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8758B1 -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 Google Patents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8758B1
KR100578758B1 KR1020040037388A KR20040037388A KR100578758B1 KR 100578758 B1 KR100578758 B1 KR 100578758B1 KR 1020040037388 A KR1020040037388 A KR 1020040037388A KR 20040037388 A KR20040037388 A KR 20040037388A KR 100578758 B1 KR100578758 B1 KR 100578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control
stopper
control finger
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7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2336A (ko
Inventor
손충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7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8758B1/ko
Publication of KR20050112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2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8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8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08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A61B3/1216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for diagnostics of the ir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68Medical equip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31Biological data, e.g. fingerprint, voice or retin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는 컨트롤 핑거의 단부에 삽입홈부가 형성된 걸림부재가 구비되고 시프트러그에는 상기 걸림부재와 상호 걸림되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상기 시프트러그의 이동방향으로 걸림됨으로써 컨트롤 샤프트의 회전시 상기 컨트롤 핑거가 상기 시프트러그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변속감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수동변속기, 변속조작기구, 컨트롤 핑거, 시프트러그, 이탈방지수단, 걸림부재, 삽입홈부, 스토퍼

Description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Shifting Apparatus of Manual Transmiss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원격조작기구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변속조작기구가 확대도시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가 도시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변속조작기구가 확대도시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60: 컨트롤 샤프트 62: 컨트롤 핑거
64: 인터록플레이트 70: 시프트레일
72: 시프트러그 80: 이탈방지수단
82: 스토퍼 84: 걸림부재
84a: 삽입홈부 84b: 걸림단부
86: 힌지
본 발명은 수동변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컨트롤 핑거와 시프트 러그가 상호 간섭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컨트롤 핑거가 상기 시프트러그로부터 이탈이 방지되어 변속감이 개선된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엔진의 동력을 적절한 구동력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변속기가 설치되고, 상기 변속기는 작동방식에 따라 수동변속기, 자동변속기, 무단변속기 등으로 구분된다.
한편,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는 변속레버의 조작력을 수동 변속기로 전달하여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로서, 변속레버의 변속 조작에 따른 조작력을 변속기로 전달하는 셀렉트 케이블 및 시프트 케이블과, 이 셀렉트 및 시프트 케이블과 연결되는 컨트롤 샤프트 어셈블리와, 이 컨트롤 샤프트 어셈블리와 변속기의 동기장치 사이에 장착되어 컨트롤 샤프트 어셈블리의 조작에 따라 동기장치를 작동시켜 변속을 행하는 시프트 포크 어셈블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컨트롤 샤프트 어셈블리는 셀렉트 케이블과 연결되어 컨트롤 샤프트를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셀렉트레버와, 시프트 케이블과 연결되어 컨트롤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시프트레버가 장착되고, 시프트 포크 어셈블리의 변속러그를 작동시킨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의 일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변속조작기구의 일부가 확대도시된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동변속기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에 장착된 변속레버(1)와, 상기 변속레버(1)의 시프팅 작동을 전달하는 시프트 케이블(2)과, 상기 변속레버(1)의 셀렉팅 작동을 전달하는 셀렉트 케이블(3)과, 상기 시프트 케이블(2)과 연결되는 시프트 레버(4)와, 상기 셀렉트 케이블(3)과 연결되는 셀렉트 레버(5)와, 상기 셀렉트 레버(5)의 이동에 따라 축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시프트 레버(4)의 이동에 따라 회전되며 변속기(6)측에 삽입된 컨트롤 샤프트(10)와, 상기 컨트롤 샤프트(10)에 끼움결합되는 컨트롤 핑거(12)와, 상기 컨트롤 샤프트(10)에 수직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시프트 레일(20)과, 상기 복수개의 시프트레일(20)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컨트롤 핑거(12)에 의해 선택되는 시프트러그(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 샤프트(10)에는 상기 컨트롤 샤프트(10)가 직선이동시 상기 컨트롤 핑거(12)가 상기 시프트러그(2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인터록플레이트(14)가 장착된다.
상기 복수개의 시프트러그(22)는 1/2단, 3/4단, 5/후진단 시프트 러그로 이루어져, 셀렉팅 작동시 상기 컨트롤 핑거(12)에 의해 선택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가 변속레버(1)를 조작하여 셀렉팅 조작을 수행하면, 상기 셀렉터 케이블(3)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셀렉터 레버(5)는 상기 컨트롤 샤프트(10)를 축방향으로 직선이동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 샤프트(10)가 직선이동되면, 상기 컨트롤 핑거(12)도 이동되면서 상기 복수개의 시프트 러그(22) 중에서 원하는 변속단의 시프트러그(22)에 끼워진다.
이후, 운전자가 시프팅 조작을 수행하면, 상기 시프트 케이블(2)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시프트 레버(4)는 상기 컨트롤 샤프트(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컨트롤 샤프트(10)가 회전되면, 상기 컨트롤 핑거(12)가 선택된 상기 시프트러그(22)를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시프트러그(22)의 이동되면서 변속기(4)의 동기장치(미도시)를 작동시켜 변속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기구는 운전자의 시프팅 조작에 의해 상기 컨트롤 샤프트(10)와 함께 상기 컨트롤 핑거(12)가 회전될 때 과도한 힘이나 오조작으로 인해 상기 컨트롤 핑거(12)가 상기 시프트러그(22)로부터 빠져나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컨트롤 핑거와 시프트 러그가 상호 간섭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상기 컨트롤 핑거가 상기 시프트러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는 컨트롤 샤프트에 결합된 컨트롤 핑거와, 상기 컨트롤 샤프트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 핑거에 의해 선택되는 시프트러그가 형성된 시프트레일과, 상기 컨트롤 샤프트의 회전시에 상기 컨트롤 핑거와 시프트러그가 상호걸림되도록 하여 상기 컨트롤 핑거가 상기 시프트러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변속조작기구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변속조작력을 전달받아 직선이동 또는 회전되는 컨트롤 샤프트(60)와, 상기 컨트롤 샤프트(60)의 일측에 결합된 컨트롤 핑거(62)와, 상기 컨트롤 샤프트(60)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변속기(미도시)측에 삽입되는 시프트레일(70)과, 상 기 시프트레일(70)에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 핑거(62)에 의해 선택되는 시프트러그(72)와, 상기 컨트롤 샤프트(60)의 회전시에 상기 컨트롤 핑거(62)와 시프트러그(72)가 상호걸림되도록 하여 상기 컨트롤 핑거(62)가 상기 시프트러그(7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 샤프트(60)에는 상기 컨트롤 샤프트(60)가 직선이동시 상기 컨트롤 핑거(62)가 상기 시프트러그(7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인터록플레이트(64)가 장착된다.
상기 시프트러그(72)는 1/2단, 3/4단, 5/후진단 시프트 러그로 이루어져, 셀렉팅 작동시 상기 컨트롤 핑거(62)에 의해 선택된다.
한편, 상기 이탈방지수단(80)은 상기 컨트롤샤프트(60)가 직선이동시에는 상기 컨트롤 핑거(62)가 시프트러그(72)에 구속되지 않고, 상기 컨트롤 샤프트(60)가 회전시에만 구속될 수 있도록 상기 컨트롤 핑거(62)와 상기 시프트러그(72)에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이탈방지수단(80)은 상기 시프트러그(72)의 단부에 형성된 스토퍼(82)와, 상기 컨트롤 핑거(62)의 단부에서 상기 스토퍼(82)가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부재(8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82)는 상기 시프트러그(72)에서 상기 시프트러그(72)의 이동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재(84)는 상기 스토퍼(82)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홈부(84a)와, 상기 삽입홈부(84a)의 단부에서 상기 스토퍼(82)와 걸림되도록 상기 스 토퍼(82)를 향해 돌출된 걸림단부(84b)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홈부(84a)는 상기 시프트러그(72)의 스토퍼(82)에 슬라이딩가능토록 상기 스토퍼(72)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홈부(84a)는 상기 컨트롤 샤프트(60)가 직선이동시에는 상기 시프트러그(72)에 구속되지 않고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복수개의 시프트러그(72)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컨트롤 샤프트(60)가 직선이동하는 방향으로는 개구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84)는 상기 컨트롤 샤프트(60)에 형성된 상기 컨트롤 핑거(62)의 회전시 직선이동되면서 상기 시프트러그(72)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컨트롤 핑거(62)의 단부에 힌지(86)로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가 변속레버(미도시)를 조작하여 셀렉팅 조작을 수행하면, 상기 컨트롤 샤프트(60)는 축방향으로 직선이동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 샤프트(60)가 직선이동되면, 상기 컨트롤 핑거(62)와 함께 상기 걸림부재(84)도 직선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재(84)는 상기 컨트롤 샤프트(60)의 움직임에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복수개의 시프트 러그(72) 중에서 원하는 변속단의 시프트러그(72)를 선택하게 된다.
이후, 운전자가 시프팅 조작을 수행하면, 상기 컨트롤 샤프트(60)가 회전되 게 된다.
상기 컨트롤 샤프트(60)가 회전되면, 상기 컨트롤 핑거(62)가 함께 회전되게 되고 상기 컨트롤 핑거(62)에 힌지결합된 상기 걸림부재(84)는 회전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재(84)가 움직이면서, 상기 걸림부재(84)와 상기 시프트러그(72)의 스토퍼(82)가 상호 걸림되어 상기 걸림부재(84)에 의해 상기 시프트러그(72)가 이동됨으로써 시프팅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상기 걸림부재(84)는 상기 컨트롤 핑거(62)의 회전에 의해 상향이동되면서 시프팅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바, 이로 인해 상기 걸림부재(84)의 걸림단부(84b)은 상기 스토퍼(82)에 걸림되게 되므로 상기 컨트롤 핑거(62)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는 컨트롤 핑거의 단부에 삽입홈부가 형성된 걸림부재가 구비되고 시프트러그에는 상기 걸림부재와 상호 걸림되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상기 시프트러그의 이동방향으로 걸림됨으로써 컨트롤 샤프트의 회전시 상기 컨트롤 핑거가 상기 시프트러그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변속감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 핑거의 움직임이 상기 컨트롤 핑거와 시프트러그에 의해 직접 제한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시프트 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 과가 있다.

Claims (6)

  1. 변속레버에 의해 직선이동되거나 회전되고 컨트롤 핑거가 결합된 컨트롤 샤프트와;
    상기 컨트롤 샤프트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 핑거에 의해 선택되는 시프트러그가 형성된 시프트레일과;
    상기 컨트롤 샤프트의 회전시에 상기 컨트롤 핑거와 시프트러그가 상호걸림되도록 하여 상기 컨트롤 핑거가 상기 시프트러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컨트롤 핑거와 상기 시프트러그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 샤프트가 직선이동시에는 상기 컨트롤 핑거가 상기 시프트러그에 구속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컨트롤 샤프트가 회전시에는 상기 컨트롤핑거가 상기 시프트러그에 구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컨트롤 핑거와 시프트러그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 고 상기 시프트러그의 이동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와, 다른 하나에서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컨트롤 샤프트의 회전시 상기 스토퍼와 상호걸림되게 하는 걸림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는 삽입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된 스토퍼와 걸림되도록 상기 스토퍼를 향해 돌출된 걸림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시프트러그의 단부에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컨트롤 핑거의 단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컨트롤 핑거의 단부에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KR1020040037388A 2004-05-25 2004-05-25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KR100578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7388A KR100578758B1 (ko) 2004-05-25 2004-05-25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7388A KR100578758B1 (ko) 2004-05-25 2004-05-25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2336A KR20050112336A (ko) 2005-11-30
KR100578758B1 true KR100578758B1 (ko) 2006-05-12

Family

ID=37287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7388A KR100578758B1 (ko) 2004-05-25 2004-05-25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87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720B1 (ko) * 2008-05-21 2010-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용 변속 조작기구
CN101457832B (zh) * 2008-12-19 2013-03-06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变速器换挡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2336A (ko) 2005-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69083A1 (en) Gear shift device of manual transmission
US9377100B2 (en) Shifter assembly
KR100578758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KR100851373B1 (ko) 수동 변속기용 자동 변속 조작 장치
KR101519229B1 (ko) 수동변속기 오조작 방지 장치
KR100551085B1 (ko) 차량의 변속작동장치
KR100558299B1 (ko) 차량의 변속작동장치
KR20050098518A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KR100642545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JP2005090621A (ja) 手動変速機のリバースミスシフト防止装置
KR100746964B1 (ko) 수동 변속기 컨트롤 샤프트의 컨트롤 핑거
KR100412900B1 (ko) 수동변속기의 시프트 러그 구조
KR20080107568A (ko) 수동 변속기의 컨트롤 핑거의 가이드 장치
KR100587704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JP2001146965A (ja) 半自動変速機のパーキングロック構造
KR100439985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장치
KR100941720B1 (ko) 수동변속기용 변속 조작기구
KR20050101973A (ko) 차량의 변속작동장치
KR20060030326A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KR100925927B1 (ko) 수동변속기 구조
KR100551081B1 (ko) 수동 변속기의 후진 울림 방지 장치
KR20080020737A (ko) 자동변속기의 오조작 방지 변속조작 기구
KR950011266B1 (ko)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후진변속 제한장치
KR20060058487A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KR100462849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