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4563B1 - 화물운송구 - Google Patents

화물운송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4563B1
KR100194563B1 KR1019940700425A KR19940700425A KR100194563B1 KR 100194563 B1 KR100194563 B1 KR 100194563B1 KR 1019940700425 A KR1019940700425 A KR 1019940700425A KR 19940700425 A KR19940700425 A KR 19940700425A KR 100194563 B1 KR100194563 B1 KR 100194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container
cargo
loaded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0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춘 센 람 데이빗
Original Assignee
춘 센 람 데이빗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춘 센 람 데이빗 filed Critical 춘 센 람 데이빗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4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45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88/52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all side walls hingedly connected to each other or to another component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9Transporter fram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65G67/20Loading covered vehicles

Landscapes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 Package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화물 수송용 플랫포옴(2, 100)은 선적용 콘테이너속에 꼭 맞게 설치할 수 있는 칫수를 가지며, 콘테이너를 출입할 수 있는 로울러(12, 20)가 있고, 한가지 조건에서는 직립상태로서 화물이 플랫포옴위에 적재되며 두번째 조건에서는 수평상태로서 플랫포옴을 하나씩 쌓아 올리게 되는 모서리에 기둥(8, 102)을 가진 것이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화물 운송구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화물의 운송구에 관한 것이다. 화물 수송의 현대적인 방법에는 표준 칫수를 가지며 특수하게 채용된 도로 수송용 트레일러, 철도 화차(貨車) 및 선박 등에 고정시킬 수 있는 표준 이음쇠(fittings)를 가진 콘테이너(이하, 선적용 콘테이너 라 함)를 이용하는 것도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수송시에 나타나는 한가지 문제는 속이 텅빈 콘테이너를 화물 적재 장소까지 운반하는데 경비가 많이 소요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콘테이너를 화물 적재 장소까지 운반하기가 곤란한 경우에는 더욱 심각해진다. 종래 항구에서 콘테이너를 채우는데 임어서 경비 부담을 피하거나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작업자들은 작업을 너무 신속하게 함으로 화물이 자주 파손되고 한다. 또 다른 문제는 선적용 콘테이너를 채우거나 비우는데 장시간이 걸릴 때가 많으므로 단순한 화물 수송에 엄격히 소요되는 것 보다 장기간동안 콘테이너를 사용하지 못할 때가 많다는 것이다.
선박밖에서 콘테이너를 인양하여 선박위에 올려 놓는 작업은 선박에 화물을 단순히 올려 놓는데 소요되는 것보다 한번 더 인양해야하므로 여기에 비용이 소요된다. 선박에 공간이 생기면 30회 내지 40회 올렸다 내렸다하는 대신 한번 인양에서 30/40 플랫포옴(platform) 하나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어떤 화물의 경우는 접근할 수 없거나 도착하기가 거의 불편한 곳에서 생산되는 경우가 자주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자면, 고무 같은 것은 농원에서 생산되는데, 통상적으로 도로 사정이 불편한 나라에서 수송해야 하며, 특히 농원지역에서 부터 선적되는 항구까지 수송해야한다. 지방의 도로 조건에 따라 수송 중량에 제한을 받게 된다. 미국 같은 공업국가에서는 도로위를 이동할 수 있는 트럭과 화물의 중량에 대하여 법정(法定) 제한을 하고 있는데, 트럭이 고무 같이 무거운 재료를 화물로 해서 가득 채운 선적용 콘테이너를 운반하고자 할 경우에는 보통 이러한 한계를 초과하게 된다.
플랫포옴에다 화물을 적재한 다음 운반하는 것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자면, 플랫포옴에는 모서리에 인양용 후우크(lifting hook)가 있기 때문에 이 후우크에 체인을 걸어 크레인으로 플랫포옴을 들어 올린다. 또한 플랫포옴에는 포오크 리프트(fork lift)의 포오크를 수용하는 터널 또는 리세스(recess)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콘테이너속을 출입할 수 있는 수단을 가진 플랫포옴 위에 화물을 적재하면 위와 같은 몇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는 첫번째 사실에 근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적하(積荷)가 가능한 인양 수단을 플랫포옴에 구성하면 콘테이너 하나에 많은 플랫포옴을 실어 수송할 수 있으므로 이들이 비었을 경우 운반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두번째 사실에 근거한 것이다.
넓은 의미의 첫번째 특징에 있어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특징의 화물 수송용 플랫포옴을 제공한다.
(가) 플랫포옴은 선적용 콘테이너 내부에 틈새 끼뭐 맞춤(clearance fit)식으로 수용되는 칫수를 가지고 있다.
(나) 플랫포옴에는 콘테이너속을 출입할 수 있는 수단을 가지고 있다.
(다) 플랫포옴에는 플랫포옴 기둥부재(部材)와 상기 기둥부재 위에 있는 인양수단과 화물이 플랫포옴 위에 적재될 때 기둥이 직립상태로 되는 한가지 조건과 기둥부재가 수평으로 있게 되면 플랫포옴을 하나씩 쌓아 올릴 수 있는 두번째 조건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넓은 의미의 두번째 특징에 있어서 본 발명은 한가지 조건에서는 직립상태에 있고, 두번째 조건에서는 수평상태에 있는 기둥부재와, 플랫포옴을 인양할 수 있는 인양수단을 가진 부재를 가지데, 선적용 콘테이너 내부에 여유를 가지고 끼워 맞춤식으로 수용되는 칫수를 가진 플랫포옴을 사용하는 하물 수송 방법에 있어서, 위에서 정의된 플랫포옴을 도로 및/또는 철도에 의하여 적재 장소에 수송하고, 도로 트레일러 또는 철도화차 위에 싣고 플랫포옴에 화물을 적재하며, 화물이 적재된 플랫포옴을 도로 또는 철도로 콘테이너쪽으로 수송한 다음 플랫포옴의 바퀴 또는 로울러 등의 이동수단으로 플랫포옴을 콘테이너속으로 이동시키고, 필요한 경우 콘테이너를 목적지 항구에 수송하고,적재된 플랫포옴을 끌어내어 화물 사용처에 운반하여 화물을 내려 놓고, 기둥부재를 수평상태로 한 후 플랫포옴을 서로 쌓아 올려 선적용 콘테이너속에 넣은 다음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플랫포옴을 사용하는 화물 수송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특징은 플랫포옴에 이동수단으로서 바퀴나 로울러를 구성하는 것이다.
부두에서 콘테이너를 채우는 것은 작업이 간편하고 작업속도가 빨라서 입항세(入港稅)를 절감할 수 있으므로 타당성이 있다. 플랫포옴을 바퀴 등으로 굴려 이동시켜 콘테이너속에 빨리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선박내에 콘테이너를 채워 넣기가 쉬워 인양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플랫포옴을 화물 적재 장소에 수송할 필요가 있을 경우, 다수의 플랫포옴을 로리(lorry) 또는 트럭에 실어 운반할 수 있다. 상품 공급자가 콘테이너를 채우는데 장시간이 소요되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되지 않고 방치되어 있는 플랫포옴에 소요되는 비용은 사용되지 않고 방치되어 있는 콘테이너 각각에 대한 콘테이너 새시(chassis) 또는 콘테이너에 소요되는 비용에 비하여 절감되는데, 그 이유는 플랫포옴을 콘데이너 또는 콘테이너 새시 보다 제작비가 훨씬 저렴하기 때문이다.
로리(lorry)위에 플랫포옴 다수를 용이하게 적재하기 위하여 플랫포옴에는 표준 칫수의 포오크리프트 트럭의 포오크를 수용할 수 있는 리세스(recess)를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랫포옴의 모서리 각각에는 기둥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둥의 윗면에 인양용 후우크를 가지는 것이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기둥을 비교적 길이가 긴 것으로 하여 기둥이 직립했을 때의 높이가 기둥을 수평으로 했을 때의 논이에 비하여 약 15 : 1의 비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플랫포옴에는 콘테이너내에 있을 경우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가지 예로서의 플랫포옴 고정수단은 로울러 각각의 브레이크이다. 다른 예로서의 플랫포옴 고정수단은 로울러를 비동작 위치로 인양하기 위한 인양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의 플랫포옴 고정수단은 플랫포옴을 콘테이너내에서 로킹(locking)하는 수단인데, 이 경우에 있어서 바람직한 것은 플랫포옴을 콘테이너로부터 끄집어낼 때 플랫포옴 로킹수단이 국제 표준 트위스트 블록(twist block)으로 도로용 트레일러나 철도 화차(貨車)위에 플랫포옴을 로킹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여유를 가지고 화물을 적재할 수 있고 화물이 적재되었을 경우 콘테이너속을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바퀴 또는 로울러 등의 수단을 가진 플랫포옴과 조합하여 표준 칫수를 가진 선적용 콘테이너에도 관련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속에 꼭 맞는 빈틈을 가진 플랫포옴 다수와 조합하여 표준 칫수를 가진 선적용 콘테이너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플랫포옴은 작은 표준 칫수의 선적용 콘테이너속에 꼭 맞는 틈새를 각각 제공하는 칫수를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플랫포옴은 그 길이가 약 18 피이트 6 인치(약 5.63 m)이기 때문에 플랫포옴 하나를 20 피이트(약 6.09 m)되는 콘테이너속에 넣을 수 있거나 이러한 플랫포옴 두개를 길이가 40 피이트(약 12.19 m)되는 콘테이너속에 일렬로 넣을 수 있다. 플랫포옴의 폭과 기둥의 높이는 콘테이너의 내벽과 플랫포옴 사이의 틈새 또는 빈틈이 작도록 선택한다. 플랫포옴과 측벽 사이의 거리는 약 2 인치(약 5.2 cm)이고 플랫포옴과 천정 사이의 거리는 약 3 인치(약 7.5 cm)인 것이 좋다.
수송비를 결정함에 있어서 다른 중요한 인자는 도로 수송용 트럭 한대당 허용되는 최대 하중인데, 미국에서는 차량 중량을 포함해서 약 38 톤이다. 이것은 차량, 콘테이너 및 화물의 총 중량이 법정 도로 중량을 초과하게 되면 운송업자는 콘테이너의 화물의 중량을 줄이던지 트럭에 싣기전에 도착 항구에서 콘테이너로부터 화물의 일부를 제거해야하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두가지 선택을 함에 있어서 모두 형태가 소요된다. 본 발명의 플랫포옴은 중량이 0.9 톤으로서 훨씬 가볍기 때문에 관련 도로 고통법규를 위반할 우려가 없이 많은 양의 화물을 수송할 수 있다.
더욱이 미국에서는 엔진, 트레일러, 연료, 화물 및 새시를 포함하여 트럭 한대당 허용되는 최대 하중은 약 38 톤이다. 40 피이트(약 12.19 m)되는 원양 콘테이너의 경우에 있어서 최대 허용 중량은 약 26 톤에 콘테이너 중량 5 톤을 합쳐서 총 중량 31 톤이다. 엔진, 새시 및 트레일러의 중량은 약 13 톤인데, 따라서 아래와 같이 총 중량 44.0톤이 된다.
이것을 조합하면 도로 허용 중량 보다 6.0 톤을 초과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문제를 피하는 유일한 방법은 항구에서 화물의 일부를 제거하거나(이것은 경비가 많이 소요됨), 또는 원산지 항구에서 화물을 덜 싣는 것이다. 어느 것을 선택할 것인가는 도착 항구에서 화물의 일부를 내려 놓고 통상적인 로리(lorry)를 사용하거나 원산지 항구에서 화물을 적게 싣는 것 중에서 어느쪽이 경비 절감이 될 수 있는지에 달려있다. 통상적으로 첫번째 선택은 추가적인 입항세(port charge)로 인하여 경비가 훨씬 많이 소요된다. 전형적으로 운송업자는 법을 준수하고자 중량을 20 톤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플랫포옴은 중량이 약 0.9 톤 정도이고 보다 많은 중량을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계산이 된다.
따라서, 콘테이너 한개당 추가로 4.1 톤 화물을 더 수송할 수 있다. 한가지 특수한 예에 의하면 화물이 적재된 원양 콘테이너 100 개를 한 공장에 수송한다는 것은 짐을 내리고 난 뒤 텅빈 콘테이너 100 개를 다시 항구로 보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플랫포옴을 사용하면 활주식(滑走式) 플랫포옴 100개에 화물을 싣고 한 공장에 수송하게 되면 짐을 부리고 난 뒤 플랫포옴 20개씩을 쌓아 올려서 된 트럭 다섯대분의 짐을 항구로 돌려 보내면 된다. 따라서, 트럭 95 대분의 비용이 절감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플랫포옴을 철도 화차(貨車)에 적재했을 경우 콘테이너에서는 짧은 끝쪽에서만 짐을 내릴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화물을 어떠한 쪽에서도 내릴 수 있다는데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한가지 플랫포옴의 끝부분의 위쪽에에 본 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플랫포옴의 일부의 아랫쪽에서 본 투시도.
제3도는 플랫포옴의 보다 짧은 끝쪽에 있는 인양 기둥을 포함한 플랫포옴의 위쪽에서 본 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플랫포옴의 부분 투시도.
제5도는 제3도의 플랫포옴의 로울러부의 분해 투시도.
제6도 및 제7도는 제4도에 있는 플랫포옴의 수직상태와 수평상태의 인양기둥 하나의 분해 투시도.
제8도는 제4도에 있는 인양기둥의 상부의 확대 블록도.
제9도는 직립상태의 기둥에 대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투시도.
제10도는 제9도에 의한 플랫포옴의 적층상태의 일부 투시도.
제11도는 수평적재 준비가 된 제9도의 플랫포옴의 기둥의 투시도.
[바람직한 실시 태양]
제1도와 제2도에서 스틸제 플랫포옴(2)은 주변이 U 자형 단면을 가진 프레임(4,6)으로 구성되어 있고, 속이 빈 모서리 기둥(8)으로 서로 연결되어 데크(deck)(10)로 덮여져 있다. 프레임(4)은 속이 비어 있고 그 속에 로울러(12)가 회전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 로울러는 제2도의 앞쪽에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4)건너편 쪽으로 각각 로울러(12)를 연장하거나 제2도의 뒷쪽에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4)내부로 로울러를 후퇴시키는 레버(14)에 의해 제어되는 메카니즘(도면에 없음)으로 설치되어 있다.
로울러는 직경이 약 1.2 인치(약 3 cm)~약 2.5 인치(약 6 cm)이다. 데크의 칫수에 따라 표준 칫수의 선적용 콘테이너에 여유틈이 생기므로 로울러가 연장된 상태에서는 콘테이너의 개방된 끝을 통해 플랫포옴이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랫포옴은 다소간에 표준폭이 예컨대 약 7 ft 7 in (약 2.31 m)인 반면 여러가지의 콘테이너 길이의 내부 칫수에 맞는 길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플랫포옴은 20 ft 내지 40 ft 콘테이너, 즉 약 18 ft 6 in(약 5.63 m) 또는 약 19 ft 3 in(약 5.86 m) 또는 약 39 ft 5 in (약 13.32 m)되는 콘테이너에 맞는 길이를 가진다. 대표적으로 플랫포옴은 폭 약 7 ft 3.75 in(약 2.25 m), 높이 약 7 ft 10 in(약 2.41 m)이다.
측면 프레임(4)에는 표준 칫수의 포오크리프트 트럭의 포오크를 수납하는 리세스 또는 터널(16)이 있다. 플랫포옴을 하나 이상 도로 트레일러 또는 철도 화차에 적재하여 멀리 떨어져 있는 화물 적재 장소로 운반하거나 항구로 운반해 돌아온다. 끝쪽 기둥(8)에는 인양 후우크를 삽입하는 구멍(18)이 있다. 제1도와 제2도에는 접는 기둥은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3도 내지 제11도에는 도시되어 있다. 끝쪽 프레임(6)(제1도에는 하나만 나와 있음)에는 슬롯(slot)(22)이 구성되어 있어서 표준 트위스트 블록 크레인을 확보할 수 없는 곳, 예를 들자면 멀리 떨어져 있는 항구나 돌출 제방 같은 곳에서 화물을 인양하기 위한 후우크를 삽입한다.
이러한 구조를 하고 있기 때문에 플랫포옴은 무게가 0.9 톤으로서 가볍다. 사용시에 플랫포옴을 도로 트레일러나 철도 화차 위에 쌓아 올리고 화물을 적재할 장소까지 운반한다. 플랫포옴을 트레일러 또는 화차에서 내려 놓은 후 수송하고자 하는 화물을 각각 적재한다. 화물이 적재된 플랫포옴을 도로 트레일러 및/또는 철도 화차에 실어 항구까지 수송한다. 항구에 도착하면 플랫포옴을 로리로부터 미끌어져 땅위에 내려 놓거나 들어 올려 땅위에 내려 놓는다. 이어서, 플랫포옴을 속이 빈 콘테이너속으로 플랫포옴 바퀴로 굴러 넣거나, 길이가 짧은 플랫포옴의 경우에는 두개 이상을 길이가 긴 콘테이너 하나에 굴려 넣는다. 콘테이너 내에 플랫포옴을 넣고 난 다음에는 레버(14)를 작동시켜 프레임(4)내에 로울러를 후퇴시킴으로써 플랫포옴을 고정시킨다.
적재물을 고정시키기 위해 로우프나 스트랩이 통과할 수 있는 루우프 또는 후우크(도면에 없음)를 데크(deck)에 구성한다.
제3도 내지 제8도에 나온 플랫포옴(100)은 직사각형 베이스(10)를 가지고 있는데, 이 베이스(101)는 길이가 짧은 끝쪽 각각에 직립식 기둥(102)을 가지고 있다. 제4도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101)는 길이 방향 비임(beam)(104)과 교차 버팀대(105)를 가진 직사각형의 관모양의 측벽(103)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교차 버팀대(105)에는 도면에는 없는 포오크리프트의 화물 적재 날(blade 또는 tine)을 수납하는 가장자리 리세스 또는 소켓부(106)가 있다. 이 플랫포옴은 목재 또는 금속으로 된 데크 또는 바닥(107)을 가지고 있다.
로울러(120)를 이 베이스의 밑쪽에 설치하는데, 제3도에 있는 칫수의 플랫포옴에는 이러한 로울러가 8개 있다. 제5도에 있는 바와 같이 설치판(121)은 각각 선택된 위지에서 베이스(170) 아래에 있는데, 여기에다 로울러를 고정한다. 각각의 로울러는 로울러 베어링(124)내에 상부 스위블(swivel)(123)이 있는 하우징(122)을 가지며, 아래쪽에는 로울러 바퀴(128)가 설치되는 축(127)이 삽착된 두개의 사이드 아암(126)을 가진 로울러 샤프트(125)가 있다.
제6도와 제7도에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기둥(102)은 채널형 단면을 가지고 있고, 그 밑쪽에는 세개의 구멍(130, 131, 132)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의 구멍(131)은 베이스(101)의 각 모서리에 있는 직립 불록(135)속으로 연장되는 영구 힌지 핀(hinge pin)(134)을 수용한다. 스프링이 있는 핀(136)은 기둥이 수직상태(제6도)인가 또는 적재된 수평상태(제7도)인가에 따라 조그만 구멍(130, 132)중의 하나속에 삽입되는 블록속에 존재한다. 기둥의 상부에는 각기 다른쪽에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슬롯(138)을 가진 트위스트 블록(137)을 가지고 있다. 베이스(101)의 각각의 끝에 있는 기둥(102)을 교차부재(113)로 연결하고, 또한 라인 스토퍼(line stopper)(114)로 연결한다. 화물적재가 완료되면 타아포울린(tarpaulin)등으로 덮어 씌운다.
플랫포옴을 종래의 트위스트 블록으로 도로 트레일러 또는 철도 화차에 로킹하거나 트위스트 블록으로 콘테이너에 위치 고정시킨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는 로울러의 브레이크 수단을 구성하여 플랫포옴을 고정시키거나 로울러 대신 바퀴를 사용하기도 한다.
제9도 내지 제11도의 실시예에서는 제3도 내지 제8도와 관련하여 사용된 것과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는데, 여기에 나온 기둥들(102)에는 신축성의 보강 버팀대(140)가 구성되어 있다. 이 신축성 보강 버팀대(140)의 아암(141)의 한쪽 끝은 라인 스토퍼(114)의 아래에서 각 기둥의 위쪽을 향해 회전식으로 설치되며, 이 아암(141)은 원통형 하우징(142)내에 수용된다. 기둥아래를 플랫포옴에 힌지식으로 설치하여 각각의 기둥이 올라갈 때(제11도의 직립된 상태 참조) 각각의 버팀대가 연장되게 하고, 하우징(142)의 아래 끝에 있는 아암(143)을 연장되게 하여 플랫포옴 베이스(101)와 접합함으로써 기둥은 직립 상태로 유지된다. 도면에는 없으나 슬롯을 베이스에 구성하여 아암(143)을 수용하게 한다. 기둥이 직립상태가 되면 제10도에 있는 바와 같이 플랫포옴(100)을 쌓아 올린다.
본 발명은 위에 나온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플랫포옴은 팔랫(pallet)이어도 좋다. 이동수단은 도면에 나온 바와 같은 바퀴 또는 로울러이어도 좋고, 화물이 적재된 플랫포옴을 이동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시스템이어도 좋다. 기둥에는 다른 상승 및 하강수단을 구성하여도 좋고 플랫포옴 베이스를 원피이스 형태로 하여도 좋으며 가벼운 금속 또는 비금속 재료를 사용하여도 좋다.

Claims (13)

  1. (가) 플랫포옴을 선적용 콘테이너속에 틈새 끼워 맞춤으로서 설치할 수 있는 칫수를 가지게 하고, (나) 플랫포옴이 콘테이너를 출입할 수 있는 수단(12, 120)을 플랫포옴에 구성하고, (다) 플랫포옴에는 기둥부재(8, 102)와 상기 기둥부재에 구성된 인양수단(137)을 구성하여 화물이 플랫포옴에 적재될 때는 기둥부재(8, 102)가 직립하는 한가지 조건과 기둥부재(8, 102)가 수평으로 된 상태에서 플랫포옴(2, 100)을 하나씩 쌓아 올릴 수 있는 두 번째 조건 사이에서 상기 기둥부재(8, 102)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수송용 플랫포옴(2, 100).
  2. 제1항에 있어서, 이동수단은 바퀴 또는 로울러(12, 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포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플랫포옴(2, 100)은 표준 ISO 선적용 콘테이너에 있어서 틈새 끼워 맞춤으로서 설치할 수 있는 칫수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포옴.
  4. 제1항에 있어서, 화물이 적재된 플랫포옴(2, 100)을 콘테이너속에 고정시키는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포옴.
  5. 제4항에 있어서, 플랫포옴 고정수단이 이동수단(12, 120)각각의 브레이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포옴.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플랫포옴 고정수단은 콘테이너속에 팔랫 또는 플랫포옴을 로킹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포옴.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플랫포옴 로킹수단은 콘테이너를 도로 트레일러 또는 철도 화차 위에 로킹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포옴.
  8. 제1항, 2항 4항 또는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둥(8, 102)은 플랫포옴(2, 101)의 모서리 각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포옴.
  9. 제1항, 2항 4항 또는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둥(8, 102)은 직립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수단(136, 140)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포옴.
  10. 한가지 조건에서 직립상태이고 두 번째 조건에서는 수평상태이며, 플랫포옴을 들어 올릴 수 있는 인양수단(137)이 있는 기둥부재(8, 102)를 가지며, 선적용 콘테이너에 틈새 끼워 맞춤으로서 설치할 수 있는 칫수를 가진 플랫포옴(2, 100)을 이용하는 화물 수송 방법에 있어서, 플랫포옴을 도로 및/또는 철도로 어떤 장소까지 운반하고, 플랫포옴을 도로 트레일러 또는 철도 화차 위에 얹어 화물을 적재하고, 화물이 적재된 플랫포옴을 도로 또는 철로로 콘테이너쪽으로 운반하여 플랫포옴의 바퀴 또는 로울러를 이용하여 플랫포옴을 콘테이너속으로 이동시킨 다음, 콘테이너를 목적지 항구로 수송하여 적재된 플랫포옴을 끄집어내어 화물을 사용하는 곳에 운반한 후 화물을 내려 놓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랫포옴을 이용한 화물 수송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기둥부재(8, 102)를 수평상태로 이동시킨 다음 플랫포옴(2, 100)을 하나씩 쌓아 올려 선적용 콘테이너속으로 이동시킨 후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 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송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플랫포옴을 바퀴 또는 로울러로 콘테이너속으로 이동시키고 콘테이너로부터 후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송 방법.
  13. 제1항, 2항 4항 또는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랫포옴 다수를 수용하여 틈새 끼워 맞춤을 할 수 있는 표준 칫수를 가진 선적용 콘테이너.
KR1019940700425A 1991-08-12 1992-08-12 화물운송구 KR1001945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117420.1 1991-08-12
GB919117420A GB9117420D0 (en) 1991-08-12 1991-08-12 Transporting goods
PCT/GB1992/001494 WO1993003981A1 (en) 1991-08-12 1992-08-12 Transporting goo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4563B1 true KR100194563B1 (ko) 1999-06-15

Family

ID=10699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0425A KR100194563B1 (ko) 1991-08-12 1992-08-12 화물운송구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EP (1) EP0597979B1 (ko)
JP (1) JPH06509775A (ko)
KR (1) KR100194563B1 (ko)
CN (1) CN1045755C (ko)
AT (1) ATE135990T1 (ko)
AU (1) AU664380B2 (ko)
BR (1) BR9206349A (ko)
CA (1) CA2115575A1 (ko)
DE (1) DE69209509T2 (ko)
GB (2) GB9117420D0 (ko)
HK (1) HK193495A (ko)
IN (1) IN180828B (ko)
MX (1) MX9204681A (ko)
MY (1) MY113019A (ko)
NZ (1) NZ243917A (ko)
WO (1) WO19930039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29378A (en) * 1997-09-18 1999-03-24 David Choon Sen Lam Collapsible transport platform
GB2337509B (en) * 1998-05-20 2002-07-31 Sea Containers Services Ltd Open-sided cargo freight container
FR2898879A1 (fr) * 2006-03-22 2007-09-28 Jean Yves Bireau Chassis porte-contenair
GB2445878B (en) 2008-02-13 2009-05-20 Goodpack Ltd Crates
JP6271389B2 (ja) * 2013-10-15 2018-01-31 株式会社アイベックス 折り畳み容器
AU2014203159B2 (en) * 2013-11-07 2017-08-31 Sea Box International Container roll out warehousing system
CN104016141B (zh) * 2014-06-26 2016-09-14 龙口市丛林铝材有限公司 一种货物装卸装置
CN105298018A (zh) * 2015-10-20 2016-02-03 张跃 柱运组
CN110217618B (zh) * 2019-06-11 2021-03-16 三一汽车制造有限公司 一种装箱作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27210A (en) * 1955-10-25 1960-02-03 Anton Waldner Container provided with an undercarriage
DE2030480A1 (de) * 1970-06-20 1972-01-05 Rheinstahl Ag, Transporttechnik, 3500 Kassel Gütertransportpalette
US3735713A (en) * 1972-03-23 1973-05-29 Pullman Inc Cargo transporting device
US3807581A (en) * 1972-11-07 1974-04-30 Pullman Inc Pallet with adjustable height legs
US4016991A (en) * 1974-04-10 1977-04-12 Oldford William G Railway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US3938678A (en) * 1974-09-18 1976-02-17 Kern Ruy E Cargo transport system
US4108455A (en) * 1975-12-22 1978-08-22 The Boeing Company Cargo pallet incorporating retractable ball units
WO1981001997A1 (en) * 1980-01-13 1981-07-23 Y Yonahara Vehicle housing apparatus for marine transport
US4546945A (en) * 1981-04-30 1985-10-15 Sea Co Services Limited Freight-carrying platforms
NL8403761A (nl) * 1984-12-11 1986-07-01 Interconsult & Partners B V Container.
US4834000A (en) * 1985-08-06 1989-05-30 James Darnell Load and roll pallet
GB2205809A (en) * 1987-06-15 1988-12-21 Hydraroll Ltd Mechanical handl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64380B2 (en) 1995-11-16
GB9217096D0 (en) 1992-09-23
CN1045755C (zh) 1999-10-20
ATE135990T1 (de) 1996-04-15
MX9204681A (es) 1993-05-01
BR9206349A (pt) 1995-04-04
CN1070886A (zh) 1993-04-14
GB2259495B (en) 1994-07-27
EP0597979A1 (en) 1994-05-25
JPH06509775A (ja) 1994-11-02
NZ243917A (en) 1994-01-26
GB2259495A (en) 1993-03-17
DE69209509T2 (de) 1996-10-24
AU2411292A (en) 1993-03-16
WO1993003981A1 (en) 1993-03-04
MY113019A (en) 2001-11-30
CA2115575A1 (en) 1993-03-04
DE69209509D1 (de) 1996-05-02
IN180828B (ko) 1998-03-21
GB9117420D0 (en) 1991-09-25
EP0597979B1 (en) 1996-03-27
HK193495A (en) 1996-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0186A (en) Goods transporting platform
US3459326A (en) Shipping gondola with removable side rails
US3386600A (en) Demountable shipping gondolas
US4944232A (en) Dual-purpose depressed center railway flat car
KR100194563B1 (ko) 화물운송구
US461806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ipping and storing cargo
US8272623B2 (en) Container lifting device
US3621236A (en) Convertible securement apparatus for securing standard containers and nonstandard cargo on vehicles
HUE025664T2 (en) Freight Supplier
US4496187A (en) Trailer construction
US4349108A (en) Containers
US20020007602A1 (en) Intermodal container pallet
US20050006261A1 (en) Transport apparatus
CN113544066A (zh) 运输集装箱
US9016490B1 (en) Modular container system
EP1409372A1 (en) Transport container and method for transporting palleted cargo in the transport container
NL2001214C2 (nl) Transportcontainer, werkwijze voor het stapelen van containers, en kit van containers en daken.
US11214436B2 (en) Transport platform
WO2006009511A1 (en) A roll-off container frame for return cargo container
FI129319B (en) Transport container, shelf arrangement for transport container and shelf plate for shelf arrangement
JPH037354Y2 (ko)
EP3494071B1 (en) Collapsible container, method of folding a container, method of unfolding a container
GB2414001A (en) Removable train carried container for different gauge railways
EP1481843B1 (en) Transport apparatus for cars
JPH04267784A (ja) ユニットロ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