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9051B1 - 선박 엔진의 진동 감쇄용 유압 탑 브레이싱 - Google Patents

선박 엔진의 진동 감쇄용 유압 탑 브레이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9051B1
KR100609051B1 KR1020060059067A KR20060059067A KR100609051B1 KR 100609051 B1 KR100609051 B1 KR 100609051B1 KR 1020060059067 A KR1020060059067 A KR 1020060059067A KR 20060059067 A KR20060059067 A KR 20060059067A KR 100609051 B1 KR100609051 B1 KR 100609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engine
vibration damping
cylinder
pist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9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련
Original Assignee
김종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련 filed Critical 김종련
Priority to KR1020060059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90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05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0Mounting of propulsion plant or unit, e.g. for anti-vibration purposes
    • B63H21/305Mounting of propulsion plant or unit, e.g. for anti-vibration purposes with passive vibration d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엔진의 진동 감쇄용 유압 탑 브레이싱(top bracing)에 관한것으로, 선체 구조물에 일단(一端)이 결합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램(ram)과, 상기 램의 일단부(一端部)에 결합되는 제1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내벽과 상기 램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내부는 상기 제1 및 제2 피스톤에 의해 메인챔버(main chamber)와 보조챔버 및 에어챔버(air chamber)로 구획되고, 상기 메인챔버에 연결된 축압기(accumulator)와, 상기 제1 피스톤 내에 설치한 체크밸브(check valve)와, 상기 챔버에 유압과 공압을 보충하기 위한 충진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선박, 엔진, 진동, 브레이싱

Description

선박 엔진의 진동 감쇄용 유압 탑 브레이싱{Hydraulic top bracing for reducing the vibration from engine}
도 1은 종래기술의 브레이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브레이싱 장치의 반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탑 브레이싱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엔진에서 선체쪽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의 본 발명에 따른 탑 브레이싱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엔진에서 선체쪽으로 힘을 가하지 않는 경우의 본 발명에 따른 탑 브레이싱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211 : 용접패드(welding plate) 212 : 실린더
213 : 램(Ram) 214 : 제1 피스톤
215 : 제2 피스톤 216 : 실린더 커버
218 : 조절볼트 220 : 메인챔버(main chamber)
221 : 보조챔버 222 : 에어챔버(air chamber)
230 : 축압기(Accumulator) 231 : 체크밸브(check valve)
232 : 스로틀밸브(throttle valve) 233 : 릴리프밸브(relief valve)
234 : 더미플러그(dummy plug) 235 : 솔레노이드밸브
240 : 로크너트(lock nut)
241 : 트란스퍼 베리어(transfer barrier)
242 : 구면 베어링 243 : 베어링 커버
244 : 용접패드(welding plate)
본 발명은 선박 엔진의 진동 감쇄용 유압 탑 브레이싱(top bracing)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 엔진의 구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횡방향 진동을 흡수하고, 특히 공진시 발생하는 횡방향 진동의 진폭을 줄여서 선체(Hull)로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시키고, 필요시 특정 RPM에서 선체와 엔진의 공진이 발생했을 때는 탑 브레이싱을 차단시켜 선체에서 엔진쪽으로 전달되는 진동과 엔진에서 선체쪽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차단시키는 선박 엔진의 진동 감쇄용 유압 탑 브레이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선박에 사용되는 엔진은 출력이 크기 때문에 엔진에서 발생 하는 진동이 그대로 선체에 전달될 경우, 선체 진동이 증대되어 주변기기의 내구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엔진에도 무리가 가기 때문에 엔진의 진동을 흡수 상쇄시켜 선체에 전달되는 진동량을 줄이기 위하여 많은 브레이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사용되었던 브레이싱으로는 바타입(bar type)과 유압실린더타입이 있는데, 바타입은 엔진과 선체 사이에 바(bar)를 설치하여 바(bar)에 의하여 엔진과 선체를 유동성이 없는 상태로 단순히 구조물을 고정하고 있는 형태이다. 이런 구조로 인하여 엔진에서 발생하는 진동 흡수가 곤란하며, 엔진 진동에 의해 바(bar) 타입 탑 브레이싱의 용접면에 균열이 발생하기 쉽다는 단점이 있고, 유압실린더타입은 바타입에 비하여 충격에 대한 강도는 우수하지만, 충분한 진동 흡수력이 없고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나 유압 라인과 같은 많은 설비를 함께 갖추어야 하는 단점과, 장시간 사용시 연결부위에 누유(淚油)가 발생되기 쉽고, 실(seal) 및 웨어링(wear-ring)의 마모된 입자가 여과기(filter)를 막기 때문에 여과기를 수시로 청소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출현한 기술이 특허등록 제10-250789호와 같은 것이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브레이싱 장치는 선체에 고정되는 실린더(51)와, 이에 수용되는 피스톤(52) 및 엔진에 고정되는 조인터(54)로 구성되고, 실린더(51)는 내부에 삽입된 피스톤(52) 단부(端部)에 고 정되는 플랜지(56)와, 플랜지(56)와 실린더 커버(57) 사이에 위치한 보조피스톤(58)에 의하여 오일이 충진되는 메인챔버(59)와 보조챔버(60) 및 에어챔버(61)로 구획되며, 실린더(51) 내부에 구획되는 메인챔버(59)와 보조챔버(60)는 체크밸브(65)를 구비하여 엔진 진동을 실린더(51)로 전달하는 피스톤(52)의 압력을 분산시켜 흡수 상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52)의 중앙에는 플런져홈(70)을 형성하여 복원스프링(71)과 플런져(plunger, 72)를 삽입하고, 플런져홈(70)은 에어챔버(61)와 에어공(73)으로 도통시키도록 되어 있고, 보조피스톤(58)에는 조절볼트(74)를 실린더 커버(57)에 구비되는 조절너트(76)를 경유하여 이의 외방으로 돌출되도록 조절너트(76)에 의하여 보조피스톤(58)을 움직여 에어챔버(61)의 체적을 변화시켜 플런져(72)의 복원력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등록특허는 유·공압과 플런져 및 스프링에 의하여 진동과 충격력을 흡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첫째, 실린더 내에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힘 조절이 유효 적절하지 못하며, 둘째, 스프링의 잦은 신축, 복원에 의한 소음 및 파손의 우려가 있고, 셋째, 플런저내의 오일 압력이 높기 때문에 압력이 약한 에어챔버 쪽으로 누유현상이 발생되며, 넷째 차단막이 없기 때문에 엔진에서 힘이 전달되지 않는 경우에는 플런져 내부로 에어(air)가 유입되어 오일과 섞이게 되며, 다섯째, 메인챔버와 보조챔버 사이에 체크밸브가 설치되어 있어 한 방향으로만 오일이 이동하고 반대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만일 선체에서 공진이 발생하였을 때는 서로 간에 전달되는 진동을 차단 또는 줄여 주지 못 할 뿐만 아니라 더 큰 진동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이는 브레이싱의 주목적인 엔진보호 및 주변기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을 기대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 엔진의 구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횡방향 진동을 줄여주고, 특히 공진시 발생하는 횡방향 진동의 진폭을 줄여서 선체(Hull)로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시켜 주변기기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 RPM에서 선체와 엔진의 공진시에는 탑 브레이싱을 차단시키는 기능을 추가하여 선체에서 엔진쪽으로 전달되는 진동과 엔진에서 선체쪽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차단시켜 주는 선박 엔진의 진동 감쇄용 유압 탑 브레이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엔진의 진동 감쇄용 유압 탑 브레이싱은 선체 구조물에 일단(一端)이 결합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램(ram)과, 상기 램의 일단부(一端部)에 결합되는 제1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내벽과 상기 램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내부는 상기 제1 및 제2 피스톤에 의해 메인챔버(main chamber)와 보조챔버 및 에어챔버(air chamber)로 구획되고, 상기 메인챔버에 연결된 축압기(accumulator)와, 상기 제1 피스톤 내에 설치한 체크밸브(check valve)와, 상기 메인챔버와 보조챔버 및 에어챔버에 유압과 공압을 보충하기 위한 충진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챔버와 보조챔버 사이에 릴리프밸브(relief valve)와 솔레노이드밸브를 더 설치한 것을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에어챔버에 공급되는 에어를 차단시키고,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축압기에는 유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스로틀밸브(throttle valve)를 더 포함하는 것을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엔진의 진동 감쇄용 유압 탑 브레이싱에 관하여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탑 브레이싱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엔진에서 선체쪽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의 본 발명에 따른 탑 브레이싱의 작동관 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5는 엔진에서 선체쪽으로 힘을 가하지 않는 경우의 본 발명에 따른 탑 브레이싱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탑 브레이싱은 선체 구조물에 일단(一端)이 결합된 실린더(212)와, 상기 실린더(212)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램(ram, 213)과, 상기 램(213)의 일단부(一端部)에 결합되는 제1 피스톤(214)과, 상기 실린더(212)의 내벽과 상기 램(213)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피스톤(215)과, 상기 실린더(212) 밑면과 실린더 커버(216) 사이의 실린더 내부는 상기 제1 및 제2 피스톤(214, 215)에 의해 메인챔버(mqin chamber, 220)와 보조챔버(221) 및 에어챔버(air chamber, 222)로 구획되고, 상기 메인챔버(220)에 연결된 스로틀밸브(throttle valve, 232) 및 축압기(accumulator, 230)와 상기 제1 피스톤(214) 자체에 설치한 체크밸브(check valve, 231)와, 메인챔버(220)와 보조챔버(221) 및 에어챔버(222)에 유압과 공압을 보충하기 위한 충진밸브(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챔버(220)와 보조챔버(221) 사이에 릴리프밸브(relief valve, 233)가 설치되는데, 상기 릴리프밸브(233)는 설정된 일정 이상의 압력이 작용하게 되면 밸브가 열려서 압력을 낮춰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제1 피스톤(214) 자체에 설치된 체크밸브(231)는 오일(oil)이 한방향으로만, 즉 보조챔버(221)에서 메인챔버(220) 방향으로만 오일이 이동할 수 있게 작동된다.
또한 특정 진동값 이상이 선체와 엔진에서 발생되었을 때는 메인챔버(220)와 보조챔버(221) 사이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235)를 작동시켜 탑 브레이싱을 차단시킨다.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밸브(235)는 메인챔버(220)의 높은 압력을 보조챔버(221)로 바이패스시키는 역할을 한다.
미설명 부호 232는 축압기(230)의 유량을 미세하게 조절시키는 기능을 담당하는 스로틀밸브이며, 234는 릴리프밸브(233)의 뒤쪽에 설치되어 보조챔버(221) 내의 에어(air)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더미플러그(dummy plug)이다.
축압기(230) 내의 가스는 메인챔버(220)의 오일 압력이 높아지게 되면, 축압기(230) 내부의 체적이 줄어들면서 오일의 압력을 흡수하고, 반대로 메인챔버(220) 오일 압력이 떨어지게 되면, 오일의 체적이 줄어든 만큼 축압기(230) 내부의 체적이 늘어나 오일의 압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탑 브레이싱의 작동 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탑 브레이싱에 선체나 엔진으로부터 축압기(230)와 릴리프밸브(233)의 설정 압력보다 낮은 힘이 가해질 경우에는 메인챔버(220)의 유압이 증가하게 되고, 이 경우에는 축압기(230)가 상기 힘을 흡수하게 된다.
탑 브레이싱에 더 큰 힘이 가해지게 되면, 즉 릴리프밸브(233)에 설정된 압력보다 큰 힘이 가해지게 되면 릴리프밸브(233)가 열려서 메인챔버(220)에 있는 오일이 보조챔버(221)로 유입되고, 이와 같이 오일이 유입되는 동안 보조챔버(221)와 에어챔버(222)의 압력이 같아질 때까지 제2 피스톤(215)이 에어챔버(222) 쪽으로 후퇴하면서 에어챔버(222)가 이 힘을 흡수하게 된다.
역하중을 받는 경우, 즉 엔진이나 선체가 서로 멀어지는 경우에는 메인챔버(220)의 유압이 감소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에어챔버(222) 내부의 압축된 공기가 제2 피스톤(215)을 보조챔버(221) 쪽으로 밀어내고, 보조챔버(221) 내부의 오일이 메인챔버(220)와 보조챔버(221) 및 에어챔버(222)의 압력이 모두 같아질 때까지 제1 피스톤(214) 내에 설치된 체크밸브(231)를 통하여 메인챔버(220)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을 반복함으로써, 엔진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력을 흡수하여 상쇄시켜 엔진의 진동과 충격이 선체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아울러 엔진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 릴리프밸브(233)의 조절볼트(218)를 조절하여 릴리프밸브(233)의 압력을 적절한 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특정 RPM에서 선체에서 진동이 발생했을 때, 그 진동이 엔진에 전달되어 엔진에 무리를 주는 위험한 상황을 야기시키게 되므로, 이때 선체에서 발생한 진동을 엔진 쪽으로 전달되지 못하게 차단시켜 주어야 하는데, 이때의 작동 관계를 살펴보면, 에어챔버(222)로 공급되는 에어가 차단됨과 동시에, 메인챔버(220)와 보조챔버(221) 사이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235)가 작동하여 메인챔버(220)에 있는 오일이 빠지게 되고 보조챔버(221)의 오일이 증가하면서, 메인챔버(220)와 보조챔버(221) 및 에어챔버(222)의 압력이 같아질 때까지 제2 피스톤(215)이 에어챔버(222)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결과로 선체의 진동이 엔진 쪽으로 전달되지 않고 차단되어 엔진을 보호하게 된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특정 RPM을 감지하여 탑 브레이싱에 공급되는 에어를 차단시킴과 동시에 솔레노이드밸브(235)를 작동시켜주는 수단을 설치하여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엔진의 진동 감쇄용 유압 탑 브레이싱은 선박 엔진의 구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횡방향 진동을 흡수하고, 특히 공진시 발생하는 횡방향 진동의 진폭을 줄여서 선체(Hull)로 전달되는 진동을 차단시키거나 줄여주고, 특정 RPM에서 선체와 엔진에서 동시에 공진이 발생했을 때는 탑 브레이싱을 차단시켜서 선체에서 엔진쪽으로 전달되는 진동과 엔진에서 선체쪽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차단시킬 수 있다.

Claims (7)

  1. 선박의 엔진과 선체 사이에 설치되는 선박 엔진의 진동 감쇄용 유압 탑 브레이싱에 있어서, 상기 탑 브레이싱은
    선체 구조물에 일단(一端)이 결합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램(ram);
    상기 램의 일단부(一端部)에 결합되는 제1 피스톤;
    상기 실린더 내벽과 상기 램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피스톤;
    상기 실린더 내부는 상기 제1 및 제2 피스톤에 의해 메인챔버(main chamber)와 보조챔버 및 에어챔버(air chamber)로 구획되고,
    상기 메인챔버에 연결된 축압기(accumulator);
    상기 제1 피스톤 내에 설치한 체크밸브(check valve);
    상기 메인챔버와 보조챔버 및 에어챔버에 유압과 공압을 보충하기 위한 충진밸브;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엔진의 진동 감쇄용 유압 탑 브레이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보조챔버에서 메인챔버 방향으로만 오일이 이동할 수 있게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엔진의 진동 감쇄용 유압 탑 브레이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챔버와 보조챔버 사이에 릴리프밸브(relief valve)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엔진의 진동 감쇄용 유압 탑 브레이싱.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챔버와 보조챔버 사이에 솔레노이드밸브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엔진의 진동 감쇄용 유압 탑 브레이싱.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챔버에 공급되는 에어를 차단시키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엔진의 진동 감쇄용 유압 탑 브레이싱.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밸브에는 압력을 조절하는 조절볼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엔진의 진동 감쇄용 유압 탑 브레이싱.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압기에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스로틀밸브(throttle valve)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엔진의 진동 감쇄용 유압 탑 브레이싱.
KR1020060059067A 2006-06-29 2006-06-29 선박 엔진의 진동 감쇄용 유압 탑 브레이싱 Active KR100609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067A KR100609051B1 (ko) 2006-06-29 2006-06-29 선박 엔진의 진동 감쇄용 유압 탑 브레이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067A KR100609051B1 (ko) 2006-06-29 2006-06-29 선박 엔진의 진동 감쇄용 유압 탑 브레이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9051B1 true KR100609051B1 (ko) 2006-08-09

Family

ID=37185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9067A Active KR100609051B1 (ko) 2006-06-29 2006-06-29 선박 엔진의 진동 감쇄용 유압 탑 브레이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905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087B1 (ko) * 2008-10-07 2009-06-15 지씨테크(주) 선박 엔진의 진동 감쇄용 쌍방향 작동식 유압 탑 브레이싱
CN102826214A (zh) * 2012-09-04 2012-12-19 南通航海机械集团有限公司 独立式主机液压顶推支撑装置
KR101378844B1 (ko) * 2012-03-21 2014-03-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엔진의 탑 브레이싱 장치
KR20160092312A (ko) 2015-01-27 2016-08-04 (주)한미유압기계 낮은 강성값을 제공하는 유압식 탑브레이싱 장치
KR102185331B1 (ko) * 2019-06-17 2020-12-01 지씨테크(주) 선박 엔진의 횡방향 진동 감쇄를 위한 양방향 작동식 탑브레이싱
CN113371169A (zh) * 2021-07-12 2021-09-10 宁波捷茂船舶技术有限公司 一种船舶主机横撑加强结构及使用方法
KR102317658B1 (ko) * 2020-05-06 2021-10-26 금오기전 주식회사 설치 및 내부 수리가 용이하도록 선택 개방형 본체 하우징을 구비한 선박용 진동보상장치
KR102831147B1 (ko) * 2023-06-20 2025-07-09 주식회사 진원하이드로릭 선박 엔진의 탑 브레이싱 장치의 오류 검출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087B1 (ko) * 2008-10-07 2009-06-15 지씨테크(주) 선박 엔진의 진동 감쇄용 쌍방향 작동식 유압 탑 브레이싱
KR101378844B1 (ko) * 2012-03-21 2014-03-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엔진의 탑 브레이싱 장치
CN102826214A (zh) * 2012-09-04 2012-12-19 南通航海机械集团有限公司 独立式主机液压顶推支撑装置
KR20160092312A (ko) 2015-01-27 2016-08-04 (주)한미유압기계 낮은 강성값을 제공하는 유압식 탑브레이싱 장치
KR102185331B1 (ko) * 2019-06-17 2020-12-01 지씨테크(주) 선박 엔진의 횡방향 진동 감쇄를 위한 양방향 작동식 탑브레이싱
KR102317658B1 (ko) * 2020-05-06 2021-10-26 금오기전 주식회사 설치 및 내부 수리가 용이하도록 선택 개방형 본체 하우징을 구비한 선박용 진동보상장치
CN113371169A (zh) * 2021-07-12 2021-09-10 宁波捷茂船舶技术有限公司 一种船舶主机横撑加强结构及使用方法
KR102831147B1 (ko) * 2023-06-20 2025-07-09 주식회사 진원하이드로릭 선박 엔진의 탑 브레이싱 장치의 오류 검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3087B1 (ko) 선박 엔진의 진동 감쇄용 쌍방향 작동식 유압 탑 브레이싱
KR100609051B1 (ko) 선박 엔진의 진동 감쇄용 유압 탑 브레이싱
JP2585945B2 (ja) 燃料脈動圧緩衝バルブとこれを有する燃料供給系統
KR100428159B1 (ko) 차량의 보조브레이크
KR20090116010A (ko) 유압식 탑브레이싱 장치
CN210920340U (zh) 管道阻尼减振结构
KR101698793B1 (ko) 선박 엔진의 진동 감쇄용 온/오프 타입 유압 탑 브레이싱
KR102185331B1 (ko) 선박 엔진의 횡방향 진동 감쇄를 위한 양방향 작동식 탑브레이싱
CN111236160A (zh) 一种码头防护装置
KR101701150B1 (ko) 선박 엔진의 진동 감쇄용 하이/로우 타입 유압 탑 브레이싱
KR101801231B1 (ko) 선박엔진 및 선체진동 저감용 유압식 탑브레이싱 장치
KR101708627B1 (ko) 낮은 강성값을 제공하는 유압식 탑브레이싱 장치
CN103697007B (zh) 一种基于控制闭式系统的阀组
KR101835151B1 (ko) 선박 엔진용 고감쇠 톱 브레이싱의 축압기
KR20020001047A (ko) 수격 방지기
KR101874648B1 (ko) 선박 엔진용 고감쇠 톱 브레이싱 장치의 축압기
KR101784529B1 (ko) 선박 엔진용 고감쇠 톱 브레이싱의 간극형 축압기
CN102729884A (zh) 一种背罐车
KR100254850B1 (ko) 엔진 마운팅용 롤 스톱퍼
CN205401581U (zh) 液压式冲击隔离器
CN2480655Y (zh) 水锤缓冲装置
KR200236126Y1 (ko) 선박엔진 진동감쇄용 브레이싱 장치
KR102775030B1 (ko) 감쇄 기능 온오프 및 양방향 동압 운용이 가능한 선박용 더블 액팅 탑 브레이싱 장치
CN2344438Y (zh) 压力自补偿锁紧液压缸
CN211145200U (zh) 一种用于重型专项作业车的减震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7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7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0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2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2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2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2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20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15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