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6530B1 - 자동제빙장치의 급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제빙장치의 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6530B1
KR100196530B1 KR1019960014167A KR19960014167A KR100196530B1 KR 100196530 B1 KR100196530 B1 KR 100196530B1 KR 1019960014167 A KR1019960014167 A KR 1019960014167A KR 19960014167 A KR19960014167 A KR 19960014167A KR 100196530 B1 KR100196530 B1 KR 100196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lve
outlet
water supply
val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4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8312A (ko
Inventor
히데하루 하타나카
시게토시 미야모토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960038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8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6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65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2Means for sani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 Lift Valv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빙용기에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자동제빙장치의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빙접시로의 급수시에 저수탱크로부터 유출하는 물을 일단 정량저수기에 일정량 저장하고, 그후 정량저수기로부터 제비용기로 급수하는 구성의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에 있어서, 정량저수기, 그 출수구를 개페하는 밸브체에 물때가 부착하거나 미끈거림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정량저수기(37)에 저장된 일정량의 물을 제빙접시에 공급한 후, 다음의 급수가 실행될 때까지 밸브체(41)를 출수구(38)로부터 떨어져 상기 출수구(38)를 개방한 상태로 하기 때문에 정량저수기(37)에 부착되고 남은 물방울도 상기 주위면(4ld)의 경사를 따라 밸브체(41)로부터 흘러 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제빙장치의 급수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차낸 주요부의 평상시 상태의 종단측면도.
제2도는 저수탱크로부터 정량저수기로의 급수상태를 나타낸 제1도 상당도.
제3도는 정량저수기로의 급수완료상태를 나타낸 제1도 상당도.
제4도는 주요부의 확대종단면도.
제5도는 정량저수기의 분해사시도.
제6도는 고리형상 패킹의 부분확대 단면도.
제7도는 출수밸브기구의 밸브체의 분해사시도.
제8(a)도는 밸브조작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승강축부의 하한위치를 나타낸 개략구성도.
제8(b)도는 밸브조작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승강축부의 상한위치를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 제빙접시(제빙용기) 25 : 물받이용기
26 : 유출구 29 : 급수로
34 : 구멍부 37 : 정량저수기
38 : 물출부 39 : 출수밸브기구
40 : 밸브봉 41 : 밸브체
41d : 테이퍼형상의 주위면 42 : 상측 밸브봉
43 : 하측 밸브봉 45, 48 : 제1, 제2압축코일 스프링
49 : 패킹 50 : 고리형상의 패킹
50b : 고리형상의 돌기 50c : 고리형상의 핀(fin)부
52 : 스페이서 53 : 조임부재
54 : 캡 56 : 급수구
57 : 급수밸브기구 58 : 급수구
60 : 압축코일 스프링 62 : 오목부
64 : 케이스 65 : 승강축부
71 : 배수로 74 : 저빙케이스
본 발명은 제빙용기에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자동제빙장치의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에 있어서 이러한 급수장치의 종래구성을 제10도에 나타낸다. 이 급수장치는 냉장고(1)내의 플라스틱으로 만든 받침접시(2)에 모여진 물을 급수펌프(3)에 의해 제빙실(4)에 설치된 제빙용기인 제빙접시(5)에 공급하는 구성인 것으로, 물받이 접시(2)위에는 착탈가능하게 저수탱크(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저수탱크(6)는 급수밸브(7)에서 물받이 접시(2)에 대해 상기 물받이 접시(2)내의 하단개구를 막는 일정수위를 유지하도록 급수한다.
상기 물받이 접시(2)내는 통수구멍(9)을 가진 칸막이벽(10)에 따라 물받이실(11)과 정수량실(12)로 구분되어 있고 물받이실(11)내에는 저수탱크(6)의 급수구부(8)가 삽입되고 정수량실(12)에는 급수펌프(3)의 흡입구부(3a)가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급수펌프(3)가 기동하면 상기 급수펌프(3)가 정수량실(12)내의 물을 제빙용기(5)에 공급한다. 이 때 정수량실(12)의 수위는 차례로 저하해서 물받이실(11)과의 사이에서 수위차가 발생하지만 양실(11, 12)을 연통하고 있는 통수구멍(9)은 작은 직경으로, 급수펌프(3)에 의한 급수중에 물받이실(11)에서 통수구멍(9)을 통해 정수량실(12)내에 유입하는 물은 극히 적기 때문에 제빙접시(5)에는 정수량실(12)내에 저장된 일정량의 물이 공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급수장치에 있어서는 급수펌프(3)에 의한 급수중에 물받이실(11)로부터 통수구멍(9)을 통해 정수량실(12)내에 유입하는 물이 극히 소량으로 제한되어 있음을 전제로 해서 정량급수가 성립되어 있다. 그런데 통수구멍(9)의 직경은 물받이접시(2)의 성형 오차 등에 의해 불균일한 우려가 있고, 통수구멍(9)의 직경이 설계값보다 커지면 급수펌프(2)에 의한 급수중에 물받이실(11)로부터 정수량실(12)에 유입하는 수량이 불균일하고, 이 결과 제빙접시(5)로의 급수량이 제품마다 불균일 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최근 급수장치를 출수밸브기구를 구비한 정량저수기와, 이 정량저수기상에 배치되고 급수밸브기구를 구비한 저수탱크와, 출수밸브기구 및 급수밸브기구를 개폐조작하는 밸브조작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밸브조작장치에 의해 출수밸브기구를 닫아 급수밸브기구를 개방함으로써 저수 탱크로부터 일정량의 물을 정량저수기에 공급하고 그 후 급수밸브기구를 닫아서 출수밸브기구를 개방함으로써 정량저수기에 저장된 일정량의 물을 낙차에 의해 제빙접시에 공급하는 것이 고안되고 있다.
상기한 낙차식의 급수장치에 있어서 정량급수기로부터 제빙 접시에 급수한 후, 그 출수구를 닫은 상태가 유지하면, 물방울이 출수구 부분에 모이거나 물 때 등이 부착되거나 미끈거림이 발생한다. 또는 출수구 부근에 모인 물이 마르면 물에 포함되어 있던 미네랄분이 석출되고 이것이 출수구와 밸브 사이에 끼워져 밀봉이 손상되거나 물이 새는 원인이 된다.
이 정량저수기의 출수구와 밸브체와의 사이의 밀봉은 고리형상의 패킹(고리형상체라고도 한다)을 사용해서 실시한다. 이 고리형상의 패킹은 출수구측에 부착된다. 이 경우, 고리형상의 패킹의 부착은 예를 들면 너트에 의해 부착 고정함으로써 실행되지만 고리형상의 패킹은 그 조임에 따라 부서져 변형되기 때문에 원래의 성질을 잃어 버리기 쉽고, 밸브체에 접촉했을 때 국부적으로 간격이 발생해서 물이 새는 원인이 된다. 또한, 고리형상의 패킹이 두께가 허리가 강한 부분에서 밸브체에 접촉하는 것이면, 밸브체에 대한 친숙성이 낮기 때문에 국부적으로 간격을 발생하거나 물이 누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거나 한다.
한편, 출수밸브기구의 밸브체의 상면에는 개구부가 설치되고 이 개구부는 패킹에 의해 막힌다. 이것은 밸브조작장치의 승강축부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출수밸브기구의 밸브봉의 운동을 급수밸브기구의 밸브봉에 전달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다. 이 경우, 그 패킹이 밸브체의 외측에서 너트 등에 의해 부착되면 물이 모이기 쉬운 개소가 패킹과 너트와의 경계부로 움푹 들어가고 너트와 밸브체와의 경계부로의 오목부의 2개소에 존재해서 그 만큼 밸브체에 물 때 등이 많이 부착되거나 미끈거리기 쉽게 된다.
또한 밸브조작장치를 수납한 케이스의 배치공간을 작게 하기 위해서 상기 케이스를 오목부내에 배치하는 것이 고안되었다. 이 때 급수밸브기구 및 출수밸브기구의 밸브봉을 상하로 움직이게 하기 위한 승강축부는 급수로의 바닥부에 설치된 구멍부를 통해 상기 밸브봉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상기 급수로의 바닥부에 설치된 구멍부는 패킹에 의해 막혀지지만 어떤 이유로 그 구멍부에서 물이 새면, 그 물은 케이스상면의 떨이지고 케이스를 통과해서 오목부내로 들어간다. 그러면 오목부내에 물이 고이게되고 그 물이 케이스내에 침입해서 모터 등의 전장품이 젖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량 저수기의 내면에 부착해서 남겨진 물방울이 출수구부분에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출수구에 장착되는 고리형상체(고리형상의 패킹)와 밸브체와의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출수밸브기구의 밸브체의 상면개구부의 폐쇄용 패킹을 물방울이 부착해서 잔류할 우려가 적은 상태로 부착할 수 있고, 또한 밸브조작장치의 케이스가 배치되어 있는 오목부에 물이 고일 우려가 없는 가동제빙장치의 급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자동제빙장치의 급수장치는 냉동실에 설치된 제빙용기; 상기 냉동실의 상위에 위치하는 냉장실에 설치되며, 바닥부에 출수구를 가진 정량저수기; 상기 정량정수기의 출수구를 개폐하는 출수밸브기구;상기 정량 정수기 위에 배치되고 바닥부의 급수구에서 상기 정량저수기에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저수탱크; 상기 저수탱크의 급수구를 개폐하는 급수밸브기구; 상기 출수밸브기구 및 급수밸브기구를 구동하는 밸브조작장치를 구비하고, 밸브조작장치는 상기 출수구를 닫고 상기 급수구를 열어 상기 저수탱크로부터 상기 정량저수기에 일정량의 물을 공급한 후, 상기 급수구를 닫고 상기 출수구를 열어 상기 정량저수기에 모여진 일정량의 물을 급수구를 통해 상기 제빙용기에 공급하는 상기 출수밸브기구 및 급수밸브 기구를 구동하는 자동제빙장치의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수밸브기구는 아래쪽을 향해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형상의 밸브체; 상기 정량저수기의 출수구에 고착되며, 밸브시트인 단면 돌기형상의 고리형상 핀부를 갖는 고리형상 패킹을 구비하며, 상기 밸브조작장치에 의해 상기 밸브체가 상승했을 때에 상기 테이퍼형상의 밸브체가 상기 밸브시트인 고리형상 핀부와 접촉해서 상기 출수구를 밀접하게 닫고, 상기 밸브체가 하강했을 때에 상기 테이퍼형상의 밸브체가 상기 고리형상 핀부와 떨어져 상기 출수구를 열고, 평상시에는 이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출수밸브기구는 밸브체의 상면을 밀접하게 밀폐하는 유연성 패킹을 가지며, 상기 출수밸브기구의 밸브봉 및 상기 급수밸브기구의 밸브봉이 상기 유연성 패킹을 사이에 끼워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밸브조작장치는 상기 출수밸브기구의 밸브봉의 하단을 상하이동시키는 승강축부를 가지며, 상기 출수밸브기구의 밸브봉에 상기 테이퍼형상의 밸브체가 지지되며, 상기 밸브기구의 밸브봉에 연동하는 상기 급수밸브기구의 밸브봉에 의해 상기 급수구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급수장치에 의하면, 출수밸브기구는 아래쪽을 향해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형상의 밸브체와 상기 정량저수기의 출수구에 고착되며, 밸브시트인 단면 돌기형상의 고리형상 핀부를 갖는 고리형상 패킹을 구비하며, 상기 밸브조작장치에 의해 상기 밸브체가 상승했을 때에 상기 테이퍼형상의 밸브체가 상기 밸브시트인 고리형상 핀부와 접촉해서 이 고리형상 핀부가 휘어져 변형되어 상기 출수구를 밀접하게 닫는다. 또한, 상기 밸브체가 하강했을 때에 상기 테이퍼형상의 밸브체가 상기 고리형상 핀부와 떨어져 상기 출수구를 열고, 평상시에는 이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출수밸브기구의 밸브체는 주위면이 테이퍼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밸브체에 부착된 물방울은 주위면을 따라 흘러 낙하하게 된다. 출수밸브기구는 평상시는 열린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정량저수기에 물이 고인채로 유지되는 일이 없어 밸브체에 물때의 부착이나 미끈거림이 발생할 염려가 없으며 항상 청결한 얼음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냉장고의 자동제빙장치에 적용한 한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9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장고의 제빙실(21)내에는 플라스틱제의 제빙용기인 제빙접시(22)가 설치되고 이 제빙접시(22)에 모여진 물이 제빙실(21)에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 냉각되어 얼음이 된다. 한편, 상기 제빙실(21)위의 냉장실(23)내에는 플라스틱제의 탑재대(24)에 원형의 물받이 용기(2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물받이 용기(25)의 전측의 일부는 앞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빙실(21) 및 냉장실(23)의 전면은 도시하지 않은 문에 의해 개폐되게 되어 있다.
물받이 용기(25)는 일정량으로 계량된 물을 받아 제빙접시(22)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전측에 연장된 부위의 바닥부에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출구(2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출구(26)에는 제빙실(21)과 냉장실(23)과의 칸막이벽(27)을 관통하는 튜브(28)가 연결되어 있어서 물받이 용기(25)에 받아들인 물은 튜브(28)를 통해 제빙접시(22)에 주입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물받이 용기(25) 및 튜브(28)는 일정량의 계량된 물을 받아 제빙접시(22)에 공급하는 급수로(29)로써 기능한다. 또한, 제9도에 있어서, 30은 튜브(28)에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약하게 하고 제빙접시(22)로부터 물이 튀어 오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물의 세기를 완화하는 부재이다.
또한,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받이 용기(25)의 바닥부에 원형의 개구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31)에는 2중으로 된 통형상의 통체(32)가 아래쪽에서 삽입되어 있고, 상기 통체(32)는 그 상부에 나사 부착한 너트(33)에 의해 개구부(31)에 조여져 고정되어 있다. 상기 통체(32)의 내부 통부(32a)의 중공내부는 급수로(29)의 일부를 구성하는 물받이 용기(25)의 바닥부에 존재하는 구멍부(34)로 되어 있고, 이 구멍부(34)는 통체(32)와 너트(33)와의 사이에 ○링(35)을 통해 조여져 고정된 밀봉부재(36)의 의해 물이 새지않게 봉해져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물받이 용기(25)의 내부에는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된 원형의 정량저수기(37)가 수납되어 있다. 이 정량저수기(37)는 물받이 용기(25)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되어 있고 수납상태에서는 상부 외부둘레의 고리형상 리브(37a)가 물받이 용기(25)의 상부 개방구에 형성된 단부면(25a)에 받쳐져 지지되게 되어 있다.
상기 정량저수기(37)의 바닥부 중앙에는 출수구(38)가 형성되어 있고 이 출수구(38)는 출수밸브기구(39)에 의해 개폐된다. 출수밸브기구(39)는 밸브봉(40)과, 밸브체(41)를 주요 구성요소로 하는 것으로서, 밸브봉(40)은 하단부에 직경이 큰 플랜지부(42a)를 가지는 상측 밸브봉(42)과, 동일하게 하단부에 직경이 큰 플랜지부(43a)를 가지는 하측 밸브봉(43)으로 2분할되어 있다. 또한 밸브체(41)는 플라스틱 예를 들면 ABS수지에 의해 상하 양측이 모두 개방된 내부가 비어있는 원추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봉(42)은 제4도 및 제5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정량저수기(37)의 내부바닥면에 세워져 설치된 복수의 리브(37b)의 중앙 베어링부(37c)에 상하 움직임 가능하게 끼워지고 스톱링(44)에 의해 빠짐방지되어 있으며 이들 베이링부(37c)와 상측 밸브봉(42)의 플랜지부(42a)와의 사이에는 상측 밸브봉(42)을 아래쪽으로 힘을 가하는 제1압축코일 스프링(45)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하측 밸브봉(43)은 제4도 및 제7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밸브체(41)의 내측에 상기 밸브체(41)에 일체로 형성된 탄성부재(41a)에 탄성적으로 걸어 맞춤으로써 부착된 원형의 부착부재(46)에 상하 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스톱링(47)에 의해 빠짐방지되어 있고, 상기 부착부재(46)와 하측 밸브봉(43)의 플랜지부(43a)와의 사이에는 하측 밸브봉(43)에 대해 밸브체(41)를 위쪽으로 힘을 가하는 제2압축코일 스프링(48)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체(41)의 상면 개구부(41b)에는 상기 상면 개구부(41b)를 물이 새지않게 밀봉하기 위한 탄성재로 만든패킹(49)이 배치되어 있고, 이 패킹(49)의 하단주위 가장자리부는 밸브체(41)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면 개구부(41b)의 주위 가장가리부 하면과 부착부재(46)과의 사이에 조여져 고정되어 있다. 상기 부착부재(46)에는 물빠짐 구멍(46a)이 형성되어 있고, 이 물빠짐 구멍(46a)에 의해 패킹(49)의 내부가 아래쪽으로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합된 밸브체(41), 하측 밸브봉(43), 제2압축코일 스프링(48) 및 패킹(49)은 정량저수기(37)에 부착된 상측 밸브봉(42) 및 제1압축코일 스프링(45)과는 별도의 유니트로 구성되고 정량 저수기(37)와는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출수밸브기구(39)의 하측유니트는 밸브체(41)의 하부원통부(41c)를 급수로(29)의 돌출부인 상기 너트(33)의 외측에 끼워 맞춤으로써 물받이 용기 (25)측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가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장량저수기(37)는 출수밸브기구(39)의 하측유니트를 물받이 용기(25)측에 부착한 후, 상기 물받이 용기(25)내에 수납되게 되어 있고 이 수납상태에서는 제1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밸브봉(42)과 하측 밸브봉(43)이 패킹(49)을 끼워 맞닿게 하고, 제1압축코일 스프링(45)이 상측 밸브봉(42)을 통해서 하측 밸브봉(43)을 아래쪽으로 힘을 가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하측 밸브봉(43)이 제2압축코일 스프링(48)에 대항해서 위쪽으로 밀어 올려지면 밸브체(41)가 상승하기 때문에 이 밸브체(41)는 출수구(38)의 주위부에 부착된 고리형상의 패킹(고리형상체)(50)에 아래쪽으로부터 맞닿아 상기 출수구(38)를 닫고, 반대로 제1압축코일 스프링(45)이 가하는 힘에 의해 밀어 내리면 고리형상 패킹(50)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약간 떨어져 이동하여 출수구(38)를 열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고리형상의 패킹(50)의 부착구성에 대해 제4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고리형상의 패킹(50)은 예를 들면 실리콘고무제의 것으로,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부(50a)의 하면에 이것을 일주하는 고리형상의 돌기(50b)를 일체로 돌출 설치함과 동시에 링부(50a)의 하면 내부둘레측에 내측 아래쪽을 향해 돌출하는 단면 돌편상의 고리형상 핀부(50c)를 일체로 돌출 설치해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링부(50a)를 출수구(380의 주위부 하면에 형성된 고리형상의 홈(510에 끼우고 그 링부(50A)의 고리형상 돌기부(50b)의 아래에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얇은 두께의 스페이서(52)를 맞댄 상태에서 출수구(38)의 주위 벽부에 링형상의 조임부재(53)를 부착함으로써 링부(50a)를 출수구(38)의 주위 벽부와 조임부재(53)와의 사이에 부착해서 고정하고 있다. 이 경우 조임부재(53)는 출수구(38)의 주위벽부에 대하여 간단한 회전조작에 의해 부착할 수 있도록 나사 걸어맞춤 또는 바요네트(bayonet)걸어맞춤 등에 의해 부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밸브체(42)의 위쪽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밸브체(41)와 고리형상의 패킹(50)과는 접촉하지만 그 접하는 부분은 밸브체(41)에 있어서는 아래쪽을 향해 직경이 큰 테이퍼형상의 주위면(41d)이 되고 고리형상의 패킹(50)에서는 고리형상 핀부(50c)가 되어 양자가 전체 둘레에서 선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정량저수기(37)의 위에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재대(24)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저수탱크(5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저수탱크(54)의 바닥면부에는 통부(54a)가 아랫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이 통부(54a)에는 캡(55)이 나사부착 되어 있다. 이 캡(55)의 중앙부분은 경사면(55a)에 형성되고, 이 경상면(55a)에 급수구(56)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캡(55)의 하면에는 아래쪽에 돌출하는 짧은 치수의 대직경 링부(55b)가 형성되어 있다.
급수구(56)는 급수밸브기구(57)에 의해 개폐된다. 이 급수밸브기구(57)는 캡(55)에 부착된 지지틀(55c)의 중앙 베이링부(55d)에 상하 운동가능하게 지지된 밸브봉(58)과, 밸브봉(58)의 하단부에 부착된 구면형상의 밸브체(59)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봉(59)은 밸브체(59)와 베이링부(55d)와의 사이에 설치된 힘을 가하는 수단으로서의 압축코일 스프링(60)에 의해 아래쪽으로 힘으로 가하여 항상 급수구(56)를 닫고 있다. 또한 저수탱크(54)는 급수구(56)를 통해 외부와 연결되는 이외는 밀폐되어 있고 또한 저수탱크(54)내에는 정수필터(6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저수탱크(54)의 통부(54a)는 저수탱크(54)내를 청소할 때에 이용하기 위해서 상당히 큰 직경으로, 예를들면 상기 정량저수기(37)보다 직경이 크게 형상되어 있다. 따라서, 캡(55)도 정량정수기(37)의 상면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물받이 용기(25)의 상측 확대직경부(25b)내에 위치되어 정량정수기(37)의 상단과 약간의 간격으로 대향해 있고, 상기 정량저수기(37)의 상면을 막은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캡(55)의 대직경 링부(55b)는 정량저수기(37)의 내부직경 치수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고, 정량저수기(37)의 내부둘레면과의 사이에 간격이 약간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정량저수기(37)내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급수밸브기구(57)의 밸브봉(58)은 출수밸브기구(39)의 밸브봉(40)과 동일 축선상에 위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칸막이벽(27)에는 오목부(6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62)내에 출수밸브기구(39) 및 급수밸브기구(57)를 개폐 조작하는 밸브 조작장치(63)가 배치되어 있다. 이 밸브조작장치(63)는 케이스(64)에 상하 운동가능하게 지지된 조작부로서의 승강축부(65) 및 제8도에 나타낸 모터(66), 이 모터(66)의 회전운동을 승강축부(65)의 상하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수단으로서 캠기구(67)를 구비하고 있다. 이 캠기구(67)는 모터(66)에 의해 감속기구(68)를 통해 회전구동되는 캠축(69)에 캠판(70)을 부착해서 구성되고 이 캠판(70)의 캠면인 상면은 요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축부(65)의 하단이 이 캠판(70)의 상면에 접촉하고 있고, 승강축부(65)는 캠판(70)의 1회전에 의해 1회 왕복한다.
상기 승강축부(65)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64)의 상면에 일체로 돌출 설치된 베어링 통(64a)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고, 그 돌출단부에 우산형상부(65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우산형상부(65a)는 상기 통체(32)의 내부통부(32a)내(구멍부(34))에 위치하고 상기 출수밸브기구(39)의 하측 밸브봉(43)에 시일부재(36)를 통해 맞닿아 있다. 또한 케이스(64)의 상면에는 통체(32)의 내부 통부(32a)의 하단부를 외측의 3방향에서 둘러싸도록 제방벽(64b)이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 제방벽(64b)에 의해 둘러싸인 부위는 배수로(71)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배수로 (71)의 일단측은 케이스(64)의 외측에 돌출되어 오목부(62)의 외측, 즉 냉장실(23)의 바닥면(23a)까지 연장되어 있다. 냉장실(23)의 바닥면(23a)에는 오목부(62)를 둘러싼 물차단벽(23b)이 돌출 설치되어 있고 물이 바닥면(23a)측에서 오목부(62)내에 침입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9도에 있어서, 72는 저수탱크(54)가 탑재대(24)에 얹어진 것을 레버(73)를 통해 검출하는 스위치, 74는 제빙접시(22)가 비틀어짐으로써 상기 제빙접시(22)로부터 낙하하는 얼음을 저장하기 위한 저빙케이스, 75는 저빙케이스(74)의 저빙량을 검출하기 위한 레버이다. 또한 제1도에 있어서, 76은 물받이 용기(25) 바닥부를 가열하는 히터, 77은 유출구(26)부분을 가열하는 히터이다.
그리고 상기 승강축부(65)는 항상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운동 범위의 최하위치에서 정지한 상태에 있다. 이 때 출수밸브기구(39)의 상하 양 밸브(42,43)도 제1압축코일 스프링(45)의 탄발력에 의해 하한위치로 밀어 눌려진 위치에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 있어서 출수밸브기구(39)의 밸브체(41)는 고리형상의 패킹(50)에서 떨어져 출수구(38)를 개방하고 있고 또한 급수밸브기구(57)의 밸브체(59)는 압축코일 스프링(60)의 탄발력에 의해 눌려져 급수구(56)를 닫고 있다. 또한 출수밸브기구(39)의 상측 밸브봉(42)과 하측 밸브봉(43)과는 동일한 상하동작을 실시하기 때문에 이하 특히 별도로 설명할 필요가 있을 경우를 제외하고 밸브봉(40)으로서 설명한다.
제빙접시(22)로의 급수는 제8도에 나타낸 캠판(70)(캠축(69))이 1회전함으로써 실행되게 되어 있고 그 캠판(70)의 1회전에 의해 승강축부(6)가 일회 왕복하고 출수밸브기구(39) 및 급수밸브기구(57)를 개폐한다. 이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승강축부(65)는 일반적으로 하한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는 곳에서 승강축부(65)는 캠판(70)의 회전에 따라 우선제8(a)도에 나타낸 하한위치에서 제8(b)도에 나타낸 상한위치까지 상승하고 이 상한위치에 상승한 스스로를 잠시 유지한 후, 상한위치에서 하한위치까지 하강하고 여기서 정지한다. 그리고 캠판(70)의 일회전을 검출하기 위해서 캠판(70)에는 마그네트(78)가 부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케이스(64)측에는 홀IC(79)가 설치되고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는 홀IC(79)가 자기검출동작을 함으로써 캠판(70)이 1회전 한 것을 검출해서 모터(66)를 단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캠판(67)이 1회전하는 경우의 승강축부(65)의 상하동작을 출수밸브기구(38) 및 급수밸브기구(57)의 개폐와 관련지어 설명한다.
우선, 승강축부(65)가 하한위치에 있을 때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수밸브기구(39)의 밸브체(41)는 정량저수기(37)의 출수구(38)를 열고 있고 급수밸브기구(57)의 밸브체(57)는 급수구(56)를 닫고 있다. 승강축부(65)가 하한위치에서 상한위치까지 상승하기 시작하면 출수밸브기구(39)의 밸브봉(40)이 제1압축코일스프링(45)을 밀어 압축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 때 밸브봉(40)은 출수밸브기구(39)의 밸브체(41)를 제2압축코일 스프링(48)를 통해 밀어올리면서 상승하기 때문에 밸브봉(40)의 상승도중에서 밸브체(41)가 그 테이퍼형상의 주위면(41d)을 고리형상의 패킹(50)의 고리형상 핀부(50c)에 맞닿게 해서 출수구(38)를 닫는다.
이 후, 밸브체(41)는 테이퍼형상의 주위면(41d )을 고리형상의 패킹(50)에 맞닿게 한 위치에서 정지하기 때문에 밸브봉(40)은 정지상태에 있는 밸브체(41)에 대해 미끄러지면서 상승한다. 따라서 특히 밸브체(41)는 밸브봉(40)의 상승에 따라 제2압축코일 스프링(48)이 차례로 압축됨으로써 점차 강하게 고리형상 패킹(50)에 부착되게 되고 출수구(38)에 대한 시일이 보다 확실하게 된다. 그리고 출수밸브기구(39)의 밸브봉(40)이 소정이 높이 위치까지 밀어 올려지면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봉(40)이 급수밸브기구(57)의 밸브봉(58)에 맞닿아 이것을 압축코일 스프링(58)에 가하는 힘에 대항해서 밀어 올려지기 때문에 밸브체(59)가 급수구(56)를 연다.
승강축부(65)가 상한위치에 도달한 후, 하한동작으로 바뀌면 출수밸브기구(39) 및 급수밸브기구(57)의 밸브봉(40,43,58)이 압축코일 스프링(45,48,60)의 탄발력에 의해 밀려 내려가고, 우선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수 밸브기구(57)의 밸브체(59)가 급수구(56)를 닫는다. 이 때 출수밸브기구(39)의 밸브체(41)는 밸브봉(40)의 하강에도 불구하고 제2압축코일 스프링(48)에 의해 위쪽으로 힘이 가해져 고리형상의 패킹(50)에 밀어 붙여져 있기 때문에 출수구(38)는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이 후의 승강축부(65)의 하강에 의해 출수밸브기구(39)의 밸브봉(40)이 급수밸브기구(57)의 밸브봉(58)에서 떨어지고 상기 밸브봉(40)이 다시 하강하면, 하측 밸브봉(43)의 스톱링(47)이 부착부재(46)에 맞닿기 때문에 제2압축코 및 스프링(48)의 탄발력은 스톱링(47)에 가해지게 된다. 그러면 밸브봉(40)이 제1압축코일 스프링(45)이 가하는 힘에 의해 밸브체(41)와 일체적으로 아래쪽을 향해 이동되기 때문에 밸브체(41)가 제1압축코일 스프링이 가하는 힘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되어서 고리형상의 패킹(50)의 고리형상 핀부(50c)로부터 아래쪽으로 분리되어 출수구(38)를 다시 개방한다. 그리고 승강축부(65)가 하한위치까지 하강하면 밸브체(41)가 다시 하강해서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수구(38)를 전체개방 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서 승강축부(65)는 정지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한 자동급수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빙접시(22)에서의 제빙이 완료하고, 상기 제빙접시(22)가 상하반전되어 얼음이 저빙케이스(74)에 낙하 저장된 후, 원래 상태로 돌아오면, 제빙접시(22)로의 급수를 실시하기 위하여 모터(66)가 통전된다. 그러면 우선 승강축부(65)가 하한위치에서 상항위치까지 상승함으로써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수밸브기구(39)의 밸브체(41)가 정량저수기(37)의 출수구(38)를 닫는 상태에서 급수밸브기구(57)의 밸브체(59)가 저수탱크(54)의 급수구(56)를 개방한다. 이것에 의해 저수탱크(54)내의 물이 급수구(56)를 통해 정량저수기(37)내에 유출하고 상기 정량저수기(37)내에 물이 저장되게 된다.
이 때 급수구(56)는 경사면(55a)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개구 주위 가장자리부의 높이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밸브체(59)와 급수구(56)의 주위가장자리와의 사이에서 표면장력에 의해 발생하는 수막이 조기에 (밸브체(59)의 소폭의 상승량으로 )차단되고, 급수탱크(54)로부터의 물의 유출이 조기에 실시되게 된다. 이 때문에 밸브체(59)의 상승 스트로크, 나아가서는 승강축부(65)의 상승 스트로크를 짧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급수구(56)로부터의 물의 유출에 따라 정량저수기(37)내의 수위가 상승하고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수면에 의해 급수구(56)부분의 하단부인 큰 직경의 링부(55b)의 하단개구가 막혀지게 되면, 급수구(56)로부터의 물의 유출이 정지된다. 이 때 큰 직경의 링부(55b)는 항상 일정한 높이위치에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정량저수기(37)에는 항상 일정한 수위 바뀌말하면 일정량의 물이 저장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해서 정량저수기(37)내에 일정량의 물이 모이면 그 후 승강축부(65)가 상한위치에서 하한위치까지 하강하게 되고 이 승강축부(65)의 하강에 따라 우선 급수밸브기구(57)의 밸브체(59)가 저수탱크(54)의 급수구(56)를 닫고 (제3도 참조), 그 후 출수밸브기구(39)의 밸브체(41)가 정량저수기(37)의 고리형상 패킹(50)으로부터 분리되어 출수구(38)를 개방상태로 한다. 그러면 정량저수기(37)내에 저장된 물이 출수구(38)에서 물받이 용기(25)로 유출되고, 낙차에 의해 유출구(26)에서 튜브(28)를 통해 제빙접시(22)내에 공급된다. 승강축부(65)는 하한위치까지 하강하면 여기서 정지해서 출수밸브기구(39)의 밸브체(41)가 출수구(38)를 개방 상태로 한다. (제1도 참조).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큰 직경의 링부(55b)내의 물도 포함하여 정량저수기(37)에 저장된 일정량의 물만이 제빙접시(22)에 공급된다. 이 때 제10도에 나타낸 종래구성의 것, 즉 통수구멍(9)을 통해 물받이실(11)에 연통된 정수량실(12)내의 물을 급수펌프(3)에 의해 제빙접시(5)에 공급하는 구성과는 다르고, 제빙접시(22)로의 급수시에 정량저수기(37)내에 다른 쪽에서 물이 유일할 우려가 없기 때문에 항상 일정량의 물을 제빙접시(22)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정밀도가 좋은 정량급수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출수밸브기구(39)는 항상 출수구(38)를 개방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정량 저수기(37)의 내면이나 밸브체(41)의 표면에 물 때 등이 부착할 우려가 없다. 즉, 밸브체(41)가 제빙접시(22)로의 급수후, 출수구(38)를 닫은 상태가 되면 정량저수기(37)의 내면에 부착해서 남은 물방울이 정량저수기(37)의 최하 바닥부인 고리형상의 패킹(50) 둘레에 떨어져 고이게 되어 고리형상의 패킹(50)의 고리형상 핀부(50c)나 밸브체(41)의 테이퍼형상 주위면(41d) 표면에 물때가 부착하거나 미끈거리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출수밸브기구(39)의 밸브체(41)는 제빙접시(22)로의 급수종료로부터 다음의 급수가 실행될 때까지는 출수구(38)를 열어놓은 상태로기 때문에 정량저수기(37)의 내면에 부착해서 남은 물방울은 출수구(38)에서 떨어져 상기 출수구(38)부분에 고이지 않고 정량저수기(37)의 내면이나 밸브체(41)의 표면에 물때가 부착하거나 미끈거림의 원인이 될 우려가 없다.
또한, 출수구(38)가 개방됨으로써 냉장실(23)내에 공급된 냉기가 정량저수기(37)내를 흐르게 되기 때문에 그 냉기에 방치되어 물발울이 증발하게 되고 물때의 부착이나 미끈거림의 방지로서 효과적이다. 그리고, 이 물방울의 증발에 의해 미네랄분이 석출하는 경우가 있어도 그 석출개소는 고리형상의 패킹(50)의 고리형상 핀부(50c)인 경우는 드물고, 대부분은 고리형상 핀부(50c)와는 다른 부분이 되기 때문에 시일효과가 손상되는 일은 없다.
또한 밸브체(41)의 주위면(41d)이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체(41)의 표면에 부착한 물방물도 그 테이퍼형상의 주위면(41d) 경사를 따라 자연스럽게 밸브체(41)로부터 흘러 떨어지게 되기 때문에 밸브체(41)에 물방울이 부착한 채로 남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고리형상 핀부(51c)가 접하는 주위면(41d)으로의 물때나 미네랄분의 부착, 미끄럼발생 등의 방지에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물방울을 밸브체(41)의 테이퍼형상의 주위면(41d)에서 흘러 떨어지게 하려면 테이퍼 주위면(41d)의 경사각 θ(제4도 참조)는 60°이상이 바람직하다.
한편, 출수구(38)가 닫혔을 때 고리형상의 패킹(50)은 그 고리형상 핀부(50c)를 밸브체(41)에 접촉시킴으로써 출수구(38)와 밸브체(41)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시일성이 향상한다. 즉, 고리형상 패킹(50)에 고리형상의 핀부(50c)가 없고 밸브체(41)가 링부(50a)에 접함으로써 시일성을 확보하는 구성의 것으로는 링부(50a)의 두께판으로는 탄성변형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밸브체(41)에 대한 친숙성이 손상되게 된다. 그러면 고리형상의 패킹(50)과 밸브체(41)와의 사이에 국부적으로 아주 작은 간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물이 새는 원인이 된다. 그러나, 고리형상 핀부(50c)는 돌편형상으로 두께가 비교적 얇고 탄성변형성이 풍부하기 때문에 밸브체(41)의 테이퍼형상 주위면(41d)에 잘 어울리게 되어 간격이 발생하지 않고 물이 샐 우려가 없다.
또한, 제방접시(22)로의 급수후, 다음의 급수가 개시될 때까지 밸브체(41)가 출수구(38)를 담은 상태가 유지하는 것과는 달리 고리형상의 패킹(50)이 밸브체(41)로부터 장시간 압력을 받은 상태가 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고리형상 패킹(50)의 고리형상 핀부(50c)의 탄성력을 잃어버리지 않는다. 따라서 고리형상의 핀부(50c)가 장기간에 걸쳐 양호하게 밸브체(41)의 테이퍼형상의 주위면(41d)에 탄성적으로 접해 시일성을 유지한다.
또한, 고리형상 패킹(50)은 조임부재(53)에 의해 출수구(38)의 주위 벽부에 장착되지만 이 때 이들 고리형상의 패킹(50)과 조임부재(53)와의 사이의 시일이 양호하게 실시되지 않으면 양자간의 간격으로부터 물이 새어 나올 우려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시일을 실시하기 위해서 고리형상 패킹(50)의 링부(50a)의 하면에 고리형상 돌기(50b)를 돌출 설치하고 조임부재(53)의 조이는 힘에 의해 이 고리형상 돌기(50b)를 단단히 눌러 상기 고리형상의 돌기(50b)가 조임부재 (53)에 조밀하게 접촉하도록 했기 때문에 링부(50a)에 과대한 조임력이 작용하지 않고, 링부(50a)가 눌려 부서지는 일이 없다. 따라서 고리형상의 돌기(50b)가 없고 조임부재(53)를 링부(50a)에 직접 압력을 가해 접속시킴으로써 양자간의 시일성을 확보하는 구성은 링부(50a)가 과도하게 밀려 부서지고, 그 결과 링부(50a)가 변형해서 고리형상 핀부(50c)의 타원성이 손상되고 고리형상 핀부(50c)와 밸브체(41)와의 시일성이 손상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불합리한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에서는 고리형상 패킹(50)의 고리형상 돌기(50b)와 조임부재(53)와의 사이에 스페이서(52)를 사이에 두었기 때문에 조임부재(53)의 회전에 의해 조일 때 고리형상 핀부(50c)의 탄원성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스페이서(52)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고리형상 패킹(50)이 우레탄고무제로 마찰계수가 큼으로써 조임부재(53)를 회전조작해서 조일 때 링부(50a)가 비틀어져 주름이 생기고 그 타원성을 잃어버리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에서는 스페이서(52)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로 탄력성이 강하고 마모계수도 작기 때문에 조임부재(53)가 스페이서(52)에 대해 미끄러지게 되고, 그 결과, 링부(50a)가 비틀어져 주름이 생기는 문제점은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고리형상 핀부(50c)는 양호한 타원성을 유지해서 밸브체(41)의 테이퍼형상 주위면(41d)에 대해 간격없이 접촉하게 되고 양호한 시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41)의 상면 개구부(41b)를 개폐하는 패킹(49)을 밸브체(41)의 내측에 있어서 부착부재(46)에 의해 고정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밸브체(41)로의 패킹(49)의 부착에 의해 물이 부착할 가능성이 있는 부분이 밸브체(41)와 패킹(49)과의 경계부의 한 개소만 된다. 이에 대해 패킹(49)을 밸브체(41)의 외측에서 너트 등을 사용해서 조여 고정하는 구성한 것은 물방울이 부착되는 개소가 증가해서 부착수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물때의 부착량이 많아 지거나 미끈거림이 발생하기 쉽게 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물방울 부착개소가 감소하기 때문에 물때가 부착해도 그 양은 적고 잘 미끈거리지도 않게 된다.
또한 부착부재(46)에는 물빠짐 구멍(46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만일, 패킹(49)이 부서져 그곳에서 밸브체(41)내로 물이 침입해도 그 물을 물빠짐 구멍(46a)에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밸브체(41)내에 물이 고이게 되고, 그 물이 히터(76, 77)가 고장난 경우, 냉장실(23)내에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 차가워져 빙결되는 문제점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급수로(29)의 바닥부의 개구부인 통체(32)의 구멍부(34)의 시일부재(36)가 부서지면 그곳에서 물이 침입해서 밸브조작장치(63)의 케이스(64)상에 낙하하지만 그 물이 케이스(64)의 배수로(71)에 모여져 냉장실(23)의 내부바닥면(23a)에 배출된다. 이 때문에 케이스(64)내의 모터(66)등의 전기부품에 물이 부착해서 절연성이 저하한다는 문제점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승강축부(65)의 우산형상부(65a)와 구멍부(34)의 내부둘레면과의 사이의 간격이 소정면적 이하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시일부재(36)가 부서져 물이 구멍부(34)로부터 새어나오는 경우, 한꺼번에 다량의 물이 새어나오지 않고 조금씩 새어나오도록 제한되게 된다. 따라서 배수로(71)의 배수능력을 상회하는 다량의 물이 구멍부(34)로부터 새어나와 제방벽(64b)으로부터 넘쳐 흐러서 오목부(62)내에 모일 우려가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빙장치의 급수장치에서는 정량저수기의 출수구를 항상 개방한 상태에서 유지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빙용기로의 급수시에 정량저수기의 내면에 물방울이 되어 잔류한 물은 그 후 출수구로부터 자연스럽게 빠져 나가기 때문에 정량저수기의 내면과 출수구를 개폐하는 밸브체에 물때가 부착하거나 미끈거림이 발생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고리형상체(고리형상의 패킹)의 고리형상 핀부를 다면 돌편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고리형상 핀부는 휘어져 변형되기 쉽고 출수구 밸브기구의 밸브체의 외면에서 자유롭게 휘어지게 되기 때문에 출수구의 개폐시에 상기 출수구와 밸브체와의 사이를 양호하게 시일할 수 있다.
고리형상의 패킹에 고리형상의 돌기를 돌출 설치함으로써 조임부재에 의해 고리형상 패킹이 조여지면 고리형상의 돌기가 고리형상 패킹과 조임부재와의 사이를 시일하기 때문에 고리형상 패킹의 변형은 고리형상 돌기부분에 고정되게 되어 고리형상 패킹전체가 변형해서 타원성이 손상될 우려가 없고 밸브체와의 시일성이 손상되는 일이 없다.
출수밸브기구의 밸브체의 상면 개구부를 밀봉하는 패킹을 상기 밸브체의 내측에서 부착부재에 의해 고정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물방울이 모인 개소는 패킹과 밸브체와의 경계부만으로 되기 때문에 물때의 부착이나 미끈거림의 발생정도를 작게 할 수 있다.
출수밸브기구의 밸브체의 상면기구부를 밀봉하는 패킹의 부축부재에 물빠짐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어떠한 원인으로 물이 밸브체내에 침입해도 그 물을 물빠짐 구멍에서 배출할 수 있다.

Claims (3)

  1. 냉동실에 설치된 제빙용기; 상기 냉동실의 상위에 위치하는 냉장시에 설치되며, 바닥부에 출수구를 가진 정량저수기; 상기 정량저수기의 출수구를 개폐하는 출수밸브기구; 상기 정량저수기 위에 배치되고 바닥부의 급수구에서 상기 정량저수기에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저수탱크; 상기 저수탱크의 급수구를 개폐하는 급수밸브기구; 상기 출수밸브기구 및 급수 밸브기구를 구동하는 밸브조작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조작장치는 상기 출수구를 닫고 상기 급수구를 열어 상기 저수탱크로부터 상기 정량저수기에 모여진 일정량의 물을 급수로를 통해 상기 제빙용기에 공급하는 상기 출수밸브기구 및 급수밸브기구를 구동하는 자동제빙장치의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수밸브기구는 아래쪽을 향해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형상의 밸브체; 상기 정량저수기의 출수구에 고착되며, 밸브시트인 단면 돌기형상의 고리형상 핀부를 갖는 고리형상 패킹을 구비하며, 상기 밸브조작장치에 의해 상기 밸브체가 상승했을 때에 상기 테이퍼형상의 밸브체가 상기 밸브시트인 고리형상 핀부와 접촉해서 상기 출수구를 밀접하게 닫고, 상기 밸브체가 하강했을 때에 상기 테이퍼형상의 밸브체가 상기 고리형상 핀부와 떨어져 상기 출수구를 열고, 평상시에는 이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출수밸브기구는 밸브체의 상면을 밀접하게 밀폐하는 유연성 패킹을 가지며, 상기 출수밸브기구의 밸브봉 및 상기 급수밸브기구의 밸브봉이 상기 유연성 패킹을 사이에 끼워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밸브조작장치는 상기 출수밸브기구의 밸브봉의 하단을 상하이동시키는 승강축구를 가지며, 상기 출수밸브기구의 밸브봉에 상기 테이퍼형상의 밸브체가 지지되며, 상기 출수밸브기구의 밸브봉에 연동하는 상기 급수밸브기구의 밸브봉에 의해 상기 급수구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장치의 급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상 패킹은 전체 둘레에 고리형상 돌기를 가지며, 이 고리형상 돌기를 누르도록 고리형상 조임부재에 의해 상기 출수구에 조여 고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장치의 급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패킹은 그 주위부가 상기 밸브체의 내면과 이 밸브체의 내측에 부착되는 부착부재와의 사이에서 조임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부착부재에는 물빠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장치의 급수장치.
KR1019960014167A 1995-04-24 1996-04-24 자동제빙장치의 급수장치 KR1001965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9847895A JP3198231B2 (ja) 1995-04-24 1995-04-24 自動製氷装置の給水装置
JP95-098478 1995-04-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312A KR960038312A (ko) 1996-11-21
KR100196530B1 true KR100196530B1 (ko) 1999-06-15

Family

ID=14220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4167A KR100196530B1 (ko) 1995-04-24 1996-04-24 자동제빙장치의 급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198231B2 (ko)
KR (1) KR100196530B1 (ko)
CN (1) CN1077273C (ko)
TW (1) TW38069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081U (ko) 2019-03-15 2020-09-23 윤경노 난간용 방음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05991B2 (ja) * 2007-07-31 2012-12-26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KR101370250B1 (ko) * 2012-05-17 2014-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아이스 메이커
CN106802041B (zh) * 2016-12-27 2018-03-13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制冰机
CN106766457B (zh) * 2016-12-27 2018-04-20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制冰机
CN109708351A (zh) * 2018-11-23 2019-05-03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注水系统、制冰机及冰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081U (ko) 2019-03-15 2020-09-23 윤경노 난간용 방음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98231B2 (ja) 2001-08-13
KR960038312A (ko) 1996-11-21
TW380695U (en) 2000-01-21
CN1077273C (zh) 2002-01-02
CN1160174A (zh) 1997-09-24
JPH08296934A (ja) 1996-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4544A (en) Push up dispenser with capsule valve
KR0160414B1 (ko) 냉장고의 자동음료 보충장치
JPH07218069A (ja) 自動製氷装置の給水装置
KR101651260B1 (ko) 유체 전달 시스템
KR20070043929A (ko) 액체 디스펜싱 밸브
JPH09189471A (ja) 冷蔵庫用飲料供給装置
KR19980028278A (ko)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급수장치
KR100196530B1 (ko) 자동제빙장치의 급수장치
WO2008024933A2 (en) Air pressure brewer
GB2118700A (en) Ice cube maker for a refrigerator
US6435377B1 (en) Frozen dessert dispenser
KR0150859B1 (ko) 자동 제빙 장치의 급수 장치
JP3207274B2 (ja) 自動製氷装置の給水装置
KR0150858B1 (ko)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
KR100213400B1 (ko) 밸브 장치
CN1146004A (zh) 冰箱用水分配器
KR102084981B1 (ko) 드럼식 제빙기
KR100191301B1 (ko) 자동제빙장치의 급수장치
JPH11304323A (ja) 自動製氷機の給水装置
CN219511122U (zh) 饮水机组件及具有其的冰箱
JPH06273019A (ja) 自動製氷装置の給水装置
JP2898539B2 (ja) 自動製氷装置の給水装置
KR102170602B1 (ko) 제빙기
CN115900207A (zh) 饮水机组件及具有其的冰箱
JPH0842951A (ja) 自動製氷装置の給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