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4101B1 - 화상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화상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4101B1
KR100204101B1 KR1019910003180A KR910003180A KR100204101B1 KR 100204101 B1 KR100204101 B1 KR 100204101B1 KR 1019910003180 A KR1019910003180 A KR 1019910003180A KR 910003180 A KR910003180 A KR 910003180A KR 100204101 B1 KR100204101 B1 KR 100204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cessing
image
information
output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3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6606A (ko
Inventor
스즈끼마사도
이나바히로미
다께나가히로시
야마자끼마시지까
오누마나오도
나가무라기요시
사가이요시오
요네다겐지
나가다나오후미
가사이쇼지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49311A external-priority patent/JP286577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61287A external-priority patent/JP266230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도무
Publication of KR910016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6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4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4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58For elevator systems with multiple shafts and a single car pe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76Load weighing or car passenger coun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10Details with respect to the type of call input
    • B66B2201/102Up or down call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22Taking into account the number of passengers present in the elevator car to be alloc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ome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케이지내 또는 엘리베이터홀의 화상을 촬영수단에 의하여 집어 넣고, 사람이 없을 때의 배경화상과의 비교에 의하여 대기손님인원수를 검출한다. 이 제1의 화상처리수단과 동일한 화상정보를 입력하는 보다 고정밀도의 제2의 화상처리수단이 준비되고, 그 출력인 교사정보와 제1의 화상처리수단의 출력이 비교되고, 불일치일 때는 제1의 화상처리 수단의 화상처리상의 파라미터, 예를 들면, 화상처리 알고리즘상에 사용되는 정수, 한계치, 가중치계수를 조정한다.

Description

화상처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처리장치의 기본개념을 표시하는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의 일부의 상세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처리장치를 군(群)관리 엘리베이터에 적용하여 표시하는 전체구성 블럭도.
제4도는 제3도의 주요부의 상세구성 블럭도.
제5도는 엘리베이터홀에서 대기손님을 검출하는 검출기의 배치상황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6도는 촬영화면의 한예를 표시하는 도면.
제7도는 촬영화면으로 부터 대기손님수를 구하는 화상처리 설명도.
제8도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통괄장치의 화상 처리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제9도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 알고리즘상의 파라미터를 수정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
제10도는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 알고리즘상의 파라미터를 수정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
제11도는 파리미터 수정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제12도는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 알고리즘상의 파라미터를 수정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
제13도는 하중검출기를 사용하여 엘리베이터의 홀 대기손님수에 대한 교사(teacher)정보를 발생하는 수단의 동작설명도.
제14도는 교사정보를 발생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제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뉴럴네트워크의 채용의 화상처리가 장치군관리(群管理)엘리베이터의 대기손님을 검출하는 검출기로 사용되였던 시스템의 주요 배치를 나타내는 개략 블럭도.
제16도는 뉴럴네트워크에 의한 화상처리의 설명도.
제17도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331)의 상세 블럭도.
제18도는 화상처리장치(331)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제19도는 또 다른 한 실시예에 화상처리장치(331)의 개략 블럭도.
제20도 및 제21도는 제19도에 나타난 화상처리장치의 화상처리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 전송로 14 : 제어장치
15 : 교사정보발생부 16 : 조도검출수단
17 : 시간출력수단 18 : 상황판단수단
20 : 군관리제어장치 23 : 화상통괄장치
24 : 시리얼전송로 51 : 일점쇄선
52, 53 : 점선 56 : 타이머
본 발명은, 화상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군관리 엘리베이터의 대기손님수검출에 사용하는 바람직한 화상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정보를 처리하여 물체를 검출하는 장치로서, 종래로부터 각종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를 대상으로 한 교통량 계측시스템으로서, 전자통신학회논문지 '85/3 Vo ℓ. J68-DNo. 3 제 308면∼제315면(문헌1)에는, 고속도로 상방으로부터 촬영한 화상을 각종정수(파라미터)의 정하여진 알고리즘에 의하여 처리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 사람의 유동을 계측하는 장치로서는, 전자통신학회논문 IE80-73(1980.11)(문헌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우선 학습에 의하여 화상처리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각종 한계치나 가중치를 결정하고, 그 결과를 사용하여 화상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특개평 1-241667호 공보(문헌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음성인식기술에 뉴럴네트워크를 사용할 경우에, 학습모드에 있어서는, 정답을 알고있는 음성패턴을 입력하고, 준비된 정답과의 차를 없애는 방향으로, 하중(결합)계수를 수정하여 가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어느것이나, 처리결과에 대한 정답이 명백한 입력패턴을 다수 준비하고, 이것들을 반복하여 입력하고, 그 정답을 얻을 수가 있도록 학습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준비된 입력패턴에 대하여 정답이 얻어지도록 되었어도, 입력정보가 얻어지는 환경에, 당초 예측할 수 없는 변화가 생겼을 경우 등에는 추종할 수 없는 것이 있었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배경의 변화 등이 가하여지면, 이것에 추종하지 않고 잘못된 출력을 발생하는 화상처리장치가 있었다.
본 발명은, 실가동상태에서의 화상정보대상물에 있어서의 환경의 변화에도 추종하여 정확한 처리출력을 얻을 수 있는 화상처리장치를 제공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군관리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이용손님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호출에 대하여 효율이 높은 군관리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면에 있어서는, 화상처리수단에 있어서의 피처리화상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처리결과에 대한 교사(teacher)정보를 발생하는 수단과, 이 교사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처리 알고리즘 또는 그 파라미터를 수정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있어서, 화상처리수단의 출력을 이용하여 피제어대상을 제어하는 수단과, 상기 화상처리수단의 출력에 대한 교사정보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화상처리수단의 출력과, 상기 제어수단으로 부터의 정보를 입력하여 그것이 이상한 관계로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교사정보 발생수단에 기동지령을 발생하는 수단과, 이 교사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처리수단의 처리알고리즘 또는 이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수정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여기서, 파라미터라는 것은, 알고리즘상에 사용되는 정수, 한계치, 가중치계수 등을 총칭하는 것이다.
화상처리수단은 입력되는 화상정보를 처리하고, 그 처리결과를 필요로 하는 제어장치에 대하여 출력한다.
교사정보 발생수단으로서는, 상기 화상처리수단으로 처리하는 화상정보와 같은 화상정보를 입력하여 처리하는, 보다 고정밀도의 화상처리수단 혹은 화상 이외의 정보를 입력하여 전혀 다른 원리에 의하여 동종의 출력을 얻는 검출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화상처리수단의 출력과 상기 교사정보 발생수단의 출력을 비교하고, 예를 들면, 이 비교결과가 불일치일 경우에 상기 교사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처리수단의 알고리즘 혹은 그 알고리즘으로 사용하고 있는 각종 한계치나 가중치계수 등의 파리미터를 수정하도록 동작한다.
일반적으로, 간이성이나 고속처리성이 요구되는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는, 화상정보대상물에 있어서의 환경의 변화, 예를 들면 조명의 입사광의 유무, 배경의 변화, 인원수 검출에 사용하였을 때의 경우에 있어서의 계절에 의한 복장의 변화 및 혼잡도 등에 수반하여 오차가 생기기 쉽다.
이것에 대하여, 난이도가 높은 처리를 행하고, 고속성도 요구되지 않는 고도의 화상처리를 행하는 것에 있어서는, 상기 환경의 변화가 있어도 오차가 생기기 어렵다.
따라서, 전자를 온라인에서 사용하는 화상처리수단으로서 사용하고, 후자를 상기 교사정보 발생수단으로서 사용하면, 화상처리수단의 처리 알고리즘을 온라인에서 성장시킬 수가 있고, 보다 정확한 화상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기타의 본 발명의 목적, 구성 및 작용에 관해서는 아래에 설명하는 실시예에 의하여 명백하게 된다.
우선, 본 발명의 기본개념구성을 제1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복수의 촬영수단(111∼11n)으로 촬영한 화상정보를, 각각 화상처리장치(121∼12n)로 처리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정보(a1∼an)를 전송로(13)를 사이에 두고 제어장치(14)에 입력한다.
이 제어장치(14)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제어장치이다.
또, 상기 정보(a1∼an) 및, 제어장치(14)의 가동상황을 표시하는 정보(14a)를 교사정보 발생부(15)의 이상정보검출수단(151)으로 입력한다.
상기 이상정보검출수단(151)의 출력(151a) 및 제어장치(14)의 출력정보(14a)는 교사정보발생부(15)의 교사정보 발생수단(152)에 입력되고, 이 교사 정보 발생수단(152)의 출력정보(152a)는 상기 화상처리장치(121∼12n)에 입력된다.
한편, 상기 정보(a1∼an)와 조도검출수단(16)의 출력(16a) 및 시간출력수단(17)의 출력(17a)을 상황판단수단(18)에 입력하고, 이 상황판단수단(18)의 출력(18a)을 상기 화상처리장치(121∼12n)에 입력한다.
아래에서, 화상처리장치(121)를 예를 들어 동작을 설명한다.
촬영수단(111)으로 촬영한 화상정보(b1)는, 화상처리장치(121)의 화상처리수단(1211)에 입력되어 처리된다.
이 처리는, 계수테이블(1212)에 격납된 데이터를 사용하고, 피검출물체의 수(數)나 형상 등의 특징에 관한 정보 혹은 2진화 등의 처리를 시행한 처리정보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 처리정보(a1)를 사용하여, 제어장치(14)는 피제어대상을 최적으로 제어한다.
한편, 제어장치(14)는 현시점에 있어서의 제어대상의 상황을 표시하는 정보(14a)를 출력한다. 상기 화상처리수단(1211)의 처리정보(a1)는, 이상정보검출수단(151)에 입력되고, 상기 제어대상의 상황을 표시하는 정보(14a)와 비교되어 정보의 감시가 행하여 진다.
즉, 이상정보검출수단(151)은, 제어대상의 상황에 대하여, 화상처리수단(1211)의 처리결과가 합치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이 결과가 불일치의 경우, 이상정보검출수단(151)은, 화상처리수단(1211)의 처리정보(a1)와, 이 정보(a1)가 이상인 것을 표시하는 신호, 또는 이 정보(a1)의 근원으로 된 화상정보(b1)를 포함하는 정보(151a)를 교사정보발생수단(152)에 출력한다.
교사정보발생수단(152)은, 상기 정보(151a)에 포함되는 이상 정보(a1) 및 화상정보(b1)를 상세하게 분석하고, 상기 촬영수단(111)으로 촬영한 화상정보(b1)에 대응하는 정확한 처리정보(이하, 교사정보라고 부른다)(152a)를 얻는다.
이 교사정보(152a)는 화상처리장치(121)의 학습수단(1213)으로 출력된다.
학습수단(1213)은 상기 교사정보(152a)를 사용하여, 화상처리수단(121)으로 사용하는 화상처리 알고리즘 혹은, 이 알고리즘에서 사용하는 각종 한계치나 하중계수의 정확한 값을 구하고, 이들의 계수를 격납하고 있는 계수테이블(1212)의 내용을 수정한다.
또, 교사정보발생수단(152)은, 이상정보검출수단(151)의 출력정보(151a)에 응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제어장치(14)의 제어상황을 표시하는 정보(14a)로 부터 교사정보(152a)를 얻을 수도 있다(후술).
상황판단수단(18)은 화상처리수단(1211)의 출력정보(a1), 조명도검출수단(16)의 출력정보(16a) 혹은 시간출력수단(17)의 출력정보(17a)에 의하여, 촬영수단(111)이 노린 촬영영역의 환경을 판단하고, 계수테이블(1212)에 대하여 계수선택정보(18a)를 출력한다.
이 상황판단수단(18)의 작용을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화상처리장치(121)를 중심으로 하는 요부상세구성도이다.
이 화상처리장치(121)에 복수의 계수테이블(191, 192, …, 19n)을 설치하고, 상황판단수단(18)의 출력정보(18a)에 의하여 상기 계수테이블중에서 최적한 것을 선택한다.
여기서, 상황판단수단(18)은, 화상처리수단(1211)의 출력정보(a1)로 부터, 대략적인 정보, 예를 들면 피검출물체의 화면내를 점유하는 비율이 큰지 작은지, 혹은 조명도검출수단(16)의 출력정보(16a)에 의하여, 조명(입사광도 포함)은 밝은가 어두운가, 혹은 시간출력수단(17)의 출력정보(17a)에 의하여 야간인가 주간인가, 또, 계절은 여름인가 겨울인가, 등을 판단하고, 이것들의 환경정보에 합치한 계수테이블을 선택하는 계수선택정보(18a)를 출력한다.
또한, 학습수단(1213)은 상기 교사정보(152a)에 의하여 현재 사용중의 계수테이블로의 기억내용 혹은 공통적인 계수에 관해서는 전부의 계수테이블의 기억내용을 수정한다.
지금, 본 발명에 의한 화상처리장치를 군관리엘리베이터에 적용한 한 실시예에 관하여, 제3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4대의 엘리베이터를 통괄제어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한다.
군관리제어장치(20)와 각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211∼214)와 표시기제어장치(221∼224)와 화상총괄장치(23)를, 시리얼전송로(24)에 멀티드롭(multi-drop)으로 접속한다.
각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211∼214)에 접속되는 한쪽의 시리얼 전송로(251∼254)에는 홀에 설치되는 호출푸시버튼스위치(261∼264)등의 표준입출력기기를 접속한다.
다른 한편의 시리얼전송로(271∼274)에는 케이지(281∼284)내의 조작반(291∼294)을 각각 접속한다.
또, 표시기제어장치(221∼224)에 접속되는 전송로(301∼304)에는 빌딩의 n층과 m층에 설치하는 화상처리장치(331∼338)를 접속한다.
마찬가지로 화상통괄장치(23)에 접속되는 시리얼전송로(321-324)에는 n층 및 m층에 설치하는 화상처리장치(331-338)를 접속한다.
각 화상처리장치(331∼338)에는, 각각 촬영수단(341∼348)을 접속한다. 또, 다른 시리얼전송로(325)에는 각 케이지내에 설치하는 화상처리장치(3391∼3394)를 접속한다.
각 화상처리장치(3391∼3394)에는, 각각 촬영수단(3491∼3494)을 접속한다. 351∼354는, 각 케이지에 설치된 하중검출수단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의 동작에 관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군관리제어장치(20)는 홀에 설치되는 호출푸시버튼스위치(261∼264) 및 케이지내 조작반(291∼294)의 정보를 각 엘리베이터제어장치(211∼214)를 사이에 두고 수신한다.
또, 군관리제어장치(20)는, n층 m층에 설치한 화상처리장치(331∼338)에서 검출한 대기손님수와 케이지에 설치한 화상처리자치(3391∼3394)에서 검출한 케이지내 승객수를 화상통괄장치(23)를 사이에 두고 수신하고, 이것들의 정보에 의거한 엘리베이터의 운행제어를 행한다.
표시기제어장치(221∼224)는 n층 및 m층의 표시기(311∼318)에 안내정보를 출력하고, 대기손님에 대한 서비스향상을 도모한다.
상기 화상처리장치(331∼338 및 3391∼3394)는, 처리속도, 전송속도 및 소프트의 간략화의 형편상, 간편하고 거친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한다.
엘리베이터제어장치(211∼214)는 상기 군관리제어장치(20)의 지령에 의거한 엘리베이터의 운전제어와 각층 및 케이지내에 설치된 입출력기기에 대한 제어를 행한다.
제4도는, 제3도에 있어서의 화상통괄장치(23)를 중심으로 하는 요부상세 구성도이다.
화상처리장치(331)는 화상입력부(3311), 화상처리부(3312), 전송처리부(3313)로 이루어 진다.
화상입력부(3311)는 촬영수단(341)으로 부터 출력되는 화상정보(아날로그량)를 디지탈량으로 변환한다. 화상처리부(3312)는, 이 디지탈량에 의거하여 홀안에 있는 대기손님수를 검출한다.
즉, 사람이 없는 시점에서 집어넣은 배경화상과, 이후, 임의의 시점에서 집어넣은 화상정보와의 관계로 부터 그 화상정보내에 존재하는 사람의 수를 구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 처리는, 온라인제어에 사용하기 때문에 고속성이 요구되고, 따라서 조잡 처리라고 말할 수 있다.
전송처리부(3313)는 상기와 같이하여 구한 대기손님정보를 소정의 포맷에 따라서 화상통괄장치(23)로 송신한다. 이 화상통괄장치(23)는, 제1도에 있어서의 교사정보발생부(15)에 대응하는 것이다. 이 화상통괄장치는, 각 화상처리장치(331∼338 및 3391∼3394)로부터, 전송처리부(231∼235)를 사이에 두고, 인원정보를 수신한다. 화상처리부(236)는, 수신한 정보를 정리하고, 전송처리부(237)를 사이에 두고 군관리제어장치(20)에 송신한다.
이것에 의하여, 군관리제어장치(20)는, n층과 m층홀의 대기객수나, 케이지내의 승객수를 가미한 케이지의 할당제어 등을 행하고, 적절한 군관리 제어를 행한다. 한편, 이상의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화상처리장치내의 메모리(도시하지 않음)로 부터 처리에 사용된 화상정보를 보내와서, 화상처리부(236)에 의하여 상세한 처리를 행 한다.
이 결과 얻어지는 정확한 정보 즉 교사정보를 군관리제어장치(20) 및 상기 이상의 정보를 출력한 화상처리장치에 대하여 송신한다. 또한, 상세한 처리의 알고리즘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앞에 계시한 문헌 2의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상기 이상의 정보를 출력한 화상처리장치는 이 정확한 정보(교사정보)에 의하여 검출결과와의 편차가 작게 되도록 처리에 사용하는 파리미터 즉 각종 한계치나 하중(결합)계수를 수정하고, 검출정도를 향상한다.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제5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처리장치의 설치상황을 표시한다.
촬영수단(341)을 n층의 엘리베이터홀의 천정에 위치하고, 본 화상처리장치(331)를 케이지(281)가 이동하는 승강로내에 설치하고, 양자를 촬영신호용 케이블로 접속한다.
또, 상기 화상처리장치(331)는 승강로내에 부설(敷設)되는 전송로(321)에 접속되고, 이 전송로를 사이에 두고 화상통괄장치(23)에 정보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설치상황에 있어서, 예를 들면 홀의 대기손님(361∼363)을 검출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6도는, 촬영장치(341)에서 촬영한 화상이고, 화면(37)은 단위화소(單位畵素)(기본적인 화상을 구성하는 점)(371)를 수평방향으로 256개 화소, 수직방향으로 240개 화소를 배치한 것이다.
또한, 화소수는 촬영장치에 따라 틀리지만, 여기에서는 화상입력부(3311)에 있어서의 분해능, 즉 256×240화소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 도면에 있어서, 배경을 회색 예를 들면 128을 표시하는 2진수, 두부(頭部)를 흑색 예를 들면 2진수 0, 착의(착의着衣)를 백색 예를 들면, 255를 표시하는 2진수로 가정한다.
제7도에 화상처리장치(331)의 처리를 표시한다.
화상처리장치(331)는 기동시의 사람이 없는 시점에서 집어 넣은 배경화상(g(x, y))과 그후, 임의시점에서 집어넣은 화상정보(f(x, y))를 사용하고, 우선 다음식으로 표시되는 차이화상(h(x, y))을 구한다.
Figure kpo00002
그 결과, 배경부분은 흑색, 물체는 회색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이 화상을 적당한 한계치(B)와 비교하고, 다음 식으로 표시하는 2진화상(i(x, y))을 얻는다.
이 결과, 배경부분은 흑색, 물체는 백색으로 된다.
h(x, y) ≥ B의 영역 i(x, y) = 255 … 백색
h(x, y) < B의 영역 i(x, y) = 0 … 흑색
여기서, x는 0∼255, y는 0∼239이다.
상기 2진화상으로부터 물체가 점유하는 면적(화소수)(Sk)를 백색의 화소수로부터 구하고, 이것을 다음과 같이 1인당의 화소수(S)로 나누고, 인원수(Nm)를 구한다.
Figure kpo00003
예를 들면, 제7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대기손님(361)에 대응하는 면적을 S1, 대기손님(362)을 S2, 대기손님(363)을 S3으로 하면 상기식의 n은 3으로 된다.
또한, 케이지(281∼284)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하여 승객수를 구한다.
이상 설명한 화상통괄장치(23)의 처리를 플로우차트로 표시하면 제8도와 같이 된다. 즉, 스텝(400)에 의하여 각 화상처리장치(331∼3312)로 부터 대기손님 및 승객정보를 수집하고, 제4도에 표시하는 전송처리부(237)의 송신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정리하여 격납한다.
스텝(401)에 의하여, 상기 정보를 현행의 엘리베이터 운행상황에 조회(조회照會)하여, 이상 정보가 있는가 없는가를 판정한다.
그 결과, 이상의 정보가 있을 경우, 우선, 스텝(402)에 의하여 상기 전송처리부(237)의 송신메모리에 해당하는 화상처리장치의 정보는 이상인 뜻의 메시지를 세트한다.
이어서, 스텝(403)에 의하여 해당하는 화상처리장치로부터 화상정보를 보내와서, 스텝(404)에 의하여 이 화상정보를 상세하게 처리하고, 대기손님 혹은 승객수를 정확하게 구한다.
스텝(405)에서는, 상기 스텝(400)에서 수집한 대응하는 화상처리장치의 정보와, 스텝(404)의 결과 얻어지는 교사정보를 비교한다. 이 결과가 불일치일 경우, 스텝(406)에 의하여 스텝(404)의 결과를 전송처리부(237 및 231∼235)에 대응하는 송신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격납한다.
이것에 의하여, 군관리제어장치(20)에 정확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과 아울러, 해당하는 화상처리장치의 한계치 등의 파라미터수정을 촉진한다. 여기에서, 제9도를 사용하여 화상처리장치(331)에 있어서의 화상처리 알고리즘에 사용하는 한계치의 수정의 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통상, 화상처리부(3312)는, 촬영장치(341)로 부터 입력되는 화상정보를 화상입력부(3311)에서 디지탈량으로 변환하고, 화상정보기억수단(41)에 기억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 화상정보(f(x, y))와 미리 배경화상기억수단(42)에 기억하고 있는 배경화상정보(g(x, y))로부터, 연산수단(43)은, 차이화상(h(x, y))을 구한다. 이 결과를 비교수단(44)은 적당한 2진화 레벨(B)에 의하여 2진화되고, 2진화상(i(x, y))에 의하여 연산수단(45)으로 물체가 점하는 면적(SK)을 구하고, 이것을 연산수단(46)에 있어서, 1인당의 면적(S)으로 나누고, 대기손님수(Nm)를 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정요소(파라미터)로서는, 상기 2진화레벨(B)과 1인당의 면적(S)이 고려된다. 그래서, 대기객수검출결과에 대하여, 화상통괄장치(23)가 잘못이라고 판단하고, 교사정보(Ns)를 송신하여 오면, 화상처리부(3312)는 대기손님검출의 빈시간을 이용하여 학습을 행한다.
즉, 수정량연산부(47)내의 편차검출수단(471)으로 대기손님수(Nm)와 교사정보(NS)의 편차를 구한다. 수정량연산수단(472)에서는, 상기 편차(△n)가 양(음)이면 상기 2진화레벨(B)을 크게(작게)하는 방향 혹은 1인당의 면적(S)을 크게(작게)하는 방향에서 수정량을 연산한다. 편차(△n)는 (1)식으로 표시되고, 이 편차(△n)를 기초로 연산수단(472)에서
△n = Nm-Ns…(1)
구한 조정분(△B 혹은 △S)을 각 설정수단(54 또는 55)에서 설정된 초기치(B0또는 S0)로 부터 감산(또는 가산)한다.
이 값을 각각 기억수단(48 및 49)에 의하여 기억하고, 다음의 교사정보(NS)가 입력될 때까지 유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편차(△n)로 부터, 2개의 한계치(B 및 S)를 수정하는 수법은, 양자의 수정량배분이 복잡하게 된다. 그래서, 간이로 2개의 한계치를 수정하는 다른 한 스에 관하여 서명한다.
우선 1인당의 면적(S)을 고정하고, 2진화레벨(B)을 조정한다.
즉, 수정량연산수단(472)에서는 대기손님수(Nm)를 교사정보(NS)에 일치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Sk0를 (2)식에 의하여 구한다.
Sk0= Ns· S0…(2)
그리고, 2진화후의 백(白)의 면적(Sk)이 Sk0에 가까운 값으로 될때까지 조정분(△B)을 변화시키면서 2진화처리를 반복한다.
이 결과, Sk0에 가장 가까운 Sk가 구하여지면, 다음에, 2진화레벨(B)을 고정하고, 1인당의 면적(S)을 조정한다.
즉, 연산수단(472)은 대기손님수(Nm)를 교사정보(NS)에 일치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1인당의 면적(S)을 (3)식에 의하여 구하고, 다시금 (4)식에 의하여 조정분(△S)을 구한다.
S = Sk/ NS…(3)
S = S-S0…(4)
이와 같이하여 조정을 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2진화레벨을 먼저 조정하였으나, 1인당의 면적을 먼저 조정하여도 좋고, 2진화레벨 또는 1인당의 면적의 한쪽만을 조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2진화레벨과 1인당의 면적을 최적지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본 시스템의 출력을 교사정보(NS)에 가까운 검출정밀도까지 향상할 수가 있다. 제10도에 의하여, 한계치의 수정의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9도에 표시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데이터 이상시의 한 시점에 있어서의 수정인것 및 복수 수정량에 대한 배분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수정이 최적화되지 않는 가능성이 있었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에 더하여, 출력인 대기손님수(Nm)와 이것에 대한 교사정보(NS)를 기억하는 수단(473)을 설치하고, 화상처리장치(331)의 입출력특성을 파악한 후에, 수정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수정의 최적화를 도모하도록 한 것이다.
우선, 기억수단(473)은, 화상처리부(3312)로부터 출력되는 대기손님정보(Nm)와, 해당 대기손님정보(Nm)가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에 입력되는 교사정보(NS)를 수시 기억한다.
다음에 수정수단(472)은, 상기 기억된 정보가 정답(교사정보)에 대하여 어떠한 차를 갖도록 되어 있는가를 학습한다. 이것에 의하여, 화상처리부(3312) 즉, 자기자신의 입출력 특성을 파악할 수가 있다. 제11도는, 이와 같이 하여 구하여진 입출력특성의 한예의 특성도이다. 예를 들면, 촬영수단의 촬영각을 120°, 설치위치를 마루바닥 위3m라고 가정하면, 최대25인(두부를 포함함)정도까지 검출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적으로는 실선(50)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교사정보에 대한 대기손님정보가 0∼25인까지 직선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실제에는 계수등이 최적화되어 있어도, 대기손님수가 늘어나면, 화면상의 겹침이 발생하기 때문에, 도시된 일점 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오차가 생기게 된다. 또, 현장에 있어서의 배경색은 혹은 조명상태 등에 의하여, 선명한 차이화상을 얻기쉬울 경우는 점선(52)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일점쇄선(51)보다도 높게 출력하고, 불선명한 차이화상으로 될 경우는 점선(53)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낮게 출력한다.
그래서, 현장에 있어서의 화상처리장치의 입출력특성을 교사정보(NS)에 의하여 학습한 후, 이 결과로부터 변곡점, 즉, 겹침이 발생하는 인원수를 구한다. 이상의 처리를 종료한 후에 입력되는 교사정보(NS)가 변곡점이하의 인원수일 때,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수정을 행하고, 최적한 2진화 레벨(B)과 1인당의 면적(S1)을 구한다.
이 결과, 수정후의 입출력특성은 일점쇄선(51)에 가까운 특성으로 된다. 다음에, 교사정보(NS)가 변곡점이상의 인원수일 때, 1인당의 면적의 최적치(S2)를 구한다. 이 결과, 실선(50)에 가까운 입출력특성을 얻을 수가 있다. 상기 처리를 행한 결과, 1개의 2진화레벨(B)과 2개의 1인당의 면적(S1, S2)이 구하여 진다.
이것에 의하여, 우선, 2진화레벨(B)과 1인당의 면적(S1)을 사용하여 처리를 행하고, 이 결과가 변곡점이상의 인원수이면, 1인당의 면적을 S2로 바꿔놓고 재처리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적은 회수로 최적한 수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검출결과가 불안정(수정을 반복하는 일)하게 되는 일이 없다.
제12도에 다시금 다른 수정의 실시예를 표시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9도 및 제10도에 표시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수정량연산부(47)를 기억수단(473)만으로 구성한 것이다. 이 기억수단(473)은, 착탈가능한 외부기억매체, 예를 들면 IC카드(474)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하여, 예를 들면, 사람이 불휘발성메모리(IC카드)(474)의 내용을 참조하여, 다른 장소에서 상기 제10도에 표시하는 요령으로 수정을 행한다.
그 결과를 상기 불휘발성메모리의 별도의 영역에 격납하고, 다시 장치에 장착한다. 이 결과, 수정된 내용은 △B 및 △S에 상당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시간이 걸리는 수정을 사람이 행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수정을 행할 수가 있는 것과 아울러 장치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제13도∼제14도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교사정보 발생수단의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처리장치(331∼3312)의 알고리즘이나 파라미터를 케이지내 하중검출기(351∼354)의 출력을 사용하여 수정한다. 엘리베이터 탑승케이지의 바닥밑에는, 승차중량을 검출하기 위한 차동트랜스 방식의 하중검출기가 설치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는 이 출력을 사용하여 만원시의 제어 등을 행하고 있다.
이에 관련해서, 본 하중검출기의 인원수 환산출력정밀도는 ±0.1인이라 하고, 본 발명에 있어서의 교사정보 발생수단으로서 충분히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면, 홀에 설치한 화상처리장치(331∼338)를 케이지의 하중검출기(351∼354)의 출력에 의하여 조정하기 위하여는, 홀에 몇명이 있었는가, 다시 말하면, 케이지에 몇 명이 탑승하였는가를 아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제5도에 표시하는 바같이 케이지에 승객2명, n층홀에 대기손님이 3명있고, n층에서 1명 하차하고, 3명이 승차할 경우를 가정한다. 케이지(281)에 설치된 하중검출기(351)의 출력은 제1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2명의 상태(a)→1명하차(b)(혹은 3명승차(c) )→3명승차(d)(혹은 1명하차(e) )→4명의 상태(f)로 변환한다(통상, 하차객우선).
이 도면에서 양의 경사를 표시하는 기판(d)(혹은 c)을 추출하는 것에 의하여 탑승인원수, 즉, 케이지도착까지의 홀대기손님수를 알수가 있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가 n층홀에 도착하고 부터 발차할 때 까지의 기간(T)에 주목하면, 케이지내 하중의 검출에 의하여, 그것 이전의 n층홀 대기손님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가 있다.
단, 이 검출의 타이밍은 늦으므로, 군관리제어상에 직접 사용할 수 없다.
교사정보 발생수단으로서라면 유용하다.
이렇게하여, 구한 탑승인원수를 교사정보로 하기위한 군관리 제어장치(20)의 처리플로우차트를 제14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스텝(600)에 의하여 엘리베이터가 n층홀에 도착하였다고 확인한 시점으로부터 스텝(601)에 의하여 승차인원수검출을 개시하고, 스텝(602)에 의하여 문닫음이 확인될 때까지 스텝(601)을 계속한다.
그후, 스텝(602)에서 문닫음이 확인되면 스텝(603)에 의하여 상술(제13도)과 같이하여 구한 탑승인원수와 홀에 설치한 화상처리장치(331)의 검출결과를 비교한다.
그 결과가 일치하고 있으면 처리를 종료하고, 교사정보를 출력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비교결과가 불일치일 경우, 스텝(604)에 의하여 홀호출이 재발생하고 있지 않는 것을 갖고 홀에 사람이 남아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하고, 스텝(605)에 의하여 상기 탑승인원수를 교사정보로서 통괄장치(23)에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교사정보출력수단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케이지에 기설의 하중검출기를 이용하므로, 상기 교사정보 출력수단을 새롭게 설치할 필요가 없는 외에, 정밀도의 점에서도 실적이 있는, 신뢰할 수 있는 교사정보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케이지에 설치한 화상처리장치(3391∼3394)는 케이지의 문이 닫혀있는 상태로 케이지내 승객을 검출할 수 있고, 환경이 항상 일정하기 때문에 정밀도가 높다.
따라서, 상기 하중 검출기에 대신하는 교사정보 발생수단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제15도에 의하여 엘리베이터홀의 대기손님검출에 관한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화상처리부(3312)를 뉴럴네트워크로 구성할 경우이다. 화상입력부(3311)로 부터 출력되는 복수의 입력데이터(61a∼61ℓ)를 뉴럴네트워크로 구성되는 화상처리부(3312)에 입력하는 것에 의하여 대기손님수를 검출한다.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뉴럴네트워크를 입력층, 중간층 및 출력층의 3개층으로 구성하고, 재차, 입력층은 n11∼n112의 12개의 뉴론, 중간층은 n21∼n26의 6개의 뉴론, 출력층은 n31∼n32의 2개의 뉴론으로 구성한다.
또, 입력층의 각 뉴론의 출력은 모든 중간층의 뉴론에 접속하고, 중간층의 각 뉴론의 출력은 모든 출력층의 뉴론에 접속한다.
이때, 중간층 및 출력층의 각 뉴론에는 입력층 및 중간층의 각 뉴론에는 입력층 및 중간층의 각 뉴론의 출력과 도시하중(결합)계수(K11∼K86)(-∞∼
Figure kpo00004
∞)와의 곱셈으로 구하여지는 값이 입력된다.
예를 들면, 중간층의 뉴론(n21)에 입력되는 값(Un21)은 다음 (5)식에서 얻어진다.
Figure kpo00005
여기서, Vn1i는 입력층의 뉴론(n11∼n12)의 출력(0∼1)이다.
이 값을 (6)식에 대입하고, 이 결과에 얻어지는 0∼1의 값을 본 뉴론(n21)의 출력(Vn21)으로서 출력층의 각 뉴론(n31∼n32)에 각각 입력한다.
출력층에서는, 상기 뉴론(n21)과 마찬가지로 하여 뉴론(n31및 n32)의 출력치를 구한다.
Figure kpo00006
이것들의 출력(Vn31과 Vn32)으로부터, (7)식에 의하여 대기손님수(Nm)를 산출하고, 출력한다.
Nm= 100·Vn31+10·Vn32…(7)
그 결과, 예를 들면 Vn31=0.1, Vn32=0.2 일 경우, Nm=10+2=12(명)으로 된다.
즉, 본 예의 경우는, 뉴론(n31)은 10의 자리, 뉴론(n32)은 1의 자리를 표시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 결과를, 전송처리부(3313)에 의하여, 화상통괄장치(23)와 그내부의 교사정보 발생수단(15)(제4도의 화상처리부(236))로 전송한다.
또, 화상통괄장치(23)를 사이에 두고 군관리제어장치(20)에도 전송된다.
또, 화상처리부(3312)에 입력되는 입력데이터(61a∼61ℓ)는 화상으로부터 추출되는 각종 특징량으로도 좋고, 화상의 화소에 관한 데이터를 직접 사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제16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화면(37)을 12의 블럭(701∼712)으로 분할하고, 각 블럭에서 구해지는 물체의 면적을 (8)식에 의하여 정규화한 값을 사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Figure kpo00007
여기서, Va : 입력데이터(61a)의 값
N : 수평화소수(256)
M : 수직화소수(240)
Si : 블럭(701)내의 물체의 면적(화소수)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교사정보에 의하여 하중(결합)계수(K11∼K86)의 조정을 행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알려진 뉴럴네트워크의 학습을 행하는 방법을 채용해도 좋다.
즉, 출력층의 뉴론(n31∼n32)에 역방향으로 교사정보를 입력하고, 이것을 중간층→입력층과 역으로 전파시키면서 각계수를 조정하는 백프로퍼게이션의 방법을 사용한다.
본 방법은 앞에 계시한 문헌 3 등에 의하여 알려진 방법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화상통괄장치(23)내의 교사정보 발생수단(15)에는 타이머(56)로부터 정기적으로 트리거가 걸리고, 타이머개입중단에 의한 주기적 학습이 실행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화상처리부를 뉴럴네트로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대기손님검출처리의 고속화가 기대될 수 있는 것과 아울러 백프로퍼게이션의 수법에 의하여, 적절한 하중계수를 자동적으로 구할 수가 있다.
특히, 정기적으로, 교사정보에 의한 학습을 행하도록 하면, 패턴인식적 성장이 예상되고, 주위환경의 변화에도 추종하는 화상처리장치가 얻어진다. 여기서, 상기 배경화상(g(x, y))의 작성방법의 한예를 제17도, 제18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7도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부(3312)는 메모리(41, 42, 81, 82)와 배경화상작성수단(80), 및 대기손님검출수단(83)으로 이루어지고, 배경화상(g(x, y))은 배경화상작성수단(80)에 의하여 작성된다.
아래에, 배경화상작성수단(80)에 의한, 배경화상의 작성처리를 제18도에 표시하는 플로우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경화상작성수단(80)은, 연속한 5화면의 처리결과에 의거하여 배경화상을 작성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므로, 5화면의 각각에 대응하는 플래그테이블(BGT
Figure kpo00008
0∼
Figure kpo00009
4)을 구비하고 있다.
(1) 배경화상작성수단(80)은, 배경화상의 작성개시 후, 우선, 5화면의 각각에 대응하는 프래그테이블(BGT
Figure kpo00010
0∼
Figure kpo00011
4)에 초기치 FF를 세트한다(스텝500). (2) 다음에, 최초의 화면을 집어넣고, 배경화상용 메모리(47)에 기억하는 것과 아울러, 이 화상을 가배경화상으로서 작업 메모리(81)에 기억한다(스텝501).
(3) 이어서, 다음의 화면을 집어넣고, 원화상용 메모리(41)에 원화로서 기억하고, 상술한 대기손님검출처리와 마찬가지로 가배경화상과 원화상과의 차를 구하여 2진화를 행한다(스텝502∼504).
(4) 스텝(504)의 이 결과로부터 백색의 면적(S0)을 구하고, 이 값이 미리 정하여져 있는 한계치(SH)이상 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스텝 505, 506).
(5)스텝(506)의 판정의 결과가 트루(true)이면, 최소의 화상과 다음의 화상과에 일정이상의 차가 있다고 하고, 상기의 플래그테이블(BGT
Figure kpo00012
n), 이 경우 플래그테이블(BGT
Figure kpo00013
0)에 1을 세트하고, 메모리(41)에 기억하고 있는 원화상을, 작업용메모리(82)로 이동하여 가(假)배경으로 한다(스텝 507, 508).
(6) 한편, 스텝(506)의 판정결과가 폴스이며, 최초의 화상과 다음의 화상과에 거의 차가 없다고 하고, 플래그테이블(BGT
Figure kpo00014
n), 이 경우 플래그테이블(BGT
Figure kpo00015
0)에 0을 세트한다(스텝 509).
(7) 이후, 상기의 스텝(502∼509)의 처리를, n=5, 즉, 5화면 분의 처리가 종료하였다고 판정되기까지 반복하여 실행한다(스텝 510).
(8) 다음에, 플래그테이블(BGT
Figure kpo00016
0∼
Figure kpo00017
4)의 총화(S1)를 구하고, 이 총화(S1)가 0이 아닌가 그렇지 않은가 즉, S≠0을 판정한다(스텝 511, 512).
(9) 스텝(512)의 판정결과가 폴스일 경우, 즉 S1=0이며, 연속하는 5화면이 거의 같은 도면이므로, 현재가 배경으로 되어 있는 배경화상을 본 배경으로 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이 경우, 화상에 변화가 없으므로, 제18도에 점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배경의 변경을 행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하여도 좋다(스텝 515).
(10)스텝(512)의 판정결과가 트루일 경우, 즉, S1≠0일 경우, S1=1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이 결과가 진, 즉, S1=1이면, 다시금, 플래그테이블(BGT
Figure kpo00018
0=1)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이 결과도 트루이면, 변화가 발생한 화면은 최초의 처리를 행한 원화상뿐이고, 후의 4화면은 안정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으므로, 워크용 메모리(82)의 가배경을 배경화상용 메모리(42)에 이동하여 본 배경으로 하고, 배경화상작성처리를 종료한다(스텝 513∼515).
(11) 또, 스텝(513)의 판정결과가 폴스일 경우, 즉, 화면이 안정되지 않고 사람이 존재한다고 생각될 경우, 스텝(514)의 판정결과가 폴스일 경우, 즉, 화면의 변화가 5화면내의 도중에서 발생하고, 6화면 이후에도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 예상될 경우는, 스텝(500)으로 되돌아와, 상술의 처리를 반복한다.
상술한 배경화상작성법은, 순차로 집어넣은 화상이, 5화면에 걸쳐서 변화하지 않는 것에 의하여, 이 화상내에 움직임이 있는 사람, 즉, 엘리베이터의 대기손님이 없다고 판단하고, 그때의 화상을 배경화상으로 하는 것이지만, 비교하는 화면수는, 5화면일 필요는 없고, 임의로 정할 수가 있다.
또, 화상처리장치(331)는, 상기 배경화상작성처리를 엘리베이터정보를 기초으로 실행하는 것에 의하여 확실하게 대기손님이 없는 상태의 배경의 배경화상(g(x, y))을 작성할 수가 있다.
이 경우, 화상처리부(3312)는 제19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되지만, 이것은 제17도에 의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화상통괄장치(23)로 부터 전송된 정보를 격납하는 정보테이블(85)과, 이 정보에 의하여 배경화상작성의 타이밍을 판단하는 판단수단(84)을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아래의 설명은 제17도의 실시예와 상이하는 점에 관해서만 행한다.
제19도에 표시하는 화상처리장치(331)는, 화상통괄장치(23)로 부터, 탑승케이지 위치정보 등의 엘리베이터정보를 정기적으로 수신하고, 이것들의 정보를 정보테이블(85)에 기억한다.
판단수단(84)은, 상기 테이블(85)의 내용으로 부터 홀의 대기손님부재의 타이밍을 판단하고, 부재의 경우 출력에 1을 출력하고, 배경화상작성수단(80)에, 배경화상의 작성을 행하여도 좋다는 것을 지시한다.
배경화상작성수단(80)은, 이 지시에 의하여, 배경화상을 작성하지만, 작성의 처리는, 상술한 제18도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판단수단(84)의 동작을 제20도에 표시하는 플로우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20도에는, 화상통괄장치로 부터 보내지는 정보를 격납하는 정보테이블(85)의 내용도 표시되고 있다.
이 정보테이블(85)에는, TABLE
Figure kpo00019
0번지에 탑승케이지위치정보,
Figure kpo00020
1번지에 탑승케이지도어 개폐정보,
Figure kpo00021
2 및
Figure kpo00022
3번지에 홀호출의 UP과 DOWN의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1) 판단수단(84)는, 우선, 정보테이블(85)의 내용을 참조하고, 탑승케이지가 카메라(341)가 있는 층에 정지중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스텝 520).
(2) 스텝(520)의 판정이 트루일 경우, 즉, 탑승케이지가 카메라(341)가 있는 층에 정지중일 경우, 탑승케이지 도어의 폐쇄인가 아닌가, 홀호출인가 아닌가를 각각 판정한다(스텝521, 522).
(3) 스텝(521, 522)의 판정이 양쪽다 트루일 경우, 「엘리베이터는, 홀의 대기손님을 전원태워서 출발전에 있고, 홀에 사람은 없다」라고 판단하고, 소정시간 경과 후, 동도면에 표시하는 배경화상작성플래그(F)에 1을 세트한다(스텝 523, 524).
(4) 한편, 스텝(521 또는 522)의 어떠한 것의 판정결과가 트루일 경우, 「홀의 대기손님은, 승강중 또는 전원타지 못하였다」라고 판단하고, 홀내에 사람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배경화상작성플래그에 0을 세트한다.
이 배경화상작성플래그(F)는 판단수단(84)의 출력으로 된다(스텝 525).
(5) 상술한 스텝(520)의 판단결과가 폴스, 즉 탑승케이지가 카메라(341)가 있는 층상에 정지중이 아닐 경우 다음에, 탑승케이지위치가, 당해 층상보다 2층이상 떨어져 있는가 아닌가, 홀호출이 없는가 아닌가를 각각 판정한다(스텝 526, 527).
(6) 스텝(526, 527)의 판정이 양쪽다 트루일경우, 「홀에 사람은 없고, 엘리베이터는 잠시 당해 층상으로부터 1층 떨어진 위치에 있고, 곧 당해 층상에 도착한다, 또는 홀에 사람이 있다」라고 판단하고, 상기 배경화상작성 플래그(F)에 0을 세트한다(스텝 525).
상술한 판단수단(84)의 처리에 있어서, 스텝(526, 527)의 앞 또는 뒤에, 탑승케이지가 당해 충상으로부터 떨어지고 있는 중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스텝을 설치할 수가 있고, 이와 같이하면, 보다 치밀하게 배경화상작성의 지시를 행하여도 좋은가 아닌가의 판단을 행할 수가 있다.
상술한 처리에 의하여, 판단수단(84)으로부터 출력되는 지시신호(배경화상작성 플래그(F)의 내용)는, 배경화상작성수단(80)에 입력되고, 해당 배경화상작성수단(80)은, 상기 출력이 1의 경우에 배경작성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에, 제21도에 표시하는 플로우에 의하여, 제19도에 표시하는 화상처리부(3312)의 일련의 처리를 설명한다.
(1) 우선, 제20도에 의하여 설명한 판단처리를 실행하고, 그 결과 세트되는 배경화상작성플래그(F)의 내용에 관해서, F=1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판단처리에서, 홀에 대기손님이 없다고 판정하였는가 아니한가를 판정한다(스텝 530, 531).
(2) 스텝(531)에서, F=1이라고 판정된 경우, 홀에 대기손님이 없다고 판단하고, 배경화상작성수단(80)은, 제18도에 의하여 설명한 배경화상작성처리를 실행하고, 기준으로 되는 배경화상을 메모리(41)에 기억한다(스텝532).
(3) 그후, 대기손님검출수단(83)은, 제7도에서 설명한 화상처리스크스를 반복하여 실행한다(스텝(553).
(4) 한편, 상술의 스텝(531)에서 F=0이면, 스텝(530)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하고, F=1로 되는 타이밍을 검출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대기손님이 존재하지 않는 타이밍을 검출하여, 배경화상을 확실하게 작성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판단처리 및 배경화상작성처리를 대기손님검출처리의 전후에 실행하는 것에 의하여, 조명변동 등으로 배경이 변화된 경우에도 배경화상의 갱신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배경화상작성방법에 의하면, 화상처리장치는 임의의 시점에서, 대기 손님이 없는 상태의 배경화상을 작성할 수가 있고, 이것을 사용하여 정확한 대기손님의 검출을 행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엘리베이터홀의 대기손님을 검출하는 시스템 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넘버플레이트의 문자를 인식하는 시스템 혹은 전시회장 등의 혼잡상태를 검출하는 시스템 등에 넓게 응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리 설정된 패턴이 아닌, 현실의 피처리 화상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처리결과에 대한 교사정보발생수단을 채택하는 것에 의하여, 화상처리에 필요한 처리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파라미터(예를 들면 각종 한계치 혹은 가중치계수)를 화상처리대상물의 상황에 응하여 수정할 수가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실가동상태에 놓여진 화상처리시스템의 검출정밀도를 온라인에서 향상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Claims (19)

  1. 화상정보를 입력하고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한 화상처리를 실행하는 수단을 구비한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수단에서의 피처리화상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처리결과에 대한 교사정보를 발생하는 수단과, 이 교사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처리 알고리즘 또는 그 파라미터를 수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화상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사정보 발생수단은 상기 화상처리수단 보다도 고도의 화상처리를 실행하는 수단을 구비한 화상처리장치.
  3. 화상정보를 입력하고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한 화상처리를 실행하는 수단을 구비한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수단에서의 피처리화상과 동일한 화상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화상처리수단보다도 늦게 처리출력을 발생하는 제2의 화상처리수단과, 이 제2의 화상처리수단의 출력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처리수단의 알고리즘 또는 그 파라미터를 수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화상처리장치.
  4. 화상처리수단을 구비한 제1의 물체검출수단과, 제2의 물체검출수단과, 상기 제2의 물체검출수단의 출력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처리의 알고리즘 또는 그 파라미터를 수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화상처리의 알고리즘 또는 그 파라미터를 수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화상처리장치.
  5. 화상정보를 입력하고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한 화상처리를 실행하는 수단을 구비한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피처리화상대상물에 관한 상황을 판단하는 수단과, 이 판단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상기 화상처리 알고리즘 또는 그 파라미터를 수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화상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수단은 미리 준비된 복수의 알고리즘 또는 그 파라미터중에서 선택하는 수단을 구비한 화상처리장치.
  7. 화상정보를 입력하고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한 화상처리를 실행하는 수단을 구비한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수단에서의 피처리화상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처리결과에 대한 교사정보를 발생하는 수단과, 이 교사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처리 알고리즘상의 조정 파라미터에 대한 수정량을 도출하는 수단을 구비한 화상처리장치.
  8. 화상정보를 입력하고 물체의 인원수를 인식하는 화상처리를 실행하는 수단을 구비한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체의 하중을 검출하는 수단과, 이 검출하중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처리의 알고리즘 또는 그 파라미터를 수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화상처리장치.
  9. 다른 화상정보를 입력하는 복수의 화상처리수단과, 이들의 복수의 화상처리수단에 대하여 공통으로 설치하여 그들의 피처리화상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처리결과에 대한 교사정보를 선택적으로 발생하는 수단을 구비한 화상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교사정보 발생수단은 상기 다른 화상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가능한 제2의 화상처리수단을 구비한 화상처리장치.
  11. 화상정보를 입력하고 다계층의 뉴럴네트로 구성된 화상처리수단과, 이 화상처리수단에 있어서의 피처리화상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처리결과에 대한 교사정보를 발생하는 수단과, 이 교사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뉴럴네트의 하중계수를 수정하는 학습수단을 구비한 화상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수단을 주기적으로 기동하는 수단을 구비한 화상처리장치.
  13. 다계층 마루사이에 서비스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탑승케이지와,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탑승케이지내에 설치된 행선층 호출수단과, 적어도 이 행선층호출에 응한 층에 그 탑승 케이지를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제어수단과, 각층 탑승장에 설치된 홀호출수단과, 적어도 이 홀호출에 대한 서비스 케이지를 결정하는 군관리제어수단과, 임의의 탑승장에 설치된 복수의 촬영수단과, 이들의 촬영수단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고 그 탑승장의 대기손님을 인식하는 제1의 화상처리수단과, 이들의 화상처리수단의 출력을 상기 군관리제어수단에 전송하는 수단과, 상기 복수의 촬영수단의 출력인 화상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하고 상기 제1의 화상처리수단과는 다른 알고리즘 또는 파라미터에 의하여 탑승장의 대기손님수를 인식하는 제2의 화상처리수단과, 이 제2의 화상처리수단의 출력에 의거하여 상기 제1의 화상처리수단의 알고리즘 또는 그 파라미터를 수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군관리엘리베이터제어장치.
  14. 화상정보를 입력하고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한 화상처리를 실행하는 수단을 구비한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수단에서의 피처리화상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처리결과에 대한 교사정보를 발생하는 수단과, 피처리화상대상물에 관한 상황을 판단하는 수단과, 상기 교사정보 및 상기 상황판단수단의 출력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처리 알고리즘 또는 그 파라미터를 수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화상처리장치.
  15. 화상정보를 입력하고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한 화상처리를 실행하는 수단과, 그 출력을 입력하여 피제어대상을 제어하는 수단과, 상기 화상처리수단의 출력에 대한 교사정보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화상처리수단의 출력에 대한 교사정보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화상처리수단의 출력 및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교사정보발생수단에 기동지령을 발하는 수단을 구비한 화상처리장치.
  16. 제1, 3, 5, 7, 8, 14 또는 15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장치는 배경화상작성수단을 가지고 있고, 해당 배경화상작성수단은 시계열적(時系列的)으로 입력되는 화상정보가 인접하는 2개의 화상을 순차로 비교하고, 연속한 소정의 비교회수에 대해서, 화상의 변화가 어느 한계치 이하의 경우에, 그 한개의 화상을 배경화상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제1의 화상처리수단과 제2의 화상처리수단의 적어도 한쪽은 군관리제어 수단, 혹은 엘리베이터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엘리베이터정보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홀에 대손님의 유무를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해당 판단수단의 출력에 따라, 배경화상을 작성하는 배경화상작성수단을 구비하는 군관리 엘리베이터제어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배경화상작성수단은 홀화상을 시계열적으로 복수개 집어 넣고, 이들의 화상의 시계열적으로 인접하는 2개의 화상을 순차 비교하고, 연속한 소정의 비교회수에 대하여, 화상의 변화가 어느 한계치 이하일 경우에 그 1개의 화상을 배경화상으로 하는 군관리 엘리베이터제어장치
  19. 제17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정보는 홀승강구의 개폐상태, 홀호출정보, 케이지위치정보의 적어도 1개인 군관리 엘리베이터제어장치.
KR1019910003180A 1990-03-02 1991-02-27 화상처리장치 KR1002041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49311A JP2865774B2 (ja) 1990-03-02 1990-03-02 画像処理装置
JP2-49311 1990-03-02
JP2061287A JP2662303B2 (ja) 1990-03-14 1990-03-14 エレベーターの待ち客検出装置
JP2-61287 1990-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606A KR910016606A (ko) 1991-11-05
KR100204101B1 true KR100204101B1 (ko) 1999-06-15

Family

ID=26389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3180A KR100204101B1 (ko) 1990-03-02 1991-02-27 화상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82776A (ko)
KR (1) KR100204101B1 (ko)
CN (1) CN1054844A (ko)
GB (1) GB2243906B (ko)
HK (1) HK15029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4121C (fi) * 1991-08-15 1995-07-25 Kone Oy Hissikorin henkilösiirtojen määrittäminen
JPH0578048A (ja) * 1991-09-19 1993-03-30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ホールの待ち客検出装置
AU3431693A (en) * 1992-01-08 1993-08-03 Joseph W. Connolly Color detection and separation method
FI93634C (fi) * 1992-06-01 1995-05-10 Kone Oy Menetelmä ja laitteisto hissinovien ohjaamiseksi
USRE43462E1 (en) 1993-04-21 2012-06-12 Kinya (Ken) Washino Video monitoring and conferencing system
US5581625A (en) * 1994-01-31 1996-12-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tereo vision system for counting items in a queue
EP0676356A3 (en) * 1994-04-07 1996-09-18 Otis Elevator Co Distribution system for elevators.
US5521634A (en) * 1994-06-17 1996-05-28 Harris Corporation Automatic detection and prioritized image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5883968A (en) * 1994-07-05 1999-03-16 Aw Computer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s for preventing fraud in retail environments, including the detection of empty and non-empty shopping carts
US6050369A (en) * 1994-10-07 2000-04-18 Toc Holding Company Of New York, Inc. Elevator shaftway intrusion device using optical imaging processing
KR960013086B1 (ko) * 1994-10-10 1996-09-30 엘지산전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대기승객수 검출방법
US7147068B2 (en) * 1994-10-14 2006-12-12 Weatherford / Lamb,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ementing drill strings in place for one pass drilling and completion of oil and gas wells
US5953055A (en) * 1996-08-08 1999-09-14 Nc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analyzing a queue
JPH10150656A (ja) * 1996-09-20 1998-06-02 Hitachi Ltd 画像処理装置及び侵入者監視装置
DE19641000B8 (de) * 1996-10-04 2005-08-25 Viisage Technology Ag Verfahren und Anordnung zur automatischen Erkennung der Anzahl von Personen in einer Personenschleuse
DE19700811A1 (de) * 1997-01-13 1998-07-16 Heinrich Land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nsteuerung von Türanlage in Abhängigkeit von der Anwesenheit von Personen
CA2362326A1 (en) * 1999-02-11 2000-08-17 Ian Woodhead Obstruction detection system
WO2001042120A1 (en) * 1999-12-08 2001-06-14 Shemanske Kenneth J Ii Elevator door control device
JP2001302121A (ja) * 2000-04-19 2001-10-3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AU2002336445B2 (en) * 2001-09-07 2007-11-01 Intergraph Software Technologies Company Image stabilization using color matching
US20050007452A1 (en) * 2001-09-07 2005-01-13 Mckay Therman Ward Video analyzer
EP1345445A1 (de) * 2002-03-11 2003-09-17 Inventio Ag Raumüberwachung im Bereich eines Aufzugs mittels 3-D Sensor
US7165655B2 (en) * 2002-05-14 2007-01-23 Otis Elevator Company Neural network detection of obstructions within and motion toward elevator doors
US7321699B2 (en) * 2002-09-06 2008-01-22 Rytec Corporation Signal intensity range transformation apparatus and method
JP3834297B2 (ja) 2003-05-12 2006-10-18 ファナック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US7088243B2 (en) * 2003-05-26 2006-08-08 S1 Corporation Method of intruder detection and device thereof
CN1898707B (zh) * 2003-11-18 2011-08-10 英特图形软件技术公司 数字视频监视
WO2007081345A1 (en) 2006-01-12 2007-07-19 Otis Elevator Company Video aided system for elevator control
US8260042B2 (en) * 2006-08-25 2012-09-04 Otis Elevator Company Anonymous passenger indexing system for security tracking in destination entry dispatching operations
CN101456501B (zh) * 2008-12-30 2014-05-21 北京中星微电子有限公司 一种控制电梯按钮的方法及装置
CN101717026B (zh) * 2009-12-31 2015-07-01 上海杰远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节约型电梯识别系统及其实现方法
CN103010874B (zh) * 2011-09-26 2015-09-2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梯调度方法及系统
US9324155B2 (en) 2014-03-10 2016-04-26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parameters for image analysis
CN105035887B (zh) * 2015-07-03 2017-06-20 穆国栋 一种基于计算机视觉检测的智能电梯主控系统
CN106744094A (zh) * 2016-11-29 2017-05-31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线性检测实时调节电梯开关门时间的方法
WO2018148574A1 (en) * 2017-02-09 2018-08-16 Google Llc Agent navigation using visual inputs
EP3406556A1 (en) 2017-05-23 2018-11-2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orway display systems for elevator cars
DE102017211331A1 (de) 2017-07-04 2019-01-10 Robert Bosch Gmbh Bildauswertung mit zielgerichteter Vorverarbeitung
JP7078461B2 (ja) * 2018-06-08 2022-05-31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制御方法
KR20210103463A (ko) * 2018-12-21 2021-08-23 인벤티오 아게 승객 운송 시스템의 사용자들의 검출
JP6673618B1 (ja) * 2019-03-20 2020-03-2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US11685631B2 (en) * 2019-05-31 2023-06-27 Otis Elevator Company Video analytics based advanced elevator dispatching
CN112225021B (zh) * 2020-11-02 2022-04-12 江苏蒙哥马利电梯有限公司 一种基于行星齿轮传动模块的智能电梯调度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5782B2 (ko) * 1973-03-28 1979-08-30
FI71206C (fi) * 1983-12-14 1986-11-24 Kone Oy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aostadkommande av en kontrastbild
FI70651C (fi) * 1984-10-05 1986-09-24 Kone Oy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oevervakning av omraodet framfoer en hissdoerr
KR900001696B1 (ko) * 1984-11-09 1990-03-19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화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5054093A (en) * 1985-09-12 1991-10-01 Cooper Leon N Parallel, multi-unit, adaptive, nonlinear pattern class separator and identifier
US4975970A (en) * 1987-03-18 1990-12-04 General Electric Company Image display having automatic image adjustment
JP2518007B2 (ja) * 1988-03-23 1996-07-24 日本電気株式会社 学習機構を有するダイナミック・ニユ―ラル・ネットワ―ク
JPH01313292A (ja) * 1988-06-09 1989-12-18 Nippon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の荷重分布検出装置
US4937878A (en) * 1988-08-08 1990-06-26 Hughes Aircraft Company Signal processing for autonomous acquisition of objects in cluttered background
US5003490A (en) * 1988-10-07 1991-03-26 Hughes Aircraft Company Neural network signal processor
JPH07106839B2 (ja) * 1989-03-20 1995-11-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4844A (zh) 1991-09-25
HK150295A (en) 1995-09-29
US5182776A (en) 1993-01-26
GB9104342D0 (en) 1991-04-17
GB2243906A (en) 1991-11-13
KR910016606A (ko) 1991-11-05
GB2243906B (en) 1994-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4101B1 (ko) 화상처리장치
JPH0578048A (ja) エレベーターホールの待ち客検出装置
FI93634C (fi) Menetelmä ja laitteisto hissinovien ohjaamiseksi
CN113658136B (zh) 一种基于深度学习的传送带缺陷检测方法
CN109311622B (zh) 电梯系统以及轿厢呼叫估计方法
US5331121A (en) Elevator control apparatus
JP2019156607A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CN111377313B (zh) 电梯系统
US6553269B1 (en) Device for managing and controlling operation of elevator
CN113168183B (zh) 移动范围设定系统以及移动范围设定方法
JP2865774B2 (ja) 画像処理装置
JP4739699B2 (ja) ナンバープレート認識装置及び方法
CN115035543B (zh) 一种基于大数据的移动轨迹预测系统
JPH0539177A (ja) エレベータホール等の混雑度検出装置
JPH07220193A (ja) 交通状況判別装置
JP2000034087A (ja) マンコンベアの乗客監視方法および装置
JP7346664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CN114180427B (zh) 机器人及控制机器人乘坐电梯的方法、装置和存储介质
US12129150B2 (en) Collaborative scheduling method for high-rise elevators based on internet of things
US20240217772A1 (en) Collaborative scheduling method for high-rise elevators based on internet of things
JP7375105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7491204B2 (ja) 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監視装置、監視プログラム
WO2023175650A1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662303B2 (ja) エレベーターの待ち客検出装置
JP2024120347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