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9012B1 - 차속에 따른 범퍼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차속에 따른 범퍼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9012B1
KR100189012B1 KR1019960038038A KR19960038038A KR100189012B1 KR 100189012 B1 KR100189012 B1 KR 100189012B1 KR 1019960038038 A KR1019960038038 A KR 1019960038038A KR 19960038038 A KR19960038038 A KR 19960038038A KR 100189012 B1 KR100189012 B1 KR 100189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vehicle
compression space
air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8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9797A (ko
Inventor
문용우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38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9012B1/ko
Publication of KR19980019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9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90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38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adjustably or movably mounted, e.g. horizontally displaceable for securing a space between parked vehicles
    • B60R19/40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adjustably or movably mounted, e.g. horizontally displaceable for securing a space between parked vehicles in the direction of an obstacle before a collision, or extending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i.e. to increase the energy absorption capacity of the bu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범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속에 따라 범퍼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차속에 따른 범퍼 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속에 따라 유입되는 공기량을 측정하여 범퍼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외부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차속에 따른 범퍼 이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밀폐하게 일체화되는 한편, 내부를 관통되게 연결한 제 1 압축공간(2)과 일체화되어 형성한 범퍼(9); 제 1 압축공간의 중간 부에서 돌출되어 범퍼에 연결되되, 내부가 관통되어 공기파이프(8)로 연결되는 일단에 탄성부재 주름관(7)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파이프(8)의 외부를 감싸며 설치된 범퍼가드(11)의 내부에 형성한 로울러(10)를 포함하는 범퍼이동 수단(19); 및 상기 범퍼이동 수단을 차속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한편, 차량의 하부에 설치한 벨로우즈관(12)의 일단에 형성한 공기량감지센서(1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속에 따른 범퍼 이동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속에 따른 범퍼 이동 장치
본 발명은 차량의 범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속에 따라 범퍼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차속에 따른 범퍼 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범퍼는 보디에 설치하여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역활을 담당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에 범퍼를 사용하는 사시도이다. 자동차(1)는 크게 보디(2)와 샤시로 구분되는데, 범퍼(3)는 보디(2)에 일체화되어 설치된다.
그러나, 범퍼는 항상 일정하게 보디에 고정되어 있어 차속이 빠른 경우의 사고에 있어서는 그다지 큰 완충역활을 담당하지 못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보호하는데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속에 따라 유입되는 공기량을 측정하여 범퍼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외부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차속에 따른 범퍼 이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밀폐하게 일체화되는 한편, 내부를 관통되게 연결한 제 1 압축공간(2)과 일체화되어 형성한 범퍼(9); 제 1 압축공간의 중간부에서 돌출되어 범퍼에 연결되되, 내부가 관통되어 공기파이프(8)로 연결되는 일단에 탄성부재 주름관(7)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파이프(8)의 외부를 감싸며 설치된 범퍼가드(11)의 내부에 형성한 로울러(10)를 포함하는 범퍼이동수단(19); 및 상기 범퍼이동수단을 차속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한편, 차량의 하부에 설치한 벨로우즈관(12)의 일단에 형성한 공기량감지센서(1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속에 따른 범퍼 이동 장치를 제공한다.
도1은 일반적인 자동차에 범퍼를 사용하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속에 따른 범퍼 이동 장치의 개략도.
도3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 제1에어컴프레서 2 : 제1압축공간부
3 : 스프링부 4 : 금속판
5 : 구동모터 6 : 압력 조절 장치
7 : 탄성부재주름판 8 : 공기파이프
9 : 범퍼 10: 로울러
11: 범퍼가드 12: 벨로우즈관
13: 모터부 13-1: 제1모터
13-2: 제2모터 13-3: 제3모터
14: 제2에어컴프레서 15: 밸브장치
15-1: 제1밸브 15-2: 제2밸브
15-3: 제3밸브 16: 제2압축공간
17: 지시계 18: 공기유량감지센서
19: 범퍼 이동 수단
본 발명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속에 따른 범퍼 이동 장치의 개략도이다. 차량의 제 1 에어컴프레서(1)에는 밀폐되고 내부가 관통된 제1압축공간부(2)를 연결하고, 그 제 1 압축공간부(2)의 타단에는 압력 조절 장치(6)를 내부 공간이 서로 소통되게 연결 설치한다. 상기 압력 조절 장치(6)의 말단에는 스프링부(3)를 설치하고 외부일측으로는 금속판(4)을 설치한다. 상기 금속판(4)과 대응한 위치에는 구동모터(5)를 설치하는데 상기 구동모터(5)는 차량에 설치한 자동 조절 유니트(ECU)에서 조절 가능하게 설치한다. 또한, 제 1 압축공간(2)은 유입되는 공기량의 압력에 따라 구동모터(5)에 의해 압력 조절 장치(6)를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 1 압축공간(2)의 중간부에는 공기파이프(8)와 연결되고 상기 공기파이프(8)는 범퍼(9)와 연결된다. 상기 공기파이프(8)의 중간부에는 내부압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 가능한 탄성부재 주름관(7)을 설치한다. 상기 범퍼(9)와 연결된 부위는 일체화되어 있고 밀폐된 공간이다. 상기 범퍼(9)를 이동시 지지하기 위한 범퍼가드(11)를 상기 공기파이프(8)의 외부에 형성하고, 범퍼(9)를 원활히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범퍼가드(11)의 하부에 로울러(10)를 설치한다. 또한, 압력 조절 장치(6)가 형성된 곳에 인접하여 차량 하부에 벨로우즈관(12)을 설치한다. 상기 벨로우즈관(12)은 차량 하부나 차량의 측면에 설치 가능하다. 상기 벨로우즈관(12)에는 공기량감지센서(18)를 설치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공기량감지센서(18)는 모터부(13)와 연결한다. 상기 모터부(13)에는 유입되는 공기량에 따라 제 1 모터(13-1), 제 2 모터(13-2), 제 3 모터(13-3)가 작동하게 된다. 상기 모터부(13)의 제 1,제 2,제 3 모터(13-1)(13-2)(13-3)의 구동력은 제 1 모터(13-1)보다 제 2 모터(13-2)의 구동력이 크며, 제 2 모터(13-2)보다 제 3 모터(13-3)의 구동력이 크다. 상기 모터부(13)와 제 2 에어컴프레서(14)는 연결되며 상기 제 2 에어컴프레서(14)는 밀폐된 공간 내측으로 형성한 제 2 압축공간(16)의 밸브장치(15)와 일체로 연결한다. 상기 밸브장치(15)에는 내부압력에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의 제 1 밸브(15-1),제 2 밸브(15-2), 제 3 밸브(15-3)로 구성된다. 상기 제 1,제 2,제 3 밸브(15-1),(15-2),(15-3)는 상측으로 스프링을 설치하고 그 스프링력에 위해 상기 밸브장치(15)가 형성된 제 2 압축공간(16)의 내부압력이 증가하면 순서대로 상,하로 이동하는 구조이다.
전술한 구성의 작용을 설명하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범퍼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차량 자체의 제 1 에어컴프레서(1)와 범퍼(9)는 공기파이프(8)로 밀폐된채로 일체화되어 형성되어 있어 차량에 설치된 제 1 에어컴프레서(1)가 작동되면 제 1 압축공간(2)의 압력이 일정한 상태의 압력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제 1 에어컴프레서(1)의 압력이 일정하므로 공기파이프(8)의 내부압도 일정하다. 차츰 차속이 증가하면 차량하부의 벨로우즈관(12)을 통해 내측으로 들어오는 공기압이 커지게 되고 상기 벨로우즈관(12)에 설치된 공기량감지센서(18)는 모터부(13)와 연결되어 있어 공기량에 따라 지시계(17)는 알맞은 모터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벨로우즈관(12)은 차량하부뿐만아니라 차량의 측면으로도 설치 가능하다. 상기 모터부(13)의 지시계(17)가 제 1 모터(13-1)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모터(13-1)가 가동되면 제 2 에어컴프레서(14)를 작동하여 제 2 압축공간(16)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상기 제 2 압축공간(16)의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밸브장치(15)의 스프링력이 가장 약한 제 1 밸브(15-1)를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 1 밸브(15-1)는 압력 조절 장치(6)의 금속판(4)과 접촉하게 되어 구동모터(5)를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5)는 압력 조절 장치(6)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압력 조절 장치(6)의 부피(내부공간)를 줄여 주어 그로 인한 공기파이프(8)의 내부 공기압이 증가되어 탄성부재 주름관(7)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 주름관(7)이 전방으로 이동하므로 범퍼(9)는 범퍼가드 이동장치(10)에 따라 앞으로 이동한다. 또한, 압력 조절 장치(6)가 전방으로 이동하므로 제 1 밸브(15-1)와 접촉된 금속판(4)의 접촉이 끊어져 구동모터(5)는 더이상 작동되지 않는다. 상기 제 2 압축공간(16)의 내부공기압은 일정하므로 제 1 밸브(15-1)는 상기 압력 조절 장치(6)가 뒤로 밀려나지 못하도록 쐐기(스톱퍼) 역할을 한다. 계속적으로 차속이 증가하면 전술한 경우와 같이 지시계(17)가 모터부(13)의 제 2 모터(13-2)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모터(13-2)는 제 1 모터(13-1)보다 구동력이 크므로 제 2 에어컴프레서(14)를 구동시켜 제 2 압축공간(16)의 내측으로 형성한 제 2 밸브(15-2)를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금속판(4)과 다시 접촉하게 되어 구동모터(5)가 회전한다. 상기 구동모터(5)는 압력 조절 장치(6)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압력 조절 장치(6)의 부피(내부공간)를 더욱 축소하고 그 공기압에 의해 탄성부재 주름관(7)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범퍼(9)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전술한 경우와 같이 모터부(13)의 제 3 모터(13-3)의 경우도 동일한 작용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차량이 정지할 경우는 제 2 압축공간(16)의 압력이 떨어지게 되고, 외부 일단에 설치한 스프링부(3)의 탄성력에 의해 압력 조절 장치(6)는 후방으로 이동시켜 원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전술한 구성과 작용에 의한 본 발명의 효과는, 차속이 증가할수록 범퍼는 더욱더 전방으로 이동하고 이로 인해 외부충격시 범퍼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고 내부 압력에 범퍼는 서서히 외부 충격과 대응하여 이동하게 되어 외부 충격을 완전히 완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해 차량의 운전자 및 승객에게 안전성을 보장하여 더욱 안락한 운전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밀폐하게 일체화되는 한편, 내부를 관통되게 연결한 제 1 압축공간(2)과 일체화되어 형성한 범퍼(9); 제 1 압축공간의 중간부에서 돌출되어 범퍼에 연결되되, 내부가 관통되어 공기파이프(8)로 연결되는 일단에 탄성부재 주름관(7)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파이프(8)의 외부를 감싸며 설치된 범퍼가드(11)의 내부에 형성한 로울러(10)를 포함하는 범퍼 이동 수단(19); 및 상기 범퍼 이동 수단을 차속에 의해 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한편, 차량의 하부에 설치한 벨로우즈관(12)의 일단에 형성한 공기량감지센서(1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속에 따른 범퍼 이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의 제 1 에어컴프레서에 연결되며 내부가 관통되어 밀폐된 제 1 압축공간(2)의 외부에 차량에 접지되는 스프링부(3)를 형성하고 밸브장치와 인접하게 외부일측에 금속판(4)을 설치하고 외부타측으로 구동모터(5)를 설치한 압력 조절 장치(6)를 형성하고, 상기 압력 조절 장치의 압력에 의해 이동 가능한 범퍼(9)를 형성하고, 차량 하부에 설치한 벨로우즈관(12)에 연결되는 모터부(13)를 형성하고 상기 모터부(13)에 연결되어 일단에는 제 2 에어컴프레서 (14)를 설치하고 타단에는 다수의 밸브가 설치된 밸브장치(15)를 내부에 설치한 제 2 압축공간(1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속에 따른 범퍼 이동 장치.
KR1019960038038A 1996-09-03 1996-09-03 차속에 따른 범퍼 이동장치 KR100189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8038A KR100189012B1 (ko) 1996-09-03 1996-09-03 차속에 따른 범퍼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8038A KR100189012B1 (ko) 1996-09-03 1996-09-03 차속에 따른 범퍼 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797A KR19980019797A (ko) 1998-06-25
KR100189012B1 true KR100189012B1 (ko) 1999-06-01

Family

ID=19472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8038A KR100189012B1 (ko) 1996-09-03 1996-09-03 차속에 따른 범퍼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90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3670B1 (ko) 2017-08-03 2018-10-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펜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3670B1 (ko) 2017-08-03 2018-10-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펜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797A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66467B2 (ja) 副次緩衝システム
KR0143419B1 (ko) 차량용 광학 높이 센서 및 레벨링 시스템
KR920007839B1 (ko) 차높이 조정장치
KR100189012B1 (ko) 차속에 따른 범퍼 이동장치
JP2001163054A (ja) 車両のフロントドア移動構造及び車両のドアガラス下降構造
EP1418072B1 (en) Guide system for guiding window glass of vehicle
CN112360258A (zh) 车门限位器
CN114893532B (zh) 一种带磁力弹簧的减震器
JPS58149814A (ja) 車高調整装置
CN210830290U (zh) 汽车气囊用减震器
KR910006988Y1 (ko) 자동차의 충돌충격 완충장치
KR0158129B1 (ko) 자동차의 충격 완화장치 및 그 방법
KR0159548B1 (ko) 크기가 조정되는 자동차용 선바이저
CN217396698U (zh) 张紧机构、履带行走装置及作业机械
CN220726952U (zh) 一种可调控阻力的减震气囊
CN220602904U (zh) 一种减震器阻尼及长度测量装置
CN218935143U (zh) 一种减振装置、泵组件以及新能源汽车
CN219487466U (zh) 转向结构及清洁机器人
JPH07285402A (ja) 移動装置の衝突緩和装置
KR200146540Y1 (ko) 레벨 러핑 크레인의 캐빈 진동 흡수 장치
KR100461371B1 (ko) 자동차 에어서스펜션의 에어리킹 방지구조
KR980008845A (ko) 자동차용 완충장치
KR200256440Y1 (ko) 차량용 의자의 완충높이 자동 조정장치
KR100191909B1 (ko) 자동차 조향축의 충격 흡수장치
KR100245214B1 (ko) 자동차의 감속도 감응형 에어 범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