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9607B1 - 연소장치 - Google Patents

연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9607B1
KR100189607B1 KR1019960012447A KR19960012447A KR100189607B1 KR 100189607 B1 KR100189607 B1 KR 100189607B1 KR 1019960012447 A KR1019960012447 A KR 1019960012447A KR 19960012447 A KR19960012447 A KR 19960012447A KR 100189607 B1 KR100189607 B1 KR 100189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signal
circuit
salt
wate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2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7077A (ko
Inventor
아쯔시 안도
Original Assignee
강성모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나이토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모,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나이토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강성모
Publication of KR970007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9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96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4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 Direct Air Heating By Heater Or Combustion G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킨 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유지코일(12)과 레귤레이터(91)의 OUT 단자(911)간에 직렬접속되는 트랜지스터(14, 15)와, 연소염을 검지하면 염검지신호(801)를 출력하는 플레임 로드(800)와, 플레임 로드(800)가 염검지신호(801)를 출력하는 동안, 트랜지스터(14,15)에 '온'신호(811, 821)를 출력하는 착화검지회로(81, 82)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연소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 제2실시예에 관련된 가스순간온수기의 외관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 제2실시예에 관련된 가스순간온수기의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련된 가스순간온수기의 전기결선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 제2실시예에 관련된 가스순간온수기의 작동을 표시한 플로차트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 제2실시예에 관련된 가스순간온수기의 작동을 표시한 플로차트
제6도는 본 발명의 제1, 제2실시예에 관련된 순간온수기의 작동을 표시한 타임 차트
제7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련된 가스순간온수기에 이용되는 착화검지회로의 전기회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련된 가스순간온수기의 전기결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B : 가스순간온수기(연소장치) 1 : 전자안전밸브(전자밸브)
2 : 가스버너 3 : 열교환수로
4 : 수류스위치 6 : 흡인타이머회로(흡인회로)
7 : 유지타이머회로(유지회로) 8,81,82 : 착화검지회로(안전회로)
11 : 흡인코일 12 : 유지코일
13 : 트랜지스터(제1스위치소자) 14 : 트랜지스터(제2스위치소자)
15 : 트랜지스터(제3스위치소자) 21 : 가스관(가스공급로)
31 : 열교환기(열교환부) 41 : 접점
51 : 이그나이터 타이머회로(점화타이머회로)
52 : 이그나이터 구동회로(점화회로) 71 : '온'신호
83,84 : 판별부 85 : 신호송출부
92 : 건전지 511 : '온'신호
800 : 플레임 로드(착화검지소자) 801 : 불꽃검지신호
811,821 : '온'신호
본 발명은 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가스버너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로중에 설치되는 전자밸브와; 수류수위치의 '온' 등에 의해 점화지시가 나오면 소정시간(예를 들면 0.4초)동안, 전자밸브에 통전을 하는 흡인유지회로와; 점화지시에 의해 고전압을 점화전극에 인가하는 점화회로와; 가스버너에 접한 플레임 로드와; 플레임 로드의 출력에 근거하여 착화를 검지하고, 검지하고 있는 동안, 전자밸브와 전지간에 전기접속되는 트랜지스터에 '온'신호를 송출하는 착화검지회로를 구비하는 연소장치가 알려져 있다.
상기 연소장치에 있어서, 불착화와 실화시의 안전은, 상기 트랜지스터 및 착화검지회로에 의해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만일, 착화검지회로가 '온'신호고장이면 착화의 유무에 관계없이 트랜지스터에 '온'신호가 송출되고, 또 착화검지회로가 정상이라도 트랜지스터가 '온'고장이면, 착화유무에 관계없이 전자밸브에 전류가 흐른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킨 연소장치의 제공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였다.
(1) 가스버너로의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로중에 설치되고, 통전에 의해 밸브체가 개방하는 전자밸브와; 점화지시에 의해 점화동작을 개시하는 점화회로와; 점화지시에 의해 연소염이 검지되는 동안, 상기 전자밸브에 통전을 하는 안전회로를 구비하는 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전회로를 2계통 형성하였다.
즉, 가스버너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로중에 설치되고, 통전에 의해 밸브체가 개방하는 전자밸브와; 상기 가스버너에 의해 가열되는 열교환부를 가지는 열교환수로와; 일단측을 전지에 접속하고, 상기 열교환 수로를 흐르는 수류를 검지하면 접점이 '온'되는 수류스위치와; 상기 전자밸브와 상기 전지 사이에 전기접속되는 스위치 소자와; 상기 수류스위치가 '온'되면 점화동작을 개시하는 점화회로와, 상기 가스버너의 근방에 배치되고 연소염을 검지하면 염검지신호를 출력하는 동안에, 상기 스위치소자에 '온'신호를 출력하는 착화검지회로를 구비하는 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화검지회로와, 상기 염검지신호의 입력에 근거하여 착화를 검지하는 2개의 독립된 판별부와; 양방의 판별부가 함께 착화를 검지한 경우에 상기 '온'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송출부를 가진다.
(2) 통전에 의해 밸브체가 폐쇄하는 흡인코일과; 흡인후의 통전에 의해 밸브개방상태의 유지를 도모하는 코일을 가지고, 가스버너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로중에 설치되는 전자밸브와; 상기 가스버너에 의해 가열되는 열교환부를 가지는 열교환수로와; 일단부를 전지에 접속하고, 상기 열교환수로를 흐르는 수류를 검지하면 접점이 '온'되는 수류스위치와; 상기 흡인코일과 상기 전지 사이에 전기접속하는 제1스위치소자와; 상기 유지코일과 상기 수류스위치의 타단측과의 사이에 직렬전기접속되는 제2, 제3 스위치소자와; 상기 수류스위치의 타단측에 전기접속되고, 작동용전력이 공급되면 소정시간동안 상기 제1스위치소자에 '온'신호를 출력하는 흡인타이머회로와; 점화동작을 개시하는 점화회로와; 상기 가스버너의 근방에 배치되어 연소염을 검지하면 염검지신호를 출력하는 착화검지소자와; 상기 착화검지소자가 상기 염검지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동안, 상기 제2, 제3스위치소자에 '온'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제2 착화검지회로를 구비한다.
안전회로를 2계통으로 형성한 경우에 대하여, 점화지시가 내려지면, 전자밸브에 통전을 하므로 밸브체가 개방한다. 동시에 점화회로가 점화동작을 개시한다.
가스버너가 착화하고, 안전회로가 연소염을 검지하면, 안전회로가 전자밸브로의 통전을 계속하고, 전자밸브가 개방상태를 유지하여, 가스버너는 연소를 계속한다.
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안전회로는, 전자밸브로의 통전을 정지하고 전자밸브를 폐쇄한다.
또 일측의 안전회로가 고정이고, 전자밸브로의 통전을 정지하는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에도, 타측의 안전회로에 의해 전자밸브로의 통전을 정지할 수 있다.
2개의 독립된 판별부와 신호송출부를 구비한 경우에 대하여, 열교환수로에 물이 흐르면, 수류스위치의 접점이 '온'된다. 이로 인하여, 스위치소자가 '온'되므로, 밸브체가 개방한다. 동시에 점화회로가 점화동작을 개시한다.
가스버너가 착화하고, 착화검지소자가 염검지신호를 출력하면, 착화검지회로의 각판별부는 모든 측의 착화를 검지하고, 신호송출부가 '온'신호를 스위치소자에 출력하므로 전자밸브로의 통전이 계속되고, 전자밸브가 개방상태를 유지하여, 가스버너는 연소를 계속한다.
또 착화검지회로의 각 판별부가 실화를 검지한 경우, 신호송출부의 '오프'신호를 스위치소자에 출력하므로 전자밸브로의 통전이 정지되어 전자밸브가 폐쇄한다.
또 착화검지회로의 판별부중 일측이 고장(염검지신호를 입력하지 않았는데 착화라고 검지)난 경우에도, 정상인 타측의 판별부와 송출부에 의해, 스위치소자에 '오프'신호를 송출하고, 전자밸브로의 통전을 정지할 수 있다.
마지막 특허 청구범위에 대하여, 열교환수로에 물이 흐르면, 수류스위치의 접점이 '온'된다.
이로 인하여, 흡인타이머회로가 소정시간 동안, '온'신호를 송출하고 제1스위치 소자가 '온'하므로, 밸브체가 개방한다. 또 점화회로는, 점화동작을 한다.
가스버너가 착화하고, 착화검지소자가 염검지신호를 추력하면, 제1, 제2 착화검지회로는, 제2, 제3 스위치소자에 '온'신호를 출력하므로 유지코일에 통전이 계속되고, 전자밸브가 개방상태를 유지하여, 가스버너는 연소를 계속한다.
제2스위치소자 또는 제3스위치소자 중 일측이 '온'고장이어도, 제1, 제2 착화검지회로가 정상이면, 미착화시와 실화시에 정상인 측의 스위치소자를 '오프'할 수 있다.
또, 제1착화검지회로 또는 제2착화검지회로중 일측이 고장(착화검지소자가 염검지신호를 출력하지 않았는데 '온'신호를 출력하는 상태)이어도, 제2, 제3 스위치 소자가 정상이면, 미착화시와 실화시에, 제2스위치소자나 제3스위치소자중 어느 한쪽을 '오프'할 수 있다.
한편, 안전회로를 2계통으로 형성한 경우 일측의 안전회로가 고장이어도, 타측의 안전회로에 의해 전자밸브를 개폐제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소화지시에 의해 확실하게 전자밸브를 폐쇄할 수 있다(소화불능에 빠지지 않는다). 또 불착화와 실화시에 확실하게 전자밸브를 폐쇄할 수 있으며(가스의 방출이 일어나지 않는다), 안전성에 뛰어난다.
또한, 2개의 독립된 판별부와 신호송출부를 구비한 경우, 착화검지회로의 판별부의 일측이 고장(염검지신호를 입력하지 않았는데 착화라고 검지)인 경우에는, 정상인 타측의 판별부와 신호송출부에 의해, 스위치소자에 출력하는 '온'신호의 송출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열교환수로에 흐르는 수류를 멈추면, 확실하게 전자밸브를 폐쇄할 수 있다(소화불능에 빠지지 않는다). 또 불착화와 실화시에 확실하게 전자밸브를 폐쇄할 수 있고(가스의 방출이 일어나지 않는다), 안전성에 뛰어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특허청구범위 두번째 대응)를, 제1도~제7도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스순간급탕기(A)는, 흡인코일(11)과 유지코일(12)을 가지고, 가스버너(2)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관(21)중에 설치되는 전자안전밸브(1)와, 트랜지스터(13, 14, 15)와, 열교환기(31)를 가지는 열교환수로(3)와, 수류를 검지하면 접점(41)이 '온'되는 수류스위치(4)와, 접점(41)이 '온'되면 소정시간(5.5초간), '온'신호(511)의 송출 및 고전압을 발생하는, 이그나이터 타이머회로(51) 및 이그나이터 구동회로(52)와, 접점(41)이 '온'되면 제1타이머시간(0.4초간), '온'신호(61)를 송출하는 흡인타이머회로(6)와, 접점(41)이 '온'되면 제2타이머시간(5.5초간), '온'신호(71)를 송출하는 유지타이머회로(7)와, 접점(41)이 '온'되면 연소염의 검지를 개시하고, 연소염이 검지되고 있는 동안, 트랜지스터(14, 15)에 '온'신호(811, 921)를 송출하는 착화검지회로(81,82)를 구비한다.
91은 레귤레이터이며, 접점(41)이 '온'되면 IN 단자(910)에 전압 VCC2(3V)이 인가되고, OUT 단자(911)에 안정화전압 VREG(1.5V)가 발생한다.
92는 건전지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단일형 1.5V의 망간건전지가 2개 직렬로 이어져 있고, 전압 VCC1(3V)의 기전력을 발생한다.
9는 전자유닛이며, 각 회로를 조합하고 있다.
전자안전밸브(1)는, 통전에 의해 밸브체가 개방하는 흡인코일(11 ; 3.7Ω)과, 통전에 의해 흡인후도 개방상태의 유지를 도모하는 유지코일(12 ; 500 Ω)을 가지고, 가스관(21)의 최상류에 설치된다.
가스버너(2)는 열교환기(31)의 하측에 설치되고, 가스관(21)에 의해 가스가 공급되어 연소한다. 가스관(21)은, 전자안전밸브(1), 가스버너밸브(211), 수거버너밸브에 연결된 수압자동가스밸브(212), 능력조절기(213)를 상류측에 설치하고 있다.
열교환기(31) 근방의 연소통에는, 152℃이상에서 용단하는 온도퓨즈(4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온도퓨즈(42)는, 일단이 수류스위치(4)에 전기접속되고, 타단이 IN 단자(910)에 전기접속되어 있다.
수압자동가스밸브(212)는, 연동봉(43)에 의해 수거버너(323)에 접속되고, 열교환수로(3)내에 물이 흐르면 개방한다.
능력조절기(213)는 능력조절조작부(214)에 연결되고, 능력조절조작부(214)의 슬라이드량에 대응한 양의 가스를 통과시킨다.
열교환수로(3)는, 급수관(32), 열교환기(31), 출탕관(33)을 순서대로 연이어 설치하여 구성한다.
급수관(32)은, 급탕개폐장치(도시생략), 수필터(321), 수거버너(323), 및 탕온도조절 조작부(324)에 연결되는 탕량조절기(325)를 설치하고 있다.
수류스위치(4)는, 건전지(92)와 온도퓨즈(42)간에 삽입되고, 수거버너(323)와 수압 자동가스밸브(212)를 접속하는 연동봉(43)에 연결되고, 수류가 흐르면 접점(41)이 '온'된다.
이그나이터 타이머회로(51)는, 접점(41)의 '온'에 의한 급전개시로부터 5.5초간, '온'신호(511)를 이그나이터 구동회로(52) 및 트랜지스터(15)에 송출한다.
이그나이터 구동회로(52)는, '온'신호(511)가 입력되어 있는 동안, 불꽃 방전용 고전압을 발생하고, 가스버너(2)에 접해 설치되는 점화전극(521)에 점화용 고전압을 인가한다. 또 소비전류가 비교적 많으므로 전압 VCC1을 작동용 전력으로 하고 있다.
착화검지회로(81, 82)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스버너(2)에 접해 설치되는 플레임 로드(800)에 염전류검출용 교류전압(약 100V)을 인가하여 염전류의 검출을 하는 회로이므로, 프레임 로드(800)가 염전류를 검출하여 염검지신호(801)를 출력하면(착화를 검지한다), '온'신호(811,821)를 트랜지스터(14,15)에 송출한다. 또 전압 VCC2을 작동용 전력으로 하고 있다.
흡인타이머회로(6)는, 콤퍼레이터, CR충전회로 등에 의해 구성되고, 타이머시간의 안정화를 위해, 타이머작동 개시신호로서 안정화전압 VREG이 공급되면, 제1타이머시간(0.4초간), '온'신호(61)를 트랜지스터(13)에 송출한다.
트랜지스터(13)는 흡인코일(11)과 건전지(92)간에 설치되고, '온'신호(61) 입력되어 있는 동안에, 도통하여 흡인코일(11)에 흡인전류가 흐른다.
유지타이머회로(7)는, 콤퍼레이터, CR충전회로 등에 의해 구성되고, 타이머 작동 개시신호로서 안정화전압 VREG가 공급되면, 제2타이머시간(5.5초간), 트랜지스터(14)에 '온'신호(71)를 송출한다.
트랜지스터(14,15)는, 유지코일(12)과 OUT 단자(911)간에 직렬접속설치되고, '온'신호 811 (또는 '온'신호 71)과, '온'신호 821 (또는 '온'신호 511)이 입력되어 있는 동안, 도통하여 유지코일(12)에 유지전류가 흘러 전자안전밸브(1)를 개방유지한다.
다음은 가스순간온수기(A)의 작동을 제4도, 제5도의 플로차트, 및 제6도의 타임차트에 근거하여 서술한다.
기구사용개시(제4도 참조) 사용자가 급탕개폐장치를 열면(스텝 s1), 수류스위치(4)가 폐쇄(스텝 s2)하고, 레귤레이터(91)의 IN 단자(910)에 전압 VCC2이 급전되어, OUT 단자(911)에 안정화전압 VREG가 발생한다.
안정화전압 VREG의 급전개시에 의해, 스텝 s3에서 이하와 같은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그나이터 타이머회로(51)는 '온'신호(511)를 이그나이터 구동회로(52) 및 트랜지스터(15)에 송출하고, 이그나이터 구동회로(52)는, 점화전극(521)에 고전압을 인가하고, 불꽃방전을 개시한다. 흡인타이머회로(6)는 '온'신호(61)를 트랜지스터 13으로 송출하고, 트랜지스터 13은 도통하여 흡인코일(11)에 흡인전류를 흘려보내므로 전자안전밸브(1)는 개방한다. 유지타이머회로(7)은 '온'신호(71)를 트랜지스터 14에 송출하고, 트랜지스터 14는 도통하여(트랜지스터 15 도 도통하여 있다) 유지코일(12)에 유지전류가 흐른다.
스텝 s4에서, 수압자동가스밸브(212)가 개방하고, 가스버너(2)가 착화한다.
수류스위치(4)를 '온'개시한 후 0.4초 경과하면 (스텝 s5에서 YES), 흡인타이머회로(6)가 '온'신호(61)를 트랜지스터(13)에 송출하지 않게 되고, 트랜지스터(13)가 '오프'하여 흡인코일(11)에 흡인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스텝 s6).
수류스위치(4)의 '온'개시로부터 5.5초 경과하면(스텝 s7에서 YES), 유지타이머회로(7)가 '온'신호(71)를 트랜지스터(14)에 송출하지 않게 되고, 이그나이터 타이머회로(51)가 '온'신호(511)를 이그나이터 구동회로(52) 및 트랜지스터(15)에 송출하지 않게 되어 불꽃방전이 정지한다(스텝 s8).
정상인 경우는, 착화검지회로(81, 82)가 이미 염전류를 검출하고, '온'신호(811, 821)를 트랜지스터(14, 15)에 송출(스텝 s9에서 YES)하고 있으므로 전자안전밸브(1)의 유지는 계속된다.
전압 VCC1이 1.8V 이상이고(스텝 s10에서 YES), 염전류가 검출되어 있으면, 기구 사용정지가 이루어질 때까지, 급탕을 계속한다.
염전류가 검출되지 않을 때 {불착화; 제6도의 (b)}, 염전류가 검출되지 않게 되었을 때 {실화; 제6도의 (c)}, 또는 전압 VCC1이 1.8V 미만이 되었을 때 {전압저하; 제6도의 (d)}는, 확인램프(93)가 연속점등하고, 착화검지 회로(81,82)에 의해 '온'신호(811, 821)의 트랜지스터(14, 15)로의 송출이 정지한다.(스텝 s11). 이로 인하여, 전자안전밸브(1)가 폐쇄한다.
사용자가 이상을 느끼고 급탕밸브를 닫으면(스텝 s12), 물이 흐르지 않게 되므로 수압자동가스밸브(212)가 폐쇄하고(스텝 s13), 수류스위치(4)가 '오프'함과 아울러 확인램프(93)가 소등한다(스텝 s14).
기구사용정지(제5도 참조) 사용을 정지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급탕밸브를 닫으며(스텝 S1), 물이 흐르지 않게 되므로 수압자동가스밸브(212)가 폐쇄(스텝 S2)하고, 가스버너(2)가 소화(스텝 S3)하고, 수류스위치(4)가 '오프'(스텝 S4)하여, 전자안전밸브(1)가 폐쇄한다(스텝 S5).
가스순간온수기(A)는, 다음과 같은 구성·작동에 의해, [ㄱ]~[ㄷ]의 이점을 가진다.
유지코일(12)과 레귤레이터(91)의 OUT 단자(911)간에, 직렬로 트랜지스터(14, 15)를 접속하고, 플레임 로드(800)가 연소염을 검지하면 '온'신호(811,821)를 트랜지스터(14, 15)에 출력하는 착화검지회로(81, 82)를 설치하고 있다.
트랜지스터 14 또는 트랜지스터 15중 일측이 '온'고장인 경우, 착화검지회로(81, 82)가 정상이면, 미착화시와 실화시에, '온'신호(811, 821)의 정지에 의해 정상인 측의 트랜지스터(14, 15)를 오프할 수 있다.
또 착화검지회로(81, 82)중 일측이 '온'고장[플레임 로드(800)가 연소염을 검지하지 않았는데 '온'신호(811, 821)를 출력하는 상태]인 경우, 트랜지스터(14, 15)가 정상이면, 미착화시와 실화시에 어느 측인가의 트랜지스터(14, 15)를 '오프'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유지코일(12)의 유지전류가 차단되고, 전자안전밸브(1)가 폐쇄하여 가스버너(2)가 소화된다.
[ㄱ] 사용중에 만일, 트랜지스터(14, 15)의 일측이 '온'고장이거나, 또는 착화검지회로(81, 82)의 일측이 '온'고장이어도, 급탕개폐장치를 닫고, 열교환수로(3)에 흐르는 수류를 멈추고 수류스위치(4)를 '오프'하면, 확실하게 전자안전밸브(1)를 폐쇄할 수 있고, 소화불능에 떨어지지 않으므로 안전성이 뛰어나다.
[ㄴ] 점화전에 만일, 트랜지스터(14, 15)중 일측이 '온'고장인 경우, 또는 착화검지회로(81, 82)중 일측이 '온'고장인 경우에 있어서, 점화시에 불착화가 발생하거나 급탕중에 실화가 발생하면, 확실하게 전자안전밸브(1)를 폐쇄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의 방출이 일어나지 않고, 안전성이 뛰어나다.
[ㄷ] 사용중에 만일, 트랜지스터(14, 15)중 일측이 '온'고장인 경우, 또는 착화검지 회로(81, 82)의 일측이 '온'고장인 경우에 있어서, 급탕중에 실화가 발생하면, 확실하게 전자안전밸브(1)를 폐쇄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의 방출이 일어나지 않고, 안전성이 뛰어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특허청구의 범위 첫번째 대응)를, 제1도, 제2도, 제4도, 제5도, 제6도, 및 제8도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가스순간온수기(B)는 이하와 같은점이 가스순간온수기(A)와 다르다.
유지코일(12)과 레귤레이터(91)의 OUT 단자(911)간에는 하나의 트랜지스터(14)가 접속된다. 이 트랜지스터(14)는, '온'신호(71) 또는 '온'신호(851)의 입력중, '온'한다.
착화검지회로(8)는, 가스버너(2)의 연소염을 검지하면 플레임 로드(800)가 출력하는 염검지신호(801)에 근거하여 착화를 검지하는 판별부(83, 84)와, 양측의 판별부(83, 84)가 착화를 검지한 경우에 '온'신호(851)를 출력하는 신호송출부(85)로 구성된다.
이그나이터 타이머회로(51)는, 작동용전력이 공급되면, 5.5초간, 이그나이터 구동회로(52)에 '온'신호(511)를 송출한다.
다음은 가스순간온수기(B)의 작동을 제4도, 제5도의 플로차트, 및 제6도의 타임차트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기구사용개시(제4도 참조) 사용자가 급탕개폐장치를 열면(스텝 s1), 수류스위치(4)가 '온'(스텝 s2)하여, 레귤레이터(91)의 IN 단자(910)에 전압 VCC2가 급전되고, OUT단자(911)에 안정화전압 VREG가 발생한다.
안정화전압 VREG의 급전개시에 의해, 스텝 s3에서 이하와 같은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그나이터 타이머회로(51)는, '온'신호(511)를 이그나이터 구동회로(52)에 송출하고, 이그나이터 구동회로(52)는, 점화전극(521)에 고전압을 인가하고, 불꽃방전이 개시된다. 흡인타이머회로(6)는, '온'신호(61)를 트랜지스터(13)에 송출하고, 트랜지스터(13)는 도통하여 흡인코일(11)에 흡인전류가 흐르므로 전자안전밸브(1)는 개방한다. 유지타이머 회로(7)는, '온'신호(71)를 트랜지스터(14)에 송출하고, 트랜지스터(14)는 도통하여 유지코일(12)에 유지전류가 흐른다.
스텝 s4에서, 수압자동가스밸브(212)가 개방하고, 가스버너(2)가 착화한다.
수류스위치(4)를 '온'개시한 후 0.4초 경과하면(스텝 s5에서 YES), 흡인타이머회로(6)가 '온'신호(61)를 트랜지스터(13)에 송출하지 않게 되고, 트랜지스터(13)가 '오프'하여 흡인코일(11)에 흡인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스텝 s6).
수류스위치(4)의 '온'개시로부터 5.5초 경과하면(스텝 s7에서 YES), 유지타이머회로(7)가 '온'신호(71)를 트랜지스터(14)에 송출하지 않게 되고, 이그나이터 타이머회로(51)가 '온'신호(511)를 이그나이터 구동회로(52)에 송출하지 않게 되어 불꽃방전이 정지한다(스텝 s8).
정상인 경우는, 착호검지회로(8)가 이미 염전류를 검출하고, '온'신호(851)를 트랜지스터(14)에 송출하고 있으므로(스텝 s9에서 YES) 전자안전밸브(1)의 유지는 계속된다.
전압 VCC1이 1.8V 이상이며(스텝 s10에서 YES), 염전류가 검출되어 있으면, 기구 사용정지가 될 때까지, 급탕을 계속한다.
염전류가 검출되지 않을 때{불착화; 제6도의 (b)}, 염전류가 검출되지 않게 되었을 때{실화; 제6도의 (c)}, 또는 전압 VCC1가 1.8V미만이 되었을 때 {전압저하; 제6도의 (d)}는 확인램프(93)가 연속점등하고, 착화검지회로(8)에 의한 '온'신호(851)의 트랜지스터(14)로의 송출이 정지한다(스텝 s11). 이로 인하여 전자안전밸브(1)가 폐쇄한다.
사용자가 이상이 있다고 느끼고 급탕밸브를 닫으면(스텝 s12), 물이 흐르지 않게 되므로, 수압자동가스밸브가 폐쇄(스텝 s13)하고, 수류스위치(4)가 '오프'함과 아울러 확인램프(93)가 소등한다(스텝 s14).
기구사용정지(제5도 참조) 사용을 정지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급탕밸브를 닫으면(스텝 S1), 물이 흐르지 않게 되므로 수압자동가스밸브가 폐쇄(스텝 S2)하여, 가스 버너(2)가 소화(스텝 S3)하고, 수류스위치(4)가 '오프'(스텝 S4)하고, 전자안전밸브(1)가 폐쇄한다(스텝 S5).
가스순간온수기(B)는 다음과 같은 구성·작동에 의해 , (ㄹ)~(ㅂ)의 이점을 가진다.
착화검지회로(8)는, 유지코일(12)과 레귤레이터(91)의 OUT 단자(911)간에 트랜지스터(14)를 접속하고, 플레임 로드(800)가 출력하는 염검지신호(801)의 입력에 근거하여 착화를 검지하는 판별부(83, 84)와, 양측의 판별부(83, 84)가 착화를 검지한 경우에 '온'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송출부(85)에 의해 구성된다.
착화 검지회로(8)의 판별부(83, 84)중 어느 향측이 '온'신호고장[플레임 로드(800)가 염검지신호(801)를 출력하지 않았는데 착화를 검지하는 경우]이어도, 트랜지스터(14)가 정상이면, 미착화시와 실화시에 트랜지스터(14)를 '오프'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유지코일(12)의 유지전류가 차단되고, 전자안전밸브(1)가 폐쇄하여, 가스버너(2)가 소화한다.
[ㄹ] 사용중에 만일, 착화검지회로(8)의 판별부(83, 84)중 일측이 '온'신호고장이어도, 트랜지스터(14)가 정상이면, 급탕개폐장치를 닫고, 열교환수로(3)에 흐르는 수류를 멈추고 수류스위치(4)를 '오프'하면, 트랜지스터(14)가 '오프'가 되고 확실하게 전자안전밸브(1)를 폐쇄할 수 있어 소화불능에 빠지지 않으므로 안전성이 뛰어나다.
[ㅁ] 점화전에 만일, 착화검지회로(8)의 판별부(83, 84)중 일측이 '온'신호고장이어도, 트랜지스터(14)가 정상이면, 점화시에 불착화가 발생하거나 급탕중에 실화가 발생한 경우, 확실하게 전자안전밸브(1)를 폐쇄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의 방출이 일어나지 않고, 안전성에 뛰어나다.
[ㅂ] 사용중에 만일, 착화검지회로(8)의 판별부(83, 84)중 일측이 '온'신호고장인 경우, 급탕중에 실화가 발생하면, 확실하게 전자안전밸브(1)를 페쇄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의 방출이 일어나지 않고, 안전성이 뛰어나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자밸브로서, 흡인코일과 유지코일을 각각 가지는 것을 나타냈으나, 한개의 코일로 흡인과 유지를 겸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연소장치로서 급탕기를 나타냈지만, 팬히터등, 다른 연소장치에 적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착화검지소자로서 플레임 로드를 표시했지만, 열전대이어도 좋다.

Claims (3)

  1. (삭제)
  2. 가스버너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로중에 설치되고, 통전에 의해 밸브체가 개방하는 전자밸브와; 상기 가스버너에 의해 가열되는 열교환부를 가지는 열교환수로와; 일단측이 전지에 접속되고, 상기 열교환수로내를 흐르는 수류를 검지하면 접점이 '온'되는 수류스위치와; 상기 전자밸브와 상기 전지간에 전기접속되는 스위치소자와; 상기 수류스위치가 '온'되면 점화동작을 개시하는 점화회로와; 상기 가스버너의 근방에 배치되고 연소염을 검지하면 염검지신호를 출력하는 착화검지소자와; 상기 착화검지소자가 상기 염검지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동안, 상기 스위치소자에 '온'신호를 출력하는 착화검지회로; 를 구비한 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화검지회로는, 상기 염검지신호의 입력에 근거하여 착화를 검지하는 2개의 독립된 판별부와; 양측의 판별부가 함께 착화를 검지한 경우에 상기 '온'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송출부;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
  3. 통전에 의해 밸브체가 개방하는 흡인코일과, 흡인후의 통전에 의해 개방상태의 유지를 도모하는 유지코일을 가지고, 가스버너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로중에 설치되는 전자밸브와; 상기 가스버너에 의해 가열되는 열교환부를 가지는 열교환수로와; 일단측을 전지에 접속하고, 상기 열교환수로내를 흐르는 수류를 검지하면 접점이 '온'되는 수류스위치와; 상기 흡인코일과 상기 전지간에 전기접속되는 제1스위치 소자와; 상기 유지코일과 상기 수류스위치의 타단측간에 직렬전기접속되는 제2, 제3 스위치소자와; 상기 수류스위치의 타단측에 전기접속되고, 작동용 전력이 공급되면, 소정시간동안 상기 제1스위치소자에 '온'신호를 출력하는 흡인타이머회로와; 점화지시에 의해 점화동작을 개시하는 점화회로와; 상기 가스버너의 근방에 배치되어 연소염을 검지하면 염검지신호를 출력하는 착화검지소자와; 상기 착화검지소자가 상기 염검지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동안, 상기 제2, 제3 스위치소자에 '온'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제2 착화검지회로; 를 구비하는 연소장치.
KR1019960012447A 1995-07-31 1996-04-23 연소장치 KR1001896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7195462A JP3087885B2 (ja) 1995-07-31 1995-07-31 燃焼装置
JP95-195462 1995-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077A KR970007077A (ko) 1997-02-21
KR100189607B1 true KR100189607B1 (ko) 1999-06-01

Family

ID=16341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2447A KR100189607B1 (ko) 1995-07-31 1996-04-23 연소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087885B2 (ko)
KR (1) KR100189607B1 (ko)
CN (1) CN1158955A (ko)
BR (1) BR9601979A (ko)
TW (1) TW40042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526B1 (ko) 2011-10-07 2013-08-16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연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5987B2 (ja) * 2006-03-27 2011-03-09 三浦工業株式会社 火炎検出装置
JP5484094B2 (ja) * 2010-01-25 2014-05-07 リンナイ株式会社 燃焼装置
JP5379090B2 (ja) * 2010-08-05 2013-12-25 リンナイ株式会社 燃焼装置
CN105240871A (zh) * 2015-11-02 2016-01-13 四川华索自动化信息工程有限公司 一种碳素焙烧炉燃烧器用电感谐振驱动式点火系统
CN105299691A (zh) * 2015-11-02 2016-02-03 四川华索自动化信息工程有限公司 碳素焙烧炉燃烧器用脉冲整形驱动稳压稳流式点火系统
CN105605615A (zh) * 2015-11-02 2016-05-25 四川华索自动化信息工程有限公司 一种碳素焙烧炉燃烧器用脉冲整形驱动稳流式点火系统
CN105222155A (zh) * 2015-11-02 2016-01-06 四川华索自动化信息工程有限公司 一种碳素焙烧炉燃烧器用电感谐振驱动稳流式点火系统
CN105276614A (zh) * 2015-11-02 2016-01-27 四川华索自动化信息工程有限公司 一种碳素焙烧炉燃烧器用电感谐振驱动稳压式点火系统
CN105258155A (zh) * 2015-11-02 2016-01-20 四川华索自动化信息工程有限公司 一种碳素焙烧炉燃烧器用脉冲整形驱动稳压式点火系统
CN105258156A (zh) * 2015-11-02 2016-01-20 四川华索自动化信息工程有限公司 一种碳素焙烧炉燃烧器用脉冲整形驱动式点火系统
CN105222154A (zh) * 2015-11-02 2016-01-06 四川华索自动化信息工程有限公司 碳素焙烧炉燃烧器用电感谐振驱动稳压稳流式点火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526B1 (ko) 2011-10-07 2013-08-16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연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00425B (en) 2000-08-01
KR970007077A (ko) 1997-02-21
CN1158955A (zh) 1997-09-10
BR9601979A (pt) 1998-10-06
JPH0942670A (ja) 1997-02-14
JP3087885B2 (ja) 2000-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7982A (en) Flame monitor safeguard system
US4978292A (en) Fuel burner control system with hot surface ignition
KR100189607B1 (ko) 연소장치
US5035607A (en) Fuel burner having an intermittent pilot with pre-ignition testing
US6280180B1 (en) Method and system for igniting a burner of a gas stove
JPS5838696B2 (ja) 燃料点火装置
US6126435A (en) Electronic ignition system for a gas stove
US4581697A (en) Controller for combustible fuel burner
EP2304331B1 (en) Ignition control with safeguard function
KR0181630B1 (ko) 연소장치
KR100371224B1 (ko) 연소장치
KR930006171B1 (ko) 연소제어장치
KR920009087B1 (ko) 연소제어장치
KR100777238B1 (ko) 파이롯 버너의 이그니터 전극 감시장치
JP2002174422A (ja) ガス調理機器のラッチ電磁弁の制御回路
KR0125959B1 (ko) 연소장치
KR0125787B1 (ko) 연소장치
KR930006174B1 (ko) 연소 제어장치
EP0573223A1 (en) Heating appliances
JP3053752B2 (ja) 燃焼装置
JP2634016B2 (ja) 燃焼装置
KR950003273B1 (ko) 탕비기의 제어장치
JP3816142B2 (ja) 燃焼装置
KR920008878B1 (ko) 급탕기의 연소제어장치
JPH01118022A (ja) 燃焼器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