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8947B1 - 모니터의 전원 관리 방법 및 모니터의 전원 관리를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전원 관리 방법 및 모니터의 전원 관리를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947B1
KR100678947B1 KR1020040101736A KR20040101736A KR100678947B1 KR 100678947 B1 KR100678947 B1 KR 100678947B1 KR 1020040101736 A KR1020040101736 A KR 1020040101736A KR 20040101736 A KR20040101736 A KR 20040101736A KR 100678947 B1 KR100678947 B1 KR 100678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host computer
power control
control message
remote desk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1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2780A (ko
Inventor
윤성민
유창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1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947B1/ko
Publication of KR20060062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2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09Monitoring remote activity, e.g. over telephone lines or network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모니터의 전원 관리 방법 및 모니터의 전원 관리를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전원 관리를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호스트 컴퓨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데스크탑의 실행 및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호스트 컴퓨터의 모니터 전원 제어를 위한 모니터 전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전원 제어 메시지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모니터 전원 제어 메시지를 상기 호스트 컴퓨터로 송신하는 네트워크 통신부를 포함한다.
리모트 데스크탑(RemoteDeskTop, RDT), 전원 관리(power management), 모니터(monitor), 저전력 단계

Description

모니터의 전원 관리 방법 및 모니터의 전원 관리를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Method for power management of monitor and computer system using by method for power management of monitor}
도 1은 종래 컴퓨터 시스템에서 리모트 데스크탑 실행 과정을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컴퓨터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전원 관리 방법을 개념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리모트 데스크탑 실행시,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의 동작 과정을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리모트 데스크탑 실행시, 호스트 컴퓨터에서의 동작 과정을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인터넷망
300 : 클라이언트 컴퓨터
340 : 제어부
360 : 전원 제어 메시지 생성부
400 : 호스트 컴퓨터
430 : 제어부
410 : 호스트 컴퓨터의 모니터
440 : 응답 신호 생성부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니터의 전원 관리 방법 및 모니터의 전원 관리를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운영체제에서의 지원하는 네트워크 기능이 향상됨에 따라 리모트 데스크탑(RemoteDeskTop, RDT) 기능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늘고 있다. 여기서 리모트 데스크탑 기능이란, 윈도우(Window)에서 지원하는 기능 중의 하나로 클라이언트 컴퓨터 예를 들어, 가정 내에 있는 컴퓨터에서 인터넷을 통해 호스트 컴퓨터 예를 들어, 사무실 컴퓨터의 윈도우 세션에 액세스하여 호스트 컴퓨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 리모트 데스크탑 기능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호스트 컴퓨터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경우, 클라이언트 컴퓨터는 호스트 컴퓨터의 모니터 화면을 그대로 공유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마치 자신의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처럼 호스트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리모트 데스크탑의 실행 과정을 흐름도로 나타내면 도 1과 같다. 우선,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리모트 데스크탑 연결'을 실행시키고(S110), 호스트 컴퓨터와 원격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호스트 컴퓨터의 IP 주소, 사용자 및 암호를 입력한다(S120). 이 후, 인터넷을 통해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호스트 컴퓨터가 원격으로 연결되면(S130),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모니터에는 호스트 컴퓨터의 모니터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이 출력되어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S140). 한편,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된 후, 호스트 컴퓨터는 다른 사용자가 호스트 컴퓨터에 액세스할 수 없도록 자동적으로 로그오프(logoff)된다. 이 때, 호스트 컴퓨터 시스템이 로그오프된 후에도 호스트 컴퓨터 시스템의 모니터는 항상 켜져있게 된다.
그런데 모니터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소비되는 전력 중에서 가장 많은 전력을 소비한다. 특히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의 경우, LCD는 컴퓨터 시스템 전체에서 소비되는 전력량 중에서 33%에서 50%에 해당하는 전력을 소비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와 같이 리모트 데스크탑을 이용하여 호스트 컴퓨터를 원격 제어하게 되면, 호스트 컴퓨터가 로그오프된 후에도 호스트 컴퓨터의 모니터는 항상 켜져 있게 되므로 전력을 낭비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리모트 데스크탑 기능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호스트 컴퓨터를 원격 제어하는 경우, 호 스트 컴퓨터의 모니터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모니터의 전원 관리를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전원 관리를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호스트 컴퓨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데스크탑의 실행 및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호스트 컴퓨터의 모니터 전원 제어를 위한 모니터 전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전원 제어 메시지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모니터 전원 제어 메시지를 상기 호스트 컴퓨터로 송신하는 네트워크 통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전원 관리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호스트 컴퓨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데스크탑의 실행 및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a)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호스트 컴퓨터의 모니터 전원 제어를 위한 모니터 전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b)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모니터 전원 제어 메시지를 상기 호스트 컴퓨터로 송신하는 (c)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네트워크는 리모트 데스크탑 기능을 이용하여 호스트 컴퓨터(400)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컴퓨터(300), 클라이언트 컴퓨터(300)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되는 호스트 컴퓨터(400) 및 클라이언트 컴퓨터(300)와 호스트 컴퓨터(400)를 연결하는 인터넷망(200)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컴퓨터(300)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컴퓨터(300)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컴퓨터(300)는 입력부(310), 디스플레이부(320), 제어부(340), 전원 제어 메시지 생성부(360), 네트워크 통신부(330) 및 타이머부(350)를 포함한다.
입력부(31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부분으로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키보드의 경우, 사용자에 의한 키 인가시 소정의 키신호를 발생시키고, 마우스의 경우, 휠의 움직임이나 마우스의 움직임 및 좌우 버튼 클릭에 따라 입력 신호를 발생한다. 입력부(310)에서 발생된 신호는 제어부(340)로 제공되어 처리된다.
디스플레이부(320)는 제어부(340)에 의한 명령 처리 결과를 가시적인 형태로 출력하는 부분으로서, LCD, CRT, 터치스크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340)는 입력부(310)로부터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아 해당 명령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310)가 키보드로 구현되는 경우, 키보드는 인가된 키에 대한 키신호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키신호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부(340)로 제공된다. 제어부(340)는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여, 인가된 키신호에 해당하는 문자가 디스플레이부(320)에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340)는 리모트 데스크탑 실행 및 종료 여부를 감지하여, 감지 결과에 따라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300) 전반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컴퓨터(300)가 부팅된 후, 리모트 데스크탑이 실행되지 않았다면,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른 명령을 처리하여 컴퓨터 시스템(300)을 제어한다. 만약, 리모트 데스크탑이 실행되었다면, 네트워크 통신부를 제어하여 인터넷망(200)을 통해 호스트 컴퓨터(400)와 접속될 수 있도록하고, 전원 제어 메시지 생성부(260)를 제어하여, 전원 제어 실행 메시지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 후, 리모트 테스크탑 기능이 종료된 경우에는, 전원 제어 메시지 생성부(360)를 제어하여 전원 제어 해제 메시지가 생성되도록 하고, 전원 제어 해제 메시지가 전송된 후에는 네트워크 통신부(330)를 제어하여 호스트 컴퓨터(400)와의 접속을 끊는다.
또한 제어부(340)는 전원 제어 실행 메시지를 전송한 후, 호스트 컴퓨터(400)로부터 전원 제어 메시지 처리 결과에 대한 응답 신호가 소정의 시간 이내에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전원 제어 메시지 처리 결과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다면, 전원 제어 메시지 생성부(360)를 제어하여 동일한 전원 제어 메시지가 생성되도록 한 다음, 네트워크 통신부(330)를 통해 재전송한다.
전원 제어 메시지를 재전송할 때에는 소정의 횟수만큼 예를 들어, 3회 정도 재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전원 제어 메시지를 3회 재전송한 후에도 호스 트 컴퓨터(400)로부터 전원 제어 메시지 처리 결과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였다면, 제어부(340)는 디스플레이부(320)를 통해 에러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응답 신호 수신에 실패하였음을 알린다.
한편, 전원 제어 메시지 생성부(360)는 전원 제어 실행 메시지, 전원 제어 해제 메시지와 같은 전원 제어 메세지를 생성하는 부분으로 제어부(340)에 의해 제어되며,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 제어 메시지 생성부(360)에서 생성된 전원 제어 메시지는 네트워크 통신부(330)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400)로 전송된다.
네트워크 통신부(330)는 인터넷망(200)과 연결되어 호스트 컴퓨터(400)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부분으로 전원 제어 메시지 생성부(360)에서 생성된 전원 제어 메시지를 호스트 컴퓨터(400)로 전송한다. 또 호스트 컴퓨터(400)로부터 전원 제어 메시지 처리 결과에 대한 응답 신호 등을 수신하여 제어부(340)에 제공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통신부(330)는 내장형 또는 외장형 모뎀, 랜 카드, 무선 네트워크 통신 모듈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300)은 하드디스크나 CD-ROM, DVD-ROM 등과 같은 보조 기억 장치(미도시), 메모리소자와 같은 주기억장치, 컴퓨터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미도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각 장치들은 PCI 인터페이스, IDE 인터페이스, ISA 인터페이스, 메모리 버스 및 시스템 버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부(340)와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교환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컴퓨터(400)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컴퓨터(400)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컴퓨터(400)는 모니터(410), 네트워크 통신부(420), 제어부(430), 응답 신호 생성부(440) 및 저장부(450)를 포함한다.
모니터(410)는 제어부(430)에 의한 명령 처리 결과를 가시적인 형태로 출력하는 부분으로서 LCD, CRT, 터치스크린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데스크탑 기능을 통해 클라이언트 컴퓨터(300)와 원격으로 연결된 경우, 호스트 컴퓨터(400)의 모니터(410)에 공급되는 전원은 클라이언트 컴퓨터(300)에서 전송된 전원 제어 메시지에 의해 제어된다. 이 때, 호스트 컴퓨터(400)의 모니터(410)에 대한 전원 관리 모드 즉, 전원 제어 메세지에 따라 전환되는 전력 제어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DC-CI의 MCCS(Monitor Control Command Set) 스팩에 의하면, 모니터와 관련된 절전 모드로 S0에서 S3까지 네 단계의 절전 모드가 지원되는데, 각 단계에서 지원하는 저전력화 정도는 각각 온(On), 스탠바이(Standby), 서스팬드(Suspend), 오프(Off) 단계에 부합된다. 온(On) 단계는 일반 사용 환경을 의미하고, 스탠바이(Standby) 단계는 모니터의 일부 회로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모니터가 3초 이내에 깨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서스팬드(Suspend) 단계는 최소한의 전원만을 소비하는 것을 뜻하며, 오프 단계는 모니터의 전원이 꺼진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컴퓨터의 경우, CMOS 셋업 또는 운영체 제의 전원 관리 옵션 등을 통해 모니터에 대한 전원 관리 옵션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네트워크 통신부(420)는 인터넷망(200)과 연결되어 클라이언트 컴퓨터(300)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부분으로, 클라이언트 컴퓨터(300)에서 전송된 전원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어부(430)에 제공한다. 또한 응답 신호 생성부(440)에서 생성된 응답 신호 즉, 전원 제어 메시지 처리 결과에 대한 응답 신호를 클라이언트 컴퓨터(300)로 전송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통신부(420)는 내장형 또는 외장형 모뎀, 랜 카드, 무선 네트워크 통신 모듈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어부(430)는 네트워크 통신부(420)를 통해 수신되는 명령을 처리하여 컴퓨터 시스템(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호스트 컴퓨터(400)가 부팅된 후, 제어부(430)는 클라이언트 컴퓨터(300)로부터 리모트 데스크탑 실행 명령이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리모트 데스크탑 실행 명령이 수신되지 않았다면, 일반 모드로 동작하고, 리모트 데스크탑 실행 명령이 수신되었다면, 컴퓨터 시스템(400)이 로그오프 되도록 하여, 또다른 사용자가 호스트 컴퓨터(400)에 접근할 수 없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430)는 전원 제어 메시지 수신 여부 및 수신된 메세지의 종류를 판별하여, 판별 결과에 따른 동작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통신부(420)를 통해 수신된 전원 제어 메시지의 종류를 판별한 결과 전원 제어 실행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모니터(410)의 전원 상태가 사용자에 의해 셋팅된 전원 관리 모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모니터(410)의 전원 관리 모드가 S2 단계 즉, 서스팬드(Suspend) 단계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라면, 전원 제어 실행 메시지 처리 결과에 따라 모니터(410)에는 최소한의 전원만이 공급되도록 하여, 전력 소비를 줄인다. 만약 모니터(410)의 전원 관리 모드가 S3 단계 즉, 오프 단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원 제어 실행 메시지 처리 결과에 따라 모니터(410)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하여 전력 소비를 줄인다. 수신된 메시지를 처리한 후에는 응답 신호 생성부(440)를 제어하여 전원 제어 메시지 처리 결과에 대한 응답 신호가 생성되도록 한다.
한편, 네트워크 통신부(420)를 통해 전원 제어 해제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430)는 수신된 메시지를 처리하여 현재 모니터(410)에 적용 중인 전원 관리 모드가 해제되도록 한다. 즉, 모니터(410)의 상태를 절전 모드로 진입되기 이전의 상태로 복원시킨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컴퓨터(300)로부터 전원 제어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기 이전의 상태가 S0 즉, 온 단계였다면, 전원 제어 해제 메시지를 처리하여 모니터(410)가 켜지도록 한다.
응답 신호 생성부(440)는 전원 제어 메시지 처리 결과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생성하는 부분으로 제어부(430)에 의해 제어된다. 전원 제어 메시지 처리 결과에 대한 응답 신호는 네트워크 통신부(420)를 통해 클라이언트 컴퓨터(300)로 전송된다.
저장부(450)는 모니터(410)의 전원 상태가 전원 관리 모드로 전환되기 전, 현재 모니터(410)의 상태에 대한 정보 등이 저장된다. 이러한 저장부(450)는 캐쉬, ROM, PROM, EPROM, EEPROM, 플래쉬, SRAM 및 DRAM과 같은 형태의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CD-ROM 등의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호스트 컴퓨터 시스템은 시스템 제어에 필요한 롬바이오스(Basic Input Output System, BIOS)(미도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미도시) 및 전원 공급부(미도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PCI 인터페이스, IDE 인터페이스, ISA 인터페이스, 메모리 버스 및 시스템 버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부와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교환한다.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전원 관리 방법을 개념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전원 관리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전원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호스트 컴퓨터(400)의 모니터(410)에 대한 전원 관리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니터(410)에 대한 전원 관리 모드는 CMOS 셋업이나 운영체제에서 지원하는 전원 옵션 등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컴퓨터(300)에서 리모트 데스크탑 기능이 실행된 후(S510), 호스트 컴퓨터(400)의 IP 주소, 사용자 및 비밀번호가 입력되어(S512)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되면(S514), 클라이언트 컴퓨터(300)는 호스트 컴퓨터(400)와 접속된다. 클라이언트 컴퓨터(300)가 호스트 컴퓨터(400)와 접속되면, 호스트 컴퓨터(400)는 이를 인지하여 자동으로 로그오프된다(S516). 이 후, 클라이언트 컴퓨터(300)에서는 전 원 제어 실행 메시지가 생성되어(S520) 호스트 컴퓨터(400)로 전송된다(S522). 한편, 호스트 컴퓨터(400)에서는 클라이언트 컴퓨터(300)에서 전송된 전원 제어 실행 메시지에 따라 모니터(410)의 전원 상태가 제어된다(S524). 이 후, 클라이언트 컴퓨터(300)에서 리모트 데스크탑이 종료되면(S530), 리모트 데스크탑 종료에 따른 전원 제어 해제 메시지가 생성되어 호스트 컴퓨터(400)로 전송되고(S532), 호스트 컴퓨터(400)에서는 수신된 전원 제어 해제 메시지에 따라 현재 실행 중인 모니터(410)의 전원 관리 모드가 해제되어 모니터(410)의 상태가 전원 관리 모드 진입 이전의 상태로 복귀된다(S534).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전원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클라이언트 컴퓨터(300) 측에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제어부(340)는 리모트 데스크탑 실행 여부를 판단한다(S610). 판단 결과, 리모트 데스크탑이 실행되지 않았다면,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도록 컴퓨터 시스템(300)을 제어한다(S612). 예를 들어, 저장되어 있는 문서 작업 또는 웹서핑 등의 동작이 실행되도록 한다. 판단 결과, 만약 리모트 데스크탑이 실행되었다면, 호스트 컴퓨터(400)의 IP 주소 및 사용자 이름, 비밀번호 등의 로그온 정보를 입력받은 후, 네트워크 통신부(330)를 제어하여 입력된 IP 주소에 해당하는 호스트 컴퓨터(400)와 인터넷망(200)을 통해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S620). 호스트 컴퓨터(400)와 접속된 후, 제어부(340)는 전원 제어 메시지 생성부(360)를 제어하여, 호스트 컴퓨터(400)의 모니터(410)에 대한 전원 제어 실행 메시지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하고, 네트워크 통신부(330)를 통해 전원 제어 실행 메 시지를 호스트 컴퓨터(400)로 전송한다(S360).
이 후, 제어부(340)는 소정의 시간 내에 호스트 컴퓨터(400)로부터 전원 제어 실행 메시지 처리 결과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S640). 판단 결과,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다면, 전원 제어 메시지 생성부(360)에서 생성된 메시지를 네트워크 통신부(330)를 통해 재전송한다(S642).
전원 제어 실행 메시지를 재전송한 후에는 재전송된 횟수를 카운트하여 이에 해당하는 동작이 실행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메시지가 3회 재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경우, 전원 제어 메시지를 지정된 횟수만큼 재전송한 후에도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였다면, 제어부(340)는 디스플레이부(320)를 통해 에러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S644), 전원 제어 메시지 처리 결과에 대한 응답 신호 수신에 실패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한편, 응답 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한 결과, 소정의 시간 예를 들어, 10초 이내에 전원 제어 실행 메시지 처리 결과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었다면, 제어부(340)는 호스트 컴퓨터(400)를 원격으로 제어하여(S650),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호스트 컴퓨터(400)에 대한 원격 제어가 이루어지는 동안 제어부(340)는 리모트 데스크탑 종료 여부를 판단한다(S660). 판단결과, 리모트 데스크탑이 종료되었다면, 전원 제어 메시지 생성부(360)를 제어하여, 전원 제어 해제 메시지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S670). 전원 제어 메시지 생성부(360)에서 생성된 전원 제어 해제 메시지가 네트워크 통신부(330)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400)로 전송되면, 제어부 (340)는 네트워크 통신부(330)를 제어하여, 호스트 컴퓨터(400)와의 접속을 끊는다(S680).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전원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호스트 컴퓨터(400) 측에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제어부(430)는 클라이언트 컴퓨터(300)로부터 리모트 데스크탑에 대한 명령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S710). 판단 결과, 리모트 데스크탑 연결에 대한 명령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다면, 호스트 컴퓨터(4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S712). 판단 결과, 클라이언트 컴퓨터(300)로부터 리모트 데스크탑 연결에 대한 명령 신호가 수신되었다면, 호스트 컴퓨터(400)가 로그오프 되도록 한다(S720).
이 후, 제어부는 네트워크 통신부(420)를 통해 전원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고(S730),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수신된 메시지의 종류를 판별하여 판별 결과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S740). 즉, 전원 제어 실행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전원 제어 실행 메시지를 처리하여 모니터(410)의 전원 상태가 사용자에 의해 셋팅된 전원 관리 모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한다(S742). 예를 들어, 모니터(410)의 전원 관리 모드가 S3 단계 즉, 오프 단계로 설정되어 있다면, 모니터(410)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한다. 전원 제어 실행 메시지를 처리한 후에는 응답 신호 생성부(440)를 제어하여, 전원 제어 실행 메시지 처리 결과에 대한 응답 신호가 생성되도록 한다.
한편, 네트워크 통신부(420)를 통해 전원 제어 해제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430)는 전원 제어 해제 메시지를 처리하여 현재 모니터(410)에 적용되고 있는 전원 관리 모드의 실행이 해제되도록 한다(S744). 즉, 모니터(410)의 상태를 절전 모드로 진입되기 이전의 상태로 복원시킨다. 이 때, 제어부(430)는 저장부(450)의 정보를 참조하여 모니터(410)의 상태를 이전의 상태로 복귀시킨다. 예를 들어, 저장부(450)의 정보를 참조한 결과, 절전 모드로 전환되기 이전의 모니터(410)의 상태가 S0 즉, 온 단계였다면, 전원 제어 해제 메시지를 처리하여 모니터(410)가 켜지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전원 관리 방법 및 모니터의 전원 관리를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모니터의 전원 관리 방법 및 모니터의 전원 관리를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리모트 데스크탑 기능을 이용한 원격 제어시, 호스트 컴퓨터의 모니터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랩탑 컴퓨터의 경우, 컴퓨터 시스템의 배터리 사용 시간을 연장시킬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호스트 컴퓨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데스크탑의 실행 및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리모트 데스크탑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호스트 컴퓨터의 모니터 전원 제어를 위한 모니터 전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전원 제어 메시지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모니터 전원 제어 메시지를 상기 호스트 컴퓨터로 송신하는 네트워크 통신부를 포함하는 모니터의 전원 관리를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리모트 데스크탑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호스트 컴퓨터의 모니터 전원을 상기 리모트 데스크탑이 실행되는 동안 절전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제1 모니터 전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리모트 데스크탑이 종료된 경우, 상기 호스트 컴퓨터의 모니터 전원을 원상태로 복원시키기 위한 제2 모니터 전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모니터의 전원 관리를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컴퓨터는, 상기 모니터 전원 제어 메시지 처리 결과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생성하는 응답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모니터의 전원 관리를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
  4.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호스트 컴퓨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데스크탑의 실행 및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a)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리모트 데스크탑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호스트 컴퓨터의 모니터 전원 제어를 위한 모니터 전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b)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모니터 전원 제어 메시지를 상기 호스트 컴퓨터로 송신하는 (c) 단계를 포함하는 모니터의 전원 관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리모트 데스크탑이 실행된 경우, 상기 호스트 컴퓨터의 모니터 전원을 상기 리모트 데스크탑이 실행되는 동안 절전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제1 모니터 전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리모트 데스크탑이 종료된 경우, 상기 호스트 컴퓨터의 모니터 전원을 원상태로 복원시키기 위한 제2 모니터 전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니터의 전원 관리 방법.
KR1020040101736A 2004-12-06 2004-12-06 모니터의 전원 관리 방법 및 모니터의 전원 관리를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 KR100678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736A KR100678947B1 (ko) 2004-12-06 2004-12-06 모니터의 전원 관리 방법 및 모니터의 전원 관리를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736A KR100678947B1 (ko) 2004-12-06 2004-12-06 모니터의 전원 관리 방법 및 모니터의 전원 관리를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780A KR20060062780A (ko) 2006-06-12
KR100678947B1 true KR100678947B1 (ko) 2007-02-07

Family

ID=37158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1736A KR100678947B1 (ko) 2004-12-06 2004-12-06 모니터의 전원 관리 방법 및 모니터의 전원 관리를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89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7454A (ko) 2015-06-15 2016-12-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 데스크탑 클라이언트의 통합 전원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9302A (ko) * 1995-12-05 1997-07-29 미치가와 켄이찌 컴퓨터 주변기기기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30084473A (ko) * 2002-04-27 2003-11-01 (주)소프트위드솔루션 원격지의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 공급여부를 제어하고,원격지 컴퓨터 시스템의 화면을 실시간으로 통제 및제어하고 알람정보를 발생시킬 수 있는 지유아이 기반통합 원격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9302A (ko) * 1995-12-05 1997-07-29 미치가와 켄이찌 컴퓨터 주변기기기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30084473A (ko) * 2002-04-27 2003-11-01 (주)소프트위드솔루션 원격지의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 공급여부를 제어하고,원격지 컴퓨터 시스템의 화면을 실시간으로 통제 및제어하고 알람정보를 발생시킬 수 있는 지유아이 기반통합 원격 관리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70049302
102003008447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780A (ko) 2006-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0850B1 (en) Method and apparatus executing power on self test code to enable a wakeup device for a computer system responsive to detecting an AC power source
KR0172003B1 (ko)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888091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judging method
US8862709B2 (en) Remote management of boot application
JP4612631B2 (ja) データ処理デバイスを動作させるための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US8578182B2 (en) Power lock-up setting method performed by baseboard management controller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US7051236B2 (en) Wirelessly network-connected, battery-powered information handling system featuring prevention of data corruption after wake-up by a network event
US9696779B2 (en) Integrated circuit,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02132393A (ja) 情報機器、情報機器の制御方法及び制御方法のプログラム
US7334138B2 (en) Windows-driven power management for peripheral devices in a computer system
US7636861B2 (en) Bus technique for controlling power states of blades in a blade enclosure
KR100322467B1 (ko) 다중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 원격 제어 방법
KR100385020B1 (ko) 리모트 컨트롤러로 구동되는 컴퓨터 시스템의 자동 암호확인 방법
US8140878B2 (en) Power conservation technique for blade computer systems
US10178256B2 (en)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KR20000035026A (ko)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을 원격으로 디스에이블링시키기 위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2003775A1 (zh) 控制方法、控制装置及终端
US20030149866A1 (en)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967204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aking up operating system thereof
KR100678947B1 (ko) 모니터의 전원 관리 방법 및 모니터의 전원 관리를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
US20030233591A1 (en) Power state sub-system and a method of changing the power state of a selected computer system
JP2008077541A (ja) Webアプリケーション接続管理システム、Webサーバ、Webアプリケーション接続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1154752A (ja) 携帯型情報処理装置および同装置の状態移行方法
KR101087429B1 (ko) 전력 관리 방법 및 장치
TWI612428B (zh) 積體電路、電子裝置與其運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