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988Y1 - 자동차의 충돌충격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충돌충격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988Y1
KR910006988Y1 KR2019890012707U KR890012707U KR910006988Y1 KR 910006988 Y1 KR910006988 Y1 KR 910006988Y1 KR 2019890012707 U KR2019890012707 U KR 2019890012707U KR 890012707 U KR890012707 U KR 890012707U KR 910006988 Y1 KR910006988 Y1 KR 9100069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fixed
vehicle
air
bu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27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4252U (ko
Inventor
김형준
Original Assignee
김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준 filed Critical 김형준
Priority to KR20198900127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6988Y1/ko
Publication of KR9100042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2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9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9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5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rear seat passe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충돌충격 완충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설치 및 작용상태를 요부도시한 일부절결 상태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절결 사시도.
제3도는 등받이 시트의 작동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 상태의 일부절결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이 작동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브럭도.
제5도는 범퍼에 장치된 감지스위치를 나타낸 요부절결 사시도.
제6도는 범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7도는 이동한 등받이 시트 배면의 공기주머니로 부터 공기가 이동되어 전면 시트의 배면에 공기주머니가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제8도는 공기 주머니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제9도는 전면시트 배면에 공기주머니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는 일부절결 상태의 배면부 단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박만스위치 2,2' : 유압실린더
3 : 피스톤브라켓 4 : 안내레일
6,6' : 안내로울러 7 : 피스톤
11 : 주머니벤드 14 : 공기주머니
15 : 연결덕트 26 : 고정덕트
27 : 뒷좌석공기주머니 A :차량
B : 앞범퍼 C : 뒷범퍼
E :앞좌석 F : 등받이시트
G :뒷좌석 H : 뒷등받이시트
I :스르링골조 K : 트렁크 실격판
본 고안은 자동차를 운행함에 있어 돌발적으로 발생하는 추돌사고로 부터 탑승자를 보호하는 목적으로 안출된 자동차의 충돌충격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이와같은 목적으로 국내실용신안(출원번호 제86-15784호)에 의해 알려진 것이 있으나, 상기의 구성은 전면시트가 후진작동 되도록 하였으므로 실제상황에서는 뒷좌석의 승객에서 더많은 피해를 주게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돌발적인 차량충돌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1차적으로 범퍼에서 흡수하고 2차적으로는 작동하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뒷좌석의 등받이시트를 후진작동되도록 하며, 3차 충격흡수는 뒷좌석 등받이 시트에 장치한 공기주머니로 부터 장입되어 있던 공기를 전면시트의 등받이시트에 장치한 공기주머니로 이동시켜 주게 하여 앞좌석의 승객과 뒷좌석의 승객모두를 교통사고로 부터 충격을 최소화시켜서 보호할 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A)의 앞범퍼(B)에 의 박만스위치(1)를 내장하고 로울러를 장착한 전방시트가 유압실린더(2)작동에 따라서 전후진될 수 있도록 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차실내의 앞좌석(E) 승객과 뒷좌석(G) 승객을 다같이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뒷좌석(G) 뒷등받이시트(H)가 후진이동하는 장치로서,먼저 첨부도면 제1,2,3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뒷등받이시트(H)의 스프링골저(I) 양측에 피스톤 브라켓(3)을 장치한다.
그리고 트렁크더(J) 양내측에는 안내레일(4)이 고정된 지지판(5)을 고정설치하며, 그 안내레일(4)의 안내를 받아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뒷등받이시트(H) 양단부 상,하에 안내로울러(6)(6')를 장착한다.
그리고, 트렁크 실격판(K) 양측에 구멍을 뚫어서 피스톤(7) 단부가 차실내로 향하도록 하여 뒷등받이시트(H)의 배면양측에 가진 피스톤 브라켓(3)에 각각 고정설치하고, 상기 피스톤(3)을 가진 유압실린더(2)(2')는 양측 귀퉁이 트렁크 바닥에 실린더브라켓(8)으로 고정시킨다.
이와같이 설치된 유압실린더(2)(2')는 첨부도면 제4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차량(A)의 앞범퍼(B)나 범퍼(C)가 타물체에 충격하는 동시에, 상기 앞,뒤범퍼(B)(C) 내부에 장치된 박막스위치(1)(1')이 접지에 따라 상기 설명한 유압실린더(2)(2')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이미 입력설치된 중앙처리장치(100)와 밸브(101), 그리고 유압펌프(102)를 장착하여 유압실린더(2)(2')와 연결되도록 회로와 유로를 연결한다.
또한, 이동된 뒷등받이시트(H)를 원위치시키기 위해서는 가변스위치(103)를 차실내의 운전석 부근에 설치하여 중앙처리장치(100)를 거쳐 밸브(101), 유압펌프(102), 유압실린더(2)(2')와 연결시킨다.
그리고, 뒷등받이시트(H)의 이동에 따라 앞좌석(E)의 등받이시트(F) 배면에 공기주머니(14)가 형성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첨부도면 제7,8,9,10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앞좌석(E)저면과 등받이시트(F) 배면에는 요홈을 형성하여 덕트설치부(9)와 주머니보관부(10), 그리고 양면 상부에는 주머니밴드(11)를 설치할 수 있고 고정시켜 둘 수 있도록 걸림편(13)을 가진 밴드설치부(12)를 형성하였다.
또한 차실바닥(D)에도 연결덕트 설치부(15)를 내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단면상 도면 제9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형상의 연결덕트 설치부(16)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앞좌석(E)의 상기 등받이시트(F)에는 재질의 경고가 높고 부드러운 재질로된 공기주머니(14)에 주머니밴드(11)를 접착 또는 열압착시켜서 형성하였으며, 그 주머니밴드(11) 양측은 걸림편(13)에 끼워질수 있도록 구멍(17)을 갖게하되, 일측으로 힘이 작용되면 터질 수 있도록 압결부(18)를 형성하여 주머니보관부(10)에 공기주머니(14)를 자바라식으로 접어지도록 삽입시켜서 주머니밴드(11) 양측의 구멍(17)을 걸림편(13)에 끼워 결합설치한다.
그리고 덕트설치부(9)에는 도면 제9도에서 잘 나타나 있는 바와같이 납작하게 형성한 덕트(19)를 설치하되, 상단은 공기주머니 입구(20)와 연결할 수 있는 내설턱(21)을 갖게하며, 하단부는 등받이시트(F)의 각도조절에 따라 유연성을 가질 수 있는 자바라(22)를 형성하여 연결덕트(15)와 결합하는 걸림턱(23)을 형성하고, 이와같이 된 덕트(19)의 배면 즉, 등받이시트(F)와 접하는 면에는 상당에 결속핀(도시없음)을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한 덕트(19)는 상단이 공기주머니 입구(20)에 결합되도록 하고, 결속핀이 시트구멍(24)에 끼워지도록 하여 덕트설치부(9)에 결합설치한다.
이와같이 앞좌석(E)의 양측 등받이시트(F)에 공기주머니(14)와 덕트(19)를 설치한 후에는, 그 앞좌석(E)과 차실바닥(D)의 덕트설치부(9)상에는 측면상단면형상으로 된 연결덕트(15)를 앞좌석(E)저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나사체결부(25)를 이용하여 앞좌석(E) 저면에 고정하고, 등받이 시트(F)의 덕트(19)와 결합설치한다.
또한, 상기 연결덕트(15) 일측으로는 앞좌석(E) 저면에 고정설치한 연결덕트(15) 단부에 고정덕트(18) 일단부가 끼워지도록 하여 차실바닥(D)에 설치하였으며, 그 타단부는 뒷자석(G)의 뒷등받이 시트(H) 배면에 설치하는 뒷좌석 공기주머니(27)의 저면배출구(28)에 끼워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뒷좌석(G)의 뒷등받이시트(H)에 고정하는 뒷좌석공기주머니(27)는 다음과 같이 설치되어 고정덕트(26)와 결합된다.
먼저, 뒷등받이시트(H) 양측에는 유압실린더(2)(2')의 피스톤(7)이 설치되고 안내로울러(6)(6')가 설치되므로, 그 양측의 피스톤(7) 내측 공간부에 알맞은 크기로 형성한 뒷좌석 공기주머니(27)를 설치하게 된다.
이와같은 뒷좌석 공기주머니(27)는 몸판 즉, 뒷등받이시트(H)에 고정하는 부분과 그 뒷면의 압축작용판(29)이 형성된 전체의 면은 합성수지제 또는 다른 재질의 견고성이 높은 판상으로 형성하며, 그 저면을 비롯한 양측과 상단은 압압하는 힘이 작용되면 자바라 형식으로 유동이 작용토록 부드러운 재질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압축작용판(29)에는 일측 상부에 일방통행밸브(도시없음)를 가진 공기주입관(30)이 콤프레셔(102)에 연결된 공기관(31)과 연결설치되며, 그 몸체 하부는 차실바닥(D)애 설치한 고정덕트(26) 단부와 연결설치할 수 있도록 배출부(27')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같이 된 뒷좌석(G)의 뒷등받이시트(H)와 뒷좌석 공기주머니(27)의 고정방법은 먼저, 도면 제3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은 뒷등받이시트(H)의 스프링골조(I)를 이용하여 넓은 판재(32)를 고정한 다음, 뒷좌석 공기주머니(27)가 부착될 수 있도록 밸크로테이프, 혹은 접착제를 바른다.
이렇게 한 후, 뒷좌석 공기주머니(27)의 일측면에도 밸크로 테이프를 갖게 하거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뒷등받이 시트(H)에 고정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50은 덕트보조덮판을 나타내고, 51은 차량의 우측 앞문짝을 표시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초에는 먼저 자동차의 시동을 건 다음, 에어공급스위치(104)를 온(ON)한다.
이와같은 에어공급 스위치(104)를 넣게되면, 그 전원이 중앙신호 처리장치(100)에 전달되어, 이미 입력한 회로를 따라 그 전원은 에어콤프레셔(105)를 작동시켜주게 된다.
이에 따라 생성된 에어는 일방통행밸브(106)를 통해서 뒷좌석 공기주머니(27)에 주입되고, 일정한 압력이 팽창되면 압력계기(107)에 팽창력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중앙처리신호 처리장치(100)로 다시 보낸다.
이에따라 신호를 감지한 중앙신호처리장치(100)에서는 그 신호를 받아 에어공급스위치(104)를 차단시켜주게되어 에어콤프레셔(105)의 작동을 중단시키게 된다.
따라서, 뒷좌석 공기주머니(27)의 공기가 누출되거나 다른 이유로 일정한 팽창력을 잃게되는 상태가 되면 압력계기(107)의 팽창력 감지선까지 원상회복 시킬 수 있도록 신호를 중앙신호처리장치(100)에 다시 보내게 되어, 에어콤프레셔(105)가 재차 작동되므로 인해 뒷좌석 공기주머니(27)에는 항시 일정한 양의 공기가 팽창주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차량(A)은 운행중에 있을 때 타차량을 받거나 혹은 타차량으로 부터 받치게 되면 범퍼(B) 박만스위치(1)가 접지된다.
이와같은 상황에 있을 때 부딪히는 대상물의 높고 낮은 상태에 따라서 범퍼(B)의 유동이 발생되는데, 이와같은 추돌사고에 있어, 대상물이 높은 경우에는 상단부에 힘이 작용되므로 인해 범퍼가 상향됨과 동시에 범퍼를 고정한 힌지볼트(33)를 중심축으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받침 범퍼가 상향될때 고정축(34) 내측 단부는 하향되면서 상,하의 일정한 텐숀을 유지하고 있던 스프링(35)(35')중 상부 스프링(35')은 늘어나는 상태가 되고 하부의 스프링(35)은 압축되는 상태가 되며, 추돌된 대상물이 제차와 분리된 상태에 오게되면 상,하스프링(35)(35')은 원래의 도면 제6도 상태가 된다.
이렇게 추돌된 상태에서는 범퍼가 밀리는 상태가 되므로 인해 범퍼(B)가 고정되록 한 연결편은 구부러짐과 동시에 고정축(34)이 접지판(37)을 타격하게 되어 단자(38)와 접지하게 되고, 이에따른 신호는 신호처리장치(100)로 보내지게 되며, 받은 신호는 동시에 밸브(101)를 개방시키게 하고, 유압펌프(102)를 작동시키며, 유압실린더(2)(2')를 작동시켜주게 되므로서, 뒷등받이시트(H)가 뒤로(트렁크방향)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뒷등받이 시트(H)가 이동되는 상태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추돌발생 시간으로 부터 뒷등받이시트(H)가 이동되기 까지는 거의 동시에 작동되며 이와같은 순간작용은 오일의 점성을 높게하여 가능케되는 것이며, 유압실린더(2)(2')가 작동될 때 피스톤(7)은, 최초에 유압실린더(2)(2')로 부터 바져 나와있는 상태에 있으나. 유압펌프(102)가 작동됨에 따라 뒷등받이시트(H)를 이동시킬 때는 오므려지는 상태의 작동이 되므로 뒷등받이시트(H)를 이동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동하는 뒷등받이시트(H)는 안내로울러(6)(6')가 일측에 두개씩 양측에 설치되어 있고 그 안내로울러(6)(6')는 안내레일(4)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피스톤(7)이 작용될 때 뒷등받이시트(H)가 용이하게 이동된다.
이와같이 뒷등받이시트(H)가 이동되는 동시에, 그 배면에 가진 뒷좌석 공기주머니(27)는 트렁크 실격판(K)과의 사이에서 압압되면서 내부의 공기는 고정덕트(26)와 연결덕트(15) 그리고 전면의 등받이 시트(F)에 연결된 덕트(19)를 통하여 공기주머니(14)에 주입되므로, 도면 제7도에서 가상선으로 예시한 바와같은 풍선형태의 공기 주머니(14)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의 공기주머니(14)가 형성되는 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뒷좌석(G)의 뒷등받이 시트(H)로 부터 이동된 공기가 전면 등받이시트(F)의 공기주머니(14)로 주입되는 시간은 거의 동시에 실시되며, 상기와 같이 공기주머니(14)가 형성되는 순간 덕트(19)는 덕트설치부(9)에서 분리되는 상태가 되며, 이와 동시에 즉 공기가 주입되어 공기주머니(14)를 팽창시켜주는 작용에 따라 주머니 밴드(11)의 압결부(18)는 순간적인 힘이 작용하게 되어 절결되면서 등받이시트(F)로 부터 분리되어 풍선형태의 공기주머니(14)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앞범퍼 또는 뒷범퍼에 충격이 발생하면 범퍼의 고정축이 충격높이 정도에 따라서 상 또는 하측으로 지점회동 하는 작용으로 인해 충격이 상쇄되고, 이와동시에 접속되는 박막스위치에 의해 동작되는 압축실린더가 뒷좌석을 트렁크 측으로 이동시킬때 가이드레일과 로울러의 구름마찰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어서, 앞좌석이 뒤로 밀려도 뒷좌석의 이동이 빠르게 이루어진 뒷좌석 이동과 함께 앞좌석의 배면에서 공기주머니가 형성되어 부딪침에 의한 충격이 공기주머니에서 다시 한번 상쇄되어 탑승자에게 충격이 가해진다해도 치명적인 정도가 아니므로 인명피해를 최대한 감소시킬 수가 있으며, 이러한 충격완충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작과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앞범퍼(B) 내부에 충격으로 접촉되는 박막스위치(1)를 설치하고, 유압실린더(2)에 의해 공기주머니를 가진 좌석이 이동하도록 구성한 자동차 완충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자동차의 트렁크실 격판(K) 양측에 구멍을 뚫어 형성하고, 상기 구멍으로 유압실린더(2)(2')와 안내레일(4)을 삽입하여 유압실린더(2)(2')의 몸체는 트렁크 바닥에 고정된 브라켓트(8)에 고정하며 피스톤(7)의 단부는 뒷자석의 등받이시트(H)의 골조(I)에 고정하고, 안내레일(4)은 트렁크홴더(J) 양측에 고정하여 이에 상기 뒷좌석의 등받이시트(H)의 안내로울러(6)갈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 앞범퍼(B)와 뒷범퍼(C) 내면에 설치된 고정축(34)을 차체후레임 선단에서 볼트(33)로 지점설치하고, 고정축 끝단 상하와 후레임 사이로 압축스프링(35)(35')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충돌충격 완충장치.
KR2019890012707U 1989-08-30 1989-08-30 자동차의 충돌충격 완충장치 KR9100069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2707U KR910006988Y1 (ko) 1989-08-30 1989-08-30 자동차의 충돌충격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2707U KR910006988Y1 (ko) 1989-08-30 1989-08-30 자동차의 충돌충격 완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252U KR910004252U (ko) 1991-03-18
KR910006988Y1 true KR910006988Y1 (ko) 1991-09-17

Family

ID=19289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2707U KR910006988Y1 (ko) 1989-08-30 1989-08-30 자동차의 충돌충격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698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062B1 (ko) * 2006-06-19 2008-01-31 지안-종 퐁 시트의 신속한 이동 및 경동을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252U (ko) 1991-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7594A (en) Vehicle door structure and armrest
CN101346255B (zh) 用于机动车的乘员约束装置
US4198075A (en) Safety installation in motor vehicles with a knee impact element
JP4295439B2 (ja) 衝撃センサーにより制御されるエネルギー−吸収素子を含んで成る安全緩衝装置
US5288104A (en) Buffering safe device in vehicles
US6463372B1 (en) Vehicle collision damage reduction system
US20020149187A1 (en) Soft-surface inflatable knee bolster airbag
US10421428B2 (en) Active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US6142521A (en) Vehicle crash protective system
US3617073A (en) Automobile safety system
US10974688B1 (en) Extendable bumpers for vehicles
JP2001206176A (ja) 車輌の乗員保護装置
US6877579B1 (en) Safety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JP4120079B2 (ja) 自動車の衝撃緩和構造
US5984355A (en) Steering column angle
US5623246A (en) Vehicle impact sensor arrangement for detecting a side impact
KR910006988Y1 (ko) 자동차의 충돌충격 완충장치
GB2560246A (en) Restraint system
US4089545A (en) Vehicle safety seating
US7503602B1 (en) Energy absorbing bumper
GB2394920A (en) Extendible safety device above a vehicle bumper
KR910006987Y1 (ko) 차량시트의 충격완충장치
Yaniv et al. Rollover ejection mitigation using an inflatable tubular structure (ITS)
GB2422581A (en) Collision resistance bumper
KR200171403Y1 (ko) 자동차의 보조범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9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