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8132B1 - 예정된 작업을 수행하는 디지탈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예정된 작업을 수행하는 디지탈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132B1
KR100188132B1 KR1019960064342A KR19960064342A KR100188132B1 KR 100188132 B1 KR100188132 B1 KR 100188132B1 KR 1019960064342 A KR1019960064342 A KR 1019960064342A KR 19960064342 A KR19960064342 A KR 19960064342A KR 100188132 B1 KR100188132 B1 KR 100188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bus
unit
hibernation
schedu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4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9303A (ko
Inventor
임재두
이창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970049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9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1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8Supervision thereof, e.g. detecting power-supply failure by out of limits supervi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09Monitoring remote activity, e.g. over telephone lines or network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18Suspend and resume; Hibernate and awa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Source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예정된 작업을 수행하는 디지탈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인터럽트 처리 루틴을 수행하는 메인 시스템과; 메인 시스템과 소자들을 접속시켜 정보를 전달시키는 버스와; 버스에 연결되어 시스템의 상태 정보를 저장한 시스템 메모리와; 외부 전원을 입력받아서 시스템으로 공급해주고, 정전시 외부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시스템이 동작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해 주는 전원 공급 수단과; 외부 변화를 감지하고 받아들여서 출력하는 기동 소스 수단과; 기동 소스 수단과 전원 공급 수단과 버스에 연결되어, 시스템이 하이버네이션 기능을 갖도록 제어하고, 하이버네이션 상태에서 기동 소스 수단으로부터 외부 변화 신호를 입력받아서 시스템이 예정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제어 수단과; 버스에 연결되어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 수단을 포함하며, 기동 소스로부터의 기동 요구를 감지하여 예정된 작업을 수행하고 다시 하이버네이션 상태로 들어가 대기하므로서 절전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예정된 작업을 수행하는 디지탈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이 발명은 예정된 작업을 수행하는 디지탈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전원 관리 기능을 가진 디지탈 컴퓨터 시스템이 기동(wake-up) 소스로부터의 기동 요구를 감지하여, 하이버네이션 상태에서 기동 소스에 해당되는 작업 환경으로 기동되어 예정된 작업이 수행되고 다시 하이버네이션 상태로 들어가 대기하는 예정된 작업을 수행하는 디지탈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시스템에서는 컴퓨터의 작동중에 정전이 발생되면 처리 중인 작업 환경이 유실되고 귀중한 데이타도 함께 유실된다.
그러나, 전원 관리 기능이 향상되고 시스템 관리라는 새로운 기술이 도입된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가 출현하므로서, 정전시 작업 환경을 저장시킨 후 전원이 다시 공급되면 작업 환경이 복구되도록 하고, 일정 시간 이상 컴퓨터가 사용되지 않는 상태로 방치되면 자동적으로 최소한의 필요 전원만을 남기고 나머지 전원 회로의 동작을 중지시켜 주므로서 절전을 기할 수 있게 되는 하이버네이션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발전되게 되었다.
여기에서 하이버네이션 시스템이란 상기한 바와 같이 두가지 기능이 포함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두가지 기능에 대하여 다시 요약하면, 하나는 컴퓨터 사용도중에 갑작스런 정전이나 실수로 인하여 전원이 차단될 때, 작업중이던 환경을 하드 디스크와 같은 보조 기억 장치에 저장한 뒤에, 전원이 다시 들어오게 되면 보조 기억 장치에 저장되어 있던 내용을 가지고 전원 차단전의 작업 환경으로 복구해주는 비상시 자동 복구 기능이고, 둘째로는 사용자가 컴퓨터를 가동시킨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사용하지 않을 때, 작업중이던 환경을 하드 디스크와 같은 보조 기억 장치에 저장하면서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한 뒤에, 사용자가 다시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보조 기억 장치에 저장되어 있던 내용을 가지고 전원 차단 전의 작업 환경으로 복구해주는 절전 기능이다.
상기한 비상시 자동 복구 기능이나 절전 기능에 관한 종래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95-40100호(출원일자: 서기 1995년 11월 7일)의 네트워크 하이버네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등이 있다.
종래에는, 상기한 하이버네이션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에 센서가 연결되고 그 센서에 의해 외부의 변화가 감지되면 작업이 수행되게 하거나, 또는 전화나 FAX등이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되어 그 전화나 FAX등을 통해서 작업이 수행되게 하거나, 또는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된 키보드등을 통해서 작업이 수행되게 하는 등, 컴퓨터 시스템과 주변 장치들이 이용되어 보안에 관련된 작업 또는 원거리에 있는 관리자에 의한 작업등이 기동되어 수행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보안등을 위해 설치된 센서에 의해 외부의 변화가 감지되어 작업이 수행되거나, 또는 전화나 FAX를 통해 원거리에 있는 관리자에 의해 작업이 수행되거나, 또는 키보드등의 주변 장치를 통해서 작업이 수행되기 위해서는, 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이 항상 정상 작동 상태로 대기되어 있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이버네이션 기능을 가진 디지탈 컴퓨터 시스템이 기동 소스로부터의 기동 요구를 감지하거나, 내부에 기동 예정된 시간이 되었을 때, 대기 상태에서 기동 소스에 해당되는 예정된 작업 환경으로 기동되어 예정된 작업을 수행하고 다시 대기 상태로 들어가 대기하는 예정된 작업을 수행하는 디지탈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정된 작업을 수행하는 디지탈 컴퓨터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정된 작업을 수행하는 디지탈 컴퓨터 시스템이 설치된 구성도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정된 작업을 수행하는 디지탈 컴퓨터 시스템의 예정에 따른 작업 수행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4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정된 작업을 수행하는 디지탈 컴퓨터 시스템에서 작업 예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메인 시스템부 30 : 시스템 메모리부
40 : 전원 공급부 50 : 기동 소스부
60 : 전원 제어부 70 : 저장 장치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은,
인터럽트 처리 루틴을 수행할 수 있는 메인 시스템과;
상기 메인 시스템과 각종 소자들을 상호 접속시켜 정보의 연결 통로를 제공하는 버스와;
상기 버스에 연결되어 하이버네이션 정보를 포함하여 시스템의 중요한 상태 정보가 저장되는 시스템 메모리와;
외부 전원을 입력받아서 시스템으로 공급해주고, 정전시 또는 사용자의 실수등으로 인해 외부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시스템이 동작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해 주는 전원 공급 수단과;
외부 변화를 감지하고 받아들여서 출력하는 기동 소스 수단과;
상기 기동 소스 수단과 상기 전원 공급 수단과 상기 버스에 연결되어, 시스템이 하이버네이션 기능을 갖도록 제어하고, 하이버네이션 상태에서 상기 기동 소스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외부 변화 신호를 입력받거나 타이머에 설정되어 있는 시간이 되면 시스템이 예정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제어 수단과;
상기 버스에 연결되어 상기 시스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상기 메인 시스템의 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다른 구성은,
타이머에 설정되어 있는 시간이 되었을 때 발생되는 기동 요구 또는 외부 소스로부터 발생되는 기동 요구를 입력받는 단계와;
시스템이 정상 동작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와;
하이버네이션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하이버네이션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및 작업 환경을 복구시키는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하이버네이션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시스템을 초기화시키고 POST(Power On Self Test)를 수행시키는 단계와;
데이터 및 작업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와;
예정된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와;
하이버네이션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데이타 및 작업 환경을 저장시키는 단계와;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와;
하이버네이션 상태로 들어가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또 다른 구성은,
예정 작업을 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예정 작업을 할 것으로 판단되면 타이머(timer)에 의해 컴퓨터 시스템을 기동시킬 것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타이머에 의해 컴퓨터 시스템을 기동시킬 것으로 판단되면 타이머를 기동 예정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타이머에 의해 컴퓨터 시스템을 기동시키는 것이 아니면 외부 기동 소스로부터의 기동 요구에 의해 컴퓨터 시스템이 기동될 수 있도록 외부 기동 소스로부터의 기동 요구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와;
컴퓨터 시스템이 기동된 후 수행될 작업을 설정하는 단계와;
하이버네이션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하이버네이션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데이터 및 작업 환경을 저장하는 단계와;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와;
상기 전원 차단 단계후 또는 하이버네이션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대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정된 작업을 수행하는 디지탈 컴퓨터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정된 작업을 수행하는 디지탈 컴퓨터 시스템은 인터럽트 처리 루틴을 수행할 수 있는 메인 시스템부(10)와; 메인 시스템부(10)와 각종 소자들을 상호 접속시켜 각 소자들 사이에 정보를 전달시키는 버스(20)와; 버스(20)에 연결되고 하이버네이션 정보를 포함하여 시스템의 중요한 상태 정보가 저장되는 시스템 메모리부(30)와; 외부 전원을 입력받아서 시스템으로 공급해주고, 정전시 또는 사용자의 실수등으로 인해 외부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시스템이 동작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해 주는 전원 공급부(40)와; 외부 변화를 감지하고 받아들여서 출력하고, 버스(20)에 연결되어 메인 시스템부(10)가 외부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하는 기동 소스부(50)와; 기동 소스부(50)와 전원 공급부(40)와 버스(20)에 연결되어, 시스템이 하이버네이션 기능을 갖도록 제어하고, 하이버네이션 상태에서 기동 소스부(50)로부터 출력된 외부 변화 신호를 입력받거나 타이머에 설정되어 있는 시간이 될 때 시스템이 예정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제어부(60)와, 버스(20)에 연결되어 시스템 메모리부(30)의 정보와 메인 시스템부(10)의 정보를 포함하여 각종 데이타가 저장되는 저장 장치부(70)로 이루어진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동 소스부(50)는 보안등을 위해 설치된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센서를 통해 외부 변화가 감지되면 기동 요구 신호를 출력시키는 센서부(52)와, 통신망(56)에 연결되어 있는 전화나 FAX를 통해 원거리에 있는 관리자의 명령을 입력받아서 기동 요구 신호를 출력시키고, 버스(20)에 연결되어 메인 시스템부(10)가 관리자에게 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해주는 통신 제어부(54)로 이루어진다.
또한, 전원 공급부(40)는 외부 전원을 입력받아서 시스템으로 공급해 주는 주전원부(42)와, 정전이나 사용자의 실수에 의하여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에 밧데리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백업 전원부(4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 제어부(60)는 예정된 작업이 저장되는 예정 작업 저장부(68)와, 기동 소스부(50)에 의해 외부의 변화가 입력되면 시스템을 기동시키기 위해 해당 기동 요구 신호를 출력하는 기동 소스 인터페이스부(62)와, 주전원부(42)와 백업 전원부(44)에 연결되어 상호 제어하는 전원 인터페이스부(64)와, 버스(20)와 기동 소스 인터페이스부(62)와 전원 인터페이스부(64)에 연결되어 일정 시간동안 시스템 사용이 없는 경우에 버스(20)를 통하여 메인 시스템부(10)로 해당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하고 전원 인터페이스부(64)를 제어하여 시스템이 하이버네이션 상태가 되도록 하며 또한 기동 소스 인터페이스부(62)로부터 기동 요구 신호가 입력되거나 타이머에 설정되어 있는 시간이 되면 전원 인터페이스부(64)를 제어하여 시스템에 전원 공급이 되도록 하고, 예정 작업 저장부(68)에 저장되어 있는 예정된 작업이 메인 시스템부(10)에 의해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부(66)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기동 소스 인터페이스부(62)는 센서부(52)나 통신 제어부(54)로부터 출력되는 기동 요구를 허용하거나 금지시킬 수 있는 레지스터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타이머는 제어부(66)에 포함되어 있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정된 작업을 수행하는 디지탈 컴퓨터 시스템이 설치된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정된 작업을 수행하는 디지탈 컴퓨터 시스템은, 외부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센서와 원거리의 관리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전화선등에 연결되어 설치되므로서 예정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정된 작업을 수행하는 디지탈 컴퓨터 시스템의 예정에 따른 작업 수행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정된 작업을 수행하는 디지탈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제어부(66) 내의 타이머에 설정되어 있는 시간이 될 때 발생되는 기동 요구 또는 기동 소스부(50)로부터 출력되는 기동 요구를 입력받는 단계(S1)와; 전원 제어부(60)가 전원 공급부(40)를 기동시켜 시스템이 정상 동작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S2)와; 메인 시스템부(10)가 하이버네이션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가를 알기 위해 하이버네이션 모드 플래그를 검사하는 단계(S3)와; 상기 단계(S3)에서 하이버네이션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저장 장치부(7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및 작업 환경을 복구시키는 단계(S4)와; 상기 단계(S3)에서 하이버네이션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컴퓨터 시스템을 초기화시키고 POST를 수행시키는 단계(S5)와; 데이터 및 작업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S6)와; 시스템을 기동시킨 기동 소스에 해당되는 전화 번호를 찾아서 통신 제어부를 통해 전화를 거는 단계(S7)와; 전화 번호에 해당되는 저장 메세지를 송신하는 단계(S8)와;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발신하는 단계(S9)와; 하이버네이션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10)와; 상기 단계(S10)에서 하이버네이션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데이터 및 작업 환경을 저장 장치부(70)에 저장시키는 단계(S11)와;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S12)와; 하이버네이션 상태로 들어가는 단계(S13)를 포함한다.
도 4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정된 작업을 수행하는 디지탈 컴퓨터 시스템에서 작업 예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예정된 작업을 수행하는 디지탈 컴퓨터 시스템에서 예정 작업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일반적인 작업을 하는 단계(S20)와; 컴퓨터 시스템을 기동시키기 위한 예정 작업을 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21)와; 상기 판단 단계(S21)에서 예정 작업을 할 것으로 판단되면 타이머에 의해 컴퓨터 시스템을 기동시킬 것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22)와; 상기 판단 단계(S22)에서 타이머에 의해 컴퓨터 시스템을 기동시킬 것으로 판단되면 타이머를 기동 예정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S23)와; 상기 판단 단계(S22)에서 타이머에 의해 컴퓨터 시스템을 기동시키는 것이 아니면 기동 소스부(50)로부터의 기동 요구에 의해 컴퓨터 시스템이 기동될 수 있도록 기동 소스부(50)로부터의 기동 요구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S24)와; 컴퓨터 시스템이 기동된 후 수행될 작업을 예정 작업 저장부(68)에 저장되어 있는 작업 중에서 설정하는 단계(S25)와; 하이버네이션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26)와; 하이버네이션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데이터 및 작업 환경을 저장하는 단계(S27)와;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S28)와; 대기하는 단계(S29)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정된 작업을 수행하는 디지탈 컴퓨터 시스템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컴퓨터 시스템의 관리자는 일반적인 작업을 수행 도중 또는 수행 후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전(S20)에 예정 작업을 할 것인가를 결정하여야 한다(S21).
만약 예정 작업을 하지 않기로 결정하면 일반적인 작업을 계속 수행하던지 아니면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을 그냥 오프시키면 된다.
예정 작업을 하기로 결정하면 예정된 작업을 후에 타이머로 기동시킬 것인지 아니면 다른 외부 기동 소스로 기동시킬 것인가를 결정하여야 한다(S22).
만약 제어부(66)에 포함되어 있는 타이머로 예정된 작업을 기동시키기로 결정되면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예정된 작업이 기동될 시간을 타이머에 설정한다(S23).
만약 타이머가 아닌 외부 기동 소스로 예정된 작업을 기동시키기로 결정되면 기동소스 인터페이스부(62) 내에 있는 레지스터를 이네이블(enable)시켜 외부 기동 소스로부터의 기동 요구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S24). 즉, 센서부(52)에 의해 외부의 변화가 감지되거나, 통신망(56)에 연결되어 있는 통신 제어부(54)를 통해 원거리에 있는 관리자로부터 명령이 입력될 경우 기동소스 인터페이스(62)로 이러한 변화가 입력될 수 있도록 기동소스 인터페이스(62) 내에 있는 관련 레지스터를 이네이블시킨다.
그리고, 컴퓨터 시스템이 기동 소스에 의해 기동된 후 수행할 작업을 설정하는데, 이 작업은 예정 작업 저장부(68)에 저장되어 있는 작업들 중에서 선택하여 설정함으로써 작업을 예정하게 된다(S25).
상기와 같이 예정된 작업을 기동시키는 기동 소스를 설정한 다음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을 오프시키는데, 이 때 메인 시스템부(10)는 시스템 메모리(30)에 저장되어 있는 플래그(flag)를 검사하여 하이버네이션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가를 판단한다(S26).
상기 판단 결과 하이버네이션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메인 시스템부(10)는 컴퓨터 시스템의 작업 환경 및 데이터를 저장 장치부(70)에 저장시키고(S27), 전원 제어부(60)로 전원 차단 신호를 출력한다(S28).
상기 판단 결과 하이버네이션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와 같은 저장 작업없이 전원 제어부(60)로 전원 차단 신호를 출력한다(S28).
상기 출력된 전원 차단 신호는 전원 제어부(60)의 제어부(66)를 통해 전원 인터페이스부(64)로 입력되고, 전원 인터페이스부(64)는 상기 전원 차단 신호를 전원 공급부(40)의 주전원부(42)와 백업 전원부(44)로 출력한다(S28).
주전원부(42)와 백업 전원부(44)는 상기 전원 차단 신호를 입력받아서 전원 공급을 차단시킴으로서(S28), 시스템은 하이버네이션 상태로 들어가서(S12) 기동 소스로부터 기동 요구가 발생되기를 기다린다(S29).
다음은 상기와 같이 예정 작업에 의해 예정된 작업이 기동 소스의 기동 요구에 의해 기동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기동 소스로는 두 종류를 들 수가 있다.
하나는 제어부(66)내에 포함되어 있는 타이머로 시스템이 기동될 시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시간이 될 때 기동 요구 신호를 발생한다.
둘째로는 기동 소스부(50)내의 센서부(52)에 의해 외부의 변화가 감지되거나, 통신 제어부(54)를 통해 원거리에 있는 관리자로부터 명령이 입력될 때 기동 요구 신호를 발생하는 기동 소스부(50)이다.
이 기동 요구는 기동 소스 인터페이스부(62)내에 있는 레지스터가 이네이블되어 있으면 전원 제어부(60)로 입력된다.
이와 같이 두 종류의 기동 소스로부터 기동 요구가 발생되어 제어부(66)로 입력된다(S1).
이러한 기동 요구를 입력받은 제어부(66)는 전원 인터페이스부(64)로 전원 공급 요구 신호를 출력한다(S2).
상기 전원 공급 요구 신호를 입력받은 전원 인터페이스부(64)는 전원 공급 신호를 전원 공급부(40)의 주전원부(42)로 출력하고, 주전원부(42)는 시스템이 정상 작동되도록 전원을 공급한다(S2).
상기와 같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시스템부(10)는 시스템 메모리(30)에 저장되어 있는 플래그(flag)를 체크하여 하이버네이션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가를 판단한다(S3).
상기 판단 결과 하이버네이션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메인 시스템부(10)는 저장 장치부(7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 및 작업 환경을 복구시킨다(S4).
그러나, 상기 판단 결과 하이버네이션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시스템을 초기화시키고 POST(Power On Self Test)를 수행시킨 후(S5), 저장 장치부(7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 및 작업 환경을 새로 설정한다(S6).
다음, 메인 시스템(10)은 예정 작업 저장부(68)에 저장되어 있는 예정된 작업을 수행시킨다(S7 ∼ S9).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예정된 작업은 다음과 같다.
메인 시스템부(10)는 이미 저장되어 있는 전화 번호중에서 시스템을 기동시킨 소스에 해당되는 전화 번호를 선택하고 버스(20)에 연결되어 있는 기동 소스부(50)의 통신 제어부(54)를 통해 전화를 건다(S7).
상기 전화 번호에 해당되는 상대방과 연결되면 메인 시스템부(10)는 이미 작성되어 저장되어 있는 메세지를 전화선을 통해 송신한다(S8).
그리고, 버스에 연결되어 있는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발신한다(S9).
상기와 같이 예정된 작업 수행이 완료되면 메인 시스템부(10)는 다시 시스템 메모리(30)에 저장되어 있는 플래그를 체크하여 하이버네이션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가를 판단한다(S10).
상기 판단 결과, 하이버네이션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데이타 및 작업 환경을 저장 장치부(70)에 저장시키고(S11), 전원 제어부(60)로 전원 차단 신호를 출력한다(S12).
상기 판단 결과 하이버네이션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와 같은 저장 작업없이 전원 제어부(60)로 전원 차단 신호를 출력한다(S12).
상기 출력된 전원 차단 신호는 전원 제어부(60)의 제어부(66)를 통해 전원 인터페이스부(64)로 입력되고, 전원 인터페이스부(64)는 상기 전원 차단 신호를 전원 공급부(40)의 주전원부(42)와 백업 전원부(44)로 출력한다(S12).
주전원부(42)와 백업 전원부(44)는 상기 전원 차단 신호를 입력받아서 전원 공급을 차단시킴으로써(S12), 시스템은 하이버네이션 상태로 들어간다(S13).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이버네이션 기능을 가진 디지탈 컴퓨터 시스템이 기동 소스로부터의 기동 요구를 감지하여, 하이버네이션 상태에서 기동 소스에 해당되는 작업 환경으로 기동되어 예정된 작업이 수행되고 다시 하이버네이션 상태로 들어가 대기하므로서 절전 효과를 가진 예정된 작업을 수행하는 디지탈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인터럽트 처리 루틴을 수행할 수 있는 메인 시스템과;
    상기 메인 시스템과 각종 소자들을 상호 접속시켜 정보의 연결 통로를 제공하는 버스와;
    상기 버스에 연결되어 하이버네이션 정보를 포함하여 시스템의 중요한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시스템 메모리와;
    외부 전원을 입력받아서 상기 버스로 공급해주고, 정전시 또는 사용자의 실수등으로 인해 외부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일정 시간동안 전원을 공급해 주는 전원 공급 수단과;
    외부 변화를 감지하고 받아들여서 출력하는 기동 소스 수단과;
    상기 기동 소스 수단과 상기 전원 공급 수단과 상기 버스에 연결되어, 시스템이 하이버네이션 기능을 갖도록 제어하고, 하이버네이션 상태에서 상기 기동 소스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외부 변화 신호를 입력받거나 타이머에 설정되어 있는 시간이 되면 시스템이 예정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제어 수단과;
    상기 버스에 연결되어 상기 시스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상기 메인 시스템의 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정된 작업을 수행하는 디지탈 컴퓨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기동 소스 수단은, 보안등을 위해 설치된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센서를 통해 외부 변화가 감지되면 기동 요구 신호를 출력시키는 센서부와,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는 전화나 FAX를 통해 원거리에 있는 관리자의 명령을 입력받아서 기동 요구 신호를 출력시키고, 상기 버스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시스템이 관리자에게 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해주는 통신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정된 작업을 수행하는 디지탈 컴퓨터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전원 제어 수단은, 상기 기동 소스 수단에 의해 외부의 변화가 입력되면 상기 시스템을 기동시키기 위해 해당 기동 요구 신호를 출력하는 기동 소스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주전원부와 상기 백업 전원부에 연결되어 상호 제어하는 전원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버스와 상기 기동 소스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전원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어, 일정 시간동안 시스템 사용이 없는 경우에 상기 버스를 통하여 상기 메인 시스템으로 해당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전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여 상기 시스템이 하이버네이션 상태가 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기동 소스 인터페이스부로부터 기동 요구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여 시스템에 전원 공급이 되도록 하고, 예정 작업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예정된 작업이 상기 메인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정된 작업을 수행하는 디지탈 컴퓨터 시스템.
  4. 타이머에 설정되어 있는 시간이 되었을 때 발생되는 기동 요구 또는 외부 소스로부터 발생되는 기동 요구를 입력받는 단계와;
    시스템이 정상 동작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와;
    하이버네이션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하이버네이션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및 작업 환경을 복구시키는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하이버네이션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시스템을 초기화시키고 POST를 수행시키는 단계와;
    데이터 및 작업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와;
    예정된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와;
    하이버네이션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데이타 및 작업 환경을 저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와;
    하이버네이션 상태로 들어가는 단계를 포함하는 예정된 작업을 수행하는 디지탈 컴퓨터 시스템.
  5. 예정 작업을 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예정 작업을 할 것으로 판단되면 타이머에 의해 시스템을 기동시킬 것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타이머에 의해 시스템을 기동시킬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타이머를 기동 예정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타이머에 의해 상기 시스템을 기동시키는 것이 아니면 외부 기동 소스로부터의 기동 요구에 의해 상기 시스템이 기동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기동 소스로부터의 기동 요구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시스템이 기동된 후 수행할 작업을 설정하는 단계와;
    하이버네이션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하이버네이션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데이터 및 작업 환경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와;
    하이버네이션 상태로 들어가는 단계를 포함하는 예정된 작업을 수행하는 디지탈 컴퓨터 시스템.
KR1019960064342A 1995-12-05 1996-12-11 예정된 작업을 수행하는 디지탈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1881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50046725 1995-12-05
KR95-46725 1995-12-05
JP95-322052 1995-12-11
KR95-62479 1995-12-28
KR19950062479 1995-12-28
KR95-066715 1995-12-29
KR101995066715 1995-12-29
KR1019960054691A KR100234423B1 (ko) 1995-12-05 1996-11-16 컴퓨터 주변기기의 전원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9303A KR970049303A (ko) 1997-07-29
KR100188132B1 true KR100188132B1 (ko) 1999-06-01

Family

ID=2734925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4691A KR100234423B1 (ko) 1995-12-05 1996-11-16 컴퓨터 주변기기의 전원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9960064342A KR100188132B1 (ko) 1995-12-05 1996-12-11 예정된 작업을 수행하는 디지탈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4691A KR100234423B1 (ko) 1995-12-05 1996-11-16 컴퓨터 주변기기의 전원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961647A (ko)
JP (1) JPH09185435A (ko)
KR (2) KR1002344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27819A (en) * 1997-07-31 1999-02-03 Neutral Ltd Power controller for a computer peripheral
JP3946330B2 (ja) * 1997-12-19 2007-07-18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ータ処理システム
KR100598412B1 (ko) * 1999-08-31 2006-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원절전장치 및 전원절전방법
US6338739B1 (en) * 1999-12-22 2002-01-15 Ethicon, Inc. Biodegradable stent
KR100413686B1 (ko) * 2001-07-14 200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의 절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6928561B2 (en) * 2002-02-14 2005-08-09 Dell Usa, L.P.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ower supply dual remote sense
US6922644B2 (en) * 2002-04-11 2005-07-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fire causing card shorts
US7000127B2 (en) * 2002-04-30 2006-02-14 Dell Products L.P. Power saving circuit for display system
KR100561158B1 (ko) * 2002-06-25 2006-03-15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디스플레이장치 및 절전 제어장치
KR100467594B1 (ko) * 2002-07-23 2005-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 상의 파워 서플라이 제어방법 및 장치
US7664975B2 (en) * 2002-10-31 2010-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monitor
GB2401494A (en) * 2003-05-09 2004-11-10 Stephen Keith Nelson Peripheral power supply control device
JP2005049651A (ja) * 2003-07-29 2005-02-24 Iiyama Corp 表示装置
KR100678947B1 (ko) * 2004-12-06 2007-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의 전원 관리 방법 및 모니터의 전원 관리를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
CN1920749B (zh) * 2005-08-23 2010-05-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节电电子装置及其节电方法
KR100790035B1 (ko) * 2005-08-31 2008-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TW200743368A (en) * 2006-05-10 2007-11-16 Benq Corp Automatic display power up method and display using the same
CN101206517B (zh) * 2006-12-22 2011-06-22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电脑
DE202007018449U1 (de) * 2007-11-02 2008-10-02 Fujitsu Siemens Computers Gmbh Elektronisches Gerät, Computer und Anordnung
CN101557159B (zh) * 2008-04-11 2012-05-30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用以减少电源损耗的电源转换电路及其所适用的电子装置
KR101565616B1 (ko) * 2009-05-25 2015-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절전 방법
WO2010151248A1 (en) * 2009-06-23 2010-12-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wer distribution to computer systems
KR101175674B1 (ko) * 2010-01-12 2012-08-22 김창호 컴퓨터 주변기기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
US9015509B2 (en) * 2011-02-07 2015-04-21 Silicon Image, Inc. Mechanism for low power standby mode control circuit
KR101482497B1 (ko) * 2014-04-21 2015-01-13 김창호 컴퓨터 주변기기의 대기전력차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9540A (en) * 1990-07-23 1994-10-25 Hugo Ortiz Computer assisted electric power management
JPH05204497A (ja) * 1991-12-13 1993-08-13 Nec Corp 電源のオンオフを遠隔制御される周辺装置
US5389952A (en) * 1992-12-02 1995-02-14 Cordata Inc. Low-power-consumption monitor standby system
US5335168A (en) * 1993-01-13 1994-08-02 Compaq Computer Corporation Computer system with power-down mode for monitor
US5375245A (en) * 1993-02-22 1994-12-20 Tandberg Data A/S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a CRT computer monitor
KR950005216B1 (ko) * 1993-03-31 1995-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 주변장치의 전원절약장치
US5603040A (en) * 1993-12-09 1997-02-11 Dell Usa, L.P. Power management control unit for a computer peripheral
US5481732A (en) * 1993-12-14 1996-01-02 Shahbazi; Horyeh D. CRT monitor power control unit
JPH08101657A (ja) * 1994-09-30 1996-04-16 Toshiba Corp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そのシステムにおけるcrtディスプレイの消費電力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4423B1 (ko) 1999-12-15
KR970049303A (ko) 1997-07-29
KR970049302A (ko) 1997-07-29
JPH09185435A (ja) 1997-07-15
US5961647A (en) 199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8132B1 (ko) 예정된 작업을 수행하는 디지탈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597455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a scheduled operation after wake up from power off state
KR0172003B1 (ko)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0156802B1 (ko) 네트워크 하이버네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0174483B1 (ko) 키신호 입력에 의한 작업 복구가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281535B1 (ko)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0262924B1 (ko) 전력관리기능을갖는정보처리시스템
JPH03171310A (ja)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US7116432B2 (en) Power control for a printing unit with a maintenance function
KR19980074058A (ko) 전원 자동차단기능을 갖는 컴퓨터 및 그 전원자동차단방법
JPH11143567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情報保護方法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情報処理装置
JP3597385B2 (ja) 通信システムと通信回線接続装置
JPH06230845A (ja) レジューム方式
JPH11161381A (ja) 電力モード通知装置および電力モード報知装置並びに該報知装置が利用す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憶媒体
JP3283754B2 (ja) 電源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ファクシミリ装置
KR100212196B1 (ko) 셀룰라폰의 소비전원절감회로 및 그 방법
KR100225985B1 (ko) 컴퓨터의 전력 소모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3861616B2 (ja) 携帯端末の電源管理装置
JPH09130512A (ja) ファクシミリ受信装置
JPS63138412A (ja) 無停電電源装置
JP2001186292A (ja) 画像通信装置
KR19990039674U (ko) 파워록킹장치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JPH10187293A (ja) 電源制御装置
JPH0667758A (ja) 計算機システムの電源供給制御装置
JPH09114547A (ja) 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