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9087B1 - 연소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연소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9087B1
KR920009087B1 KR1019880002638A KR880002638A KR920009087B1 KR 920009087 B1 KR920009087 B1 KR 920009087B1 KR 1019880002638 A KR1019880002638 A KR 1019880002638A KR 880002638 A KR880002638 A KR 880002638A KR 920009087 B1 KR920009087 B1 KR 920009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burner
circuit
safety valve
ignition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2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1524A (ko
Inventor
츠네노리 나루세
카나에 아이다
마사히코 유키무라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강성모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강성모,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880011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1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9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with a time programme acting through electrical means, e.g. using time-delay relays
    • F23N5/203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with a time programme acting through electrical means, e.g. using time-delay relays using electron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with a time programme acting through electrical means, e.g. using time-delay re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27/00Ignition or checking
    • F23N2227/36Spark ignition, e.g. by means of a high vol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35/00Valves, nozzles or pumps
    • F23N2235/12Fuel valves
    • F23N2235/14Fuel valves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 F23N5/1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using thermocoup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소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자안전밸브 2 : 버너
3 : 가스공급로 4, 4a : 코일
5 : 열전대(열전소자) 6 : 점화회로
13 : 타이머 회로 18 : 해제스위치
본 발명은 수동 열림식 밸브형 전자안전밸브를 열림상태로 유지하는 열전소자를 구비한 연소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런 종류의 장치로서, 버너에로의 가스공급로에 끼워 설치된 점화조작에 연이어 작동해서 밸브를 여는 전자안전밸브와, 점화조작에 연이어 작동해서 작동하는 점화회로와, 이 전자안전밸브의 코일에 접속되어 버너로 가열되는 열전소자를 구비한 것은 이미 알려졌다.
그러나 상기 종래 장치는 점화조작에 의해 전자안전밸브를 열어서 버너로 가스를 공급하는 동시에 점화회로를 작동시켜 버너를 착화시킨 후, 열전소자로부터 발생되는 소정기전력에 의해 이 전자안전밸브를 열린밸브로 유지하여 이 버너를 계속 연소시키도록 한 것으로 연속기의 사용개시(이하 이를 “콜드 스타트”라 한다)시에는 점화조작에 의해 버너가 착화되진 않을 때는 열전소자는 가열되지 않고 소정기전력을 발생하지 않으므로 문제는 없지만, 연소기 사용을 중지하고 그후 즉각 재사용을 행할 때(이하 이를 “핫 스타트”라 한다)에는 그 점화조작을 순간적으로 하기 때문에, 점화회로에 의한 스파크가 충분하지 않고 버너가 착화되지않을 때에도 열전소자는 남아있는 열에 의해 소정기전력을 계속 발생하고 있는 상태로 있으므로, 전자안전밸브는 열린 상태로 유지되어 생가스가 방출되는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버너의 상기한 바와 같은 위험한 상태를 없앨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으로서, 버너에의 가스공급로에 끼워 설치되고 점화조작에 연이어 작동해서 밸브를 여는 전자안전밸브와, 점화조작에 연이어 작동하는 점화회로와, 이 전자안전밸브의 코일에 접속되어 이 버너로 가열되는 열전소자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점화조작 해제에 의해 작동하여 점화회로의 작동을, 이 버너의 착화에 필요한 소정시간 만큼 계속시키는 타이머회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한 것으로, 이 구성에 의하면, 점화조작에 의해 전자안전밸브가 열리고 버너에 가스가 공급됨과 동시에 점화회로가 작동하고, 점화조작 해제에 의한 타이머회로가 소정의 시간동안 작동해서 점화회로의 작동시간이 소정의 시간동안 계속한다.
상기 점화조작이 콜드스타트일 때면 점화조작에 의해 버너가 착화되고, 그 조작이 열전소자로부터 소정기전력이 발생되기까지의 시간동안 계속될 때는 그후 점화조작을 해제해도 전자안전밸브는 열린 상태로 유지되어 버너의 정상연소가 계속되며, 또 점화조작이 열전소자로부터 소정기전력이 발생되기까지의 시간전에 해제된 때는 버너가 착화되었거나 되지 않았거나간에 전자안전밸브는 열린 상태로 유지되지 않고, 버너가 착화하여 있는 때는 버너의 연소는 즉각 정지되고, 버너가 착화하지 않았을 때는 버너는 처음부터 정지상태로 유지되어 안전하다.
상기 점화조작이 핫스타트일 때면, 열전소자는 남아있는 열에 의해 소정기전력을 발생하고 있는 상태로 있고 전자안전밸브는 열린 상태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버너가 점화조작에 의해 착화한 때는 버너의 정상연소가 계속되고 또 버너가 착화하기 전에 점화조작을 해제했을 때라도 타이머회로의 작동이 점화조작 해제후 소정시간 동안 계속되어 이 소정시간내에 버너는 확실히 착화되어 버너의 연소가 개시된다.
따라서 핫스타트때에 점화조작을 행하고, 이 점화조작을 즉각 해제했기 때문에 점화조작중에 버너가 착화되지 않았을지라도 그후 버너의 연소가 확실히 개시되기 때문에 생가스가 방출되지 않게 되어 안전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버너(2)로의 가스공급로(3)에 끼워 설치한 수동 열림식 밸브형 전자안전밸브를 나타내고, 이 전자안전밸브(1)의 코일(4)은 이 버너(2)로 가열되는 열전소자인 열전대(5)에 접속한다.
6은 전지(7)에 접속되는 점화회로를 나타내며 이 점화회로(6)는 콘덴서(8)와 소저항치의 저항(9)으로된 방전회로(10) 및 이 콘덴서(8)와 대저항치의 저항(11)으로된 충전회로(12)를 구비한 타이머회로(13)를 설치한 것으로, 버너(2)의 점화조작에 따라서 닫히는 점화스위치(14)에 의해 전지(7)로부터 전력을 발진회로(15)에 직접 공급해서 이것을 작동시켜 점화트랜스(16)의 2차측에 고전압을 발생시키며 이 고전압을 점화전극(17)에 인가하여 전극간에 스파크를 발생시키고 또 점화조작 해제에 따른 열림해제스위치(18)에 의해 소정시간 동안에 콘덴서(8)의 충전을 일으켜 이 소정시간중 발진회로(15)를 작동시키고 상기 점화스위치(14)에 의한 때에 함께 전극간에 스파크를발생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점화조작이 콜드스타트일 대라면, 점화조작에 의해 전자안전밸브(1)는 열리고, 버너(2)에 가스가 공급됨과 동시에 점화스위치(14)가 닫히며, 콘덴서(3)가 충전되어 점화회로(8)가 충전시간중 작동되기 때문에, 이미 설명한 바있는 작동과 같이 점화조작에 의해 버너(2)가 착화되고 그 점화조작이 열전대(5)로부터 소정기전력이 발생되기까지의 시간이 계속되어 있을 때에는, 그후 점화(열린밸브)조작을 해제해도 열전대(5)에 의해 전자안전밸브(10)는 열린밸브상태로 유지되고 버너(2)의 정상연소가 계속되며, 또 점화조작이 열전대(5)로부터 소정기전력이 발생되기까지의 시간전에 해제된 때는 버너(2)가 착화되었든지 안되었든지간에 전자안전밸브(1)는 열림밸브상태로 유지되지 않으므로 버너(2)가 착화하여 있을 때는 버너(2)의 연소는 처음부터 정지상태로 유지되어 안전하다.
상기 점화조작이 핫스타트일 때면 열전대(5)는 남아있는 열에 의해 소정기전력을 발생하고 있는 상태로 있고 전자안전밸브(1)는 열린밸브상태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버너(2)가 점화조작에 의해 착화한 때는, 버너(2)의 정상연소가 계속되며 또 버너(2)가 점화조작을 순간적으로 행했기 때문에 점화회로(8)에 의한 스파크가 충분하지 않고 착화되지 않았을 때라도 점화조작 해제에 의해 해제스위치(18)가 열리고 콘덴서(8)가 충전되어 스타트(6)의 작동이 소정시간 계속되어 이 소정시간내에 버너(2)는 확실히게 착화되며 버너(2)의 연소가 개시되어서 안전하다. 또한 버너(2)의 연소중 실화가 생겼을 때는 열전대(5)는 가열되지 않고 소정기전력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전자안전밸브(1)는 닫혀져 가스의 공급이 정지되어 안전하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에는 전자안전밸브 (1)의 코일(4)을 전력소비가 적은 여러번 감은 코일로 구성하고 그 한쪽의 코일(4a)을 열전대(5)에 접속하는 동시에 그 다른쪽의 코일(4b)을 전기(7)에 접속하였다.
또 코일 (4b)이 전원회로(19)에는 스타트(6) 이외의 타이머회로(20)와 불꽃검지회로(21)와 안전밸브구동회로(22)를 끼워 설치하였다.
이 타이머회로(20)는 점화조작에 연이어 작동해서 열전대(5)로부터 소정의 기전력이 발생될 때까지 일정시간동안 작동하는 것으로, 버너(2)의 점화조작시 교체되는 홀드스위치(23)에 의해 콘덴서(24)를 일정시간 충전시키고 이 충전중에 트랜스(25)(26)(27)를 도통시켜 상기 일정시간 후의 불꽃검지회로(21)에 전기(7)의 전압을 인가시켜 불꽃검지회로(21)를 작동준비 상태로 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 불꽃검지회로(21)는 후레임로드식의 것으로, 상기 타이머회로(20)의 작동에 의해 발진회로(28)를 작동시켜 이 발진회로(28)로부터의 교류전압을 후레임로드 (29)에 인가시키고, 버너(2)가 착화될 때에 불꽃을 통하여 후레임로드(29)에서 흐르는 정류된 전류에 의해 트랜지스터(30)를 도통하지 않게 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 안전밸브구동회로(22)는 2개의 트랜지스터(31)(32)와 전류제한용 저항(33)과 코일(4b)로 되어 있고, 상기불꽃검지회로(21)의 트랜지스터(30)가 도통하지 않을 때 트랜지스터(31)(32)가 도통해서 전지(7)의 전압을 코일(4b)에 전하게 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렇게 할 때에는 점화조작에 의해 전자안전밸브(1)는 열리고 버너(2)에 가스가 공급됨에 따라 홀드스위치(23)가 교체되어 점화회로(6)가 작동되고 또 타이머회로(20)의 일정시간의 작동이 개시되어 전지(7)의 전압이 트랜지스터(27)를 통하여 불꽃검지회로(21)에 인가되고 불꽃검지회로(21)는 작동준비 상태로 놓여진다.
이 경우, 점화조작 해제 후도 타이머(13)에 의해 소정시간 스파크가 계속된다.
여기에서 상기 점화조작이 콜드스타트일 때라면, 버너(2)가 점화회로(6)의 스파크에 의해 착화한 때는 후레임 로드(29)에 정류전류가 흐르고 불꽃검지회로(21)가 작동해서 전지(7)의 전압이 안전밸브 구동회로(22)의 트랜지스터(32)를 통하여 전자안전밸브(1)의 코일(4b)에 인가되며 전자안전밸브(1)는 타이머회로(20)의 일정시간 열린밸브 상태로 유지되고 이어서 전자안전밸브(1)는 버너(2)로 가열된 열전대(5)로부터의 소정기전력에 의해 코일(4a)이 통전되어 열린밸브 상태로 유지되어 버너(2)의 정상연소가 계속된다.
또 버너(2)가 점화회로(6)의 스파크에 의해 착화하지 않을 때는 후레임로드 (29)에 전류가 흐르지 않고 불꽃검지회로(21)가 작동되지 않아 전지(7)의 전압이 코일(4b)에 인가되지 않고, 전자안전밸브(1)는 신속히 닫혀지고 버너(2)는 정지상태로 유지되어 안전한다.
상기 점화조작이 핫스타트일 때라면, 남아 있는 열에 의해 열전대(5)는 소정기전력을 계속 발생하고, 이것이 코일(4b)에 공급되어 전자안전밸브(1)가 열린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버너(2)가 점화회로(8)의 스파크에 의해 착화했을 때는 버너(2)의 정상연소가 계속된다.
또 점화조작을 순간적으로 하였기 때문에 점화회로(6)에 의한 스파크가 충분하게 남아 버너(2)가 착화되지 않을 때는 점화조작 해제에 따른 타이머회로(13)의 작동으로 점화회로(6)의 작동이 소정시간 계속되어 스파크가 소정시간 계속되기 때문에 이 소정시간내에 버너(2)는 확실히 착화되고 버너(2)의 연소가 개시되어 생가스의 방축이 없어 안전하다.
또한 제2도의 실시예에서는 열전대(5) 이외에 또다른 열전대(32)를 설치하고 양자(5)(33)를 서로 역극성으로 접속하여 이것을 코일(4a)에 접속하는 구성으로서 버너(2)가 산소겹핍 상태로 되었을 때 열전대(33)로부터 열전대(5)와는 역방향의 기전력이 발생하도록 하여 양자(5)(33)의 기전력이 상쇄되어 전자안전밸브(1)가 닫히도록 했다.
또 제1도 및 제2도의 실시예에서는 점화조작을 하는 조작자로서는 종래 공지인 푸쉬식, 또는 눌러 돌리는 식의 것을 사용하고, 제1도의 실시예에서는 점화조작에 의해 점화스위치(14)와 해제스위치(18)가 닫혀 점화조작 해제에 의해 해제스위치(18)가 열리고 소화조작에 의해 점화스위치(14)가 열리도록 하며, 제12도의 실시예에서는 점화조작에 의해 해제스위치(18)가 닫히는 동시에 홀드스위치(23)가 교체되고 점화조작 해재에 의해 해제스위치(18)가 열려 소화조작에 의해 홀드스위치 (23)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였다.
또한 제1도 및 제2도의 실시예 가운데 34는 버너(2)의 점화, 소화조작에 연이어 작동해서 개폐하는 원밸브를 가르킨다.
이렇게 본 발명에 의한 때에는, 점화조작 해제에 의해 작동하여 점화회로의 작동을 소정시간 계속시키는 타이머회로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점화조작이 연소기의 사용을 중단한 그후에 즉각 재사용을 할 때의 재점화조작에 알맞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열이 남아있고 열전소자가 소정기전력을 계속 발생하여 전자안전밸브가 열린상태로 유지되어 버너에 가스가 공급되어 있는 경우로서, 그 점화조작중에 스파크가 충분하지 않아 버너가 착화되지 않아도 점화조작 해제후의 타이머회로에 의한 점화회로의 소정시간 계속 작동으로 버너는 확실히 착화되므로 생가스의 방출이 계속되는 것과 같은 일이 전혀 없어 안전대책상 유리한 효과를 갖고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할 때는 점화조작 해제후에 타이머회로를 소정시간 작동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점화조작 초기 또는 점화조작중에 타이머회로를 소정시간 작동시키는 것에 비해 착화가 보다 한층 확실하게 될 수 있는 효과를 갖고 있다.

Claims (1)

  1. 버너(2)에의 가스공급로(3)에 끼워 설치되고 점화조작에 연이어 작동하여 밸브가 열리는 전자안전밸브와, 점화조작에 연이어 작동하는 점화회로와, 이 전자안전밸브의 코일에 접속되어 이 버너로 가열되는 열전소자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점화조작 해제에 의하여 작동하여 이 점화회로의 작동을 소정시간 계속시키는 타이머회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제어장치.
KR1019880002638A 1987-03-14 1988-03-12 연소제어장치 KR9200090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59589 1987-03-14
JP62-59589 1987-03-14
JP62059589A JPS63226526A (ja) 1987-03-14 1987-03-14 燃焼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524A KR880011524A (ko) 1988-10-28
KR920009087B1 true KR920009087B1 (ko) 1992-10-13

Family

ID=13117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2638A KR920009087B1 (ko) 1987-03-14 1988-03-12 연소제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226526A (ko)
KR (1) KR9200090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8797B2 (ja) * 1988-03-18 1996-11-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給湯器の制御装置
US5026270A (en) * 1990-08-17 1991-06-25 Honeywell Inc. Microcontroller and system for controlling trial times in a furnace system
US9705167B2 (en) * 2013-06-19 2017-07-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thium ion conducting protective film and method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30053B2 (ko) 1991-04-26
JPS63226526A (ja) 1988-09-21
KR880011524A (ko) 1988-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838696B2 (ja) 燃料点火装置
KR100189607B1 (ko) 연소장치
KR920009087B1 (ko) 연소제어장치
KR930006171B1 (ko) 연소제어장치
US3519376A (en) Fuel burner control using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spark generation and thermocouple actuated reed switch
KR910002741B1 (ko) 연소제어장치
EP0454613B1 (en) Gas appliance
JP3539040B2 (ja) 燃焼装置
KR920008878B1 (ko) 급탕기의 연소제어장치
JPS58175719A (ja) ガス点火安全装置
KR930003902B1 (ko) 연소 제어장치
KR910002744B1 (ko) 연소 안전장치
GB2176910A (en) Electrical control means for gas flow to a burner
CA2546045A1 (en) Burner shut off
JP3317607B2 (ja) 燃焼器具の安全装置
JPS6215641Y2 (ko)
JPS61114010A (ja) 気化式燃焼装置
JPS58178118A (ja) ガス点火安全装置
JPH0141010Y2 (ko)
KR880002454Y1 (ko) 가스 연소기구의 안전장치
JPH0674443A (ja) 燃焼制御装置
JPH0424220Y2 (ko)
JPS6026288Y2 (ja) 燃焼装置
JPH0252769B2 (ko)
KR900005815Y1 (ko) 개스연소기의 퀵 스타트(Quik-Start)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8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