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540Y1 - 레벨 러핑 크레인의 캐빈 진동 흡수 장치 - Google Patents

레벨 러핑 크레인의 캐빈 진동 흡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6540Y1
KR200146540Y1 KR2019970011543U KR19970011543U KR200146540Y1 KR 200146540 Y1 KR200146540 Y1 KR 200146540Y1 KR 2019970011543 U KR2019970011543 U KR 2019970011543U KR 19970011543 U KR19970011543 U KR 19970011543U KR 200146540 Y1 KR200146540 Y1 KR 2001465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
air spring
sliding frame
vibration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15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7030U (ko
Inventor
김해겸
Original Assignee
김형벽
현대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벽, 현대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형벽
Priority to KR20199700115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540Y1/ko
Publication of KR199800670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0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5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5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52Details of compartments for driving engines or motors or of operator's stands or cabins
    • B66C13/54Operator's stands or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레벨 러핑 크레인(LEVEL LUFFING CRANE)이 작동할 때 생기는 캐빈(CABIN: 운전실)의 진동을 흡수하여 운전 조건을 향상 시키도록 한 장치이다.
그 구성은 레벨 러핑크레인(1)의 고정프레임(2)에서 슬라이딩 프레임(3)이 슬라이딩 되고 슬라이딩 프레임(3)과 캐빈(4)가 연결된 것에 있어서 그 연결부위에 진동 흡수장치(5)를 설치하는 것이며 진동 흡수장치(5)는 캐빈(4)의 빔(6)과 슬라이딩 프레임(3)의 빔(7) 사이에 설치되는데 이는 에어스프링(8)과 쇼크 압소버(9) 이고 에어 스프링(8)은 높이조정밸브(10) 레귤레이터(11), 체크밸브(12)를 경유 컴프레셔(13)에 호스(14)로서 연결되어 있으며 에어 스프링(8)은 고무로 제작된 벨로우즈이며 상·하면에 금속판(9)(9')로 막혀있고 그 금속판에 설치용 구멍(15) 및 공기 주입구(16)이 설치되어 상기호스(14)에 배관되어 있다.

Description

레벨 러핑 크레인의 캐빈 진동 흡수 장치
본 고안은 레벨 러핑 크레인(LEVEL LUFFING CRANE)이 작동할 때 생기는 캐빈(CABIN : 운전실)의 진동을 흡수하여 운전 조건을 향상시키도록 한 장치이다.
크레인 작동시 캐빈이 설치된 슬라이딩 프레임의 전·후 운동, 하중 권상운동 및 갠트리(GANTRY) 주행운동 등으로 인하여 캐빈에 많은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진동은 운전 조건을 열악하게 하여 크레인 운전사의 운전 능력을 저하 시킨다.
따라서, 운전조건 향상을 위하여 캐빈의 진동을 최소화 할 필요성이 있다.
본 고안은 캐빈의 진동을 공기압으로 흡수하도록 고안되어 있다.
진동 흡수 시스템의 개략적인 설명을 하자면 슬라이딩 프레임에 설치된 에어 컴프레서에서 캐빈의 진동을 흡수할 정도의 압력이 캐빈이 프레임과 고정되는 부분에 조립된 에어 스프링으로 전달되어 캐빈을 지탱하게 되고 이 에어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캐빈 및 캐빈 프레임은 크레인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에어 스프링이 흡수하여 캐빈에는 전달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장시간 사용할 때 에어 스프링에서 공기가 손실될 경우 레벨링 밸브가 작동하여 에어 스프링이 항상 동일한 압력 및 위치를 유지하게 되는 것으로 완성되었다.
제1도는 캐빈이 설치된 위치를 표시한 레벨 러핑 크레인의 전체 조립도.
제2도는 캐빈과 슬라이딩 프레임(SLIDING FRAME)이 조립된 부분 조립도 및 상세도.
제3도는 캐빈 진동 흡수 장치의 플로우 챠트.
제4도는 캐빈 진동을 흡수하는 에어 스프링(AIR SPRING)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레벨 러핑 크레인 2 : 고정프레임
3 : 슬라이딩 프레임 4 : 캐빈
5 : 진동 흡수장치 6 : 빔
7 : 빔 8 : 에어 스프링
9 : 쇼크 압소버 9,9' : 금속판
10 : 높이조절밸브 11 : 레귤레이터
12 : 체크밸브 13 : 컴프레셔
14 : 호스 15 : 구멍
16 : 공기 주입구
제1도는 레벨 러핑 크레인의 전체 조립도로써 캐빈이 설치된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캐빈은 슬라이딩 프레임에 조립되어 하부의 고정 프레임 위를 모우터에 의한 구동장치로 전·후 운동하게 된다.
이러한 전·후 운동은 운전자의 시야를 넓혀서 작업 반경을 늘리기 위함이다.
제2도는 캐빈이 슬라이딩 프레임에 조립된 부분의 조립도 및 상세도이다.
캐빈은 빔(BEAM)에 조립되어 슬라이딩 프레임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프레임과 캐빈의 빔 사이에 진동을 흡수하는 에어 스프링이 위치한다.
제3도는 진동 흡수 장치 전체에 대한 간략한 프로우 차트이다.
콤프레서에서 나온 공기압은 호스를 따라 각종 밸브 및 레글레이터(REGULATOR)를 통과하고 에어 스프링에 전달된다.
제4도는 캐빈 진동을 흡수하는 에어 스프링의 외형 상세도이다.
에어 스프링은 고무로 제작된 벨로우즈(BELLOWS)인데 상·하면에 금속판으로 막혀 있고, 그 금속판에 설치용 구멍 및 공기 주입구가 있다.
벨로우즈의 크기 및 내부 공기압은 캐빈의 중량에 따라 변화하는데 그 값은 실험을 통하여 최적인 것으로 선정된다.
[실시예]
통상의 레벨 러핑크레인(1)의 고정프레임(2)에서 슬라이딩 프레임(3)이 슬라이딩되고 슬라이딩 프레임(3)과 캐빈(4)가 연결된 것에 있어서 그 연결부위에 진동 흡수장치(5)를 설치하는 것이며 진동 흡수장치(5)는 캐빈(4)의 빔(6)과 슬라이딩 프레임(3)의 빔(7) 사이에 설치되는데 이는 에어스프링(8)과 쇼크 압소버(9)이고 에어 스프링(8)은 높이조정밸브(10) 레귤레이터(11), 체크밸브(12)를 경유 컴프레셔(13)에 호스(1)로서 연결되어 있다
에어 스프링(3)은 고무로 제작된 벨로우즈이며 상·하면에 금속판(9)(9')로 박혀 있고 그 금속판에 설치용 구멍(15) 및 공기 주입구(16)이 설치되어 상기호스(14)에 배관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된 본 고안은 레벨 러핑크레인의 작업 중 슬라이딩 플레임이 고정 프레임 위를 진행 후회하여 캐빈에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진동 흡수장치인 에어 스프링과 쇼크 압소버가 진동을 흡수하여 주게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으로서 상당한 진동이 유발되는 레벨 레팅크헤인의 작업에 있어서 캐빈에 탑승하여 조종하는 운전자에게 진동을 감소시켜 안심하게 작업을 수행케 함으로서 작업의 능률과 정밀도는 물론 안전사고예방에 크게 기여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레벨 러핑크레인(1)의 고정프레임(2)에서 슬라이딩 프레임(3)이 슬라이딩 되고 슬라이딩 프레임(3)과 캐빈(4)가 연결된 것에 있어서, 그 연결부위에 진동 흡수장치(5)를 설치하는 것이며 진동 흡수장치(5)는 캐빈(4)의 빔(6)과 슬라이딩 프레임(3)의 빔(7) 사이에 설치되는데 이는 에어스프링(8)과 쇼크 압소버(9)이고 에어 스프링(8)은 높이조정밸브(10) 레귤레이터(11), 체크밸브(12)를 경유 컴프레셔(13)에 호스(14)로서 연결되어 있으며 에어 스프링(8)은 고무로 제작된 벨로우즈이며 상·하면에 금속판(9)(9')로 막혀있고 그 금속판에 설치용 구멍(15) 및 공기 주입구(16)이 설치되어 상기호스(14)에 배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러핑 크레인의 캐빈 진동 흡수 장치.
KR2019970011543U 1997-05-22 1997-05-22 레벨 러핑 크레인의 캐빈 진동 흡수 장치 KR2001465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543U KR200146540Y1 (ko) 1997-05-22 1997-05-22 레벨 러핑 크레인의 캐빈 진동 흡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543U KR200146540Y1 (ko) 1997-05-22 1997-05-22 레벨 러핑 크레인의 캐빈 진동 흡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030U KR19980067030U (ko) 1998-12-05
KR200146540Y1 true KR200146540Y1 (ko) 1999-06-15

Family

ID=19501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1543U KR200146540Y1 (ko) 1997-05-22 1997-05-22 레벨 러핑 크레인의 캐빈 진동 흡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54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030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41718B2 (ja) 建設機械運転室の荷重支持装置
KR20110062290A (ko) 진동 흡수장치와 운전자 보호구조물 하중 지지장치가 일원화된 건설장비
CA2384493C (en) Vehicle cab suspension system
US4509781A (en) Isolated bumper for damping vibrations in vehicles
KR100609051B1 (ko) 선박 엔진의 진동 감쇄용 유압 탑 브레이싱
KR200146540Y1 (ko) 레벨 러핑 크레인의 캐빈 진동 흡수 장치
KR20000060927A (ko) 자동차용 능동 현가장치
CN210860094U (zh) 排气管支撑组件及具有其的车辆
JPH11342752A (ja) 自動車用安全装置
CN103883663A (zh) 减振器、减振控制系统及汽车
KR20030040959A (ko) 차량용 공기 스프링
CN111232064A (zh) 一种驾驶室前悬置结构及汽车
KR100362709B1 (ko) 전자제어현가장치의ecu고장시제어방법
KR100251372B1 (ko) 쇼크업소버
KR970010361B1 (ko) 완충기
KR0174821B1 (ko) 충격흡수 기능이 보강된 쇽 업소바
KR20020045464A (ko) 체크 밸브 내장형 레벨링 밸브
KR200141639Y1 (ko) 엔진 마운팅
KR0175727B1 (ko) 공기스프링을 이용한 휠로우더의 완충장치
JPS6212105Y2 (ko)
KR100290384B1 (ko) 자동차용현가장치
KR100785933B1 (ko) 유기압 현수장치의 압력조절장치
JPS6238874Y2 (ko)
KR100245216B1 (ko) 자동차 에어콘디셔너의 콤프레서 진동방지장치
KR960003151Y1 (ko) 건설중장비의 운전실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2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