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2521B1 - 적재물 하역장치 - Google Patents

적재물 하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2521B1
KR100202521B1 KR1019970003315A KR19970003315A KR100202521B1 KR 100202521 B1 KR100202521 B1 KR 100202521B1 KR 1019970003315 A KR1019970003315 A KR 1019970003315A KR 19970003315 A KR19970003315 A KR 19970003315A KR 100202521 B1 KR100202521 B1 KR 100202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elt
cart
load
unloading devic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3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5432A (ko
Inventor
안성식
안정권
Original Assignee
안성식
안정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성식, 안정권 filed Critical 안성식
Priority to KR1019970003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2521B1/ko
Publication of KR970015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5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2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2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24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26Unloading land vehicles using rakes or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4Pulverising loaded or unload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8Desta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물 하역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무개화차 등에 적재된 적재물을 개폐문의 유무, 개폐문의 개폐유무 등에 관계없이 하역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하역방향도 임의 선택, 분진발생을 억제하여 작업환경의 개선, 고화된 적재물을 파쇄하여 장치의 작동신뢰성 등을 배가할 수 있는 개선된 적재물 하역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컨베이어벨트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상을 좌우로 선택활주할 수 있는 카트를 갖는 적재물 하역장치에 있어서, 카트의 상부에는 가이드레일과 직교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을 설치하여 서브카트가 전후간격조절실린더에 의해 간격조정될 수 있도록 하고, 서브카트에는 승강작동되는 업다운블록과 연결되는 업다운실린더를 설치하며, 업다운블록의 하부에는 정역구동이 가능한 컨베이어벨트를 설치하고, 좌우에는 축핀에 축설되고 각도조절실린더에 의해 각운동할 수 있는 버켓을 구비하며, 컨베이어벨트의 하부 좌우에는 축핀에 축설되고 단부에 브러시를 구비한 브러시 아암을 각도조절실린더와 연결설치하여 선택적인 각운동이 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카트의 하부에 하나 이상의 분진수거용 닥트를 컨베이어벨트와 인접하게 설치하고, 상기 닥트는 카트에 설치된 분진수거수단과 연결구성하며, 컨베이어벨트의 상측에는 스매시로울러로 이루어진 파쇄수단을 장착한 것이다.

Description

적재물 하역장치
본 발명은 무개화차(an open wagon)와 같은 운송수단 내부에 적재된 각종 골재 석회석, 석탄 등과 같은 적재물을 하역하는 적재물 하역장치(a carrying good-s loaing unloadig system)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적재물 하역장치는 선행기술이 다수 개시된 바 있다.
즉 무개화차 등에 적재되어 있는 적재물을 기계적인 하역수단에 의해 하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무개화차가 통과하는 레일 좌우로 컨베이어벨트를 설치하고, 상부로는 적재물하역실을 갖도록 프레임을 구축하여 상기 프레임 상부에 형성되는 수평형(norizontal type) 가이드레일을 따라 정역방향으로 이동조절하이 가능한 이동수단(moving device)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수단의 하부에는 상하로 적정각도각운동 가능한 업다운아암(up-down arm)을 업다운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승강작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상기 업다운아암의 단부에는 각도조절실린더에 의해 승강작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상기 업다운아암의 단부에는 각도조절실린더에 의해 각도조절되는 메인버켓과, 메인버켓에 의해 수거된 적재물을 무개화차의 좌우에 형성된 개폐문을 통하여 컨베이어벨트로 하역할 수 있는 서브버켓을 갖도록 함으로서, 무개화차 등과 같은 적재이송수단에 적재된 원자재 등과 같은 각종의 적재물을 인력에 의존치 않고 기계적인 장치로서 하역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능률 극대화 및 인력절감 효과를 득하도록 하였는바, 상술한 바와같은 하역장치는 적재물을 하역키 위하여 무개화차의 좌우 개폐문을 필히 개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고, 무개화차의 종류에 따라 개폐문이 없는 경우에는 장치의 사용이 불가하다는 단점도 안고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적재물의 하역방향은 좌우 일방을 택일할 수 없었으며, 무개화차의 깊이가 깊지 않은 작업여건에서는 장치제작비에 비하여 효율적인 하역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하역작업시 하역물에서 발생하는 분진 등이 공중에 비산하여 작업여건을 극히 열악하게 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석회석 등과 같은 고형물은 수분 등에 의하여 임의 부피로 고화되는 경우 컨베이어벨트에 부분하중이 과다하게 부가되어 장치의 고장이나 손상 등을 피할 수 없는 등 다수의 개선점을 안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기존 적재물 하역장치가 갖는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신규한 구성의 적재물 하역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에서는 하기와 같은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코져 한다.
1. 무개화차 등에서 좌우 개폐문의 유무, 개폐문의 개폐유무에 관계없이 적재물을 하역할 수 있도록 하고,
2. 적재물의 하역방향을 작업여건에 따라 택일할 수 있도록 하며,
3. 하역작업시에 발생하는 분진 등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환경을 개선시키도록 하며,
4. 적재물이 임의 부피로 고화된 경우 이를 소정 부피로 파쇄하면서 적량씩 이송할 수 있도록 하여 장치의 고장률을 줄임과 동시에 내구성,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5. 특히 무개화차의 깊이가 깊지 않은 경우에 작업성이 극히 우수한 적재물 하역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외형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부 단면상태의 정면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부 단면상태의 평면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부 단면상태의 측면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무개화차 2 : 레일
3 : 하역실 3a,3b : 컨베이어벨트
4 : 프레임 4a : 모터
4b : 차륜 5 : 가이드레일
6 : 카트 7 : 모터
8 : 차륜 9 : 가이드레일
10 : 서브카트 10a : 전후간격조절실린더
10b : 피스톤로드 11 : 업다운실린더
12 : 피스톤로드 13 : 업다운블록
14 : 축핀 15,16 : 버켓
15a,16a : 가이드브라켓 15b,16b : 승강실린더
15c,16c : 피스톤로드 17,18 : 각도조절실린더
19,20 : 피스톤로드 21 : 컨베이어벨트
21a : 각도조절실린더 21b : 서브컨베이어벨트
22 : 브러시 23 : 브러시아암
24 : 각도조절실린더 25 : 파쇄수단
26,27 : 스매쉬로울러 28 : 모터
29 : 닥트 30 : 분진수거수단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외형사시도이며, 제2도는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한 정면구성도이며, 제3도는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한 평면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측면구성도 등을 도시한 것으로서, 무개화차(1) 등이 경유하는 레일(2)의 상부에는 하역실(3)과 전후로 적재물 이송용 컨베이어벨트(3a,3b)를 갖는 프레임(4)을 구축한다. 상기 프레임(4)에는 정역회동이 가능한 모터(4a)에 의해 정역구동할 수 있는 차륜(4b)을 각각 설치하여 프레임(4) 전체가 레일(2)상에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4)의 상부에는 수평방향으로 가이드레일(5)을 전후 패럴형(parallel type)으로 설치한다. 상기가이드레일(5)상을 좌우로 선택활주할 수 있는 카트(6:cart)를 장착하되, 상기 카트(6)의 구동원은 정역회동이 가능한 모터(7)를 카트(6)의 일측 차륜(8)과 연결구동토록 하거나 통상의 다양한 구동수단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카트(6)의 상부에는 가이드레일(5)과 직교방향으로 또 하나의 가이드레일(9)을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레일(9)상을 활주할 수 있는 서브카트(10:subcart)를 설치하되, 전후간격조절실린더(10a)의 피스톤로드(10b)와 연결하여 서브카트(10)의 전후간격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다.
서브카트(10)에는 업다운실린더(11)의 상단부를 구성하고, 상기 업다운실린더(11)의 하측 피스톤로드(12) 하단부는 업다운블록(13)과 연결한다. 업다운블록(13)의 하단 좌우로는 축핀(14)에 의해 각운동할 수 있는 가이드브라켓(15a,16a)을 축설하여 단부가 업다운블록(13)에 축설된 각도조절실린더(17,18)의 피스톤로드(19,20) 단부를 축핀(14)으로 연결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브라켓(15a,16b)상에 가이딩되면서 슬라이드식으로 승강할 수 있는 버켓(15,16)을 일단부가 가이드브라켓(15a,16a)상에 축핀(14)으로 고정된 승강실린더(15b,16b)의 피스톤로드(15c,16c) 단부와 축핀(14)으로 설치한다.
그리고 업다운블록(13)의 하부에는 가이드레일(5)과 역시 직교방향으로 정역선택구동이 가능한 컨베이어벨트(21)를 설치하되, 상기 컨베이어벨트(21)는 수평형, 또는 만곡형 등 적재물에 따라 그 종류를 택일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시한 예는 수평형 컨베이어벨트를 적용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벨트(21)의 좌우로는 필요에 따라 각도조절실린더(21a)와 연결되는 서브컨베이어벨트(21b)를 각각 설치하여 컨베이어벨트(21)의 적재물을 프레임(3)의 외곽으로도 이송낙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컨베이어벨트(21)의 하부 좌우에는 무개화차의 바닥면에 잔류하는 적재물을 수거할 수 있는 브러시(22)를 단부에 구비한 브러시아암(23)을 각각 축핀(14)으로 축설하여 각도조절실린더(24)와 연결설치함으로서 선택적으로 무개화차의 바닥면과 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컨베이어벨트(21)의 상부에는 버켓(15,16)에 의해 컨베이어벨트(21)의 상부면에 이송적재되는 적재물이 임의 부피로 고화(固化)되었을 경우 이를 소정의 메쉬(mesh)로 파쇄할 수 있는 파쇄수단(25)을 장착한다.
상기한 파쇄수단(25)은 다양한 것이 적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좌우측에서 상호 역방향으로 구동하며 이들 상간에 낙하되는 적재물을 파쇄할 수 있는 스매쉬로울러(26,27:smashroll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스매쉬로울러(26,27)의 구동수단은 별도의 모터(28)와 스퍼어기어, 체인스프라켓과 체인 등의 구동연결수단을 사용하여 구동토록 한다.
적재물을 하역작업시에는 적재물의 종류에 따라 분진 등이 다량발생하여 작업환경을 저해할 우려가 많은바,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분진을 효율적으로 수거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벨트(21)의 상측, 즉 카트(6)의 하부에 하나 이상의 분진수거용 닥트(29)를 컨베이어벨트(21)와 인접하게 설치하고, 상기 닥트(29)는 카트(6)의 상부 적소에 설치되는 주지의 백필터(bagfilter)와 같은 분진수거수단(30)과 연결구성토록 한다. 닥트(29)는 그 길이가 고정타입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컨베이어벨트(21)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양에 따라 그 높이가 가변될 수 있는 자바라형으로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 실시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적재물 하역장치는 건축용 골재, 석회석, 석탄 등과 같은 각종 적재물을 무개화차 등에서 하역시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의 작용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키로 한다.
무개화차(1)등에 적재되어 있는 적재물을 하역하기 위해서는 무개화차(1)가 레일(2)을 따라 프레임(4)내의 하역실(3) 상으로 진입하면 본 발명의 적재물 하역장치를 구동케 되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하역장치가 장착된 프레임(4)을 차륜(4b) 구동용 모터(4a)를 정역방향으로 택일구동하여 프레임(4) 전체를 무개화차(1)가 위치하는 적정위치로 이동시킨 후 하역장치를 구동한다.
즉 카트(6)상에 설치된 모터(7)가 정역방향으로 선택기동함으로서 가이드레일(5)상에 카트(1)가 1차적으로 좌우 적정한 하역위치를 결정하면, 2차로 카트(6) 상부의 서브카트(10) 위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이와 연결된 전후간격조절실린더(10a)가 신축작동하여 서브카트(10)의 위치가 조절되면 하역장치의 하역작업위치는 결정이 완료되며, 이러한 카트(6)와 서브카트(10)의 위치는 작업도중에도 필요에 따라 가변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카트(6)와 서브카트(10)의 작업위치가 조절완료되면 차기로 업다운실린더(11)가 신장작동하여 이의 하단 피스톤로드(10b)상에 연결된 업다운블록(13)이 하강하여 상하 작업위치를 결정한다. 특히 본 발명의 하역장치는 무개화차(1)의 적재부 내로 진입하지 않고 무개화차(1)의 상부에 위치하여 개폐문의 개방없이도 적재물을 하역할 수 있게 된다. 즉 업다운블록(13)이 하강하여 작업위치가 결정되면 업다운블록(13)상에 설치된 컨베이어벨트(21)의 양단은 프레임(3)상에 설치된 컨베이어벨트(3a,3b)로 적재물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 위치까지 하강위치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위치까지 업다운블록(13)이 하강완료되면 업다운블록(13) 좌우로 축설되고 각도조절실린더(17,18)의 피스톤로드(19,20)와 가이드브라켓(15a,16a)을 통해 상호 연결된 버켓(15,16)이 적재물을 적재하여 컨베이어벨트(21)로 이송하게 된다. 즉 각도조절실린더(17,18)가 신장작동하면 가이드브라켓(15a,16a)상에 설치된 버켓(15,16)은 축핀(14)을 기점으로 도2와 같이 하방으로 각운동하게 되어 적재물 상간으로 진입하고 재차 각도조절실린더(17,18)가 수축작동하면 버켓(15,16) 내부에는 적재물이 적재되면서 연속적으로 상승 각운동하여 버켓(15,16) 내부의 적재물은 컨베이어벨트(21)상에 적재가 이루어지며, 이때 컨베이어벨트(21)는 정방향 또는 이와 역방향으로 선택구동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여건에 따라 프레임(3)의 전후에 설치된 컨베이어벨트(3a,3b)중 택일된 컨베이어벨트(3a,3b)로 적재물을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적재물을 프레임(4)이 외부로 이송코져 할 시는 서브컨베이어벨트(21b)를 각도조절실린더(21a)를 신축작동시켜 적정각도로 조절한 후 컨베이어벨트(21)를 통하여 이송되는 적재물을 프레임(4)의 외부로도 낙하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버켓(15,16)은 업다운블록(13)이 하사점까지 하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무개화차(1)의 깊이가 깊어 바닥면에 버켓(15,16) 단부가 연접할 수 없을 경우에는 가이드브라켓(15a,16a)과 버켓(15,16)을 연결하고 있는 승강실린더(15b,16b)가 신장작동하여 버켓(15,16)의 하강폭을 보다 아래로 연장할 수 있는바, 이는 버켓(15,16)의 상부가 가이드브라켓(15a,16a)상에 상하로 슬라이드가능케 결합되고 양자가 승강실린더(15b,16b)로 상호 연결되어 있으므로 버켓(15,16) 단독의 승강조절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버켓(15,16)의 이송작업에 의해 적재물은 거의 수거되어 하역이 이루어지지만 바닥면에 잔류된 미하역 적재물은 컨베이어벨트(21) 하부에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 브러시(22)와 카트(6)의 좌우 이동에 의해 일정위치로 집합수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브러시(22)의 각도조절 역시 브러시(22)가 부착된 브러시 아암(23)이 축핀(14)에 의해 축설되고 각도조절실린더(24)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각도조절실린더(24)의 신축작동에 의해 가능한 것이다. 즉 각도조절실린더(24)가 신장되면 브러시(22)는 무개화차(1)의 적재 바닥면에 연접하게 되고 이때 카트(6)가 모터(7)의 정역방향 기동에 의해 좌우로 선택이동하면 바닥면에 잔류된 적재물이 일정장소로 집합수거될 수 있으며, 잔류된 적재물이 수거되면 재차 버켓(15,16)이 전기와 같이 각운동하여 적재물을 컨베이어벨트(21)로 이송하여 하역작업을 연속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선택적으로 컨베이어벨트(21) 상부에 파쇄수단(25)을 설치하면 석회석과 같은 적재물이 수분 등에 의하여 임의 부피로 고화되었을 경우 버켓(15,16)에 의해 컨베이어벨트(21)로 이송되는 적재물이 우선적으로 컨베이어벨트(21)상부에 위치한 파쇄수단(25)을 경유하게 되고, 상기 파쇄수단(25)이 스매쉬로울러(26,27)로 구성되었을 경우에는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스매쉬로울러(26,27) 상간을 적재물이 경유하면서 고화된 적재물은 소정 입자로 파쇄이송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적재물중 하역작업 시에 분진 등이 발생하는 적재물인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백필터와 같은 분진수거수단(30)을 가동하면 이송하역시 발생된 분진은 가변형 닥트(29)로 우선 유입된 후 분진수거수단(30)에서 필터링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지의 적재물 하역장치에 있어서 무개화차 등의 좌우 개폐문의 유무, 개폐문의 개폐유무, 무개화차의 깊이 등에 구애받지 않고 적재물을 간단, 신속하게 하역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적재물의 하역방향 역시 작업여건에 따라 택일할 수 있어 작업의 호환성을 일층 배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하역작업시에 발생하는 분진 등의 비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작업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적재물이 임의 부피로 고화된 경우 이를 소정 부피로 파쇄하면서 적량씩 이송할 수 있도록 하여 장치의 고장률을 줄임과 동시에 내구성,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무개화차의 깊이가 깊지 않은 경우에 작업성이 극히 우수하며 여타장치에 비하여 염가의 장치를 제작할 수 있어 경제성도 동시에 제공 받을 수 있는 등 적재물 하역장치로서 기대되는 효과가 예상외로 다대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적재물 이송용 컨베이어벨트(3a,3b)를 전후로 갖는 프레임(4)과, 상기 프레임(4)의 상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5), 상기 가이드레일(5) 상을 좌우로 선택활주할 수 있는 카트(6)를 갖는 적재물 하역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4)에는 모터(4a)에 의해 정역구동가능한 차륜(4b)을 설치하여 프레임(4)이 전후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한 카트(6)의 상부에는 가이드레일(5)과 직교방향으로 가이드레일(9)을 설치하여 서브카트(10)가 전후간격조절실린더(10a)에 의해 간격조절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서브카트(10)에는 승강작동되는 업다운블록(13)과 연결되는 업다운실린더(11)를 설치하며, 상기 업다운블록(13)의 하부에는 정역구동이 가능한 컨베이어벨트(21)를 설치하고, 좌우에는 축핀(14)에 축설되고 각도조절실린더(17,18)에 의해 각운동할 수 있는 가이드브라켓(15a,16a)을 설치하여 상기 가이드브라켓(15a,16a)상에서 승강조절될 수 있도록 승강실린더(15b,16b)와 연결되는 버켓(15,16)을 구비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21)의 좌우에는 각도조절실린더(21a)에 의해 상하로 각도조절되는 서브컨베이어벨트(21b)를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하역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6)의 하부에 하나 이상의 분진수거용 닥트(29)를 컨베이어벨트(21)와 인접하게 설치하고, 상기 닥트(29)는 카트(6)에 설치된 분진수거수단(30)과 연결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하역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21)의 상측에는 스매시로울러(26,27)로 이루어진 파쇄수단(25)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하역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21)의 하부 좌우에는 축핀(14)이 축설되고 단부에 브러시(22)를 구비한 브러시아암(23)을 각도조절실린더(24)와 연결설치하여 선택적인 각운동이 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하역장치.
KR1019970003315A 1997-01-29 1997-01-29 적재물 하역장치 KR100202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3315A KR100202521B1 (ko) 1997-01-29 1997-01-29 적재물 하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3315A KR100202521B1 (ko) 1997-01-29 1997-01-29 적재물 하역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432A KR970015432A (ko) 1997-04-28
KR100202521B1 true KR100202521B1 (ko) 1999-06-15

Family

ID=19496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3315A KR100202521B1 (ko) 1997-01-29 1997-01-29 적재물 하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25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2743B1 (ko) * 2002-05-13 2005-07-25 안승광 차량용 화물하역 시스템
KR20040026036A (ko) * 2002-09-17 2004-03-27 안정권 차량화물 하역장치
CN115339850A (zh) * 2022-07-27 2022-11-15 安徽省新东方矿业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煤矿开采的矿石输送用带式输送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432A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00731B2 (en) Material processing apparatus with multi-mode feed conveyor assembly
CN2825589Y (zh) 一种叉车
AU2005259133B2 (en) A feeder hopper, a method for locking the walls of a feeder hopper and a locking means
RU2657144C2 (ru) Главная рама для передвиж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обработки насыпного материала
CN206377982U (zh) 一种废钢预热型电弧炉的废钢升降输送装置
RU2002110821A (ru) Очистительная машина для очистки щебеночного балласт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пути
KR930008507B1 (ko) 무개화차의 하역장치
KR100202521B1 (ko) 적재물 하역장치
CN111911151A (zh) 一种矿井用掘进装置
CN215625453U (zh) 一种门式卸车装置
CN214440755U (zh) 一种高效环保履带式移动电动重型筛分站
CN113602368A (zh) 分段式自动卸料货车车厢
CN115108349A (zh) 一种双向式行走结构及移动式装船机
CN114476729B (zh) 一种平车清扫一体机
CN216761695U (zh) 一种破冻清扫一体机
CN214775870U (zh) 一种矿用防爆柴油机钢轮普轨机车的行走装置
CN110700059A (zh) 一种路面加热铣刨机及其输料装置
JP2003267118A (ja) 牽引車両の側面リフティング装置
CN112081600B (zh) 一种用于隧道的渣土输送系统及方法
CN116553214B (zh) 一种灵活度高的移动式卸车接料机
CN209323437U (zh) 一种移动式卸护栏板装置
CN220364810U (zh) 一种铁路道砟清筛装置
JP5863577B2 (ja) 堆積物処理装置
CN218344498U (zh) 物料输送装置
CN215438835U (zh) 一种门式链斗卸车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