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9318B1 - 중합체 필름 - Google Patents

중합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9318B1
KR100199318B1 KR1019920008209A KR920008209A KR100199318B1 KR 100199318 B1 KR100199318 B1 KR 100199318B1 KR 1019920008209 A KR1019920008209 A KR 1019920008209A KR 920008209 A KR920008209 A KR 920008209A KR 100199318 B1 KR100199318 B1 KR 100199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polymer
substrate
pp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8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1312A (ko
Inventor
데이빗 알란 밀스 폴
리차드 오렉 안톨
아메드 씨디큐이 주나이드
Original Assignee
미리암 디. 메코너헤이
이. 아이. 듀퐁 드 네모아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리암 디. 메코너헤이, 이. 아이. 듀퐁 드 네모아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미리암 디. 메코너헤이
Publication of KR920021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1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9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93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73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 G11B5/739Magnetic recording media substrates
    • G11B5/73923Organic polymer substrates
    • G11B5/73927Polyester substrate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 G11B5/73931Two or more layers, at least one layer being polyes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3/00Packaging equipment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Product with molecular orien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Y10T428/24967Absolute thicknesses specifi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2Glass or ceramic [i.e., fired or glazed clay, cement, etc.] [porcelain, quartz,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9Silic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10T428/31797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Abstract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충진되지않은 기본 기판층과 충진된 제2층으로 구성되며 투명도 및 조작특성이 조화롭게 향상된 중합체 필름, 특히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충진제란 100 - 1000 ppm 의 농도로 제2층내에 존재하는 부피 분포 평균 입자 직경이 1.0-7.0㎛ 인 유리입자이다. 이 필름은 광범위한 용도, 특히 정보의 저장 및 디스플레이에 적당하다.

Description

중합체 필름
제1도는 제1기판층의 제1표면에 제2층이 직접 붙어있는 중합체 필름의 도식화된 단면도이다.
제2도는 기판의 제2표면에 또 다른 제2층이 붙어있는 중합체 필름의 도식화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중합체 필름, 및 특히 복합재료 중합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중합체 필름은 종종 조작 특성이 나빠 필름을 품질좋은 릴(reel)로 감는 것을 어렵게 만들고 예를들어 슬릿팅(slitting)장치같은 공정을 효과적으로 통과하지 못하게 만든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일이다. 피복물을 사용한다거나 그렇치 않으면 필름에 유기 또는 무기물 입자같은 충진제를 넣으므로써 적당히 필름의 표면 거칠기를 증가시키면 필름의 조작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필름의 조작 특성을 향상시키기위해 피복물과 충진제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필름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피복물을 사용할때 생기는 문제점은 예를들어 대전방지성, 접착촉진성 또는 이형성을 제공하기위해 필요로하는 부가적인 피복물층을 사용하는데 있어서의 어려움으로인해 피복물을 사용할 수 있는 필름의 이용범위에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조작 특성을 향상시키기위해 도토, 이산화티타늄, 탄산칼슘, 황산바륨, 실리카, 카올린, 제오스페어 및 인산칼륨과 같은 광범위한 충진제들을 필름에 포함시킬 수 있다. 그러나, 필름에 들어간 이들 층전제들로 인해 필름의 광학 청징도(optical clarity) 는 떨어지고 혼탁도는 증가하게된다.
광학 청징도 및 투명도는 포장물, 금속처리된 필름, 재생사진 필름 및 일반공업용 필름같은 필름의 광범위한 사용범위에 있어 중요한 결정기준이 된다. 광 투과도가 높고 혼탁도가 낮으며 조작 특성이 훌륭한 필름이 여전히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줄일 수 있는 한가지 방법은 투명한 기본(base) 필름을 복합재료 필름의 전체 투명도를 부적당한 정도까지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블럭킹 방지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충진제가 들어간 물질의 층으로 피복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들이 US 특허 제4, 533, 509 호에 기재되어있다.
투명한 호모폴리에스테르층과 투명한 코폴리에스테르층으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복합재료가 GB - P - 1,465,973 호에 기재되어있다. 유럽특허 제35835호에는 코폴리에스테르층안에 있는 충진제의 평균입자크기가 그 층의 두께보다 큰, 폴리에스테르 필름 복합재료가 기재되어있다. 충진제 입자가 코폴리에스테르층에서 돌출되어 나오면 투명도 및 열 - 봉합성이 향상된 것은 물론 블럭킹 방지 특성도 좋은 필름이 만들어지게된다. 그러나, 상술한 특성들은 코폴리에스테르층의 두께/충진제입자크기의 비가 특정할 때만 이를 수 있기 때문에 코폴리에스테르층의 두께를 달리하려면(예를들어, 실제용도가 다른경우)충진제입자의 크기를 바꿔줘야한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용도가 다른경우에는 다른 충진제를 사용해야 한다.
놀랍게도 우리는 상술한 하나 이상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거나 또는 거의 줄일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중합체 기판인 제1층과 이것의 최소한 한쪽면 위에 얹혀있는 중합체인 제2층으로 구성된 중합체 필름을 제공하는데, 중합물질 제2층은 이것의 중량을 기준으로 할때 100 - 1000 ppm되는 부피 분포 중간입자 직경이 10-7.0㎛ 인 유리입자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제2층내의 중합체 중량을 기준으로할때 100 - 1000 PPm 되는 부피 분포 중간입자 직경이 1.0-7.0㎛ 인 유리입자로 구성된 중합체 물질의 제2층이 최소한 한쪽 표면위에 덮혀있는 중합체 기판인 기본층을 만드는 것으로 이루어진 중합체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 중합체 필름이란 스스로 지탱할 수 있는 필름, 즉 다른 지지물체가 없이도 스스로 지탱할 수 있는 구조물이다.
본 발명의 중합체 필름 기본층 또는 기판은 적당한 필름을 형성하는 합성 중합물질로 만든것일 수 있다. 적당한 열가소성 물질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및 부-1-텐 같은 1-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의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및 특히, 하나이상의 디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저급알킬 (C6까지) 디에스테르, 예컨대 테렌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2.5, 2.6-또는 2.7-나프탈렌 디카복실산, 숙신산, 세바신산, 아디핀산, 아젤라인산, 4,4'- 디페닐디카복실산, 헥사하이드로테레프탈산 또는 1.2-비스-P-카복시페녹시에탄 (임의에 따라 피발린산같은 모노카복실산과)를 하나 이상의 글리콜, 특히 지방족 글리콜, 예를들어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및 1.4 -시클로헥산디메탄올과 축합시켜 만든 합성 선형 폴리에스테르가 포함된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기판이 특히 좋으며 보통 70°-125°온도에서 서로 수직한 두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신시킨뒤 150-250℃ 온도에서 열고정시켜 만든 필름이 특히 좋다 (영국특허 838708호에 기재된 바와같이)
중합체 필름기판은 또한 폴리아릴에테르, 또는 이것의 티오 유사체, 특히 폴리아릴에테르케톤, 폴리아릴에테르술폰, 폴리아릴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아릴에테르에테르술폰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티오유사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중합체들의 예가 EP-A-1879, EP-A-184458, US-A-4008203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특히 적당한 물질은 STABAR라는 상표로 ICIPLC가 판매하는 물질이다. 이 기판은 폴리 (아릴렌 설파이드 ), 특히 폴리-P-페닐렌설파이드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중합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적당한 열경화성 수지 물질로는 아크릴, 비닐, 비스-말레이미드 및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같은 부가 중합수지, 요소, 멜라민 또는 페놀과의 축합물 같은 폴름알데히드 축합수지, 시아네이트수지, 기능화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이미드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필름은 배향되지 않았거나 또는 한쪽방향으로만 배향된 것일 수 있으나 기계적 성질과 물리적 성질을 만족스럽게 조합시키기 위해 필름의 한면을 서로 수직한 두 방향으로 연신시켜 배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중합체 튜브를 압출시킨뒤 곧이어 급냉, 재가열한다음 내부의 가스압력으로 팽창시켜 가로방향으로 배향되도록 하고 세로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하는 속도로 잡아당기면 동시에 두개의 축 방향으로 배향시킬 수가 있다. 열가소성 물질을 반상형 압출물로 압출시킨뒤 먼저 한쪽 방향으로 연신시킨다음 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다시 연신시키는 연속식 연신법으로 (스텐터 공정에서)연신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세로방향 즉, 필름 연신장치를 통과하는 진행방향으로 먼저 연신시킨다음 가로 방향으로 연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된 필름은 이것의 유리전이온도 보다 높은 온도에서 크기를 제한한 상태로 열고정시켜 크기를 고정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중합체 필름의 제 2 층은 기본층인 중합체 기판을 만드는데 사용하기 적당하다고 앞서 기술한 어떤 하나이상의 중합물질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에로, 기판과 제 2 층은 동일한 중합물질로 구성되며, 폴리에스테르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로 이 제 2 층은 열에 의해 밀봉될 수 있는 중합체 물질을 가열하여 부드럽게 만들고 기판층의 중합체 물질을 연화시키거나 또는 녹지 않게 하면서 압력을 가하면 스스로 열에의해 접합되거나 또는 기판에 접합되는, 바람직하게는 이둘 모두를 할 수 있는 열 - 봉합가능한 물질로 구성된다. 열 봉합가능한 물질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특히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헥사하이드로테레프탈산같은 하나이상의 이염기성 방향족 카복실산,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및 네오펜틸글리콜 같은 하나이상의 글리콜에서부터 유도된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로 구성되는 것이 적당하다. 만족할만한 열 - 봉합성을 제공하는 대표적인 코폴리에스테르는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의 코폴리에스테르, 특히 이들의 몰비가 각각 50 - 90몰%, 50 - 10몰%인 코폴리에스테르들이다. 바람직한 코폴리에스테르는 65 - 85 몰 % 의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35 - 15몰%의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로 구성된것이며 특히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약 82 몰 % 와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 약 18 몰 %로된 코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통상적인 기술, 예를들면 미리 만들어놓은 기판층위에 중합체를 캐스팅하는것과 같은 방법으로 기판층위에 제2층을 만들 수 있다. 그러나, 멀티 -오리피스 다이의 개별적인 오리피스를 통해 각각의 필름 -형성층을 동시에 공동압출시킨 다음 용융물상태의 층들을 합하는 방식을 이용하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용융된 중합체 스트림을 다이 매니폴드로 통하는 통로(channel) 내에서 먼저 합한 다음 유선(streamline) 이 서로 섞이지 않는 흐름 조건하에서 다이 오리피스로 부터 함께 압출되어나오는 단일 통로 공동압출법을 사용하여 복합재료 시트(기판과 제2층으로된) 를 만드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 공동압출된 시트를 연신시켜 기판 및 바람직하게는 제2층까지도 분자 배향시킨다. 이외에도 복합재료 시트를 열 -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층을 기판층의 한면 또는 양면위에 입힐수있다. 이 필름 복합재료는 총 두께가 10-500㎛, 바람직하게는 50-175㎛ 길수있으며 각각의 제2층(들) 은 전체 복합재료 두께의 1 - 25 %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층의 두께가 20㎛까지,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0㎛, 특히 0.5-5㎛ 인것이 좋다.
본 발명의 중합체 필름의 제2층에 사용하기 적당한 유리입자는 속이찬 유리구슬, 바람직하게는 관측지점에 상관없이 단면이 거의 원형인 유리구슬이다. 개별적인 유리 입자의 종횡비 d1: d2(d1과 d2는 각각 입자의 최대길이와 최소길이)가 1 : 1 - 1 : 0.5, 바람직하게는 1 : 1 - 1 : 0.8, 특히 1 : 1 - 1 : 0.9인것이 좋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위한 유리입자는 이들의 화학적 조성에 의해 제한받지는 않으나 결과적으로 만들어진 충진된 필름의 광학 청징도를 최적화시키기 위해서는 이들 유리입자가 크라운 유리 및/또는 보조실리케이트유리로 구성된것이 바람직하다. 이 유리입자들은 비교적 매끄러울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표면이 에칭되었거나 또는 화학처리된 것일 수 있다. 유리 입자의 표면을 에칭하는 것은 원하는 정도의 에칭을 하기에 층분한 시간동안 유리입자를 질산과 접촉시키면 가능하다. 유리입자의 표면을 화학 처리하는 방법에는 예를들어 실란을 기본으로하는 물질같은 적당한 컴플렉스 에이전트를 흡착시키거나 반응시키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중합체 필름에 함침시키는 유리입자의 부피분포 중간 입자직경(입자의 부피 %대 입자직경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누적 분포커프를 읽었을때 모든 입자부피의 50% 에 해당하는 구경을 말함, 때때로, D( V.0.5 ) 값이라고도 함) 1.0-7.0㎛ 사이, 바람직하게는 2.0 - 4.5㎛, 특히 2.5-4.0㎛ 인것이 좋다. 유리입자의 크기 분포 또한 중요한 파라메타이다. 예를들어 크기가 매우 큰 입자들이 존재하면 필름에 눈에 거슬리는 얼룩이 생기게 되는데 즉. 필름안에 충진제 미립자들이 들어있는지를 육안으로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입자의 99,9부피 %의 실제입자크기가 20㎛, 바람직하게는 0.5㎛ 를 초과해서는 안되며 특히 10㎛ 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유리입자의 90% 가 평균 입자크기 ±3.0㎛ 범위이내, 바람직하게는 ±2.5㎛ 이내인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장점들을 얻기위해서는 제 2 층내에 들어있는 유리입자의 농도가 제 2 층의 중합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때 100-1000ppm 이내여야하며, 150-950ppm, 특히 200-900ppm, 그중에서도 500-700ppm 이내여야 좋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적당한 유리입자는 필름-형성 중합체와 화합되는 동안에 기본적인 입자구조가 손상되지 않고 남아있으며 이것으로부터 필름이 만들어지므로서 개별적인 입자 형태의 유리가 만들어진 필름내에 보유되어 지도록 하는 응집되지 않는 부가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중합체 필름은 광학적으로 투명하며 표준 ASTM D 1003-61법에 따라 측정하였을때 75㎛ 두께의 필름의 경우 1.5%미만, 이보다는 1.2% 미만, 특히 1.0% 미만, 그중에서도 0.8% 미만되는 광각 혼탁도 (wideangle haze) 를 갖는다.
본 발명의 중합체 필름의 제 2 표면층은 0.8 미만, 바람직하게는 0.6미만, 특히 0.5 미만의 정역학적 마찰계수를 나타낸다.
유리입자의 입자크기는 전자 현미경, 콜터카운터, 세디멘테이션 분석법 및 광 산란법,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및 회절법을 기본으로하는 기술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평균 입자크기는 선택된 입자 크기들보다 작은입자의 부피 퍼센트를 나타내는 누적 분포곡선을 플롯팅하고 50 번째 백분위 수를 측정하면 알아낼 수 있다.
이 유리입자들은 중합체를 압출시키기 이전에 필름 제조과정중 어느 시점에서 중합체 제2층 또는 이 중합체 제2층을 만드는 물질에 부가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제2층으로 구성된 중합체 필름의 경우, 폴리에스테르의 에스테르화 반응 단계동안에 글리콜 분산물로서 유리입자를 함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름의 층들은 통상적으로 중합체 필름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부가제들을 함유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염료, 안료, 윤활제, 산화방지제, 블럭킹방지제, 계면활성제, 미끄럼보조제, 광택 -증진제, 프로디그레이던트, 자외선 안정화제, 점도 조절제및 분산 안정화제등과 같은 부가제들을 적당히 기판 및/또는 제2층(들) 에 함침시킬 수 있다. 이 부가제들은 중합체 필름의 광각 혼탁도를 앞서 언급한 수치만큼 또는 그 이상이 되도록 높이지 못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광학 특성이 최고인 필름을 만들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중합체 필름에 충진제가 전혀 또는 거의 들어가지 않는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예를들면 실제로 필름 제조 과정에서 회수된 필름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판에는 비교적 소량의 충진제, 바람직하게는 200 ppm 미만, 이보다는 100 ppm 미만, 특히 50 ppm 미만되는 충진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합체 필름은 예를들면 성분 물질과 비교해보았을때 대전방지성, 접착 촉진성 또는 이형성 등과같은 성질들이 향상된 라미네이트 또는 복합재료를 만들기위해 하나이상의 또다른 피복물, 잉크, 락카 및/또는 금속층들로 한면 또는 양쪽면이 모두 피복될 수 있다. 바람직한 대전방지용 피복물층은 에폭시화된 하이드록시아민 및 폴리글리콜 디아민의 폴리클로로히드린에테르, 특히 EP - 190499 호에 기재된 형태의 폴리클로로히드린 에테르로 구성된다.
피복용 매질을 기판 및/또는 제2층위에 입히기 전에, 한 표면과 여기에 입히려고하는 피복층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들의 노출된 표면을 화학적 또는 물리적 표면 - 변형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처리방법은 1 - 100 kw 의 전위에서 1 - 20 kw 의 출력을 내는 고주파, 고전압 발생장치를 이용한 통상적인 장치를 사용하여 대기압 상태의 공기중에서 실시할 수 있는 코로나방전법이다. 필름을 1 분당 1.0 - 500 m 의 선속도로 방전상태에 있는 유전성 지지 롤러위를 통과시키면 방전이 일어난다. 움직이고있는 필름 표면에서부터 0.1 - 10.0 mm 되는 곳에 방전 전극들이 놓여있을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중합체층위에서 팽윤작용을 하거나 용매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있는 부가제로 기판을 예비처리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표면을 처리하는데 특히 적당한 이러한 부가제의 예로는 아세톤 또는 메탄올에 녹아있는 P - 클로로 - m - 크레졸, 2, 4 - 디클로로페놀, 2, 4, 5 - 또는 2, 4, 6 - 트리클로로페놀 또는 4 - 클로로레소시놀 용액들과 같은 일반적인 유기 용매내에 녹아있는 할로겐화된 페놀이 포함된다.
피복용 매질을 이미 배향된 필름 기판위에 도포할 수도 있으나 연신시키는 도중 또는 연신시키기 전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열가소성 필름을 두 방향으로 연신시키는 과정중 두 단계(세로 및 가로 방향 연신과정 )사이에 피복용 매질을 필름 기판 및/또는 제 2층위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속하는 연신 및 피복법은 선형 폴리에스테르 필름기판 및/또는 폴리에스테르 제 2층으로 구성된 피복된 중합체 필름을 생산하는데 특히 바람직한데, 회전하고있는 일련의 롤러들 위에서 세로 방향으로 먼저 연신시킨뒤, 피복층으로 피복시킨 다음 스텐터 오븐안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신시키고 바람직하게는 곧이어 열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중합체 필름은 예를들어 카톤 윈도우, 금속처리된 필름, 재생사진 필름 및 일반 공업용 필름같은 광범위한 필름용도로 사용하기에 적당하다. 본문에 기재한 중합체 필름은 몽타즈, 마스킹, 스텐슬(stencil), 오버헤드 프로젝션, 멤브레인 터치 스위치, 마이크로필름 및 왁스 열전사 인쇄같은 인쇄등의 정보 저장 및 디스플레이에 특히 적당하다. 본 발명의 필름은 재생사진 분야에 중요한 장점인 안티 -뉴톤 링 프로퍼티를 나타낼 수 있다.
본문에서는 중합체 필름의 여러가지 특성들을 알아보기위해 다음과 같은 시험법이 사용되었다:
Model IPST (스페샬리스트 엔지니어링. welwyn, uk)를 이용, ASTM D4518-87을 기초로한 인클라인드 플레인 메쏘드를 이용하여 중합체 필름의 제 2층 표면의 정역학적 마찰계수를 측정하였다.
광각 혼탁도는 Hazegard XL 211 혼탁계(BYK Gardner, US) 를 사용하여 ASTM D 1003-61에 따라 필름을 통과하는 동안 아크 2.5°보다 큰 평균량으로 정상에서 필름의 표면까지 벗어나간 투과된 빛의 퍼센트로서 측정하였다.
필름의 조작특성 및 권선성은 슬릿팅 머신으로 측정하였다. 길이가 1000 - 3000 m, 너비가 500 - 2000 mm 인 릴(reel) 들을 1 분당 50 -400 m 의 속도로 잘랐다. 만들어진 슬릿 릴들을 이들의 물리적인 형태에 대해 검정하였다.
다음의 부록한 도면이 본 발명은 예시할 것이다.
제1도에서, 필름은 중합체 기판층(1)의 한쪽 표면(3)에 제2층(2) 이 붙어있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제2도의 필름은 기판(1) 의 제2표면(5) 에 또다른 제2층(4)가 붙어있는것으로 구성된다.
다음의 실시예가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예시할 것이다.
[실시예 1]
충진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충진되지 않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별개의 압출기로 압출시키고 이를 압출기 다이의 메니폴드에 연결된 튜브안에서 합친뒤 유선들이 서로 섞이지 않고 흐르는 조건하에서 다이를 통해 동시에 압출시켜, 유리 금속을 고전단력(Chemcoll) 혼합기에 분산시킨 뒤 Malvern Instruments Mastersizer MS 15 Particle sizer 를 이용해 측정하였을때 부피 분포 중간 직경이 2.7 ㎛(미국의 Potters Industries Inc. 에서 공급한 Spheriglass E 250 P 4 CL) 인 유리구슬이 약 600 ppm 정도 들어 있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두개의 제2층과 제1기판층인 충진되지 않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구성된 필름 복합재료를 만들었다. 압출 다이에서 빠겨나온 필름 복합재료를 표면을 광택내고 물로 냉각시킨 회전하는 금속 드럼위에서 곧바로 급냉시킨뒤 약 85℃ 되는 온도에서 압출 방향으로 본래 크기의 3.3 배가 되도록 연신시켰다. 이렇게 세로로 연신시킨 필름을 스텐터 오븐안에서 약 120℃의 온도에서 본래 크기의 3.5 배가 되도록 가로방향으로 연신시켰다. 이 필름 복합재료를 약 225℃ 의 스텐터 오븐에서 크기를 고정시킨 상태로 최종 열 - 경화시켰다.
만들어진 필름 복합재료는 두개의 축방향으로 배향되고 열고정된 충진되지 않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제1기판층과 충진된 두개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제2층으로 구성된다. 최종 필름의 두께는 75 ㎛이고 각각의 제2층의 두께는 약 4 ㎛이다.
이 필름을 상술한 시험법으로 시험하였더니 다음과 같은 특성을 나타내었다.
1) 제2층의 정역학적 마찰계수 = 0.5
2) 혼탁도 = 1.2 %
권선 테스트에서 만들어진 잘려진 릴들의 물리적 외양은 훌륭했다.
잘려진 릴들은 포개지거나 또는 구부러지는 징조를 나타내지 않았는데 즉, 릴들의 말단부들은 평평했으며 릴의 원통축에 대해 직각이었다.
잘려진 릴들은 릴의 표면뿐만아니라 내면에서도 돌기같이 생긴 흠집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잘려진 릴들은 또한 말단부의 한쪽 또는 양쪽, 또는 그 주변에서 하이엣지(high edge) 의 징조를 나타내지 않았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따르지 않는 비교실시예이다. 두개의 제2층에 평군 입자크기가 0.8㎛ 인 도토 1550 ppm 이 들어간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의 과정과 동일하게 반복하였다. 상술한 바와같이 시험하여 필름의 특성이 다음과 같음을 알았다.
1) 제2층의 정역학적 마찰계수 = 0.37
2) 혼탁도 = 3.7 %
권선 테스트에서 만들어진 잘려진 릴들은 물리적 형태가 훌륭하고 포개지거나 또는 구부러지는 징조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릴 말단부에서의 하이 엣지 또는 돌기같은 흠집이 생기지는 않았다. 그러나, 이러한 권선성들은 혼탁도가 3.7 % 인 부적합한 정도인 필름인 경우에만 얻어질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따르지 않는 비교 실시예이다. 각각의 제2층에 부피 분포 중간 입자 크기가 9.3 ㎛인 유리구슬(미국, Potters Industries Inc 에서 공급하는 Spheriglass E 250 P 4 CL) 이 600 ppm 들어가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의 방법과 동일하게 실행하였다.
이 필름을 상술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더니 혼탁도는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역학적 마찰계수가 1.1 보다 큰 것으로 조작 특성이 좋지 못한것으로 나타났다. 이 필름은 또한 육안으로 볼 수 있을 정도로 부적당한 정도의 얼룩이 생겼다.
[실시예 4]
두개의 제 2 층에 각각 450ppm의 유리구슬을 포함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을 반복하였다. 이 필름을 상술한 바와같이 시험하였더니 혼탁도는 적당한 수준이었으며 조작 특성 또한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권선 시험에서 만들어진 잘려진 릴들의 물리적 형태는 매우 훌륭하였다. 잘려진 릴들은 겹쳐지거나 또는 구부러지는 징조는 나타내지 않았다. 잘려진 릴들은 하이 엣지와 돌기같은 흠집들을 약간 나타냈다.
[실시예 5]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따르지 않는 비교 실시예이다. 각각의 두개의 제 2층에 80ppm의 유리 구슬이 들어간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을 반복하였다. 이 필름을 강술한 바와같은 시험을 하였더니 혼탁도는 적당한 반면 정역학적 마찰계수가 1.1보다 큰 부적당한 조작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6]
본 실시에는 본 발명을 따르지 않는 비교 실시예이다. 두개의 제 2 층에 각각 1250ppm 의 유리 구슬이 들어간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반복하였다. 필름을 상술한 바와같이 시험하였더니 조작특성은 적당한 반면 혼탁도는 1.5%를 넘는 것으로 부적당하였다. 이 필름은 또는 부적당한 얼룩 을 나타냈다.
[실시예 7]
두개의 제 2층의 각각의 두께가 약 2.1㎛ 인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하였다. 상술한 바와같은 시험을 하였더니 정역학적 마찰계수는 0.5, 혼탁도는 0.7% 였다.
[실시예 8]
제 2 층중 하나의 표면에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필름을 연신시키는 과정중에 폴리글리콜 디아민과 에톡시화된 하이드록시아민의 폴리클로로히드린 에테르의 혼합물이 함유된 Elfugin PF (Sandoz Products Ltd에서 공급)로 이루어진 대전방지용 피복조성물을 피복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반복하였다. 대전방지용 피복층의 건조시 피복물의 중량은 0.45 mgdm-2이었다. 상술한 바와같은 시험을 하였더니 정역학적 마찰계수가 0.4 이고 혼타도도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본 발명의 중합체 필름들의 특성이 향상되었음을 예시한 것이다.

Claims (1)

  1. 폴리에스테르 물질로 된 배향된 제1기판층을 포함하는 중합체 필름으로서, 하나 이상의 표면상에 배향된 폴리에스테르 물질 제2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층은 제2층의 폴리에스테르 중량을 기준으로 부피 분포 중간 입자 직경이 1.0-7.0㎛인 유리입자를 100-1000 ppm 함유하는 필름.
KR1019920008209A 1991-05-16 1992-05-15 중합체 필름 KR1001993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110591.6 1991-05-16
GB9110591A GB9110591D0 (en) 1991-05-16 1991-05-16 Polymeric fil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312A KR920021312A (ko) 1992-12-18
KR100199318B1 true KR100199318B1 (ko) 1999-06-15

Family

ID=10695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8209A KR100199318B1 (ko) 1991-05-16 1992-05-15 중합체 필름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332617A (ko)
EP (1) EP0514128B1 (ko)
JP (1) JPH05138834A (ko)
KR (1) KR100199318B1 (ko)
CN (1) CN1037419C (ko)
AT (1) ATE183439T1 (ko)
AU (1) AU646949B2 (ko)
BR (1) BR9201850A (ko)
CA (1) CA2068777A1 (ko)
DE (1) DE69229811T2 (ko)
GB (2) GB9110591D0 (ko)
TW (1) TW2210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7907B2 (ja) * 1993-10-08 2004-04-12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装置
EP0828783B1 (en) 1995-05-30 2002-08-21 Landec Corporation Gas-permeable membrane
ATE193262T1 (de) * 1997-02-14 2000-06-15 Daiwa Gravure Co Ltd Leicht zu öffnender, weicher beutel
US6013293A (en) * 1997-09-10 2000-01-11 Landec Corporation Packing respiring biological materials with atmosphere control member
JP4316696B2 (ja) * 1998-02-12 2009-08-19 株式会社きもと アンチニュートンリング性フィルム
US6548132B1 (en) 1998-07-23 2003-04-15 Landec Corporation Packaging biological materials
US7601374B2 (en) * 2000-09-26 2009-10-13 Landec Corporation Packaging of respiring biological materials
US8110232B2 (en) 2000-09-26 2012-02-07 Apio, Inc. Packaging of bananas
US20060068183A1 (en) * 2004-09-29 2006-03-30 Curwood, Inc. Packaging laminates containing anti-block particles
US20060257646A1 (en) * 2005-05-06 2006-11-16 Toray Plastics (America), Inc. Lap sealable films
US9185920B2 (en) 2012-01-23 2015-11-17 Apio, Inc. Atmosphere control around respiring biological materials
WO2014031573A1 (en) 2012-08-21 2014-02-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rticles with binder-deficient slip coating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20200407507A1 (en) * 2019-06-28 2020-12-31 Skc Co., Ltd. Polymer film, front plat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11289A (fr) * 1963-08-29 1965-09-17 Kalle Ag Procédé de fabrication de feuilles en polyesters de haut poids moléculaire
US4302506A (en) * 1979-01-05 1981-11-24 American Hoechst Corporation Slip coated polyester film
DE3162562D1 (en) * 1980-03-12 1984-04-19 Ici Plc Polyester film composites
US4375494A (en) * 1980-03-12 1983-03-01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Polyester film composites
US4590125A (en) * 1985-01-24 1986-05-20 Mobil Oil Corporation Heat-sealable multi-layer film structure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4622359A (en) * 1985-08-20 1986-11-11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carbonate film composition exhibiting a low kinetic coefficient of friction and comprising glass particles and fatty acid
US4956232A (en) * 1988-12-27 1990-09-11 Mobil Oil Corporation Multi-layer heat-sealable polypropylene films
US5137939A (en) * 1990-12-19 1992-08-11 Ici Americas Inc. Polyester film containing minute glass spheres and fumed silica useful for micro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14128A3 (en) 1993-01-13
GB9110591D0 (en) 1991-07-03
AU646949B2 (en) 1994-03-10
ATE183439T1 (de) 1999-09-15
AU1623092A (en) 1992-11-19
EP0514128B1 (en) 1999-08-18
US5332617A (en) 1994-07-26
TW221043B (ko) 1994-02-11
EP0514128A2 (en) 1992-11-19
JPH05138834A (ja) 1993-06-08
KR920021312A (ko) 1992-12-18
CN1070606A (zh) 1993-04-07
BR9201850A (pt) 1993-01-05
DE69229811D1 (de) 1999-09-23
CA2068777A1 (en) 1992-11-17
CN1037419C (zh) 1998-02-18
GB9209871D0 (en) 1992-06-24
DE69229811T2 (de) 2000-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9319B1 (ko) 중합체 필름
US5084334A (en) Void-containing polyester-type film, and its laminate
KR100227454B1 (ko) 중합체 필름
KR100285397B1 (ko) 중합체 필름
KR100199318B1 (ko) 중합체 필름
EP0604057A1 (en) Polymeric film
JP4205160B2 (ja) シリコーン樹脂およびクレーを含むポリマーフィルム
JP3232760B2 (ja) 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を基材とするラベル
JP3314816B2 (ja) ヒートシール性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3622860B2 (ja) 配送伝票用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H0825597A (ja) 白色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3951221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6322154A (ja) 白色フィルム
JP3132590B2 (ja)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H08176330A (ja)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樹脂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
JPH1029286A (ja) 微細気泡含有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シールプリント用台紙
JPH1160766A (ja) 微細気泡含有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シールプリント用離型紙
JPH091753A (ja) 導電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