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2733B1 - 전전자 교환기의 정합 방법 - Google Patents

전전자 교환기의 정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2733B1
KR100222733B1 KR1019960019386A KR19960019386A KR100222733B1 KR 100222733 B1 KR100222733 B1 KR 100222733B1 KR 1019960019386 A KR1019960019386 A KR 1019960019386A KR 19960019386 A KR19960019386 A KR 19960019386A KR 100222733 B1 KR100222733 B1 KR 100222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ching
signal
alarm
transmission
matc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9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8341A (ko
Inventor
김주용
오영민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60019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2733B1/ko
Publication of KR970078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8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2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27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42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 H04Q3/54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 H04Q3/545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using a stored programme
    • H04Q3/54541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using a stored programme using multi-processor systems
    • H04Q3/54566Intelligent peripherals, adjunct 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정합부와 디바이스(device)간의 정합신호를 규격화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합한 전전자 교환기의 정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TDX-100 등의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정합부(210)와 디바이스(220)간의 채널스타트 프레임신호(SFS), 송신클록신호(TCLK), 송신 데이터(Txd), 전송 대역폭/채널 정보(CSEL), 정합수신클록(RCLK), 수신 데이터(Rxd), 및 경보 신호(ALARM) 등의 정합신호를 규격화한다.

Description

전전자 교환기의 정합 방법
제1도는 일반적인 교환기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의 정합 방법을 사용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하위 프로세서 210 : 정합부
220 : 디바이스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의 정합(interface)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정합부와 디바이스(device)간의 정합신호를 규격화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합한 전전자 교환기의 정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인 교환기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교환 회로망(10), 가입자 접속부(20), 국 간 선로 접속부(30), 운용 관리 보전부(40), 신호망 접속부(50), 및 교환 제어부(60)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교환 회로망(10)은 실제 신호의 교환 연결 기능을 수행한다. 가입자 접속부(20)는 가입자로부터 들어온 신호들이 교환 회로망(10)과 접속되기 알맞은 형태로 되도록 그 가입자로부터 들어온 신호들을 변환한다.
국 간 선로 접속부(30)는 중계선으로부터 들어온 신호들이 교환 회로망(10)과 접속되기 알맞은 형태로 되도록 그 중계선으로부터 들어온 신호들을 변환한다.
운용 관리 보전부(40)는 교환기 시스템의 운용 관리 및 보전을 위한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통신망의 운용 보조 시스템들(도면 중에 도시되지 않음)과의 접속을 제공한다.
신호망 접속부(50)는 신호망 및 통신망에 데이터베이스(도면 중에 도시되지 않음)와의 접속을 제공한다.
교환 제어부(60)는 교환 회로망(10), 운용 관리 보전부(40), 및 신호망 접속부(50)에 각각 접속되어 상술한 모든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교환기는 교환 회로망(10)의 형태에 따라서 공간 분할 교환기와 시분할 교환기로 구분된다. 또한, 교환 제어부(60)의 제어 방식에 따라서 포선 논리 제어(wired-logic control)와 축적 프로그램 제어(Stored Program Control : SPC)로 구분된다. 제어 기능의 분산 정도에 따라서는 집중 제어 방식과 분산 제어 방식으로 구분된다.
현재 사용되는 전자 교환기들은 모두 축적 프로그램 방식을 사용하며, 그 중 공간 분할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반전자식 교환기, 시분할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디지털 교환기 또는 전전자식 교환기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최근의 디지털 교환기들은 대부분이 분산 제어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정합부와 디바이스의 정합신호를 규격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정합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위 프로세서(Peripheral Processor : PP)와 디바이스간을 정합시키는 정합부를 구비하는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정합부가 상기 디바이스로 채널스타트 프레임신호(Channel Start Frame Signal : SFS), 송신클록신호(TCLK), 및 송신 데이터(Txd)를 송신함에 따라 상기 정합부가 상기 디바이스에게 특정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 1 단계;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정합부로 전송 대역폭/채널 정보(CSEL), 필스부호변조(Pulse Code Modulation : PCM) 정합수신클록(RCLK), 수신 데이터(Rxd), 및 경보 신호(ALARM)를 송신함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정합부에게 특정 데이터 및 경보를 제공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의 정합 방법을 사용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하위 프로세서(200), 정합부(210), 및 디바이스(220)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정합부(210)는 하위 프로세서(200)와 디바이스(220)간을 정합한다.
정합부(210)와 디바이스(220)간은 1 조당 전송 대역폭이 128Kbps(전송속도 64Kbps의 채널 두 개)인 펄스부호변조 서브하이웨이(subhighway) 64조(하위 프로세서(200)와 정합부(210) 간 펄스부호변조 브하이웨이당 16조)로 정합한다. 이때, 디바이스(220)로는 가입자 공통 인쇄회로기판, 망연동장치, 및 기타 펄스부호변조 정합 디바이스 등이 있다. 정합부(210)의 매수는 하드웨어 구성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전송 대역폭으로 128Kbps를 사용하는 디바이스(220)에 있어서 정합부(210)와의 정합신호규격은 다음과 같다.
정합부(210)가 디바이스(220)로 채널스타트 프레임신호(SFS, 8KHz), 송신클록신호(TCLK, 2048KHz), 및 송신 데이터(Txd 2048Kbps)를 송신함에 따라 정합부(210)가 디바이스(220)에게 특정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때, 채널스타트 프레임신호(SFS)는 정합부(210)와 디바이스(220)가 연결되는 펄스부호변조 포트당 시작 신호로, 2 채널 단위로 위치가 증가되므로 펄스부호변조 포트당 프레임 위치가 다르다. 송신클록신호(TCLK)는 하위 프로세서(200)로부터 제공된다.
디바이스(220)가 정합부(210)로 전송 대역폭/채널 정보(CSEL), 펄스부호변조 정합수신클록(RCLK, 2048Kbps), 수신 데이터(Rxd), 및 경보 신호(ALARM)를 송신함에 따라 디바이스(220)가 정합부(210)에게 특정 제이터 및 경보 신호를 제공한다. 이때, 전송 대역폭/채널 정보(CSEL)는 액티브일 경우 "로우(low)" 상태이다. 또한, 정합수신클록(RCLK)는 RASM 또는 SRASM 연동시 시스템(망동기) 클록을 RI, SRI에서 정합부(210)로 전송하기 위한 신호이다. 경보 신호(ALARM)는 케이블 오픈 등 최대 4 종류의 알람 정보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는 "TDX-100"이라는 전전자 교환기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TDX-100 등의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정합부(210)와 디바이스(220)간의 채널스타트 프레임신호(SFS), 송신클록신호(TCLK), 송신 데이터(Txd), 전송 재역폭/채널 정보(CSEL), 정합수신클록(RCLK), 수신 데이터(Rxd), 및 경보 신호(ALARM) 등의 정합신호를 규격화한다.

Claims (1)

  1. 하위 프로세서와 디바이스간을 정합시키는 정합부를 구비는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정합부가 상기 디바이스로 채널스타트 프레임신호(SFS), 송신클록신호(TCLK), 및 송신 데이터(Txd)를 송신함에 따라 상기 정합부가 상기 디바이스에게 특정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 1 단계;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정합부로 전송 대역폭/채널 정보(CSEL), 펄스부호변조 정합수신클록(RCLK), 수신 데이터(Rxd), 및 경보 신호(ALARM)를 송신함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정합부에게 특정 데이터 및 경보를 제공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정합 방법.
KR1019960019386A 1996-05-31 1996-05-31 전전자 교환기의 정합 방법 KR100222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9386A KR100222733B1 (ko) 1996-05-31 1996-05-31 전전자 교환기의 정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9386A KR100222733B1 (ko) 1996-05-31 1996-05-31 전전자 교환기의 정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8341A KR970078341A (ko) 1997-12-12
KR100222733B1 true KR100222733B1 (ko) 1999-10-01

Family

ID=19460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9386A KR100222733B1 (ko) 1996-05-31 1996-05-31 전전자 교환기의 정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273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8341A (ko) 199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8903A (en) Multichannel telephonic switching network with different signaling formats and cross connect/PBX treatment selectable for each channel
US4608685A (en) Packet and circuit switched communications network
US4893310A (en) Digital key telephone system
US4442502A (en) Digital information switching system
CA2051910C (en) Circuit for testing digital lines
JPH0736573B2 (ja) サービス総合ディジタル網のためのディジタルサブスクライバターミナルを一体化した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US5150402A (en) Isdn terminal having diagnostic function
EP0331838B1 (en) Digital key telephone system
US6829249B1 (en) Voice-over internet protocol
KR100222733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정합 방법
DE69832499D1 (de) Unterraten-fernmeldevermittlungsanlage
US4347601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coded information transmitted during cyclically successive time frames
JPS6010996A (ja) 時分割ハイウエイスイツチ装置
JP2978608B2 (ja) インバンドのライン信号受信用デジタルトランク
KR0182679B1 (ko) 에스피엠장치와 피씨엠단간의 정합회로
KR100202981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정합 장치 송신기
KR100202980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피씨엠 정합 장치
US5349341A (en) Quad channel unit health registers with "OR" function means
FI109074B (fi) Tilaajamultipleksointilaite
KR0176398B1 (ko)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원격교환장치를 수용하는 방법
KR100388971B1 (ko) 키폰 시스템의 주변보드의 폴페일시 처리 장치 및 그방법
KR950004951B1 (ko) 사설교환기의 isdn 접속 회로
KR100202982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정합 장치 송신기
KR100284047B1 (ko) 소용량 교환기
KR0154473B1 (ko) 전전자교환기의 녹음안내방송장치를 시험하는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