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6794B1 - 자동차 수동 변속기의 후진 오조작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수동 변속기의 후진 오조작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6794B1
KR100196794B1 KR1019940022492A KR19940022492A KR100196794B1 KR 100196794 B1 KR100196794 B1 KR 100196794B1 KR 1019940022492 A KR1019940022492 A KR 1019940022492A KR 19940022492 A KR19940022492 A KR 19940022492A KR 100196794 B1 KR100196794 B1 KR 100196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shift
reverse
control
manua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2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0344A (ko
Inventor
양광금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40022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6794B1/ko
Publication of KR960010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6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67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8Preventing unintentional or unsafe shift, e.g. preventing manual shift from highest gear to reverse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8Preventing unintentional or unsafe shift, e.g. preventing manual shift from highest gear to reverse gear
    • F16H2061/185Means, e.g. catches or interlocks, for preventing unintended shift into reverse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79Shift rod assembly, e.g. supporting, assembly or manufacturing of shift rails or rods; Speci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83Shift finger arrangements, e.g. shape or attachment of shift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자동차의 5단 전지 주행중 운전자의 부주의로 후진 변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 운행에 기여할 목적으로; 일측 선단으로 변속레버에 연결되는 케이블 또는 로드와 연결되는 연결부재 같은 셀렉팅 레버와 시프팅 레버가 배치되고, 중간부에 컨트롤 핑거와 인터록 플레이트가 배치되는 컨트롤 샤프트와; 상기 컨트롤 샤프 전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트롤 핑거와 인터록 플레이트에 의하여 제어되는 러그를 포함하는 시프트 레일로 이루어지는 수동 변속기의 시프트 컨트롤 구조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핑거의 하측에 5단에서 직접 후진으로 변속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진 변속 제한수단을 배치하되, 이의 후진 변속 제한수단은 컨트롤 샤프트의 소정위치에 외주연으로 개구되는 요입홈을 형성하고, 이에 수평방향으로 좌우 이동되는 제1 걸림쇠와, 상기 제1 걸림쇠의 동작에 의하여 승강운동이 제어되는 제2 걸림쇠와, 상기 제1 걸림쇠와 제2 걸림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2 요입부를 갖고 형성되어 변속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스톱퍼 보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수동 오조작 방지장치.

Description

자동차 수동 변속기의 후진 오조작 방치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변속기 내부의 시프트 레일부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측면도.
제3도는 (a)(b)는 제2도의 A-A 선에선 본 작동 상태도.
제4도는 제2도의 B-B선에서 본 동작도로서,(a)는 전진 5 및 후진의 중립상태이고, (b)는 전진 5단으로 변속된 상태도이며, (c)는 전진 5단에서 곧바로 후진으로의 변속이 제한되는 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 수동 변속기에 있어서의 후진 오조작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자동차의 5단 전진 주행중 운전자의 부주의로 후진 변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 운행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수동 변속기의 후진 오조작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자동차에 있어서의 변속기는 동력 전달장치의 한부분으로서, 클러치와 추진축 사이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주행 조건에 따라 엔진의 회전력을 증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열활을 수행하게 되며, 자동차를 후진시키기 위한 후진장치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변속기에는 운전자가 직접 변속레버를 조작하여 변속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동 변속기와, 엔진의 회전에 의해 유압이 변동되면서 자동으로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변속기로 대별되는데, 본 발명은 수동변속기에 관계하며, 상기의 수동 변속기는 변속 레버를 조작함에 의해 컨트롤 샤프트가 이동하여 컨트롤 핑거로 하여금 해당 시프트 레일을 작동케 함으로써, 변속이 행하여지는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외형적으로 볼 때 운전자가 직접 변속조작을 해야하는 점이 자동변속기와 다른점이다.
그런데 5속 변속단을 갖는 변속기에 있어서는 5속과 후진이 동일한 시프트 레일에 의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변속레버의 변속위치가 서로 반대방향을 이루면서 전후로 배치되고 있다.
따라서 5단에서 중립위치로 변속레버를 이동시킬 대 운전자의 부주의 및 운전조작의 미숙에 의해 후진위치로 이동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되며, 이와같이 후진 오조작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변속기의 내구성에 많은 나쁜 영향을 끼침을 물론 안전운행에 많은 악영향을 미치게 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자동차의 5단 전진 주행중 운전자의 부주의로 후진 변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 운행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수동 변속기의 후진 오조작 방지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셔 본 발명은 일측 선단으로 변속레버에 연결되는 케이블 또는 로드와 같은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셀렉팅 레버와 시프팅 레버가 배치되고, 중간부에 컨트롤 핑거와 인터록 플레이트가 배치되는 컨트롤 샤프트와; 상기 컨트롤 샤프트 전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트롤 핑거와 인터록 플레이트에 의하여 제어되는 러그를 포함하는 시프트 레일로 이루어지는 수동 변속기의 시프트 컨트롤 구조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핑거의 하측에 5단에서 직접 후진으로 변속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진 변속 제한수단을 배치하되, 이의 후진 변속 제한수단은 컨트롤 시프트의 소정 위치에 외주연으로 개구되는 요입홈을 형성하고, 이에 수평방향으로 좌우 이동되는 제1 걸림쇠와, 상기 제1 걸림쇠의 동작에 의하여 승강운동이 제어되는 제2 걸림쇠와, 상기 제1 걸림쇠와 제2 걸림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2 요입부를 갖고 형성되어 변속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스톱퍼 보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후진 오조작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변속기 내부의 시프트 레일부의 사시도 및 측면도로서, 부호 1은 컨트롤 사프트를 지칭한다.
상기한 컨트롤 사프트(1)은 일측 선단으로 미도시된 변속레버에 연결되는 케이블 또는 로드와 같은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외부 시프트 레버 즉, 셀렉팅 레버(3)와 시프팅 레버(5)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사프트(1)의 중간부에는 컨트롤 핑거(7)와 인터록 플레이트(9)가 배치되며, 이의 타단으로는 중립을 위한 탄발부재(11)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 핑거(7)와 인터록 플레이트(9)의 전측에는 시프트 레일(13)(15)(17)에 고착되어 있는 러그(19)(21)(23)가 배치된다.
이에따라 운전자가 변속을 위하여 변속레버를 조작하면 컨트롤 사프트(1)가 이에 연동되면서 컨트롤 핑거(7)의 동작을 제어하여 각 선택된 러그(19)(21)(23)를 동작시킴으로써, 변속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시프트 컨트롤 구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컨트롤 핑거(7)의 하측에 5단에서 직접 후진으로 변속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진 변속 제한수단(25)을 배치한 것이다.
상기 후진 변속 제한수단(25)은 제3도 및 제4도에서와 같이 컨트롤 사프트(1)의 소정 위치에 외주연으로 개구되는 요입홈(27)을 형성하고, 이에 수평방향으로 좌우 이동되는 제1 걸림쇠(29)와, 상기 제1 걸림쇠(29)의 동작에 의하여 승강운동이 제어되는 제2 걸림쇠(31)와, 상기 제1 걸림쇠(29)와 제2 걸림쇠(31)의 동작을 제어하며 변속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제1,2 요입구(33)(35)를 갖는 스톱퍼 보디(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걸림쇠(29)는 상단으로 걸림턱(39)이 형성되고, 그의 하측 후단에는 항시 상기 걸림턱(39)의 진행방향으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탄발부재(41)가 탄지되며, 그의 전단에는 상기 제1 요입부(33)와 연통되는 동작봉(43)이 형성된다.
이에따라 요입정도가 상측부 보다 큰 제1 요입부(33)의 하측으로 작동봉(43)의 선단이 위치하면 탄발부재(41)의 탄발력에 의해 제1 걸림쇠(29)는 전진하고, 컨트롤 사프트(1)가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작동봉(43)의 선단이 요입정도가 작은 상측에 위치하면 제1 걸림쇠(29)는 동작봉(43)의 미는 힘에 의해 후퇴하게 된다.
그리고 제2 걸림쇠(31)는 하단에 상기 걸림턱(39)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걸림턱(45)을 가지며, 그의 하단은 이를 항시 상측으로 밀어주는 탄발력을 발휘하는 탄발부재(47)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 걸림쇠(31)의 상단을 요입홈(27)의 외측으로 출몰하여 제2 요입부(35)에 출입하게 되며, 그의 상단 일측부는 라운드 가공되어 타변속단에서는 제22 요입부(35)의 일측으로 컨트롤 사프트(1)가 이동될 수 있게 하였다.
이에따라 제2 걸림쇠(31)가 하강된 상태에서 제1 걸림쇠(29)가 전진하면 제2 걸림쇠(31)는 상승하지 못하고, 제1 걸림쇠(29)가 후퇴하였을 때만 상승된다.
상기에서 제1,2 요입주(33)(35)는 제3도 (a)(b)에서와 같이 스톱퍼 보디(37)의 중간부 일측으로만 형성되어 있는 바, 컨트롤 사프트(1)가 5단 및 후진이 중립일 때만 제2 걸림쇠(31)와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면 5단 및 후진 중립에서는 제4도(a)에서와 같이 제1 걸림쇠(29)가 제2 걸림쇠(31)를 걸어준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5단 변속을 하면 컨트롤 사프트(1)가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걸림쇠(29)의 동작봉(43)이 요입정도가 작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 걸림쇠(29)를 후측으로 밀어주어 제2 걸림쇠(31)를 걸고 있던 힘이 해지되는 바, 제2 걸림쇠(31)가 탄발부재(47)의 탄발력에 의해 제2 요입부(35)로 상승되면서 (b)도와 같은 상태로 5단 변속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5단 주행중 운전자의 부주의로 변속레버를 후진으로 하면 상기의 상태에서 컨트롤 사프트(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제2 걸림쇠(31)가 상승된 상태인 바, (c)도에서와 같이 제2 걸림쇠(31) 상단이 제2 요입부(35)의 우측단에 걸림으로써, 후진 변속이 제한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제2 요입부(35)의 길이는 중립위치에서 5단으로의 변속시 컨트롤 사프트(1)가 회동하는 범위내에서 결정된다.
그리고 차량이 정지된 상태 즉, 초기의 상태에서 후진 변속을 행할 때는 제2 걸림쇠(31)가 제4도 (a)와 같은 상태에서 컨트롤 사프트(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제2 걸림쇠가 제1 걸림쇠(29)에 의하여 하강된 상태가 유지되는 바, 후진 변속을 하는데에는 별다른 제한을 가하지 않는다.
상기 5단 및 후진 변속단 이외의 위치에서는 상기 제2 걸림쇠(31)가 제3도 (a)와 같이 스톱퍼 보디(37)의 제2 요입부(35)를 벗어난 상태가 되므로 아무런 작동을 하지 않게 되는바, 전진 1,2,3,4단에서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의 5단 전진 주행중 운전자의 부주의로 후진 변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 운행에 기여할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일측 선단으로 변속레버에 연결되는 케이블 또는 로드와 같은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셀렉팅 레버와 시프팅 레버가 배치되고, 중간부에 컨트롤 핑거와 인터록 플레이트가 배치되는 컨트롤 사프트와; 상기 컨트롤 사프트 전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트롤 핑거와 인터록 플레이트에 의하여 제어되는 러그를 포함하는 시프트 레일로 이루어지는 수동 변속기의 시프프 컨트롤 구조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핑거의 하측에 5단에서 직접 후진으로 변속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진 변속 제한수단을 배치하되, 이의 후진 변속 제한수단을 컨트롤 사프트의 소정 위치에 외주연으로 개구되는 요입홈을 형성하고, 이에 수평방향으로 좌우 이동되는 제1 걸림쇠와, 상기 제1 걸림쇠의 동작에 의하여 승강운동이 제어되는 제2 걸림쇠와, 상기 제1 걸림쇠와 제2 걸림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2 요입부를 갖고 형성되어 변속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스톱퍼 보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후진 오조작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 걸림쇠는 상단으로 걸림턱이 형성되고, 그의 하측 후단에는 항시 상기 걸림턱의 진행방향으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탄발부재가 탄지되며, 그의 전단에는 상기 제1 요입부와 연통되는 동작봉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후진 오조작 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2 걸림쇠는 하단에 상기 제1 걸림쇠의 걸림턱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걸림턱을 가지며, 그의 하단은 이를 항시 상측으로 밀어주는 탄발력을 발휘하는 탄발부재가 배치되며, 그의 상단부가 제2 요입부에 출입할 수 있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후진 오조작 방지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제2 걸림쇠는 그의 상단부 일측이 라운드 가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후진 오조작 방지장치.
KR1019940022492A 1994-09-07 1994-09-07 자동차 수동 변속기의 후진 오조작 방지장치 KR100196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2492A KR100196794B1 (ko) 1994-09-07 1994-09-07 자동차 수동 변속기의 후진 오조작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2492A KR100196794B1 (ko) 1994-09-07 1994-09-07 자동차 수동 변속기의 후진 오조작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344A KR960010344A (ko) 1996-04-20
KR100196794B1 true KR100196794B1 (ko) 1999-06-15

Family

ID=19392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2492A KR100196794B1 (ko) 1994-09-07 1994-09-07 자동차 수동 변속기의 후진 오조작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67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254B1 (ko) * 2002-07-12 2005-03-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후진단 울림 방지구조
KR100580500B1 (ko) * 2004-05-25 2006-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344A (ko) 199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7843B2 (ja) 変速機用のギヤシフト装置
GB2318160A (en) Arrangement for locking a manual selector mechanism of an automatic change-speed gearbox
US20170129465A1 (en) Control Device for Vehicle
KR100196794B1 (ko) 자동차 수동 변속기의 후진 오조작 방지장치
JPH0230907B2 (ko)
JP3908484B2 (ja) 手動変速機の変速装置
EP0037166B1 (en) Transmission shift lever backdrive and column locking mechanisms
KR20080054956A (ko) 수동 변속기용 자동 변속 조작 장치
KR970000410Y1 (ko)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인터록 장치
KR0120239Y1 (ko)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기구
KR100188753B1 (ko)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시프트 컨트롤 구조
KR200156591Y1 (ko) 자동변속기 셀렉트장치의 주차록킹레버 고정구조
KR200156595Y1 (ko) 자동변속차량의 셀렉트레버 이탈방지장치
KR0120235Y1 (ko)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인터록 장치
KR970000852B1 (ko) 자동차 수동 변속기의 후진 오조작 방지장치
KR200154500Y1 (ko) 자동변속기의 셀렉터
JPS6348470Y2 (ko)
KR100578758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KR200222106Y1 (ko) 자동변속차량의 셀렉트레버 제어장치
KR920008649B1 (ko)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안전장치
KR970008499B1 (ko) 자동차 수동 변속기의 후진 오조작 방지장치
KR200167723Y1 (ko) 수동변속기의후진오조작방지장치
JPH0241071Y2 (ko)
KR19990019397A (ko) 자동변속차량의 셀렉트레버장치
JPH02180381A (ja) 変速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