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4964B1 - 가스연소장치 - Google Patents

가스연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4964B1
KR100194964B1 KR1019960052861A KR19960052861A KR100194964B1 KR 100194964 B1 KR100194964 B1 KR 100194964B1 KR 1019960052861 A KR1019960052861 A KR 1019960052861A KR 19960052861 A KR19960052861 A KR 19960052861A KR 100194964 B1 KR100194964 B1 KR 100194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noid valve
self
gas
gas burner
main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2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8111A (ko
Inventor
겐지 호라야
Original Assignee
강성모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나이토 스스무
린나이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모,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나이토 스스무, 린나이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강성모
Publication of KR970028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8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4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49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with a time programme acting through electrical means, e.g. using time-delay re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과제]
가스버너의 화력을 조절하기 위한 전자밸브로서 자기유지형 전자 밸브를 사용하여 상기 전자밸브와 스파커나 정보알림기등의 다른 전기적부하로 전원부에서 동시에 통전하는 것을 피하면서 이것을 대략 병행하여 작동시킬 수 있는 가스연소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가스버너(1)의 화력조절용의 자기유지형통전밸브인 전환전자밸브(7)의 개폐동작과 이그나이터(14)나 표시램프(20a~20c)의 동작을 대략 병행할 경우, 전환전자밸브(7)로의 일시적인 통전타이밍과 이그나이터(14)나 표시램프(20a~20c)로의 통전타이밍이 겹치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가스연소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가스연소장치(가스곤로)의 시스템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가스곤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
제3도는 제1도의 가스곤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
제4도는 제1도의 가스곤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스버너 2 : 메인가스통로
3 : 보조가스통로 7 : 전환전자밸브(자기유지형 전자밸브)
14 : 이그나이터 16 : 전지(전원부)
20a~20c : 표시램프(정보알람기)
본 발명은, 가스곤로등의 가스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가스곤로로서는 예를 들어 가스버너에 메인가스통로와 보조가스통로를 병렬하여 접속함과 아울러, 메인가스통로에 전자밸블르 끼워장착하고, 가스버너의 연소운전시에 상기 전자밸브를 마이크로컴퓨터등으로 조리물의 온도등에 따라 개폐제어하므로써 가스버너의 화력을 조절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즉, 상기 전자밸브를 개방하면 메인가스통로 및 보조가스통로 양통로에서 가스버너로 연료가스가 공급되어 상기 가스버너의 화력이 강하게 되고, 전자밸브를 폐색하면 보조가스통로에서만 가스버너로 소량의 연료가스가 공급되어 상기 가스버너의 화력이 약하게 된다.
이러한 종류의 가스곤로에서 상기 전자밸브는 여기에 계속적으로 통전하므로써 개방상태로 유지되고, 또한 그 통전을 차단하면 스프링등의 탄지력에 의해 폐색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이 통전유지형전자밸브는 이것을 개방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계속적으로 통전시켜두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전력의 절약측면에서는 불리한 것이 되기 쉬우며, 특히 전원으로서 전지를 사용하는 것에 있어서는 전지의 소모를 가능한 한 억제해야 하는 측면에서 불리하다.
그래서, 상기 전자밸브로서 자기유지(self hod)형 전자밸브를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자기유지형 전자밸브는 여기에 일시적으로 통전하는 것만으로 밸브개폐상태가 개방에서 폐색으로, 또는 폐색에서 개방으로 전환되고 그 후는 통전을 행하지 않아도 자석의 자기력등에 의해 개폐상태가 유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자기유지형 전자밸브를, 가스버너의 화력을 조절하기 위한 전자밸브로 사용하므로써, 소량의 전력만으로 밸브를 개폐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기기의 전력을 절약하는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상기 가스곤로에서는 상기 전자밸브 이외에도 각종의 전자기기(전원의 전기적부하)가 구비되며, 예를 들어 가스버너를 점화하기 위한 이그나이터나 운전상태의 정보(경보 포함)를 알리는 램프, 버저 등의 정보 알림기, 또는 가스버너로의 가스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원전자밸브등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저자기기는 서로 대략 벼행하여 동작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예를 들어 가스버너의 점화시에 상기 화력조절용의 전자밸브가 폐색상태이면 가스버너의 상기 보조가스통로로부터 소량의 연료가스밖에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가스버너의 점화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가스버너를 스파커의 동작에 의해 점화할 경우 그 가스버너의 동작과 병행하여 상기 화력조절용의 전자밸브에 통전하므로써 밸브를 개방상태로 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원전자밸브의 개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원전자밸브로의 통전도 병행한다.
또한, 가스버너의 연소(온도조절)중에 상기 화력조절용의 전자밸브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는 것과 병행하여, 가스버너의 연소운전중임을 알리는 램프나 가스버너의 화력조절을 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램프, 또는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경보램프나 경보버저 등의 정보알림기를 동작시키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화력조절용의 전자밸브나 이그나이터, 정보알림기등의 복수의 전자기기를 서로 병행하여 동작시키는 경우 이들 전자기기에 동시에 통전하면 전원의 부담이 비교적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저원회로의 필요용량이 증가하여 비용면에서 불리하게 되기 쉽고, 특히 전원으로서 전지를 사용하는 것에 있어서는 전지의 소모를 촉진하는 원이이 되기 쉽다.
이 경우 상기 화력조절용의 전자밸브로서 통전유지형인 것을 사용한 경우에는, 상기 통전유지형전자밸브는 이것을 개방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계속적으로 통전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상기와 같이 통전유지형전자밸브의 개방과 이그나이터나 정보알림기의 동작을 병행하는 경우 이것들에 동시에 통전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이에 대하여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를 사용한 경우에는,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는 충분히 짧은 통전(예를 들어 100ms)만으로 밸브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상기의 문제점을 피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발병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가스버너의 화력을 조절하기 위한 전자밸브로서 자기유지형 전자밸브를 사용하여, 상기 전자밸브와 스파커나 정보 알림기등의 다른 전기적부하에 전원부에서 동시에 통전하는 것을 피하면서 그것을 대략 병행하여 작동시킬 수 있는 가스연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원부와, 가스버너에 접속된 메인가스통로와, 상기 메인가스통로와 병렬로 상기 가스버너에 접속된 보조가스통로와, 상기 메인가스통로를 개폐하므로써 상기 가스버너의 화력을 조절하기 위해 메인가스통로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부로부터의 일시적인 통전에 의해 개폐되는 자기유지형 전자밸브와,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 이외에 상기 전원부로부터의 통전에 의해 소정의 동작을 하는 전기적부하를 구비한 가스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의 개폐동작과 상기 전기적부하의 동작을 대략 병행할 때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 및 전기적 부하로의 통전타이밍이 서로 비동기(非同期)가 되도록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 및 전기적부하로 통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의 개폐동작과 상기 전기적부하의 동작을 대략 병행할 때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 및 전기적부하로의 통전타이밍이 서로 비동기로 되므로, 상기 전원부에서 자기유지형 전자밸브 및 상기 전기적부하로 동시에 통전하는 사태가 피해지고, 따라서 상기전원부의 부담이 경감한다. 이 경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의 개폐동작을 하기 위한 통전시간은 일시적으로 충분히 짧으므로 자기유지형 전자밸브의 개폐동작과 상기 전기적부하의 동작은 실제적으로는 거의 동시에 병행하여 이루어 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버너의 화력을 조절하기 위한 전자밸브로서 자기유지형 전자밸브를 사용하며, 상기 전자밸브와 스파커나 정보알림기등의 다른 전기적부하로 전원부에서 동시에 통전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또 그것을 병행하여 작동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전원부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일형태로는, 상기 전기적부하는 상기 가스버너 점화용의 이그나이터로서, 상기 가스버너의 점화시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를 개방상태로 하면서 상기 이그나이터를 동작시킬 때,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 및 이그나이터로의 통전타이밍을 비동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상기 가스버너의 점화시에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가 개방상태로 되어 상기 메인가스통로 및 보조가스통로 양통로에서 가스버너로 충분한 양의 가스가 공급되는 것과, 그 점화를 위한 상기 이그나이터의 동작이 거의 병행하여 이루어져서 가스버너의 점화가 양호하게 이루어지는 한편, 자기유지형 전자밸브 및 이그나이터로의 통전타이밍은 비동기로 되어 양쪽 동시에 통전하는 사태가 피해지고, 따라서 상기 전원부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이그나이터는 그 동작을 위한 전력소비가 비교적 높기 때문에 전원부의 부담을 경감하는 면에서 효과적이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상기 가스버너의 점화시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에 일시적으로 통전하여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를 개방상태로 한 후, 상기 이그나이터로 통전하여 상기 이그나이터를 동작시키므로써 자기유지형 전자밸브 및 이그나이터로의 통전타이밍을 간단히 비동기로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스버너의 점화시에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로의 일시적인 통전을 단속적으로 복수화 하여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를 개방상태로 함과 아울러, 상기 이그나어터로의 통전을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로의 단속적인 통전과 통전 사이에 단속적으로 하여 이그나어터를 동작시키므로써 자기유지형 전자밸브 및 이그나이터로의 통전타이밍을 비동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이와 같이 자기유지형 전자밸브의 일시적인 통전을 단속적으로 복수회 행할 때에는 자기유지형 전자밸브를 확실히 개방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다른 형태로는, 상기 전기적부하는 상기 가스연소장치의 운전상태를 알리는 정보알림기로서, 상기 가스버너의 연소(온도조절)운전중에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의 개폐에 의하여 상기 가스버너의 화력을 조절함과 아울러 상기 정보알림기에 의해 정보를 알릴 경우,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 및 정보알림기로의 통전타이밍을 비동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의 개폐에 의한 상기 가스버너의 화력조절과 상기 정보알림기에 의한 알림이 거의 병행하여 이루어져서 이들의 필요한 동작이 확보되는 한편, 자기유지형 전자밸브 및 정보알림기로의 통전타이밍은 비동기로 되어 양쪽 동시에 통전하는 사태가 피해지고, 따라서 상기 전원부의 부담을 정확하게 경감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를 개폐시킬 때에 상기 가스 연소장치의 운전상태가 상기 정보알림기에 의해 정보를 얼려야 하는 상태가 되었을 경우,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에 일시적으로 통전하여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를 개방상태로 한 후, 상기 정보알림기에 통전하여 상기 정보알림기를 작동시키므로써 자기유지형 전자밸브 및 정보알림기로의 통전타이밍을 간단히 비동기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알림기에 의한 정보알림은 자기유지형 전자밸브의 개폐동작후에 이루어지나, 자기유지형 전자밸브로의 통전시간은 충분히 짧으므로 실제상 정보알림기에 의한 정보알림을 필요한 타이밍에서 정확히 시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정보알림기의 동작중에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를 개폐시킬 때, 상기유지형 전자밸브로의 일시적인 통전시에 상기 정보알림기로의 통전을 정지하므로써 자기유지형 전자밸브 및 정보알림기로의 통전타이밍을 비동기로 해도 된다. 이 때 정보알림기에 의한 정보알림은 자기유지형 전자밸브로의 통전시에 일시적으로 정지하나, 그 정지사간(자기유지형 전자밸브로의 통전시간)은 충분히 짧으므로 실제상 지장은 없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실시형태인 가스연소장치의 시스템구성도이고, 제2도 내지 제4도는 제1도의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이다.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형태의 연소장치는 예를 들면 가스 곤로로서, 1은 가스버너, 2는 가스버너(1)에 접속된 메인가스통로, 3은 메인가스통로(2)에 병렬로 접속된 보조가스통로이다.
가스버너(1)의 중심부에는 상기 가스버너(1)위에 올려놓여지는 조리물(A)(조리용기를 포함)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기(4)가 설치되며, 또한 가스버너(1)의 근방에는 상기 가스버너(1)의 점화를 하기 위한 점화전극(5)이 설치 되어 있다.
메인가스통로(2)에는 그 상류측에서부터 순서대로 메인전자밸브(6) 및 전환전자밸브(7)가 설치되며, 상기 보조가스통로(3)는 그 상류단부가 양 전자밸브(6,7)의 사이에서 메인가스통로(2)에서 분기되고 하류단부가 전환전자밸브(7)의 하류측에서 메인가스통로에 합류되고 있다.
이 경우 메인전자밸브(6)는 통전유지형의 전자밸브로서, 가스곤로의 케이싱(도시생략)에 설치된 점화/소화버튼(8)(누름버튼)을 점화조작(누름조작)하면 스프링(9)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개방됨과 아울러, 이 상태에서 메인전자밸브(6)에 단속적으로 통전하므로써 점화/소화버튼(8)의 점화조작을 해체하여도 상기 메인전자밸브(6)가 개방유지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메인전자밸브(6)로의 통전을 스위치(21)에 의해 차단하면 스프링(9)의 탄지력에 의해 상기 메인전자밸브(6)가 폐색된다.
절화전자밸브(7)는 본 발명의 구성에 대응하는 주지의 자기유지형의 전자밸브로서, 이것에 일시적으로 통전(예를 들면 80mA의 통전전류를 100ms흐르게 한다.)하므로써 개폐상태가 개방에서 폐색으로, 또는 폐색에서 개방으로 전환되며 그 후느 그 개폐상태가 자석의 자기력등에 의해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도에 있어서, 10은 가스곤로의 운전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이고, 11,12는 마이크로컴퓨터(10)의 지시에 의하여 메인전자밸브 및 전환전자밸브(7)를 각각 통전구동하는 메인전자밸브구동회로 및 전환전자밸브구동회로, 13은 점화전극(5)에 불꽃방전을 일으키는 이그나이터(14)를 마이크로컴퓨터(10)의 지시에 의해 통전구동하는 이그나이터구동회로, 15는 본 실시형태의 가스곤로의 전원부인 전지(16)로부터 마이크로컴퓨터(10)등에 급전하는 전원회로, 17은 전지(16)의 전압을 감시하는 전지전압감시회로, 18은 조리물(A)의 가열온도를 어느 일정온도로 유지하는 온도조절제어를 하고 있음을 사용자가 미이크로컴퓨터(10)에 지시하기 위한 조작기, 19는 각종 정보를 알리는 표시램프(20a~20c)(정보알림기)를 마이크로컴퓨터(10)의 지시에 의해 통전구동하는 표시구동회로이다.
전원회로(15)는, 점화/소화버튼(8)을 점화조작하므로써 하드캠기구(도시생략)에 의해 ON되는 마이크로스위치(21)를 통하여 전지(16)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스위치(21)의 ON상태에서 마이크로컴퓨터(10)나 메인전자밸브구동회로(11), 전환전자밸브구동회로(12), 이그나이터구동회로(13), 표시구동회로(19)등에 급전한다. 또한, 마이크로스위치(21)는 점화/소화버튼(8)의 소화조작에 의해 OFF되고, 이때 마이크로컴퓨터(10)등으로의 급전이 차단된다. 또한, 각 구동회로(11,12,12,19)는 전원회로(15)로부터의 급전을 받은 상태에서 마이크로컴퓨터(10)의 지시에 의해 각각 메인전자밸브(6), 전환전자밸브(7), 이그나이터(14), 표시램프(20a~20c)에 통전하여 이것들을 동작시킨다.
전지전압감시회로(17)는 마이크로스위치(21)의 ON상태에서 전지(16)의 전압을 감시하고, 그 전지전압이 미리 정해놓은 소정의 전압이하로 되었을 때 그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마이크로컴퓨터(10)에 출력한다.
표시램프(20a~20c)는 각각 그 점등에 의하여 예를 들면 가스버너(1)의 연소운전중이나 상기 온도조절제어중, 전지(16)의 교환시기 등을 알린다.
마이크로컴퓨터(10)는 전지(16)에서 전원회로를 통하여 급전된 상태에서 조작기(18)에 의한 지시나 온도검출기(4)의 검출신호, 전지전압감시회로(17)의 출력등에 의거하여 이그나이터구동회로(13)나 메인전자밸브구동회로(11), 전환전자밸브구동회로(12), 표시구동회로(19)를 제어하여 가스버너(1)의 점화제어나 상기 온도조절제어등, 가스곤로의 운전을 제어한다. 마이크로컴퓨터(10)의 제어에 대하여는 뒤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가스곤로의 작동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점화/소화버튼(8)을 점화조작하면 메인전자밸브(6)가 개방되는 한편 마이크로스위치(21)가 ON되고, 전지(16)으로부터 전원회로를 통하여 마이크로컴퓨터(10)등에 급전되어 마이크로컴퓨터(10)등이 기둥된다. 이 때 마이크로컴퓨터는(10)는 우선 제2도의 (a)에 타이밍차트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환전자밸브구동회로(12)에 의해 전환전자밸브(7)에 일시적(예를 들면 100ms)으로 통전시켜서 상기 전환밸브(7)를 개방상태로 한다. 또한, 이 때 전회(前回)의 가스버너(1)의 연소운전시 상기 온도조절제어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루어졌을 때에는, 전환전자밸브(7)는 이미 개방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으나, 본 실험형태에서는 전환전자밸브(7)의 개폐상태에 관계없이 이것을 개방상태로 하기 위한 전류를 전환전자밸브(7)에 일시적으로 통전한다.
이와 같이 전환전자밸브(7)로 통전한 후 이에 이어서 상기 제2도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크로컴퓨터(10)는 메인전자밸브구동회로(11)에 의해 메인전자밸브(6)에 계속적으로 통전시켜서 상기 메인전자밸브(6)를 개방유지시킴과 동시에, 이그나이터구동회로(13)에 의해 이그나이터(14)에 일정시간(예를 들면 3초)통전시켜서 상기 이그나이터(14)에 의해 점화전극(5)에 불꽃방전을 발생시킨다.
이에 의해 가스버너(1)에 상기 메인가스통로(2) 및 보조가스통로(3)의 양통로로부터 가스가 공급되면서 상기 가스버너(1)가 점화되고 가스버너(1)의 연소가 개시된다. 이 경우 가스버너(1)에는 메인가스통로(2) 및 보조가스통로(3)의 양통로로부터 충분한 양의 가스가 공급되므로 상기 가스버너(1)의 점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전환전자밸브(7)로의 통전시간은 100ms정도의 충분히 짧은 시간이므로 전환전자밸브(7)와 이그나이터(14)나 메인전자밸브(6)의 동작은 실제상 병행하여 이루어지는 것과 같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병행적인 동작시에 자기유지형 전자밸브인 전환전자밸브(7)로의 통전타이밍과 이그나이터(14)나 메인전자밸브(6)로의 통전타이밍이 겹치지 않기 때문에 전지(16)의 부담이 그다지 크게 되는 일은 없으며, 그 부담이 경감된다.
또한, 상기 가스버너(1)의 점화시에 마이크로컴퓨터(10)는 도시하지 않은 열전대등에 의해 가스버너(1)의 착화를 감시하고 있으며, 가스버너(1)가 정상으로 착화한 경우에는 표시구동회로(19)에 의해 표시램프(20a)에 통전하여 이것을 점등시키고 가스버너(1)의 연소운전이 되고 있음을 알린다.
이어서, 예를 들면 가스버너(1)의 연소운전 개시후 사용자가 조작기(15)에 의해 마이크로컴퓨터(10)에 상기 온도조절제어를 해야함을 직시하면 마이크로컴퓨터(10)는 표시구동회로(19)에 의해 표시램프(20b)에 통전하여 이것을 점등시키고, 온도조절제어를 하는 모드임을 알린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10)는 온도검출기(4)에 의해 얻어지는 조리물(A)의 가열온도에 의거하여 예를 들면 그 가열온도를 미리 정해놓은 소정의 온도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온도(이하 입력온도라 한다)로 유지하도록 전환전자밸브구동회로(12)를 통하여 전환전자밸브(7)로 통전하고 상기 전환전자밸브(7)를 개폐제어한다.
즉, 마이크로컴퓨터(10)는 온도검출기(4)에 의해 얻어지는 조리물(A)의 가열온도가 상기 입력온도보다도 높아지면, 전환전자밸브구동회로(12)에 의해 전환전자밸브(7)에 이것을 폐색상태로 하기 위한 전류를 일시적으로 흘려보내 상기 전환전자밸브(7)를 폐색시킨다. 이 때 가스버너(1)에는 보조가스통로(3)에서만 소량의 가스가 공급되게 되어 상기 가스버너(1)의 화력은 약하게 된다.
또한, 조리물(A)의 가열온도가 상기입력온도보다도 낮아지면 마이크로컴퓨터(10)는 전환전자밸브구동회로(12)에 의해 전환전자밸브(7)에 이것을 개방상태로 하기 위한 전류를 일시적으로 흘려보내 상기 전환전자밸브(7)를 개방상태로 한다. 이때 가스버너(1)에는 메인가스통로(2)와 보조가스통로(3) 양통로로부터 가스가 공급되게 되어 상기 가스버너(1)의 화력은 강하게 된다.
이에 의해 조리물(A)의 온도가 상기 입력온도로 유지되도록 가스버너(1)의 화력이 조절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온도조절제어시 마이크로컴퓨터(10)는 전환전자밸브(7)를 개폐하기 위해 이것을 일시적으로 전류를 흘려보낼 때, 미리 점등하고 있는 상기 표시램프(20a~20b)로의 통전을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환전자밸브(7)로의 통전동안(100ms) 정지하도록 표시구동회로(19)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전환전자밸브(7)로의 통저과 표시램프(20a,20b)로의 통전이 비동기로 되어 양자의 통전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없으며, 따라서 전지(16)의 부담이 경감된다.
이 경우 표시램프(20a.20b)로의 통전은 전환전자밸브(7)로의 통전동안 일시적으로 정지되나 그 시간(100ms)은 충분히 짧은 시간이기 때문에 표시램프(20a,20b)는 순간적으로밖에 소등하지 않아서 실제상으로는 계속적으로 점등하고 있는 상태와 동등하게 된다. 따라서, 표시램프(20a,20b)로의 통전을 상기와 같이 일시적으로 정지해도 지장은 없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연소운전에 있어서 전지전압감시회로(17)는 상기 마이크로스위치(21)가 ON으로 된후 전지(16)의 전압을 감시하도록 하고 있고, 그 전지전압이 소정전압이하로 되면 그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마이크로컴퓨터(10)에 출력한다.
이 때 마이크로컴퓨터(10)는 표시구동회로(19)에 의해 표시램프(20c)에 통전시켜 상기 표시램프(20c)를 점등시킨다.
이 경우 마이크로컴퓨터(10)는 기본적으로는 전지전압감시회로(17)로부터 상기의 신호가 출력된 시점에서 표시램프(20c)를 점등시키는데, 이때 가끔 상기온도조절제어에 있어서 전환전자밸브(7)에 이것을 개폐시키기 위해 통전하는 타이밍인 경우, 마이크로컴퓨터(10)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환전자밸브(7)로의 일시적인 통전을 한 후 이어서 표시램프(20c)에 통전하여 램프를 점등시킨다. 이에 의해 전환전자밸브(7)로의 통전타이밍과 표시램프(20c)로의 통전타이밍은 비동기로 되어 양쪽으로 동시에 통전하는 일이 없고, 따라서 전지(16)의 부담이 경감한다.
이 경우 표시램프(20c)의 점등은 전환전자밸브(7)로의 일시적인 통전을 한후에 이루어지나, 전환전자밸브(7)로의 통전시간(100ms)은 충분히 짧으므로, 실제상 전지전압감시회로(17)로부터 전지(16)의 전압저하를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전환전자밸브(7)로의 통전시)에 표시램프(20c)의 점등이 이루어지는 경우와 같다.
또한, 표시램프(20c)의 점등후에 온도조절제어를 위해 전환전자밸브(7)로 통전시킬 때에는 상기 표시램프(20a,20b)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마이크로컴퓨터(10)는 전환전자밸브(7)로의 일시적인 통전동안 표시램프(20c)로의 통전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가스곤로에서는 전환전자밸브(7)로의 통전타이밍과, 상기 이그나이터(14)나 표시램프(20a~20c)로의 통전타이밍을 비동기로 하면서, 그들의 동작을 정확한 타이밍으로 저장없이 작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전타이밍을 비동기로 하므로써 전지(16)의 부담을 경감하여 그 소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스버너(1)의 점화시에 있어서 제2도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환전자밸브(7)에 일시적으로 통전한 후 이그나이터(14)에 통전하도록 하였으나, 제2도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환전자밸브(7)를 개방상태로 하기 위한 일시적인 통진을 단속적으로 복수회 하고(예를 들면 1초의 주기로 3회 통진한다.), 그 통전과 통전 사이(전환전자밸브(7)의 비통전시)에 이그나이터(14)에 단속적으로 통전하며, 전환전자밸브(7)와 이그나이터(14)의 통전타이밍을 비동기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전환전자밸브(7)를 확실히 개방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메인전자밸브(6) 개방을 유지시키기 위한 계속적인 통전은, 제2도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환전자밸브(7)에 1회째의 통전을 한 직후 이그나이터(14)로의 1회째의 통전과 동시에 개시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환전자밸브(7)로의 통전타이밍과 이그나이터(14)나 표시램프(20a~20c)로의 통전타이밍을 비동기로 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가스버너(1)외에 복수의 가스버너나 그릴버너를 구비하는 가스곤로에서는, 가스버너(1)에서의 상기 온도조절제어시 전환전자밸브(7)로 통전할 때에 다른 가스버너나 그릴버너의 점화조작이 이루어진 경우, 이를 다른 가스버너나 그릴버너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메인전자밸브로의 통전이나 이그나이터(14)로의 통전을 전환전자밸브(7)로 통진한 후에 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다른 가스버너나 그릴버너의 연소운전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리는 표시램프를 점등시키는 경우, 그 점등을 가스버너(1)에 서 상기 온도조절제어시 전환전자밸브(7)로 통진한 후에 하거나, 상기 전환전자밸브(7)로의 통진시에 다른 가스버너나 그릴버너에 대응하는 표시램프로의 통진을 일시적으로 정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보알림기로서 표시램프(20a~20c)를 사용한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정보알림기로서 예를 들면 버저를 사용하여 상기 버저에 의한 정보알림을 행할 경우 상기 버저로의 통전타이밍과 상기 전환전자밸브(7)로의 통진타이밍을 표시램프(20a~20c)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비동기로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지(16)를 전원으로 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상용전원 등을 전원으로 하는 것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보조가시통로는 메인가스통로에서 분기하여 하류측에서 합류하는 것을 나타냈으나, 하류측에서 합류하지 않고 각각의 통로로부터 버너로 가스를 공급하도록 해도 된다.

Claims (7)

  1. 전원부와, 가스버너에 접속된 메인가스통로와, 상기 메인가스통로와 병렬로 상기 가스버너에 접속된 보조가스통로와, 상기 메인가스통로를 개폐하므로써 상기 가스버너의 화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가스통로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부로부터의 일시적인 통전에 의해 개폐되는 자기유지(self hold)형 전자밸브와,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 이외에 상기 전원부로부터의 통전에 의해 소정의 동작을 하는 전기적부하를 구비한 가스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의 개폐동작과 상기 전기적부하의 동작을 대략 병행할 경우,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 및 전기적부하로의 통전타이밍이 서로 비동기가 되도록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 및 전기적부하로 통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연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부하는 상기 가스버너의 점화용 이그나이터로서, 상기 가스버너의 점화시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를 개방상태로 하면서 상기 이그나이터를 동작시킬 경우,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 및 이그나이터로의 통전타이밍을 비동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연소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버너의 점화시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에 일시적으로 통전하여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를 개방상태로 한 후, 상기 이그나이터로 통전하여 상기 이그나이터를 동작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연소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버너의 점화시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로의 일시적인 통전을 단속적으로 복수회 하므로써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를 개방상태로 함과 아울러, 상기 이그나이터로의 통전을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로의 단속적인 통전과 통전사이에 단속적으로 하므로써 상기 이그나이터를 동작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연소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부하는 상기 가스연소장치의 운전상태를 알리는 정보알림기로서, 상기 가스버너의 연소운전중에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의 개폐에 의하여 상기 가스버너의 화력을 조절함과 아울러 상기 정보알림기에 의하여 정보를 알릴 경우,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 및 정보알림기로의 통전타이밍을 비동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연소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를 개폐시킬 때 상기 가스연소장치의 운전상태가 상기 정보알림기에 의하여 정보를 알려야 하는 상태가 되었을 경우,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에 일시적으로 통전하여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를 개방상태로 한 후, 상기 정보알림기에 통전하여 상기 정보알림기를 동작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연소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알림기와 동작중에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를 개폐시킬 경우, 상기 자기유지형 전자밸브로의 일시적인 통전시에는 상기 정보알림기로의 통전을 정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연소장치.
KR1019960052861A 1995-11-09 1996-11-08 가스연소장치 KR1001949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91537 1995-11-09
JP29153795A JP3317325B2 (ja) 1995-11-09 1995-11-09 ガス燃焼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8111A KR970028111A (ko) 1997-06-24
KR100194964B1 true KR100194964B1 (ko) 1999-06-15

Family

ID=17770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2861A KR100194964B1 (ko) 1995-11-09 1996-11-08 가스연소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317325B2 (ko)
KR (1) KR1001949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6155B2 (ja) * 2007-02-08 2012-07-18 株式会社パロマ 加熱調理装置
JP4527128B2 (ja) * 2007-02-26 2010-08-18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調理機器
JP5204196B2 (ja) * 2010-11-02 2013-06-05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コンロ
JP6373207B2 (ja) * 2015-03-13 2018-08-15 リンナイ株式会社 燃焼装置
JP6465732B2 (ja) * 2015-04-24 2019-02-06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燃焼装置
JP2021076329A (ja) * 2019-11-12 2021-05-20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コン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8111A (ko) 1997-06-24
JP3317325B2 (ja) 2002-08-26
JPH09133355A (ja) 1997-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47494A (en) Gas burner ignition device
CA2488846C (en) Burner ignition and control system
KR100194964B1 (ko) 가스연소장치
AU2003244525A1 (en) Combustion control device
KR100189607B1 (ko) 연소장치
KR100194965B1 (ko) 가스연소장치
KR101750018B1 (ko) 가스연소장치
US20020048736A1 (en) Combustion control apparatus
JP3407997B2 (ja) ガス燃焼器の安全装置
KR100211291B1 (ko) 전지전원식 전자장치
KR940005905B1 (ko) 가스테이블의 그릴제어방법
JPH0639237Y2 (ja) ガス燃焼装置
CN114901997A (zh) 在没有火焰的情况下用于燃气燃烧系统的热电安全装置
KR930008370A (ko) 연소안전 제어장치
KR930006171B1 (ko) 연소제어장치
KR0125959B1 (ko) 연소장치
JP3816142B2 (ja) 燃焼装置
JPH0674443A (ja) 燃焼制御装置
JP3693197B2 (ja) グリル付ガス調理器
JP3606485B2 (ja) 燃焼制御装置
JP2564079B2 (ja) グリルの表示装置
JP3349430B2 (ja) 電池を電源とする表示装置
KR920008878B1 (ko) 급탕기의 연소제어장치
KR910002741B1 (ko) 연소제어장치
KR19980032812A (ko) 연소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