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3929A - 액체 디스펜싱 밸브 - Google Patents

액체 디스펜싱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3929A
KR20070043929A KR1020067023625A KR20067023625A KR20070043929A KR 20070043929 A KR20070043929 A KR 20070043929A KR 1020067023625 A KR1020067023625 A KR 1020067023625A KR 20067023625 A KR20067023625 A KR 20067023625A KR 20070043929 A KR20070043929 A KR 20070043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nsing valve
rod
liquid
seat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3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라이톤 에밀리오 두 아마랄
에드슨 이살티노 벤토
Original Assignee
월풀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월풀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월풀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70043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39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67D3/043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with a closing element having a linear movem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56Anti-dripp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67D2210/00034Modules
    • B67D2210/00036Modules for use with or in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Lift Valve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Abstract

액체 디스펜싱 밸브에 있어서, 저장통(1)의 배출 노즐(11)의 자유 단부(12)에 밀폐되게 장착되며 시트(22)를 형성하는 몸체부(20); 시일(31)을 가지며, 상기 시일(31)이 상기 시트(22)에 안착되는 닫힌 위치와 상기 시일(31)이 상기 시트(22)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최대 열린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변위할 수 있는 로드(30); 상기 시트(22)의 하측에서 그리고 상기 로드(30)의 주위에서 상기 몸체부(20)에 밀폐되게 부착되며 배출 챔버(C)를 형성하는 캡부(50); 및 하측을 향하는 배출 단부(55a)를 가지는 세장형 스파우트(55)를 포함하며, 상기 캡부(50)와 상기 세장형 스파우트(55)는, 상기 시트(22)가 상기 시일(31)에 의하여 닫힐 때, 상기 배출 챔버(C)에 담겨진 잔류 액체가 후자의 내측에서 상기 디스펜싱 밸브(V) 내측의 액체를 유지시키기에 충분한 진공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과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디스펜싱 밸브가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액체 디스펜싱 밸브{LIQUID DISPENSING VALVE}
본 발명은 물이나 다른 액체용의 저장통과 같은 저장통에 작동적으로 결합되며, 냉장고 내에 제공되며, 사용자가 유리컵, 머그잔 등과 같은 용기 내로 액체를 선택적으로 그리고 중력에 의하여 배출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액체 디스펜싱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야에, 냉장고에 의하여 형성되는 냉장고 기기 또는 냉동고와 냉장고의 결합 기기의 냉장실의 전방 도어의 내부 패널에 가까이 장착되는 물 저장통용의 서로 다른 구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형태의 일 구조는 본 출원인에 의하여 2003년 6월 1일에 출원된 브라질 특허 출원 제PI03 02286-2호에 기재되어 있다.
액체가 상기 저장통으로부터 중력에 의하여 디스펜싱되는 다른 출원에서와 마찬가지로 상술한 형태의 조립체에서는, 상기 후자는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작동되는 액체 디스펜싱 밸브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하부 배출 노즐이 제공되며, 사용자는 일정량의 물이 제공되며 상기 디스펜싱 밸브의 상기 배출 노즐의 아래에 수동으로 위치하는 유리잔, 머그잔 또는 다른 형태의 용기로 상기 저장통으로부터 물을 방출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저장통이 상기 냉장고의 내측에 장착되는 출원에서, 상기 냉장실의 전 방 도어의 외측에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리세스 내에 상기 냉장고 기기의 캐비넷의 외측에 상기 디스펜싱 밸브가 보통 제공된다.
본원에서 고려되는 형태의 액체 디스펜싱 밸브는 상기 저장통의 상기 하부 배출 노즐의 자유 단부에 결합되는 몸체를 가지며, 상기 밸브 몸체에 제공되는 시트에 대항하여 안착되는 시일을 가지는 작동 로드는 상기 몸체를 통하여 배치되며, 상기 시트의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밸브 몸체의 측부는 세장형 스파우트의 아래에 위치하는 유리잔과 같은 용기의 내부로 상기 시트를 통하여 유동하는 액체의 방향을 안내하기 위하여 하측을 향하는 세장형 스파우트와 유체가 연통할 수 있도록 유지한다.
이러한 공지된 구조에서, 사용자가 상기 로드를 해제한 후에, 밀봉을 하면서 또한, 상기 저장통 내측에 그리고 그 하부 배출 노즐 내측에 담겨진 액체가 상기 밸브를 통과하여 취집 용기의 내측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시일은 상기 시트에 대항하여 자동으로 안착된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에서, 잔류 액체의 체적이 상기 몸체와 상기 세장형 스파우트의 내부로부터 완전히 고갈될 때까지, 상기 밸브 몸체와 상기 세장형 스파우트의 내측에 담긴 잔류 물의 양은 중력에 의하여 아래로 유동한다. 상기 세장형 스파우트를 통하여 상기 밸브 몸체의 내부로부터 유동하는 잔류 액체의 속도가 상기 디스펜싱 밸브의 아래로부터 상기 용기를 제거하는 사용자는 속도보다 느리다는 것을 고려하여, 상기 취집 용기가 그 충전 위치(filling position)로부터 분리된 후에 상기 잔류 액체의 떨어짐 현상이 상기 세장형 스파우트를 통하여 변하지 않고 발생한다. 이러한 물방울은, 사용자에게 추가 적인 주기적 배수 작동을 할 것을 요구하면서, 상기 취집 용기의 지지 영역 내에 단계적으로 모인다.
본원에서, 이러한 디스펜싱 밸브의 로드의 작동이, 상기 밸브 로드에 작동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액체 취집 용기 자체에 의하여 또는 액체 취집 과정 중 상기 용기를 드는 사용자의 손에 의하여 작동되는 트리거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이 강조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로드가 자동으로 그 정지 위치로 돌아가게 하면서, 또한 상기 디스펜싱 밸브를 닫으면서, 상기 취집 용기나 각 사용자의 손이 상기 밸브 트리거로부터 멀어지도록 변위할 때 상기 디스펜싱 밸브는 닫힌다. 따라서, 상기 취집 용기를 분리하는 이동의 시작과 함께 후자가 닫히게 하면서, 또한 상기 시트의 하측의 상기 디스펜싱 밸브 몸체의 내부의 잔류 액체가 더 이상 이 잔류 액체를 취집하는 조건에 위치하지 않는 용기를 향하여 그 하강 중력 경로를 계속하게 하면서, 상기 디스펜싱 밸브의 상기 세장형 스파우트로부터 상기 액체를 수용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용기를 변위 시켜 상기 밸브의 닫힘 이동이 불변적으로 얻어진다.
후자가 닫힌 후에 상기 디스펜싱 밸브의 몸체 내에 여전히 담긴 잔류 액체의 떨어짐을 적어도 최소화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액체 디스펜싱 밸브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나, 그러한 구조는 상기 밸브의 비용 그리고 결국 그것이 결합되는 제품의 비용을 상당히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작동적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 기기 내측에 장착되는 저장통과 작동적으로 연관되며 취집 용기를 상기 디스펜싱 밸브의 세장형 스파우트 아래로부터 분리하여 후자가 닫힌 후에 상기 밸브 몸체 내측에 여전히 담긴 잔류 액체의 떨어짐을 제거하거나 적어도 상당히 최소화하는 저비용의 간단하고 강한 구조를 제공하는 액체 디스펜싱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밸브의 냉각 그리고 결과적으로 상기 저장통의 내측에서 냉장 상태에서 유지되는 액체에 의하여 후자의 주위에 주위 습기의 응축이 생기는 것을 최소화하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액체 디스펜싱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저장통의 청소 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 액체 디스펜싱 밸브가 결합되는 냉장 기기의 구조와 관련하여 후자의 장착 및 탈거 작동 중에 상기 액체 디스펜싱 밸브가 결합되는 저장통과 합동하여 이동하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액체 디스펜싱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저장통의 상기 하부 배출 노즐과 관련하여 용이하게 장착되고 탈거될 수 있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액체 디스펜싱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통의 배출 노즐의 자유 단부에 밀폐되게 장착되며 시트를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를 통하여 장착되며, 시일을 가지며, 닫힌 위치와 최대 열린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변위할 수 있는 로드; 상기 몸체부에 장착되며 상기 로드에 힘을 가하여 상기 닫힌 위치로 이동시키는 스프링 수단; 상기 시트의 하측에서 그리고 상기 로드의 주위에서 상기 몸체부에 밀폐되게 부착되며 내부에 배출 챔버를 형성하는 캡부; 하측을 향하는 배출 단부를 가지는 세장형 스파우트를 포함하며, 상기 캡부와 상기 세장형 스파우트는, 상기 시트가 상기 시일에 의하여 닫힐 때, 상기 배출 챔버에 담겨진 잔류 액체가 후자의 내측에서 중력에 의하여 상기 세장형 스파우트의 상기 배출 단부의 상측에 보유된 액체를 유지시키기에 충분한 진공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과 크기를 갖는 액체 디스펜싱 밸브의 제공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구조로써, 상기 디스펜싱 밸브의 상기 시트를 닫은 후에, 상기 디스펜싱 밸브로부터 유동될 수 있는 상기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취집 위치에 후자가 있지 않을 때, 후자가 상기 디스펜싱 밸브로부터 외측으로 중력에 의하여 유동하는 것과 상기 취집 용기의 상기 지지면 상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배출 챔버 내에 형성되는 진공이 잔류 액체의 무게와 균형을 이루도록 하기에 충분하도록 상기 배출 챔버와 상기 세장형 스파우트의 내측에 담긴 잔류 액체의 양이 중력에 의하여 방출된다.
도 1은 일부 도시된 냉장고 도어의 내부 패널에 장착되며 하부 배출 노즐이 제공되며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싱 밸브가 장착되고 닫힌 조건에서 도시되는 저장통의 단면도,
도 2는 상기 저장통의 상기 배출 노즐만을 도시하며 상기 디스펜싱 밸브를 가지고 있는 도 1과 유사한 확대도,
도 3은 도 1의 선 II-II에 따른 단면도.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는 액체 디스펜싱 밸브는, 저장통(reservoir)에 저장된 액체의 냉장상태를 유지하도록, 냉장 기기의 내부에 보다 정확하게는 냉장실의 내부에 장착되는 저장통(reservioir)(10)에 적용된다. 상기 저장통(1)의 형상을 다른 식으로 하고 상기 냉장실 내부의 다른 위치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나, 상기 냉장실의 도어(P)의 내부 패털에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며, 도어를 열 필요 없이 상기 도어(P)의 외부측으로부터 상기 저장통에 저장된 액체를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상기 냉장실의 상기 전방 도어(P)의 두께를 통하여 배치된 세장형 하부 배출 노즐(11)을 제공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저장통(10)은 본 출원의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된 브라질 특허 출원 제PI0302282-2호에 기재되고 청구된 저장통의 형태를 가지므로, 본 특허 출원에 이를 상세히 기재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과 관련된 기초 요소가 제공된 도시된 구조를 고려하여, 상기 디스펜싱 밸브(V)는 기능이 후술되는 외부 나사산(13)이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배출 노즐(11)의 자유 단부(12)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액체 디스펜싱 밸브는, 상기 배출 노즐(11)의 축으로 횡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배출 노즐(11)의 상기 자유 단부(12)에 제공되는 상기 외부 나사산(13)에 결합되는 내부 나사산(23)에 제공되는 튜브형 축방향 연장부(21)과 결합하는 플레이트의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몸체부(2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20)는, 시트(seat)(22)의 상측 및 하측에 위치하는 몸체부의 측부와 연통되어, 상기 몸체부(20)을 통하여 제공되는 중앙 축방향 구멍(24)의 내부 단부에 형성되는 시트(22)가 중앙에 제공된다.
상술한 구조에서, 상기 시트(22)를 둘러싸는 내부 환형 면에 탄성 재료로 만들어지며 상기 디스펜싱 밸브(V)를 상기 배출 노즐(11)에 장착하면 상기 배출 노즐(11)의 자유 단부(12)에 대항하여 압축되는 환형 가스켓(25)을 가진다.
상기 액체 디스펜싱 밸브는, 시일(31)을 가지며,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시일(31)이 상기 저장통(10)으로부터 액체의 방출을 차단하는 닫힌 위치와 액체를 상기 저장통(10)에서 방출하며 상기 시일(31)이 상기 시트(22)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도시되지 않은) 최대 열린 위치 사이에서 보통 축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는, 상기 몸체부(20)을 통하여 장착되는 로드(30)을 포함한다.
비록 도시된 구조가 사용자의 작동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로드를 포함하고 있으나, 상기 디스펜싱 밸브(V)의 닫힌 위치와 열린 위치 사이에서의 개별 시일을 이동시킬 수 있으면 회전 또는 각 변위를 갖는 로드를 통한 밸브의 다른 작동 배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로드(30)은 사용자가 작동을 멈추면 상기 디스펜싱 밸브(V)의 닫힘 동작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닫힌 위치로 탄성적으로 일정하게 힘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싱 밸브(V)는 상기 몸체부(20)에 장착되고 상기 로드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닫힌 위치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 수단(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 수단(40)은 상기 몸 체부(20)의 외부에 있는 상기 로드(30)의 단부 위치(30a) 주위에 장착되는 나선 스프링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나선 스프링은 상기 몸체부(20)에 대항하여 안착되는 단부와 상기 로드(30)의 상기 단부(30a)에 결합되는 주변 돌기(32)에 대항하여 안착되는 반대 단부를 갖는다.
상기 디스펜싱 밸브(V)는 상기 시트(22)의 하측에서 그리고 상기 로드(30)의 주위에서 상기 몸체부(20)에 밀폐되게 고정되며 내부에 배출 챔버(C)를 형성하는 캡부(50)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캡부(50)는 상기 몸체부(20)에 밀폐되게 고정되는 단부(51)와 상기 몸체부(20)의 외부의 상기 로드(30)의 단부(30a)에 밀폐되게 고정되는 반대 단부(52)를 갖는 튜브 형상을 제공하며, 상기 캡부(50)는 상기 몸체부(20)의 외부의 상기 로드(30)의 단부(30a)의 주위에 환형 튜브 형상의 배출 챔버(C)를 형성한다. 상기 캡부(50)의 상기 단부(51)와 상기 반대 단부(52)는 상기 몸체부(20)의 각 부분과 상기 로드(30)의 단부(30a)에 밀폐되게 결합되며, 주위 공기가 상기 디스펜싱 밸브(V)의 인접 요소 부분과의 그 단부(51,52)와의 결합을 통하여 상기 배출 챔버(C)로 들어가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점에 주의하여야 한다.
상기 로드(30)가 그 작동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상기 캡부(50)의 상기 반대 단부(52)는 상기 로드(30)의 상기 인접하는 단부(30a)에 내부에서 그리고 주위에서 결합되는 환형 벽에 의하여 형성되며, 후자의 축방향 변위 동안에 상기 캡부는 상기 로드(30)의 이동을 동반하여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힘을 받는다. 따라서, 도시한 실시예에서, 상기 캡부(50)는 탄성 재료로 형성되며, 하측으로 향하는 배출 단부(55a)와 상기 튜브 형상의 상기 캡부의 측벽에 제공되는 각 개구부에 의하여 상기 배출 챔버(C)의 내측에 개방되는 유입구 단부(55b)를 갖는 세장형 스파우트(55)와 단일 부품으로 결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장형 스파우트(55)는 상기 배출 챔버(C)의 내측으로 반경 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유입구 단부(55b)와 배출 단부(55a)의 축에 대략적으로 수직인 매개부(55c)에 의하여 상기 배출 단부(55a)에 결합되는 유입구 단부(55b)를 갖도록 하는 형상을 갖고 있다.
상기 구조로써, 상기 배출 챔버(C)는 그 내에 상기 디스펜싱 밸브(V)가 개방될 때 상기 시트(22)를 통하여 유동하는 액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액체가 상기 세장형 스파우트(55)를 통하여 중력에 의하여 떨어져 상기 세장형 스파우트(55)의 아래에 위치하는 용기(도시하지 않음)의 내부에 모이도록 한다.
상기 디스펜싱 밸브(V)가 본 발명에 의하여 제안된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캡부(50)와 상기 세장형 스파우트(55)는, 상기 시트(22)가 상기 시일(31)에 의하여 닫혔을 때, 상기 배출 챔버(C)에 저장된 남은 액체가 상기 후자의 내측에서 중력에 의하여 상기 세장형 스파우트(55)의 상기 배출 단부(55a)의 상측에 있는 액체를 유지시키기에 충분한 진공을 형성할 수 있는 형상과 치수를 가지도록 하며, 상기 모으는 용기가 상기 세장형 스파우트 아래의 충전 위치로부터 제거된 후에 남은 액체가 상기 세장형 스파우트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디스펜싱 밸브(V)에는 일반적으로 인젝션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캡부(50)와 상기 세장형 스파우트(55)를 측방향으로 포함하도록 상기 몸체부(20)에 장착되며, 상기 캡부(50)와 상기 세장형 스파우트(55)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조립체의 탄성 재료 구조를 보호하는 케이싱(60)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일(31)은 상기 시트(22)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로드(30)의 원주방향 채널에 장착되는 탄성 링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차가운 액체를 상기 몸체부(20)로부터 이격된 지역에서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로드(30)는 상기 저장통(10)의 상기 배출 노즐(11)의 내측에 축방향 연장부(36)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 자유 단부에, 추가적인 시일(33)을 가지며, 상기 배출 노즐(11)은 내부에 상기 시트(22)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로드(30)가 닫힌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추가 시일(33)이 안착되는 추가 시트(76)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추가 시트(76)는 튜브 형상의 슬리브(70)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반대 단부는 넓혀져 상기 배출 노즐(11)의 상기 자유 단부(12)에 밀폐되게 고정될 수 있다. 도시한 구조에서, 상기 튜브 형상 슬리브(70)의 상기 넓혀진 단부는 상기 배출 노즐(11)의 상기 자유 단부(12)의 내부 원주 요입부(depression) 상에 안착되며, 상기 몸체부(20)에 의하여 가압되는 상기 가스켓(25)의 작동에 의하여 그 내에서 유지된다.
또한, 상기 튜브 형상 슬리브(70)는 탄성 시일 링(77)에 의하여 상기 저장통(10)의 상기 배출 노즐(11)의 내부 벽에 밀폐되게 결합되는 추가 시트(76)에 인접한 단부를 제공하며, 이는 상기 저장통(1) 내에 담긴 차가운 액체가 상기 튜브 형상 슬리브(70)와 상기 배출 노즐(11)의 내부벽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점을 주목하여야 한다. 상기 도시된 구조에 의하여, 상기 추가 시트(76)는 상기 냉장실의 내측에 근접한 그리고 상기 배출 노즐(11)의 상기 자유 단부(12)로부터 멀리 있는 영역에서의 차가운 액체의 차단을 제공하며, 주위 공기에 노출되어 있으며 냉각되면 상기 디스펜싱 밸브(V)의 이 영역에 응축을 발생시킬 수 있는 상기 몸체부(20)의 영역이 상기 저장된 액체의 낮은 온도에 의하여 차가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몸체부(20)이 상기 배출 노즐(11)의 상기 자유 단부(12)에 나사결합될 때, 상기 세장형 스파우트(55)가 그 배출 단부(55a)가 아래를 향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 위치에 상기 몸체부(20)가 도달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부(20)는 상기 세장형 스파우트가 아래를 향하도록 유지시키면서, 상기 배출 노즐(11)의 상기 자유 단부에서 상기 디스펜싱 밸브(V)가 완전히 덮힐 때 상기 배출 노즐(11)에 반경 방향으로 그리고 외부로 결합되는 정지 수단(17)에 대항하여 안착되는 텅(tongue)과 그 튜브 형상 축 방향 연장부(21)와 결합된다.
본원에 도시된 형태의 조립체에서, 상기 배출 노즐(11)은 상기 저장통(10)이 상기 냉장실의 전방 도어와의 관계에서 상기 배출 노즐(11)과 상기 디스펜싱 밸브(V)와 용이하게 장착되거나 탈거되도록 하는 형상을 갖는 탄성 재료로 된 튜브 형상 가스켓(80)에 의하여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 노즐과 상기 냉장실의 상기 전방 도어의 인접한 내부 벽의 구조 사이에서 충분한 열 절연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 액체가 상기 로드(30), 상기 몸체부(20), 및 상기 튜브 형상 슬리 브(70) 사이에 형성된 환형 공간을 따라서 유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로드는 그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종방향 그루브(38)를 제공하도록 구조를 가지며, 상기 그루브(38)는 상기 로드(30)가 상기 각 시트(22)와 추가 시트(76)의 열린 위치에 이동될 때 상기 액체가 디스펜싱될 수 있도록 상기 액체를 유동시킨다.
상기 닫힌 위치로부터 상기 열린 위치로의 상기 로드(30)의 이동은 상기 도어(P)의 구조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싱(60)이 각 전방 개구부를 통하여 접근될 수 있는 상기 로드(30)의 상기 단부에 대항하여 작동하는 자유 단부를 갖는 레버(91)에 높이 결합되는 하부 트리거(90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에 본 발명을 수행하는 오직 하나의 형태만이 도시되고 기술되었으나, 첨부된 청구항에 설명된 구조적인 개념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요소 부품의 형태와 배치에 있어서의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Claims (16)

  1. 저장통(1)의 배출 노즐(11)의 자유 단부(12)에 밀폐되게 장착되며 시트(22)를 형성하는 몸체부(20);
    상기 몸체부(20)를 통하여 장착되며, 시일(31)을 가지며, 상기 시일(31)이 액체가 상기 저장통으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상기 시트(22)에 안착되는 닫힌 위치와 상기 시일(31)이 상기 액체의 배출을 허용하면서 상기 시트(22)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최대 열린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변위할 수 있는 로드(30);
    상기 몸체부(20)에 장착되며 상기 로드(30)에 힘을 가하여 상기 닫힌 위치로 이동시키는 스프링 수단(40);
    상기 시트(22)의 하측에서 그리고 상기 로드(30)의 주위에서 상기 몸체부(20)에 밀폐되게 부착되며 내부에 배출 챔버(C)를 형성하는 캡부(50); 및
    하측을 향하는 배출 단부(55a)를 가지는 세장형 스파우트(55)를 포함하며,
    상기 캡부(50)와 상기 세장형 스파우트(55)는, 상기 시트(22)가 상기 시일(31)에 의하여 닫힐 때, 상기 배출 챔버(C)에 담겨진 잔류 액체가 후자의 내측에서 중력에 의하여 상기 세장형 스파우트(55)의 상기 배출 단부(55a)의 상측에 보유된 액체를 유지시키기에 충분한 진공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과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디스펜싱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50)는 상기 몸체부(20)에 밀폐되게 부착되는 단부(51)와 상기 몸체부(20)의 외부의 상기 로드(30)의 단부(30a)에 밀폐되게 고정되는 반대 단부를 갖는 튜브 형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디스펜싱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50)는 상기 몸체부(20)의 외부의 상기 로드(30)의 상기 단부(30a) 주위에 환형 튜브 형상의 배출 챔버(C)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디스펜싱 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50)의 상기 반대 단부(52)는 상기 로드(30)의 상기 인접한 단부(30a)에 내부적으로 또한 둘레에 결합되는 환형 벽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디스펜싱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50)는 탄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디스펜싱 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50)와 상기 세장형 스파우트(55)는 단일 부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디스펜싱 밸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는 상기 캡부(50)과 상기 세장형 스파우트(55)를 측방향으로 덮는 케이싱(60)을 외부에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디스펜싱 밸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스파우트(55)는 상기 배출 챔버(C)의 내측으로 반경 방향으로 열리며 유입구 단부(55b)와 배출 단부(55a)의 축에 대략적으로 수직인 매개부(55c)에 의하여 상기 배출 단부(55a)에 결합되는 유입구 단부(55b)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디스펜싱 밸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30)는 상기 디스펜싱 밸브(V)의 상기 닫힌 위치와 열린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디스펜싱 밸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31)은 상기 시트(22)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로드(30)의 원주 방향 채널에 장착되는 탄성 링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디스펜싱 밸브.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30)는 상기 저장통(10)의 상기 배출 노즐(11)의 내부에 축방향 연장부(36)를 제공하며, 그 자유 단부에 추가 시일(33)을 가지며, 상기 배출 노즐(11)은 상기 시트(22)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로드(30)가 그 닫힌 위치로 변위될 때 상기 추가 시일(33)이 안착되는 추가 시트(76)를 내부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디스펜싱 밸브.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시트(76)는 튜브 형상 슬리브(70)의 단부에 형성되며 넓혀지며 상기 배출 노즐(11)의 자유 단부(12)에 부착되는 반대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디스펜싱 밸브.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싱 밸브의 상기 몸체부(20)는 상기 배출 노즐(11)의 상기 자유 단부(12)에 제공되는 외부 나사산(13)에 결합되는 내부 나사산(23)이 제공되는 튜브 형상 축방향 연장부(21)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디스펜싱 밸브.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는 상기 디스펜싱 밸브(V)가 후자에 장착될 때 상기 튜브 형 상 슬리브(70)에 대항하여 그리고 상기 배출 노즐(11)의 상기 자유 단부(12)에 대항하여 동시에 압력을 받는 환형 가스켓(25)를 내부 환형 면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디스펜싱 밸브.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는, 상기 세장형 스파우트(55)가 하측을 향하면서, 상기 디스펜싱 밸브(V)가 상기 배출 노즐(11)의 상기 자유 단부에 완전히 결합될 때, 상기 배출 노즐(11)에 반경 방향으로 그리고 외부적으로 결합되는 정지 수단에 대항하여 안착되는 텅(27)과 그 환형 축방향 연장부(21)에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디스펜싱 밸브.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수단(40)은, 상기 로드(30)의 단부(30a) 주위에 장착되며 상기 몸체부(20)의 외부에 위치하며, 후자에 대항하여 안착되는 단부와 상기 로드(30)의 상기 단부(30a)에 결합되는 주변 돌기(32)에 대항하여 안착되는 반대 단부를 갖는 나선 스프링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디스펜싱 밸브.
KR1020067023625A 2004-04-13 2005-04-12 액체 디스펜싱 밸브 KR200700439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RPI0401576-2 2004-04-13
BR0401576-2A BRPI0401576A (pt) 2004-04-13 2004-04-13 Válvula dispensadora de lìquid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929A true KR20070043929A (ko) 2007-04-26

Family

ID=36838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3625A KR20070043929A (ko) 2004-04-13 2005-04-12 액체 디스펜싱 밸브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484643B2 (ko)
EP (1) EP1735234B1 (ko)
KR (1) KR20070043929A (ko)
CN (1) CN101035735A (ko)
AR (1) AR049334A1 (ko)
AU (1) AU2005232779A1 (ko)
BR (1) BRPI0401576A (ko)
DE (1) DE602005010227D1 (ko)
ES (1) ES2320151T3 (ko)
MX (1) MXPA06011966A (ko)
PL (1) PL1735234T3 (ko)
TW (1) TW200540099A (ko)
WO (1) WO20051002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603945A (pt) 2006-09-21 2008-05-13 Bsh Continental Eletrodomestic aperfeiçoamento introduzido em dispositivo dispensador de água aplicado a portas de aparelhos de refrigeração
BRPI0804374A2 (pt) * 2008-10-16 2010-07-13 Whirlpool Sa válvula para fornecimento de água gelada, disposta na porta de um refrigerador
DE102008055009A1 (de) * 2008-12-19 2010-06-2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asserventil und Haushaltskältegerät
ITTO20120247A1 (it) * 2012-03-19 2013-09-20 Indesit Co Spa Valvola per l'erogazione di una bevanda, in particolare di un apparecchio di refrigerazione di uso domestico
ES2535131T3 (es) * 2012-03-19 2015-05-05 Indesit Company S.P.A. Válvula de dispensación de bebida, en particular para un aparato frigorífico de uso doméstico
ITTO20120246A1 (it) * 2012-03-19 2013-09-20 Indesit Co Spa Valvola per l'erogazione di una bevanda, in particolare di un apparecchio di refrigerazione di uso domestico
ITTO20120244A1 (it) * 2012-03-19 2013-09-20 Indesit Co Spa Valvola per l'erogazione di una bevanda, in particolare di un apparecchio di refrigerazione di uso domestico
EP2641865A3 (en) * 2012-03-19 2013-11-20 Indesit Company S.p.A. Beverage dispensing valve, in particular for a household refrigeration appliance
CN103115474B (zh) * 2013-02-04 2015-12-02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一种具有饮水机功能的冰箱
CN208449347U (zh) * 2018-07-05 2019-02-01 梁丽霞 一种防回流的挤出式液体容器
US10914056B2 (en) 2018-09-14 2021-02-09 Delta Faucet Company Vessel rinsing apparatus
AU2020299931A1 (en) * 2019-07-02 2022-01-06 Frieslandcampina Nederland B.V. Product container including a product discharge device and method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0030A (en) * 1974-08-16 1976-02-24 Hirosi Kondo Dispenser device for taking out contents
GB8314134D0 (en) * 1983-05-21 1983-06-29 Mardon Illingworth Tap for liquid container
US4742851A (en) * 1986-07-17 1988-05-10 The Coleman Company, Inc. Dripless faucet for beverage containers
US4856676A (en) * 1987-09-03 1989-08-15 Jet Spray Corp. Post mix dispenser
NL9100393A (nl) * 1991-03-05 1992-10-01 Petrus Nicolaas Roelof Johanne Klep, klepsamenstel alsmede vulinrichting.
US5494194A (en) * 1993-12-10 1996-02-27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Viscous material dispenser
US5551605A (en) * 1994-10-24 1996-09-03 Berthlex, Inc. Sealing and dispensing device
US5683015A (en) * 1994-12-12 1997-1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ter dispenser having a fillable storage vessel and adapted to be mounted in a refrigerator door
DE19835569C2 (de) * 1998-08-06 2000-06-08 Guenter Grittmann Versenkbarer Zapfhahn
FR2792913B1 (fr) * 1999-04-29 2001-06-01 Oreal Dispositif pour l'actionnement d'un organe de distribution notamment une valve, et ensemble equipe du dispositif d'actionnement selon l'invention
US6491189B2 (en) * 2000-04-07 2002-12-10 International Dispensing Corporation Dispensing valve for fluids
BR0302286B1 (pt) 2003-06-11 2014-01-07 Reservatório de água para refrigerad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84643B2 (en) 2009-02-03
PL1735234T3 (pl) 2009-04-30
WO2005100233A1 (en) 2005-10-27
ES2320151T3 (es) 2009-05-19
US20070262284A1 (en) 2007-11-15
EP1735234A1 (en) 2006-12-27
BRPI0401576A (pt) 2005-11-22
AU2005232779A1 (en) 2005-10-27
MXPA06011966A (es) 2007-04-02
AR049334A1 (es) 2006-07-19
EP1735234B1 (en) 2008-10-08
CN101035735A (zh) 2007-09-12
DE602005010227D1 (de) 2008-11-20
TW200540099A (en) 200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43929A (ko) 액체 디스펜싱 밸브
AU2004238745B2 (en) Combination of a dispenser and container for carbonated drink
CA1296302C (en) Push up dispenser with capsule valve
EP0780644A2 (en) Refrigerator with improved beverage dispenser
KR100674057B1 (ko) 대용적 에어로졸 밸브
US4314657A (en) Measuring dispenser
BG107342A (bg) Възел за разпределяне на напитка и контейнер за напитка, по-специално газирана напитка, и разпределителна линия за напитка за използване в такъв възел
JP2005511424A5 (ko)
KR20090018603A (ko) 음료수용 용기
BRPI0718900A2 (pt) Recipiente para dispensar bebida sob pressão, dispositivo de controle de pressão, e, método para controlar a pressão em um recipiente para dispensar bebida
US4119244A (en) Unitary mounted air-pressure pump and liquid outlet
EP2414105B1 (en) Fluid dispenser
CA27981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beverages, especially carbonated beverages
EP1190985B1 (en) Drink dispenser device for domestic refrigerators
US20150368085A1 (en) Beverage Dispenser for Refrigerator
KR100196530B1 (ko) 자동제빙장치의 급수장치
JP2004185059A (ja) 汚濁液噴出装置
KR0124280Y1 (ko)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KR0130588Y1 (ko)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US20140096866A1 (en) Tipless can filling valve
NL2006199C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beverages, especially carbonated beverages.
JPH0875332A (ja) 自動製氷装置の給水装置
NL2006197C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beverages, especially carbonated beverages.
JP3694227B2 (ja) 冷菓注出装置の注出コック
RU2007115536A (ru) Насос для раздачи жидкого вещества без доступа воздуха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доза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