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165Y1 - 자동화 시동회로 - Google Patents

자동화 시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165Y1
KR960005165Y1 KR2019930021822U KR930021822U KR960005165Y1 KR 960005165 Y1 KR960005165 Y1 KR 960005165Y1 KR 2019930021822 U KR2019930021822 U KR 2019930021822U KR 930021822 U KR930021822 U KR 930021822U KR 960005165 Y1 KR960005165 Y1 KR 9600051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rter relay
switch
clutch
starter
sta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18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1895U (ko
Inventor
김영철
Original Assignee
만도기계 주식회사
정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도기계 주식회사, 정몽원 filed Critical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218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165Y1/ko
Publication of KR9500118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8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1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1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10Safety devices
    • F02N11/101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engine starter actuation or engagement
    • F02N11/103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engine starter actuation or engagement according to the vehicle transmission or clutch st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2200/00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 F02N2200/08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vehicle or its components
    • F02N2200/0802Transmission state, e.g. gear ratio or neutral st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자동화 시동회로
제1도는 종래의 시동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시동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 : 바테리 1 : 시동스위치
2 : 스타터릴레이 3 : 솔레노이드 코일
3' : 클러치 스위치 4 : 시동모터
10 : 다이오드
본 고안은 자동차 시동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타터릴레이의 솔레노이드코일과 시동모터 사이에 다이오드를 연결시켜 자기 유지회로를 형성하여 엔진 고장시 시동모터에 의해 근접거리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시동회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테리(B)의 +전원이 시동 스위치(1)를 통하여 스타터 릴레이(2)의 일접점과 클러치 스위치(3')의 일접점에 공급되고, 클러치 스위치(3')의 다른 접점은 스타터 릴레이(2)의 접점구동용 솔레노이드코일(3)에 공급된다.
스타터 릴레이(2)의 다른 접점은 도선(2')을 통하여 시동모터(4)에 연결된다. 여기서 도선(1')은 스타터 릴레이(2)의 일접점에 제공되는 도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시동회로에서 시동 스위치(1)만 온(on)하고 클러치페달을 밟지 않았을때(클러치스위치(3')가 오프일때)에는 시동 스위치(1)에서 도선(1')을 통하여 스타터 릴레이(2)의 일접점에 바테리(B)의 전원이 공급된다.
그러나 이 경우 클러치 스위치(3')가 오프(off)이므로(클러치 페달을 밟지 않았으므로)솔레노이드코일(3)이 여자되지 않아 스타터 릴레이(2)는 동작되지 않고, 이에 따라 시동모터(4)가 동작되지 않는다.
한편, 시동 스위치(1)를 온 시키고, 클러치페달을 밟아 클러치 스위치(3')가 온되면 스타터 릴레이(2)의 솔레노이드코일(3)이 여자되어 그의 접점은 온 시키므로 바테리(B) 전원이 시동모터(4)에 인가되어 시동모터(4)를 구동시켜 엔진은 시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엔진고장 등에 의한 위급 상황시 운전자가 시동모터(4)를 이용하여 차량을 최대한 근접거리로 이동하고자 할때 클러치 스위치(3') 때문에 엔진은 크래킹 되어도 그 동력이 차체에 전달되지 않으며, 시동 스위치(1)를 온시킨 상태에서 클러치페달을 놓으면 (클러치 스위치(3')를 오프시키면) 시동회로가 자동차단되어 차량을 움직일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평상시에는 클러치 페달을 밟아 엔진시동을 걸고, 엔진시동이 걸리지 않을 때는 운전자가 시동스위치를 온 시킨 상태에서 클러치 페달을 떼어도 시동회로가 유지되도록 하여 시동모터에 의해 근접거리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클러치 스위치와 솔레노이드코일의 공통 접속점과 시동모터와 스타터 릴레이의 공통접속점간에 자기 유지용 다이오드를 연결시킨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로서, 바테리(B)의 +전원단에 시동 스위치(1)를 통해 스타터 릴레이(2)의 고정접점(2a)과 클러치 스위치(3')의 일단(3'a)이 접속되고 타단(3'b)에는 솔레노이드코일(3)이 접속되며, 상기 바테리(B)의 +전원단에 일단이 연결된 시동모터(4)의 타단에 스타터 릴레이(2)의 가동접점(2b)이 연결된 시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스위치(3')와 솔레노이드코일(3)의 공통접속점(a)과 시동모터(4)와 스타터 릴레이(2)의 공통접속점(b) 사이에 자기유지용 다이오드(10)를 연결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밟으면, 클러치 스위치(3')가 온 상태가 된다.
이때 운전자가 시동 스위치(1)를 온 시키면 스타터 릴레이(2)의 솔레노이드코일(3)이 여자되고, 이에 따라 스타터 릴레이의 접점이 도토오디어 바테리(B) 전원이 접점(2a,2b) 및 도선(1',2')을 통하여 시동모터(4)에 인가되므로 시동을 걸수가 있다.
이때 만일 시동이 걸리지 않아 근접거리를 이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운전자가 변속기어를 집어 넣고 클러치를 밟아 시동모터(4)를 동작시킨 상태에서 클러치 페달을 떼더라도(클러치 스위치(3')를 오프시켜서도) 다이오드(10)를 통하여 바테리전원(B)이 바이패스 되므로, 바이패스 전류가 순방향인 다이오드(10)를 통하여 솔레노이드코일(3)에 공급되고, 이로 인해 자기 유지회로가 형성되어 클러치 스위치(3')를 오프하여도(클레치페달에서 발을 제거해도) 시동회로는 정상적으로 형성되며, 운전자가 시동 스위치(1)를 오프하기 전까지는 시동회로가 정상적으로 동작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평상시에는 클러치 페달을 밟아 엔진시동을 걸고, 엔진시동이 걸리지 않을 때에는 운전자가 시동키를 계속 유지한 상태에서 클러치 페달을 떼더라도 시동회로가 차단 되지 않아 시동모터를 이용하여 근접거리를 큰 불편없이 이동할 수 있는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바테리(B) +전원단에 시동스위치(1)를 통해 스타터 릴레이(2)의 고정접점(2a)과 클러치 스위치(3')의 일단(3'a)이 접속되고 타단(3'b0에는 솔레노이드코일(3)이 접속되며, 상기 바테리(B)의 +전원단에 일단이 연결된 시동모터(4)의 타단에 스타터 릴레이(2)의 가동접점(2b)이 연결된 시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스위치(3')와 솔레노이드코일(3)의 공통접속점(a)과 시동코터(4)와 스타터 릴레이(2)의 공통접속점(b) 사이에 자기유지용 다이오드(10)를 연결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동회로.
KR2019930021822U 1993-10-22 1993-10-22 자동화 시동회로 KR9600051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1822U KR960005165Y1 (ko) 1993-10-22 1993-10-22 자동화 시동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1822U KR960005165Y1 (ko) 1993-10-22 1993-10-22 자동화 시동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895U KR950011895U (ko) 1995-05-16
KR960005165Y1 true KR960005165Y1 (ko) 1996-06-22

Family

ID=19366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1822U KR960005165Y1 (ko) 1993-10-22 1993-10-22 자동화 시동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16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895U (ko) 1995-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0092A (en) Transmission operating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
KR960005165Y1 (ko) 자동화 시동회로
KR890003747B1 (ko) 차량의 안전 시동 장치
JPS631001B2 (ko)
JPH0214548B2 (ko)
KR200142581Y1 (ko) 자동 변속기 차량 시프트록 안전장치
KR0126025Y1 (ko) 기어위치 검출을 위한 시동 통제장치
KR20070092412A (ko) 차량용 버튼 시동장치
KR930002819Y1 (ko) 자동차의 이그니션 회로
JPH052347Y2 (ko)
KR200291183Y1 (ko) 자동차용동력인출장치의에어식변환구조
JPS63106163A (ja) 車両用パ−キングブレ−キオ−トリリ−ス装置
KR200245195Y1 (ko) 수동변속차량의시동제어장치
JPH0224655Y2 (ko)
KR0131174B1 (ko) 전기자동차용 후진등 작동장치
KR910008336Y1 (ko) 스타트모우터용 자동 전원차단스위치
JPS6224572Y2 (ko)
KR0122462B1 (ko) 자동차의 오토 릴리스 파킹 장치
JPH0527297Y2 (ko)
JPS5816903Y2 (ja) 自動車用自動変速装置
KR19980062336A (ko) 전기자동차의 시동장치
KR19980055578U (ko) 차량용 시동 방지 장치
KR100202112B1 (ko) 전기자동차용 스타트안전장치
JPH04265471A (ja) エンジン始動装置
JPH052460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