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7614B1 -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 - Google Patents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7614B1
KR100227614B1 KR1019960064846A KR19960064846A KR100227614B1 KR 100227614 B1 KR100227614 B1 KR 100227614B1 KR 1019960064846 A KR1019960064846 A KR 1019960064846A KR 19960064846 A KR19960064846 A KR 19960064846A KR 100227614 B1 KR100227614 B1 KR 100227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block
signal
processor
telephon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4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6488A (ko
Inventor
김종현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60064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7614B1/ko
Publication of KR19980046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6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6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 Of Switch Circuits For Exchanges And Methods Of Control Of Multiplex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환기와의 중계호처리기능, 코덱제어기능 및 R2신호처리기능, 클럭발생기능, 경보수집기능등을 하나의 보드로 통합하거나 독립된 기능블럭으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화망정합장치는 TNIF블록의 보드들과 TLI 블록의 TSTA가 분리되어 있어, 각 보드간에 TD-BUS, 슬롯하이웨이 정합을 해야하기 때문에 시스템이 복잡해지고, 통신의 신뢰도가 저하되어 시스템설치 및 운용이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TNIF블록의 보드들과 TLI 블록의 TSTA를 하나의 블록으로 통합하여 TNIF블록을 구성함으로써, 각 보드간에 TD-BUS, 슬롯하이웨이 정합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스템의 구성이 용이해지며, 통신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Description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
본 발명은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환기와의 중계호처리기능, 코덱제어기능 및 R2신호처리기능, 클럭발생기능, 경보수집기능 등을 하나의 보드로 통합하거나 독립된 기능블럭으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는 첨부된 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TNIF(Telephone Network InterFace; 100)블록과 가입자 대응 모뎀 정합기능을 수행하는 TLI(Text Line Interface; 200)블록을 구비한다. TNIF(100)는 TNPA(Telephone Network Processor board Assembly; 10), AACA(Alarm Access Control board Assembly; 20), ECIA(Extended E1 Trunk Interface board Assembly;30) 또는 ETIA(Extended T1 Trunk Interface board Assembly; 30), CGIA(CEPT Clock Generation and Switch Interface board Assembly; 40) 또는 TGIA(T1 Clock Generation and Switch Interface board Assembly; 40) 및 USTA(Universal Signalling Transceiver board Assembly; 50)를 구비한다.
TNPA(10)는 TNIF(100)에 있는 모듈을 전체적으로 제어하고, AACA(20)는 각각의 보드에서 발생된 알람을 수집하여 TNPA(10)에 알람상태를 보고한다. ECIA(30) 또는 ETIA(30)는 입중계 호처리를 담당하고, CGIA(40) 또는 TGIA(40)는 타국과의 동기를 위한 기준 클럭추출 및 생성된 클럭을 각각의 보드에 공급한다. USTA(50)는 중계된 호에 대해 R2시그날링을 수행하여 착신번을 분석하고 과금을 위해 발신번을 추적한다.
한편, TLI(200)블록은 TSTA(Text Signal Transition board Assembly; 210) 및 TDLA(220)를 구비한다. TSTA(210)는 TNIF(100)내의 TNPA(10)와 TLI(200)블럭내의 TDLA(220)사이의 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보드로서 TD-BUS모드선택처리, 시리얼데이터처리 및 슬롯하이웨이신호배분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TNIF(100)에 구성된 모든 보드들은 TNPA(10)와 TD-BUS(Telephony Device Bus)와 정합되고, CGIA(40)와 ECIA(30)보드는 동일 TD-BUS를 사용한다. 클럭발생보드인 CGIA(TGIA)(40)보드는 ECIA(ETIA)(30), USTA(50) 및 TLI(200)블럭의 TSTA(210)와 슬롯하이웨이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TNPA(10)를 제외한 나머지 보드들의 경보는 AACA(20)에 의해 취합되어져 TD-BUS를 통해 TNPA(10)에 보고된다. TD-BUS정합을 위해서는 송/수신클럭 및 동기클럭인 FS(frame Sync.)가 필요하고, 슬롯하이웨이정합도 송/수신클럭 및 동기클럭이 필요하다.
TLI(200)내의 TSTA(210)와 TDLA(220)는 동일 백보드에 실장되고 연결되는 신호선은 PCB내부에서 연결된다. TSTA(210)와 TDLA(220)사이의 신호선은 TSTA(210)가 TNIF(100)블럭의 TNPA(10)로 부터 수신한 클럭 및 디코드된 모드 및 어드레스신호, 그리고 TNPA(10)에서 입력된 어드레스 신호를 TSTA(210)에서 디코드하여 TDLA(220)보드를 선택하는 셀렉터신호, TNPA(10)와 1바이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TXD와 RXD 신호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전화망 정합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TNPA(10)는 TNIF(100)블럭내의 메인프로세서로서 TNIF(100)블록내의 모든보드와 백보드를 통해 TD-BUS정합을 통해 제어하고, TLI(200)블럭의 TSTA(210)와는 TD-BUS 케이블을 통해 TD-BUS정합을 한다. ECIA(ETIA)(30)는 중계 호 처리를 위해 CGIA(TGIA)(40)보드와 슬롯하이웨이 데이터 송/수신을 하고 4MHz 클럭과 8KHz 프레임 동기신호를 공급 받아, 리퍼런스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대국 PCM신호로 부터 추출한 2.048(1.544)MHz 및 8KHz 클럭을 CGIA(TGIA)(40)로 보내며, AACA(20)에 기능실패 및 탈장 알람을 알린다. 또한 TD-BUS를 통해 TNPA(10)와 국간신호, 보드 및 라인상태, 시험요구 및 결과를 주고 받는다. CGIA(TGIA)(40)는 ECIA(ETIA)(30)로 부터 인가되는 2개의 리퍼런스 클럭을 수신하여 2개중 동기용 기준 클럭으로 사용하게 될 1회선을 선택하여 8KHz로 부터 분주한 다음 발진 클럭과 동기용 클럭간의 위상차를 검출하여 발진클럭을 제어하며 각 보드에 필요한 4MHz 클럭과 8KHz클럭을 생성하여 보내고 타임스위치로서 각 보드와 슬롯하이웨이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가지고 TD-BUS를 통해 타임스위치를 제어한다. USTA(50)는 TD-BUS를 통해 TNPA(10)의 제어를 받고, CGIA(TGIA)(40)로 부터 4MHz 클럭과 프레임 동기 신호를 받아 슬롯하이웨이를 통해 호접속을 위한 각종 신호음의 송출 및 검출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AACA(20)는 각각의 보드에서 발생한 하드웨어 경보를 수집하여 TNPA(10)에 알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TLI(200)내의 TSTA(210)는 TNIF(100)내의 TNPA(10)와 TLI(200)블럭내의 TDLA(220)사이의 신호를 인터페이스하며, TD-BUS모드선택처리, 시리얼데이터처리 및 슬롯하이웨이신호배분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화망정합장치는 TNIF블록의 보드들과 TLI 블록의 TSTA가 분리되어 있어, 각 보드간에 TD-BUS, 슬롯하이웨이 정합을 해야하기 때문에 시스템이 복잡해지고, 통신의 신뢰도가 저하되어 시스템설치 및 운용이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TNIF블록의 보드들과 TLI 블록의 TSTA를 하나의 블록으로 통합하여 TNIF블록을 구성함으로써, 각 보드간에 TD-BUS, 슬롯하이웨이 정합이 필요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의 구성이 용이해지며, 통신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에 있어서,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내 전화망 정합장치의 중앙처리부로서 전화망 정합장치의 모든 기능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부와; 대국으로부터 송/수신되는 국간신호를 상기 프로세서부와 주고 받으며 대국으로 부터 인가되는 PCM신호로부터 추출한 2.048(1.544)MHz 클럭 및 8KHz 프레임신호를 출력하는 중계호처리부와; 상기 중계호처리부로 부터 2개의 리퍼런스클럭을 수신하여 2개중 동기용기준클럭으로 사용하게 될 1회선을 선택하여 8KHz로 분주한 후, 발진클럭과 동기용 클럭간의 위상차를 검출하여 발진클럭을 제어하며 중계호처리, 신호처리 및 시리얼처리에 필요한 4MHz클럭과 8KHz 프레임 동기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타임스위치로서 각 기능별로 데이터 송/수신을 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타임스위치를 제어하는 클럭발생부와; 상기 프로세서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클럭발생부로 부터 4MHz 클럭과 8KHz 프레임 동기 신호를 받아 상기 타임스위치를 통해 호접속을 위한 각종 신호음을 송출하거나 검출하는 신호처리부와; TLI 블록의 TDLA보드에 대한 각종 경보신호를 수집하거나 시스템 구성에 따라 분리하여 구성될 보드에 대한 경보신호를 TD-BUS를 통해 수집하는 알람수집부와; 상기 TLI블럭내의 TDLA와 인터페이스하여 시리얼데이터 처리 및 상기 타임스위치 데이터의 신호를 배분하는 시리얼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TNPA 20 : AACA
30 : ECIA(ETIA) 40 : CGIA(TGIA)
50 : USTA 100 : TNIF
200 : TLI 210 : TSTA
220 : TDLA 300 : 전화망 정합장치
310 : 프로세서부 320 : 중계호처리부
330 : 클럭발생부 340 : 신호처리부
350 : 시리얼처리부 360 : 알람수집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처리 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는 첨부된 도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부(310), 중계호처리부(320), 클럭발생부(330), 신호처리부(340), 시리얼처리부(350) 및 알람수집부(360)를 구비한다.
프로세서부(310)는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내 전화망 정합장치(300)의 중앙처리부로서 전화망 정합장치(300)의 모든 기능을 제어한다. 중계호처리부(320)는 대국으로부터 송/수신되는 국간신호를 프로세서부(310)와 주고 받으며 대국으로 부터 인가되는 PCM신호로부터 추출한 2.048(1.544)MHz 클럭 및 8KHz 프레임신호를 클럭발생부(330)로 출력한다. 클럭발생부(330)는 중계호처리부(320)로 부터 2개의 리퍼런스클럭을 수신하여 2개중 동기용기준클럭으로 사용하게 될 1회선을 선택하여 8KHz로 분주한 후, 발진클럭과 동기용 클럭간의 위상차를 검출하여 발진클럭을 제어하며 중계호처리, 신호처리 및 시리얼처리에 필요한 4MHz클럭과 8KHz 프레임 동기 신호를 생성하여 신호처리부(340)로 출력하고, 타임스위치로서 각 기능별로 데이터 송/수신을 하고 프로세서부(310)에 의해 타임스위치를 제어한다. 신호처리부(340)는 프로세서부(310)의 제어에 따라 클럭발생부(330)로 부터 4MHz 클럭과 8KHz 프레임 동기 신호를 받아 타임스위치를 통해 호접속을 위한 각종 신호음을 송출하거나 검출하고, 알람수집부(360)는 TLI(200) 블록의 TDLA(220)보드에 대한 각종 경보신호를 수집하거나 시스템 구성에 따라 분리하여 구성될 보드에 대한 경보신호를 TD-BUS를 통해 수집한다. 시리얼처리부(350)는 TLI(200)블럭내의 TDLA(220)와 인터페이스하여 시리얼데이터 처리 및 타임스위치 데이터의 신호를 배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라 각각의 보드들은 TD-BUS 인터페이스 및 슬롯하이웨이 인터페이스와 같은 방법으로 백보드와 케이블로서 서로 정합되어 구성된 것이 아니라 하나의 보드에 통합되어 구성된다.
먼저, 중계호처리부(320)는 대국으로부터 송/수신되는 국간신호를 프로세서부(310)와 주고 받으며 대국으로 부터 인가되는 PCM신호로부터 추출한 2.048(1.544)MHz 클럭 및 8KHz 프레임신호를 클럭발생부(330)로 출력한다. 클럭발생부(330)는 중계호처리부(320)로 부터 2.048(1.544)MHz 클럭 및 8KHz 프레임신호의 리퍼런스클럭을 인가받는 바, 2개중 동기용기준클럭으로 사용하게 될 1회선을 선택하여 8KHz로 분주한 후, 발진클럭과 동기용 클럭간의 위상차를 검출하여 발진클럭을 제어하며 중계호처리, 신호처리 및 시리얼처리에 필요한 4MHz클럭과 8KHz 프레임 동기 신호를 생성하여 신호처리부(340)로 출력하고, 타임스위치로서 각 기능별로 데이터 송/수신을 하고 프로세서부(310)에 의해 타임스위치를 제어한다. 따라서, 신호처리부(340)는 프로세서부(310)의 제어에 따라 클럭발생부(330)로 부터 인가되는 4MHz 클럭과 8KHz 프레임 동기 신호를 받아 타임스위치를 통해 호접속을 위한 각종 신호음을 송출하거나 검출하고, 알람수집부(360)는 TLI(200) 블록의 TDLA(220)보드에 대한 각종 경보신호를 수집하거나 시스템 구성에 따라 분리하여 구성될 보드에 대한 경보신호를 TD-BUS를 통해 수집한 후,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프로세서부(310)로 출력한다. 시리얼처리부(350)는 TLI(200)블럭내의 TDLA(220)와 인터페이스하여 프로세서부(310)로 부터 인가되는 클럭 및 디코드된 모드 및 어드레스신호, 그리고 프로세서부(310)에서 입력된 어드레스 신호를 디코드하여 TDLA(220)보드를 선택하는 셀렉터신호와 1바이트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TXD와 RXD 신호를 프로세서부(310)와 송수신한다. 따라서, 하나의 보드로 전화망 정합장치(300)를 구성함으로서, TD-BUS 인터페이스 및 슬롯하이웨이 인터페이스 등의 단계를 거치지 않기 때문에 통신의 신뢰도가 향상되고, TNIF(100)와 TLI(200)의 TSTA(210)를 1개의 모듈로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TNIF(100)블록에 존재한 모든 보드 및 TLI(200)블록의 TSTA(210)를 삭제할 수 있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TNIF블록의 보드들과 TLI 블록의 TSTA를 하나의 블록으로 통합하여 TNIF블록을 구성함으로써, 각 보드간에 TD-BUS, 슬롯하이웨이 정합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스템의 구성이 용이해지며, 통신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Claims (1)

  1.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에 있어서,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내 전화망 정합장치의 중앙처리부로서 전화망 정합장치의 모든 기능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부(310)와; 대국으로부터 송/수신되는 국간신호를 상기 프로세서부(310)와 주고 받으며 대국으로 부터 인가되는 PCM신호로부터 추출한 2.048(1.544)MHz 클럭 및 8KHz 프레임신호를 출력하는 중계호처리부(320)와; 상기 중계호처리부(320)로 부터 2개의 리퍼런스클럭을 수신하여 2개중 동기용기준클럭으로 사용하게 될 1회선을 선택하여 8KHz로 분주한 후, 발진클럭과 동기용 클럭간의 위상차를 검출하여 발진클럭을 제어하며 중계호처리, 신호처리 및 시리얼처리에 필요한 4MHz클럭과 8KHz 프레임 동기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타임스위치로서 각 기능별로 데이터 송/수신을 하고 상기 프로세서부(310)에 의해 타임스위치를 제어하는 클럭발생부(330)와; 상기 프로세서부(3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클럭발생부(330)로 부터 4MHz 클럭과 8KHz 프레임 동기 신호를 받아 상기 타임스위치를 통해 호접속을 위한 각종 신호음을 송출하거나 검출하는 신호처리부(340)와; TLI(200) 블록의 TDLA(220)보드에 대한 각종 경보신호를 수집하거나 시스템 구성에 따라 분리하여 구성될 보드에 대한 경보신호를 TD-BUS를 통해 수집하는 알람수집부(360)와; 상기 TLI(200)블럭내의 TDLA(220)와 인터페이스하여 시리얼데이터 처리 및 상기 타임스위치 데이터의 신호를 배분하는 시리얼처리부(3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처리 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
KR1019960064846A 1996-12-12 1996-12-12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 KR100227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4846A KR100227614B1 (ko) 1996-12-12 1996-12-12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4846A KR100227614B1 (ko) 1996-12-12 1996-12-12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488A KR19980046488A (ko) 1998-09-15
KR100227614B1 true KR100227614B1 (ko) 1999-11-01

Family

ID=19487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4846A KR100227614B1 (ko) 1996-12-12 1996-12-12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76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4658B1 (ko) * 1999-10-22 2001-11-15 오길록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에서의 메시지 흐름 제어방법
KR100485684B1 (ko) * 2002-11-12 2005-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용량 시스템의 r2 시그널링을 위한 디지털 신호프로세서의인터페이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488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53195A (en) Private branch exchange system with specific information transmitting function
US4631721A (en)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ystem of a two-wire bus comprising an active terminator
WO1989001278A1 (en) Digital data communications terminal and modules therefor
KR100227614B1 (ko)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
KR100226661B1 (ko)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
KR0157151B1 (ko) 비동기 전달모드 교환기에서 고속 중계선 정합 장치
KR960020568A (ko) 모국교환기와 원격교환 장치간의 e1(유럽)방식 pcm링크 정합장치
KR100214141B1 (ko) 전전자 교환기의 망동기 장치 시험장치
JP2685464B2 (ja) 同期化回路装置
KR960013265B1 (ko) 국 교환기와 원격 교환장치간 북미 방식 피씨엠 링크 접합 장치
KR100301581B1 (ko) 통신 시스템의 교환기내 브이5 정합장치
KR0131558B1 (ko) 고속 데이터 전용회선 서비스 장치
KR930002191B1 (ko) 공통선신호방식(CCS No.7) 메세지전달부(MTP)의 레벨 1 및 2 기능구현을 위한 신호단말보드
KR100334797B1 (ko) 에스티엠원신호를이용한광링크정합장치
KR100194420B1 (ko) 키폰시스템에서 펄스방식의 디지털 트렁크 제어방법
KR970011681B1 (ko) 씨디엠에이(cdma) 이동 통신망에서의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 장치간의 프로세서 통신 데이터 처리를 위한 정합장치
KR100306161B1 (ko) 교환국 시스템간의 클럭을 동기시키기 위한 회로
KR100258692B1 (ko) 원격 접근 서버의 r2 시그널링 시험방법
KR910005499B1 (ko) 소규모 isdn 가입자 집선장치의 교환기측 u인터페이스 채널장치
KR100259044B1 (ko)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 리피터
KR200174925Y1 (ko) 유-접속신호로부터 동기클럭을 생성하는 아이에스디엔-엔티
KR0182679B1 (ko) 에스피엠장치와 피씨엠단간의 정합회로
KR19990002543A (ko) 시분할 전전자 교환기(tdx-1b) 디지틀 중계선 테스트 장치(bert) 및 그 제어 방법
KR910009670B1 (ko) 중규모 isdn 가입자 다중장치
KR0153951B1 (ko) 비동기 전달모드 기준클럭을 이용한 일반 전화 서비스용 클럭 발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