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2679B1 - 에스피엠장치와 피씨엠단간의 정합회로 - Google Patents

에스피엠장치와 피씨엠단간의 정합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2679B1
KR0182679B1 KR1019960014354A KR19960014354A KR0182679B1 KR 0182679 B1 KR0182679 B1 KR 0182679B1 KR 1019960014354 A KR1019960014354 A KR 1019960014354A KR 19960014354 A KR19960014354 A KR 19960014354A KR 0182679 B1 KR0182679 B1 KR 0182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m
signal
converter
transmitted
m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4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8190A (ko
Inventor
박주혜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60014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2679B1/ko
Publication of KR970078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8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2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26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정합회로는 SPM장치를 이용하여 PCM단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SPM장치와 PCM단간의 신호를 정합하기 위한 것으로, 본 회로는 PCM단상의 수신신호전송라인과 정합처리를 하는 제1PCM라인 정합부; 송신신호 전송라인과 정합처리를 하는 제2PCM라인 정합부; 제1PCM라인 정합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2048Kbps신호로 변환하는 제1변환부; 제2PCM라인 정합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2048Kbps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2변환부; 제1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64Kbps의 신호로 변환시켜 SPM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제3변환부; 제2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64Kbps신호로 변환시켜 SPM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제4변환부; 프레임싱크(FS)신호 클럭신호발생부; 제1 및 제2변환부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출력제어신호발생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에스피엠장치와 피씨엠단간의 정합회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피엠장치와 피씨엠단간의 정합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정합회로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상세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SPM(SS7 Signaling Protocol Monitor)장치
101 : CPU(Central Processor Unit)
102 : 클럭신호발생부 110 : 정합회로
120 : PCM(Pulse Code Modulation)단
201 : 제1PCM라인 정합부 202 : 제2PCM라인 정합부
211 : 제1PCM/2048K 변환부 212 : 제2PCM/2048K변환부
221 : 출력제어신호 발생부
231 : 프레임싱크 및 클럭신호 발생부
241 : 2048K/64K변환부
본 발명은 에스피엠장치(이하 SPM장치라고 약함)와 피씨엠(이하 PCM(Pulse Code Modulation)이라고 약함)단간의 정합회로에 관한 것이다.
SPM장치는 SS7(Signaling System No.7) 프로토콜 모니터장치로서, TDX교환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신호링크 셋업시 Nailed-up Path경로를 포함한 물리적 경로(No. 7계층중 레벨 1)의 안정성이 보장되어야 하는데 이와 같은 경로(또는 신호링크)상의 신뢰성 및 상태를 효율적으로 모니터하기 위하여 제안된 장치이다. 따라서 이러한 SPM장치는 TDX계열의 No.7 신호링크의 Nailed-up Path를 구성하는 ST( Signalling Terminal)단, 타임스위치단 및 PCM단에 대한 신호링크 신뢰성 및 상태를 모니터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SPM장치를 이용하여 PCM단을 모니터링할 때, 서로 사용가능한 신호포맷이 상이하여 직접 정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SPM장치를 이용하여 PCM단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SPM장치와 PCM단간의 신호를 정합하기 위한 정합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No.7 프로토콜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SPM장치와 PCM단간을 정합하기 위한 정합회로에 있어서, PCM단상에 전송되는 수신신호(RX)를 받을 수 있도록 PCM단상의 라인과 정합처리를 하기 위한 제1PCM라인 정합부; PCM단상에 전송되는 송신신호(TX)를 받을 수 있도록 PCM단상의 라인과 정합처리를 하기 위한 제2PCM라인 정합부; 제1PCM라인 정합부에서 출력되는 PCM 수신신호를 2048Kbps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1PCM/2048K변환부; 제2PCM라인 정합부에서 출력되는 PCM송신신호를 2048Kbps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2PCM/2048K변환부;제1PCM/2048변환부에서 전송되는 2048Kbps의 수신신호(RXD)와 제2PCM/2048K변환부에서 전송되는 2048Kbps의 송신신호(TXD)를 64Kbps의 신호로 변환시켜 SPM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2048K/64K변환부; SPM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마스터 클럭신호(MCLK)와 제1 또는 제2PCM/2048K변환부로부터 전송되는 기준클럭신호(RCLK)에 의하여 제1 및 제2PCM/2048K변환부와 2048K/64K변환부로 프레임싱크(FS)신호 및 제1 및 제2소정의 클럭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프레임 싱크 및 클럭신호 발생부; 프레임싱크 및 클럭신호발생부로부터 발생되는 제1 및 제2 소정의 클럭신호와 프레임싱크신호 및 SPM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어드레스/데이타신호에 의하여 제1 및 제2PCM/2048K변환부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출력제어신호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SPM장치와 PCM단간의 정합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SPM장치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CPU(101) 및 메인클럭신호(이하 MCLK라고 약함)발생부(10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SPM장치(100), PCM단(120), SPM장치(100)와 PCM단(120)간의 신호를 정합하기 위한 정합회로(110)로 구성된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정합회로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상세회로도로서, PCM단(120)의 수신신호(RX) 전송라인과 정합하기 위한 제1PCM라인 정합부(201), PCM단(120)의 송신신호(TX) 전송라인과 정합하기 위한 제2PCM라인 정합부(202), 제1PCM라인 정합부(201)로부터 전송되는 PCM신호를 2048Kbps로 변환하기 위한 제1PCM/2048K변환부(211), 제2PCM라인 정합부(202)로부터 전송되는 PCM신호를 2048Kbps로 변환하기 위한 제2PCM/2048K변환부(212), 제1 및 제2PCM/2048K변환부(211,212)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출력제어신호 발생부(221), SPM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MCLK신호와 제1 및 제2PCM/2048K변환부(211,212)에서 제공되는 기준클럭신호(RCLK)를 입력신호로 하여 2M 및 4M클럭신호와 프레임싱크(FS)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프레임싱크 및 클럭신호발생부(231), SPM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채널정보와 프레임싱크 및 클럭신호발생부(231)로부터 제공되는 클럭신호(2M 및 4M 클럭신호)에 의하여 제1 및 제2PCM/2048K변환부(211,212)에서 제공되는 2048Kbps의 신호를 64Kbps신호로 변환하여 SPM장치(100)로 전송하기 위한 2048K/64K변환부(241)로 구성된다.
그러면 제1도를 참조하여 제2도에 도시된 정합회로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PCM라인정합부(201)는 PCM단(120)에 구비되어 있는 수신신호(RX) 전송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PCMINO+, PCMINO-신호가 정합회로(110)내로 인가되도록 라인정합처리를 한다. 제1PCM라인정합부(201)에서 라인정합처리된 PCM신호는 제1PCM/2048K변환부(211)로 전송된다.
제2PCM라인정합부(202)는 PCM단(120)에 구비되어 있는 송신신호(TX) 전송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PCMIN1+, PCMIN-신호가 정합회로(110)내로 인가되도록 라인정합처리를 한다. 이와 같이 라인정합처리된 PCM산호는 제2PCM/2048K변환부(212)로 전송된다.
제1PCM/2048K변환부(211)는 출력제어신호발생부(221)로부터 제공되는 더미(Dummy)신호 CSTLO 0~3와 프레임싱크 및 클럭신호 발생부(231)에서 제공되는 프레임싱크(FS) 및 2M클럭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제1PCM라인 정합부(201)로부터 전송된 PCM신호를 2048Kbps의 수신신호(RXD)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출력된 수신신호(RXD)는 후술할 2048K/64K변환부(241)로 전송된다.
제2PCM/2048K변환부(212)는 출력제어신호발생부(221)로부터 제공되는 더미(Dummy)신호 CSTLO 0~3와 프레임싱크 및 클럭신호 발생부(231)에서 제공되는 프레임싱크(FS) 및 2M클럭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제1PCM라인 정합부(201)로부터 전송된 PCM신호를 2048Kbps의 송신신호(TXD)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출력된 송신신호(TXD)는 후술할 2048K/64K변환부(241)로 전송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PCM/2048K변환부(211,212)는 CEPT(Conference of European Postal and Telecommunications administration) 디지탈 트렁크 송수신기로 구현할 수 있다.
2048K/64K변환부(241)는 상술한 제1 및 제2PCM/2048K변환부(211,212)로부터 전송되는 2048Kbps신호를 64Kbps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것으로, 프레임싱크 및 클럭신호발생부(231)에서 출력되는 프레임싱크 및 2M클럭신호에 동기시켜 인가되는 2048Kbps신호를 64Kbps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한다. 이 때, 출력되는 64Kbps신호(64Kbps의 클럭신호 및 송수신신호)는 SPM장치(100)내에 구비되어 있는 CPU(101)로부터 제공되는 채널(CH)정보에 해당되는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여기서 2048K/64K변환부(241)는 필드 프로그램가능한 게이트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로 구현 가능하다.
프레임싱크 및 클럭신호 발생부(231)는 SPM장치(100)내의 클럭신호 발생부(102)로부터 전송되는 16.384M의 MCLK신호와 제1 및 제2PCM/2048K변환부(211,212)로부터 전송되는 8M의 기준클럭신호(RCLK)를 입력신호로하여 2M와 4M에 해당되는 클럭신호와 프레임싱크(FS)를 발생한다.
출력제어신호 발생부(221)는 SPM장치(100)내의 CPU(101)로부터 제공되는 어드레스/데이타신호와 프레임싱크 및 클럭신호 발생부(231)로부터 전송되는 클럭신호(2M 및 4M 클럭신호)와 프레임싱크신호에 의하여 상술한 CSTLO 0~3의 더미신호를 출력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SPM장치가 PCM단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SPM장치의 신호와 PCM단의 신호를 정합하기 위한 회로를 제공함으로써, SPM장치가 PCM단에 송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No.7 프로토콜을 모니터링하기 이한 SPM장치(100)와 PCM단(120)간을 정합하기 위한 정합회로에 있어서, 상기 PCM단(120)상에 전송되는 수신신호(RX)를 받을 수 있도록 상기 PCM단(120)상의 라인과 정합처리를 하기 위한 제1PCM라인 정합부(201); 상기 PCM단(120)상에 전송되는 송신신호(TX)를 받을 수 있도록 상기 PCM단(120)상의 라인과 정합처리를 하기 위한 제2PCM라인 정합부(202); 상기 제1PCM라인 정합부(201)에서 출력되는 PCM 수신신호를 2048Kbps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1PCM/2048K변환부(211); 상기 제2PCM라인 정합부(202)에서 출력되는 PCM송신신호를 2048Kbps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2PCM/2048K변환부(212); 상기 제1PCM/2048K변환부(211)에서 전송되는 2048Kbps의 수신신호(RXD)와 제2PCM/2048K변환부(212)에서 전송되는 2048Kbps의 송신신호(TXD)를 64Kbps의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SPM장치(100)로 전송하기 위한 2048K/64K변환부(241); 상기 SPM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마스터 클럭신호(MCLK)와 상기 제1 또는 제2PCM/2048K변환부(211,212)로부터 전송되는 기준클럭신호(RCLK)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PCM/2048K변환부(211,212)와 상기 2048K/64K변환부(241)로 프레임싱크(FS)신호 및 제1 및 제2 소정의 클럭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프레임 싱크 및 클럭신호발생부(231); 상기 프레임싱크 및 클럭신호발생부(231)로부터 발생되는 상기 제1 및 제2소정의 클럭신호와 프레임싱크신호 및 상기 SPM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어드레스/데이타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PCM/2048K변환부(211,212)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출력제어신호 발생부(2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피엠장치와 피씨엠단간의 정합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048K/64K 변환부(241)는 필드 프레임가능한 게이트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피엠장치와 피씨엠단간의 정합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싱크 및 클럭신호발생부(231)에서 발생되는 상기 제1소정의 클럭신호는 2M 클럭신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소정의 클럭신호는 4M클럭신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피엠장치와 피씨엠단간의 정합회로.
KR1019960014354A 1996-05-03 1996-05-03 에스피엠장치와 피씨엠단간의 정합회로 KR0182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4354A KR0182679B1 (ko) 1996-05-03 1996-05-03 에스피엠장치와 피씨엠단간의 정합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4354A KR0182679B1 (ko) 1996-05-03 1996-05-03 에스피엠장치와 피씨엠단간의 정합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8190A KR970078190A (ko) 1997-12-12
KR0182679B1 true KR0182679B1 (ko) 1999-05-15

Family

ID=19457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4354A KR0182679B1 (ko) 1996-05-03 1996-05-03 에스피엠장치와 피씨엠단간의 정합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267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8190A (ko) 199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35941B2 (ko)
JPH09321870A (ja) 通信用測定器
US5596730A (en) Interfaces for cross-connect system
KR0182679B1 (ko) 에스피엠장치와 피씨엠단간의 정합회로
US6052409A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detecting tones in a digital data communications device
TW357521B (en) Data transfer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digital cross-connect system
US4839897A (en) Fault detecting system for ADPCM codec
RU212749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соединения модема к одной из множества телефонных линий
JP2978608B2 (ja) インバンドのライン信号受信用デジタルトランク
KR100227614B1 (ko)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
KR100222733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정합 방법
JP3511276B2 (ja) Atmセル伝送装置
KR100194420B1 (ko) 키폰시스템에서 펄스방식의 디지털 트렁크 제어방법
KR0164101B1 (ko) 광 케이블 텔레비젼 전송망에서의 가입자 접속/단말 장치간 통신을 위한 신호 프레임 통신장치
KR0178250B1 (ko) 교환기의 트렁크 신호 감지 및 송출 장치
KR920002203B1 (ko) 전자 교환기 호 시뮬레이션 장치
KR100298289B1 (ko) 음성 메일 시스템의 음성 변환장치
KR970056435A (ko) 음성 통신용 타합선 처리 장치
JPH1051413A (ja) 伝送装置
KR100301581B1 (ko) 통신 시스템의 교환기내 브이5 정합장치
KR950004951B1 (ko) 사설교환기의 isdn 접속 회로
KR19990052896A (ko) 넘버.7 신호 단말 장치
KR20030026741A (ko) 데이터 전송속도에 따른 클럭소스 자동 전환장치
JPH0322793A (ja) Hook信号伝達方式
JPS63111743A (ja) デ−タ回線終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