667355 B1 KR 100667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p
synthetic resin
soft synthetic
mold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7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병춘
Original Assignee
오병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병춘 filed Critical 오병춘
Priority to KR1020050037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73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7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7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34Moulds, cores, or mandrels of special material, e.g. destructible materials
    • B28B7/346Manufacture of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34Moulds, cores, or mandrels of special material, e.g. destructible materials
    • B28B7/348Moulds, cores, or mandrels of special material, e.g. destructible materials of plastic material or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36Linings or coatings, e.g. removable, absorbent linings, permanent anti-stick coatings; Linings becoming a non-permanent layer of the moulded article
    • B28B7/364Linings or coatings, e.g. removable, absorbent linings, permanent anti-stick coatings; Linings becoming a non-permanent layer of the moulded article of plastic material or rub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멘트 또는 석회 등의 몰타르를 이용하여 성형품을 제조하기 위한 성형틀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한 성형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세 문양 연출력과 색상 표현력이 뛰어난 연질의 합성수지(예: 실리콘 또는 우레탄수지)와 형상변형방지 기능면에서 탁월한 FRP 소재를 병합하여 형틀을 제조할 경우 상호 접착력이 없는 두 소재 사이의 접착을 위하여 직포 또는 부직포층을 개재시키는 몰타르를 위한 성형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몰타르를 위한 성형틀의 제조방법은 (a) 마스터 제조단계; (b) 상기 마스터에 연질합성수지를 도포하는 연질합성수지층 형성단계; (c) 직포 또는 부직포의 일면에 상기 연질합성수지가 일정 깊이 스며들도록 도포한 후, 상기 연질합성수지 도포면이 상기 (b)단계의 연질합성수지층 상면부와 접촉하도록 위치시키는 직포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중개층 형성단계; 및 (d) FRP 레진 도포와 FRP박편(薄片)의 부착과정을 반복하여 이루어지는 FRP레진-FRP박판 혼성층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몰타르, 시멘트, 형틀, 실리콘, 우레탄, FRP, 경화, 부직포, 직포

Description

몰타르를 위한 성형틀의 제조방법 및 그 성형틀{MANUFACTURING METHOD FOR MORTAR MOLD AND THAT MOL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몰타르를 위한 성형틀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성형틀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성형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목형 20: 연질합성수지층
30: 중개층 40,41,42,43,44,45: FRP 레진층
50,51,52,53,54,55: FRP 박판층
본 발명은 시멘트 또는 석회 등의 몰타르를 이용하여 성형품을 제조하기 위한 성형틀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한 성형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세 문양 연출력과 색상 표현력이 뛰어난 연질의 합성수지(예: 실리콘 또는 우레탄수지)와 형상변형방지 기능면에서 탁월한 FRP 소재를 병합하여 형틀을 제조할 경우 상호 접착력이 없는 두 소재 사이의 접착을 위하여 직포 또는 부직포층을 개재시키는 몰타르를 위한 성형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생블록, 테라조, 보도블록, 인조대리석, 토목·건축용 거푸집패널, 화분 등의 제조를 위한 금형으로 금속을 사용할 경우에는 몰타르와의 접착력이 높다는 문제와 금형자체의 무게로 인하여 운반과 조작성이 떨어져 바람직하지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합성수지 소재의 형틀이 개발되어 왔는데, 그 예로는 먼저
우레탄과 관련된 특허공개 제1998-0007189호(1998.08.26) 『타일용 금형의 우레탄 코팅방법』,
실리콘과 관련된 특허공개 제1984-0002288호(1984.06.25) 『모의 자연석 제조용 형틀의 제조방법』,
실리콘과 관련된 특허공개 제1999-0075850호(1999.10.15) 『건축용 벽재 제조용 형틀의 제조방법』, 및
우레탄과 관련된 특허공개 제1995-0000610호(1995.01.03) 『건축용 벽재 제조용 우레탄 형틀의 제조방법』과 같이 연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한 형틀에 대한 것들이 있다.
실리콘이나 우레탄과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한 형틀은 생산성이 높고 가벼움으로 인하여 다루기가 쉬운 반면에, 경직성이 떨어져 섬세한 문양의 표현이 어렵고 정확한 규격 제어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 다른 합성수지 소재의 형틀로서 FRP 소재의 금형과 관련된 것으로 특허공개 제1984-0002688호(1984.07.16) 『타일제조용 유압프레스 금형 제작방법』이 있는데, 다양한 문양 연출이 가능한 FRP 형틀의 문제는 섬세한 문양 구현이 어렵고 색상을 성형품에 전이시키는 경우 도료가 모두 성형품에 부착되지 않고 FRP 형틀에 남는다는 문제를 갖는다. 또 FRP 형틀은 반복된 사용으로 인하여 요철부위가 쉽게 닳게 된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실리콘이나 우레탄과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와 FRP와 같은 경질의 합성수지의 장점을 모두 취하고자 성형품과 접촉하는 면에는 연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하고 그 외측에는 FRP를 사용한 형틀이 현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복합 형틀의 문제점은 연질의 합성수지와 FRP를 견고히 접착시키는 것이 어렵고, 이에 따라 반복된 형틀의 사용과정에서 연질의 합성수지가 파손되는 현상이 빈발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몰타를 위한 금속재 형틀의 대안으로 제시된 각종 합성수지 형틀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연질의 합성수지와 경질의 FRP 박판의 상호 결합을 위하여 부직포 또는 직포로 이루어진 중개층을 개재시키고, 특히 미리 상기 중개층을 이루는 부재에 미리 연질의 합성수지이 일정 깊이로 스며들도록 도포 한 후 적층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몰타르를 위한 성형틀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한 성형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안정적인 성형틀의 제조를 위하여 FRP 레진과 FRP 박판의 적층과정 중 적절한 시기에 경화과정을 도입한 성형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몰타르를 위한 성형틀의 제조방법은 (a) 마스터 제조단계; (b) 상기 마스터에 연질합성수지를 도포하는 연질합성수지층 형성단계; (c) 직포 또는 부직포의 일면에 상기 연질합성수지가 일정 깊이 스며들도록 도포한 후, 상기 연질합성수지 도포면이 상기 (b)단계의 연질합성수지층 상면부와 접촉하도록 위치시키는 직포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중개층 형성단계; 및 (d) FRP 레진 도포와 FRP박편(薄片)의 부착과정을 반복하여 이루어지는 FRP레진-FRP박판 혼성층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몰타르(mortar)는 사전적인 의미의 것 뿐 아니라 화분 등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점토 또는 용융 합성수지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에 해당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원하는 식생블록, 보도블록, 인조대리석, 토목·건축용 거푸집패널, 연립주택이나 아파트 등의 외벽 장식을 위한 장식부재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콘크리트 또는 석회 등의 몰타르 성형품의 형상에 맞는 마스터(master, 목형)(10)를 제조한다(S10).
도 2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틀의 적층구조 파악이 보다 용이하도록 평면형태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으로 (b) 상기 마스터(10)에 연질합성수지를 도포하는 연질합성수지층(20) 형성단계(S20)를 거치는데, 상기 연질합성수지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일 수 있다.
상기 연질합성수지는 실리콘을 선택하여 사용할 경우 섬세한 문양의 표현에 적합하고 성형품으로의 색상 전이가 우수하며, 우레탄을 사용할 경우 유로폼 등의 건축용 거푸집과 같이 단가경쟁력을 필요로 하는 성형틀 제조를 위하여 적합하다.
상기 연질합성수지층(20)의 두께는 원한는 문양의 섬세성, 요철부의 깊이 등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으며, 대략 3~15mm일 수 있다.
이어서 (c) 연질합성수지층(30)과 FRP 층(41) 사이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직포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중개층(30)을 도입하는데(S30), 특히 본 발명에서는 연질합성수지층(30)과 FRP 층(41)의 보다 완벽한 결합을 위하여 미리 직포 또는 부직포의 일면에 상기 연질합성수지가 일정 깊이, 예를 들어 반 정도의 깊이 스며들도록 도포한 후, 상기 연질합성수지 도포면이 상기 (b)단계(S20)의 연질합성수지층(20) 상면부와 접촉하도록 위치시키는 방법을 착안하였다.
상기 직포 또는 부직포는 조직이 조밀하여 부드럽지 않고 거친 것이 바람직한데 단가경쟁력과 중개 결합력을 고려할 때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중개층의 형성(S30)이 완료되면 이후의 FRP레진-FRP박판 혼성층 형성단계(S40) 이전에 (c1) 경화단계(S35)를 거침으로써 성형틀의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한데, 경화시간은 6 내지 12시간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d) FRP 레진 도포와 FRP박편(薄片)의 부착과정을 반복하여 이루어지는 FRP레진-FRP박판 혼성층(40)(50) 형성단계(S40)가 진행된다.
상기 FRP 레진은 예를 들어 애경화학의 제품번호 NA-104 또는 NA-105 등 NA 계열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FRP 레진의 도포는 소형 롤러 또는 붓을 이용하여 기포 발생이 되지 않도록 하는 세밀함을 필요로 하며, 직포 또는 부직포에 충분히 스며들도록 하여야 한다. 여기서 '충분히' 라 함은 결국 직포 또는 부직포에서 연질합성수지 함침층과 접촉할 정도라는 의미이다.
이어서 FRP박판 층을 형성하여야 하는데 원하는 문양의 세밀성과 요철부위에 따라 FRP 층이 단절되지 않고 마스터의 표면적 전체를 덮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정형(定形) 또는 부정형(不定形) FRP 박편(薄片)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스터(10)의 문양을 형성하는 요철의 세밀함에 상응하는 FRP박판층 형성을 위하여 FRP 박판, 즉 FRP 박편의 두께는 얇을 수밖에 없는데, 예를 들어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1mm 이하의 FRP 박편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1mm 이하의 FRP 박판을 사용할 경우 FRP레진-FRP박판 혼성층의 기능인 성형틀(M)의 형상유지력을 보장하기 위하여 다층의 FRP레진-FRP박판 혼성층이 형성될 수밖에 없다.
이 경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성층(40)(50)의 적층과 경화단계가 반복되어 제조된 성형틀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d1)FRP레진-FRP박판 혼성층을 제1 내지 제4층 형성하는 단계(S41), (d2)경화단계(S42), (d3)FRP레진-FRP박판 혼성층을 제2 내지 제8층 형성하는 단계(S43), (d4)경화단계(S44), (d5)FRP레진-FRP박판 혼성층을 제3 내지 제12층 형성하는 단계(S45), (d6)경화단계(46)가 반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화단계(S42)(S44)(S46)의 소요시간은 FRP 레진에 포함된 경화제의 양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각 경화단계는 1 내지 4시간 소요된다.
도 2에는 총 5층의 FRP레진-FRP박판 혼성층(40)(5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처음 제1층(41)(51)을 형성한 후(S41) 제1 경화단계(S42)를 거치고, 이어서 제2 및 제3층(42,52)(43,53)을 형성한 후(S43) 제2 경화단계(S44)를 거쳐, 마지막으로 제4 및 제5층(44,54)(45,55)을 형성한 후 (S45) 제3 경화단계(S46)를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은 제조공정을 거쳐 형성된 성형틀(M)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내부의 연질합성수지층(20), 직포 또는 부지포로 이루어진 중개층(30), 그리고 FRP레진-FRP박판 혼성층(40)(50)이 차례로 적층되어 이루어져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몰타르를 위한 성형틀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한 성형틀은 연질의 합성수지와 경질의 FRP 박판의 상호 결합을 위하여 부직포 또는 직포로 이루어진 중개층을 개재시키고, 특히 미리 상기 중개층을 이루는 부재에 미리 연질의 합성수지이 일정 깊이로 스며들도록 도포 한 후 적층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또 본 발명은 안정적인 성형틀의 제조를 위하여 FRP 레진과 FRP 박판의 적층과정 중 적절한 시기에 경화과정을 도입함으로써 상호 접착력이 없는 연질 합성수지층과 FRP 혼성층 사이의 결합력과 성형틀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공정과 구조를 갖는 제조방법 및 성형틀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a) 마스터 제조단계;
    (b) 상기 마스터에 연질합성수지를 도포하는 연질합성수지층 형성단계;
    (c) 직포 또는 부직포의 일면에 상기 연질합성수지가 일정 깊이 스며들도록 도포한 후, 상기 연질합성수지 도포면이 상기 (b)단계의 연질합성수지층 상면부와 접촉하도록 위치시키는 직포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중개층 형성단계; 및
    (d) FRP 레진 도포와 FRP박편(薄片)의 부착과정을 반복하여 이루어지는 FRP레진-FRP박판 혼성층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몰타르를 위한 성형틀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d1)FRP레진-FRP박판 혼성층을 제1 내지 제4층 형성하는 단계;
    (d2)경화단계;
    (d3)FRP레진-FRP박판 혼성층을 제2 내지 제8층 형성하는 단계;
    (d4)경화단계;
    (d5)FRP레진-FRP박판 혼성층을 제3 내지 제12층 형성하는 단계; 및
    (d6)경화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타르를 위한 성형틀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 이후로
    (c1) 경화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타르를 위한 성형틀의 제조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연질합성수지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타르를 위한 성형틀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따라 제조되며,
    가장 내부의 연질합성수지층,
    직포 또는 부지포로 이루어진 중개층, 그리고
    FRP 레진-FRP박판 혼성층이 차례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몰타르를 위한 성형틀.
  6. 삭제
KR1020050037983A 2005-05-06 2005-05-06 몰타르를 위한 성형틀의 제조방법 및 그 성형틀 KR100667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983A KR100667355B1 (ko) 2005-05-06 2005-05-06 몰타르를 위한 성형틀의 제조방법 및 그 성형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983A KR100667355B1 (ko) 2005-05-06 2005-05-06 몰타르를 위한 성형틀의 제조방법 및 그 성형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7355B1 true KR100667355B1 (ko) 2007-01-10

Family

ID=37867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7983A KR100667355B1 (ko) 2005-05-06 2005-05-06 몰타르를 위한 성형틀의 제조방법 및 그 성형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73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780B1 (ko) * 2009-05-06 2010-08-04 박경남 콘크리트 건축 부재의 성형틀 제조방법 및 그 성형틀
CN105108890A (zh) * 2015-09-09 2015-12-02 嘉兴市巴斯夫机械有限公司 人造洞石砖复合塑料模
CN110774426A (zh) * 2019-10-30 2020-02-11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玻璃钢模具表面处理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9271U (ko) * 1985-01-17 1986-08-08 이승희 헬멧용 몰드(mold)
JPH0542553A (ja) * 1991-08-13 1993-02-23 Daito:Kk マネキン人形、ボデイーの製造方法
JPH0839999A (ja) * 1994-07-29 1996-02-13 Minoru Takehara 二重構造枠部に熱砂を注入することなどを特徴とした 紙塑工芸品の製作方法
KR100205967B1 (ko) 1996-02-13 1999-07-01 박종탁 주조용 주사금형의 조형방법
KR20000049850A (ko) * 2000-05-03 2000-08-05 계충식 무발포 우레탄 입체부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08509Y1 (ko) 2002-12-26 2003-03-26 변경진 시멘트 블럭 성형을 위한 3중 성형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9271U (ko) * 1985-01-17 1986-08-08 이승희 헬멧용 몰드(mold)
JPH0542553A (ja) * 1991-08-13 1993-02-23 Daito:Kk マネキン人形、ボデイーの製造方法
JPH0839999A (ja) * 1994-07-29 1996-02-13 Minoru Takehara 二重構造枠部に熱砂を注入することなどを特徴とした 紙塑工芸品の製作方法
KR100205967B1 (ko) 1996-02-13 1999-07-01 박종탁 주조용 주사금형의 조형방법
KR20000049850A (ko) * 2000-05-03 2000-08-05 계충식 무발포 우레탄 입체부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08509Y1 (ko) 2002-12-26 2003-03-26 변경진 시멘트 블럭 성형을 위한 3중 성형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780B1 (ko) * 2009-05-06 2010-08-04 박경남 콘크리트 건축 부재의 성형틀 제조방법 및 그 성형틀
CN105108890A (zh) * 2015-09-09 2015-12-02 嘉兴市巴斯夫机械有限公司 人造洞石砖复合塑料模
CN110774426A (zh) * 2019-10-30 2020-02-11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玻璃钢模具表面处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360117A1 (en) Flooring using pvc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flooring
KR20080070345A (ko) 다양한 외관 디자인을 갖는 인조석 및 이의 제조방법
GB2509757A (en) Reinforced three-dimensionally printed form
KR100667355B1 (ko) 몰타르를 위한 성형틀의 제조방법 및 그 성형틀
RU2430830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делий, имитирующих природный камень
US20100133725A1 (en) Mold With Reinforced Hinge
EP1742807A2 (en) Method to produce a covering modular panel, and modular panel thus obtained
KR20060052946A (ko) 얇고, 층상으로 형성된 보강된 슬래브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2828599A (zh) 马赛克瓷砖、其制作方法和制作模具
KR101238119B1 (ko) 표면 장식 무기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7078899A1 (en) Flat mold for corner-shaped simulated stone products
EP2055456A2 (en) Flat mold for stone products
KR100973780B1 (ko) 콘크리트 건축 부재의 성형틀 제조방법 및 그 성형틀
CN110788972B (zh) 用于混凝土结构的多曲面造型衬模的制造方法
JPH08197518A (ja) 無機系内外装化粧板及びその製造方法
ITTV20010081A1 (it) Pannello composto da una lastra strutturale di fibroresina e da una lastra decorativa di materiale lapideo o ceramico
CN201735143U (zh) 玻璃钢乒乓球桌及篮球板
KR100585385B1 (ko) 개선된 강화플라스틱 성형틀의 구조
JPH06170820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化粧板
JP4377179B2 (ja) 無機質化粧板の製造方法
JPH02102002A (ja) 複合コンクリート製品の製造装置
CN111622455A (zh) 一种连纹装饰用地砖及其制备方法
JPH0492045A (ja) 天然石模様成型板の製造・成型方法
ITUB20155276A1 (it) Processo di fabbricazione di un pannello decorativo accoppiato con un pannello in materiale isolante fibroso
JPH10102723A (ja) 砂岩割肌模様のある外装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