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2135B1 - 무선자동응답 전화기의 수신메세지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자동응답 전화기의 수신메세지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2135B1
KR100202135B1 KR1019910020925A KR910020925A KR100202135B1 KR 100202135 B1 KR100202135 B1 KR 100202135B1 KR 1019910020925 A KR1019910020925 A KR 1019910020925A KR 910020925 A KR910020925 A KR 910020925A KR 100202135 B1 KR100202135 B1 KR 100202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portable device
unit
response
desig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0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1529A (ko
Inventor
이승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10020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2135B1/ko
Publication of KR930011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2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21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응답장치를 구비하는 하나의 고정장치에 다수개의 휴대장치를 연결하는 무선 자동 응답 전화기에서 각 휴대장치별로 자동 응답 기능을 구현한다. 이를 위하여 자동 응답 기능설정 및 해제시 각 휴대장치가 독립적으로 해당 기능을 세트및 리세트시키면 고정장치는 해당 상태를 보관한다. 이후외부 착신호 수신시 수신되는 내선 지정번호를 검사하여 자동 응답 기능 설정 유무를 검사한 후, 설정시에는 안내 응답 메세지를 송출하고 수신되는 용건 메세지를 해당 내선번호와 함께 등록하며, 해제시에는 해당 내선 지정번호의 휴대장치로 링 신호를 공급한다. 또한 임의 휴대장치로 부터 재생요구 신호발생시, 해당 내선 지정번호로 등록된 용건 메세지들만을 억세스하여 해당 휴대장치를 통해 재생한다.

Description

무선자동응답 전화기의 수신메세지 처리방법
제1도는 무선자동응답 전화기의 시스템 구성도.
제2a도 및 제2b도는 무선 자동응답 전화기의 고정장치 및 휴대장치의 블럭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병에 따른 수신메세지 등록흐름도.
제4도는 제3도에 의한 수신메세지 메모리멥 구성도.
제5도는 휴대장치에서의 수신메세지 재생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U : 고정장치 HU : 휴대장치
200,250 : RF부 201,251 : 중앙처리장치
204,253 : 통화로부 206,254 : 음성신호발생부
202 : 라인인터페이스부 203 : 링감지부
205 : DTMF디코더 207 : 오디오 신호 처리부
208 : 음성처리부 209 : 기억부
252 : 입력부
본 발명은 무선자동응답전화기의 수신 메세지 처리 방법에 관한것으로, 특히 하나의 고정장치와 다수개의 휴대장치로 구성되어 각 휴대장치별로 자동응답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전화기는 고정장치(Base Unit:BU)와 휴대장치(Handset Unit:HU)가 1:1:로 연결되어, 고정장치(BU)가 공중전화망과 유선통신을 수행하고, 고정장치 BU와 휴대장치 HU간에는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무선 자동응답전화기를 고정장치 BU에는 자동응답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응답장치를 설치하고, 부재중 모드를 세트하면 자동응답기능이 설정되어 고정장치가 수신되는 용건메세지를 응답장치에 등록한다. 그리고 휴대장치 HU를 통해 재생모드를 구현하면, 고정장치 BU는 응답장치에 등록된 용건메세지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휴대장치 HU는 수신되는 RF신호를 복조하여 용건 메세지를 청취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무선자동 응답전화기에서 하나의 고정장치에 다수개의 휴대장치가 연결되어 운용되는 경우에는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휴대장치가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수신인이 각각 다른 경우, 임의의 휴대장치를 사용하는 수신인이 부재중 모드를 세트하면 고정장치 BU는 다른 휴대장치의 상태와 무관하게 자동응답 기능을 설정하게 된다. 그러므로 다른 휴대장치들이 부재중이 아닌 상태 임에도 불구하고 임의 휴대장치가 자동응답기능을 세트하면, 나머지 모든 휴대장치들도 부재중 모드로 세트되어 자동응답기능이 수행된다. 또한 등록된 용건 메세지를 재생하는 경우에도, 임의의 휴대장치가 재생모드를 선택하면 고정장치는 응답장치에 등록된 모든 용건 메세지를 재생함으로서, 해당 수신인에게는 불필요한 용건 메세지들을 재생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다른 수신인의 용건메세지도 재생되므로 비밀보장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고정장치에 다수개의 휴대장치로 구성되는 자동응답전화기에서 각 휴대장치별로 자동응답기능의 설정 및 재생을 수행할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개의 휴대장치들을 구비하는 무선자동응답 전화기에서 각 휴대장치들이 개별적인 자동응답기능을 설정하여 용건메세지를 별도로 등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수개의 휴대장치들을 구비하는 무선자동응답 전화기에서 각 휴대장치들이 등록된 자신의 용건메세지들만 재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응답전화기에의 구성도로서,
응답장치를 갖는 하나의 고정장치 BU 에 다수개의 휴대장치 HU1-HUn이 연결되어 운용됨을 도시하고 있다.
제2a도는 자동응답전화기의 고정장치 BU의 구성도로서,
중앙철장치(201)는 고정장치BU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다수개의 휴대장치 HU1-HUn에 의해 설정되는 자동응답기능을 본 발명에 다라 수행될수 있도록 제어한다. RF부 (200)는 상기 중앙처리장치(201)의 제어하에 채널이 지정되어 각 휴대장치 HU1-HUn들과 RF링크를 형성한다. 라인 인터페이스부(202)는 공중전화망과 연결되어 고정장치 BU와 공중전화만간에 각종 신호 및 음성을 인터페이싱한다. 링 감지부(203)는 상기 라인 인터페이스부(202)에 연결되어 수신 신호중에 링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201)로 링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통화로부(204)는 상기 라인 인터페이스(202) 및 RF부 (200)와 연결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201)의 제어하에 루프릴레이(loop relay)가 온/오프되어 통화로 스위칭함으로서, 휴대장치 HU1-HUn과 공중전화망간에 각종 신호 및 음성신호의 통로를 제어한다.
DTMF 디코더(205)는 상기 통화로부(204)에 연결되어 수신되는 DTMF신호를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한후 상기 중앙처리장치(201)로 출력한다. 오디오 신호 처리부(207)는 상기 통화로부(204)와 연결되어 송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한다.
음성신호 발생부(200)는 상기 오디오 신호 처리부(207)과 언결되어 상기 중앙처리장치(201)의 제어하에 오디오 신호 처리부(207)로 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가청음으로 재생하거나,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오디오 신호 처리부(207)로 출력한다. 기억부 (209)는 용건 메세지 및 응답메세지를 저장하며, 특히 용건메세지 등록 영역은 각 수신인 별로 등록된다. 음성처리부(208)는 상기 오디오 신호 처리부(207)와 연결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201)의 제어하에 상기 기억부(209)를 억세스하여 응답메세지를 상기 오디오 신호 처리부(207)로 출력하거나, 오디오 신호 처리부(207)를 통해 수신되는 용건 메세지를 기억부(207)의 해당영역에 등륵한다.
제2b도는 휴대장치의 블럭구성도로서,
중앙처리장치(251)는 해당 휴대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RF부(250)는 상기 중앙처리장치(251)의 제어하에 채널이 지정되어 상기 고정장치와 BU와 RF링크를 형성한다. 입력부(252)는 사용자에 의해 각종 키 데이타 및 명령어를 발생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251)로 출력한다. 통화로부(253)는 상기 중앙처리장치(251)의 제어하에 휴대장치의 통화로 형성을 스위칭한다.
음성신호 발생부(254)는 상기 통화로부(253)와 언결되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가청음으로 재생하거나, 음성신호를 상기 통화로부(253)로 출력한다.
제3도는 본발명에 따른 자동응답전화기의 수신용건 메세지의 등록 흐름도로서, 내선번호를 수신한후 해당번호에 대응되는 휴대장치의 부재중모드 세트유무틀 검사하며, 부재중 일시에는 해당 내선번호와 함께 용건메세지틀 등록하고 아니면 지정된 내선번호의 휴대장치로 링신호를 공급한다.
제4도는 상기 제3도와 같은 흐름으로 용건 메세지를 등록할시, 기억부(209)의 응건 메세지 영역에 등록되는 메세지들의 메모리 맵 구성도이다.
제5도는 부재중 모드틀 세트한 휴대장치에서 재생모드 구현시 고정장치에 등륵하고 있는 용건메세지를 재생하는 흐름도이다.
상술한 제1도, 제2a도 및 제2b도의 구성에 의해 본발명을 제3도, 제5도의 흐름도 및 제4도의 메모리 맵을 찹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휴데장치 HUI-HUn에서 자등응답기능이 설정되면, 고정장치 BU에서는 이러한 정보들을 알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임의 휴대장치틀 사용하는 가입자가 입력부(252)를 통해 부재중 모드에 대응되는 자등응답 기능키를 발생하면, 중앙처리장치(251)는 이를 인지하고 표시부를 통해 해당기능이 선택 됐음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장치(251)는 RF부 (250)를 제어하여 통신 채널을 지정한후 자동응답 기능의 데이타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RF부(250)는 지정된 채널을 통해 자등응답기능의 데이타와 함께 고유ID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고장장치 BU의 중앙처리장치(251)는 RF부(200)틀 통해 수신되는 휴대장치MUI-HUn의 송출 테이타를 분석하여 해당 ID에 대응되는 휴대장치를 부재중 모드로 설정하여 등륵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장치BU는 RF부(277)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타와 ID를 분석하여 각 휴대장치HUI-HUn별로 자동 응답 기능을 설정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각 휴대장치HUl-HUn임의 휴대장치들이 부재중 모드를 세트하면 고정장치는 해당 휴대장치들안 부재중 모드로 세트시키고, 제3도와 같은 과정을 통재 해당 휴대장치들에 대하여 수신되는 용건 메세지를 각각 구분하여 제4도와 같이 등록한다.
먼저 링감지부(203)가 라인 인터페이스부(202)를 통해 링 신호를 검출하면 중앙처리장치(201)로 링람지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먼 상기 중앙처리장치(201)는 (301)단계에서 링감지 신호의 도래를 인지하고, (302)단계에서 통화로부(204)지 루프 릴레이를 온시켜 통화로를 형성한후, 음성처리부(208)를 제어하여 다수개의 휴대장치HUI-HUn의 지정 내선번호메 대한 응답매세지 출력을 명령한다. 그러먼 상기 음성처리부(208)는 상기 기억부(209)에 저장한 내선 지정에 대한 응답 매세지를 억세스 한후, 오디오 신호처리부(207)로 출력한다. 상기 오디오 신호처리부(207)를 출력하는 응답메세지는 통화로부(204) 및 라인 인터페이스부(702)를 통해 공중전화망을 송출한다.
상기와 같이 내선 지정에 대한 응답 메세지 송출후, 상기 중앙처리장치(201)는 (303)단계에서 처리하고자 하는 내선의 번호가 수신되기를 기다린다. 이때 상기 중앙리장치(201)는 DTMF 디코더(205)의 출력상태를 검사하며, 소정 시간이내에 내선 지정번호가 상기 DTMF 디코더(205)를 통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중앙처리장치(201)는 (303)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304)단계에서 상기 RF부(270)를 제어하어 특정 휴대장치와 RF링크를 형성할 수 있도륵 채널을 지정하고, 해당 채널로 링 데이타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RF부(200)는 수신 링 데이타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지정된 채널로 방사한다.
이때 공중전화망에 연결된 발신 가입자가 내선 지정번호를 다이알링하면, 이 DTMF 신호는 라인 인터페이스부(203) 및 통화로부(204)를 통해 DTMF 디코더(205)로 인가되며, 상기 DTMF 디코더(205)는 수신되는 DTMF 신호를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여 중앙처리장치(201)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중앙처리장치(201)는 (303)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305)단계에서 해당 지정 채널의 휴대장치가 부재중 모드로 세트되어 있는 상태인가 검사한다. 이때 상기 지정된 내선번호의 휴대장치가 부재중 모드로 세트되지 않은 경우에는 자동 응답 기능이 설정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306)단계로 진행하여 RF부(200)틀 제어하여 해당 지정내선의 채널을 지정하고 링 데이타를 출력한다.
그러나 상기 (305)단계에서 수신된 내선번호가 부재중 모드로 세트된 경우, 자동 응답 기능이 설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중앙처리장치(201)는(307)단계에서 음성처리부(208)를 제어하여 해당 내선이 부재중임을 알리는 응답 메세지를 송출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음성처리부(208)는 상기기억부(209)에 등륵되어 있는 응답 메세지를 억세스하여 음성신호로 변환한후 오디오 신호처리부(207)로 출력하며, 이 응답 메세지는 퉁화로부(204) 및 라인 인터페이스부(202)를 통해 공중전화망의 발신 가입자측으로 송출된다. 이후 상기 발신 가입자로 부터 용건 메세지가 수신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201)는 (308)단계에서 음성처리부(208)를 제어하여 지정된 내선번호와 함께 수신되는 용건 메세지를 등륵하도륵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음성처리부(208)는 수신되는 용건 메세지를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한후, 상기 기억부(209)를 억세스하여 제4도와 같이 지정 내선번호와 함께 용건 메세지를 저장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수신된 지정 내선번호의 휴대장치가 자동 응답 기능으로 설정되면 고정장치BU는 음성처리부(208)를 제어하여 지정 내선번호와 함께 용건 메세지를 등록시키고, 지정 내선번호의 휴대장치가 자동 응답 기능의 해제 상태이면 해당 휴대장치의 채널로 링 신호를 공급함으로서, 다수개의 휴대장치로 구성되는 자동 응답 전화기에서 각 휴대장치별로 자동 응답 기능의 설정 및 해제를 개별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자동 응답 기능의 설정 상태에서 수신 용건 메세지를 등록한후 내선 지정으로 녹음된 용건 메세지를 재생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해당 휴대장치의 사용자가 입력부(252)를 통해 재생모드 키를 누르면, 중앙처리장치(251)는 (501)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502)단계에서 RF부(250)를 제어하며 자신의 ID와 함께 메세지 요구신호 및 데이타를 출력한다. 그러면 고정장치 BU의 중앙처리장치(201)는 RF부(200)를 통해 휴대장치로 부터 출력되는 데이타를 수신한후, 분석한다. 이후 부재중 모드로 세트한 휴대장치에서 용건 메세지의 송출요구임을 인지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201)는 음성처리부(208)를 제어하여 해당 지정 내선번호로 등록된 용건 메세지와 재생을 명령한다. 그러면 상기 음성처리부(208)는 제4도와 같은 기억부(209)의 용건 메세지 영역에서 해당 지정 내선번호로 등록된 용건 메세지들을 억세스하여 오디오 신호처리부(207)로 송출한다. 이후 상기 용건 메세지들은 통화로부(204)를 통해 RF부(200)로 인가되어, RF부(200)는 지정된 채널로 상기 용건 메세지를 RF신호로 변조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휴대장치의 중앙처리장치(251)는 (503)단계에서 RF부(250)이를 통해 상기 용건 메세지들을 수신하며, (504)단계에서 통화로부(253) 및 음성신호발생부(254)를 제어하여 녹음된 해당 휴대장치의 용건 메세지를 재생한다.
따라서 휴대장치에서 용건 메세지 재생을 요구할시, 해당 휴대장치로 지정되는 녹음된 용건 메세지들만을 재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응답장치를 구비하는 하나의 고정장치에 다수개의 휴대장치가 연결되는 무선 자동 응답전화기에 있어서, 각 휴대장치별로 고유 ID에 의해 개별적으로 자등 응답기능을 설정 및 해제할 수 있으며, 착신호 발생시 수신되는 내선 지정번호에 따라 자등 응답기능의 설정유무를 검사한후 자동 응답기능이 설정된 휴대장치의 내선번호와 함께 수신된 용건 메세지들을 등록하고, 재생시에는 요구한 휴대장치의 용건 매세지들만 재생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단일 무선 자동 응답전화기 시스템으로 다수개의 무선 자동 응답 전화기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동시에 각 휴대장치간에 용건 메세지의 비밀을 유지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응답 장치를 구비하는 고정장치와 다수개의 휴대장치로 구성되는 무선 자동 응답 전화기의 수신 메세지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장치가 자동 응답모드 데이타와 함께 고유 ID 송출시 고정장치에서 해당 휴대장치의 자등 응답 기능설정 상태를 등록하는 과정과, 외부로 부터 착신호 수신시 내선 지정번호를 수신한후 분석하여 자등응답 기능설정 유무를 검사하며, 자동 응답 기능설정 상태일시 해당 내선 지정번호와 함께 음성 메세지를 등록하고 자등 응답 기능해제 상태일시 해당 내선 지정번호의 휴대장치로 링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장치로 부터 재생모드키 수신시 해당 내선 지정번호로 등록된 용건 매세지를 휴대장치로 출력하여 재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동 착신 전화기의 수신메세지 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 착신호 처리과정이, 착선 링신호 감지시 내선 지정에 대한 응답 메세지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내선 지정번호를 수신한후 자동응답 기능설정 유무상태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과정에서 설정 상태일시 안내 응답 메세지를 송출하고 수신되는 용건 메세지를 지정 내선번호와 함께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과정에서 해제 상태일시 지정 내선번호의 휴대장치로 링 신호를 공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동 응답 전화기의 수신메세지 처리방법.
KR1019910020925A 1991-11-22 1991-11-22 무선자동응답 전화기의 수신메세지 처리방법 KR100202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0925A KR100202135B1 (ko) 1991-11-22 1991-11-22 무선자동응답 전화기의 수신메세지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0925A KR100202135B1 (ko) 1991-11-22 1991-11-22 무선자동응답 전화기의 수신메세지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529A KR930011529A (ko) 1993-06-24
KR100202135B1 true KR100202135B1 (ko) 1999-06-15

Family

ID=19323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0925A KR100202135B1 (ko) 1991-11-22 1991-11-22 무선자동응답 전화기의 수신메세지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213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529A (ko) 1993-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63788A (ja) 無線電話システム
JPS63191456A (ja) 回線端末装置
KR0155633B1 (ko) 자동응답시스템에서 전화수신 시 인사메세지 자동송출방법
KR100202135B1 (ko) 무선자동응답 전화기의 수신메세지 처리방법
JPS6382156A (ja) 回線端末装置
JPS61173577A (ja) フアクシミリ装置
JPH08195802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JP2682530B2 (ja) 留守番電話装置
JP2643346B2 (ja) 留守番電話装置
JP3030997B2 (ja) 複合機能付電話装置
JP2543604B2 (ja) コ―ドレス電話機の子機間転送装置
JP4058851B2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3042819B2 (ja) 電話装置
JP2002185617A (ja) 通話中着信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サービス方法
JPH03232351A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
JPH0548684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JP3326312B2 (ja) 留守番電話機
JP3202064B2 (ja) 無線電話装置
JPH05218965A (ja) セルラー・コードレス留守番電話装置
JPH0730639A (ja) 留守番電話装置
JPH1032534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秘匿通話の設定および解除方式
JPH03270547A (ja) 留守番電話機
JPH05153038A (ja) 無線電話装置
JPH071890B2 (ja) コードレス留守番電話装置
JPH0818651A (ja) 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