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519B1 - 열가소성 수지 시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시트의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519B1
KR0133519B1 KR1019900004314A KR900004314A KR0133519B1 KR 0133519 B1 KR0133519 B1 KR 0133519B1 KR 1019900004314 A KR1019900004314 A KR 1019900004314A KR 900004314 A KR900004314 A KR 900004314A KR 0133519 B1 KR0133519 B1 KR 0133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thermoplastic resin
lip
mold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4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4118A (ko
Inventor
마꼬토 이시하라
가즈히로 기미나미
마사카즈 와카바야시
히로가즈 호리
사네하루 다쓰
사찌오 다케시다
Original Assignee
히로다 가오루
세끼스이 가가꾸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8331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2955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08331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35078B2/ja
Application filed by 히로다 가오루, 세끼스이 가가꾸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다 가오루
Publication of KR900014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4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559Shape of the cross-section
    • B32B17/10577Surface r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559Shape of the cross-section
    • B32B17/10577Surface roughness
    • B32B17/10587Surface roughness created by 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13Articles with a cross-section vary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g. corrugated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7Cleaning; Purging; Avoiding contamination
    • B29C48/272Cleaning; Purging; Avoiding contamination of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5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 B29C48/31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being adjustable, i.e. having adjustable exit sections
    • B29C48/313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being adjustable, i.e. having adjustable exit sections by positioning the die 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시트의 제조방법
제1도는 시트표면에 형성된 요철의 V/H 비와 거칠기(R)의 값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제2도는 폴리비닐 부티릴 시트제조시의 수지온도와 임계치(V/H)c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제3도는 폴리비닐 부틸랄의 성형온도, 시트표면의 V/H와 거칠기(R)값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얻은 시트표면의 엠보스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제5도는 종래방법으로 얻은 시트표면의 엠보스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제6도는 편평한 시트를 형성시키는데 사용된 압출 몰드의 주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제7도는 본 발명의 압출몰드의 립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제8a도 및 제8b도는 종래 압출몰드의 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제9a도 및 제9b도는 종래 형태의 압출몰드의 단면도 및 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몰드 2 : 수지유로
3,3',13 : 립 3a : 슬릿
4 : 조정 스크류 5 : 분기관
10 : 시트 11 : 돌기
12 : 요면 13 : 립
14 : 라운드 15 : 베벨
16 : 몰드 17 : 스크랩
18 : 립 잔류물
본 발명은 엠보스 표면을 가진 열가소성 수지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자동차, 항공기, 건설 및 기타 산업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되는 적층 유리제품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열가소성 수지 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적층 유리는 두장의 유리판 사이에 중간층으로서 열가소성 수지 시트를 개재시키고 여기에 압력을 가하여 만든다. 적층유리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유리판과 수지시트 사이에 공기를 적절하게 방출시켜야 하며, 이렇게 함으로써 엠보스 표면을 가진 열가소성 수지시트가 사용된다.
엠보스 표면을 가진 열가소성 수지시트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다음과 같은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1) 먼저, 압출기 또는 몰드에 의해 편평한 표면을 가진 열가소성 수지 시트를 제조한다. 그후, 한쌍의 엠보싱 롤러사이에 이 시트의 표면을 통과시켜 엠보스된 패턴을 형성시킨다(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61-61835호).
(2) 물 0.6 내지 15중량%를 함유한 수지조성물을 압출기로부터 압출시키고, 몰드내에서 압착하여 엠보스된 시트를 생성시킨다(미합중국 특허 제2,904,844호).
(3) 압출 몰드의 립을 이들 립으로부터 압출된 수지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유지시켜 수지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가 일어나게 한다. 이 조건하에 립으로부터 용융된 수지를 압출하여 원하는 시트를 얻는다(일본국 공개 특허공보 제61-154919호).
상기한 방법 (1)에 있어서, 엠보싱 롤러 사이를 통과시킬 때 열가소성 수지가 높은 점성을 가질 경우, 시트가 롤러에 부착하고 감겨서 제조과정중에 기능장애를 일으킨다. 시트를 엠보싱 롤러로부터 분리시키기가 어렵기 때문에 흠집이 형성되어 시트의 외관이 나쁘게 된다. 더욱이, 넓은 시트를 이 방법으로 제조할 경우, 시트보다 큰 폭을 가진 대형롤러가 필요하며 이것은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고 제조원가가 높아지게 된다.
상기한 방법 (2)에 있어서는 수지에 물이 함유되기 때문에, 이 물이 시트에 포옴형성을 유발시킬 수 있다. 시트의 포옴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탈수를 압출기내에서 실시할 경우 얻어진 시트의 엠보스가 충분하게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한 방법 (3)에서는 수지와 립간의 온도차가 대략 40℃가 보장될 수 있도록 압출 몰드의 립을 충분히 냉각시켜야 한다. 따라서, 냉각관을 몰드에 삽입해야 하는데, 이것은 몰드구조를 복잡하게 만들며, 또한 이 방법에서 장치 설비에 비용이 많이 드는, 온도 조절장치를 몰드내에 설치해야만 한다.
립을 문지르거나 광택을 내어 가공할 때, 수지압출 오리피스 한면의 립의 가장자리가 부적절하게 예리하게 되면, 치핑(chipping)이나 버어(burr)가 일어나기 쉬우며, 이로써 제8a도 및 제8b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립(13)의 가장자리가 일반적으로 라운드(14) 또는 베벨(15)형태가 된다. 그러나, 시트를 몰드(16)로부터 점착성 열가소성수지(예, 폴리비닐 부티랄 또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의 압출에 의해 제조하여 립(13)이 라운드되거나(14) 또는 베벨(15)되면, 제9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의 스크랩(립 찌꺼기)(17)이 몰드(16)의 립 가장자리에 부착된다. 이들 스크랩(17)이 제9b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립(13)의 가장자리상에 축적이되면, 이것은 소위 립 잔류물(18)이 생성되어 이 잔류물(18)이 슬릿으로부터 압출된 시트(10)에 부착되어 불량시트(10)가 제조된다. 따라서, 몰드(16)의 립(13)을 적절하게 클리닝하여 생산성면에서 실제적인 감소를 초래하는 시트(10)에 립 찌꺼기(17)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립에 수지스크랩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은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4) 플루오로카본 수지 또는 다른 적합한 물질로 구성된 항 점착성 용액을 립의 표면에 도포한다(일본국 공개 특허공보 제58-12743호).
(5)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로 된 항 접착성 부재를 립의 가장자리에 부착시킨다(일본국 공개 특허공보 제56-95637호).
상기한 방법(4)에서는, 립 표면에 항 점착성 용액을 도포하는 특수공정을 필요로하기 때문에, 몰드의 코스트가 증가한다.
마찬가지로, 상기한 방법(5)에서 몰드에 항 점착성 부재를 부착시키는데는 특수한 작업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몰드의 코스트가 상승되고, 또한 립을 세척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본 발명자들은 특히 폴리비닐 부티랄 또는 유사한 열가소성수지로 된 시트를, 압출몰드의 슬릿의 폭과 수지의 압출속도의 비율이 일정치를 초과할 수 있는 조건하에 압출하는, 이러한 발견을 기초로하여, 상기한 종래 방법의단점을 제거한 본 발명을 성공적으로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은 엠보스 표면을 가진 열가소성 수지 시트를 형성할 수 있도록 압출 몰드내에 설치한 슬릿을 통해 압출속도(V)에서 용융된 열가소성 수지를 압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방법으로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상기 슬릿의 폭(H)에 대한 압출속도(V)의 V/H비가 임계치(V/H)c를 초과할 수 있는 조건하에 압출몰드내의 슬릿으로부터 압출하며, 상기 임계치(V/H)c는 V/H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조건하에 열가소성 수지시트를 제조할 경우 엠보스의 거칠기가 초기에 감소후 증가하기 시작하는 시점에서 열가소성 수지 시트의 표면에 형성된 엠보스의 거칠기가 최소치에 상응하는 몰드슬릿의 폭에 대한 압출속도의 비이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있어서, 슬릿 폭(H)에 대한 압출속도(V)의 비 V/H는 상기한 임계치(V/H)c를 초과하는 범위에 속하나, 상기한 임계치(V/H)c의 1.4배는 초과하지 않는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있어서, 슬릿 폭(H)에 대한 압출속도(V)의 비 V/H는 상기한 임계치(V/H)c를 초과하는 범위에 속하나, 상기한 임계치(V/H)c의 1.2배는 초과하지 않는다.
또는 더욱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비닐 부틸랄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있어서, 수지 유로에 인접한 면과 압출몰드의 립의 단부 외부면간의 각은 약 90o이고, 수지 유로에 인접한 면과 립의 외부면의 교차점의 코너는 라운드되거나 베벨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1) 시트를 엠보싱 롤러로 엠보스 할 때 일어나기 쉬운, 롤러에의 점착 및 권선, 열등한 외관과 사이징 마크와 같은 결점이 해소된 엠보스된 표면을 가진 열가소성 수지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과, (2) 복잡한 구조를 가진 몰드가 필요없이 또는 온도조절장치 등의 보조설비가 없이도 종래일반 용도의 몰드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는 엠보스된 표면을 가진 열가소성 수지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과 (4) 장치의 비용과 제조비용을 실제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엠보스 된 표면을 가진 열가소성 수지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과, (5) 립표면에 항 점착성 용액을 도포하거나 또는 항 점착성 부재를 부착하지 않고도 단지 립 가장자리를 적절하게 처리함으로써 립 찌꺼기가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과, 그리고 (6) 립 찌꺼기가 시트에 점착되는 것을 감소시킴으로써 립의 세척이 필요하기전에 경과된 기간을 실제적으로 연장할 수 있는, 엠보스된 표면을 가진 열가소성 수지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압출기의 슬릿을 통한 열가소성 수지의 압출속도(V)는 다음식 (1)에 의해 결정된다.
압출속도(V)=용융된 수지의 압출 용적비/[몰드슬릿의 길이 × 몰드 슬릿의 폭(H)]……(1)
식(1)에서 사용된 단위는 압출속도(V), cm/초, 압출용적비cm3/초, 슬릿길이 cm 그리고 슬릿 폭(H), cm 이다.
슬릿 폭 H에 대한 압출속도(V)의 V/H비는 슬릿 폭(H)및/또는 수지의 압출속도(V)를 변화시킴으로써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V/H치를 올리기 위해서는 압출속도 V를 증가시키고 /시키거나 슬릿 폭(H)를 좁힐 수 있다. 반대로, V/H치를 낮추기 위해서는, 이와 정반대로 조정한다.
제1도는 슬릿 폭(H)에 대한 수지의 압출속도(V)의 비 V/H와 압출된 시트표면의 엠보스 거칠기 R간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거칠기(R)은 ISO R468에 따라 측정하고 여기에서 사용된 값은 시트상의 10군데에서 측정한 거칠기의 평균치이다.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릿을 통해 용융된 수지가 압출되는 동안 사용된 V/H치가 증가함에 따라, 시트의 표면에 형성된 엠보스의 거칠기(R)은 초기에는 증가한다(제1도, a영역). 그러나, 슬릿을 통해 용융된 수지가 압출되는 동안 사용된 V/H치가 더욱 상승할 경우, 시트 표면의 엠보스 거칠기(R)은 파격적으로 감소하여 대략 10 내지 20㎛로 떨어진다(제1도, b영역). 그후, 슬릿을 통해 용융된 수지가 압출되는 동안 사용된 V/H치가 더욱 증가됨에 따라 시트표면의 거칠기(R)은 파격적으로 증가한다(제1도, c영역).
상기한 영역내에서 시트표면에 형성된 엠보스형태는 시트의 압출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긴 이랑과 골이 번갈아 다수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영역내의 엠보스 형태는 파상(웨이브-형성)으로서 기술할 수 있다.
시트표면을 종래의 엠보싱 롤러법으로 엠보스할 경우, 시트는 거칠기(R)이 가능한한 작도록(제1도의 a'영역), a영역에 상응하는 조건하에 제조한다.
상기한 b영역내의 시트표면에 형성된 엠보스 형태는 다수의 불연속적인 비배향된 소형 요면 및 돌기(랜덤패턴)와 결합한 웨이브로 이루어진다. b영역에서 얻어진 시트 표면상의 엠보스 거칠기(R)는 V/H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거칠기(R)의 최소치에 상응하는 V/H치(제1도, d점)은 본 발명에 의해 구체화된 임계치(V/H)c이다.
상기한 c영역내의시트표면상의 엠보스 형태는 a와 b영역에서 관찰된 파상 형태와는 전혀 상이하다. c영역내에 형성된 엠보스형태는 모두 다수의 불연속적인 비배향된 소형 요면과 돌기(불규칙형태)로 되어 있다. 더욱이,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 엠보스 돌기(11)는 예리하게 형성되는 반면, 요면(12)은 완만하다. 이 불규칙패턴의 형태는 유리판 사이에 시트를 개재시키고 적층유리가 제조되도록 압착할 경우, 수득된 열가소성 수지 시트와 유리판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공기의 방출을 조장한다. 이와 반대로,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엠보싱 롤러법으로 얻은 시트상의 엠보스 돌기는 라운드 형태로 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공기의 방출을 방재하게 된다.
V/H비가 상기 임계치(V/H)c 이상의 여러 값으로 추정되는 조건하에 시트를 제조함으로써 시트표면상에 형성된 엠보스 거칠기(R)는 대략 15 내지 170㎛의 범위로 변화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시트가 임계치(V/H)c(제1도의 a와 b영역)에서 몰드의 슬릿을 통해 용융된 열가소성 수지를 압출하여 형성되면, 이와 같이 얻어진 시트의 표면에 형성된 엠보스는 주로 파상 형태를 이룬다. 이런 유형의 엠보스로 각인된 열가소성 수지 시트가, 예를 들면 적층유리의 제조에 사용되면, 시트와 유리판 사이의 공기는 빠져나가기 어렵게 된다. 이런 곤란성 때문에 시트의 표면상의 형성된 엠보스의 파상 형태는 단지 한 방향으로만 배향된 골을 갖게 되는데, 이는 시트와 유리판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공기가 용이하게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대조적으로, c영역의 조건하에 제조된 시트의 표면상에 엠보스된 형태는 불규칙형태이다. 이런 유형의 엠보스 형태로 형성된 다수의 요면은 서로 연결되고, 표면상에 모든 방향으로 배향된 작은 골이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적층은 유리판 사이에 시트를 삽입하여 압력을 가함으로써 되며, 공기는 시트와 유리판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용이하게 방출된다.
또한, c영역에서 여러 V/H값의 조건하에 시트를 제조함으로써, 시트표면에 형성된 엠보스의 거칠기(R)는 적층유리의 제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15 내지 70㎛범위, 또는 더욱 바람직하기는 20 내지 50㎛범위의 값으로 조정될 수 있다.
임계치(V/H)c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열가소성 수지의 종류와, 또한 수지의 점도 및 몰딩시 사용된 수지 온도등과 같은 요인에 따라 변한다. 제2도는 폴리비닐 부티랄을 사용하여 형성된 열가소성 수지에 대한 임계치(V/H)c와 몰딩 온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제2도는 임계치(V/H)c가 수지온도의 상승에 따라 증가함을 나타낸다. 따라서, 수지 온도가 높으면, 몰드 슬릿의 폭(H)은 상응하게 좁아지고/지거나 몰드 수지의 압출점도(V)는 상응하게 증가한다. 이런 방법으로,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시트의 제조시 V/H비의 값은 임계치(V/H)c를 초과하며 바람직하기는 상기한 임계치(V/H)c를 1.4배 초과하지 않거나, 더욱 바람직하기는 상기한 임계치(V/H)c를 1.2배 초과하지 않는다.
제3도는 가소된 폴리비닐 부틸랄의 수지온도, V/H비 및 시트 표면에 형성된 엠보스의 거칠기(R)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제3도에 있어서 는 시트 표면의 파상엠보스 형태를 나타내고, 반면에 는 불규칙엠보스 형태를 나타내고, 는 파상 및 불규칙형태의 혼합물을 나타낸다. 제3도에 있어서 데이터는 통상, 시트가 150 내지 220oC의 온도 범위에서의 가소된 폴리비닐 부티랄로부터 형성되고, 임계치(V/H)가 존재하고 또한 거칠기(R)의 소망하는 수준으로 엠보싱된 V/H비의 값이 존재할 때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시트를 규정된 온도에서 몰드의 슬릿으로부터 용융수지의 압출에 의해 형성시킬 경우, 수개의 시트가 V/H비의 여러 값으로 제조되며, 이와같이 얻어진 시트의 각 표면에 엠보스의 거칠기(R)를 측정한다. 그리고, 거칠기(R)의 최소치는 이 거칠기가 감소된 후 다시 증가될 때의 값을 관찰하여 정하고, V/H비의 값[즉, 임계치(V/H)c]의 측정된 거칠기(R)의 최소치에 상응한다. 만약, 열가소성수지가 이 방법으로 측정된 임계치(V/H)c를 초과하는 V/H비의 값에서 몰드의 슬릿으로부터 압출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소망하는 형태의 엠보스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가 얻어진다. 역으로, V/H비가 고정되면, 수지온도는 변화되어 임계치(V/H)c는 이 고정된 V/H 값보다 더 작게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열가소성 수지의 종류로서는 시트의 표면에 형성된 엠보스의 거칠기(R)가 감소되어 시트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몰드내의 슬릿의 폭(H)에 대한 용융수지의 압출속도(V)의 비(V/H)가 점차 증가되어 형성되는 특성을 갖는 소정의 열가소성 수지, 즉 임계비(V/H)c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비닐 부티랄과 같은 비닐 아세탈 수지 또는 다른 유사한 수지가 본 목적에 적합하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종래의 기술에서 요구되는 것돠 같은 몰드 슬릿의 냉각이 필요하지 않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통상의 일반적인 목적의 압출 몰드를 사용하고 용융수지의 압출속도와 슬릿의 폭과 같은 관련 파라메타를 적합하게 조정함으로써 소망하는 형태의 엠보스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폴리비닐 부티랄 또는 유사한 점착수지를 몰드의 슬릿을 통해 압출할 경우, 수지는 몰드립의 구멍부분에 점착하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수지가 점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면 일본국 실용신앙 공고 제61-36349호에 게시된 바와 같이, 냉각관을 립의 가장자리 부분내에 삽입하여 이들관에 의해 압출된 시트를 냉각시킬 수 있다. 시트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한 엠보스의 형태 및 거칠기(R)는 이 냉각법에 의해 영향받지 않는다.
또한, 립의 가장자리에 수지의 점착을 방지하기 위해, 시트를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몰드를 사용하여 바람직하게 제조할 수 있다. 몰드(1)는 한쌍의 립(3과3')사이에 형성된 슬릿(3a)을 제공한다. 슬릿(3a)의 폭(H)은 조정 스크류(4)의 수단에 의해 조정된다. 수지 유로(2)는 몰드(1)내에 배치된다. 부호 5는 분기관이다.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 유로(2)에 인접하는 측면의각 립(3 또는 3')의 단부면(31)은 립의 외부면(32)에 거의 90o의 각도를 이룬다. 이 각이 실질적으로 90o을 초과하면, 슬릿(3a)으로부터 압출된 용융수지는 립의 표면 코너(33)과 외부면(32)에 접착하는 경향이 있고, 그에 따라 립 찌꺼기가 형성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각이 실질적으로 90o미만이면, 슬릿(3a)으로부터 압출된 용융수지는 립의 외측면에 접촉하는 기회가 감소된다. 그러나, 몰드(1)가 하부 방향으로 수지를 압출하도록 배열될 경우, 수지 유로(2)에 인접한 립(3)의 표면(31)에 점착한 립 찌꺼기는 중력하에 립 표면을 따라 아래로 흐르게 되고, 따라서 립 찌꺼기는 짧은 시간내에 열가소성 수지에 점착된다. 또한, 이 경우 립(3)의 가장자리의 기계적 강도가 감소되기 때문에 립(3)의 가장자리는 변형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립(3)의 수지유로(2)와 외부면(32)에 인접한 면(31)사이의 각(∝)은 바람직하기는 89.0o내지 91.0o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기는 89.7o내지 90.3o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기는 90o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립(3)의 수지유로(2)와 외부면(32)에 인접한 표면(31)의 교차부분에서의 모서리(33)가 라운드되지도 베벨되지도 않는다는 것은 립(3)의 수지유로(2)와 외측면(32)에 인접한 양표면(31)이 립(3)의 모서리까지 신장된 거의 편평한 면을 형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면의 신장에 대한 수지 유로(2)에 인접한 표면(31)의 평면부(31a)의 코너(33)측면의 가장자리로부터 거리(L)는, 바람직하기는 0.1mm를 초과하지 않거나, 더욱 바람직하기는 0.05mm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유사하게, 수지유로(2)에 인접한 면(31)의 신장에 대한 립(3)의 외부면(32)의 평면부(32a)의 코너(33)측면상의 가장자리로부터의 거리(M)는 바람직하기는 0.1mm를 초과하지 않거나, 더욱 바람직하기는 0.05mm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립(3)의 면(31과32)의 베벨링 또는 버핑에 의해 끝처리될 경우, 상기한 거리(L)는 0.2 내지 1.0mm가 된다. 치핑 또는 버어된 결함이 립(3)의 가장자리에 존재하면, 립 찌꺼기의 형성이 이들 결함부분에 집중되게 되어, 이들 치핑 또는 버어된 결함의 크기는 바람직하기는 상기한 거리(L)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립(3)의 표면(31과 32)의 거칠기는 특별한 제한을 전혀 받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한 립 찌꺼기의 형성에 대한 저해 효과를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이 거칠기는 바람직하기는 예를 들면 약 5㎛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상부 립(3')의 형태와 특성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하부 립(3)의 것과 동일하여야 한다.
실시예1 내지 8 및 비교예 1내지 4
편평한 시트를 상기한 제6도의 압출몰드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엠보스된 폴리비닐부티랄시트를 여러 수지온도, 여러 수지압출속도값(V)과 여러 슬릿의 폭 값(H)으로 압출몰드의 슬릿을 통해 폴리비닐 부티랄을 압출시켜 얻는다.
표1에 나타낸 V/H비의 값은 V를 계산하기 위한 상기한 일반식(1)을 사용하여 수지압출용적속도, 슬깃길이 및 슬릿폭의 실제 측정값으로부터 환산한다. 이와같이 얻어진 시트의 엠보스의 거칠기(R)는 ISO R468에 따라 측정하고, 주어진 값은 시트의 10군데에서 측정한 평균치이다. 임계치(V/H)c는 상기와 같이 얻어진 시트의 표면에 엠보스의 거칠기(R)와 V/H비와의 관계로부터 결정된다. 시트의 표면에 엠보스된 형태는 육안으로 관찰한다.
Figure kpo00001
실시예1내지 8에서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내며, 이는 V/H비의 값이 임계치(V/H)c를 초과하는 경우 얻어진 시트는 엠보스의 거칠기(R)가 적응유리의 중간층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또한, 이 엠보스의 형태는 불규칙형태인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9
가소된 폴리비닐 부티랄 시트를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평한 시트 압출몰드를 사용하여 압출하여 형성시킨다.
슬릿의 폭(H)은 0.1cm이고 압출속도(V)는 9.2cm/초이다. 수지 및 몰드(1)의 여러 지점에서의 온도는 열전쌍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수지유로(2)의 온도는(제6도의 부호 A로 표시된 지점에서) 191 C이다. 상부 립(3')의 지점, 즉 몰드에 있어서 립(3')의 외부 모서리로부터 계산하여 몰드내로 약 20mm 깊이(제6도에서 부호 B로 표시됨)에서의 온도는 182 C이고, 수지유로의 3mm 하측 및 립(3)의 외부 모서리로부터 계산하여 몰드내로 약 20mm깊이에 위치한(제6도에 부호 C로 나타냄)하부립의 지점에서의 온도는 186 C이다.
이와 같이 얻어진 시트상에 엠보스된 형태는 불규칙형태이고, 이들 엠보스의 거칠기(R)는 30㎛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트의 제조에 사용된 V/H비는 92이며, 이는 임계치 85(수지온도191 C에 대해) 보다 더 커서, 본 발명에 따라 명시된 조건을 만족한다.
실시예 10 내지 14
열가소성 수지 시트를, 표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 거리(L과 M)를 갖는 몰드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는다. 상기 시트의 찌꺼기는 상당한 시간동안 지속되며, 립은 수지의 찌꺼기가 립의 가장자리에 점착되기 시작될 때 세척하고, 각기 두 연속 세척 공정이전에 경과된 각 시간을 기록한다. 실시예 14에서 사용된 몰드의 베벨된 립에 대한 거리(L과 M)는 모두 0.2 내지 1.0mm의 범위이다. 상기한 립의 연속 세척 사이의 기록된 시간은 표2에 세척주기의 비로서 표시하였다. 표2에 나타낸 데이터는 몰드의 립상에 짧아진 거리(L과 M)가 립의 연속 세척 사이의 기간의 연장과 연관된다.
Figure kpo00002
본 발명은 당해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에 대해 자명한 것이며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을 이탈함이 없이 이들 변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따라서, 여기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상세한 설명에 한정시키려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균등물로서 취급할 수 있는 모든 특징을 위시하여, 본 발명에 내재하는 특허가능한 신규성의 모든 특징을 포괄하여 설정한 것이다.

Claims (5)

  1. 엠보스 표면을 가진 열가소성 수지 시트가 형성되도록, 압출몰드에 설치된 슬릿을 통해 압출속도(V)에서 용융된 열가소성 수지를 압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수지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슬릿의 폭(H)에 대한 압출속도(V)의 V/H비가 임계치(V/H)c를 초과할 수 있는 조건하에 압출몰드내의 슬릿으로부터 열가소성 수지를 압출하고, 상기 임계치(V/H)c는 V/H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조건하에 열가소성 수지 시트를 제조할 경우 엠보스의 거칠기가 초기에 감소후 증가하기 시작하는 시점에서 열가소성수지 시트의 거칠기의 최소치에 상응하는 몰드 슬릿의 폭에 대한 압출속도의 비인 열가소성 수지 시트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슬릿폭(H)에 대한 압출속도(V)의 V/H비가 임계치(V/H)c를 초과하는 범위내에 속하나 임계치(V/H)c의 1.4배를 초과하지 않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슬릿 폭(H)에 대한 압출속도(V)의 V/H비가 임계치(V/H)c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 속하나, 임계치(V/H)c의 1.2배는 초과하지 않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 부티랄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수지의 유로에 인접한 면과 압출몰드의 립의 단부의 외부면간의 각이 약 90°이고, 수지 유로에 인접한 면과 립의 외부면의 교차점에서의 코너는 라운드되거나 베벨되지 않는 방법.
KR1019900004314A 1989-03-31 1990-03-30 열가소성 수지 시트의 제조방법 KR01335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83315A JPH0829559B2 (ja) 1989-03-31 1989-03-31 押し出し成形用金型のリップ構造
JP1083316A JPH0735078B2 (ja) 1989-03-31 1989-03-31 エンボス加工された熱可塑性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
JP1-83315 1989-03-31
JP1-83316 1989-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118A KR900014118A (ko) 1990-10-22
KR0133519B1 true KR0133519B1 (ko) 1998-04-21

Family

ID=26424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4314A KR0133519B1 (ko) 1989-03-31 1990-03-30 열가소성 수지 시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151234A (ko)
EP (1) EP0390578B1 (ko)
KR (1) KR0133519B1 (ko)
AU (1) AU621471B2 (ko)
CA (1) CA2013383C (ko)
DE (1) DE69009270T2 (ko)
MX (1) MX1719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1778A (en) * 1990-03-30 1997-02-11 Solvay & Cie Process for producing a resin film based on a copolymer of ethylene and vinyl acetate
DE9015187U1 (ko) * 1990-11-05 1992-03-05 Roehm Gmbh, 6100 Darmstadt, De
US6077374A (en) * 1993-08-16 2000-06-20 Monsanto Method of preparing prelaminate using rough-surfaced interlayer
CA2309537A1 (en) 1997-12-19 1999-07-01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Interlayer structure for laminated glass
US6521675B1 (en) * 1998-09-03 2003-02-18 Bp Corporation North America Inc. Foamed polypropylene sheet having improved appearance and a foamable polypropylene composition therefor
DE60039250D1 (de) * 1999-07-01 2008-07-31 Sekisui Chemical Co Ltd Zwischenschicht für Verbundglas
WO2001072510A2 (en) * 2000-03-29 2001-10-04 E.I. Dupont De Nemours And Company Glass/polyvinylbutyral laminates having directional surface patterns and a process for preparing same
US20060263608A1 (en) * 2002-08-14 2006-11-23 Choi Chul W Glass/polyvinylbutyral laminates having directional surface patterns and a process for preparing same
WO2008085188A2 (en) * 2006-12-29 2008-07-1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and apparatus for reducing die drips and for controlling surface roughness during polymer extrusion
US8197928B2 (en) 2006-12-29 2012-06-1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Intrusion resistant safety glazings and solar cell modules
US20090242030A1 (en) * 2008-03-26 2009-10-0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High performance anti-spall laminate article
EP3127880A4 (en) * 2014-03-31 2017-09-20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76497A (en) * 1955-04-14 1959-03-10 Union Carbide Corp Process of melt extruding plastic film
US2904844A (en) * 1956-02-10 1959-09-22 Du Pont Process for embossing polyvinyl acetal sheets
BE559412A (ko) * 1957-02-28 1900-01-01
US2991508A (en) * 1959-09-23 1961-07-11 Du Pont Fabrication of thermoplastic resins
US3382535A (en) * 1965-04-16 1968-05-14 Western Electric Co Minimum length extrusion die
US3415796A (en) * 1966-03-24 1968-12-10 Rohm & Haas Extruded matte finish acrylic film
DE1779235C3 (de) * 1967-08-07 1974-09-26 Reifenhaeuser Kg, 5210 Troisdorf Breitschlitzdüse für Schneckenpressen zur Herstellung von profilierten thermoplastischen Kunststofffolien
US3574808A (en) * 1968-10-16 1971-04-13 Phillips Petroleum Co Method of forming patterned articles employing differential pressure
US3935359A (en) * 1972-06-23 1976-01-27 Rowland Development Corporation Retroreflective sheeting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ame
GB1441586A (en) * 1972-07-12 1976-07-07 Ici Ltd Method for reducing sharkskin on extruded polymeric material
US3994654A (en) * 1975-01-02 1976-11-30 Monsanto Company Die for extruding thermoplastic sheets
JPS5695637A (en) * 1979-12-29 1981-08-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Structure of die for extrusion molding
JPS5812743A (ja) * 1981-07-16 1983-01-24 Sumitomo Chem Co Ltd 合成樹脂押出成形用ダイス
US4485062A (en) * 1983-07-05 1984-11-2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extruding polymers
JPS60204643A (ja) * 1984-03-30 1985-10-16 Sekisui Chem Co Ltd 合せガラス用中間膜
JPS6161835A (ja) * 1984-08-31 1986-03-29 Sekisui Chem Co Ltd エンボス加工された熱可塑性樹脂シ−トの製造方法
US4575540A (en) * 1984-12-21 1986-03-11 Monsanto Company Polyvinyl butyral sheet roughness control
EP0185863B1 (de) * 1984-12-24 1989-05-03 Hüls Troisdorf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olien, insbesondere auf der Basis von Polyvinylbutyral mit geringer Oberflächenklebrigkeit
US4654179A (en) * 1985-07-02 1987-03-31 Monsanto Company Polyvinyl butyral sheet roughness control
US4808357A (en) * 1987-11-17 1989-02-28 Monsanto Company Process for forming shaped interlayer blanks
US4768939A (en) * 1987-11-17 1988-09-06 Monsanto Company Apparatus for forming shaped interlayer blan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90578B1 (en) 1994-06-01
DE69009270T2 (de) 1994-09-08
AU621471B2 (en) 1992-03-12
US5151234A (en) 1992-09-29
EP0390578A2 (en) 1990-10-03
MX171902B (es) 1993-11-23
DE69009270D1 (de) 1994-07-07
AU5228590A (en) 1990-10-04
CA2013383A1 (en) 1990-09-30
KR900014118A (ko) 1990-10-22
CA2013383C (en) 1994-10-25
EP0390578A3 (en) 1992-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3519B1 (ko) 열가소성 수지 시트의 제조방법
CA2168115C (en) Rough-surfaced interlayer
EP0270337B1 (en) Molding member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H0626852B2 (ja) デボス/多孔化熱可塑性フイルムのウエブの高速製造法
US4499040A (en) Production of stamped plastic sheet
CA2044085A1 (en) Extruded solid plastic sheet and film, method of producing same, and use
KR20050085651A (ko) 열처리된 고밀도 구조물
US761166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material during continuous vacuum forming
US3635614A (en) Apparatus for producing embossed plastic articles
US7691464B2 (en) Surface
GB2100660A (en) Stamped plastics sheet
US5833904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biaxially stretched films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process
AU620295B2 (en) Thermoformable polyaryletherketone/polyvinyl fluoride laminates
EP0297060A2 (en) A quiet adhesive tape and a method for its production
JPH04138238A (ja) エンボス加工された熱可塑性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
US3426421A (en) Method for making roll-type dies for continuously producing flat mats
JP3238742B2 (ja) シボ付き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3213163B2 (ja) 押出成型体の製造方法
CN216832331U (zh) 一种胶条结构
CN111873465A (zh) 一种一面形成压纹一面形成雾面的流延膜的成型工艺
JP2564178B2 (ja) 透孔付波状合成樹脂フィルム又はシート及びその製造法
JPS6255497B2 (ko)
JPH0735078B2 (ja) エンボス加工された熱可塑性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
JPS63242526A (ja) モ−ルデイングの製造方法
CN113320182A (zh) 一种胶条制备方法和胶条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2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