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5388B1 - 승객콘베어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승객콘베어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5388B1
KR100195388B1 KR1019900010461A KR900010461A KR100195388B1 KR 100195388 B1 KR100195388 B1 KR 100195388B1 KR 1019900010461 A KR1019900010461 A KR 1019900010461A KR 900010461 A KR900010461 A KR 900010461A KR 100195388 B1 KR100195388 B1 KR 100195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conveyor
output
computer
control apparatus
abnorm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0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2699A (ko
Inventor
가즈히로 사가다
하사오 찌바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도무
Publication of KR910002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5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5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5Applications of security mon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9/00Safety arrangements
    • G05B9/02Safety arrangements electric
    • G05B9/03Safety arrangements electric with multiple-channel loop, i.e. redundant control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를 사용하여 에스컬레이터, 전동통로 등의 승객 콘베어를 제어하는 장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어장치는 콘베어의 이상, 고장을 검출하는 수단에 의해 상기 이상, 고장이 검출되면, 컴퓨터의 출력신호를 고장, 이상을 검출한 시점의 신호상태로 유지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것에 의해, 컴퓨터가 고장, 이상으로 되어도, 승객콘베어의 운전, 구동은 계속되어 승객이 승객콘베어에 타고 있어도 넘어지는 일이 없다.

Description

승객 콘베어의 제어장치
제1도는 종래의 에스컬레이터의 개략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에스컬레이터에 있어서의 스커트가드(skirt guard)부분의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에스컬레이터의 제어회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4도는 제3도에 나타낸 제어장치의 상세 블록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되는 에스컬레이터 제어장치의 상세 블록도.
제6도는 제5도에 나타낸 마이콤의 상세 블록도.
제7도는 제5도에 나타낸 출력장치의 상세 블록도.
제8도는 제5도에 나타낸 고장검출장치의 상세 블록도.
제9도는 제5도에 나타낸 마이콤의 개략플로차트.
제10도는 마찬가지로 제5도에 나타낸 마이콤의 타이머 개입 중단시의 플로차트.
제11도, 제12도는 제10도의 플로차트의 상세플로차트.
제13도는 제5도에 나타낸 또 다른 마이콤의 개략플로차트.
제14도는 제5도에 나타낸 또 다른 마이콤의 타이머 개입중단시의 플로차트.
제15도는 제14도의 플로차트의 상세 플로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동 스프로케트 4 : 계단
6 : 구동체인 7 : 안내레일
8 : 핸드레일 10 : 스커트가드
11 : 스프링 13 : 인레트 스위치
14 : 스커트 가드스위치 15 : 계단안전 스위치
22 : 구동체인 안전스위치 31,32 : 비상정지 스위치
81 : 마이콤 85 : 리드 온리 메모리(ROM)
84 : 클럭펄스 제너레이터(CPG)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전동 통로 등의 승객 콘베어의 제어를 디지털 전자 계산기 등의 컴퓨터를 사용하여 처리하는 승객 콘베어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승객 콘베어의 제어장치는 현재에도 릴레이를 사용한 시퀸스로 만들어지고 있는 것이 주류이다. 디지털 전자계산기를 사용하여 제어장치를 구성한 것으로서, 특개소 55-11402호 공보(승객콘베어 안전장치)가 있다. 아래에 이런 종류의 디지털 전자계산기를 사용한 승객 콘베어 제어장치의 종래기술에 관하여 기술한다.
승객 콘베어의 동작과정에 경사가 있는 것, 즉 에스컬레이터를 예를들어 설명한다.
제1도, 제2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에스컬레이터는 상하의 기계실(R1,R2)에 각각 구동 스프로케트(sprocket)(1) 및 종동(從動) 스프로케트(2)를 설치하고 이 스프로케트(1,2)에 계단체인(3)을 끝단이 없는 형태로 감아붙여, 이것에 계단(4)을 열(列)모양으로 부착한 것이다. 이들 전체는 구동기계(5)에서 구동체인(6)에 의하여 구동 스프로케트(1)를 통하여 구동된다. 다시, 안내레일(7)은 계단(4)을 안내하고, 또 계단(4)과 같은 속도로 구동되고 있는 핸드레일(8)은 계단(4)의 양측에 설치된 난간(9)의 위를 운행한다. 계단(4)과 난간(9)의 사이는 스커트가드(10)에 의하여 커버되어 있다. 한편, 종동 스프로케트(2)는 스프링(11)에 의하여 잡아당겨져서, 계단 체인(3)을 팽팽하게 하고 있다.
이와같은 에스컬레이터에서는 승객이 에스컬레이터에 말려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안전스위치와 기계가 고장났을때 바로 정지하여 승객의 안전을 보호하는 안전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의 안전스위치는 주행부와 고정부의 간격부나 계단끼리의 상대운동의 차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예를들면, 핸드레일(8)에 의하여 인레트(inlet)부(12)에 손이나 발이 휘말려 들어갔을 때에 동작하는 인레트 스위치(13)(상부와 하부의 좌우에 총 4개 설치) 및 스커트가드(10)와 계단(4)과의 사이에 발 등이 말려들어 갔을 때에 동작하는 스커트가드 스위치(14)(상부와 하부의 좌우에 총 4개 이상 설치), 계단(4)끼리의 상대운동에 의하여 끌려들어갔을 때에 동작하는 계단안전 스위치(15)(상부 또는 하부의 좌우에 총 2개 설치)등이 있다.
후자의 안전스위치에는 에스컬레이터가 현재의 일정속도 이상으로 됐을 때에 동작하는 조속기(調速機)스위치(21), 구동체인(6)이 끊어지거나 규정치 이상으로 늘어지거나 하면 동작하는 구동체인 안전스위치(22) 및 계단체인(3)이 늘어져 버리면 스프링(11)에 의한 장력이 규정치 이하로 되어, 계단(4)이 규정의 간격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이것을 검출하고, 계단(4)의 주행로에 이물질이 끼어서 록크(lock)한 것을 검출하고, 또 체인(3)이 절단된 것을 검출하기 위한 계단 체인 안전스위치(23)(좌우에 총 2개 설치)등이 있다.
그 외에, 상부와 하부의 조작 스위치판에는 각각 비상정지스위치(31,32)가 설치되어 있어, 인위적으로 비상정지시킬 수도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작 스위치판에는 후술하는 에스컬레이터를 상승 운전시킬지, 하강 운전시킬지를 구별하는 스위치 및 정지시키는 스위치도 설치되어 있다.
이들 구동기계(5)나 스위치등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제3도의 제어장치의 전체 블록도에 표시한다.
에스컬레이터의 전원은 차단기(51)를 통하여 부여되고, 구동기계(5)에는, 서멀(thermal)릴레이(53)와, 상승하강 전환용 개폐기(55,57)의 접점(55a,57a)을 거쳐, 구동기계(5)내의 모터(59)와 브레이크(61)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제어장치(63)에도 차단기(51)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있다.
또한, 제어장치(63)의 상세한 블록도를 제4도에 표시한다.
제4도에 있어서, 디지털 전자계산기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소위 마이콤(마이크로 컴퓨터)이며, 이 마이콤(81)은 마이크로 프로세서(MPU)(83)를 중심으로 하여 리드 온리 메모리(ROM)(85)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87)와, 페리페럴 인터페이스 어댑터(PIA)(89,91,93) 및 이들 소자의 기준이 되는 클럭을 발생하는 클럭펄스 제너레이터(CPG)(84)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용 가능한 상기 각 소자의 구체적 형식명의 일예를 들고, 이들 소자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MPU(83)는 히다찌 제작소제의 HD6800,PIA(89. 91. 93)는 동일하게 HD 6821이다. 또한 ROM(85)과, RAM(87)은 일반적인 반도체 메모리를 사용하고 있으며, CPG(84)도 일반적인 것이다.
또한, 이 CPG(84)의 동작은 도시하지 않은 수정(水晶)진동자를 기초로 클럭 ψ1 및 ψ2를 만들고, 도시하고 있지 않은 전원전압이 인가된 것에 의하여, 이 클럭 ψ1, ψ2를 MPU(83)에 부여하는 것이다. 또,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 전원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동안은 각 소자에 대하여 리세트 신호를 출력하여, 각각의 내부의 레지스터를 초기값으로 세트하여 놓는 동작도 행한다.
이 마이콤(81)의 종합적인 동작 설명을 다음에 행한다.
마이콤에 전원전압이 인가된 것에 의하여 CPG(84)로부터 클럭 ψ1 및 ψ2가 MPU(83)의 단자 ψ1 및 ψ2에 인가되고, 이 클럭에 의하여 MPU(83)는 동작을 개시하여 MPU(83)로부터 각 소자의 단자(A,D)에 접속되어 있는 어드레스버스(97), 데이터버스(99)를 통하여,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는 ROM(85)으로부터 명령과 실행 번지를 꺼내어 그 명령을 해독하고 그 해독 결과와 같은 실행으로서 RAM(87)이나 각 PIA로부터 데이터를 꺼내고 또는 이들에 데이터를 출력하는 등 여러 가지 처리를 해 가는 것이다.
마이콤(81)에는 타이머(101)로부터의 신호가 MPU(83)의 IRQ단자에 입력되고 있으므로 일정주기마다 마이콤(81)에 대하여 개입중단이 들어가서 그때마다 일정한 프로그램이 실행되기도 하고 그 타이머에 의한 개입중단 횟수를 카운트하는 것에 의하여 경과시간(시각)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은, MPU(83)와 직접 결합되어 있는 것이나 상술의 안전스위치등은 PIA(89.91)를 거쳐 간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아래에 이 부분에 관하여 기술한다.
상기 스커트 가드 스위치(14), 인레트 스위치(13), 구동체인 안전스위치(6), 계단체인 안전스위치(23)의 합계 11개의 스위치는 차동 트랜스(107)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출력은 아날로그 멀티플랙서(109)에 입력되어 있다.
이 아날로그 멀티플랙서(109)의 어드레스 입력은 PIA(89)의 B 포트(111)로부터의 출력이 접속되어 11개인 차동 트랜스(107)의 출력을 선택하여 다음의 A/D변환기(113)에의 입력으로써 송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A/D 변환기(113)는 이 입력을 디지털 신호로 치환하는 것이나 PIA(89)의 CA 단자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을 개시하고 변환을 종료하면, 반대로 PIA(89)의 CA 단자로 종료신호를 보내는 것이다.
이 신호가 PIA(89)에 오면 통상은 MPU(83)에 의하여 차동트랜스(107)의 신호가디지탈 값으로써 RAM(87)내에 일단 기억된 후 처리된다.
이 외에 상기의 상승을 지령하는 스위치(121)나 하강을 지령하는 스위치(123), 정지스위치(125), 비상정지스위치(127) 및 상기 비상정지스위치(31)(이상은 각각 상하의 승강구에 1개씩 설치되어 있으나 대표로 각각 1개만 기재) 및 기타의 안전스위치(131)등이 PIA(91)의 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이상이 마이콤(81)에의 입력이나, 출력으로써는 PIA(93)로부터 출력버퍼(141)를 거쳐 개폐기(55, 57)가 접속되어 있다.
이 외에는 음향경보 및 표시램프 겸용의 경보기(143)가 접속되어 있다. 마이콤(81)은 입력측의 각 스위치류(107, 121, 123, ···131)의 온, 오프 상태를 정기적으로 체크하여 이상이 없으면 그대로 또 이상이 있으면 개폐기(55, 57)를 오프한다.
즉 마이콤(81)은 상기 각 스위치류의 역할에 따라서 개폐기(55, 57)를 온하거나 오프하거나 하고 또, 경보기(143)의 제어를 행한다.
상기 종래기술에는 마이콤의 고장 즉 소프트웨어 버그(bug)에 의하여 설정한 동작을 하지 않게되었을 때의 이상이나 하드웨어의 고장에 의하여 마찬가지로 동작을 하지 않게되었을 때 등의 이상동작의 검출을 할 수 없고, 또한 이와같은 때에 어떻게 처리하는 가에 관해서도 고려되어 있지 않아 만일의 경우 이상동작을 해결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마이콤(81)이 고장이나면, 사람이 타고 있는데 정지해버려 타고 있는 사람이 급격히 넘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마이콤의 고장을 검출하는 수단으로써 일반적으로는 위치 도그 타이머(watch dog timer)가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 종류의 종래 기술로써, 특개소 55-317569호 공보[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는 위치도그타이머를 사용한 고장검출장치를 설치하여 이 고장검출장치가 동작할때에 엘리베이터의 케이지(cage)의 승강을 정지시키는 예기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 기술에 상기 특개소 55-31769호 공보의 고장 검출 장치를 부가하면 마이콤의 오동작에 의한 에스컬레이터의 급정지나 급정지한 후의 역방향으로의 운전등의 불필요한 동작을 행하지 않도록 에스컬레이터 기계장치의 브레이크 여자(勵磁)를 차단하는 것에 의해 동작을 정지시켜 버리기는 하지만 엘리베이터와 달리 에스컬레이터에서는 이 방법으로 완벽하다고는 할 수 없다.
즉,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에서는 동작 방향이 다른 것이다. 에스컬레이터나 전동 통로에서는 사람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동작하고 있으므로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키면 그 충격으로 사람이 넘어지기 쉽다. 특히 하강의 에스컬레이터에서는 그 충격으로 승객이 급격히 넘어질 가능성이 있어 매우 위험하다.
이 대책으로써 특개소 49-120378호 공보[맨콘베어의 정지장치] 등에서, 서행시킨 후에 브레이크를 거는 등의 방법이 있다.
따라서, 이 기술도 응용하면, 마이콤의 고장검출장치가 고장을 검출하면, 에스컬레이터 기계장치의 브레이크를 즉시 거는 것이 아니고 서행시켜서 거는 방법이 생각된다.
그러나, 에스컬레이터는 최후에 정지하므로 에스컬레이터가 정지한 후, 승객은 에스컬레이터의 계단을 걸어서 내려가거나 올라가지 않으면 안된다. 그런데 이 계단은 통상의 계단보다도 계단 사이의 높이가 높다.
이 때문에 신체장애자나 노인이 타고 있는 경우는 에스컬레이터의 계단을 오르거나 내리거나 하여 에스컬레이터로부터 나오는 것은 곤란하다. 특히 전체 길이가 긴 높은 에스컬레이터의 경우에는 곤란한 문제로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객 콘베어 제어용의 컴퓨터가 고장이나 이상 동작을 하여도, 승객콘베어는 급정지하지 않아 승객에는 안전하고 승객콘베어로부터 내려오는데에 곤란하지 않은 승객콘베어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가 고장이나 이상 동작을 하여도 승객콘베어는 정지하지 않지만 안전스위치가 동작한 경우에는 승객 콘베어를 정지시켜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승객콘베어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가 고장이나 이상 동작을 한 경우에는 승객 콘베어가 움직이고 있어도 승객이 승객콘베어에 올라타는 일이 없고,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승객콘베어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컴퓨터의 이상을 복귀시키고, 아울러 승객콘베어의 이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승객콘베어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특징은 승객콘베어 제어용의 컴퓨터에 고장이나 이상을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수단이 고장이나 이상을 검출하면 컴퓨터 출력을 고장이나 이상시의 상태로 유지하는 출력수단을 설치한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특징은 승객 콘베어의 제어용 컴퓨터에 고장이나 이상이 생기면 승객 콘베어의 운전을 계속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특징은 컴퓨터 고장중이나 이상중에 안전스위치가 작동한 경우에는 승객콘베어의 구동기계를 정지시키는 수단을 설치한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은 컴퓨터의 고장이나, 이상 검출수단이 작동한 것에 의하여 컴퓨터가 고장, 이상으로된 것을 보고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고장, 이상으로된 컴퓨터를 복귀시키는 수단을 설치한 것에 있다.
컴퓨터는 고장, 이상동작 후 잠깐동안은 그 구동기계에 대한 제어신호가 그대로 있다.
그래서, 고장 검출수단에서 고장이나 이상을 검출하면, 출력, 즉 제어신호가 변화하지 않은 동안에 출력수단에서 컴퓨터의 출력을 고장시나 이상시의 상태로 유지한다.
고장, 이상전에는 승객 콘베어는 가동, 운전되고 있으므로 컴퓨터의 고장, 이상과는 관계없이 출력수단에 가동운전상태가 유지, 계속되고, 따라서 승객은 급격히 넘어지는 일없이 타고 있으면 출구에 도달하므로, 힘들게 내려가지 않아도 된다.
안전스위치가 작동한 경우, 구동기계는 동작하지 않으므로 승객 콘베어는 즉시 정지한다. 따라서, 승객은 안전스위치가 작동하게 된 원인인 위험한 상태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된다.
운전가동중에 있어서도 컴퓨터의 고장이 승객콘베어에 개입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은 아니다. 보고수단이 컴퓨터가 고장인 것을 알려 개입을 규제하는 것에 의하여 승객의 안전을 확보한다.
또, 언제까지나 이상 상태가 접속되는 것은 불편하므로, 컴퓨터를 이상전의 상태로 조속히 복귀시키고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종래예와 동일한 부분, 혹은 동일의 기능을 가지는 것에는 동일의 부호를 붙여서 설명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종래예에서 설명한 제1도~제3도의 내용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는 동일하나 제4도에서 표시한 제어장치(63)에 상당하는 부분은 다르므로 그 부분에 관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도면을 제5도에 표시한다.
이 제5도와 제4도에서 다른 점을 다음에 설명한다.
마이콤(81)은 종래예와 거의 동일의 기능이나, 이 마이콤(81)뿐만 아니라, 또 하나의 마이콤(82)으로서 전체를 구성하고 있다. 이 마이콤(82)은 마이콤(81)이 고장, 이상으로 될 때의 복구용이다.
이 마이콤(81, 82)의 주변에는 각각의 고장이나 이상등의 이상동작(이하 마이콤의 고장과 이상을 합하여 고장이라 표시한다)을 검출하는 장치(201, 202) 출력장치(203), 출력버퍼(204), 전압검출소자(205) 및 앤드게이트(221, 223)가 설치되어 있다. 또 안전 릴레이(207)를 설치하고 있다.
또, 음향경보 및 표시램프겸용의 경보기(143)의 대신에 에스컬레이터의 상부기계실(R1)내에 설치한 경보부저(209), 하부기계실(R2)에 설치한 경보부저(211) 및 에스컬레이터의 보수원(保守員)에 대하여도 또 한쪽의 마이콤(82)이 고장인 것을 표시하는 고장표시등(213)이 설치되고, 다시 또 한쪽의 마이콤(82)의 출력으로서는 에스컬레이터의 상부 탑승입구에 설치한, 마이콤(81)의 고장시에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람에 대하여 경보를 주는 음향경보 및 표시등(215) 그리고 하부승강구에 설치한 음향경보 및 표시등(217)이 출력버퍼(204)를 각각 경유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것 외에 상승, 하강 전환용 개폐기(55, 57)와 직렬로 수동조작하기 위한 정지 스위치나 안전장치의 스위치가 들어있는 점이 다르다. 즉, 이들의 스위치는 교류전원의 한쪽 단자(ACA)로부터 비상, 정지 스위치(31, 32), 상부 정지 스위치(127T), 하부 정지 스위치(127B) 및 인렛스위치(13)나 스커트 가드 스위치(4)등의 리미트 스위치를 그대로 직렬로 접속하여, 최후에 서멀(thermal)릴레이(53)의 접점(53b)이 접속되어, 이하 안전 릴레이(207)와 상승, 하강 전환용 개폐기(55, 57)에 접속되어 있다.
안전릴레이(207)는 교류 전원의 다른쪽의 단자(ACB)에 접속되고, 또 양개폐기(55, 57)는 제7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출력장치(203)를 통하여 교류전원의 다른쪽의 단자(ACB)에 접속된다.
따라서, 개폐기(55, 57), 안전릴레이(207)는 안전스위치가 개방된 경우에 오프된다.
또, 마이콤(81)의 입력으로서 출력장치(203)의 출력(Q1~Q5) 신호가 입력(PB0, PB4)에 접속되어 있고 또 출력(Q1, Q2)은 마이콤(82)의 입력(PB0, PB1)에도 접속되어 있다. 이외에, 마이콤(81)의 입력으로서 상승을 지령하는 스위치(121)의 상부 승강구에 설치된 스위치(121T), 하부 승강구에 설치된 스위치(121B), 하강을 지령하는 스위치(123)의 상부 승강구에 설치된 스위치(123T), 하부 승강구에 설치된 스위치(123B) 및 에스컬레이터를 기동시킬 때에 주위 사람에게 주의를 주기 위한 경보용 스위치 중 상부 승강구의 스위치(124T), 하부 승강구의 스위치(123B)가 각각 입력(PA0~PA5)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안전릴레이(207)의 접점(207a)도 마이콤(81)의 입력(PA6)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이들 각부를 상세하게 기술한다.
제6도는 마이콤(81)의 상세도이나, 마이콤(82)의 상세한 설명도 겸하여 설명한다. 이 마이콤(81)은 종래예의 마이콤(81)과 동일하다.
마이콤(81)의 1MHz의 클럭을 만드는 CPG(84)의 입력단자(RES IN)가 마이콤(81)의 입력(RS)에 접속되어 있다. 또, 마찬가지로 출력단자(ψ2)는 마이콤(81)의 출력(C)으로부터 외부로 나가고 있다.
리세트단자(RES)가 CPG(84), MPU(83), PIA(91) 및 PIA(93)의 각 리세트 단자(RES)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PIA(89)는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하고 있지 않으므로 기재하지 않는다.
PIA(91, 93)의 입출력 포트는 종래예와는 사용법이 다르다. 또, 마이콤(82)과 도 이 PIA(91, 93)의 입출력 포트의 사용방법은 같지 않으나 이들의 입출력의 사용방법에 관해서는 프로그래머블하므로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설정되는 것이며, 하드웨어적으로는 동일하다.
제7도는 출력장치(203)의 상세한 블록도이다.
출력장치(203)는 5개의 플립플롭 FF(301)과 5개의 솔리드 스테이트 릴레이(SSR : solid state relay)(303)에 의해 주로 구성되어 있다.
각 FF(301)는 입력단자(D)에 입력되어 있는 신호를 클럭단자(CK)의 신호가 0→1→0으로 변화할 때에 기억하여, 그 결과를 출력단자(Q)로 출력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출력은 입력단자(R)가 0으로 되면 0출력으로 되는 것이다. 또한, 이 입력단자(R)는 5개와도 접속되어 출력장치(203)의 입력(RS)으로서 외부로부터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각 SSR(303)은 입력단자(1)에 1의 신호가 오면 내장하고 있는 발광다이오드가 점등하고, 그 빛으로 내장되어 있는 트라이아크가 점호(点弧)하고, 출력단자(P와 G)사이를 단락(短絡)하므로 교류전류가 흐르는 것이다.
또한, 이 출력단자(G)는 5개와도 접속되어 교류전원(ACA)의 다른쪽의 전원(ACB)에 접속되어 있다. 또, 한 개의 출력단자(P)는 출력장치(203)의 출력(01~05)으로서 외부로 나와 있다.
이 외에, 출력장치(203)의 입력(CUT)과 입력(CK)과의 관계는 이 입력(CUT)에 신호 0이 와 있으면, 그 신호는 게이트(305)에서 반전되어 있으므로, 또 한쪽의 입력(CK)에 입력된 신호가 게이트(305)로부터 그대로 출력되도록 되고, 그리고 이 게이트(305)로 부터의 출력은 각 FF(301)의 입력단자(CK)에 입력되므로, 입력(CK) 신호의 0→1→0과의 변화에 의하여 출력장치(203)의 입력(D1~D5) 신호를 그대로 기억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입력(CUT) 신호가 1로 되면 입력(CK)으로부터의 신호는 게이트(305)로부터 출력되지 않게되므로 FF(301)의 기억은 그대로 유지된다. 이 FF(301)의 출력단자(Q)는 각각 SSR(303)의 입력단자(1)에 접속되어 있는 것 외에 출력장치(203)의 출력(Q1~Q5)으로써 외부로 나와 있다.
제8도는 고장검출장치(201 및 202)의 상세 블록도이다.
이 장치는 워치 도그 타이머 WDT(311)와 세트 우선 플립플롭 FF(313)으로 구성되어 있다. WDT(311)는 고장검출장치(201)의 입력(C)의 클럭펄스를 소정 개수 카운트하면, 출력단자(Q)로부터 신호 1을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통상은 소정 개수 카운트하기 전에 고장검출장치(201)의 입력(RS)을 통하여 WDT(311)의 입력단자(RS)에 입력된 신호 0에 의하여 리세트되버리므로, 출력될 때는 이상시라고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출력은 FF(313)에 입력되면 그대로 출력되어 고장검출장치(201)의 출력(T)으로써 외부로 출력된다. 이 출력(T)은 고장검출장치(201)의 입력(FRS)이 1되어 있는 기간중은 WDT(311)의 출력이 0으로 되어도 기억되어 있으나, 이 입력(FRS)이 0으로 되면 WDT(311) 출력단자(Q)가 1의 기간만 1을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이 고장검출장치(201, 202)와 마이콤(81, 82)의 관계를 제5도 ~ 제8도를 사용하여 다시 종합적으로 설명한다. 시스템 전체의 전원투입시에는 마이콤 전원(P5)의 전원이 상승할 때 까지는 전압검출소자(205)의 출력단자(Q)로부터의 출력신호 0이 출력되어 출력장치(203)의 FF(301)가 전부 리세트되어 있다. 또, 상술한 것과같이 CPG(84)의 클럭(ψ2)도 동작하고 있지 않다.
전압검출소자(205)가 마이콤에 전원(P5)이 인가된 것을 검지하면 출력(Q)이 1로 되므로, 그 시점부터 CPG(84)의 클럭(ψ2)도 동작을 시작한다.
이것은 고장검출장치(201(202))의 입력(C)이 되고, 다시 WDT(311)의 단자(CK)에 입력되어 카운터는 동작을 시작한다.
이때 고장검출장치(201)가 동작하여 출력(T)으로부터 1이 출력되어 있어도, 전원투입시를 위한 FF(301)는 전부 리세트되고 있으므로 고장검출장치(201)의 동작에 의한 영향은 없다.
소프트웨어가 CPG(84)의 클럭(ψ2)의 동작에 의하여 움직이기 시작하여 고장검출장치(201, 202)의 리세트 동작을 마이콤(81, 82)의 출력(PA0, 1)으로부터 1의 출력을 0으로 변화시켜 행하고, 에스컬레이터의 운전을 시작하면, 타이머(101)에 의하여 정기적으로 개입중단이 행하여지고, 이후는 마이콤(81, 82)의 출력(PA2)으로부터 정기적으로 1→0→1이 출력된다(예를들면 1주기를 40ms로 하는 펄스). 이 때문에 WDT(311)가 카운트를 완료하는 일은 없다. 여기에서 정기적으로 출력(PA2)으로부터 펄스가 나오고 있는 동안을 제 1의 기간이라 칭한다. 그러나, 무엇인가의 원인으로 마이콤이 고장나고, 예를 들면 60ms 이상 경과하여도 출력(PA2)으로부터의 0출력신호가 나오지 않고, 정상동작시와 다른 출력으로 되면 WDT(311)는 카운트를 완료하고, FF(313)를 거쳐 출력(T)으로부터 1이 출력된다.
또, 출력(T)으로부터 1이 출력된 이후를 제 2의 기간으로 칭한다. 이 제2의 기간에서는 PIA(93)의 PB0~PB5에 의하여 나오는 출력에 변화가 생기지 않고 있다.
이 출력(T)으로부터 나온 신호는 출력장치(203)에서 입력(CUT)에 가하여 져서 FF(301)의 변화가 금지되어 그대로 기억이 유지된다.
따라서, 마이콤(81)이 고장나도 PB0~PB5의 출력이 다시 변하는 제 3의 기간에 들어가기전에 고장검출장치(201)에 의하여 출력장치(203)의 출력이 유지되어 버리기 때문에 엘리베이터는 정지하지 않는다.
승객은 마이콤(81)의 고장을 아는 일 없이 출구에 이르러 무사히 내리므로 매우 안전하다.
이 출력(T)으로부터의 신호는 출력(PA2)으로부터 0이 출력되거나 또는 0이 출력되어 있어도 WDT(311)의 단자(Q)가 0으로 될 때까지 계속된다.
또한, 한쪽의 마이콤의 고장검출장치가 동작한 후에 있어서, 다른쪽의 마이콤이 고장난 마이콤의 복구장치로써 동작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행하여 진다.
우선, 마이콤(81, 82)의 입력(PA7)에서 다른쪽 마이콤(82, 81)이 고장난 것을 알면 출력(PA0)으로부터 1을 출력한다. 이 출력은 마이콤(81)이 복구장치로써 동작할 때는 앤드게이트(221)(마이콤(82)이 복구장치로써 동작할 때는 앤드게이트(223))에 입력되어 고장검출장치(202, 201)가 고장을 검출하고 있으면, 그대로 게이트(221, 223)로부터 출력되어 마이콤(82, 81)의 입력(RS)으로 들어가고, CPG(84)의 입력단자(RES IN)를 구동한다. 이 때문에 CPG(84)의 출력단자(RES)로부터 신호 0이 출력되어 각 소자를 리세트하여, 초기 동작부터 실행한다. 이와같이 또 한쪽의 마이콤은 복구동작을 행하게 하는 복구장치로써도 동작한다.
또한, 출력버퍼(204)는 그 내부에 제7도에 표시하는 SSR(303)을 사용하고 있어 입력(11 및 12)은 SSR(303)의 입력단자(1)에 상당하고, 출력(01 및 02)은 출력단자(P)에 상당한다. 따라서, 입력(11 또는 12)에 마이콤(82)의 출력(PB0 또는 PB1)으로부터 신호 1이 출력되면 음향경보 및 표시등(215 또는 216)이 경보하는 것이다.
고장검출장치(201)의 동작에서 출력장치(203)의 출력이 마이콤(81)의 고장시의 상태로 유지되어 있을때에 안전스위치가 작동하면, 제5도, 제7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개폐기(55, 57)는 교류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오프되어 제3도에 표시하는 접점(55a, 57a)이 열려 모터(59)는 정지하고, 브레이크(61)가 걸려 에스컬레이터는 급정지하여 승객을 위험으로부터 보호한다.
또, 스위치(31, 32)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정지시킬 수도 있다.
다음에, 이들의 소프트웨어의 동작을 플로차트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9도는 마이콤(81)의 전원투입에 의하여 동작하는 프로그램이다.
전원투입으로 동작하는 것을 표시하는 블록(401)은 마이콤의 전원이 투입되어 MPU(83)의 입력단자(RES)의 신호가 1로 되면, 다음 블록(403) 프로그램이 들어 있는 ROM(85)의 번지를 판독하여 MPU(83)의 프로그램 카운터에 세트하고 다음의 클럭으로부터 그 프로그램의 동작을 시작하도록 하고 있는 것을 표시한다.
블록(403)에서는 마이콤의 초기값의 설정을 행하는 것이다. 우선 PIA(91)의 PA 및 PB 포트는 초기값으로 입력포트에 설정되어 있으므로 그대로로 하고, PIA(93)의 쪽은 PA 및 PB 포트와도 출력으로 설정한다. 다음에 RAM(87)의 클리어를 행하고 또, 초기값으로서 필요한 값을 설정한다. 그리고 MPU(83)의 스택 포인터의 설정을 한다.
다음의 블록(405)에서는 고장검출장치(201)의 리세트를 행한다. 이 때문에 PIA(93)의 PA 포트의 PA1으로부터 1→0→1로 변화하는 신호를 출력하여 고장검출장치(201)의 WDT(311)를 리세트한다.
그리고, PA포트의 PA(2)로부터 1→0→1로 변화하는 신호를 출력하여 고장검출장치(201)의 FF(313)를 리세트하고 고장검출장치(201)의 리세트를 완료한다.
다음의 블록(407)에서는 PIA(91)의 PB포트의 입력(PB0~PB4)과 PA포트의 PA6으로부터 신호를 입력하여 아래의 프로그램에서 사용하기 쉽도록 하여 둔다.
그리고, 블록(409)에서는 PA6의 입력신호인 안전릴레이(207)의 접점(207a)의 개폐상황을 조절한다. 접점(207a)이 열려있을 때는 각종의 안전스위치가 동작하고 있거나, 정지스위치가 들어가 있을때를 위하여 에스컬레이터로서의 출력은 모두 정지하여도 좋으므로 다음의 블록(411)에서 정지의 상태를 만든다.
닫혀있을 때는 동작가능하기 때문에 다시 다음의 블록(413)으로 진행한다.
블록(411)에서는 정지상태를 만들기 위하여 PIA(93)의 PB포트의 PB0~PB4에 0을 세트하고 PB5의 출력을 0→1→0으로 변화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출력장치(203)의 FF(301)는 모두 0을 기억한다.
또한, 고장검출장치(201)의 출력(T)은 블록(405)에서 리세트하여 0이므로 상기의 기억은 가능하다. 이 동작으로부터 상승, 하강 전환용 개폐기(55, 57), 경보부저(209, 211) 고장표시등(213)은 모두 부동작으로 된다.
한편, 접점(207a)이 닫혀있을때는 안전스위치 등은 동작하고 있지 않으므로 다음의 시퀸스를 실행하기 위하여 블록(413)에서 입력된 신호에 모순이 없는가를 조사한다. 예를들면, 상승 하강 전환용 개폐기(55, 57)양쪽 모두 들어있는 신호라던가 경보부저(211와 213)의 양쪽이 울리고 있는 상태에서 모순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같이 신호에 모순이 있는 경우는 에스컬레이터를 동작시키면 안되므로, 상기 블록(411)에 진행하고 모든 출력을 리세트한다.
또한, 하드웨어가 파괴되고 있는 때라던가 출력장치(203)가 전기 노이즈로 오동작한 때나 아래에 기술하는 마이컴의 오동작이외는 이와같은 일로는 되지 않는다. 통상 모순은 없이 블록(415)으로 진행한다.
블록(415)에서는 집어넣어진 입력(PB0~PB4)의 신호를 그대로 출력(PB0~PB4)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출력(PB5)을 0→1→0으로 변화시켜 출력장치(203)의 FF(301)에 기억시켜, 각 출력을 유지시킨다. 이 동작은 통사의 전원 투입시에는 각 출력기기는 부동작으로 되어 있으므로 불필요한 동작이나, 아래에 기술하는 마이콤의 고장에서 복구한 때에 고장전의 상태로 되돌리는 동작으로써 효과 있는 동작이다.
다음의 블록(417)에서는 MPU(83)의 개입중단 마스크를 제거한다. 이 때문에 타이머(101)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제10도에 기술하는 타이머 개입중단에 의한 프로그램이 기동된다.
최후로 블록(419)에서는, 무효한 스텝으로 루프를 만들어 기능적으로는 아무것도 하지 않은 상태로써, 이 전원투입시에 기동되는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제10도는 타이머 개입중단에서 기동되는 프로그램의 전체 구성을 표시하는 플로차트이다.
이 프로그램은 제9도의 블록(417)에서 개입중단을 해제한 시점에서 타이머(101)로부터의 신호가 있으면 기동된다. 이것을 블록(451)에서 표시한다.
블록(453)에서는 에스컬레이터의 현상의 상태 및 에스컬레이터에 대한 동작지령을 독해하기 위하여 PIA(91)의 PB포트 및 PA 포트의 입력(PB0~PB4) 및 입력(PA0~PA7)의 입력신호를 입력하여 일단 RAM(7)에 기억한다.
다음의 블록(455)에서 그 신호에 따른 시퀸스 처리를 실행한다.
이 상세도는 제11도에 기술한다.
그리고, 블록(457)에서 또 한쪽의 마이콤(82)이 정상으로 동작하는가 어떤가를 조사하고, 이상이 있으면 그 처리를 행한다.
이 상세도는 제12도에 기술한다.
다음의 블록(459)에서는 상기 블록(455 및 457)에서 행한 결과를 정리하여 출력하기 위하여 PIA(93)의 PB포트의 PB0~PB4에 그 출력 신호를 세트하고, 출력(PB5)을 0→1→0으로 변화시키면 출력장치(203)의 FF(301)에 기억되고 각각의 출력기기가 동작한다.
이 타이머 개입중단의 최후에 블록(461)에서 PIA(93)의 PA포트의 PA1을 1→0→1로 변화시키면 고장검출장치(201)의 WDT(311)가 리세트 된다.
또한, 이 프로그램의 최후에서 고장검출장치(201)의 리세트를 하고 있는 이유는 이 블록(461)을 실행하기 전까지의 프로그램이 폭주하던가 일시적으로 생기는 전기 노이즈가 들어와서 프로그램의 실행순서가 어긋나거나 하면, 이 브록(61)에서 이 리세트 동작을 행할 수 없고, WDT(311)가 카운트 업하여(타이머(101)로 부터의 개입중단 간격보다 약간 긴 시간에서 카운트 업하도록 WDT(311)의 시간을 정하여 둔다) 단자(Q)로부터 1이 출력되고 고장검출장치(201)의 출력(T)이 1이 되어 고장을 검출하는 것이므로, 예를들면 이 블록(461)을 이 프로그램의 블록(453)보다 앞에서 실행하도록 하고 있는 경우에 비하여 보다 확실히 고장을 검출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이와같이, 이 출력(T)의 신호를 보면 고장이 있는가 어떤가를 알고 또, 마이콤의 하드웨어가 고장난 때도 마찬가지로 출력할 수 없게 되므로, 이 경우도 고장인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PA1으로부터의 리세트 출력이 0으로 된 그대로인 때는 WDT(311)는 동작하지 않으나 이 대책으로써 PA1의 출력을 완쇼트 멀티바이블레이터로서 구성하여 두면, 1로 되었을 때에 1회밖에 리세트되지 않으므로 더욱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또, 출력(PA2)의 출력도 마찬가지로 행하는 것으로서 확실히 기억할 수 있다.
최후의 블록(463)은 타이머 개입중단으로 기동된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것을 표시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RTI(리턴 프롬 인터랩트) 등의 명령에 의한다.
제11도는 상기 블록(455)의 상세한 플로차트이며 블록(501)은 이것을 표시하는 것이다.
다음의 블록(503)은 안전 릴레이(207)읜 접점(207a)의 개폐를 조사하여, 안전 스위치 관계가 동작하고 있거나, 정지스위치가 들어가 있기 때문에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키지 않으면 안되는가 어떤가를 알기 위한 것이다. 이 결과 열려져 있는 경우는 블록(505)에서 제9도의 블록(411)과 마찬가지로 모든 출력을 0으로하여 각 출력기기를 부동작으로 한다. 그리고, 블록(507)에서 이 블록(455)의 상세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접점(207a)이 닫혀있을 때는 통상의 상태이므로 다음의 블록(509)에서 상승, 하강 전환용 개폐기(55, 57)의 어느쪽을 투입하고 있는가를 조사한다. 이때 양자가 다함께 들어있지 않으면, 정지중이므로 다시 기동 요구가 있는가 없는가를 블록(511)에서 조사한다. 어느쪽인가가 들어가 있을 때는 운전중이며 그대로 하여 두면 좋고 블록(507)이 종료한다.
블록(511)에서는 정지하고 있는 에스컬레이터를 기동하기 위하여 우선, 에스컬레이터 주위의 사람에게 경보를 부여하는 경보부저(211 또는 213)를 울리기 위한 경보용 스위치(123T 및 123B)의 상황을 조사한다. 닫혀 있을 때는 경보가 울리려고 하고 있으므로, 상부 승강구의 스위치(123T)가 들어가 있을 때는 하부 기계실의 경보부저(211)를 울리기 위하여 출력(PB4)을 1을 하도록 하고, 하부 승강구의 스위치(123B)가 들어가 있을 때는 상부 기계실의 경보부저(209)를 울리기 위하여 출력(PB3)을 1로 하도록 실행한다.
그리고, 경보용 스위치가 열려있을 때 실행하는 경우와 같이 블록(515)으로 진행한다. 이 블록(515)에서는 에스컬레이터의 기동스위치가 동작하고 있는가 어떤가를 조사한다. 스위치(121T)와 스위치(121B)의 어느 쪽인가가 닫혀있을 때는 블록(517)에서 에스컬레이터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출력(PB0)을 1로 하도록 하고 또, 스위치(123T) 또는 스위치(123B)가 닫혀있을 때는 에스컬레이터를 하강시키기 위하여 출력(PB1)을 1로 하도록 하여 상승, 하강 전환용 개폐기(55 57)를 각각 투입한다.
블록(515)에서 기동 스위치가 열려있을 때 동작 요구가 없기 때문에 아무것도 하지 않고 블록(507)에서 종료한다. 또한, 이상에서 설정한 마이콤으로부터의 출력은 제10도의 블록(459)에서 일괄 출력된다.
제12도는 제10도의 블록(457)의 상세한 플로차트로서, 한쪽 마이콤(82)의 이상 감시용 프로그램이다. 또한 블록(551)은 이것을 표시하는 것이다.
블록(553)은 프로그램의 실행순서에 따라 최초로 와있으나, 설명은 다음의 블록(557)부터 시작한다.
블록(557)에서는 마이콤(82)이 정상인가 어떤가를 감시하는 것이며, 이 감시로서는 고장검출장치(202)의 출력결과를 보고 정상인가 어떤가를 판단한다. 이 때문에, 이 블록(557)에서는 고장검출장치(202)의 출력(T)으로부터의 신호 입력인 입력(PA7)의 신호상태를 조사하여, 0 으로되어 있으면 정상이므로 블록(563)에서 이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1이면 고장검출장치(202)는 고장을 검출하고 있으므로 원래의 정상의 상태로 되돌려 주기 위하여 마이콤(82)에 대하여 리트라이를 걸어줄 필요가 있다. 이 동작을 하기 전에 블록(559)에서 지금까지의 프로그램의 실행에서 고장을 검출하고 있는 가 어떤가를 고장표시등(213)을 점등시키는 신호인 출력(PB4)(PIA(93)의 PB포트의 PB4)에 1을 세트하고 있는 가 어떤가를 조사한다. 1일때는 이미 고장나 있으므로, 그대로 블록(563)에서 종료한다.
0일때는 처음으로 고장나 있으므로 블록(561)에서 리트라이를 걸어준다. 이 리트라이용에 출력(PA0)으로부터의 출력신호 1을 출력하기 위하여 PIA(93)의 PA포트의 PA0에 1을 세트한다. 이것에 의하여 게이트(221)에 1이 입력된다. 이 게이트(221)에는 미리 고장검출장치(202)의 출력(T)의 1이 입력되어 있으므로, 이 1에 의하여 게이트(221)의 출력으로부터도 1이 나오게 되어 마이콤(82)의 입력(RS)에 더하여 다시 CPG(84)의 입력단자(RES IN)에 더하여지므로, CPG(84)는 이 0으로부터 1로 변한 것을 검출하면 일정시간 출력단자(RES)를 0으로하여 MPU(83), PIA(91) 및 PIA(93)를 리세트한다. 그리고 일정시간경과 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통상의 전원투입시의 프로그램인 제13도의 플로차트로부터 실행을 시작하여 초기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고장인 것을 보수시에 보수원에 알리기 위하여 고장표시등(213)을 점등하나, 이 점등은 PIA(93)의 PB포트의 PB4에 1을 세트하도록 하고, 이 실제의 출력은 제10도의 블록(459)에서 행하여진다.
이들의 실행이 행하여지면 최후의 블록(563)에서 이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또한, 이와같이 하여 프로그램이 실행된 후에 다음의 타이머 개입중단에서 이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블록(553)에서 전회의 실행에서 마이콤(82)에의 리트라이의 출력인 출력(PA0)이 1로 되어 있는가 어떤가를 조사하여 리트라이를 걸고 있으면 블록(555)에서 그 출력을 0으로 하도록 PIA(93)의 PA0에 0을 세트한다. 이것에 의하여 재차 고장검출장치(202)가 고장을 검출하여도 즉시 리트라이가 걸리지 않으므로, 리트라이의 회수제한등도 행할 수 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1회만의 리트라이로 되도록 하고 있다.
또, PA0의 출력이 0으로 세트되어 있으면 아무것도 하고 있지 않으므로, 상기 설명과 같이 블록(557)을 실행한다.
제13도는 마이콤(82)의 전원투입에 의하여 동작하는 프로그램이다.
전원투입에서 동작하는 것을 표시하는 블록(601)은 마이콤의 전원이 투입되어 MPU(83)의 입력단자(RES)의 신호가 1로 되면 다음 블록(603)의 프로그램이 들어있는 ROM(85)의 번지를 판독하여 MPU(83)의 프로그램 카운터에 세트하고, 다음의 블록으로부터 그 프로그램의 동작을 시작하는 것을 표시한다.
이 동작은 마이콤(81)과 전부 동일하다.
그리고, 블록(603)에서는 마이콤의 초기값의 설정을 행하는 것이다. 우선 PIA(91)의 PA 및 PB포트는 초기값으로 입력포트에 설정되어 있으므로 그대로 하여 PIA(93)의 쪽은 PA 및 PB 포트도 출력으로 설정한다.
다음에, RAM(87)의 클리어를 행하고 또 초기값으로서 필요한 값을 설정한다. 그리고, MPU(83)의 스택 포인터의 설정을 행한다.
다음의 블록(605)에서는 고장검출장치(202)의 리세트를 행한다. 이 때문에, PIA(93)의 PA포트의 PA1으로부터 1→0→1로 변화하는 신호를 출력하여, 고장검출장치(202)의 WDT(311)를 리세트한다. 그리고, PA포트의 PA2로부터 1→0→1로 변하는 신호를 출력하여, 고장검출장치(202)의 FF(313)를 리세트하여 고장검출장치(202)의 리세트를 완료한다. 다음의 블록(607)에서는 MPU(83)의 개입중단 마스크를 해제한다. 이 때문에, 타이머(101)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제14도에서 기술하는 타이머 개입중단에 의한 프로그램이 가동된다.
최후로, 블록(609)에서는 무효한 스텝으로 루프를 만들어 기능적으로는 아무것도 하지않은 상태로서, 이 전원투입시에 기동되는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제14도는 타이머 개입중단에서 기동되는 프로그램의 전체구성을 표시하는 플로차트이다.
이 프로그램은 제13도의 블록(607)에서 개입중단을 해제한 시점에서 타이머(101)로부터의 신호가 있으면 기동된다. 이것을 블록(651)에서 표시한다.
다음의 블록(653)에서는 감시하는 대상의 마이콤(81)의 상황을 알리기 위하여 PIA(91)의 PB포트의 PB0 및 PB1과 PA 포트의 PA7에 입력되어 있는 신호를 집어넣어, 사용하기 쉽도록 RAM(87)에 일단 기억하여 둔다.
그리고, 블록(655)에서 시퀀스 제어를 담당하고 있는 또, 한쪽의 마이콤(81)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가 어떤가를 조사하여, 이상이 있으면, 그 처리를 행한다. 이 상세도는 제15도에 기술한다.
이 타이머 개입중단의 최후의 블록(657)에서 PIA(93)의 PA포트의 PA1을 1→0→1로 변화시키면 고장검출장치(202)의 WDT(311)가 리세트 된다.
또한, 이 프로그램의 최후에서 고장검출장치(202)의 리세트를 하고 있는 이유는 마이콤(81)의 플로차트에서 기술한 것과 같다.
최후의 믈록(659)은 타이머 개입중단에서 기동된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것을 표시하는 것이다.
제15도는 상기 블록(655)의 상세한 플로차트로서 한쪽 마이콤(81)의 이상 감시용 프로그램이며 블록(701)은 이것을 표시하는 것이다.
블록(703)은 프로그램의 실행 순서에 따라서 최초로 와있으나, 설명은 다음 블록(707)부터 시작한다.
블록(707)에서는 마이콤(81)이 정상적인가 어떤가를 감시하는 것이며, 이 감시로서는 고장검출장치(201)의 출력결과를 보고 정상인가 어떤가를 판단한다. 이 때문에, 이 블록(707)에서는 고장검출장치(201)의 출력(T)으로부터의 신호입력인 입력(PA7)의 신호상태를조사하여 0이면 정상이므로, 블록(715)에서 이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1이면 고장검출장치(201)는 고장을 검출하고 있으므로 원래의 정상 상태로 되돌려 놓기 위하여 마이콤(81)에 대하여 리트라이를 걸어 줄 필요가 있다. 이 동작을 하기 전에 블록(709)에서 지금까지의 프로그램의 실행에서 고장을 검출하고 있는가 어떤가를 RAM(87)내에 고장 기억 1로서 기억하여 둔 결과를 조사한다.
1일때는 이미 고장난 것이 있으므로 블록(716)으로 가고, 0일때는 처음으로 고장난 것이므로 블록(711)에서 리트라이를 걸어준다. 이 리트라이용에 출력(PA0)으로부터의 출력신호 1을 출력하기 위하여 P1A(93)의 PA 포트의 PA0에 1을 세트한다. 이것에 의하여 게이트(223)에 1이 입력된다. 이 게이트(223)에는 미리 고장검출장치(201)의 출력(T)인 1이 입력되어 있으므로, 이 1에 의하여 게이트(223)의 출력으로부터도 1이 나오게 되어 마이콤(81)의 입력(RS)에 더하여 다시 CPG(84)의 입력단자(RES IN)에 가하여지므로, CPG(84)는 이 0에서 1로 변한 것을 검출하면 일정 시간 출력단자(RES)를 0으로하여 MPU(83), PIA(91) 및 PIA(93)를 리세트한다. 그리고 일정시간 경과 후에는, 제9도의 전원투입시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시행을 시작하여 초기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다음의 블록(711)에서 상기의 고장기억 1을 RAM(87)에 기억한다.
이들의 실행이 행하여지면, 최후의 단자(563)에서 이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또한, 이와같이 하여 프로그램이 실행된 후에 다음의 타이머 개입중단에서 이 프로그램이 기동되면 블록(703)에서 전회의 실행에서 마이콤(81)으로의 리트라이 츨력인 출력(PA0)이 1로 되어 있는가 어떤가를 조사하여, 리트라이를 걸고 있으면, 블록(705)에서 그 출력을 0으로 하도록 PIA(93)의 PA0에 0을 세트한다. 이것에 의해 다시 고장검출장치(201)가 고장을 검출하여도 즉시 리트라이가 걸리지 않으므로 리트라이의 회수 제한을 위한 소정 회수의 설정등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리트라이의 소정회수를 1회로 하여 1회만의 리트라이로 되도록 하고 있다.
또, PA0의 출력이 0으로 세트되어 있으면 아무것도 하고 있지 않으므로 상기 설명과 같이 블록(707)을 실행한다. 전회 리트라이를 걸었다고 하면 다음회의 이때까지에 마이콤(81)이 정상적으로 복구하여 있으면, 고장검출장치(201)의 출력(T)은 0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 입력(PA7)은 0이며, 이때는 그대로 블록(715)에서 종료한다.
그러나, 하드의 고장에서 바로 고쳐지지 않은 때나 소프트웨어의 고장이나 전기적 노이즈에서 오동작한 때는 1로 되므로, 다음의 블록(709)으로 간다. 또, 적어도 다음회의 실행시에는 고쳐저 있었으나 다시 전기적 노이즈가 진입하거나, 특히 소프트웨어에서는 버그(bug)가 있는 개소를 그 후에 실행하면 마찬가지로 고장나는 것이 된다. 이때도 1이 되므로, 블록(709)으로 가서 이것을 실행하는 것이 된다.
이와같이 전회 이전에 고장이 나 있을 때는 블록(709)에서는 전회 이전에 고장 기억으로서 1을 기억하고 있으므로 이때는 블록(716)으로 진행한다.
블록(716)에서는 이 고장시의 에스컬레이터의 상황을 조사하여 그것에 대응한 고장 표시를 행하는 것이다. 즉, 출력장치(203)의 출력(Q1)이 1일때는 마이콤(82)의 입력(PB0)(PIA(91)의 PB포트의 PB0)도 1이 되고, 이 때는 상승용 개폐기(55)가 동작하고 있으므로 하부의 승강구에 음향경보 및 표시등(217)으로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람에 대하여 고장이므로 타지 않도록 경보를 주기 위해 PIA(93)의 PB포트의 PB0에 1을 세트하여, 출력(PB0)을 1로 한다. 이것에 의하여, 출력버퍼(204)를 경유하여 하부의 음향경보 및 표시등(217)으로 표시한다.
출력장치(203)의 출력(Q2)이 1일때는 마이콤(82)의 입력(PB1)(PIA(91)의 PB포트의 PB1)도 1이 되고 이때는 하강요 개폐기(57)가 동작하고 있으므로 상부의 승강구의 음향경보 및 표시등(217)에서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람에 대하여 고장이므로 타지 않도록 경보를 부여하기 위하여 PIA(93)의 PB포트의 PB1에 1을 세트하여, 출력(PB1)이 1로 된다. 이것에 의하여, 출력버퍼(204)를 경유하여 상부의 음향경보 및 표시등(215)으로 표시한다.
출력장치(203)의 출력(Q1 및 Q2)이 양쪽다 0일때는 에스컬레이터는 정지하고 있는 때이므로, 상부 및 하부의 승강구로부터 사람이 들어오지 않도록 양쪽 다 표시한다. 이 때문에 PIA(93)의 PB포트의 PB0 및 PB1의 양쪽 다 1을 세트하여, 출력(PB1, PB2)이 1로 된다. 이것에 의하여 출력버퍼(204)를 경유하여 상부의 음향경보 및 표시등(215 및 217)을 표시한다.
그리고, 최후의 블록(715)에서 종료한다.
이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종합한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소프트웨어의 플로(flow)의 설명은 간략화 하기 위해 제9도 ~ 제15도의 각 블록의 표시는 각 블록의 부호만을 인용하고, 블록이라는 어구(語句)는 생략한다.
1.전원투입시의 동작
제어장치(63)의 전원이 투입되면 마이콤 전원(P5)의 전원이 상승할때까지, 전압검출소자(205)로부터 출력장치(203)의 입력(RS)에 0을 출력한다. 그리고, 충분한 전원전압이 상승하면 1로 된다. 이 때문에, 출력장치(203)의 FF(301)의 내부 기억은 모두 0으로 리세트된다. 또, 마찬가지로 제6도의 CPG(84)도 전원전압이 충분히 상승하고나서 다시 소정시간(이 시간내는 마이콤(81)의 입력(RS) 즉, CPG(84)의 입력단자(RES IN)의 신호는 무시되어 있다)은 CPG(84)의 출력단자(RES)로부터 신호 0이 출력되어, 각각 MPU(83), PIA(91 및 93)를 리세트하여, 그 내부 레지스터 등에 그 하드웨어에서 정해진 초기값이 세트된다. 그리고, 소정시간 경과후에 이 신호는 0에서 1로 변한다.
그리고, 그 동나에 CPG(84)의 출력단자(ψ1 및 ψ2)로 부터의 클럭펄스는 MPU(83)의 입력단자(ψ1 및 ψ2)에 입력되어 있으므로, 상기의 1로 변한때부터 마이콤으로서 동작을 개시한다.
이 최초에 동작하는 프로그램은 제9도 및 제13도에 기재한 마이콤의 이니셜라이즈(initialize)의 프로그램이다. 구체적으로는 마이콤(81)에서는 제9도의 단자(401→403)(이니셜라이즈)→405(고장검출장치(201)의 리세트)→407(입력집어넣기)→409(정지검출)→413(신호체크)→415(현상유지의 신호세트)→417(개입중단 마스크해제)→419로 실행된다. 따라서, 전원투입에서 출력장치(203)의 FF(310)에는 0이 세트되어 있으므로 블록(415)에서도 모든 출력기기는 동작하지 않게 된다.
이 개입중단 마스크해제 이후는 제10도의 프로그램이 타이머 개입중단마다에 동작을 개시한다. 이때는 단자 451→453(입력집어넣기)→455(시퀸스처리)→제11도 503(정지검출)→509(동작검출)→511(경보검출)→515(기동검출)→단자(507)→제10도 457(상대방 감시)→제12도 503(리타라이검출)→557(고장검출)→단자(563)→제10도 459(출력)→461(WDT리세트)→단자(463)로 실행되어 있다.
한편, 마이콤(82)에서는 제13도의 단자 601→603(이니셜라이즈)→605(고장검출장치(202)의 리세트)→607(개입중단 마스크해제)→단자 609로 동작한다.
이 개입중단 마스크해제 이후는, 제14도의 프로그램이 타이머 개입중단마다에 동작을 개시한다. 이때는, 단자 651→653(입력집어넣기)→655(상대방 감시)→제15도의 703(리트라이검출)→707(고장검출)→단자715→제14도 657(WDT리세트)→단자 659에서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다.
2.정상의 기동·정지동작
상기와 같이 전원이 투입되어 동작하고 있을 때에 상부 승강구에서 경보를 발생하고나서 상승운전을 지령하면 다음과 같이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1)상부 경보용 스위치(124T)의 조작;
이 조작에 의하여, 제10도의 단자 451→453(입력집어넣기)→455(시퀸스처리)→제11도 503(정지검출)→509(동작검출)→551(경보검출)→513(경보출력)→515(기동검출)→단자507→제10도 457(상대방 감시)→459(출력)→461(WDT리세트)→단자 463에서 스위치(124T)를 닫고 있는 동안은 하부의 승강구에서 경보를 발생하여, 그 주변의 사람에 주의를 부여하고 있다.
(2)상부의 상승을 지령하는 스위치(121T)의 조작;
이 조작에 의하여 제10도의 단자 451→453(입력집어넣기)→455(시퀸스처리)→제11도 503(정지검출)→509(동작검출)→511(경보검출)→515(기동검출)→517(기동출력)→단자 507→제10도 457(상대방 감시)→459(출력)→461(WDT리세트)→단자 463에서 상승운전을 개시한다.
그리고, 에스컬레이터가 기동되면 제10도의 단자 451→453(입력집어넣기)→455(시퀸스처리)→제11도 503(정지검출)→509(동작검출)→단자 507→제10도 457(상대방 감시)→459(출력)→461(WDT리세트)→단자 463에서 경보스위치 및 기동스위치는 일단 기동되면 무관계로 되어 정상운전으로 들어간다.
(3)상부정지 스위치(127T)를 조작하여 정지;
이 조작에 의하여 제10도의 단자 451→453(입력집어넣기)→455(시퀸스처리)→제11도 503(정지검출)→505(정지검출)→단자 507→제10도 457(상대방 감시)→459(출력)→461(WDT리세트)→단자 463에서 상승 운전을 정지한다.
또한, 이때에 마이콤(81) 쪽에서의 정지 처리를 만일 취하지 않아도 제5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상승, 하강 전환용 개폐기(55, 57)의 전원이 끊어지므로 확실히 정지할 수 있다.
3.안전스위치가 동작한 때의 동작
안전 스위치가 전원투입시로부터 작동하고 있을때는 제9도의 단자 401→403(이니셜라이즈)→405(고장검출장치(201)의 리세트)→407(입력집어넣기)→409(정지검출)→411(0출력)→417(개입중단 마스크해제)→단자(419)와 최초로부터 출력기기에 대하여 부동작을 출력한다. 이 프로그램은 정지 스위치가 들어가 있을 때도 마찬가지이다.
전원을 투입하고부터 작동할 때는 제10도의 타이머 개입중단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된다. 이때는 단자 451→453(입력집어넣기)→455(시퀸스처리)→제11도 503(정지검출)→505(정지검출)→단자 507→제10도 457(상대방 감시)→459(출력)→461(WDT리세트)→단자 463에서 정지동작으로 된다. 이 프로그램은 상술한 것과 같이 정지중 및 운전중에 관계없이 안전 스위치가 작동하면 정지 동작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 출력장치(203)에서 출력기기의 동작신호가 출력되어 있어도 안전스위치가 작동하고 있는 동안은 상승·하강 전환용 개폐기(55, 57)의 전원이 차단되어 있으므로 확실히 정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마이콤(81)의 지령에 의거하여 출력장치(203)에서 릴레이의 유지를 하고 있으나 이 출력장치(203)가 고장으로 출력을 유지한 그대로는 스위치가 되돌아가 닫히면 다시 기동할 우려가 있으나, 이와같은 같을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폐기(55, 57)의 쪽에서 유지하고 있는 방식을 채용하여, 재투입할 수 없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4.마이콤(81)의 고장으로, 리트라이를 복구시킬때의 동작
마이콤(81)의 고장으로 블록(461)을 실행할 수 없고 고장검출장치(201)의 출력(T)에서 1이 출력되면 이 신호에 의하여 오동작하고 있는 마이콤(81)으로부터 잘못된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상기 1이 출력장치(203)의 입력(CUT)에 전달되어 FF(301)가 동작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오동작한 때의 출력신호의 그대로, 그후에도 운전을 속행할 수 있고, 또 안전스위치가 동작한 때는 상기와 같이 정지할 수 있으므로, 에스컬레이터에 타고 있는 사람을 안전하게 최후까지 탈수가 있다.
더욱이, 또 한쪽의 마이콤(82)이 이것을 검출하면 리트라이를 걸어서 마이콤(81)을 회복시키는 동작도 행할 수가 있다. 이것은, 제14도의 단자651→653(입력집어넣기)→655(상대방 감시)→제15도 703(리트라이검출)→707(고장검출)→709(고장기억검출)→711(리트라이출력)→713(고장기억)→단자 715→제14도의 657(WDT 리세트)→단자 659에서 고장을 검출하여 리트라이에 의하여 회복을 도모하고 있다. 이때, 마이콤(81)의 쪽에서는 제9도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실행을 시작한다. 예를들면, 일과성의 전기 노이즈로서 오동작한때는 그 전기 노이즈가 없어지면 이후는 정상으로 동작하는 것이 통상이므로, 블록(415)에서, 이전의 출력상태로 복귀하고 나서, 제10도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므로 에스컬레이터에 타고 있는 사람에게 고장을 알리는 일없이 승객은 그대로 타고가서, 안전이 유지된다.
리트라이를 건 마이콤(82)에서는 다음의 타이머 개입중단에서 제14도의 단자 651→653(입력집어넣기)→655(상대방 감시)→제15도 703(리트라이검출)→705(리트라이 출력해제)→707(고장검출)→단자 715→제14도의 657(WDT 리세트)→단자 659에서 리트라이 출력을 해제하여, 고장이 제9도의 블록(405)에서 리세트되면 제15도의 블록(707)에서는 정상이라 판단하여 고장기억만 남긴 상태로 종료한다.
5.상기 4의 조건하에서 다시 고장이라 판단한 때의 동작
리트라이에서 복구되지 않고 혹은 다시 고장이라 하면 하드적으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출력장치(203)에의 마이콤(81)으로부터의 기록만으로는 할 수 없으므로 역시 고장난때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소프트적으로는 마이콤(82)의 프로그램의 제14도의 단자 651→653(입력집어넣기)→655(상대방 감시)→제15도 703(리트라이검출)→707(고장검출)→709(고장기억검출)→716(고장표시출력)→단자 715→제14도의 657(WDT 리세트)→단자 659에서, 재차 고장을 검출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리트라이를 걸어서 복구시키는 것은 1회만으로 하고 있으므로(복수회로 할 때는 고장의 회수카운트의 프로그램을 넣으면 좋다), 상기 블록(716)에서 에스컬레이터의 탑승입구에 고장의 표시를 행하여 에스컬레이터에 이 시점으로부터 이용하지 않도록 안내를 한다.
즉, 1회의 고장으로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키는 것이 아니고, 2회째부터 (또는 3 회째 이상부터) 경보를 내어, 다음의 이용객으로부터 타지않도록 하고 있으므로, 최악의 사태에서의 비상정지를 피할 수가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최악의 사태가 되지 않는다고 하여, 그대로 이용을 계속하여도 지장은 없다. 이것을 다음에 설명한다.
6.상기 5의 조건하에서 안전 스위치가 작동 한때의 동작
상기 마이콤(81)의 고장 그대로의 조건하에서도 안전스위치가 작동하면 상기한 것과 같이 상승, 하강 전환용 개폐기(55, 57)의 전원이 끊어지므로 정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조건하에서 운전하고 있어도 안전상하등의 문제도 없다. 또, 정지스위치(127)도 마찬가지로 상승, 하강 전환개폐기(55, 57)의 전원에 들어가 있으므로 이 상태에서도 확실히 정지시킬 수가 있다.
7.마이콤(82)의 고장으로, 리트라이로 회복한 때의 동작
마이콤(82)의 고장으로, 제14도의 블록(657)을 실행하지 못하고 고장검출장치(202)가 고장을 검출하여 출력(T)에서 1이 출력되면, 이 신호를 또 한쪽의 마이콤(81)이 검출하면 리트라이를 걸어서 마이콤(82)을 회복시키는 동작을 행한다. 이것은 제10도의 단자 451→453(입력집어넣기)→455(시퀸스처리)→457(상대방 감시)→제12도 553(리트라이검출)→557(고장검출)→559(고장표시검출)→561(리트라이 출력 및 고장표시)→단자 563→제10도 459(출력)→461(WDT리세트)→단자 659에서 실행하여, 고장을 검출한후 리트라이에 의하여 회복을 도모하고 있다.
이때 마이콤(82)의 쪽에서는 제13도의 프로그래으로부터 동작을 시작한다.
예를들면, 일과성의 전기노이즈로 오동작한 때는 이후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통상이므로 고장검출장치(202)를 리세트하여, 제14도의 프로그램을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리트라이를 건 마이콤(81)에서는 다음의 타이머 개입중단으로 제10도의 단자 451→453(입력집어넣기)→455(시퀸스처리)→457(상대방 감시)→제12도 553(리트라이 검출)→555(리트라이 출력해제)→557(고장검출)→단자 563→제12도 459(출력)→461(WDT리세트)→단자 463에서 리트라이 출력을 해제하여, 고장이 제13도의 블록(605)에서 리세트되면 제12도의 블록(557)에서는 정상이라 판단하여, 고장표시를 그대로 남긴 상태에서 종료한다.
이것에 의하여 다음회의 보수시에 이 고장표시등(213)이 점등하고 있는 것을 보수원이 보고 고장이력을 알아 대책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8.상기 6의 조건하에서 재차 고장인 때의 동작
이때는 타이머 개입중단에서 제10도의 단자 451→453(입력집어넣기)→455(시퀸스처리)→457(상대방 감시)→제12도 553(리트라이검출)→557(고장검출)→559(고장표시검출)→단자 563→제10도 459(출력)→461(WDT세트)→단자 463에서 재차 고장을 검출하여도 리트라이를 거는 일은 없다. 또한, 수회(數回)리트라이를 걸고자 할 때는 회수카운트의 프로그램을 추가하면 좋다.
이상 기술한 실시예에서는 시퀀스처리를 행하는 마이콤(81)에 대하여, 고장검출장치(201) 및 출력장치(203)를 디스크리트(discrete)의 하드웨어로 구성하여 고장을 회복시키는 리트라이 동작의 지령을 발생하는 복구 장치를 마이콤(81)에서 구성하였으나, 이 구성을 예를 들면 복구장치도 디스크리트의 하드웨어로 구성해도 효과는 변화하지 않고 반대로 고장검출장치(201)를 디지털 전자계산기로 구성하여, 마이콤(81)의 출력(PA1)으로 부터의 정기적인 출력신호를 조사하는 것에 의하여 고장을 검출하고, 다시 리트라이 동작도 행하는 복구장치와 겸하여도 좋다.
또, 이상에서 기술한 것과 같은 복구장치를 갖지 않고도 고장시의 출력을 유지하는 출력장치만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물론, 이 복구장치가 있으면, 고장이 나도 에스컬레이터의 승객에 감지되는 일없이 복구할 수 있고, 또 종래예에서 기술한 것과 같은 안전스위치를 마이콤에 집어넣어서 동작점을 조사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본 안과 같이 즉시 복구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 복구장치를 설치하는 효과는 크다.
또한, 이상에서 기술한 출력장치(203)의 SSR(303)은 한 개의 출력기기에 대하여 1개만 설치한 것이나 이것을 병렬로 2개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출력버퍼의 병렬화), 1개가 고장이나서 에스컬레이터가 정지하는 일이 없으므로, 안전하게 승객을 운반할 수가 있다.
또,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출력장치(203)의 출력을 마이콤(81)의 고장전의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에 의하여 마이콤(81)의 고장후의 마이콤(81)에 의한 판단결과를 무효과가 되도록 하고 있으나, 에스컬레이터써의 기본적 운전은 마이콤(81)에 위탁하지 않고 부가적 기능만을 마이콤(81)에 위임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마이콤(81)의 고장을 검출하여, 그 판단 출력자체를 커트(cut)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에스컬레이터를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동도로 혹은 깨지기 쉬운 반송기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객콘베어의 시퀀스처리를 하고 있는 마이콤이 고장나더라도 급정지등의 비정상적인 동작을 일으키기 전에 이것을 검출하여, 출력장치에서 고장전의 출력신호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급정지로 승객이 급격히 넘어지는 일없이 또 노인이나 신체장애자 등이 타고있어 정지한 에스컬레이터를 도중에서 걸어 내려오는 것이 곤란한 일도 없다.
또한, 다음의 효과도 있다.
1.마이콤이 고장나도 안전스위치가 작동하면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키므로, 승객에 위험은 없다.
2.고장이 나도 타고 있는 사람을 위하여 에스컬레이터는 정지하지 않으나, 다음에 타는 사람을 위하여 탑승입구에 경보의 표시를 하였으므로, 고장이난 후의 만일의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3.또한, 고장을 복구하는 장치를 설치하였으므로, 즉시 복구할 수 있어 만일의 사태에 조속히 대비할 수 있다.
4.또한, 고장을 복구하는 장치를 설치하여, 복구한 후에 있어서 출력장치에서 유지하고 있는 고장전의 신호를 원래 마이콤에서 동작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고장 때문에 경보를 발생하여 승객콘베어의 기능을 정지하는 일이 없다.

Claims (22)

  1. 계단체인과, 상기 계단체인의 구동기계와 제어용의 컴퓨터를 구비한 승객콘베어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의 이상 동작을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이 이상을 검출하면 상기 컴퓨터의 출력신호를 이상을 검출한 시점의 출력신호 그대로 유지하는 출력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콘베어의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을 다른 컴퓨터로 구성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콘베어의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워치도그(watch dog)타이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콘베어의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콘베어의 안전스위치가 작용한 경우에 상기 구동기계를 정지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콘베어의 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이 이상을 검출하면 승객콘베어의 탑승입구에 경보를 발생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콘베어의 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수단을 다른 컴퓨터로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콘베어의 제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이 이상을 검출하면 이상이 생긴 컴퓨터를 복구시키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콘베어의 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구수단에 의하여 회복한 후에 상기 출력수단의 출력신호가 상기 컴퓨터에 입력되고, 컴퓨터는 그 신호에 의거하여 동작을 계속하는 순서를 사용하여 승객콘베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콘베어의 제어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구수단에 의하여 이상이 회복하지 않은 때에는 상기 출력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을 유지한 그대로 동작시키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콘베어의 제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구수단은, 소정회수만큼만 컴퓨터를 복구시키는 동작을 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콘베어의 제어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구수단에 의하여 이상이 회복하지 않은 때에는, 승객이 타지 않도록 승객콘베어의 탑승입구에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콘베어의 제어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구수단은 소정회수만큼만 상기 컴퓨터를 복구시키는 동작을 행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복구수단에 의하여 이상이 회복하지 않은 때에 승객이 타지 않도록 승객콘베어의 탑승입구에 경보를 발생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콘베어의 제어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구수단을 다른 컴퓨터로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콘베어의 제어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구수단 및 경보를 발생하는 수단을 다른 컴퓨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콘베어의 제어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승객콘베어는 에스컬레이터 및 전동도로의 어느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콘베어의 제어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의 출력버퍼를 적어도 2개 병렬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콘베어의 제어장치.
  17. 계단체인과, 상기 계단체인의 구동기계와, 제어용 컴퓨터를 구비한 승객콘베어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의 타이머 출력이 정상시의 것으로부터 다른 것으로 이동한 것에 의하여, 상기 컴퓨터의 상기 구동기계 제어신호를 상기 정상시의 것으로부터 다른 것으로 이동하였을때의 그대로로 유지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콘베어의 제어장치.
  18. 계단체인과, 상기 계단체인의 구동기계와, 제어용 컴퓨터를 구비한 승객콘베어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가 이상으로 된 경우에 이상에 의하여 생기는 상기 구동기계의 제어신호의 변동이 생기기 이전에 제어신호를 유지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콘베어의 제어장치.
  19. 계단체인과, 상기 계단체인의 구동기계와, 제어용 컴퓨터를 구비한 승객콘베어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가 이상으로 된 경우에 이상 후의 상기 컴퓨터의 판단결과를 무효과로 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콘베어의 제어장치.
  20. 계단체인과, 상기 계단체인의 구동기계와, 제어용 컴퓨터를 구비한 승객콘베어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가 이상으로 된 때에 상기 이상전의 승객콘베어의 운전을 계속시키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콘베어의 제어장치.
  21. 계단체인과, 상기 계단체인의 구동기계와, 제어용 컴퓨터를 구비한 승객콘베어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가 이상으로 된 때에 이상전의 반송기의 운전을 계속시키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콘베어의 제어장치.
  22. 계단체인과, 상기 계단체인의 구동기계와, 제어용 컴퓨터를 구비한 승객콘베어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의 이상 동작을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의 출력에 따라 동작하여 그후의 상기 승객콘베어의 운전의 정지를 수동조작만에 의하여 허가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콘베어의 제어장치.
KR1019900010461A 1989-07-21 1990-07-11 승객콘베어의 제어장치 KR1001953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87348 1989-07-21
JP1187348A JPH0729749B2 (ja) 1989-07-21 1989-07-21 乗客コンベアの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699A KR910002699A (ko) 1991-02-26
KR100195388B1 true KR100195388B1 (ko) 1999-06-15

Family

ID=16204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0461A KR100195388B1 (ko) 1989-07-21 1990-07-11 승객콘베어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083653A (ko)
JP (1) JPH0729749B2 (ko)
KR (1) KR100195388B1 (ko)
CN (1) CN1020705C (ko)
GB (1) GB2235791B (ko)
HK (1) HK31395A (ko)
SG (1) SG18795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460B2 (ja) * 1990-03-02 1995-05-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ペアの制御装置
JP2523927B2 (ja) * 1990-04-11 1996-08-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の制御装置
DE4113959A1 (de) * 1991-04-29 1992-11-05 Kloeckner Humboldt Deutz Ag Ueberwachungseinrichtung
US5295567A (en) * 1992-12-30 1994-03-22 Otis Elevator Company System for emergency stopping of escalator handrail
US5886497A (en) * 1995-05-26 1999-03-23 Otis Elevator Company Control arrangement for escalator or moving walk
DE19541410C2 (de) * 1995-11-07 1999-04-01 O & K Rolltreppen Gmbh Wiederbereitschaftsschalteinrichtung für Personenförderanlagen
US5697485A (en) * 1995-12-19 1997-12-16 Otis Elevator Company Passenger conveyor control system having decentralized inputs and outputs
JP3208060B2 (ja) * 1996-05-27 2001-09-10 三菱電機株式会社 並列二重系電子連動装置
US6112166A (en) * 1997-10-31 2000-08-29 Digimetrix, Inc. Portable measurement tool and method for escalators and moving walks
DE19754141C2 (de) * 1997-12-04 2000-05-25 O & K Rolltreppen Gmbh Sicherheitseinrichtung für Rolltreppen und Rollsteige
DE19849238C1 (de) 1998-10-26 2000-03-09 O & K Rolltreppen Gmbh Verfahren zur Abschaltung von Personenförderanlagen sowie Sicherheitskreis für Personenförderanlagen
SG85215A1 (en) * 1999-10-08 2001-12-19 Inventio Ag Safety circuit for an elevator installation
US6601688B1 (en) * 1999-10-21 2003-08-05 Otis Elevator Company Passenger conveyor gap monitoring device
DE19960491C5 (de) * 1999-12-15 2010-06-10 Otis Elevator Co., Farmington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Regelung des Antriebs einer Fördereinrichtung
DE10018887B4 (de) 2000-04-14 2005-02-10 Kone Corp.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Regelung der Bremse(n) einer Personenförderanlage
DE10128840A1 (de) * 2001-06-15 2003-01-09 Otis Elevator C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des Antriebs einer Fördereinrichtung
WO2010026513A1 (en) * 2008-09-04 2010-03-1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all prevention system
BRPI0914046B1 (pt) * 2008-10-17 2019-09-03 Koninl Philips Electronics Nv sistema de detecção de queda, método, e meio legível por computador não transitório
CN102030251A (zh) * 2010-11-04 2011-04-27 天津市南奥电梯技术有限公司 基于嵌入式技术的自动扶梯节能控制系统
ES2402245B1 (es) * 2012-11-22 2014-01-28 Thyssenkrupp Elevator Innovation Center, S. A.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escaleras y pasillos rodantes
CN107662871B (zh) * 2016-07-29 2021-04-06 奥的斯电梯公司 用于乘客运输装置的移动扶手监测系统、乘客运输装置及其监测方法
CN108217412B (zh) * 2017-12-18 2019-06-21 上海新时达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扶梯的控制系统及其搭建方法
CN115352988A (zh) * 2017-12-29 2022-11-18 通力电梯有限公司 自动扶梯监测系统、方法、声音数据收集装置及用于其的夹具
CN111071908A (zh) * 2020-01-09 2020-04-28 通力电梯有限公司 扶梯或人行步道加油器的电源开关设备
CN112010141B (zh) * 2020-08-20 2022-06-28 上海新时达电气股份有限公司 安全开关与检测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0376A (en) * 1969-01-02 1971-05-25 Reliance Electric Co Escalator system having fault indicator
GB1341308A (en) * 1971-09-16 1973-12-19 Owens Corning Fiberglass Corp Signal memory apparatus
JPS5234109B2 (ko) * 1973-03-28 1977-09-01
JPS5264781A (en) * 1975-11-21 1977-05-28 Hitachi Ltd Escalator
JPS586674B2 (ja) * 1976-04-02 1983-02-05 三菱電機株式会社 マンコンベアの停止装置
JPS587597B2 (ja) * 1977-08-17 1983-02-10 三菱電機株式会社 マンコンベヤの停止制御装置
US4209734A (en) * 1978-03-27 1980-06-24 Sperry Corporation Dynamic equalization system for dual channel automatic pilot
JPS5511402A (en) * 1978-07-04 1980-01-26 Hitachi Ltd Conveyor safety apparatus
JPS5531769A (en) * 1978-08-29 1980-03-06 Hitachi Ltd Controller for elevators
JPS5725002A (en) * 1980-12-17 1982-02-09 Yokogawa Hokushin Electric Corp Contol device using microcomputer
JPS5929749A (ja) * 1982-08-12 1984-02-17 Honda Motor Co Ltd 内燃エンジンの吸入空気量パラメ−タセンサの計測系異常検出補償方法
US4527271A (en) * 1982-08-17 1985-07-02 The Foxboro Company Process control system with improved fault isolation
JPS6093502A (ja) * 1983-10-26 1985-05-25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イジタル制御装置の出力保持方式
EP0160163B1 (en) * 1984-04-02 1988-06-0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Variable frequency power source operating system
GB2182460B (en) * 1985-10-30 1989-10-11 Rolls Royce Failsafe electronic control system
JPH0663471B2 (ja) * 1986-02-13 1994-08-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補助空気量制御装置
DE3611597A1 (de) * 1986-04-07 1987-10-08 Flohr Otis Aufzugs Gmbh Zentrale fahrtreppen-fernueberwachungsanordnung
JPS63120301A (ja) * 1986-11-10 1988-05-24 Shimadzu Corp ワンル−プコントロ−ラ
GB2200225A (en) * 1987-01-24 1988-07-27 Lucas Ind Plc Computer control of an apparatus,
JPS63298093A (ja) * 1987-05-29 1988-12-05 Toshiba Corp ワイヤレスリモコ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35791A (en) 1991-03-13
SG18795G (en) 1995-06-16
GB9015151D0 (en) 1990-08-29
JPH0356391A (ja) 1991-03-11
HK31395A (en) 1995-03-17
GB2235791B (en) 1993-10-20
KR910002699A (ko) 1991-02-26
CN1048830A (zh) 1991-01-30
CN1020705C (zh) 1993-05-19
US5083653A (en) 1992-01-28
JPH0729749B2 (ja) 1995-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5388B1 (ko) 승객콘베어의 제어장치
KR100204102B1 (ko) 승객컨베이어의 제어장치
US6170614B1 (en) Electronic overspeed governor for elevators
US5107964A (en) Separate elevator door chain
JP3633092B2 (ja) マイコン故障監視装置
JPS638034B2 (ko)
JP5816102B2 (ja) 電子安全エレベータ
WO2015079976A1 (ja) エレベータの安全システム
WO2006106575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5624845B2 (ja) 電子安全エレベータ
JP4695258B2 (ja) エスカレータおよび動く歩道用安全装置
WO2012161085A1 (ja) エレベーター安全システム
JP6177629B2 (ja) 電子安全エレベータ
JPH11171423A (ja) エレベーターの地震時自動復帰装置
US5780788A (en) Special emergency service control arrangement for elevator car
JP6129725B2 (ja) 乗客コンベア
JPS6250396B2 (ko)
JPS6313907B2 (ko)
JPH0776076B2 (ja) 乗客コンベアの制御装置
JPS5837236B2 (ja) エレベ−タの安全装置
JP6480352B2 (ja) 乗客コンベア及びその制御方法
JP3660190B2 (ja) 広大領域用の安全確認システム
JP2537371Y2 (ja) エレベータの異常復帰装置
JPH0829902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2023178072A (ja)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乗客搬送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