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2112B1 - 전기자동차용 스타트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스타트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2112B1
KR100202112B1 KR1019930031283A KR930031283A KR100202112B1 KR 100202112 B1 KR100202112 B1 KR 100202112B1 KR 1019930031283 A KR1019930031283 A KR 1019930031283A KR 930031283 A KR930031283 A KR 930031283A KR 100202112 B1 KR100202112 B1 KR 100202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relay
terminal
coil
grou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31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7424A (ko
Inventor
김천호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30031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2112B1/ko
Publication of KR950017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7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2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21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26Driver interactions by pedal actuation
    • B60L2250/28Accelerator pedal thresho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동키를 스타트단자로 한번 돌릴 때 브레이크를 밟고, 가속페달을 놓으며 전원충전주입구의 커버를 닫아야만 밧데리의 전원이 시스템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출발시의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릴레이(1)와, 제2릴레이(2), 제3릴레이(3), 제4릴레이(4), 제5릴레이(5), 제6릴레이(6), 제7릴레이(7), 발광다이오드(8) 및, 포토트랜지스터(9)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스타트 안전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스타트 안전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릴레이 2 : 제2릴레이
3 : 제3릴레이 4 : 제4릴레이
5 : 제5릴레이 6 : 제6릴레이
7 : 제7릴레이 8 : 발광다이오드
9 : 포토트랜지스터 10 : 밧데리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스타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동키를 스타트단자로 한번 돌릴 때 브레이크를 밟고, 가속페달을 놓으며, 전원충전주입구의 커버를 닫아야만 밧데리의 전원이 시스템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출발시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전기자동차용 스타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
종래 전기자동차에 있어서는, 운전자의 실수로 인해 가속페달을 밟고 시동키를 거는 경우와, 충전중에 콘넥터가 연결된 상태로 출발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전기적인 고장으로 인해 시동키를 걸기만 하면 모터가 회전할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가속페달에 연결된 포텐시오미터(potentiometer)에 피치가 어긋나게 되면 가속페달을 밟지 않아도 모터가 회전하게 되는 것으로, 위험부담이 크다는 문제가 있었다.
[발명의 목적]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시동키를 스타트단자로 한번 돌릴 때 브레이크를 밟고, 가속페달을 놓으며 전원충전주입구의 커버를 닫아야만 밧데리의 전원이 시스템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출발시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전기자동차용 스타트 안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그 코일의 일단이 키스타트단자에 접속되고 그 타단에 접지되며, 그 스위치의 일단이 키온단자에 접속되고 그 타단이 제2릴레이(2) 스위치의 일단에 접속된 제1릴레이(1)와;
그 코일이 일단이 브레이크스위치에 접속되고 그 타단이 접지되며, 그 스위치의 일단이 제1릴레이(1)스위치의 타단에 접속되고 그 타단이 제3릴레이(2) 스위치의 일단에 접속된 제2릴레이(2);
그 코일의 일단이 가속페달의 재생스위치에 접속되고 그 타단이 접지되며, 그 스위치의 일단이 제2릴레이(2)스위치의 타단에 접속되고 그 스위치의 타단이 제4릴레이(2)의 제1스위치의 일단에 접속된 제3릴레이(3);
그 코일의 일단이 제3릴레이(3)스위치의 타단과 그 제1스위치의 접속점에 접속되고 그 코일의 타단이 접지되며, 그 제1스위치의 일단이 제3리레이(3)스위치의 타단에 접속되고 그 제1스위치의 타단이 키온단자에 접속되며, 그 제2스위치의 일단이 키온단자에 접속되고 그 타단에 제5릴레이(5)스위치의 일단에 접속된 제4릴레이(4);
그 코일의 제1단이 전원충전주입구 스위치에 접속되고 그 타단이 접지되며 그 스위치의 일단이 제4릴레이(4)의 제2스위치의 타단에 접속되고 그 스위치의 타단이 제6릴레이코일의 일단에 접속된 제5릴레이(5);
그 코일이 일단이 제5릴레이스위치의 타단에 접속되고 그 코일의 타단이 접지되며, 그 스위치의 일단이 접지되고 타단이 발광다이오드의 애노드단자에 접속된 제6릴레이(6);
그 코일의 일단이 포토트랜지스터의 이미터단자에 접속되고 그 타단이 접지되며, 그 제1스위치의 일단이 콘트롤러의 ()단자에 접속되고 제1스위치의 타단이 밧데리의 ()측 단자에 접속되며, 그 제2스위치의 일단이 상기 콘트롤러의 (-)측 단자에 접속되고 그 제2스위치의 타단이 밧데리의 (-)측 단자에 접속된 제7릴레이(7) 및;
그 캐소드단자 키온단자에 접속되고 그 애노드단자가 상기 제6릴레이(6) 스위치의 타단에 접속된 발광다이오드(8)와, 그 콜렉터와 전원이 접속되고 그 이미터가 상기 제7릴레이(7)의 제1스위치일단에 접속된 포트트랜지스터(9)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시동키를 스타트단자로 한번 돌릴 때 브레이크를 밟고, 가속페달을 놓으며 전원충전주입구의 커버를 닫아야만 밧데리의 전원이 시스템에 공급되게 된다.
[실시예]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스타트안전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동 도면에 있어서 참조부호 1은 제1릴레이, 2는 제2릴레이, 3은 제3릴레이, 4는 제4릴레이, 5는 제5릴레이, 6은 제6릴레이, 7은 제7릴레이, 8은 발광다이오드, 9는 포토트랜지스터이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레이크를 밟으면 제2릴레이(2)가 동작 준비상태로 되고, 가속페달을 놓으면 제3릴레이(3)가 동작준비상태로 되며, 전원충전주입구의 커버를 닫으면 제5릴레이(5)의 동작준비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와 같은 동작조건이 만족된 경우 시동을 걸기 위해 키를 스타트위치로 한번 돌리면, 제5릴레이(5)를 제외한 모든 릴레이의 스위치가 여자되고 상기 제5릴레이(5)가 통전되면 제6릴레이(6)의 코일에 전류가 흘러 그 스위치를 여자시킴으로써 발광다이오드(8)가 동작하여 포토트랜지스터(9)가 턴온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제7릴레이(7)의 스위치가 여자됨으로써 밧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시동이 걸리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5릴레이(5)는 전원충전주입구의 덮개가 열려 있으면 온되고 닫혀 있으면 오프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든 릴레이의 스위치가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의 동작조건중 어느 하나라도 충족되지 않으면 시동을 걸 수 없는 상태로 되는 것이다.
[발명의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시동키를 스타트단자로 한번 돌릴 때 브레이크를 밟고, 가속페달을 놓으며 전원충전주입구의 커버를 닫아야만 밧데리의 전원이 시스템에 공급됨으로써 출발시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그 코일의 일단이 키스타트단자에 접속되고 그 타단에 접지되며, 그 스위치의 일단이 키온단자에 접속되고 그 타단이 제2릴레이(2) 스위치의 일단에 접속된 제1릴레이(1)와; 그 코일이 일단이 브레이크스위치에 접속되고 그 타단이 접지되며, 그 스위치의 일단이 제1릴레이(1)스위치의 타단에 접속되고 그 타단이 제3릴레이(2) 스위치의 일단에 접속된 제2릴레이(2); 그 코일의 일단이 가속페달의 재생스위치에 접속되고 그 타단이 접지되며, 그 스위치의 일단이 제2릴레이(2)스위치의 타단에 접속되고 그 스위치의 타단이 제4릴레이(2)의 제1스위치의 일단에 접속된 제3릴레이(3); 그 코일의 일단이 제3릴레이(3)스위치의 타단과 그 제1스위치의 접속점에 접속되고 그 코일의 타단이 접지되며, 그 제1스위치의 일단이 제3릴레이(3)스위치의 타단에 접속되고 그 제1스위치의 타단이 키온단자에 접속되며, 그 제2스위치의 일단이 키온단자에 접속되고 그 타단에 제5릴레이(5)스위치의 일단에 접속된 제4릴레이(4); 그 코일의 제1단이 전원충전주입구 스위치에 접속되고 그 타단이 접지되며 그 스위치의 일단이 제4릴레이(4)의 제2스위치의 타단에 접속되고 그 스위치의 타단이 제6릴레이코일의 일단에 접속된 제5릴레이(5); 그 코일이 일단이 제5릴레이스위치의 타단에 접속되고 그 코일의 타단이 접지되며, 그 스위치의 일단이 접지되고 타단이 발광다이오드의 애노드단자에 접속된 제6릴레이(6); 그 코일의 일단이 포토트랜지스터의 이미터단자에 접속되고 그 타단이 접지되며, 그 제1스위치의 일단이 콘트롤러의 ()단자에 접속되고 제1스위치의 타단이 밧데리의 ()측 단자에 접속되며, 그 제2스위치의 일단이 상기 콘트롤러의 (-)측 단자에 접속되고 그 제2스위치의 타단이 밧데리의 (-)측 단자에 접속된 제7릴레이(7) 및; 그 캐소드단자 키온단자에 접속되고 그 애노드단자가 상기 제6릴레이(6) 스위치의 타단에 접속된 발광다이오드(8)와, 그 콜렉터와 전원이 접속되고 그 이미터가 상기 제7릴레이(7)의 제1스위치일단에 접속된 포트트랜지스터(9)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스타트 안전장치.
KR1019930031283A 1993-12-30 1993-12-30 전기자동차용 스타트안전장치 KR100202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1283A KR100202112B1 (ko) 1993-12-30 1993-12-30 전기자동차용 스타트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1283A KR100202112B1 (ko) 1993-12-30 1993-12-30 전기자동차용 스타트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424A KR950017424A (ko) 1995-07-20
KR100202112B1 true KR100202112B1 (ko) 1999-06-15

Family

ID=19374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31283A KR100202112B1 (ko) 1993-12-30 1993-12-30 전기자동차용 스타트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211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424A (ko) 199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66540A2 (en) Saddle type vehicle, and engine controlling apparatus and idle stop canceling method for the saddle type vehicle
JPH08107606A (ja) 電動車両用充電装置
KR100202112B1 (ko) 전기자동차용 스타트안전장치
JPS6159050B2 (ko)
JPH0528727Y2 (ko)
CN208966465U (zh) 发动机启动控制电路
CO4930302A1 (es) Vehiculo que incluye unidad de control de parada/arranque de motor
CN208718819U (zh) 发动机启动电路
KR100254423B1 (ko)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컨버터 구동장치 및 그 방법
JPH0315794Y2 (ko)
JP2000274272A (ja) 車両における排気ガス抑制装置
JPH0614069Y2 (ja) 燃料ポンプの制御装置
ES2177189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arrancar un vehiculo automovil.
CN208605300U (zh) 发动机适时启动系统
JPH0114420B2 (ko)
JPH0616979Y2 (ja) 内燃機関の始動装置
KR100211380B1 (ko) 전기자동차의 시동장치
KR960005165Y1 (ko) 자동화 시동회로
JPS6326265Y2 (ko)
KR0128068Y1 (ko) 보조 배터리가 장착된 차량의 전원장치
JPS6123656Y2 (ko)
JP3048918U (ja) ライト切り忘れ防止装置
KR970055036A (ko) 전기 자동차의 보조 배터리 충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H0645393Y2 (ja) 車両用自動定速走行装置のメインスイッチ
JPH0616982Y2 (ja) 車両始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