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454Y1 - 가스 연소기구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가스 연소기구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454Y1
KR880002454Y1 KR2019850002970U KR850002970U KR880002454Y1 KR 880002454 Y1 KR880002454 Y1 KR 880002454Y1 KR 2019850002970 U KR2019850002970 U KR 2019850002970U KR 850002970 U KR850002970 U KR 850002970U KR 880002454 Y1 KR880002454 Y1 KR 8800024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noid valve
gas
inverting
diode
combu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29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2125U (ko
Inventor
정정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알기업
도한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알기업, 도한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알기업
Priority to KR20198500029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2454Y1/ko
Publication of KR8600121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21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4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454Y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스 연소기구의 안전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OP1,OP2: 비교증폭기 D1,D2: 다이오드
CA : 열전대 R1-R5: 저항
C1: 콘덴서 L : 전자밸브코일
E : 밧데리 전원 SW1: 개폐스위치
본 고안은 가스연소기구의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이 앞서 제안한 바 있는 1985년 3월 21일 특허 출원 제1865호에 의한 연소기구 안전장치의 밸브체에 있어서, 전자석 역할의 자성체를 철, 니켈, 합금의 퍼머로이 소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퍼머로이의 자속밀도가 높아 소전력으로 밸브체를 구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연소기 사용시에만 전력을 밸브체로 공급시키고, 연소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전력 소모가 없게 한 것으로서,연소기 분화구 근처에 열전대를 설치하여 분화구의 연소상태를 식별 사용중 바람이나 국물등이 넘쳐 연소되지 않은 생가스가 유출될 경우 전자석의 전류를 차단시키어 점화콕크로의 가스 유입을 막아 안전한 연소기의 사용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통상의 가스연소기를 사용할 경우 연소기 전면에 부착된 콕크의 핸들을 눌름동작과 함께 분화구의 열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점화콕크에 있어서 점화콕크의 회전에 의해서 분화구의 화력을 강,약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점화콕크의 일측에 부착된 고압 발생기에서 점화록크의 회전시 착화토록 되어 연소기가 점화된후 정상작동시에는 별 지장이 없으나, 사용자의 부주위등으로 인하여분화구에서 연소되지 않은 생가스가 유출될 경우에는 가스가 실내에 누출되어 재점화시나 전기 용품의 스파크 등으로 인한 가스폭발의 화재 위험이 항상 뒤따랐다.
이를 개선코져 최근에 개발된 열전대를 이용한 전자석 안전 장치가 있었으나, 이는 열기 전력이 발생되면 전자석이 작동토록 되어 있어 연소기의 최초 사용시 열전대가 열기 전력이 발생되는 동안 연소기의 점화콕크, 손잡이를 수초(약 7-8초) 동안 눌르고 있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서, 사용 불편 및 가스 연소기 사용중 빈번히 발생하는 분화구에서 생가스 유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앞서 제안한바 있는 1985년 3월 21일 특허 출원 제1865호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연소기 전면 점화 콕크 후단의 오리피스를 제어할 수 있는 밸브체(도시생략함)를 점화콕크 후단에 절연시키어 밸브체를 삽입 고정시킨것에 있어, 버너 분화구의 불꽃을 감지하는 열전대(CA)의 일측에 비교 증폭기(OP2)의 비반전(+)측 입력단자를 접속하고, 그의 출력단자에는 다이오드(D2)를 통하여 전자 밸브 구동코일(L)의 일단(a)을 접속하며, 전자밸브의 개폐 스위치(SW1)가 일측에 접속된 바테리 전원단자(E)의 (+)측에 저항(R1)및 콘덴서(C1)를 통하여 비교증폭기(OP1)의 및 콘덴서(C1)를 통하여 비교증폭기(OP1)의 반전(-)측 입력단자를 접속하고, 그의 출력단자에는 다이오드(D1)를 통하여 상기 한 전자밸브 구동코일의 일단(a)에 접속하여 구성시킨다.
미설명 부호 R2,R3는 비교증폭기(OP1)의 기준 전압설정용 분배 저항이고, R4,R5는 비교증폭기(OP2)의 기준전압 설정용 분배 저항이고, C1는 콘덴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성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연소기를 사용코져 점화콕크의 손잡이를 눌르면 점화콕크와 전자밸브 사이에 설치된 개폐스위치(SW1)가 "온"되어 밧데리 전원(E)이 회로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초기 상태에서 비교증폭기(OP1)의 반전(-)측 단자의 콘덴서(C1)에 전하가 충전되는 동안에는 분배저항(R2),(R3)에 의하여 비교 증폭기(OP1)의 비반전(+)측 단자에 가해지는 전위가 하이(High) 전위상태이므로, 비교 증폭기(OP1)의 출력단에는 하이전위 신호가 나타나게 되며, 이 하이전위 신호는 다이오드(D1)를 통하여 전자밸브 코일(L)에 전류를 흘려주므로, 전자밸브가 구동된다.
이후에 버너 분화구에 설치된 열전대(CA)가 가열되어 열기전력이 발생되는 동안 전자밸브 코일(L)에는 전류가 계속해서 흐르게 되며, 이와 같이 열전대(CA)가 가열된 상태에서는 비교증폭기(OP2)의 반전(-)측 단자에 저항(R4),(R5)에 의해 분배된 전압보다 비반전(+)측 단자 전압이 높은 상태가 되므로, 비교 증폭기(OP2)의 출력단에는 하이전위 상태가 되고, 이 하이전위 신호는 다이오드(D2)를 통하여 전자밸브 구동코일(L)의 일측(a)에 공급되어 전자 밸브는 계속하여 구동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착화실수 또는 연소기 사용 도중에 바람이나 국물 등이 흘러 넘쳐 불꽃이 꺼지므로 연소되지 않은 생가스가 새어 나오는 경우에는 버너 분화구에 설치된 열전대(CA)에서 열기전력이 발생되지 않게되어 비교 증폭기(OP2)의 반전(-)측 단자 전압이 비반전(+)측 단자 전압보다 높아지므로 비교증폭기(OP2)의 출력단에는 로우(LOW)전위로 변환되어 전자밸브 구동코일(L)에는 전류가 흐르지 못하여 전자밸브가 구동을 멈추게 되므로 스위치(SW1)가 오프 상태로 되어 회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됨과 동시에 점화콕크의 가스 유입통로를 안전하게 차단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동작하는 본 고안은 간단한 회로구성으로서 전자밸브의 전자석 소재를 자속 밀도가 높은 철, 니켈, 합금의 퍼멀로이를 사용할 경우에는 소전력으로서도 전자밸브를 구동시킬 수가 있어 소비전력을 절감할수 있을 뿐 아니라, 제작이 용이한 잇점도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버너의 불꽃을 감지하는 열전대(CA)의 일측에 비교 증폭기(OP2)의 비반전(+)측 입력단자를 접속하고, 그의 출력단자에는 다이오드(D2)를 통하여 전자 밸브 구동코일(L)의 일단(a)을 접속하고, (-)측에 개폐 스위치(SW1)가 접속된 바테리 전원(E)의 (+)측을 저항(R1)및 콘덴서(C1)를 통하여 비교증폭기(OP1)의 반전(-)측 입력단자에 접속하고, 그의 출력은 다이오드(D1)를 통하여 상기한 전자밸브 구동코일(L)의 일단(a)에 연결접속하여 생가스의 누출을 차단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연소기구의 안전장치.
KR2019850002970U 1985-03-23 1985-03-23 가스 연소기구의 안전장치 KR8800024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2970U KR880002454Y1 (ko) 1985-03-23 1985-03-23 가스 연소기구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2970U KR880002454Y1 (ko) 1985-03-23 1985-03-23 가스 연소기구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2125U KR860012125U (ko) 1986-10-08
KR880002454Y1 true KR880002454Y1 (ko) 1988-07-05

Family

ID=19240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2970U KR880002454Y1 (ko) 1985-03-23 1985-03-23 가스 연소기구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245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2125U (ko) 1986-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2078A (en) Centralized automatic pilot/pilotless ignition control system
US4298335A (en) Fuel burner control apparatus
US6126435A (en) Electronic ignition system for a gas stove
US4662838A (en) Fuel burner control system
US3174535A (en) Ignition system for gas burners
US4459097A (en) Fuel burner control apparatus
KR880002454Y1 (ko) 가스 연소기구의 안전장치
US5816791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gas supply
KR930006171B1 (ko) 연소제어장치
JPS5952723B2 (ja) 燃焼器の制御回路
JPS5630535A (en) Safety device for combustion system
US4102630A (en) Burner control system
KR920009087B1 (ko) 연소제어장치
KR100197882B1 (ko) 가스레인지의 전자식 점화장치 및 방법
KR920008878B1 (ko) 급탕기의 연소제어장치
KR910002744B1 (ko) 연소 안전장치
KR930003902B1 (ko) 연소 제어장치
JPS576232A (en) Combustion controller
JP3539040B2 (ja) 燃焼装置
JPS5642018A (en) Safety controller for combustion
TW298612B (ko)
JPH0141010Y2 (ko)
JPS5812022Y2 (ja) ガス器具の燃焼安全装置
JPH025259Y2 (ko)
KR910002741B1 (ko) 연소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7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