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0500B1 -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 - Google Patents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0500B1
KR100580500B1 KR1020040037332A KR20040037332A KR100580500B1 KR 100580500 B1 KR100580500 B1 KR 100580500B1 KR 1020040037332 A KR1020040037332 A KR 1020040037332A KR 20040037332 A KR20040037332 A KR 20040037332A KR 100580500 B1 KR100580500 B1 KR 100580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nt
shift
shift lever
manual transmission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7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3304A (ko
Inventor
은옥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7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0500B1/ko
Publication of KR20050113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3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0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0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텐트 기구의 설치 위치를 각 부품의 유격량에 영향을 받지 않는 시프트 레버에 직접 설치하고, 특히 시프트 레버의 샤프트와 연결된 시프트 바디의 회동 선단부에서 디텐트 기구와의 체결 및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시프트 레버의 유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에 있어서, 시프트 레버의 회동축상에 일단이 결합되어 변속시 회동하는 시프트 바디와; 상기 시프트 바디의 회동측 선단부에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회전 반경내에서 이격되게 배치된 다수의 디텐트 그루브를 갖추도록 형성된 디텐트 플레이트 및; 상기 디텐트 그루브에 탄력적인 결합이 되도록 설치되는 디텐트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detent apparatus for manual transmiss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텐트 기구가 설치되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케이스의 내부로 수용되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텐트 플레이트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와 도 3에 각각 도시된 디텐트 플레이트의 조립 상태를 케이스의 저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디텐트 플레이트에 디텐트 볼 조립체가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케이스 12-컨트롤 샤프트
14-셀렉트 레버 16-시프트 레버
18-디텐트 조립체 20-시프트 바디
20a-시프트 플레이트 20b-시프트 그루브
20c-모따기면
본 발명은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레버에서 발생하는 유동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동 변속기는 차실내에 구비되어 변속시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변속 레버와, 상기 변속 레버의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조작력을 변속기측으로 전달하는 셀렉트/시프트 케이블, 상기 셀렉트/시프트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조작력에 따라 동작이 이루어지는 변속 기구 및, 상기 변속 기구의 작동에 따라 해당 기어열 사이의 동력 전달을 도모하는 싱크로 기구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변속 기구는 상기 셀렉트/시프트 케이블과 각각 연결되는 셀렉트/시프트 레버와, 상기 셀렉트/시프트 레버로부터 조작력을 전달받아 축방향으로의 이동 내지 회동 동작을 하는 컨트롤 샤프트, 상기 컨트롤 샤프트의 이동 및 회동에 따라 연동되어 해당 변속단별로 구비된 싱크로 기구에 작동력을 전달하는 시프트 레일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샤프트에는 컨트롤 핑거가 설치되고, 상기 시프트 레일에는 상기 컨트롤 핑거와 접촉되어 조작력을 전달받는 시프트 러그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종래 수동 변속기에서는 변속시 절도감의 부여를 위한 디텐트 기구를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변속 레버에서 유동량이 크게 발생하는 바, 특히 전후 방향으로의 유격은 상당한 수준인 데, 이와 같은 유동의 발생에 대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먼저, 컨트롤 샤프트와 시프트 가이드는 록 핀으로 조립되어 유격이 없으나, 시프트 가이드와 시프트 바디 사이에는 플라스틱 슈라는 부품이 있고, 이들 사이에는 변속시 상대 회동 운동이 일어나므로, 이에 필요한 유격량이 존재하는 것이다.
또한, 시프트 바디와 시프트 레버도 스플라인으로 조립되어 있어 유격이 존재하고, 시프트 레버가 회동 운동을 하므로 케이스와의 사이에도 유격이 존재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조적 한계에 의해, 변속 레버에는 기본적인 유격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유격의 정도는 부품의 내구가 진행될 수록 증가할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유격량의 증대는 변속시 절도감의 부족 현상을 초래하게 되고, 변속후 변속 레버의 위치를 불분명하게 하여 상품성을 저하시키게 되며, 내구의 진행에 따라 각 부품간의 유격 증대와 과다 마모로 인한 변속의 불가를 수반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디텐트 기구의 설치 위치를 각 부품의 유격량에 영향을 받지 않는 시프트 레버에 직접 설치하고, 특히 시프트 레버의 샤프트와 연결된 시프트 바디의 회동 선단부에서 디텐트 기구 와의 체결 및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시프트 레버의 유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에 있어서,
시프트 레버의 회동축상에 일단이 결합되어 변속시 회동하는 시프트 바디와;
상기 시프트 바디의 회동측 선단부에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회전 반경내에서 이격되게 배치된 다수의 디텐트 그루브를 갖추도록 형성된 디텐트 플레이트 및;
상기 디텐트 그루브에 탄력적인 결합이 되도록 설치되는 디텐트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텐트 기구가 설치되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기구를 도시한 도면인 바, 상기 디텐트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10)가 수동 변속기측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변속시 축방향으로 이동 및 회동방향으로 선회 운동을 각각 하는 컨트롤 샤프트(12;도 2에 도시됨)가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 샤프트(12)에는 셀렉트 레버(14)와 시프트 레버(16)가 각각 컨트롤 샤프트(12)와의 연동 작용을 위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 샤프트(12)에 디텐트 기능을 하는 디텐트 조립체(18)는 상기 케이스(10)를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로 수용되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기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는 바, 상기 셀렉트 레버(14)에는 셀렉트 케이블(도시안됨)이 연결되고, 상기 시프트 레버(16)에는 시프트 케이블(도시안됨)이 각각 연결되어, 변속시 운전자로부터 변속 레버에 전달되는 조작력은 셀렉트/시프트 케이블을 통해 상기 셀렉트 레버(14)와 시프트 레버(16)에 각각 전달된다.
또한, 상기 시프트 레버(16)의 회동축(16a)상에는 일단이 상기 회동축(16a)에 결합되어 변속시 상기 컨트롤 샤프트(12)를 회동되도록 하는 시프트 바디(20)가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시프트 바디(20)의 회동측 선단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동일한 회전 반경내에서 다수개로 이격되게 배치된 디텐트 그루브(20b)를 갖춘 디텐트 플레이트(20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디텐트 조립체(18)와 접촉하는 상기 디텐트 그루브(20b)의 상부면은 내주 전 둘레를 따라 모따기면(20c)을 형성하고 있어, 상기 디텐트 조립체(18)의 디텐트 볼(18b;도 5에 도시됨)과의 결합 및 해제시 용이함을 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로 다수의 디텐트 그루브(20b)를 갖춘 시프트 바디(20)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설치되는 바, 상기 케이스(10)에 형성된 관통 구멍(10a)에는 상기 디텐트 조립체(18)가 조립 되어, 상기 디텐트 플레이트(20a)의 디텐트 그루브(20b)에 상기 디텐트 조립체(18)의 디텐트 볼(18b)이 체결되는 데,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상기 케이스(10)에는 상기 디텐트 조립체(18)가 고정 설치되어, 상기 디텐트 조립체(18)는 상기 디텐트 플레이트(20a)에 형성된 디텐트 그루브(20b)에 탄력적인 결합을 하게 되는 바, 이를 위해 상기 디텐트 조립체(18)는 상기 케이스(10)의 관통 구멍(10a)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하우징(18a)과, 상기 하우징(18a)내에 탄력적인 출몰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디텐트 그루브(20b)에 끼워지는 디텐트 볼(18b)을 갖추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시프트 레버(16)의 회동축(16a)상에 일단이 고정되어 타측 선단이 회동되는 상기 시프트 바디(20)에 디텐트 플레이트(20a)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디텐트 플레이트(20a)에 형성된 디텐트 그루브(20b)에 디텐트 조립체(18)가 탄력적인 접촉을 하게 됨에 따라, 변속 기구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부품들 사이에서 유격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시프트 바디(20)의 회동은 상기 디텐트 조립체(18)에 의해 견고하게 구속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변속 레버에서 수반되는 유격, 특히 전후 방향의 유격은 배제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시프트 바디(20)의 디텐트 플레이트(20a)와 상기 디텐트 조립 체(18)의 디텐트 볼(18b)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상기 디텐트 그루브(20b)가 상기 시프트 바디(20)의 회동측 선단 부위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디텐트 조립체(18)는 보다 작은 힘으로도 상기 시프트 바디(20)의 회동을 구속할 수 있는 큰 토오크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상기 디텐트 조립체(18)의 구성은 물론 변속 기구의 컴팩트한 설계와 장착까지도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에 의하면, 변속 기구내에서 디텐트 기구의 설치 위치를 각 부품의 유격량에 영향을 받지 않는 시프트 바디의 회동 선단부에 직접 설치하여, 작은 힘으로도 시프트 레버의 유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즉 보다 향상된 디텐트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에 있어서,
    시프트 레버의 회동축상에 일단이 결합되어 변속시 회동하는 시프트 바디와;
    상기 시프트 바디의 회동측 선단부에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회전 반경내에서 이격되게 배치된 다수의 디텐트 그루브를 갖추도록 형성된 디텐트 플레이트 및;
    상기 디텐트 그루브에 탄력적인 결합이 되도록 설치되는 디텐트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 조립체와 접촉하는 상기 디텐트 그루브의 상부면은 내주 전 둘레를 따라 모따기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 조립체는 상기 시프트 바디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를 관통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 조립체는 상기 케이스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 우징내에 탄력적인 출몰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디텐트 그루브에 끼워지는 디텐트 볼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
KR1020040037332A 2004-05-25 2004-05-25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 KR100580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7332A KR100580500B1 (ko) 2004-05-25 2004-05-25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7332A KR100580500B1 (ko) 2004-05-25 2004-05-25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304A KR20050113304A (ko) 2005-12-02
KR100580500B1 true KR100580500B1 (ko) 2006-05-16

Family

ID=37287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7332A KR100580500B1 (ko) 2004-05-25 2004-05-25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05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567B1 (ko) * 2017-05-18 2019-01-24 경창산업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344A (ko) * 1994-09-07 1996-04-20 전성원 자동차 수동 변속기의 후진 오조작 방지장치
KR20010036381A (ko) * 1999-10-08 2001-05-07 이계안 수동변속기용 기어 시프트 레버
KR20040006326A (ko) * 2002-07-12 2004-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6속 수동변속기의 변속 조작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344A (ko) * 1994-09-07 1996-04-20 전성원 자동차 수동 변속기의 후진 오조작 방지장치
KR20010036381A (ko) * 1999-10-08 2001-05-07 이계안 수동변속기용 기어 시프트 레버
KR20040006326A (ko) * 2002-07-12 2004-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6속 수동변속기의 변속 조작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304A (ko) 200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71762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102360997B1 (ko) 전자식 변속 시스템
US20030004033A1 (en)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KR100580500B1 (ko)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
CN109624704B (zh) 一种汽车及其换档锁止与解锁控制机构
CN114233851B (zh) 挡位锁止组件、锁挡机构和变速箱
KR102495149B1 (ko) 차량용 회전형 변속 장치
JP2003276580A (ja) 車両用変速機のパーキング機構
KR100737022B1 (ko) 자동변속기 파킹시스템의 디텐트 스프링
JP6090357B2 (ja) 変速機の変速操作機構
KR970008496B1 (ko)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변속장치
JP2006002905A (ja) 手動変速機のシフトゲート機構
CN219888703U (zh) 一种汽车手动变速器换挡换位机构
KR100241392B1 (ko)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리버스 시프트 레버 인터록장치
KR100471865B1 (ko) 수동 변속기의 시프트 레버 지지 장치
JP2005273819A (ja) 車両用自動変速操作装置
KR100666540B1 (ko) 수동 변속기의 후진기어 결합구조
KR100251166B1 (ko) 변속기의 시프트 포오크 연결구조
KR20060021639A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JP2005351420A (ja) 手動変速機のシフトゲート機構
JP4729291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
KR100471871B1 (ko) 자동 변속 레버 장치
KR20070051012A (ko) 자동변속 차량용 주차브레이크 잠금장치
KR970000852B1 (ko) 자동차 수동 변속기의 후진 오조작 방지장치
KR970008058B1 (ko) 자동트랜스밋션의 파킹 스프래그 단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