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1846B1 - 비디오 프린터 - Google Patents

비디오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1846B1
KR100201846B1 KR1019920022418A KR920022418A KR100201846B1 KR 100201846 B1 KR100201846 B1 KR 100201846B1 KR 1019920022418 A KR1019920022418 A KR 1019920022418A KR 920022418 A KR920022418 A KR 920022418A KR 100201846 B1 KR100201846 B1 KR 100201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paper
video printer
image
cutter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2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9783A (ko
Inventor
와나오끼 다끼자
야스시 히루미
고지 요시노
고이찌 고꾸쇼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30009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1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18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Landscapes

  • Handling Of Sheets (AREA)
  • Handling Of Continuous Sheets Of Paper (AREA)
  • Dot-Matrix Printers And Other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전사지를 한 개당 인화가능한 매수를 늘릴 수 있는 비디오 프린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화상을 전사지(20)에 인화할때에는 서멀헤드(30)와 커터(33)와의 사이의 거리이하의 량만큼 전사지(20)를 되돌리고 나서 인화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비디오 프린터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비디오 프린터의 요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2도는 본 실시예 비디오 프린터의 전사지 보냄(되돌림)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3도는 실시예의 비디오 프린터의 개략적인 블록회로도이다.
제4도는 실시예의 비디오 프린터의 CPU에 있어서의 플로우 챠트도이다.
제5도는 본 실시예의 비디오 프린터에서 인화되어 절단한 전사지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6도는 종래예의 비디오 프린터의 결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7도는 종래예의 비디오 프린터에서 인화되어 절단한 전사지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작판넬 2 : 프린트 키이
4 : 개구부 20 : 전사지(轉寫紙)
30 : 서멀헤드(thermal head) 31 : 히터
32 : 플래턴(platen)롤러 33 : 커터
40 : 수광기 41 : 발광기
49 : 장진부 43 : 플랜턴 모터
46 : FG핀 47 : 포토인터럽터(photo-interrupter)
본 발명은 비디오 신호를 화상으로 변환하여 전사지(轉寫紙)에 인화(印畵)하는 소위 비디오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소위 비디오 프린터는, 예를들면 기록동작중에 화상을 고정유지하는 화상 메모리부나 계조(階調)제어부, 전사지등을 반송하는 반송기구, 기록매체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 비디오 프린터의 최대의 특징은 기록화상이 자연화상이므로 아날로그적인 계조를 표현하는데 있고, 이러한 점이 당해 비디오 프린터 이외의 통상의 문자 혹은 도형의 묘사를 주 목적으로 하는 프린터와 다른 점이다.
상기 비디오 프린터로서는, 예를들면 잉크 제트방식이나 서멀 전사방식, 은염(銀鹽)방식사진등이 있다. 예를들면, 상기 서멀 전사방식에서는 수광지와 잉크를 도포한 베이스 필름으로 이루는 전사지를 인자드럼과 서멀헤드에 끼워 적당히 가압하고, 인자드럼을 회전하면서 서멀헤드에 인가하는 전기에너지를 화상신호의 진폭에 따라서 제어함으로써 계조표현을 행하도록 한다. 상기 멀티헤드는 기록시간의 단축, 인사화소의 위치 맞춤의 용이함등으로 라인헤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비디오 프린터에 예를들면 비디오 카메라등으로 부터 비디오신호가 공급된다.
또, 상기 서멀 전사방식의 비디오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전사지(轉寫紙)로서는 통상 롤(roll)형에 감겨진 감열지가 사용되는 것이 많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비디오 프린터에 있어서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사지(20)(롤지(22))가 예를들면 당해 비디오 프린터의 케이스체의 앞면(조작판넬)에 설치된 직사각형의 개구부에 배치되는 커터(33)에 의해 절단되도록 되어 있다.
또, 비디오 프린터에 있어서는 이 커터(33)의 위치와 예를들면 서멀헤드(30)의 히터(31)와의 거리 c는, 구조상 제로(0)로 할 수 없다.
따라서 화상이 인화된 전사지(20)를 상기 커터(33)로 절단하면, 이 인화된 전사지(20)에는 커터(33)에 의한 절단위치와 상기 서멀헤드(30)(히터(31))에 의한 인화개시위치까지의 여백부분(상기 거리c에 대응하는 여백부분)이 생기게 된다. 즉,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이 인화된 전사지(20)의 화상인화부(20)와 절단위치까지의 여백부분의 량 a은 예를들면 20mm∼30mm가 된다.
이와같은 것으로 인하여, 상기 롤형에 감겨진 전사지(롤지(22))의 롤 한 개당 인화할 수 있는 화상의 매수는, 상기 여백부분이 있기 때문에 적어져 버린다. 또 종래의 비디오 프린터의 경우, 예를들면 20m두루마리의 전사지롤 한 개당 예를 들면 205매 정도로 되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이며, 전사지를 한 개당 인화가능매수를 늘릴 수 있는 비디오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비디오 프린터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며, 비디오신호에 의거하는 화상을 전사지에 인화하는 헤드와, 이 헤드와 떨어진 위치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전사지를 절단하는 커터가 설치되어지는 비디오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화상을 전사지에 인화할때에는 상기 헤드와 상기 커터와의 사이의 거리이하의 량만큼 상기 전사지를 되돌리고 나서 인화를 행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롤형의 전사지를 사용한 비디오 프린터에 있어서, 인화결과를 잘라내기 위한 여백보냄량이 인화화면의 구절을 명백히 하기 위한 여백보냄량 보다도 커지는 경우, 일단 잘라내기 위한 여백보냄을 행한후, 다음회 인화의 직전에 전사지를 다시 되돌리도록 함으로써, 전사지롤의 소비량을 줄일 수 있도록(전사지를 한 개당 인화가능매수를 늘림)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비디오 프린터에 의하면 전사지에 화상을 인화할때에는 일단, 전사지를 되돌리고 나서 인화를 행하도록 함으로써, 여백부분을 줄일 수 있다. 또 전사지의 되돌림량은 헤드와 커터와의 사이의 거리이하의 량으로 함으로써, 인화때에는 전사지가 헤드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정상의 인화가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비디오 프린터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디오 신호에 의거하는 화상을 전사지(20)에 인화하는 서멀헤드(30)와, 이 서멀헤드(30)와 떨어진 위치에 설치됨과 동시에서 상기 전사지(20)를 절단하는 커터(33)가 설치되어지는 비디오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화상을 전사지(20)에 인화할때에는 상기 서멀헤드(30)의 히터(31)와 상기 커터(33)와의 사이의 거리(상기 제6도의 거리c)이하의 량만큼 상기 전사지(20)를 되돌리고 나서 인화를 행하도록 한 것이다.
이 제1도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비디오 프린터의 케이스체(6)의 조작판넬(1)에는 예를들면 화상이 인화된 전사지(20)의 취출구(송출구)인 직사각형의 개구부(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개구부(4)의 직사각형의 상부에는 적어도 상기 전사지(20)의 폭이상의 길이를 갖는 상기 커터(33)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서멀헤드(30)는 상기 커터(33)의 후방(조작판넬(1)측에서 보아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전사지(20)에 화상을 인화한다. 여기서 이 전사지(20)는 예를들면 감열지이고, 따라서 상기 화상의 인화를 상기 서멀헤드(30)의 히터(31)가 화상신호에 의거하여 발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 상기 전사지(20)를 끼운 상기 서멀헤드(30)의 히터(31)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플래턴 롤러(32)가 배치되어 있고, 이 플래턴 롤러(32)의 누름압력에 의해 상기 히터(31)에 전사지(20)가 접촉하도록 이루어짐과 동시에, 이 롤러(32)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전사지(20)의 보냄이 실현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비디오 프린터에 있어서는, 상기 조작판넬(1)상에 배치된 프린트키이(2)를 온(ON)하면, 상기 플래턴 롤러(32)가 회전하여 상기 전사지(20)가 도면중 화살표 d에 나타낸 방향으로 보내짐과 동시에 (이하 상기 화살표 d방향에 전사지를 송출할때의 플래턴 롤러(32)의 회전방향을정회전으로 한다). 상기 서멀헤드(30)가 화상신호에 따라서 구동됨으로써, 화상의 인화가 행해지게 된다.
또, 상기 서멀헤드(30)의 상기 조작판넬(1)측단부에는, 상기 플래턴 롤러(32)에 의해 보내지는 전사기(20)의 방향조정(상기 개구부(4)로부터 전사지가 송출되도록 조정한다)을 위한 페이퍼 가이드시트(4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터(33)와 서멀헤드(30)와의 사이에는 상기 전사지(20)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발광기(41) 및 수광기(40)로 이루어지는 광센서가 배치되어 있다. 이 광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커터(33)와 서멀헤드(30)와의 상이에 상기 전사지(20)가 존재하면, 상기 발광기(41)로 부터의 광이 전사지(20)에 의해 가로막혀 수광기(40)에는 이 발광기(41)의 광이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전사지(20)가 존재하고 있는 것을 검출한다.
역으로, 발광기(41)로 부터의 광을 수광기(40)에서 수광할 수 있는 경우는, 상기 커터(33)와 서멀헤드(30)와의 사이에 상기 전사지(20)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검출한다.
기타, 당해 비디오 프린터에 있어서는, 상기 롤러(22)(롤형에 감겨진 전사지)를 장진할 경우(혹은 롤지(22)를 취출할 경우)에는 장진부(49)가 상기 조작판넬(1)방향으로 열도록 되어 있다.
또한 거듭, 본 실시예의 비디오 프린터의 상기 플래턴 롤러(32)에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벨트(44) 및 기어(45)를 거쳐 플래턴 모터(43)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제2도에 있어서, 상기 제1도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지시부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플래턴 모터(43)의 주축에는 FG핀(fin)(46)이 취부되어 있다.
이 FG핀(46)의 외주부분에는 일정 폭을 갖는 복수의 슬릿이 라디얼방향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이 FG핀(46)의 상기 슬릿이 배치되는 외주부분에는 이 슬릿부분을 발광부 및 수광부가 끼워지도록 포토 인터럽터(47)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플래턴 모터(43)의 주축이 회전하면 그에따른 상기 FG핀(46)도 회전한다. 상기 인터럽터(47)는 상기 회전하는 FG핀(46)의 상기 슬릿부를 투과하는 발광부로 부터의 광을 수광부에서 수광한다. 이것에 의해, 이 포토 인터럽터(47)로 부터는 FG펄스가 얻어지게 된다. 즉, 이 FG펄스는 상기 플래턴 롤러(32)의 회전량과 회전속도를 나타내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비디오 프린터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사지(20)에 인화를 개시할 때에는 상기 서멀헤드(30)의 히터(31)와 상기 커터(33)와의 사이의 거리(상기 제6도의 거리c)이하의 량만큼 상기 전사지(20)를 되돌리고 나서 인화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비디오 프린터에 있어서는, 상기 조작판넬(1)상에 배치된 프린트 키이(2)를 온(ON)하여 전사지(20)로의 화상인화를 개시할때에는 상기 전사지(20)가 제2도의 도면중 화살표 e에 나타낸 방향으로 되돌리도록 일단 상기 플래턴 롤러(32)를 회전(이하 화살표 e방향으로 전사지(20)를 되돌릴때의 플래턴 롤러(32)의 회전방향을 역회전으로 한다)시키게 한다. 이 플래턴 롤러(32)의 역회전에 의한 상기 전사지(20)의 되돌림량은 상기 제6도의 거리 c이하의 량으로 한다.
환언하면, 상기 전사지(20)에 인화를 개시할때에는 일단 상기 플래턴 모터(43)를 역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플래턴롤러(32)를 역회전시켜 상기 전사지(20)를 끌어들이도록 하고 있다. 또 이 전사지(20)의 끌어들임량(상기 제6도의 거리c이하의 량)은 상기 플래턴 모터(43)의 주축에 배치되는 상기 FG핀(46) 및 포토인터럽터(47)에 의해 만들어진 상기 FG펄스를 카운트함으로써 검출한다.
상기 전사지(20)를 되돌린후는 상기 플래턴 모터(43)를 정회전(플래턴 롤러(32)를 정회전)시켜, 프린트 동작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전사지(20)의 끌어들임 때에, 예를들면 너무 많이 끌어들이면, 상기 플래턴 모터(43)를 정회전(플래턴 롤러(32)를 정회전)으로 절환한 후에 이 전사지(20)가 소위 재밍(jamming)할 염려가 있으므로 프로텍트가 필요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텍트는 예를들면 경과시간과 전사지(20)검출용의 상기 광센서(수광기(40) 및 발광기(41))에 있어서의 검출에 의거하여 행한다. 즉, 일정시간을 경과하여도 소정의 FG펄스수가 카운트되지 않은 경우와, 상기 전사지(20)를 너무많이 끌어들여 상기 광센서가온(ON)한 경우(전사지(20)가 없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플래턴 모터(43)의 역회전을 스톱시킨다.
상술한 바와같은 동작제어를 행하기 위한 본 실시예 비디오 프린터의 구체적인 블록회로도를 제3도에 나타낸다.
이 제3도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비디오 프린터의 회로구성은 상기 프린터키이(2)로 이루어지는 인화개시번호 입력부(55)와, 상기 FG핀(46) 및 포토 인터럽터(47)로 이루어지는 FG펄스발생부(53)와, 상기 전사지(20)의 유뮤를 검출하는 상기 발광기(41) 및 수광기(40)로 이루어진 광센서부(54)와, 비디오신호에 의거하여 서멀헤드(30)를 구동제어하는 프린트 콘트롤부(51)와,상기 플래턴 모터(43)를 구동제어하는 모터 드라이버(52)와, 각부를 제어하는 CPU(50)와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 상기 CPU(50)에 있어서의 제어동작의 플로우챠트를 제4도에 나타낸다.
즉, 이 제4도의 플로우챠트에 있어서, 우선 스텝(S31)에서 상기 프린트키이(2)가 온(ON)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 스텝(S31)에서 상기 프린트키이(2)가 온(ON)되지 있지 않다고 판단할 경우(ON)되었다고 판단한 경우(Yes)는 스텝(S32)로 진행한다.
스텝(S32)에서는 상기 프린트키이(2)의 온에 의한 인화가 상기 비디오 프린터의 전원투입후이고 그리고 상기 롤지(22)를 장지하기 위한 장진부(49)의 개폐구가 닫혀진후에 1매째의 인화인지 아닌지의 판단을 행한다.
이 스텝(S32)에서 YES로 판단된 경우(1매째의 인화라고 판단한 경우)는 스텝(S33)으로 진행하고, No라고 판단된 경우(예를들면 2매째의 인하라고 판단한 경우)는 스텝(S35)에서 프린트콘트롤부(51)에 사명을 부여함으로써 프린트 동작을 행하게 한다.
또, 상기 스텝(s35)에서는 상기 플래턴 모터(43)를 역회전(플래턴 롤러(32)의 역회전)시킨다. 그후, 스텝(S36)에서 상기 경과시간으로서 예를들면 0.5초이상 경과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다하고, 0.5초이상 경과하였다고 판단한 경우(Yes)는 스텝(S39)으로 진행하고, 0.5초이하라고 판단한 경우 (No)sm 스텝(S37)로 진행한다.
스텝(S37)에서는 상기 광센서부(54)가 온(ON)하였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행하고, 온(ON)하였다고 판단한 경우(No)는 스텝(S38)로 진행한다.
스텝(S38)에서는 상기 FG펄스발생부(53)에서의 FG펄스가 소정의 펄스수로 되었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행하고, 소정의 펄스수로 되었다고 판단한 경우(Yes)는 스텝(S39)로 진행하고, 소정의 펄스수로 되어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No)는 스텝(S35)로 되돌린다.
상기 스텝(S39)에 있어서는 상기 플래턴 모터(43)를 정회전(플래턴 롤러(32)의 전회전)시킨후, 스텝(S40)에서 프린트 콘트롤부(51)에 사명을 부여함으러써 프린트 동작을 행하게 한다.
즉, 본 실시예의 비디오 프린터에 있어서는 프린트 키이(2)가 눌러지면, CPU(50)는 이것이 전원투입 또는 장진부(49)를 닫은 후(도어 크로스후)의 1매째의 인화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것은 전자시(20)(롤지(22))의 셋팅이 나쁘면 전사지(20)의 선단이 커터(33)의 위치가 아님을 알 수 있고, 여기서 전술한 바와같이 당해 전사지(20)를 소정량 줄어들일 때 너무 많이 끌어들이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와같은 경우데는 끌어들인 인화는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또 인화가 1매째이면 통상의 인화동작이 된다.
상술한 바와같은 것으로부터 본 실시예의 비디오 프린터에 있어서는, 여백부분을 줄임으로써 전사지를 한 개당 프린트 매수를 많게 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화상이 인화된 전사지(20)의 화상인화부(21)의 절단위치까지의 여백부분의 량b은 예를들면 약15mm정도가 되고, 종래의 비디오 프린터에서는 전사지를 한 개당 약 235매로 증가하게 된다.
상술과 같이 본 발명의 비디오 프린터에 있어서는 화상을 전자시에 인화할때에 헤드와 커터와의 사이의 거리이하의 량만큼 전사지를 되돌리고 나서 인화를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전사지를 한 개당 인화가능매수를 늘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Claims (1)

  1. 비디오 신호에 의거하는 화상을 전사지에 인화하는 헤드와 상기 헤드와 떨어진 위치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전사지를 절단하는 커터가 설치되어 지는 비디오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화상에 전사지에 인화할때에는 상기 헤드와 상기 커터의 사이의 거리이하의 량만큼 상기 전사지를 되돌리고 나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프린터.
KR1019920022418A 1991-11-30 1992-11-26 비디오 프린터 KR1002018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207791A JP3318765B2 (ja) 1991-11-30 1991-11-30 ビデオプリンタ
JP91-342077 1991-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783A KR930009783A (ko) 1993-06-21
KR100201846B1 true KR100201846B1 (ko) 1999-06-15

Family

ID=18350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2418A KR100201846B1 (ko) 1991-11-30 1992-11-26 비디오 프린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318765B2 (ko)
KR (1) KR1002018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965A (ko) * 1996-10-31 1998-07-25 김광호 메모리 뱅크를 사용하는 인터페이스장치
JP3134871B1 (ja) * 1999-09-27 2001-02-13 神鋼電機株式会社 昇華型カラープリン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783A (ko) 1993-06-21
JPH05147280A (ja) 1993-06-15
JP3318765B2 (ja) 2002-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04878B1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KR100201846B1 (ko) 비디오 프린터
EP0846565B1 (en) Thermal printer with sheet pressure means
US5206661A (en) Thermal transfer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that stably conveys
JPH09272217A (ja) 感熱プリンタ
JP3282237B2 (ja) 熱転写記録装置
EP0409249B1 (en) Thermal transfer recording apparatus
US5144329A (e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which takes into account image information being recorded
JP4200640B2 (ja) プリンタ
US20040001131A1 (en) Method for detecting validity of paper with a printer
JP3527336B2 (ja) プリンタ
JP3089936B2 (ja) インクリボンの巻取制御装置
JPH04368877A (ja) 画像形成装置
US5410336A (en)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k sheet conveyance in accordance with an interval between recording operations
US5471227A (en) Recording method with variable recording interval
KR0147577B1 (ko) 프린터
EP0917960A1 (en) Recording apparatus
US20040001216A1 (en) Method for preventing repeat printing to a document
JPS61197259A (ja) 画像形成装置
JPH05104710A (ja) 記録装置
JPH05147277A (ja) ビデオプリンタ
JPH06340141A (ja) 記録装置
JP2001310833A (ja) 記録装置
JP2000190605A (ja) 印刷装置及び同装置に用いられるテ―プカセット
JPH03295671A (ja) 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