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9116B1 - 무선호출 기능을 이용한 합격 및 당첨 통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호출 기능을 이용한 합격 및 당첨 통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9116B1
KR100189116B1 KR1019950038723A KR19950038723A KR100189116B1 KR 100189116 B1 KR100189116 B1 KR 100189116B1 KR 1019950038723 A KR1019950038723 A KR 1019950038723A KR 19950038723 A KR19950038723 A KR 19950038723A KR 100189116 B1 KR100189116 B1 KR 100189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wireless
telephone
mailbox
contro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8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4665A (ko
Inventor
최영환
박병기
Original Assignee
박병기
최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기, 최영환 filed Critical 박병기
Priority to KR1019950038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9116B1/ko
Publication of KR970024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4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9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91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 H04W88/023Selective call receivers with message or information receiving cap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권이나 주택청약 등의 당첨 여부와 대학진학이나 입사시험의 합격 여부를 무선호출 사서함을 이용한 개별접속 또는 무선 호출기로의 일괄 통보로 당첨 및 합격을 확인 및 통보할 수 있는 무선 호출기능을 이용한 합격 및 당첨 통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복권번호, 주택청약번호, 대학수험번호 등에 대한 데이터가 사서함 별로 구분되어 당첨 및 합격 여부 데이타와 같이 저장된 데이터 관리시스템과, 전화기와 퍼스널 컴퓨터의 다이얼링신호를 입력받아 전화기와 퍼스널 컴퓨터를 무선 호출시스템에 연결하여 주면서 조회를 원하는 복권번호, 주택청약번호, 대학시험번호 등에 대한 다이얼신호를 무선 호출시스템에 전송하게 되는 전화 제어시스템과, 특정 사서함에 저장된 데이타를 무선 호출기로 무선 전송하고, 전화기나 퍼스널 컴퓨터의 다이얼링신호에 대응하는 복권번호, 주택청약번호, 대학수험번호 등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관리시스템의 특정 사서함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내서 전화 제어시스템을 통해 전화기와 퍼스널 컴퓨터로 전송하게 되는 무선 호출시스템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호출기능을 이용한 합격 및 당첨 통보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무선 호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권이나 주택청약 등의 당첨 여부와 대학진학이나 입사시험의 합격 여부를 무선호출 사서함을 이용한 개별접속 또는 무선 호출기로의 일괄 통보로 당첨 및 합격을 확인 및 통보할 수 있는 무선 호출기능을 이용한 합격 및 당첨 통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전파 기술이 발달됨에 따라 개인용 무선 호출기(일명 '삐삐')가 널리 보급되고 있고, 이를 이용한 서비스가 점차 늘어가고 있다.
그 일예로서, 음성 정보 서비스기능, 자동 알람기능, 광역 서비스기능과 같은 것들이 새로운 상품으로 개발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 복권상품이 많이 개발되어서 주택복권, 체육복권 등과 같이 추첨방식에 의한 복권과 즉석식 복권이 많이 시판되고 있다. 즉석식 복권의 경우에는 바로 당첨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나, 추첨 방식에 의한 복권은 바로 당첨 여부를 확인할 수 없고, 당첨일 후 당첨 사항을 일간지 또는 기타 홍보물을 이용하여 배포함으로써 복권구매자는 이를 통하여 자신이 소지한 복권의 당첨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생활이 복잡해지고 개인적으로 많이 바빠짐에 따라서 복권구매자는 복권의 당첨여부를 일일이 일간지를 통하여 확인하기가 어려워졌다.
또한, 복권과 마찬가지로 주택을 청약하는 경우에도 청약한 후 일정기간 후 당첨결과를 공개하므로 주택청약자는 그 당첨여부를 일일이 개별적으로 확인하여야만 했다.
그리고, 대학교 입시시험 결과, 기업체 입사시험을 치른 수험자는 그 결과를 알기 위해서는 수험자가 발표장을 직접 방문하여 게시판에 게시된 사항을 확인함으로써 합격 여부를 알 수 있고, 또는 다른 방법으로서 전화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합격 발표장이 상당히 복잡하여 본인의 수험번호를 확인하는 데 상당한 노력을 필요로 했고, 또한 전화를 이용함에 있어서는 합격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통화량의 폭주로 전화가 잘 연결되지 않으므로 합격여부를 확인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자는 전술한 합격 및 당첨 사실을 손쉽게 확인 및 통보 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연구한 결과, 무선호출 기능을 이용한 본 발명을 확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권, 주택청약, 대학 및 기업체 시험에 대한 결과를 무선방식으로 일괄 통보할 수 있는 무선 호출기능을 이용한 합격 및 당첨 통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권, 주택청약, 대학 및 기업체 입사시험에 대한 결과를 특정 사서함에 지정하여 저장함에 따라 개별접속에 의하여 확인할 수 있는 무선 호출기능을 이용한 합격 및 당첨 통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권, 주택청약, 대학 및 기업체 입사시험에 대한 결과를 무선 호출기로 일괄 통보할 수 있는 무선 호출기능을 이용한 합격 및 당첨 통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권, 주택청약, 대학 및 기업체 입사시험에 대한 결과를 지정 사서함의 개별접속으로 확인할 수 있는 무선호출 기능을 이용한 합격 및 당첨 통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호출기능을 이용한 합격 및 당첨 통보 시스템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호출기능을 이용한 합격 및 당첨 통보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수행을 위한 데이타 입력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개별접속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상세 흐름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다중 호출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화기 12 : 퍼스널 컴퓨터
14 : 전화 제어시스템 16 : 무선 호출시스템
18 : 데이터 관리시스템 20 : 무선 호출기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호출 기능을 이용한 합격 및 당첨 통보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복권번호, 주택청약번호, 대학수험번호 등에 대한 데이터가 사서함 별로 구분되어 당첨 및 합격 여부 데이터와 같이 저장된 데이터 관리 시스템; 전화기와 퍼스널 컴퓨터의 다이얼링 신호를 입력받아 전화기와 퍼스널 컴퓨터를 무선 호출시스템에 연결하여 주면서 조회를 원하는 복권번호, 주택청약번호, 대학시험번호 등에 대한 다이얼신호를 무선 호출시스템에 전송하게 되는 전화 제어시스템; 특정 사서함에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 호출기로 무선 전송하고, 전화기나 퍼스널 컴퓨터의 다이얼링신호에 대응하는 복권번호, 주택청약번호, 대학수험번호 등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관리시스템의 특정 사서함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내서 전화 제어시스템을 통해 전화기와 퍼스널 컴퓨터로 전송하게 되는 무선 호출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호출 기능을 이용한 합격 및 당첨 통보 방법은, 전화기 및 퍼스널컴퓨터와 유선으로 연결된 전화 제어시스템 및 개별 소지하는 무선 호출기를 이용한 합격 및 당첨 통보 방법에 있어서, 이 전화 제어시스템을 통하여 특정 번호가 입력되면 데이터 관리시스템의 사서함 별로 저장된 데이타를 확인하여 특정 번호의 당첨 및 합격 여부에 해당하는 메세지를 이 전화 제어시스템을 통하여 전화기 및 퍼스널 컴퓨터로 출력하는 개별 접속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이 데이터 관리시스템의 특정 사서함에 저장된 특정 번호 및 그에 해당하는 당첨 및 합격 여부 데이타를 일괄적으로 무선 호출기로 무선 전송하여 이 무선 호출기에 수신된 상태에 따라 합격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다중 호출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이 개별 접속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는, 이 전화 제어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된 코드에 따라 데이터 관리시스템에 설정된 해당 사서함을 확인하는 단계; 이 전화 제어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된 번호가 이 해당 사서함에 저장되었는지 검색하는 단계; 이 검색된 결과 이 번호의 합격여부를 확인하여 그에 따른 메세지를 전화 제어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다중 호출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는, 이 데이터 관리시스템의 관련데이타별로 구분된 방 중 일괄호출하기 위한 방을 지정하는 단계; 이 지정된 방의 번호 데이타와 합격여부에 관련된 데이타를 무선 전송하여 이 무선 호출기에서 수신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호출기능을 이용한 합격 및 당첨 통보 시스템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전화기(10)와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 이하 'PC'라 함)(12)가 유선으로 전화 제어시스템(14)과 연결되어 있고, 전화 제어시스템(14)은 전화통화 신호 이외의 호출신호 또는 사서함 신호를 무선 호출시스템(16)으로 입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무선 호출시스템(16)은 사서함 별로 데이타가 저장된 데이터 관리시스템(18)과 상호 데이타를 인터페이스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무선 호출되는 신호가 무선 호출시스템(16)으로부터 공중 전파되어서 개별적으로 소지하는 무선 호출기(20)로 수신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동작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합격 및 당첨 통보 방법의 실시예가 제2도에 나타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합격 및 당첨 통보 방법의 실시예는 개별적으로 합격 및 당첨 확인을 위한 개별접속모드와 무선 호출기(20)를 소지한 사람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합격 및 당첨 여부에 대한 전송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다중호출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무선 호출시스템(16)은 전화기(10) 및 PC(12)로 부터 전화 제어시스템(14)을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단계 S2를 수행하여 모드를 선택하고, 단계 S2에서 무선 호출시스템(16)은 선택된 모드를 단계 S4 및 56를 수행하여 개별접속모드인가 다중호출모드인가 확인한다.
무선 호출시스템(16)에서 단계 S4 및 단계 S6를 수행하여 모드가 확인되면, 그에 따라서 단계 S8과 단계 S10에서 개별 접속기능을 수행하거나,다중 노출기능을 수행하며, 개별접속 또는 다중호출모드가 아니면 단계 S12를 수행하여 해당기능을 수행한다.
그런 후, 무선호출시스템(16)에서는 단계 S14를 수행하여 다른 모드를 수행할 것인가 확인하고, 다른 모드를 수행함으로 판단되면 단계 S2를 재수행하고 다른 모드 수행 선택이 없으면 동작을 종료한다.
이 때 제2도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개별 접속모드 및 다중 호출모드의 수행을 위해서는 제1도의 데이터 관리시스템(18)에 사서함 즉 대학방, 복권방, 주택청약방과 같이 특정 데이타군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영역을 설정하여 제3도와 같이 각 방별로 데이타가 저장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하여 데이터 관리시스템(18)으로 각 방 별로 데이터 저장을 수행하는 동작이 제3도에 나타나 있다.
즉, 단계 S16을 수행하여 무선 호출시스템(16)은 도시되지 않은 모드 설정장치에 의하여 데이터 관리시스템(18)으로 데이타를 입력하기 위한 모드로 설정되고, 단계 S18에서 데이타 입력모드이면 단계 S22를 수행하여 작업방을 지정한다. 만약, 단계 S18에서 데이타 입력모드가 아니면 무선 호출시스템(16)은 단계 S20을 수행하여 해당모드를 수행한다.
단계 S22에서 작업방이 지정되었으면, 단계 S24 내지 S28을 수행하여 현재 지정된 '방'이 대학방인지 복권방인지 아니면 주택청약방인지 확인한다.
단계 S24에서 대학방으로 확인되면 단계 S30이 수행되어 데이타가 입력되고, 입력 완료 후 무선 호출시스템(16)은 단계 S32을 수행하여 입력된 데이타를 데이터 관리시스템(18)에 저장한다. 물론, 단계 S26 및 단계 S28에서 복권방 및 주택청약방으로 확인되면 단계 S34 및 단계 S36 그리고 단계 S38 및 단계 S40을 각각 수행하여 해당 데이타를 입력하고 입력된 데이타를 저장한 후 단계 S42를 수행하여 추가 데이타 입력을 확인한다. 추가되는 데이타가 있으면 단계 S22를 재수행하고 추가되는 데이타가 없으면 동작을 종료한다.
이로써 데이터 관리시스템(16)에는 개별접속에 따른 등록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데이타가 저장될 수 있고, 또한 일괄 전송하기 위한 특정 방 별 데이타가 저장된다.
제3도와 같이 데이터 관리시스템(18)에 각 사서함에 따른 방 별로 데이타가 저장됨으로써 제2도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동작되며, 그에 따른 제4도의 개별접속동작 및 제5도의 다중호출동작이 수행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수행을 위하여 개별 접속모드와 다중 호출모드의 확인은 전화기(10) 및 PC(12)를 통하여 입력되는 다이얼링 신호가 무선 호출시스템(16)에서 동작이 수행되도록 입력되는 특정코드(예를 들면 통상 사용되는 012, 015와 같은 코드)에 이어서 입력되는 코드로 판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개별 접속모드를 위한 코드를 '0'으로 지정하고 다중 호출모드를 위한 코드를 '1'로 지정한다. 그리고 이들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코드에 이어서 입력되는 접속 및 호출하기 위한 각 방의 지정코드를 대학방은 '1', 복권방은 '2', 주택청약방은 '3'으로 지정한다.
먼저, 제2도의 단계 S4에서 개별접속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코드로서 '0'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8 즉 제4도에 나타난 동작을 수행한다.
즉 무선 호출시스템(16)은 단계 S44를 수행하여 개별 접속으로 동작 가능한 기능 중 사서함기능을 이용할 것인가를 판단하여서 사서함기능이 아닌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46에서 해당기능을 수행하고 사서함기능을 이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48에서 사서함 코드가 입력된다.
무선 호출시스템(16)은 단계 S48에서 입력된 사서함코드 즉 당첨 및 합격을 확인하기 위한 데이타가 저장된 특정 방을 선택하기 위한 코드가 대학방에 해당하는 코드 '1'인지, 복권방에 해당하는 코드 '2'인지, 주택청약방에 해당하는 코드 '3'인지 단계 S50 내지 S54를 거쳐서 확인한다.
단계 S50에서 대학방을 선택하는 코드 '1'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56에서 대학별 코드, 및 수험번호가 입력되며, 이에 따라 무선 호출시스템(16)은 단계 S58에서 입력된 대학별 코드 및 수험번호를 미리 제3도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여 저장된 데이타와 비교하며 동일한 데이타를 검색한다. 데이타 검색에 따라 해당 수험번호가 합격되었는지 단계 S60에서 판단한 후, 합격이면 무선호출시스템(16)은 단계 S62를 수행하여 합격메세지를 전화 제어시스템(14)을 통하여 전화기(10) 및 PC(12)로 전송하고, 불합격이면 단계 S64를 수행하여 불합격메세지를 전화 제어시스템(14)을 통하여 전화기(10) 및 PC(12)로 전송한다.
그리고, 단계(50)에서 입력된 코드가 '1'이 아닌 복권방을 선택하는 '2'라면 단계 S66에서 복권번호가 입력되며, 이에 따라 무선 호출시스템(16)은 단계 S68에서 입력된 복권번호를 미리 제3도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여 저장된 데이타와 비교하며 동일한 데이타를 검색한다. 데이타 검색에 따라 해당 복권번호가 당첨되었는지 단계 S70에서 판단한 후, 당첨이면 무선 호출시스템(16)은 단계 S72를 수행하여 당첨메세지를 전화 제어시스템(14)을 통하여 전화기(10) 및 PC(12)로 전송하고, 당첨이 아니면 단계 S74를 수행하여 '꽝' 메세지를 전화 제어시스템(14)을 통하여 전화기(10) 및 PC(12)로 전송한다.
그리고, 단계(52)에서 입력된 코드가 '2'가 아닌 주택청약방을 선택하는 '3'이라면 단계 S76에서 청약번호가 입력되며, 이에 따라 무선 호출시스템(16)은 단계 S78에서 입력된 청약번호를 미리 제3도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여 저장된 데이타와 비교하며 동일한 데이타를 검색한다. 데이타 검색에 따라 해당 청약번호가 당첨되었는지 단계 S80에서 판단한 후, 당첨이면 무선 호출시스템(16)은 단계 S82를 수행하여 당첨메세지를 전화 제어시스템(14)을 통하여 전화기(10) 및 PC(12)로 전송하고, 당첨이 아니면 단계 S84를 수행하여 미당첨 메세지를 전화 제어시스템(14)을 통하여 전화기(10)및 PC(12)로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화기(10) 및 PC(12)를 통한 개별 접속에 의한 조회는 제4도에 나타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도의 단계 S6에서 다중호출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코드로서 '1'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10 즉 제5도에 나타난 동작을 수행한다.
무선 호출시스템(16)이 일괄적인 무선데이타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호출방을 단계 S86에서 지정하면, 무선 호출시스템(16)은 단계 S88을 수행하여 해당 사서함의 방의 데이타를 각 개별 무선 호출기(20)로 무선 전송한다. 이때 전송되는 데이타는 합격여부 또는 당첨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서 각 무선 호출기(20)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합격 또는 당첨에 대한 가부의 메세지가 디스플레이되고, 각 무선 호출기(20)를 소지한 수신자는 이를 확인하여 합격 및 당첨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호출 기능을 이용한 합격 및 당첨 통보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여 일괄적으로 등록된 번호에 대한 합격 및 당첨 여부에 대한 메세지를 전송하므로 수신측에서는 이 메세지의 확인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시험 후 결과를 기다리는 수험자가 통화량 폭주 등에 의한 확인 불능 또는 발표장의 혼잡으로 인한 확인의 곤란함을 겪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복권 및 주택청약자의 경우도 이와 동일하게 일일이 확인을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그 결과가 소지한 무선호출기로 수신되어 손쉽게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호출기를 이용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무선 호출기의 제품 효용성을 극대화하고, 사서함으로 간단하게 합격 및 당첨 여부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Claims (4)

  1.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복권번호, 주택청약번호, 대학수험번호 등에 대한 데이터가 사서함 별로 구분되어 당첨 및 합격 여부 데이터와 같이 저장된 데이터 관리 시스템; 전화기와 퍼스널 컴퓨터의 다이얼링 신호를 입력받아 전화기와 퍼스널 컴퓨터를 무선 호출시스템에 연결하여 주면서 조회를 원하는 복권번호, 주택청약번호, 대학시험번호 등에 대한 다이얼신호를 무선 호출시스템에 전송하게 되는 전화 제어시스템; 특정 사서함에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 호출기로 무선 전송하고, 전화기나 퍼스널 컴퓨터의 다이얼링신호에 대응하는 복권번호, 주택청약번호, 대학수험번호 등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관리시스템의 특정 사서함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내서 전화 제어시스템을 통해 전화기와 퍼스널 컴퓨터로 전송하게 되는 무선 호출 시스템;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 기능을 이용한 합격 및 당첨 통보 시스템.
  2. 전화기 및 퍼스널 컴퓨터와 유선으로 연결된 전화 제어시스템 및 개별 소지하는 무선 호출기를 이용한 합격 및 당첨 통보 방법에 있어서; 이 전화 제어시스템을 통하여 특정 번호가 입력되면 데이터 관리시스템의 사서함별로 저장된 데이타를 확인하여 이 번호의 당첨 및 합격 여부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이 전화 제어시스템을 통하여 전화기 및 퍼스널 컴퓨터로 출력하는 개별 접속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이 데이터 관리시스템의 특정 사서함에 저장된 특정 번호 및 그에 해당하는 당첨 및 합격 여부 데이타를 일괄적으로 이 무선 호출기로 무선 전송하여 이 무선 호출기에 수신된 상태에 따라 합격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다중 호출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 기능을 이용한 합격 및 당첨 통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이 개별 접속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는, 이 전화 제어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된 코드에 따라 데이터 관리시스템에 설정된 해당 사서함을 확인하는 단계; 이 전화 제어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된 번호가 이 해당 사서함에 저장되었는지 검색하는 단계; 이 검색된 결과의 번호의 합격여부를 확인하여 그에 따른 메세지를 전화 제어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무선 호출기능을 이용한 합격 및 당첨 통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이 다중 호출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는, 이 데이터 관리시스템의 관련 데이타별로 구분된 방 중 일괄호출할 방을 지정하는 단계; 이 지정된 방의 번호 데이타와 합격여부에 관련된 데이타를 무선 전송하여 이 무선 호출기에서 수신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무선호출 기능을 이용한 합격 및 당첨 통보 방법.
KR1019950038723A 1995-10-31 1995-10-31 무선호출 기능을 이용한 합격 및 당첨 통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189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8723A KR100189116B1 (ko) 1995-10-31 1995-10-31 무선호출 기능을 이용한 합격 및 당첨 통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8723A KR100189116B1 (ko) 1995-10-31 1995-10-31 무선호출 기능을 이용한 합격 및 당첨 통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4665A KR970024665A (ko) 1997-05-30
KR100189116B1 true KR100189116B1 (ko) 1999-06-01

Family

ID=19432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8723A KR100189116B1 (ko) 1995-10-31 1995-10-31 무선호출 기능을 이용한 합격 및 당첨 통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91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859A (ko) * 2000-04-12 2001-11-07 제진훈 합격자 통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100374539B1 (ko) * 2000-04-17 2003-03-03 유신열 복수 지원제상의 합격자 확정을 위한 일괄처리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474A (ko) * 2000-01-06 2001-07-23 손효철 개인통신기와 대화 가능한 통신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859A (ko) * 2000-04-12 2001-11-07 제진훈 합격자 통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100374539B1 (ko) * 2000-04-17 2003-03-03 유신열 복수 지원제상의 합격자 확정을 위한 일괄처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4665A (ko) 199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56777C (zh) 便携式信息终端
JP4381748B2 (ja) 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方法、情報配信プログラム
JP2007048127A (ja) 出退管理システム、携帯通信機器及びプログラム
EP0661854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KR100189116B1 (ko) 무선호출 기능을 이용한 합격 및 당첨 통보 시스템 및 그 방법
US6353736B1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harging management function
US6749112B2 (en) Method and program for visitor pass system
JPWO2006075714A1 (ja) 来場者管理方法及び来場者管理システム
KR20040035913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생 출입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서비스 방법
KR100344653B1 (ko) 호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US6556846B1 (en) Device for retrieving dial data and method of retrieving dial data
JPH0799551B2 (ja) トランスポンデイングカ−ドによる在館管理方法
JP2001109970A (ja) 広域ビル監視システム
KR100465780B1 (ko) 휴대 단말기의 무선 설문조사 시스템
JPH08149444A (ja) テレビ会議システム
JPH09321898A (ja) スケジュール管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H06337890A (ja) 呼び出しおよび案内システム
JP2001125932A (ja) アンケートデータ収集方法
TWM623757U (zh) 志工管理系統
JP2968778B1 (ja) 掲示板装置
WO1990000297A1 (en) Voice controlled pager
KR20020022845A (ko) 바코드 리더가 장착된 휴대폰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JPH1075305A (ja) 情報通信システム
KR20040039110A (ko) 고주파 카드를 이용한 소정 장소에 대한 사용자의 착·발통지 시스템 및 그 방법
JPS63273968A (ja) 画像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