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0346B1 - 광픽업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광픽업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0346B1
KR100190346B1 KR1019940025380A KR19940025380A KR100190346B1 KR 100190346 B1 KR100190346 B1 KR 100190346B1 KR 1019940025380 A KR1019940025380 A KR 1019940025380A KR 19940025380 A KR19940025380 A KR 19940025380A KR 100190346 B1 KR100190346 B1 KR 100190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pattern
tracking
coil
lens holder
foc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5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5431A (ko
Inventor
최인호
박호만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40025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0346B1/ko
Publication of KR960015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431A/ko
Priority to US08/966,700 priority patent/US58703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0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03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5Details of the moving part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픽업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동장치중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코일의 구조를 간단히 한 화인패턴을 활용하여 조립성 및 구조를 간략화하여 전체적인 구조의 박형화를 실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렌즈홀더의 외주면에 마그네트와의 자기작용에 의해 포커싱 및 트랙킹방향으로 구동력을 주기위한 포컷용 화인패턴과 트랙킹용 화인패턴을 일체로 형성한 화인패턴코일을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광픽업 구동장치
제1도의 (a)(b)는 종래 트랙킹코일의 사용 상태도.
제2도의 (a)(b)는 종래 포커싱코일의 사용 상태도.
제3도의 종래 광픽업 장치의 조립 사시도.
제4도는 종래 대물렌즈 구동장치의 사시도.
제5도의 (a)(b)는 본 발명 화인 패턴코일의 동작상태도.
제6도의 본 발명 화인패턴 코일의 상세도.
제7도는 본 발명 광픽업 구동장치의 조립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인 패턴 코일 상세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인 패턴 코일 조립도.
제10도의 (a)(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인패턴 동작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영구자석 104 : 포커스용 화인 패턴
105 : 렌즈홀더 106 : 대물렌즈
107 : 와이어스프링 109 : 트랙킹용 화인패턴
110, 210 : 화인패턴코일 112 : 납땜부홀
본 발명은 광픽업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동장치 중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코일부의 구조를 간단히 한 화인 패턴(Fine Pattern)을 활용하여 조립 및 구조를 간략화하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 광픽업 구동장치는 제1도 내지 제4도와 같이 대물렌즈(6)을 지지하는 대물렌즈 홀더(1)와, 상기 대물렌즈 홀더(1)에 조립되는 인쇄회로기판(5)과, 상기 대물렌즈 홀더(1)에 코일을 권선하는 포커스 코일(2)과, 권선장치에서 일정형상으로 권선하여 대물렌즈 홀더(1)에 접착하는 트랙킹코일(3)과, 상기 트랙킹코일(3)과의 사이에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4)과, 상기 대물렌즈 홀더(1)에 연결되는 와이어 스프링(7)으로 구성되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9는 요크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구성장치는 제1도와 같이 영구자석(4)에 트랙킹 코일(3)을 대향시키고 이 코일에 전류를 흘렸을 때 힘이 발생하게 되어 동작하게 된다. 제1도의 (b)는 구동장치를 트랙킹 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코일의 형상으로 종래에는 자지융착 구리선으로 권선하여 사용하였다.
제2도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포커싱 구동의 사용예를 나타내고 있다. 포커싱코일(2)도 트랙킹코일(3)과 같이 자기 융착 구리선을 이용 제2도의 (b)와 같이 권선하여 사용한다.
종래에는 제4도와 같이 포커스코일(2)과 트랙킹코일(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별도의 인쇄회로 기판(5)을 대물렌즈 홀더(1)에 조립한 후 포커스코일과 트랙킹코일의 끝단을 납땜 연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포커스코일을 대물렌즈 홀더에 권선하기 위한 별도의 권선장치가 필요하게 되며 트랙킹 코일 권선장치 및 조립장비등이 필요하게 되어 초기 투자손실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 부품의 조립에 따른 오차의 발생이 크게 되어 광픽업헤드의 대물렌즈 구동장치의 성능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렌즈홀더의 외주면에 마그네트와의 자기작용에의해 포커싱 및 트랙킹 방향으로의 구동력을 주기위한 포커스용 화인 패턴과 트랙킹용 화인 패턴을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점차로 박형화되어 고성능화되고 있는 광픽업 장치의 구동부를 더욱 간략히 하고 조립성과 성능면에서 자동화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제5도 내지 제10도에 의해 설명한다.
대물렌즈(106)와, 상기 대물렌즈(106)를 지지하는 렌즈홀더(105)와, 상기 렌즈홀더(105)의 포커싱방향 및 트랙킹 방향으로 이동을 허용하는 지지수단이어서 와이어 스프링(107)과, 상기 렌즈홀더와 비접촉결합되며 포커싱 및 트랙킹용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요크부를 갖는 구동장치에 있어서, 포커싱 및 트랙킹 제어를 행하도록 꼭지점으로 대향되는 포커스용 화인 패턴(104)과, 상기 포커스용 화인 패턴(104) 사이에 꼭지점이 대향되는 트랙킹 화인 패턴(109)을 일체로 형성한 화인 패턴 화일(110)을 영구자석(101)에 대향되도록 렌즈홀더(105)에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화인 패턴 코일(110)이 마그네트에 대향하는 렌즈홀더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주면의 상하방향으로 포커스용 화인 패턴(104)이 형성되며, 좌우방향으로 트랙킹용 화인 패턴(109)이 형성되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 상기 트랙킹용 화인 패턴(211)은 상기 마그레트에 대향하는 렌즈홀더(205)의 외주면의 좌우에 형성되어 있고, 포커싱용 화인 패턴(212)은 외주면의 중앙부에 형성하였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11은 절곡선이고 112는 납땜부홀이며 113은 전류방향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본 발명은 제 5 도와 같이 포커싱과 트랙킹을 한개의 화인 패턴 코일(110)안에서 모두 동작이 가능하도록 되었다. 제5도의 (a)는 영구자석(101)과 대향하여 구성된 화인 패턴 코일(110)과 전류방향(113)을 보여주며 이때 포커싱과 트랙킹에 각각 전류를 공급하면 (b)와 같이 각 힘의 벡터합으로 총힘의 합은 원하는 포커싱 구동과 트랙킹 구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제6도는 이와 같은 화인 패턴 코일(110)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된 한개의 화인 패턴 코일(110)을 제7도와 같이 렌즈홀더(105)에 부착함으로써 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제 8 도에서와 같이 포커스코일(212)과 트랙킹 코일(211)을 화인 패턴 코일(210)로 일체화하여 한개의 화인 패턴 코일(210)로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제9도에서와 같이 화인 패턴 코일(210)을 대물 렌즈 홀더(205)에 접착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트랙킹 코일(211)과 포커스 코일(212) 각각의 힘은 플레임이 왼손법칙(F=B·i·l)에 의해 각각의 구동을 가능케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트랙킹 및 포커스 구동용 코일의 접착작업 및 납땜 작업등을 없앨 수 있으며 부품수 및 조립 간단화로 인해 전체적인 구조의 박형화를 실현시킬 수 있는 발명이다.

Claims (2)

  1. 대물렌즈와, 상기 대물렌즈를 지지하는 렌즈홀더와, 상기 렌즈홀더의 포커싱방향 및 트랙킹 방향으로 이동을 허용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렌즈홀더와 비접촉결합되며 포커싱 및 트랙킹용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요크부를 갖는 광픽업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의 외주면에 마그네트와의 자기작용에 의해 포커싱 및 트랙킹방향으로의 구동력을 주기위한 포커스용 화인 패턴과 트랙킹용 화인 패턴을 일체로 형성한 화인 패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구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화인 패턴 코일이 마그네트에 대향하는 렌즈홀더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주면의 상하방향으로 포커싱용 화인패턴이 형성되며, 좌우 방향으로 트랙킹용 화인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광픽업장치.
KR1019940025380A 1994-10-04 1994-10-04 광픽업 구동장치 KR100190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5380A KR100190346B1 (ko) 1994-10-04 1994-10-04 광픽업 구동장치
US08/966,700 US5870373A (en) 1994-10-04 1997-11-10 Optical pick-up driv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5380A KR100190346B1 (ko) 1994-10-04 1994-10-04 광픽업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431A KR960015431A (ko) 1996-05-22
KR100190346B1 true KR100190346B1 (ko) 1999-06-01

Family

ID=19394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5380A KR100190346B1 (ko) 1994-10-04 1994-10-04 광픽업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03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037B1 (ko) * 2002-04-20 2005-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픽업 액츄에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06954B1 (de) * 2001-10-29 2011-07-27 ABB Research Ltd. GIS-Stützisolator mit integrierter Barrie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037B1 (ko) * 2002-04-20 2005-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픽업 액츄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431A (ko) 199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104027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KR100408413B1 (ko)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JP3208751B2 (ja) 光学ピックアップ
JP2014052544A (ja) レンズ駆動装置
KR100190346B1 (ko) 광픽업 구동장치
US5870373A (en) Optical pick-up driving apparatus
KR100557524B1 (ko) 포커싱 기판을 이용한 엑츄에이터
JPH06314432A (ja) 光学系支持装置
KR100548920B1 (ko) 대물 렌즈 구동 장치
JPH10134405A (ja) 光ピックアップのアクチュエータ
KR100300379B1 (ko) 광학식픽업의엑츄에이터장치
JP2620663B2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2798575B2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2533873B2 (ja) 光ピツクアツプのアクチユエ−タ
JPH0729194A (ja) 二軸アクチュエータ
JP3522101B2 (ja) 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
JPH08115527A (ja) 光ピックアップアクチュエータ
KR19980075203A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코일 피씨비 접속구조
JPH10134384A (ja) 光学系支持装置
JPH09115159A (ja) 光学系支持装置
JPH10283647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2877568B2 (ja) 対物レンズ支持装置
KR20010109837A (ko) 광 픽업 엑츄에이터
JP2001067697A (ja) 対物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
JPH08315388A (ja) 光ディスク装置の対物レンズ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