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3982B1 -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3982B1
KR100193982B1 KR1019960074760A KR19960074760A KR100193982B1 KR 100193982 B1 KR100193982 B1 KR 100193982B1 KR 1019960074760 A KR1019960074760 A KR 1019960074760A KR 19960074760 A KR19960074760 A KR 19960074760A KR 100193982 B1 KR100193982 B1 KR 100193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vehicle
current
determined
headligh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4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5534A (ko
Inventor
백주현
Original Assignee
손기락
엘지정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기락, 엘지정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기락
Priority to KR1019960074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3982B1/ko
Publication of KR19980055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5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982B1/ko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운행조건에 따라 전조등을 온, 오프하는 전조등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제어방법은, 현재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제1단계와, 현재속도를 기준속도와 비교하는 제2단계와, 현재속도가 기준속도 보다 빠르면 전조등을 점등하는 제3단계와, 현재 속도가 기준속도 보다 느리면, 현재의 상태가 가속중인가를 판단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 가속중이라고 판단되면 전조등을 점등하는 제5단계, 그리고 현재속도가 기준속도 보다 느리고, 가속중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전조등을 소등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방법
제1도는 종래의 야간 지시등 조작부의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야간 지시등의 제어관련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야간 지시등 조작부의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어방법을 보인 플로챠트.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조등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주행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자동차 전조등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전조등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도에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자동차의 야간 지시등의 조작부를 도시하고 있다.
조작스위치(1)은, 고정부(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조작스위치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자동차의 야간 지시등, 즉 미등, 차폭등 그리고 전조등등이 선택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야간 지시등은, 오프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한단계 상부로 회전시키게 되면 자동차의 미등과 차폭등의 기본 야간등이 점등된다. 그리고 한단계 더 상부로 회전시키면, 전조등이 점등된다.
제2도에는 상기와 같은 조작부의 조작에 의하여 전조등 등이 점등하기 까지의 구성을 보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야간 지시등 조작스위치(1)를 조작하여 원하는 야간지시등의 점등 상태를 설정하면, 이러한 신호를 인가받은 제어부(10)에서는 운전자가 설정한 야간지시등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신호를 발생하게 되어 원하는 야간지시등(12)이 점등되도록 된다.
상기와 같이, 기존의 야간 지시등(12)은 전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점등 및 소등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점등장치에 있어서, 야간 운전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전조등에 대한 조작은 상당히 불편하게 된다. 실제로 야간 운전시 반대방향의 차선의 운전자를 고려하여, 신호대기중 또는 정지상태에서는 많은 운전자가 전조등은 소등한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이러한 대기상태에서 자동차에는 차폭등과 미등이 점등 상태로 되어 있으나, 전조등은 소등 상태로하여 반대방향 차선의 운전자 또는 바로 앞의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대기 상태에서 자동차가 출발하는 경우, 운전자는 다시 손으로 전조등을 켜는 동작을 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특히 시내 운전시에 운전자는 손으로 전조등의 점등 및 소등을 여러번 반복수행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 자동차의 출발과 같이 전조등을 켜는 조작은, 운전자의 시선 및 신경을 전방 주시 이외의 것으로 끌리게하여 안전 운전에 지장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야간 운전시 전조등을 자동차의 운행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제어방법은, 현재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제1단계와, 현재속도를 기준속도와 비교하는 제2단계와, 현재속도가 기준속도 보다 빠르면 전조등을 점등하는 제3단계와, 현재속도가 기준속도 보다 느리면, 현재의 상태가 가속중인가를 판단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게에서 가속중이라고 판단되면 전조등을 점등하는 제5단계, 그리고 현재속도가 기준속도보다 느리고, 가속중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전조등을 소등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4단계에서, 자동차가 가속중인가의 여부는, 엑셀레이터 패달을 운전자가 밟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에 의하여 판단될 수도 있고, 엔진의 회전수가 증가하고 있는가를 판단하는 것에 의하여 가속중인가의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자동차의 현재속도 및 가속여부 상태에 따라 전조등을 효율적으로 온, 오프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운전자의 주의를 전방으로만 집중시킬 수 있어서 안전운전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전조등의 제어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조등의 제어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 즉, 제3도에서 운전자가 야간 운전시 자동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본 발명에 의한 전조등의 자동 제어 모드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 때, 상기 자동모드로의 선택은 운전자가 조작스위치(2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자동모드로 들어가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조등의 자동 조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자동모드로 들어가면, 자동차는 기본적인 야간 지시등은 점등한 상태로 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미등 및 차폭등과 같은 기본적인 야간지시등은 점등되어 있는 상태로 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의 운행조건에 따라서 전조등의 점등 또는 소등 상태가 결정되는 것이다.
다음에는 제4도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전조등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먼저, 제104단계에서 상기 조작스위치(20)의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즉 상기 조작스위치(20)가 자동모드인가 아닌가를 판단하여, 자동모드이면 제108단계로 진행하여 본 고안에 의한 자동모드로 들어가고, 자동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06단계로 진행하여 종래와 같은 수동조작으로 야간지시등이 동작하게 된다.
사용자가 자동모드를 선택하였다고 판단되면, 먼저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게 된다(제108단계). 그리고 감지된 속도가 기준속도(예를 들면 15Km) 이하인가를 판단하게 된다(제110단계). 상기 제110단계에서 현재 자동차의 속도가 15Km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제112단계로 진행하여 전조등을 온시키게 된다.
그리고 현재 자동차의 속도가 기준속도 이하라고 판단되면, 현재 사용자가 액셀레어터를 밝고 있는 상태인지 아닌지를 감지하여, 현재 액셀레이터를 밟고 있는 상태라고 판단되면, 비록 자동차의 현재속도는 느리지만 가속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전조등을 켜는 제112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현재 액셀레이터를 밟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전조등을 오프시키게 된다. 즉 전조등을 오프시키는 제116단계는,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의 속도가 기준속도(예를 들면 15Km) 이하이고, 동시에 액셀레이터를 밟지 않고 있기 때문에 가속중인 아니라고 판단되는 상태인 두가지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는 현재 가속중인 상태도 아니고, 차량의 속도가 현저하게 느리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전조등을 켤 필요가 없는 상태이다. 상기 기준속도는 상기에서는 예를 들어 15Km이라고 하고 있으나, 이러한 속도는 극히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5Km와 같이 사람이 걷고 있는 속도와 유사한 기준 속도로 설정될 수도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러한 기준속도의 설정은, 자동차의 실제 운행 조건을 고려하여 안전 운행의 범위 이내에서 설정하여야 할 것이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14단계는 현재 자동차가 가속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임을 알 수 있다. 자동차의 가속중인지를 여부를 판단하는 하나의 예로서, 액셀레이터 패달을 운전자가 밟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자동차가 가속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에는 다른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의 엔진의 회전수가 높아지고 있는가 아니면 회전수가 낮아지고 있는 것인가를 감지하여, 엔진의 회전수가 높아지고 있다고 판단되면 가속중이라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전조등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야간 운행시, 운전자가 일일이 현재의 조건에 따라 전조등을 켜거나 끄는 조작을 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이러한 자동모드인 경우에도, 자동차의 현재 속도 및 가속 여부등과 같은 현재의 조건에 따라 충분하게 안전한 상태로 전조등이 온, 오프되기 때문에 자동차의 안전 운행을 보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조등의 자동모드에 의하면, 운전자가 야간지시등의 조작없이도 안전한 상태로 전조등이 작동하게 되어, 운전자의 주의를 전방의 시야확보에 확보할 수 있어 안전운전을 돕게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3)

  1. 현재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제1단계와; 현재속도를 기준속도와 비교하는 제2단계와; 현재속도가 기준속도 보다 빠르면 전조등을 점등하는 제3단계와; 현재속도가 기준속도 보다 느리면, 현재의 상태가 가속중인가를 판단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 가속중이라고 판단되면 전조등을 검등하는 제5단계; 그리고 현재속도가 기준속도 보다 느리고, 가속중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전조등을 소등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가속중인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4단계는, 엑셀레이터 패달을 밟고 있는가의 여부에 의하여 판단되는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가속중인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4단계는, 엔진의 회전수가 증가하고 있는가의 여부에 의하여 판단되는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방법.
KR1019960074760A 1996-12-28 1996-12-28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방법 KR100193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4760A KR100193982B1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4760A KR100193982B1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5534A KR19980055534A (ko) 1998-09-25
KR100193982B1 true KR100193982B1 (ko) 1999-06-15

Family

ID=66390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4760A KR100193982B1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398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5534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3982B1 (ko)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방법
JPH10315844A (ja) 車両用ライト制御装置
JP2001138802A (ja) 車両用照明装置
JPH09142199A (ja) ヘッドライト自動点滅装置
KR200154225Y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구동장치
JPH10250467A (ja) ターンシグナルランプ駆動システム
KR0180312B1 (ko) 자동차의 전원 자동 차단장치
KR100228983B1 (ko) 헤드 렘프 자동 점등장치
JPH0752707A (ja) 作業車両の自動消灯装置
KR19990002130A (ko) 차량 브레이크등 자동조도제어장치 및 방법
KR200252942Y1 (ko) 자동차용 전조등 자동점멸장치
KR200224277Y1 (ko) 헤드램프자동온/오프장치
JPH11123982A (ja) 自動車用前照灯制御装置
JP2966608B2 (ja) ヘッドライトの自動減光装置
KR0158298B1 (ko) 헤드램프 조사각도 제어장치
JPH1035356A (ja) 車両用ヘッドライト制御装置
KR19980026032A (ko) 차량의 헤드램프 자동 점.소등장치
KR19990024955U (ko) 전조등 자동 점소등장치
JPH09188189A (ja) 車両用灯火装置
KR19990041481U (ko) 자동차 코너링램프 제어시스템
KR19980012160U (ko) 차량용 헤드램프 자동점멸장치
JPH0715432U (ja) 車両の前照灯装置
JPH0568743U (ja) 車両用ハイマウントストップランプ制御装置
JPS63279941A (ja) 車両用灯火制御装置
KR19980054297A (ko) 자동차 헤드램프의 자동 온오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