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9204B1 - 패킷 통신용 티원네트워크에서 대국 루프백 장치 - Google Patents

패킷 통신용 티원네트워크에서 대국 루프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9204B1
KR100189204B1 KR1019960045680A KR19960045680A KR100189204B1 KR 100189204 B1 KR100189204 B1 KR 100189204B1 KR 1019960045680 A KR1019960045680 A KR 1019960045680A KR 19960045680 A KR19960045680 A KR 19960045680A KR 100189204 B1 KR100189204 B1 KR 100189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loopback
clock
network
coope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5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7026A (ko
Inventor
김시덕
하현우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60045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9204B1/ko
Priority to JP27164797A priority patent/JP3897874B2/ja
Priority to CN97117060A priority patent/CN1112003C/zh
Priority to US08/950,035 priority patent/US5854816A/en
Publication of KR19980027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9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92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14Monito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8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ode; Intranode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16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the time allocation to individual channels within a transmission cycle is variable, e.g. to accommodate varying complexity of signals, to vary number of channels transmitted
    • H04J3/1605Fixed allocated frame structures
    • H04J3/1623Plesiochronous digital hierarchy [PD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50Tes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패킷 통신용 T1네트워크에서 대국 루프백 장치 및 그 방법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일반적인 CDMA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통신을 위한 T1트렁크가 대국 루프백이 불가능하므로 원격지에서 네트워크의 테스트가 불가능함으로써 발생하는 네트워크 유지 보수의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한 것임.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프레임간의 구분을 위한 클럭과 기준클럭을 변환하여 T1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시스템부에서 사용되는 메인 클럭(MCLK)과 대국 루프백 데이터의 발생/추출을 위한 시스템 클럭(SCLK)을 생성하는 클럭 생성부(10)와; 상기 클럭 생성부(10)에서 생성된 시스템 클럭(SCLK)에 동기되어 대국 루프백용 데이터(Rdata)를 생성하고 그 생성한 대국 루프백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TXD)에 삽입하는 대국 루프백 데이터 삽입부(20)와; 상기 대국 루프백 데이터 삽입부(20)에서 얻어지는 송신 데이터(DSTi)를 네트워크 프레임 포맷에 맞게 변환하여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는 수신하는 프레이머 및 송수신기(30)와; 상기 클럭 생성부(10)로부터 생성된 시스템 클럭(SCLK)에 동기되어 상기 프레이머 및 송수신기(30)에서 출력되는 수신 데이터로부터 대국 루프백 데이터를 추출하는 대국 루프백 데이터 추출부(40)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대국 루프백 데이터 추출부(40)에서 추출된 대국 루프백 데이터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DSTo)를 분석 및 처리하는 프로세서(5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발명의 중요한 용도]
T1네트워크에서 대국 루프백을 구현하는데 적용되는 것임.

Description

패킷 통신용 티원 네트워크에서 대국 루프백 장치
일반적으로, 코드분할 다원접속방식(CDMA) 시스템에서는 제어국(BSC)과 기지국(BTS)간의 패킷 데이터 통신을 위해 T1/E1트렁크를 사용하게 된다. 즉,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통신은 채널 서비스(Channel Service)가 아닌 패킷통신을 행한다.
여기서, E1트렁크는 NFA(Non Frame Alignment)의 National bits를 이용해서 대국 루프백 구현이 가능하나(KT 규격은 NFA의 비트7,8을 이용하여 대국 루프백을 구현하도록 되어있음), 반면 T1트렁크는 프레임, 멀티플레임 스펙(ITU-T G703,704, ANSI T1.102,107,403) 구성상 National bits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대국 루프백이 불가능하다.
상기에서 대국 루프백이란 네트워크 단에서 온 데이터를 다시 네트워크단으로 돌려 보내는 기능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T1트렁크는 대국 루프백이 불가능하므로 원격지에서 네트워크의 테스트가 불가능함으로써 네트워크 유지 보수가 불편한 문제점 있으며, 이로인해 네트워크 유지 보수의 비용도 많이드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T1네트워크를 이용한 패킷 데이터 통신시 발생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국(BSC)과 기지국(BTS)간의 패킷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는 T1트렁크의 대국 루프백(Loopback)이 무인(無人)으로 가능토록하고 대국지에서 네트워크 테스트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네트워크 유지 보수의 편리성을 증대시키고 유지보수 비용의 절감을 꾀하도록 한 패킷 통신용 T1네트워크에서 대국 루프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은,
프레임간의 구분을 위한 클럭과 기준클럭으로 T1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시스템부에서 사용되는 메인 클럭과 대국 루프백 데이터의 발생/추출을 위한 시스템 클럭을 생성하는 클럭 생성부와;
상기 클럭 생성부에서 생성된 시스템 클럭에 동기되어 대국 루프용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생성한 대국 루프백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에 삽입하는 대국 루프백 데이터 삽입부와;
상기 대국 루프백 데이터 삽입부에서 얻어지는 송신 데이터를 네트워크 프레임 포맷에 맞게 변환하여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는 수신하는 프레이머 및 송수신기와;
상기 클럭 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시스템 클럭에 동기되어 상기 프레이머 및 송수신기에서 출력되는 수신 데이터로부터 대국 루프백 데이터를 추출하는 대국 루프백 데이터 추출부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대국 루프백 데이터 추출부에서 추출된 대국 루프백 데이터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 및 처리하는 프로세서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패킷 통신용 T1네트워크에서 대국 루프백장치 블록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서 네트워크의 대국 루프백을 설명하기 위한 대국 루프백 개념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T1트렁크의 프레임 포맷도.
제4도는 제1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클럭 생성부 20 : 대국 루프백 데이터 생성부
30 : 프레이머 및 송수신기 40 : 대국 루프백 데이터 추출부
50 : 프로세서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패킷 통신용 티원(T1)네트워크에서 대국 루프백(Loopback)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프레임간의 구분을 위한 클럭(8KHz)과 기준클럭(2.048/1.544MHz)을 변환하여 T1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시스템부에서 사용되는 메인 클럭과 대국 루프백 데이터의 발생/추출을 위한 시스템 클럭을 생성하는 클럭 생성부(10)와; 상기 클럭 생성부(10)에서 생성된 시스템 클럭(SCLK)에 동기되어 대국 루프백용 데이터(Rdata)를 생성하고 그 생성한 대국 루프백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TXD)에 삽입하는 대국 루프백 데이터 삽입부(20)와; 상기 대국 루프백 데이터 삽입부(20)에서 얻어지는 송신 데이터(DSTi)를 네트워크 프레임 포맷에 맞게 변환하여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는 수신하는 프레이머 및 송수신기(30)와; 상기 클럭 생성부(10)로부터 생성된 시스템 클럭(SCLK)에 동기되어 상기 프레이머 및 송수신기(30)에서 출력되는 수신 데이터로부터 대국 루프백 데이터를 추출하는 대국 루프백 데이터 추출부(40)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대국 루프백 데이터 추출부(40)에서 추출된 대국 루프백 데이터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DSTo)를 분석 및 처리하는 프로세서(50)로 구성되었다.
상기에서, 대국 루프백 데이터 삽입부(20)는 상기 클럭 생성부(10)에서 생성된 시스템 클럭(SCLK)에 동기되어 대국 루프백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대국 루프백 데이터 생성부(21)와; 상기 대국 루프백 데이터 생성부(21)에서 생성된 대국 루프백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TXD)에 삽입하는 가산기(22)로 구성되었다.
또한, 대국 루프백 데이터 생성부(21)는 2비트의 대국 루프백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가산기(22)는 상기 네트워크로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TXD)의 CH1내의 비트8,7 위치에 대국 루프백 데이터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패킷 통신용 티원(T1)네트워크에서 대국 루프백(Loopback)장치의 작용을 첨부한 도면 제1도 내지 제4도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국 루프백에 대해 간략히 그 개념을 설명하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T1네트워크단에서 들어온 데이터를 라인 인터페이스 유니트(LIU)에서 T1네트워크단으로 다시 돌려 보내는 기능을 말하며, 일반적인 T1트렁크의 한 프레임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193비트로 이루어진다.
이중 프레임의 시작을 나타내는 S비트를 제외한 192비트가 데이타 쓰여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그 중 2비트를 대국 루프용으로 할당해서 대국 루프백 구현이 가능토록 한다.
이때, 대국 루프백용 데이터가 할당되는 2비트에 패킷 데이터가 송신,수신되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는 동기통신 클럭을 변형하고, 그 변형된 클럭에 시스템부가 송신, 수신하게해서 T1트렁크에서 대국 루프백을 구현한다.
여기서 시스템부란 T1트렁크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유니트를 말하며, 이러한 본 발명의 개념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제1도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클럭 생성부(10)는 프레임간의 구분을 인디케이트하는 제4도의 (a)와 같은 8KHz의 클럭과 기준클럭인 1.544MHz/2.048MHz 클럭으로 제4도의 (e)와 같은 메인클럭(MCLK)을 생성하여 프로세서(50)로 전달하고, (g)와 같은 시스템클럭(SCLK)을 생성하여 대국 루프백용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대국 루프백 데이터 삽입부(20) 및 대국 루프백 데이터 추출부(40)에 각각 인가하게 되는데, 여기서 제4도의 메인클럭 및 시스템클럭은 기준클럭을 1.544MHz클럭을 사용한 타이밍이다.
만약, 기준클럭을 2.048MHz로 사용할 경우에는 맵핑(Mapping) 룰(rule)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 채널(CH)도 클럭 마스크해야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클럭 생성부(10)로부터 생성된 메인클럭(MCLK)에 따라 프로세서(50)는 하강에지에서 송신 데이터(TXD)를 출력하게되고, 이렇게 출력되는 송신 데이터는 제4도의 (d)와 같으며, 대국 루프백 데이터 삽입부(20)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대국 루프백 데이터 삽입부(20)는 대국 루프백 데이터 생성부(21)에서 상기한 클럭 생성부(10)로부터 생성된 대국 루프백을 위한 시스템클럭(SCLK)으로 2비트의 대국 루프백 데이터(Rdata)를 생성하여 가산기(22)에 전달한다.
그러면 가산기(22)는 그 전달되는 2비트의 대국 루프백 데이터를 상기한 프로세서(50)에서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TXD)의 소정 위치에 삽입을 하여 대국 루프백이 이루어진 송신 데이터(DSTi)로 변환하여 프레이머 및 송수신기(30)에 전달하게 된다.
즉, 프로세서(50)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데이터(TXD)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1(CH1)의 8,7비트에 인밸리드한 데이터가 실려 있다.
이는 시스템부가 메인클럭(MCLK)의 하강에지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때문에 CH1의 비트8,7위치에 S비트값이 계속 남아 있게 된다.
따라서 대국 루프백 데이터 삽입부(20)는 이곳(CH1의 비트8,7)에 대국 루프백을 위한 2비트의 대국 루프백 데이터를 삽입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프레이머 및 송수신기(30)는 대국 루프백을 위한 데이터가 실린 송신 데이터(DSTi)를 T1네트워크의 프레임 포맷에 맞게 변환한후 네트워크로 전송을 하게되고,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는 해당 프레임에 대응되게 수신하여 대국 루프백 데이터 추출부(40) 및 상기한 프로세서(50)에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프레이머 및 송수신기(30)는 입력 클럭의 하강 에지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승 에지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게 된다.
아울러 대국 루프백 데이터 추출부(40)는 상기한 클럭 생성부(10)에서 생성된 대국 루프백 데이터 추출을 위한 시스템클럭(SCLK)에 따라 입력되는 수신데이타로부터 대국 루프백 데이터를 추출하게 되고, 프로세서(50)는 그 추출된 대국 루프백 데이터를 분석하여 대국 루프백을 요구하는지 해제를 요구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대국 루프백을 요구한 경우에는 프레이머 및 송수신기(30)를 콘트롤하여 수신되는 데이터를 다시 루프백을 요구한 원거리 LIU로 되돌려보내게 되며, 또한 프로세서(50)는 메인클럭의 상승 에지에서 수신을 하므로 대국 루프백용 데이터는 샘플(sample)하지 않고 정상적인 데이터만을 샘플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 네트워크 테스트가 가능해짐에 따라 네트워크의 유지 보수가 편리한 효과가 있으며, 더불어 네트워크의 유지 보수 비용의 절감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패킷(Packet) 통신용 T1네트워크에서 대국 루프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어국(BSC)과 기지국(BTS)간의 패킷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는 T1트렁크의 대국 루프백(Loopback)이 무인(無人)으로 가능토록하여 대국지에서 네트워크 테스트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네트워크 유지 보수의 편리성을 증대시키고 유지보수 비용의 절감을 꾀하도록 한 패킷 통신용 T1네트워크에서 대국 루프백장치에 관한 것이다.

Claims (9)

  1. 제어국과 기지국간에 패킷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CDMA시스템에 있어서, 프레임간의 구분을 위한 클럭과 기준클럭을 변환하여 T1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시스템부에서 사용되는 메인 클럭(MCLK)과 대국 루프백 데이터의 발생/추출을 위한 시스템 클럭(SCLK)을 생성하는 클럭 생성부(10)와; 상기 클럭 생성부(10)에서 생성된 시스템 클럭(SCLK)에 동기되어 대국 루프백용 데이터(Rdata)를 생성하고 그 생성한 대국 루프백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TXD)에 삽입하는 대국 루프백 데이터 삽입부(20)와; 상기 대국 루프백 데이터 삽입부(20)에서 얻어지는 송신 데이터(DSTi)를 네트워크 프레임 포맷에 맞게 변환하여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는 수신하는 프레이머 및 송수신기(30)와; 상기 클럭 생성부(10)로부터 생성된 시스템 클럭(SCLK)에 동기되어 상기 프레이머 및 송수신기(30)에서 출력되는 수신 데이터로부터 대국 루프백 데이터를 추출하는 대국 루프백 데이터 추출부(40)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대국 루프백 데이터 추출부(40)에서 추출된 대국 루프백 데이터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DSTo)를 분석 및 처리하는 프로세서(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용 티원(T1)네트워크에서 대국 루프백(Loopback)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생성부(10)로 입력되는 클럭은, 프레임간을 구분하기 위한 클럭이 8KHz이고, 기준 클럭이 1.544M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용 티원(T1)네트워크에서 대국 루프백(Loopback)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국 루프백 데이터 삽입부(20)는, 상기 클럭 생성부(10)에서 생성된 시스템 클럭(SCLK)에 동기되어 대국 루프백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대국 루프백 데이터 생성부(21)와; 싱기 대국 루프백 데이터 생성부(21)에서 생성된 대국 루프백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TXD)에 삽입하는 가산기(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용 티원(T1)네트워크에서 대국 루프백(Loopback)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국 루프백 데이터 생성부(21)는, 2비트의 대국 루프백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용 티원(T1)네트워크에서 대국 루프백(Loopback)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산기(22)는, 상기 네트워크로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TXD)의 CH1의 비트8,7 위치에 대국 루프백 데이터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용 티원(T1)네트워크에서 대국 루프백(Loopback)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이머 및 송수신기(30)는, 입력 클럭의 하강 에지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입력 클럭의 상승 에지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용 티원(T1)네트워크에서 대국 루프백(Loopback)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국 루프백 데이터 추출부(40)는, 상기 클럭 생성부(10)에서 생성된 시스템 클럭(SCLK)에 동기되어 상기 프레이머 및 송수신기(30)에서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임의의 채널내의 비트8,7 위치에 실린 2비트의 대국 루프백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용 티원(T1)네트워크에서 대국 루프백(Loopback)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50)는, 상기 클럭 생성부(10)에서 얻어지는 메인 클럭(MCLK)의 하강 에지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고, 그 메인 클럭의 상승 에지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용 티원(T1)네트워크에서 대국 루프백(Loopback) 장치.
  9. 제어국과 기지국간에 패킷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CDMA시스템에 있어서, 프레임간의 구분을 위한 클럭과 기준클럭을 변환하여 T1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시스템부에서 사용되는 메인 클럭(MCLK)과 대국 루프백 데이터의 발생/추출을 위한 시스템 클럭(SCLK)을 생성하는 제1과정과; 상기 생성된 시스템 클럭(SCLK)에 동기되어 대국 루프백용 데이터(Rdata)를 생성하고 그 생성한 대국 루프백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TXD)의 소정 위치에 삽입하는 제2과정과; 상기 대국 루프백 데이터가 삽입된 송신 데이터(DSTi)를 네트워크 프레임 포맷에 맞게 변환하여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되는 수신 데이터로부터 대국 루프백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용 티원(T1)네트워크에서 대국 루프백(Loopback) 방법.
KR1019960045680A 1996-10-14 1996-10-14 패킷 통신용 티원네트워크에서 대국 루프백 장치 KR100189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680A KR100189204B1 (ko) 1996-10-14 1996-10-14 패킷 통신용 티원네트워크에서 대국 루프백 장치
JP27164797A JP3897874B2 (ja) 1996-10-14 1997-10-03 パケット通信用t1ネットワークのループバック装置
CN97117060A CN1112003C (zh) 1996-10-14 1997-10-13 包通信用t1网络的回送装置
US08/950,035 US5854816A (en) 1996-10-14 1997-10-14 Loop back device of packet communication T1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680A KR100189204B1 (ko) 1996-10-14 1996-10-14 패킷 통신용 티원네트워크에서 대국 루프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026A KR19980027026A (ko) 1998-07-15
KR100189204B1 true KR100189204B1 (ko) 1999-06-01

Family

ID=19477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5680A KR100189204B1 (ko) 1996-10-14 1996-10-14 패킷 통신용 티원네트워크에서 대국 루프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854816A (ko)
JP (1) JP3897874B2 (ko)
KR (1) KR100189204B1 (ko)
CN (1) CN111200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00229B1 (en) * 1994-08-22 2006-06-28 Fujitsu Limited Connectionless communications system, test method, and intra-station control system
EP0960494B1 (en) * 1997-12-16 2006-03-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nchronisation in an atm over stm transmission system
JP3905626B2 (ja) * 1998-03-03 2007-04-18 富士通株式会社 ループ状態検出装置
US6148010A (en) * 1998-06-24 2000-11-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and consolidating data packets onto multiple network interfaces
KR100377414B1 (ko) * 1999-08-31 2003-03-2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국간 전송로 동기화 장치 및 방법
US20020091885A1 (en) * 2000-12-30 2002-07-11 Norm Hendrickson Data de-skew method and system
US6934304B2 (en) 2001-01-24 2005-08-23 Infineon Technologies, North America Corp. T1/E1 framer array
US7124330B2 (en) * 2002-09-27 2006-10-17 Broadcom Corporation Physical layer loop back method and apparatus
US7000149B1 (en) * 2002-10-18 2006-02-14 Advanced Micro Devices, Inc. External loopback test mode
JP5829016B2 (ja) * 2010-11-09 2015-12-09 中国電力株式会社 検針値の収集方法、及び検針端末
US20170176534A1 (en) * 2015-12-18 2017-06-22 Intel Corporation Self-characterizing high-speed communication interfac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5451A (en) * 1988-10-14 1992-05-19 Concord Communications, Inc. Local area network modem
DE4010798A1 (de) * 1990-04-04 1991-10-10 Bodenseewerk Geraetetech Demodulatorbaustein und damit aufgebaute signalverarbeitungsschaltung
US5600656A (en) * 1993-06-10 1997-02-04 Siemens Stromberg-Carlson Remote loopback apparatus and method for telephone line repeaters
US5778003A (en) * 1995-03-30 1998-07-07 Newbridge Networks Corporation Loop-back detection using out-of-band signalling
US5787114A (en) * 1996-01-17 1998-07-28 Lsi Logic Corporation Loop-back test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2003C (zh) 2003-06-18
KR19980027026A (ko) 1998-07-15
JPH10145458A (ja) 1998-05-29
JP3897874B2 (ja) 2007-03-28
US5854816A (en) 1998-12-29
CN1179660A (zh) 1998-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9204B1 (ko) 패킷 통신용 티원네트워크에서 대국 루프백 장치
EP0425964A2 (en) Asynchronous voice reconstruction for a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RU99112501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пользователя внутри мобильной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й сети
KR20230018469A (ko) 타임 스탬프 정보 전송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EP0573861B1 (en) SDH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transmitter/receiver equipment therefore
TW357521B (en) Data transfer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digital cross-connect system
JP3246423B2 (ja) 網同期装置
KR960001048B1 (ko) 디지탈 전송 선로시험 장치 및 방법
KR930004097B1 (ko) 64Kbps 데이타 다중장치
EP0048064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CN202334526U (zh) 光口采集卡
JP3398709B2 (ja) バーストフレーム転送システム
BR9809882A (pt) Análise de canal bidirecional
JP3102976B2 (ja) タイムスロット信号位相アライナー装置
KR19990000171A (ko) 패킷 통신용 티완(t1) 네트워크에서의 리모트 알람장치
JP3511276B2 (ja) Atmセル伝送装置
KR0182679B1 (ko) 에스피엠장치와 피씨엠단간의 정합회로
KR20020056340A (ko) 광역통신망에서의 연동을 위한 라우터 접속장치
CN117879746A (zh) 一种高精度多域时间同步实现系统和方法
KR100305768B1 (ko) 아이에스디엔 비알아이의 이오씨 채널 송출 장치
KR100271305B1 (ko) 광 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관리단위신호 프레임 정렬장치
WO2024003596A1 (en) Timing accuracy of radio data packets
KR910005499B1 (ko) 소규모 isdn 가입자 집선장치의 교환기측 u인터페이스 채널장치
KR100246173B1 (ko) 전전자 교환기 내 비트 에러율 측정 장치
JP3420178B2 (ja) 電子交換機の網従属同期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1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