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2171B1 -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버어니어와 그것의 형성방법 및 검사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버어니어와 그것의 형성방법 및 검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2171B1
KR100192171B1 KR1019950034708A KR19950034708A KR100192171B1 KR 100192171 B1 KR100192171 B1 KR 100192171B1 KR 1019950034708 A KR1019950034708 A KR 1019950034708A KR 19950034708 A KR19950034708 A KR 19950034708A KR 100192171 B1 KR100192171 B1 KR 100192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nier
pattern
overlay
parent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4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3628A (ko
Inventor
이두희
권원택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50034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2171B1/ko
Publication of KR970023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3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2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21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483Information management; Active and passive control; Testing; Wafer monitoring, e.g. pattern monitoring
    • G03F7/70605Workpiece metrology
    • G03F7/70616Monitoring the printed patterns
    • G03F7/70633Overlay, i.e. relative alignment between patterns printed by separate exposures in different layers, or in the same layer in multiple exposures or stitch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 Preparing Plates And Mask In Photomechanical Proc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감광막 패턴의 검사를 위한 오버레이 패턴에서 리페어와 패드층의 오버레이를 오버레이 검사 장비에 의존하지 않고 마이크로 스코우프를 이용하여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한 오버레이 버어니어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오버레이 버어니어는 리페어 또는 패드 마스크시 정렬 대상층에 형성된 것으로서, 십자형의 형상에 그 각각의 길이 방향으로 정렬 눈금을 갖는 모 버어니어와, 상기 모 버어니어에 오버랩되는 정사각형의 자 버어니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버어니어와 그것의 형성 방법 및 검사 방법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오버레이 버어니어의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른 오버레이 버어니어 구조.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버레이 버어니어 구조의 설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3' : 박스 버어니어 1,2 : 핑거 버어니어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감광막 패턴의 검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페어와 패드층의 오버레이를 오버레이 검사장비에 의존하지 않고 마이크로 스코우프를 이용하여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한 오버레이 버어니어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치를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정렬과 노출은 두가지 목적의 공정 스텝이다. 한가지 목적은 마스크에 웨이퍼를 정확히 얼라인(align)시키는 것이고, 다른 한가지 목적은 얼라인 후에 마스크를 통해 감광막에 적절한 노광을 하는 것이다.
이 두가지 스텝의 결과로 마스크의 패턴이 감광막에 옮겨진다. 노출은 감광막을 레지스트와 마스크의 구성에 따라 고분자화되지 않은 것을 고분자화하거나 또는 그 역을 행하게 된다.
정렬 및 노출은 마스크의 패턴을 감광막에, 궁극적으로는 웨이퍼에 형성한다.
상기 정렬 공정에서 첫번째 마스크는 결정 구조에 얼라인하기 위한 마스크인데, 이것은 당연히 웨이퍼에 얼라인할 패턴이 없다. 왜냐하면, 첫번째 마스크는 패턴을 웨이퍼의 결정 구조에 얼라인하는데, 결정 구조는 보이는 것이 아니고, 웨이퍼의 평평한(flat) 면의 위치로서, 그 방향을 표시하기 때문에 웨이퍼의 플랫에 맞춘다. 모든 패턴이 직각인 이유는 여기에 있다.
수동 정렬 시스템에서 웨이퍼 플랫은 얼라이너 스테이지에 +2° 이내로 놓아야 한다. 자동 얼라이너에서는 자동으로 조절된다.
플랫에 첫번째 마스크가 얼라인된 후, 웨이퍼는 자동으로 마스크 밑에 놓여지고 노출 부분이 동작한다.
첫번째 마스크 이외의 모든 마스크는 웨이퍼의 패턴에 정렬해야 한다. 웨이퍼의 위치가 잡히면, 정렬기의 스플릿 필드 현미경을 통해 웨이퍼와 마스크를 동시에 본다. 이 시스템(두 물체를 보는 현미경)은 웨이퍼의 한쪽이 다른쪽에 대해 미스얼라인(misalign)되는 것을 보여준다. 웨이퍼와 디스크가 약간 회전 미스얼라인 되는 것은 웨이퍼의 한쪽만 보아서는 알 수 없다. 스플릿 필드 현미경은 미스얼라인먼트를 확실하게 볼 수 있게 해준다.
그런데, 회로 패턴이 복잡하기 때문에 패턴에 의한 얼라인먼트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얼라인먼트 마크가 각 마스크에 있어야 한다. 이 마크는 보통 십자형이나 사각형 모양을 갖고 있는데, 이러한 마크를 버어니어 패턴이라 하고, 보통 마스크의 모서리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패턴의 정렬 검사에서, 오버레이 정확도(overlay accuracy)란 장치의 제조를 위한 공정 스텝이 진행됨에 따라 전(前) 스텝 및 후(後) 스텝간의 정렬 상태를 나타내는 지수로서, 디바이스 고집적화로 인하여 해상력 한계 및 오버레이의 정확도가 디바이스 프로세스에 중요한 변수가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오버레이 정확도 조절 범위(overlay accuracy control range)는 디바이스의 최소 선폭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최소 선폭 크기의 20 내지 30% 정도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오버레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각 층(layer)의 마스크 제작시, 마스크의 스트라이브 라인에 측정용 버어니어 패턴을 형성하여, 노광한 후 이 패턴을 모니터하므로써, 패턴의 미스얼라인먼트 정도를 측정한다. 측정 방법으로 버어니어 패턴을 이용하여 검사자가 현미경으로 직접 미스얼라인을 확인하는 비쥬얼 인스펙션(visual inspection)과 버어니어 패턴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미스얼라인을 조절하는 오토 인스펙션(auto-inspection)이 있다.
비쥬얼 인스펙션은 버어니어 패턴에서 가장 잘 일치된 눈금을 읽는 방법인데, 이 방법은 엔지니어 및 오퍼레이터마다 약간씩 오차(30-50nm)가 발생하기 쉽다.
KLA-5015를 이용한 오토 인스펙션은 박스 인 박스 패턴의 중심점으로부터의 쉬프트 값을 벡터 처리하여 측정하는 장비인데, 이 측정 장비의 오버레이 정확도는 10nm 이하로 정확도가 우수하다.
첨부한 도면 제1도는 리페어, 패드 마스크를 제외한 오버레이 버어니어의 평면도로서, 핑거 버어니어와 박스 버어니어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오버레이 버어니어의 패턴은 금속 2마스크 단계시 형성된 버어니어 패턴인 모 버어니어(1)와, 리페어, 패드시 형성된 자 버어니어(2) 및 박스 버어니어(1',2')로 구성된다.
리페어, 패드용 오버레이 자 버어니어(2)는 제1도에서와 같이, 감광막 두께가 3.0μm에 이를 정도로 두껍고, 과노광(over exposure)으로 인하여 라운딩되거나 각각의 버어니어 패턴들이 서로 붙어 버려 현미경에 의한 육안으로는 모 버어니어(1)와 자 버어니어(2)의 오버랩 상태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가지 목적은 버어니어 패턴의 구조를 달리하므로써,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오버레이 버어니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오버레이 버어니어 패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번째 목적은 첫번째 목적의 오버레이 버어니어를 이용한 버어니어 패턴의 검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오버레이 버어니어는 리페어 또는 패드 마스크시 정렬 대상중에 형성된 것으로서, 십자형의 형상에 그 각각의 길이 방향으로 정렬 눈금을 갖는 모 버어니어와, 상기 모 버어니어보다는 작은 크기를 갖으면서 모 버어니어에 오버랩되는 정사각형의 자 버어니어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인 오버레이 버어니어의 제조 방법은, 제1마스크에 십자형이고 분극도가 다크인 모 버어니어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1마스크를 사용하여 형성된 모 버어니어의 십자형 패턴에 사각형의 내부의 분극도 클리어이면서 모 버어니어보다 크기가 작은 자 버어니어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번째 목적인 오버레이 버어니어의 검사 방법은 제1마스크를 사용하여 분극도가 다크로 형성된 십자형의 모 버어니어 패턴에 그 내부의 분극도가 클리어인 사각형의 자 버어니어 패턴을 오버랩시키는 과정과, 상기 모 버어니어보다 크기가 작으면서 모 버어니어에 오버랩된 자 버어니어의 정(+)과 부(-)의 x방향과 거리 및 y방향의 거리를 모 버어니어의 패턴에 형성된 피치로부터 현미경으로 확인하여 오버랩을 검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른 버어니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도에서와 같은 버어니어에서 패드 또는 리페어 마스크시 정렬(alignment)해야 할 대상층의 버어니어는 +자형 모양의 모 버어니어(10)로서, 이의 패턴 분극도(polarity)는 다크(dark)로서 감광제로 형성되어 식각 후에도 패턴으로 남게 된다. 그리고, 리페어 또는 패드 마스크시 형성되는 □형 자 버어니어(20)의 그 내부의 패턴 분극도는 클리어(clear)로서, 마스크 작업 후 감광제가 제거되어 전(前)층의 +자형 버어니어가 드러나게 된다.
첨부한 도면 제3도는 리페어 또는 패드 마스크가 그 전(前)층에 정렬되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a)도면은 전(前)층(layer)의 모 버어니어(10)를 도시한 것이고, (b)도면은 리페어 또는 패드 마스크시 형성될 자 버어니어(20)를 도시한 것으로서, (a)도면의 모 버어니어(10)에서 각 부분의 눈금과 눈금 사이의 간격은 0.05 내지 1μm이고, (b)도면의 A로서 표시된 부분은 감광막이 없는 부분이며, B로서 도시된 부분은 감광막이 도포된 부분이다.
(c)도면은 정렬을 위하여 상기 (a)의 모 버어니어(10)와 (b)의 자 버어니어(20)가 오버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경우의 오버레이 보상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표시된 십자형 모 버어니어(10) 패턴의 우측을 정(+)의 x축 방향, 위쪽을 정(+)의 y축 방향으로 정의할 때, 모 버어니어(10)에 오버랩된 자 버어니어(20)의 정(+)의 x축은 0.1μm이고, 부(-)의 x축은 0.3μm로서 0.1μm 차이가 나므로, 그대로 +0.1μm를 보상해준다.
y축의 경우에서도, 모 버어니어(10)에 오버랩된 자 버어니어(20)의 정(+)의 y축은 0.4μm이고 부(-)의 y축은 0.3μm로서, 상기 x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0.1μm 차이가 나므로 +0.1μm를 보상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버레이 버어니어 구조는 자 버어니어의 감광막 두께가 두껍거나 과노광으로 라운딩이 발생하더라도 마스크로 스코우프를 통한 육안으로 오버랩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오버랩 검사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오버랩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장비 투자액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공정 진행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어 검사 효율(through-put)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당업자에 의하여 이에 대한 수정과 변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과 범위에 속하는 한 모든 수정과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Claims (5)

  1. 리페어 또는 패드 마스크시 정렬 대상층에 형성되어, 십자형상이고 그 각각의 길이 방향으로 정렬 피치를 갖는 모 버어니어와, 상기 모 버어니어보다 크기가 작으면서 상기 모 버어니어에 오버랩되는 정사각형의 자 버어니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레이 버어니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 버어니어의 피치간 간격이 0.05 내지 1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레이 버어니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 버어니어는 패턴의 분극도가 다크이고, 상기 모 버어니어에 오버랩되는 자 버어니어의 사각형 패턴의 분극도는 클리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레이 버어니어.
  4. 제1마스크에 십자형이고 분극도가 다크인 모 버어니어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1마스크를 사용하여 형성된 모 버어니어의 십자형 패턴에, 상기 모 버어니어보다 크기가 작으면서 사각형의 내부의 분극도가 클리어인 자 버어니어의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레이 버어니어 패턴의 형성 방법.
  5. 제1마스크를 사용하여 분극도가 다크로 형성된 십자형의 모 버어니어 패턴에, 상기 모 버어니어보다 크기가 작으면서 그 내부의 분극도가 클리어인 사각형의 자 버어니어 패턴을 오버랩시키는 단계와, 상기 모 버어니어에 오버랩된 자 버어니어의 정(+)과 부(-)의 x방향의 거리 및 y방향의 거리를 모 버어니어 패턴에 형성된 피치로부터 현미경으로 확인하여 오버랩을 검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레이 버어니어 패턴의 오버랩 검사 방법.
KR1019950034708A 1995-10-10 1995-10-10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버어니어와 그것의 형성방법 및 검사방법 KR100192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4708A KR100192171B1 (ko) 1995-10-10 1995-10-10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버어니어와 그것의 형성방법 및 검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4708A KR100192171B1 (ko) 1995-10-10 1995-10-10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버어니어와 그것의 형성방법 및 검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3628A KR970023628A (ko) 1997-05-30
KR100192171B1 true KR100192171B1 (ko) 1999-06-15

Family

ID=19429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4708A KR100192171B1 (ko) 1995-10-10 1995-10-10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버어니어와 그것의 형성방법 및 검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217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3628A (ko) 199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7514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a main vernier pattern formed at a right angle to a subsidiary vernier pattern
EP0466335B1 (en) Process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s
EP0061536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improved alignment marks and alignment marks for said method
KR0156422B1 (ko) 반도체장치 제조용 레티클
JPH09166866A (ja) フォトマスクの目合わせマーク及び半導体装置
KR20000029347A (ko) 위치정렬을 검출하는 마크를 구비한 레티클과 위치정렬검출방법
KR100257167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192171B1 (ko)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버어니어와 그것의 형성방법 및 검사방법
US5928820A (en) Method for measuring pattern line width during manufacture of a semiconductor device
KR100271125B1 (ko) 정렬마크를 갖는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간 정렬도 측정방법
KR960002287B1 (ko) 정렬/노광장치의 스텝핑 정밀도 측정방법
KR100376889B1 (ko) 오버레이버어니어구조및그형성방법
KR100255087B1 (ko) 더미셀이 형성된 스테퍼용 레티클
KR960014961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197981B1 (ko) 반도체소자의 마스크 정렬 측정방법
KR960014964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0119758Y1 (ko) 반도체 노광장비의 정렬도 검사장치
JPH04209518A (ja) 位置ずれ計測方法、及び露光装置の精度確認方法
KR100375290B1 (ko) 웨이퍼 패턴 오차의 요인 해석 방법 및 사진 제판용마스크의 제조 장치
JPS588132B2 (ja) 集積回路製造方法
KR20040059251A (ko) 하나의 레이어에 다수의 박스형 마크를 갖는 중첩측정용정렬마크
KR100685597B1 (ko) 반도체소자의 측정마크 및 그 형성방법
CN111413847A (zh) 光掩膜以及光刻光学式叠对标记测量方法
JPH02174110A (ja) 露光方法
JPS61144022A (ja) フオトマ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