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2993B1 - 유체 작동식 장치의 밸브 스테이션 - Google Patents

유체 작동식 장치의 밸브 스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2993B1
KR100192993B1 KR1019950704409A KR19950704409A KR100192993B1 KR 100192993 B1 KR100192993 B1 KR 100192993B1 KR 1019950704409 A KR1019950704409 A KR 1019950704409A KR 19950704409 A KR19950704409 A KR 19950704409A KR 100192993 B1 KR100192993 B1 KR 100192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luid
multidirectional
panel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4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2066A (ko
Inventor
스톨 쿠르트
뤼들 만프레드
Original Assignee
로타르 뮐러
페스토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타르 뮐러, 페스토 카게 filed Critical 로타르 뮐러
Publication of KR960702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2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2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29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21Attachment or sealing of modular units to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07Manifolds
    • F15B13/0817Multiblock manifo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32Modula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46Electrical details
    • F15B13/0853Electric circuit bo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46Electrical details
    • F15B13/0857Electrical connecting means, e.g. plugs, so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46Electrical details
    • F15B13/0867Data bus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78Assembly of modular units
    • F15B13/0885Assembly of modular units using valves combined with other components
    • F15B13/0889Valves combined with electrical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78Assembly of modular units
    • F15B13/0885Assembly of modular units using valves combined with other components
    • F15B13/0892Valves combined with fluid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169Supply and exhaust
    • Y10T137/87193Pilot-actuated
    • Y10T137/87209Elect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7With flow control means for branched passages
    • Y10T137/87885Sectional block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Valve Housings (AREA)
  • Forging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 Pipelin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착면(8)을 가진 유체 분배 장치(5)를 구비하는 밸브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장착면(8)에는 전기 작동식 밸브 구동 장치(16)에 의해 제어되는 다수의 다경로 밸브(12)가 배치된다. 다경로 밸브(12)는 그 각각의 밸브 부재(36)의 절환 운동 방향(37)이 장착면(8)에 직각으로 연장되도록 정향된다. 각각의 다경로 밸브(12)를 유체 분배 장치(5)의 내부 유체 공급로(26)와 유체에 의해 접속되는 것은 밸브 채널(59)의 구멍(57)에 의해 수행되며, 이 구멍(57)은 해당 다경로 밸브(12)의 장착면(8)쪽을 향한 단부(53)에 설치된다.

Description

유체 작동식 장치의 밸브 스테이션
본 발명은 청구 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밸브 스테이션(valve station)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밸브 스테이션은 미국 특허 제4,399,836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밸브 스테이션은 통상 일직선으로 배치된 다수의 다방향 밸브가 장착된 패널형 유체 분배 장치를 포함한다. 유체 분배 장치를 거쳐 작동 유체의 공급이 수행되며, 특히 공기압을 사용할 경우에는 작동 유체의 배기도 수행되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다방향 밸브는 기동을 위해 하나 이상의 밸브 구동 장치를 구비하며, 밸브 구동 장치는 통상 제어 부재에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적자석을 포함한다. 이러한 밸브 구동 장치는 신호 분배 장치를 통해 그 작동 신호를 수신하며, 신호 분배 장치는 유체 분배 장치를 따라 연장되고 전기 제어 장치와 연통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밸브 스테이션을 중심으로 하여 임의의 설비 또는 기구의 여러 유체 작동식 장치중 핵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유체 작동식 장치중의 핵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유체 작동식 장치는 독일 실용신안등록 제G 92 11 10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강성 또는 가요성 유체 라인을 거쳐 개개의 다방향 밸브에 접속된다.
다방향 밸브는 실질적으로 세로로 정렬되기 때문에, 그 원리 조건상 밸브 스테이션은 구성 폭이 작아진다. 다방향 밸브에 작동 유체를 공급하는 것은 각각의 다방향 밸브의 각각의 장착부를 향한 단부에 있는 오리피스에 의해 수행되므로, 외부의 결합 호스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유체를 접속시킬 수 있으며, 이것은 장치의 소형화를 보다 증진시킨다.
공지의 밸브 스테이션은 이미 매우 콤팩트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예컨대 인쇄업에서와 같은 다수의 용도에서 보다 더 콤팩트한 구성을 얻기 위한 필요성이 제기된다.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다방향 밸브의 정렬 방향에 대해 폭 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치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강구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접속되는 장치를 다방향 밸브를 통해 배기시킬 수 있는 가능성도 제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콤팩트한 구성 방식을 가능하게 하는 밸브 스테이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부에 기재된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구성 방식에 의해, 선행 기술에 비해 구성 형태가 매우 콤팩트해지고, 특히 구성 높이가 감소된다. 유체 분배 장치에 통합된 배기 채널에 의해, 접속된 모든 다방향 밸브를 공동으로 배기시킬 수 있다.
특히 미국 특허 제4,898,203호에는 다방향 밸브의 측부에 설치되는 밸브 구동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장치에는 신호 분배 장치용 장착부가 제공되어 있지 않다. 유체 분배 장치에 통합된 배기 채널도 없기 때문에, 개개의 다방향 밸브가 상방 대기중으로 배기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합한 구성은 청구 범위의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 밸브 부재가 이미 패널에 수직한 방향으로 정렬됨으로써, 다방향 밸브의 양 전방면중 하나에 아무런 지장도 없이 위로부터 출입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수작동 장치의 배치가 간단해진다. 밸브 하우징의 전방면으로부터 연장하고 또 수동으로 이동시켰을 때 특별한 편향 없이 직접 밸브 부재에 작용하는 간단한 작동 부재를 수작동 장치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작동 부재는 복원 특성을 갖는 탄성 박막에 매달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구성된 밸브 스테이션을 다른 제어 장치가 도시 생략된 상태에서 제어 가능한 유체 작동식 장치와 함께 간략히 도시한 평면도이며, 제2도는 간명성을 위하여 밸브 구동 장치를 절단하지 않은 채 도시한 제1도의 밸브 스테이션의 선 II-II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예시된 밸브 스테이션(1)은 블록형 형태를 가진 제어부(2)를 포함한다. 제어부(2)의 밸브 장착부(3)에는 블록형의 가늘고 긴 분배 장치(4)가 덧붙여 설치되며, 이 분배 장치(4)는 유체용 유체 분배 장치(5)와 전기적 밸브 작동 신호용 신호분배 장치(6)로 구성된다. 예컨대, 분배 장치(4)에는 양 분배 장치(5,6)를 위한 공동의 하우징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분배 하우징(7)이 제공된다.
유체 분배 장치(5)는 예컨대 그 상측면에 다방향 밸브(12)용 패널(8)을 구비한다. 패널(8)은 일직선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밸브 장착부(13)로 세분되며, 이때 일직선 방향은 분배 장치(4)의 길이 방향 축선(15)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각각의 밸브 장착부(13)에는 다방향 밸브(12)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서는 모두 다방향 밸브(12)를 장착하고 있는 5개의 밸브 장착부(13)가 존재한다.
각각의 다방향 밸브(12)는 특히 대응하는 밸브 하우징(17)에 직접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밸브 구동 장치(16)를 구비한다. 각각의 밸브 구동 장치(16)는 전술한 밸브 작동 신호에 의해 제어되며, 밸브 작동 신호는 신호 분배 장치(6)에 의하여 공급된다. 예컨대, 밸브 구동 장치(16)는 전자기 장치(18)에 의해 형성되며, 이때 도시 생략된 자력 코일이 밸브 부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 부재(22)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 제어 부재(22)는 관련 다방향 밸브(12)의 제어 채널(23)을 통제하는 역할을 한다. 각각의 밸브 구동 장치(16)는 신호 분배 장치(6)에서 밸브 구동 장치의 장착부(24)상에 조립되며, 이러한 밸브 구동 장치의 장착부(24)는 길이 방향 축선(15)을 가로질러 관련 다방향 밸브(12)의 밸브 장착부(13) 옆에 배치된다. 따라서, 밸브 구동 장치의 장착부(24)도 일직선으로 제공되므로, 일직선 방향(25)은 일직선 방향(14)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유체 분배 장치(5)내에는 유체 공급로(26)가 길이 방향 축선(15)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유체 공급로(26)는, 한편으로는, 제어부(2)에 대향하는 분배 하우징(7)의 전방면에 연결되며, 이곳에서 압력 매체원에 인입되는 유체 라인(27)과 접속된다. 유체 공급로(26)는, 다른 한편으로는, 분기 채널을 거쳐 각각의 밸브 장착부로 통하기 때문에 공통적으로 전체 다방향 밸브(12)에 병렬 접속된다. 이에 상응하는 오리피스가 도면 부호 28로 지시되어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분배 하우징(7)은 유체 배출로 또는 배기로(32)를 포함하며, 이것은, 한편으로는, 유체 공급로(26)와 동일한 전방면에 연결되어 소음기(34) 또는 부가적인 배기 라인과 접속될 수 있다. 배기로(32)는, 다른 한편으로는, 각각의 밸브 장착부(13)로 개방되는 오리피스(33)를 구비한다. 유체 공급로(26) 및 배기로(32)는 다방향 밸브(12)에 작동 유체를 공급하거나 배기시키는 수집로로서 구성된다. 이러한 작동 유체에 의해 다방향 밸브(12)에 접속된 유체 작동식 장치(35)가 작동된다.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이러한 유체 작동식 장치(35)가 제1도에서 작동 실린더의 형태로 도시하였다.
접속된 유체 작동식 장치(35)의 작동 형태 및 방식은 배속된 다방향 밸브(12)의 절환 상태에 의존한다. 각각의 다방향 밸브(12)는 그 밸브 하우징(17) 내부에 밸브 부재(obturator; 36)를 포함하며, 이 밸브 부재(36)는 선형적으로 왕복 절환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절환 운동의 방향은 제2도에 이중 화살표 37로 지시되어 있다. 밸브 부재(36)는 본 실시예에서 다방향 밸브(12) 마다 2개의 소비 채널(38)을 통제하며, 이들 소비 채널(38)은 2개의 소비 채널 접속 오리피스(43)에 의해 밸브 하우징(17)의 외측 하우징 면(44)과 연통된다. 이곳에는 강성 또는 탄성 유체 라인(42)이 특히 착탈 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으며, 이 유체 라인(42)은 유체 작동식 장치(35)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밸브 부재(36)가 2개의 절환위치를 취할 수 있으며, 이들 위치는 제2도에서 대칭축을 형성하는 그 길이 방향축선(45)의 양측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2개의 위치를 취함으로써, 하나의 소비 채널 접속 오리피스 또는 다른 소비 채널 접속 오리피스(43)는 작동 유체를 공급받게 되는 반면, 각각 그 반대의 소비 채널 접속 오리피스(43)를 통해서는 접속된 유체 작동식 장치(35)의 배기가 수행된다.
유체 제어 신호에 의하여 밸브 부재(36)가 절환 운동하며, 이 신호는 제어부재(22)의 위치에 의거하여 유체 공급로(26)에 의하여 전달된다. 이러한 제어 부재(22)의 위치는 배속된 밸브 구동 장치(16)의 운전 상태에 의존하며, 이 운전 상태는 밸브 작동 신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밸브 작동 신호가 프로그래밍 가능한 제어 장치를 구비한 제어부(2)에서 직접 생성된다. 해당 신호는 신호 분배 장치(6)의 신호 도체(세부 도시 생략)를 거쳐 각각의 밸브 구동 장치의 장착부에 도달된다. 예컨대, 신호는 도체판 부재(46)에 의해 전달되며 이 도체판 부재(46)는 분배 하우징(7)의 중공 공간(47)내에서 제어부(2)로부터 시작하여 일직선 방향(25)으로 연장되고 또 각각의 밸브 구동 장치의 장착부(24)의 영역에서 전기적 콘센트 수단(48)을 구비하며, 조립된 밸브 구동 장치(16)는 대응 콘센트 수단(49)에 의해 이 콘센트 수단(48)에 결속된다. 도체판 부재(46) 대신에 개별적인 가요성 신호 도체가 연결될 수도 있다.
작동 시에, 다방향 밸브(12)는 접속된 유체 작동식 장치를 소망하는 방식으로 작동시키기 위해 제어부(2)에서의 설정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절환된다. 제어 장치는 반드시 제어부(2)에 통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별도로 형성되어 제어부(2)가 상황에 따라 밸브 스테이션으로서만 작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어부(2)로는 예컨대 전계 버스 통신 유닛(field bus communication unit)이 사용될 수 있다.
다방향 밸브(12)는 부속 밸브 부재(36)의 전술한 절환 운동의 방향이 패널(8)에 직각으로 연장되도록 배속된 밸브 장착부(13)에 고정되기 때문에, 밸브 스테이션은 극히 콤팩트하게 제작된다. 각각의 밸브 하우징(17)은 두 개의 축북향 전방면(53)중 하나에 의하여 밸브 장착부(13)에 장착된다. 이때, 패널(8)의 수직 방향은 밸브 부재(36)의 길이 방향 축선(45)과 일치한다. 결과적으로, 패널(8)과 평행하고 길이 방향 축선(15)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이중 화살표 54로써 도시된 폭 방향에 있어서, 분배 장치(4)의 영역에서의 밸브 스테이션(1)의 구성 폭이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 폭의 감소는 높이 방향(55)에서 패널(8)에 대하여 직각으로 측정된 구성 높이를 부적절하게 확대시키지 않는다. 그 이유는 2개의 소비 채널 접속 오리피스(43)가 동시에 밸브 하우징(17)의 제1 측부 하우징면(44), 즉 패널(8) 쪽을 향한 제1 전방면(53)으로부터 시작하여 높이 방향으로 위쪽으로 돌출되는 하우징 면(44)에 설치되기 때문이다. 여기에 접속되는 유체 라인(42)은 바로 옆으로 인도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다방향 밸브(12)의 구성 높이를 넘어 돌출되지 않는다. 이와는 반대로, 소비 채널 접속 오리피스(43)가 밸브 하우징(17)의 패널(8)과 반대쪽을 향한 제2 오리피스(56)의 영역에 설치된다면, 이 곳에 접속되는 유체 라인은 곡선형의 진로를 따라 위쪽과 함께 옆으로 인도되어야 하기 때문에 유체 라인이 구성 높이의 증가에 결정적으로 기여하게 된다.
또한, 밸브 장착부(13)의 영역에 설치되는 오리피스(28,33)를 각각의 다방향 밸브(12)의 밸브 채널(59,60)의 오리피스(57,58)에 직접 연통시키는 것은 전체 배열을 콤팩트하게 하는데도 기여한다. 이와 같이 직접 연통시키는 것은 전술한 오리피스(57,58)를 아래쪽으로 향한 제1 전방면(53)에 형성하여 분배측 오리피스(28,33)와 대향하도록 배치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에 따라, 외부 연결 라인이 필요없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체 공급로(26)와 연통되는 밸브 채널(59)은 밸브 부재(36)의 절환 위치에 따라 밸브에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소비 채널 또는 다른 소비 채널(38)에 접속된다. 실시예에서는, 밸브 하우징(17)의 내부에서 전술한 제어 채널(23)을 형성하는 또 다른 밸브 채널이 전술한 밸브 채널(59)로부터 분기된다. 이 제어 채널(23)을 통한 유체의 통과는 제어 부재(22)의 위치에 따라 차단되거나 해제된다. 해제된 경우에는, 유체가 작동 피스톤(61)을 밸브 부재(36)와 접촉하는 제2 전방면(56)의 영역에 진입시킨다. 이에 의해, 밸브 부재(36)는 복원 스프링(52)의 복원력에 맞서 이전에 취하고 있던 제1 절환 위치로부터 패널(8) 방향으로 전치된 제2 절환 위치로 절환된다. 제어 채널(23)의 유체 통과가 차단된 경우에는, 복원 스프링(52)은 밸브 부재(36)를 제1 절환 위치로 복귀 이동시킨다. 따라서, 실시예의 다방향 밸브(12)는 하나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만 제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2개의 절환 방향으로 제어되는 밸브 부재(36)를 설치하는 것도 분명히 가능하며, 이때 각각의 다방향 밸브(12)에는 2개의 밸브 구동 장치가 부속될 수 있다.
밸브 채널(60)이 제1 전방면(53)과 연관된 단부에서 밸브 부재(36)를 수납하는 수납부(62)에 의해 형성된다는 사실도 배열의 콤팩트화에 기여한다. 수납부(62)는 제1 전방면(53)을 향하여 개방되어 오리피스(33)에 대향된다.
실시예에 사용된 다방향 밸브(12)는 그 밸브 부재(36)가 매우 양호한 밀봉 작용을 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이 말할 수 있는 것은 무엇보다도 이러한 밸브 부재(36)가 시트 밸브 부재로서 형성되기 때문 이다. 본 실시예에서, 가늘고 긴 밸브 부재(36)는 중앙 밀봉 요소(63)를 각각 사용하고 있으며, 이 밀봉 요소(63)는 밸브 채널(59)을 양 소비 채널(38)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2개의 링형 밸브 시트(64)중 하나와 연통하게 된다. 이러한 밀봉 요소(63)는 축방향의 양측으로 또 다른 2개의 밀봉 요소(65,66)에 의해 에워싸이며, 이 밀봉 요소(65,66)는 위치에 따라 소비 채널(38)과 오리피스(33) 사이를 접속시키며, 그 각각에는 밸브 시트(67,68)가 부속된다. 양 소비 채널(38)은 높이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어 배치된다. 아래쪽 채널은 오리피스(58)를 거쳐, 위쪽 채널은 점선으로만 도시된 밸브 채널(60')을 거쳐 배기되며, 밸브 채널(60')의 배속된 밸브 장착부(13)에서의 배기로(32)와의 연결은 마찬가지로 도면에 상세한 도시를 생략한 한 쌍의 동일면 상의 오리피스에 의해 수행된다.
밸브 장착부(13)의 밸브에 있는 관련된 한 쌍의 인접한 오리피스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밀봉 장치(69)가 설치되어 누수가 없는 유동을 보장하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예시된 다방향 밸브(12)의 밸브 하우징(17)의 외형은 장방향이다. 이 밸브 하우징(17)은 전술한 제1 측부 하우징 면(44)이 거의 정확하게 분배 하우징(7)의 세로측 외면(73)과 동일면 상에 있도록 유체 분배 장치(5)상에 배치된다. 밸브 구동 장치(16)는 각각의 밸브 하우징(17의 제1 측부 하우징 면(44)에 대면하는 제2측부 하우징 면(74)에 접하며, 제어 부재(22)는 그 작동 방향이 밸브 부재(36)의 길이 방향 축선(45)에 직각으로 연장되도록 정렬된다. 즉, 양 측부 하우징 면(44,74)의 수직 벡터는 일직선 방향(14)에 직각으로 폭 방향(54)으로 정렬된다.
다방향 밸브(12)는 실질적으로 세로로 위치하기 때문에, 그 위쪽으로 향하는 제2 전방면(56)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이곳에 필요에 따라 밸브 부재(36)를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수작동 장치(75)를 설치하기가 특히 좋다. 예컨대, 설치되는 수작동 장치(75)로는 전방면에서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작동 부재(76)가 사용되며, 이 작동 부재(76)는 하우징 내부에서 이중 화살표 37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탄성 박막(77)에 매달린다. 이 작동 부재(76)는 밸브 부재(36)의 전방면과 대향되며, 특히 탄성 박막(77)과 일체적으로 통합된 플라스틱 부재 또는 고무 부재이다. 손가락으로 작동 부재(76) 위를 누르면, 작동 부재(76)는 절환 운동의 방향(참조 부호 37)으로 이동되어 밸브 부재(36)를 진입시킴으로써 제2 절환 위치로 밸브 부재(36)를 안내한다.
양 분배 장치(5,6)는 적합하게는 서로에 고정 결합되는 별개의 하우징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공통의 하우징으로 구성하는 형태는 제작 기술상 유리하다.
예시된 분배 장치(4)는 가변적인 구성을 가진다. 각각 하나 이상의 밸브 장착부(13)와 밸브 구동 장치의 장착부(24)를 가지는 다수의 분배 모듈(78)이 존재한다. 분배 모듈(78)은 예컨대 나사 결합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서로에 고정 결합되는 것이 적합하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임의의 구성 길이의 분배 장치(4)를 블록 상자형으로 만들고 개조할 수 있다.

Claims (13)

  1. 패널(8)을 갖는 유체 분배 장치(5)를 구비하는데, 상기 패널(8)은 연속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밸브 장착부(13)로 세분되며, 각각의 밸브 장착부(13)에는 다방향 밸브(12)가 장착되며, 상기 다방향 밸브(12)는 절환 운동을 하도록 구동될 수 있는 밸브 부재(36)와, 유체 작동식 장치(35)로 인입되는 유체 라인(42)에 연결하기 위해 밸브 하우징(17)의 패널(8)을 향하지 않은 외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소비 채널 접속 오리피스(43)를 구비하며, 상기 유체 분배 장치(5)에는 하나 이상의 유체 공급로(26)가 통과하며, 유체 공급로(26)는, 한편으로는, 유체원에, 다른 한편으로는, 오리피스(28)를 통해 다수의 밸브 장착부(13)와 연통됨으로써, 밸브 장착부(13)에 배치되는 다방향 밸브(12)와 연통되고, 또한 일련의 밸브 장착부(13)를 따라 연장되고 신호 도체를 사용하는 신호 분배 장치(6)와 연통되며, 신호 분배 장치(6)는 전기 제어 장치로부터 나온 밸브 작동 신호를 신호 도체를 통해 각각의 다방향 밸브(12)에 설치되고 이동 가능한 제어 부재(22)를 구비하는 전기 작동식 밸브 구동 장치(16)로 전달하며, 하나 이상의 다방향 밸브(12)는 각각의 밸브 부재(36)의 절환 운동 방향(37)이 패널(8)에 대해 직각으로 정렬되도록 유체 분배 장치(5)의 패널(8)상에 배치되며, 유체간 접속을 유체 분배 장치(5)의 내부 유체 공급로(26)를 통해 그리고 다방향 밸브(12)의 패널(8)을 향하는 전방면(53)에 설치되고 유체 공급로(26)의 오리피스(28)와 대향되는 각각의 다방향 밸브(12)의 밸브 채널(59)의 오리피스(57)를 통해 수행되는 유체 작동식 장치(35)의 제어와 연계하여 사용하기 위한 밸브 스테이션에 있어서, - 유체 분배 장치(5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기로(32)가 형성되며, 배기로(32)는 오리피스(33)를 통해 밸브 장착부(13)와 연통되며, 각각의 오리피스(33)는 배기의 역할을 하는 밸브 채널(60)의 부속 다방향 밸브(12)의 패널(8)을 향하는 전방면에 설치되는 대향 오리피스(58)에 연결되며, - 밸브 구동 장치(16)의 제어 부재(22)는 제어 채널(23)을 통제하며, 제어 채널(23)은 다방향 밸브(12)의 밸브 부재(36)에 그 선형 절환 운동을 일으키는데 필요한 유체 제어 신호를 전달하며,
    - 신호 분배 장치(6)는 일렬의 밸브 구동 장치의 장착부(24)를 구비하며, 그 일직선 방향(25)은 밸브 장착부(13)의 일직선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 각각의 밸브 구동 장치(16)는, 한편으로는, 각각의 다방향 밸브(12)의 하나의 측부 하우징 면(74)에 설치되며, 이 측부 하우징 면(74)은 밸브 장착부(13)로 부터 시작하여 밸브 부재(36)의 밸브 장착부(13)로부터 멀어지는 절환 운동 방향(37)으로 연장되며, 또 각각의 밸브 구동 장치(16)는, 다른 한편으로는, 신호 분배 장치(16)의 밸브 구동 장치의 장착부(24)에 신호 도체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스테이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분배 장치(6)는 신호 전달을 위해 도체판 부재(46)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스테이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다방향 밸브(12)의 배속된 밸브 장착부를 향하는 전방면(56)에는 수동으로 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수작동 장치(7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스테이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방향 밸브(12)의 하우징(17)에는 작동 부재(76)가 탄성 박막(77)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매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스테이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다방향 밸브(12)의 하나의 측부 하우징면(44)에는 소비 채널 접속 오리피스(43)가 설치되며, 이 측부 하우징 면(44)은 밸브 장착부(13)로부터 시작하여 밸브 부재(36)의 밸브 장착부(13)로부터 멀어지는 절환 운동 방향(37)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스테이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면(44,74)은 서로 반대쪽으로 각각의 다방향 밸브(12)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스테이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다방향 밸브(12)의 밸브 부재(36)는 시트 밸브 부재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스테이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분배 장치(5)와 신호 분배 장치(6)는 공통의 분배 하우징(7)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스테이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분배 장치(6)는 밸브 구동 장치(16)를 위한 다수의 연속적으로 배치된 장착부(13)를 구비하며, 각각의 밸브 구동 장치의 장착부(24)는 유체 분배 장치(6)의 밸브 장착부(3)와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스테이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분배 장치(5)와 신호 분배 장치(6)는 밸브 스테이션(1)의 제어부(1)에 배치되며, 제어부(1)는 전계 버스 통신 유닛 또는 프로그래밍되거나 프로그래밍 가능한 제어 장치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스테이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분배 장치(5)와 신호 분배 장치(6)는 가변형으로 제작되고 다수의 분리 가능하게 서로에 설치될 수 있는 분배 모듈(7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스테이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분배 장치(5)와 신호 분배 장치(6)로 구성된 블록형, 레일형 또는 판형 분배 장치(4)가 설치되며, 이 분배 장치(4)는 장착측에 한편으로 다방향 밸브(12)를, 다른 한편으로는 밸브 구동 장치(16)를 위한 2열의 서로 나란한 장착부(13,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스테이션.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작동 장치(75)는 밸브 하우징(17)으로부터 돌출되고 밸브 부재(36)의 절환 운동 방향(37)으로 수행되는 이동시 밸브 부재(36)와 연동하는 작동 부재(7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스테이션.
KR1019950704409A 1993-07-13 1994-07-02 유체 작동식 장치의 밸브 스테이션 KR1001929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G9310438.3U 1993-07-13
DE9310438U DE9310438U1 (de) 1993-07-13 1993-07-13 Ventilstation
PCT/EP1994/002172 WO1995002770A1 (de) 1993-07-13 1994-07-02 Ventils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2066A KR960702066A (ko) 1996-03-28
KR100192993B1 true KR100192993B1 (ko) 1999-06-15

Family

ID=6895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4409A KR100192993B1 (ko) 1993-07-13 1994-07-02 유체 작동식 장치의 밸브 스테이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603350A (ko)
EP (1) EP0708890B1 (ko)
JP (1) JPH08512393A (ko)
KR (1) KR100192993B1 (ko)
AT (1) ATE150847T1 (ko)
DE (2) DE9310438U1 (ko)
ES (1) ES2099624T3 (ko)
WO (1) WO19950027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12730A1 (de) * 1993-04-20 1994-10-27 Festo Kg Ventilstation
DE9419871U1 (de) * 1994-12-12 1995-02-16 Herion Werke Kg Fluidsteuereinheit
JP4042190B2 (ja) * 1997-12-11 2008-02-06 Smc株式会社 流量調節弁付き流量検出器
DE19932358C2 (de) * 1999-07-10 2003-01-02 Festo Ag & Co Ventilbatterie
US20040234699A1 (en) 2003-05-21 2004-11-25 Alexza Molecular Delivery Corporation Methods of controlling uniformity of substrate temperature and self-contained heating unit and drug-supply unit employing same
DE10344458B3 (de) * 2003-09-25 2005-05-25 Festo Ag & Co. Vorgesteuertes Mehrwegeventil
FR2901851B1 (fr) * 2006-06-02 2010-11-19 Parker Hannifin France Holding Ilot pour distibuteurs pneumatiques
US7834295B2 (en) * 2008-09-16 2010-11-16 Alexza Pharmaceuticals, Inc. Printable igniters
US20120048963A1 (en) 2010-08-26 2012-03-01 Alexza Pharmaceuticals, Inc. Heat Units Using a Solid Fuel Capable of Undergoing an Exothermic Metal Oxidation-Reduction Reaction Propagated without an Igniter
US10578234B2 (en) 2013-05-02 2020-03-03 Victaulic Company Coupling having arcuate stiffness ribs
FI3268072T3 (fi) 2015-03-11 2024-01-24 Alexza Pharmaceuticals Inc Antistaattisten materiaalien käyttö ilmatiessä aerosolin lämpökondensaatioprosessissa
RU2685169C1 (ru) 2015-12-28 2019-04-16 Виктаулик Компани Переходный соединитель
US10533688B2 (en) 2016-05-16 2020-01-14 Victaulic Company Coupling having tabbed retainer
US10605394B2 (en) 2016-05-16 2020-03-31 Victaulic Company Fitting having tabbed retainer and observation apertures
US10859190B2 (en) 2016-05-16 2020-12-08 Victaulic Company Sprung coupling
US11781683B2 (en) 2019-11-15 2023-10-10 Victaulic Company Shrouded coupling
JP2022139091A (ja) * 2021-03-11 2022-09-26 Smc株式会社 防水型電磁弁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5284A (en) * 1971-12-10 1975-05-27 Clippard Instr Lab Inc Method of manufacturing valves
US3993091A (en) * 1975-10-06 1976-11-23 General Gas Light Company Manifold and valve system
US4399836A (en) * 1981-04-14 1983-08-23 Marotta Scientific Controls, Inc. Self-contained closed-loop electrically operated valve
DE3740001C2 (de) * 1987-11-25 1998-04-30 Htf Hydraulik Vertriebs Gmbh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Stromes einer Flüssigkeit zwischen einem Zuführungskanal bzw. einem Abführungskanal und einem Arbeitskanal
US4898203A (en) * 1988-09-22 1990-02-06 Jacob Kobelt Valve apparatus
DE4037353C1 (ko) * 1990-11-20 1992-03-12 Mannesmann Ag, 4000 Duesseldorf, De
DE9201515U1 (ko) * 1992-02-07 1993-06-03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De
JPH07500408A (ja) * 1992-08-19 1995-01-12 フェスト アクツィ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ウント コー 電空制御器
DE9211109U1 (ko) * 1992-08-19 1992-10-29 Festo Kg, 7300 Esslingen, 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9310438U1 (de) 1993-09-16
DE59402246D1 (de) 1997-04-30
EP0708890B1 (de) 1997-03-26
JPH08512393A (ja) 1996-12-24
EP0708890A1 (de) 1996-05-01
US5603350A (en) 1997-02-18
WO1995002770A1 (de) 1995-01-26
ATE150847T1 (de) 1997-04-15
ES2099624T3 (es) 1997-05-16
KR960702066A (ko) 1996-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2993B1 (ko) 유체 작동식 장치의 밸브 스테이션
EP1363054B1 (en) Directly operated pneumatic valve having an air assist return
US8689833B2 (en) Valve device
US7677264B2 (en) Manifold-type solenoid valve with external port
JPH05126109A (ja) 弁用枠体
EP0719949B1 (en) Selector valve aggregate
JPH0756350B2 (ja) 弁装置
TW347488B (en) Valve actuator with instrument mounting manifold
JP3399878B2 (ja) リレー装置付きマニホールド形電磁弁
EP1463890A1 (en) Pilot operated pneumatic valve
SE465637B (sv) Styrda reglerventiler foer kylmedel
EP2025981A1 (en) Fluid device unit structure
JP2000193119A (ja) バルブマニホ―ルド装置
CN111503314A (zh) 电磁式阀门装置和其应用
US4348160A (en) Metering syringe
US5996609A (en) Pilot-operated directional control valve
KR20220169409A (ko) 이젝터 및 이것을 구비하는 진공 발생 장치
EP0644336A1 (en) Multiplexing valve
JPS6388385A (ja) ソレノイドバルブ
JP3220482B2 (ja) 吸着用パッド付真空供給ユニット
JPH0435649Y2 (ko)
JPH05231558A (ja) バルブユニット
CN210318649U (zh) 气体路径切换阀
CN219345568U (zh) 微小型换气阀
CN108591542B (zh) 四位双三通电磁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