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6689B1 - 콘크리트 구조물용 지수성 성형물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용 지수성 성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6689B1
KR100196689B1 KR1019920000925A KR920000925A KR100196689B1 KR 100196689 B1 KR100196689 B1 KR 100196689B1 KR 1019920000925 A KR1019920000925 A KR 1019920000925A KR 920000925 A KR920000925 A KR 920000925A KR 100196689 B1 KR100196689 B1 KR 100196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resin
plate
exponential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0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6669A (ko
Inventor
야스히로 모리
Original Assignee
야스히로 모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스히로 모리 filed Critical 야스히로 모리
Publication of KR920016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6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6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66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6Water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12Articles with an irregular circumference when viewed in cross-section, e.g. window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13Articles with a cross-section vary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g. corrugated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29C67/24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29C67/242Moulding mineral aggregates bonded with resin, e.g. resin concrete
    • B29C67/245Moulding mineral aggregates bonded with resin, e.g. resin concrete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매 부분등에 배치되는 합성수지성 지수판등에 사용되는 지수성 성형물로서, 기재로서의 열가소성수지에 상기 기재수지 보다 용융온도가 높고 용융되기 어려운 가교 폴리에틸렌수지, 또는 모래등의 무기질계 비용융성 입상물과,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성형원료를 가열 압출하고, 성형수단에 의해 상기 기재수지의 용융온도에서 성형금형을 통과시켜 압출함으로써 성형 수지판 표리면에 상기 기재수지와 비용융성 입상물과의 유동점성의 상위를 이용한 엠보스 요철면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 엠보스 요철면 표면에 상기 계면활성제에 의한 친수성 피막층이 성치되어 있고, 이 친수성 피막층을 갖는 엠보스 요철면에 콘크리트가 부착함으로써 시멘트 밀크가 친수성 피복층에 잘 융합하여 요철면의 패인곳 안에 침투하고, 콘크리트와 부착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용 지수성 성형물
제1도는 본 발명의 지수성(止水性) 성형물의 사용한 지수판의 1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성에 있어서의 일부 확대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관한 지수성 성형물의 성형행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한 지수판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5도는 상기 지수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지수성 성형물을 사용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수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7도는 제5도의 사용예에 있어서의 다른 태양을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수판 2 : 파상면
3 : 엠보스 요철면 4 : 친수성피막층
5 : 돌조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매부분등에 배치되어 이 이음매 부분에서 구조물내에 침입하는 물을 저지하기 위한 지수판등에 이용되는 지수성 성형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에 의한 각종 구조물을 구축할 경우, 구축 단계에서 타설된 콘크리트는 경화된 뒤에 있어서의 주위 기온이나 습도 혹은 압력등의 변화에 따르는 내부응력에 의해 균열을 일으키게 된다.
그 때문에 콘크리트는 구축단계에서 적당한 간격으로 칸막이 되어 서로 이음매를 통하여 연속되도록 타설된다.
그러나, 이와같이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이음매가 설치되면 이 이음매 부분에서 구조물 내부에 대하여 우수나 지하수등의 침입을 허용하게 된다.
이와같은 폐해를 방지하여 이음매부분에 있어서의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종래부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에서 이음매 부분에 금속, 고무, 혹은 합성수지등으로 이루어지는 지수판을 이음매 부분의 길이방향에 따라 일체로 매립하는 것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이 종류의 지수판중, 금속제 지수판은 가요성과 신축성이 결핍되기 때문에 타설후에 있어서의 콘크리트의 체적변화에 대응할수 없으며, 콘크리트와 지수 판 사이에 틈이 생기기 쉬운 결점이 있다.
한편, 고무 혹은 합성수지를 소재로하는 지수성 성형물로 이루어지는 지수 판은 신축성을 갖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체적변화나 이음매 부분의 엇갈리는 움직임등에 대응할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 종류의 소재에 의한 지수판은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284640,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소61-131406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엘라스토머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띠모양판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원통부 혹은 산형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판의 양쪽 가장자리에는 콘크리트와의 걸림성이 높아 질수 있는 판두께 보다 큰 플랜지를 설치한 구조가 알려져 있다.
이와같은 지수판에서는 콘크리트의 이음매 부분에 있어서의 엇갈리는 움직임등의 외적 변동에 대해서는 상기 원통부나 산형부가 변동을 흡수하며 판의 표면을 따라 콘크리트안으로 침수하는 물에 대해서는 양쪽 가장자리의 플랜지가 콘크리트와 걸려서 그 침입을 저지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그러나, 고무계의 지수성 성형물로 이루어지는 지수판은 신축성이라는 잇점을 갖는다하더라도 시간 경과에 따라 노화현상에 의한 열화(劣化)를 낳아 소정기간 사용후에는 지수기능을 상실해버리는 결점이 있다.
또, 염화비닐, ABS 수지등의 합성수지계의 지수성 성형물로 이루어지는 지수판은 고무계 지수판과 같은 열화에 의한 문제는 해소된다하더라도 지수판의 성형 단계에서 판표면을 평활하게 하지 않을수 없기 때문에 판의 표면과 콘크리트와의 부착성이 양호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같은 이유로 종래에 있어서의 합성수지계의 지수성 성형물로 이루어지는 지수판에서는 상기와 같이 판의 양쪽 가장자리에 플랜지를 설치하여 이 플랜지에 의해 콘크리트와의 걸림성을 꾀하고, 또 이 걸림부분에서 물침입을 저지하는 기능을 발휘시키고 있다.
그런 의미로 종래의 저지판은 콘크리트와의 부착성이라는 과제에 대해서는 판의 양쪽 가장자리에 설치한 플랜지와 같은 전적으로 형상적 특징에 의해 대처하고 있다고 할수 있다.
상기와 같이 띠모양판 양쪽 가장자리에 설치한 플랜지와 같은 형상적 특징에의해 콘크리트와의 걸림성과 누수성을 도모하는 지수판에 대하여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2-90455에 개시된 바와같이 지수판에 대하여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2-90455에 개시된 바와같이 지수판 표면 일부에 흡수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수팽창성 재료를 설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수팽창성 재료는 콘크리트와의 틈새에 침입한 물과 접촉함으로써 스스로가 팽창하여 기재로서의 판과 콘크리트와의 사이에 마개를 하는 작용을 하는 것 뿐으로서 콘크리트와 지수판과의 부착성을 발휘시키는 성질의 것은 아니다.
합성수지가 콘크리트에 대하여 부착하기 어려운 성질을 갖기 때문에 종래의 합성수지의 지수판은 상기와 같이 평탄한 띠모양판의 양쪽 가장자리에 플랜지와 같은 형상적 특징을 설치함으로써 콘크리트와의 걸림성과 누수성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합성수지제의 판과 콘크리트와의 부착성을 상기 지수판에 있어서의 플랜지와 같은 부분적 걸림수단이 아니고 가령 판 전체면에 형성한 요철면에 의해 얻어지게 하면 설사 합서수지제의 판과 콘크리트를 화학적 융합에 의해 부착할 수는 없다 하더라도 판 전체면을 균등하게 콘크리트와 걸어맞춤해서 지수판으로서의 수밀성을 대폭 향상시킬수 있다고 생각된다.
지수판의 기재로서의 합성주지제의 띠모양판 표면에 상기와 같은 요철면을 설치하는 수단을 예컨대, 성형직후의 띠모양판을 엠보스로울 사이에 끼워 붙임함으로써 이 판의 표면에 요철면을 형성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지수판이 단순하게 평탄한 판만의 것이라면 적용할 수 있으나 판표면에 상기 지수판에 있어서의 원통부나 플랜지와 같은 특수한 형상을 설치하는 것은 그와같은 판을 엠보스로울 사이에 끼워붙여도 원통부나 플랜지가 돌출해있기 때문에 판의 전체면에 요철면을 형성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에 대하여 특수한 형상의 구성을 갖는 띠모양판의 표면에 접착제를 분무하여 이 접착제에 규사를 부착함으로써 요철면을 형성하는 것도 생각된다.
그러나, 이 방법도 규사를 부착하기 위한 이차적 가공수단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능률이나 비용면에서 적절한 해결책이라 할 수 없고, 또 단순히 표면에 요철면을 설치한것만으로도 소재로서의 합성수지가 물을 받아들이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시멘트밀크가 요철면의 패인곳으로 적절히 들어가지 못하며, 그런 뜻에서 요철면의 형상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 있어서의 합성주지제의 지수판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표면의 요철면을 성형후의 이차적 가공수단에 의하지 않고 지수성 성형물로서의 수지의 성형단계에서 능률적으로 성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 요철면이 시멘트밀크와의 부착성을 향상시키는 요서를 구비하고 있는 자수판을 얻기 위한 지수성 성형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한 구체적 수단으로서 기재로서의 폴리에틸렌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에 상기 기재수재보다 용융온도가 높고 용융이 어려운 가교 폴리에틸렌 수지와 같은 입상물, 혹은 모래등의 무기질계 비용융성 입상물과 여기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이루는 성형원료를 가열 압출 성형기에 의해 상기 지재수지의 용융온도를 성형금형을 통하여 압출함으로써 성형수지판의 표리(表裏面)면에 상기 기재수지와 비용융성 입상물과의 유동점성의 상위를 이용한 엠보스 요철면이 성형됨과 함께 이 엠보스 요철면 표면에 상기 계면 활성제에 의한 친수성 피막층이 성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지수성 성형물의 성형에 사용되는 원료의 배합비율은 기재로서의 열가소성수지 60 내지 70 중량%, 비용융성 입상물 30 내지 40 중량%, 계면활성제 0.3 내지 10중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기재수지 67 중량%, 비용융성 입상물 30중량%, 계면활성제 0.3중량% 정도의 것이 적합하다.
성형물로서 성형되는 수지판의 표리양면에 설치되는 엠보스 요철면은 기재수지에 대한 비용융성 입상물의 배합비율이 많으면 거칠기가 커져서 시멘트 밀트가 요철면의 패인곳안에 적절히 들어가지 못하고, 그 결과 수지판과 콘크리트와의 사이에 기포가 잔류하게 되므로 비용융성 입상물의 배합비율은 기재수지의 절반 이하로 억제하여 거칠기가 너무 크지 않게 한 경우가 적합하다.
본 발명의 지수성 성형물을 사용한 지수판에 있어서는 엠보스 요철면 표면에 성형원료중에 혼입시킨 계면활성제에 의해 친수성 피막층이 형성되므로 이 친수성 피막층이 시멘트밀크의 침투를 확실하게 행할수 있어 지수판 표면과 콘크리트와의 확실한 부착작용을 발휘할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잇점들은 첨부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의 하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지수성 성형물을 지수판으로 사용할 경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이 지수판(1)은 합성수지의 압출성형에 의해 얻어진 표리양면에 다수의 엠보스 요철면(3)을 갖는 지수성 성형물의 띠모양판으로 이루어지고, 이 지수판(1)은 가령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콘크리트 구조물(20)의 이음매부(21)사이에 배치되는데 적합한 소정 폭(W)을 가지고, 바람직하게는 판(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전체가 파상면(2)으로 되어있음과 동시에 다시 판(1)의 양쪽 가장자리에는 각각 하나 또는 복수개의 돌조(5)가 판(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해서 돌설되어 있다.
또,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지수판(1)의 엠보스 요철면(3)의 표면에는 친수성 피막층(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지수판(1)을 구성하는 지수성 성형물의 성형원료는 가령 폴리에틸렌수지와 같은 기재가 되는 열가소성 수지(6)와, 가교 폴리에틸렌수지와 같은 상기 기재수지(6) 보다 용융온도가 높고, 그 기재수지(6)의 용융온도조건하 에서는 용융되기 어려운 비용융성 입상물(7)과, 계면활성제(8)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성형원료가 제3도에 도시하는 압출성형장치(9)에 의해 제1도와 같은 제품으로서 성형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지수성 성형물과 같은 성형된 제품의 표리 양면에 엠보스 요철면(3)을 설치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예컨대 본 발명자가 취득한 일본 특허 제1566160호(특공평1~49100)에 개시된 합성수지압출 성형품 제조법이 이용된다. 이 특허에 관한 성형품의 제조법은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주원료합성 수지와, 가교제 수지조성물을 분쇄하여 얻은 입상자의 첨가원료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성형원료를 성형 다이내에 공급하여 소정 형상으로 정합하는 단계와, 상기 정합된 성형원로를 상항 다이내에 공급하여 소정 형상으로 정합하는 단계와, 상기 정합된 성형원료를 성형다이에서 압출하여 성형압력에서 개방시켰을 때에 상기 각 합성수지에 있어서의 용융온도차에 의거한 활동점성의 차이를 이용하여 성형품 표면에 엠보스 요철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지수성 성형물에서는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기재수지로서 포릴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염화비닐수지등을 사용하고 비용융성 입상물로서, 가교 폴리에틸렌수지, 규사, 유리쇄편, 플라이애쉬등의 무기질계 비용융성 입상물을 사용하며, 계면활성제로서, 이온계에서는 지방산에스테르, 비 이온계에서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혹은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의 블록폴리마등을 사용한다.
상기 성형원료중, 기재수지는 폴리에틸렌수지, 비용융성 입상물은 가교폴리 에틸렌수지, 계면화성제는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 상기 성형원료의 혼합 중량비율은 포릴에틸렌수지가 63 중량%, 가교 폴리에틸렌수지가 30 중량%, 고급지방산 에스테르등의 계면화성제가 0.3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형원료를 압출성형장치(9)에 의해 190℃정도의 가열 조건하에 있어서 용융하면서 가압하면 기재수지(6)가 우선 120℃정도에서 용융하는데, 비용융성 입상물(7)은 상기 기재수지(6) 보다 융점이 높거나 혹은 용융하지 않으므로 이들 입상물(7)의 입자표면이 상기 용융한 계면화성제(8)와 기재수지(6)에 의해 포위되도록하여 입상 그대로 혼재한 형태로 150℃정도의 가열상태로 유지된 성형다이(10)에 보내어져 소정 형상으로 성형된다.
성형다이(10) 내부에 있어서 상기 용융수지는 완전하게 용융하여 흐르기 쉬운 상태으 기재수지(6)와, 가열되어 연화되었으나 완전히 용융하지 않거나 혹은 전혀 용융하지 않아서 흐르기 어려운 상태의 비용융성 입상물(7)의 입자가 혼합해 있다.
그 때문에 이 용융한 기재수지(6)가 성형다이(10)에서 외기중으로 압출될떼에 성형된 수지의 단면중 내측부분의 수지는 성형장치(9)내로 부터의 압출력을 받차 비교적 용이하게 유출하는데 비해, 외측부분의 수지는 상기의 흐르기 어려운 비용융성 입상물(7)이 성형다이(10)의 내주면과 접촉하면서 압출되므로 성형다이(10)에 의한 마찰 저항을 받아 더욱 어려운 상태가 된다. 즉, 성형다이(10)에 의해 성형된 용융지수의 단면은 내측 부분과 외측부분은 그 유동성의 차이에 의해, 외측부분은 다이출구에서 원활하게 압출되기 어려워지고, 거친 엠보스형의 요철형상 거친면(3)이 성형품 표면에 형상되게 된다.
한편, 원료수지중에 혼입된 계면활성제(8)는 성형장치(9)내에 있어서의 교반에 의해 수지중에 혼입된 계면활성제(8)는 성형다이(10)에서 압출될때에 상기 엠보스 요철면(3) 표면으로 스며나와 성형수지의 표면에 발수성을 갖지 않는 상기 친수성 피막층(4)을 형성된다.
이 경우 제2도에서는 친수성 피막층(4)이 엠보스 요철면(3)의 표면위에 독잔적인 층압(層 )을 형성하고 있는 듯이 표현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이 친수성 피막층(4)은 상기 엠보스 요철면(3)을 묻을만한 독자의 두꺼운 층은 아니며, 매우 얇은 막으로서 형성되기 때문에 이로인해 지수성 성형물로서의 지수판(1)의 표면에 있어서의 엠보스 요철면(3)의 형상이나 기능이 저해되지 않는다.
지수성 성형물은 상기 성형다이(10)에서 압출됨으로써 상기의 연속된 띠모양판(1a)으로서 성형되지만 이 띠모양판(1a)은 완전히 냉각되기 전이 단계에서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은 위쪽 컨베이어로울러(12) 사이에 아래쪽 컨베이어로울러(13)를 파고들게한 파형 컨베이어(11)의 각 로울러(12,13) 사이에 도입하고, 상기 띠모양판(1a)에 파형 형상을 부여한채 소정 거리를 이동시키고, 서서히 냉각 정화하여 지수판(1)을 얻는다.
상기 원료로서 비용융성 입상물(7)의 배합비율은 기재수지(6)에 대하여 절반이하로 설정할 경우에는 엠보스요철면(3)의 거칠기를 비교적 작게할 수 있기 때문에 용철면(3)에 시멘트밀크가 부착했을때에 그 시멘트밀크중에 함유되는 기포가 요철면(3)에 있어서의 패인곳 내부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의해 콘크리트가 적절히 지수판(1) 표면에 부착하기 쉬운 조건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엠보스 요철면(3)의 표면에 형성되는 친수성 피막층(4)는 지수성 성형물로서의 지수판(1)의 표면부분에 있어서의 표면 장력을 감소시켜서 수지제품 표면에 발생하는 특유의 발수성을 억제하게 된다.
그 때문에 이 친수성 피막층(4)을 갖는 엠보스 요철면(3)의 표면에 시멘트 밀크가 접촉하면 친수성 피막층(4)이 시멘트 밀크의 수분을 적극적으로 고르지 못한 요철면(3)의 패인곳내에 흡착함과 동시에 시멘트밀크중의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역할을 발휘하게된다.
그리고 시멘트밀크가 이 친수성피막층(4)을 통하여 요철면(3)의 패인곳내에 침쿠하여 요철면(3)과 확실하게 융합하기 때무네 콘크리트는 이를테면 지수판 표면과 서로 얽히는 모양으로 접촉하고, 또 그 접촉면적이 현저히 증대되므로 콘크리트의 부착성을 더욱 확실한 것으로 한다.
또한, 지수판(1)이 파형면으로 되어 있는 것은 상기 엠보스 요철면(3)에 의한 콘크리트와의 부착성 향상이란 잇점에 덧붙여 판의 형상에 의거한 콘크리트와의 접촉면 증대오 이에 의한 부착성 향상을 기대할수 있으며, 콘크리트 이음매 부분의 어긋나게 움직이는데 대하여 내구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 지수판 양측 가장자리에 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해서 돌출설치된 돌조(5)는 지수판의 면에 의한 부착성에 덧붙여 콘크리트와의 걸림성을 높임과 함께 이 부분에서의 지수기능을 발쉬할 수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지수판 사용방법은 예컨대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콘크리트 구조물(20)의 이음매부(21)사이에 수평으로 배치하거나 혹은 제5도와 같이 콘크리트구조물(30)의 이음매부(31)사이에 수직으로 배치하여 사용된다.
제5도의 사용예는 우선 최초에 타설된 하측의 생콘크리트(32) 내부에 지수판(1)을 수직상태로 절반 높이까지 밀어넣고, 하측 콘크리트(32)의 경화후에 상측 콘크리트(33)를 타설한다.
제7도는 제5도는 사용예는 다른 태양을 도시하고 있다.
이경우는 제5도에 있어서의 하측의 생콘크리트(32)를 타설하기 전 단계로, 양측 가장자리에 구성(34)을 설치한 지수파(1)을 와이어(35)에 의해 양측으 철근(36) 사이의 바른 위치에 매달아 놓고, 지수판(1)의 배치가 완료된 다음 상기와 같은 하측 콘크리트(32)를 타설하고, 하측 콘크리트(32)경화후에 상측 콘크리트(33)를 타설한다.
이 방법은 제5도와 같이 타설된 생콘크리트(32)의 내부에 지수판(1)을 밀어 넣는 방법에 비교하여, 지수판(1)을 콘크리트의 이음매 부분에 굽힘없이 배치할수 있으므로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지수판(1)은 접착제를 통하여 필요한 길이에 걸쳐 상호 접속하여 사용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파형상으로 형성한 지수판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 하였으나 본 발명의 지수판은 표면에 엠보스 요철면이 설치되고, 또한 이 엠보스 요철면의 표면에 친수성 피막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반드시 전체가 파형으로 되어있는 것이 아니라도 좋고, 가령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굽힘이 없는 평탄한 면의 띠모양판도 좋고, 또 평탄한 때모양판에 소정간격을 두고 마디모양의 돌기가 설치된 것이라도 좋다.
그리고 본 발명의 지수성 성형물은 콘크리트와의 부착성을 양호하게 하여 물의 침입을 저지하는 것이므로 그와같은 목적에 사용되는 것이라면 상기 지수판 이외의 용도에도 이용할 수 있다.
지수판 이외의 용도는 콘크리트중에 매설되는 각조 금속제품, 가령 강판표면에 접척제를 통하여 이 지수성 성형물을 피복함으로써 이들 금속제품의 부식성을 방지하는 등의 용도가 있다.

Claims (10)

  1. 기재로서의 열가소성 수지에 비용융성 입상물과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성형원료를 가열압출하고, 성형수단에 의해 상기 기재수지의 용융온도에서 성형 금형을 통과시켜 압출함으로써 성형수지판의 표리면에 상기 기재수지와 비용융성 입상물과의 유동점성의 상위를 이용한 엠보스 요철면이 성형됨과 동시에 이 엠보스 요철면의 표면에 상기 계면활성제에 의한 친수성 피막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지수성 성형물.
  2. 제1항에 있어서, 성형원료가 기재수지로서의 포릴에틸렌수지와, 비용융성 입상물로서의 상기 기재수지보다 용융온도가 높고 용융되기 어려운 가교 폴리에틸렌수지 수지의 입상물과,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지수성 성형물.
  3.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성형원료의 배합비율이 60 내지 79 중량%으 기재폴리에틸렌수지와, 30내지 40 중량%의 가교폴리에틸렌수지 입상물과, 0.3 내지 10 중량%의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지수성 성형물.
  4. 제1항에 있어서, 성형원료가 기재수지로서의 포릴에틸렌수지와, 비용융성 입상물로서의 모래등의 무기질계 입상물과,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지수성 성형물.
  5. 기재로서의 열가소성 수지에 비용융성 입상물과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성형원료를 가열압출성형수단에 의해 상기 기재수지의 용융온도에서 성형 금형을 통과시켜 압출함으로써 성형수지판 표리면에 상기 기재수지와 비용융성 입상물과의 유동점서의 상위를 이용한 엠포스 요철면이 성형됨과 동시에 이 엠보스 요철면 표면에 상기 게면활성제에 의한 친수성 피막층이 설치되어 있는 지수성 성형물을 소재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지수판.
  6. 제5항에 있어서, 성형원료가 기재수지로서의 포릴에틸렌수지와, 비용융성 입상물로서의상기 기재수지보다 용융온도가 높고 용융되기 어려운 가교 폴리에틸렌수지 수지의 입상물과,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지수성 성형물을 소재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지수판.
  7. 제5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성형원료의 배합비율이 60 내지 79 중량%으 기재폴리에틸렌수지와, 30내지 40 중량%의 가교폴리에틸렌수지 입상물과, 0.3 내지 10 중량%의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지수성 성형물을 소재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지수판.
  8. 제5항에 있어서, 성형원료가 기재수지로서의 포릴에틸렌수지와, 비용융성 입상물로서의 모래등의 무기질계 입상물과,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지수성 성형물을 소재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지수판.
  9. 제5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지수성 성형물로서 성형되는 띠모양 수지판이 길이 방향에 대하여 파상면으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판이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하나 또는 복수개의 돌조가 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돌출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지수판.
  10. 제5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지수성 성형물로서 성형되는 띠모양 수지판이 평탄한 면으로 이루어지고, 이 판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하나 또는 복수개의 돌조가 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돌출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지수판.
KR1019920000925A 1991-02-20 1992-01-23 콘크리트 구조물용 지수성 성형물 KR1001966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45720A JP2559643B2 (ja) 1991-02-20 1991-02-20 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止水板
JP91-045720 1991-0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6669A KR920016669A (ko) 1992-09-25
KR100196689B1 true KR100196689B1 (ko) 1999-06-15

Family

ID=12727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0925A KR100196689B1 (ko) 1991-02-20 1992-01-23 콘크리트 구조물용 지수성 성형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499816B1 (ko)
JP (1) JP2559643B2 (ko)
KR (1) KR100196689B1 (ko)
AT (1) ATE130067T1 (ko)
AU (1) AU660642B2 (ko)
DE (1) DE69205853T2 (ko)
TW (1) TW209884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379B1 (ko) * 2001-05-17 2004-06-07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용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공법
KR101743009B1 (ko) * 2016-08-18 2017-06-02 김지영 압출 성형품 및 압출 성형품 제조 방법
KR101869642B1 (ko) 2017-02-22 2018-06-20 대상 주식회사 핵산 대사 경로가 약화된 l-글루타민 고생산능 변이 균주 및 이를 이용하는 l-글루타민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29593A1 (de) * 1994-08-20 1996-02-22 Hubert Wilz Anordnung und Verfahren zum Abdichten von Bauteilanschlüssen und dafür geeignetes Dichtband
CH692361A5 (fr) * 1997-12-19 2002-05-15 Mastix Sa Bande de reprise de bétonnage pour joint de travail, de retrait et de dilatation.
JP3469786B2 (ja) * 1998-02-16 2003-11-25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高強度ポーラスコンクリート構造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202008012349U1 (de) * 2008-09-17 2008-11-27 Schöck Bauteile GmbH Vorrichtung zur Querkraftübertragung
TW201135010A (en) * 2010-04-09 2011-10-16 Jun-Er Gan Water blocking board set and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EP3031992B1 (de) * 2014-12-10 2018-02-14 Daw Se Wärmedämmverbund und Wärmedämmverbundareal sowie Wandaufbau, umfassend den Wärmedämmverbund oder das Wärmedämmverbundarea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Wandaufbaut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231692A (fr) * 1958-01-24 1960-09-30 Chem Fab Gruenau Ag Feuilles, rubans et analogues destinés à être liés à des éléments de construction, et procédé pour leur fabrication
CH369784A (de) * 1959-06-20 1963-06-15 Kaspar Winkler & Co Dr Dichtungsband für Bauwerksfugen
US3406087A (en) * 1965-03-29 1968-10-15 Le Roy H. Potter Cross-linked molecular adhesive expansion joints
GB1136661A (en) * 1970-02-13 1968-12-11 W N Nicholson & Son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gricultural implements
CA1145131A (en) * 1980-04-05 1983-04-26 Hajime Yamaji Aqueously-swelling water stopper and a process of stopping water thereb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379B1 (ko) * 2001-05-17 2004-06-07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용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공법
KR101743009B1 (ko) * 2016-08-18 2017-06-02 김지영 압출 성형품 및 압출 성형품 제조 방법
KR101869642B1 (ko) 2017-02-22 2018-06-20 대상 주식회사 핵산 대사 경로가 약화된 l-글루타민 고생산능 변이 균주 및 이를 이용하는 l-글루타민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1010392A (en) 1992-08-27
DE69205853D1 (de) 1995-12-14
KR920016669A (ko) 1992-09-25
DE69205853T2 (de) 1996-05-15
TW209884B (ko) 1993-07-21
EP0499816A1 (en) 1992-08-26
EP0499816B1 (en) 1995-11-08
JPH0626113A (ja) 1994-02-01
AU660642B2 (en) 1995-07-06
ATE130067T1 (de) 1995-11-15
JP2559643B2 (ja) 1996-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668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지수성 성형물
US5628857A (en) Joint seal retaining element
US4379114A (en) Method of joining waterproof sheets, and their joint structure
JP2015502466A (ja) 土木構造物に組み込むために複合材料から作製される製品
US5271781A (en) Method of making a thermoplastic sheet with cement particles for use on concrete structures
KR0133519B1 (ko) 열가소성 수지 시트의 제조방법
US4568588A (en) Method of joining waterproof sheets and their joint structure
US6534147B2 (en) Composite weatherstrip having a friction reducing surface coating on a hard bearing layer
JP5322140B2 (ja) 金型再生用シート
JPH06344449A (ja) 樹脂段ボール板の端面シール方法
CN105756337B (zh) 一种模板贴及其应用
WO2002036899A1 (en) Sealing apparatus and method
JPH0960130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止水板
WO2000005088A1 (en) Weatherseal having a contact surface with cross-linked particles
JPH0754461Y2 (ja) 滑り止め機能を有する足場板
CN218970302U (zh) 互扣式楼地板隔音垫
JPH0799001B2 (ja) ブロック
CN110016159B (zh) 一种高分子聚合物用自洁剂及其制备方法
JPH0726348Y2 (ja) 光硬化性プリプレグシート
CA1181676A (en) Method of joining waterproof sheets, and their joint structure
JPS6036433Y2 (ja) 建築または構築用積層部材
JPH10115087A (ja) プラスチック製コンクリートパネル
JP2001032396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接合部材
JPH0653606U (ja) 弾性舗装材
SE9402616D0 (sv) Sätt för tillverkning av plastplattor samt genoom sättet tillverkad plastplat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