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7764B1 - 냉장고의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7764B1
KR100187764B1 KR1019960002547A KR19960002547A KR100187764B1 KR 100187764 B1 KR100187764 B1 KR 100187764B1 KR 1019960002547 A KR1019960002547 A KR 1019960002547A KR 19960002547 A KR19960002547 A KR 19960002547A KR 100187764 B1 KR100187764 B1 KR 100187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light
heat sink
cover
in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2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9745A (ko
Inventor
도모나리 나카가와
사토시 난리
Original Assignee
사토 후미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토 후미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사토 후미오
Publication of KR960029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9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7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77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502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 F21V29/505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of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08Reflectors for light sources providing for indirect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 F21W2131/305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for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내부를 조명하기 위한 냉장고의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단일 냉장고 내부등(18)을 사용한 준간접조명에 의해 냉장고 내부를 균일하게 조명하고, 냉장고 내부등(18)의 배면에는 표면을 거칠게 한 방열판(19)이 설치되어 냉장고 내부등(18)의 빛은 방열판(19)에 의해 확산 반사되고 냉장고 내부등 커버(20)의 각 부에 균일하게 공급되며, 이 경우 냉장고 내부등 커버(20)의 두께는 냉장고 내부등(18)의 정면부분이 두껍게 설정되어 있어 냉장고 내부등(18)에서 냉장고 내부등 커버(20)에 직접 조사되는 빛의 투과율이 억제되고 냉장고 내부등 커버(20)의 표면조도 분포가 균일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조명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종단측면도.
제2도는 분해사시도.
제3도는 냉장고 내부등 커버의 두께변화를 나타낸 횡단면도.
제4도는 냉장고 내부를 나타낸 정면도.
제5도는 중심선 평균거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6도는 냉장고 내부등 커버의 표면조도(照度)분포를 나타낸 측정결과.
제7도는 냉장고 내부등 커버의 표면조도 분포의 측정방법을 나타낸 개략도.
제8도는 냉장고 내부등 커버의 표면조도 분포의 측정방법을 나타낸 개략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제2도 상당도.
제10도는 확산성 반사면의 재질의 차이에 따른 반사특성 및 확산특성을 나타낸 측정결과.
제11도는 반사특성 및 확산특성의 측정방법을 나타낸 개략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제2도 상당도.
제13도는 종래예를 나타낸 제1도 상당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 : 내부상자 15 : 냉장고 내부 덕트
18 : 냉장고 내부등 19,21,21' : 방열판(放熱板)
20 : 냉장고 내부등 커버
본 발명은 냉장고의 내부를 조명하기 위한 냉장고의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냉장고의 조명장치가 많이 제안되고 있다. 그 대표예로서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열전구로 이루어지는 냉장고 내부등(1)을 내부상자(2)의 오목부(2a)내에 수용하고 냉장고 내부등(1)을 두께가 균일한 냉장고 내부등 커버(3)로 덮은 구성이 있다. 이 구성의 경우, 문의 개폐에 따라 냉장고 내부등(1)을 점멸·소등시키게 된다. 또한 부호(4)는 냉장고 내부등(1)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이다.
그런데 최근 냉장고의 대형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이 대형 냉장고에 제13도의 장치를 적용하면 냉장고를 균일하게 조명할 수 없고 일부분만 조명이 된다. 또한 최근 미들프리져타입의 냉장고(냉장실을 냉장고의 최상단에 두고 냉동실을 중간에 배치한 것)의 보급에 따라, 조명장치의 배치위치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제13도의 장치에서는 냉장고 내부등(1)에서 조명된 광이 사용자의 눈에 직접 비쳐서 눈을 자극하게 된다.
그리고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80-2393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여러개의 냉장고 내부등을 설치해서 냉장고내 조도분포의 균일화를 도모하거나,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90-103691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광범위하게 조명하는 데에 뛰어난 형광등을 사용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여러개의 냉장고 내부등을 설치하는 구성에서는 냉장고 내부등의 배선부품수나 배선공정수를 증대시키기 때문에 비용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형광등을 사용하는 구성에서는 점등관이나 쵸크코일 등의 점등회로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부품개수가 증가하여 비용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형광등은 냉장고와 같은 저온중에는 발광능력이 저하하기 때문에 히터 등을 사용해서 형광등의 주위온도를 상승시킬 필요가 있다.
그 결과 냉장고 내부의 온도 상승을 초래하여 냉각능력이 저하한다. 또한 냉장고의 문 개폐에 따라 형광등을 자주 점등·소등함으로써 수명이 단축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눈에 자극이 없고 냉각능력이 저하하지 않고 냉장고 내부를 균일하게 조명할 수 있는 값싼 냉장고의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조명장치는 냉장실 배면의 중앙부에 고정된 냉기를 인도하는 냉장고내 덕트에 연속하게 접하여 부착되고 배면 및 천정면에 걸쳐 배치된 돌출부에 냉장고내등을 장착하고, 투광성 커버로 덮은 냉장고의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냉장고내등의 직접광의 광량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조도분포를 균일화하도록 냉장고내등의 바로 앞 근방의 두께를 다른 부분 보다도 두껍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장고내등의 뒤쪽에 냉장고내등에 의해 발생하는 열이 냉장실의 내부상자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열판을 설치하고 상기 방열판의 앞면은 반사면을 형성하여 냉장고내등으로부터 위쪽 및 좌우를 향하는 광을 냉장고내측에 반사하도록 경사지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냉장고의 조명장치에 있어서, 커버는 냉장고내등의 직접광의 광량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조도분포를 균일화하도록 냉장고내등의 바로 앞 근방의 두께를 다른 부분보다도 두껍게 했으므로, 냉장고내 전체가 밝고 냉장고내등의 직접광이 사용자의 눈에 비치는 일도 없다. 냉장고내등의 뒤쪽에 냉장고내등에 의해 발생하는 열이 냉장실의 내부상자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열판을 설치하고 상기 방열판의 앞면은 반사면을 형성하여 냉장고내등으로부터 위쪽 및 좌우를 향하는 광을 냉장고내측에 반사하도록 경사지게 배치하며, 반사면을 거친면에 의한 확산반사면으로 함으로써 눈에 부드러운 조명을 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내 덕트와 돌출부 및 방열판을 일체로 성형하면 부품의 수가 적어지고 제조작업성이 향상되어 비용을 절감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8도에 의거 설명한다. 우선 제4도에 있어서 냉장고 본체(11)는 전면이 개구하는 상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내부상자(11a)의 바깥측에 외부상자(11b)를 조립하고 내부상자(11a)와 외부상자(11b)와의 사이에 발포우레탄 등의 단열재(11c)(제1도 참조)를 주입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냉장고 본체(11)의 내부에는 중앙부에 냉동실(12)이 형성되고 이 냉동실(12)의 상측에 냉장실(13)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냉동실(12) 및 냉장실(13)은 내부상자(11a) 안쪽을 칸막이벽(14a)으로 나누어져 형성된 것으로 냉동실(12) 및 냉장실(13)의 각 전면개구부는 냉동실 본체(1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문(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덮여져 있다. 또한 부호 14b는 냉동실(12)내를 여러개로 나누기 위한 선반을 나타낸다.
냉장고 본체(11)에는 냉동실(12)의 배면측의 냉동사이클 장치(도시하지 않았음)를 수납하기 위한 냉각기 수용실(도시하지 않았음)도 형성되어 있다. 이 냉동사이클 장치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냉동실(12)내에 직접 토출하여 냉동실(12)내를 소정온도로 유지한다. 냉각기 수용실은 백색의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해서 구성한 냉장고내 덕트(15)에 의해 냉장실(13)과 접속되어 있다. 이 냉장고 덕트(15)는 내부상자(11a)의 배면을 따라 장착된 것으로 냉동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의 일부는 이 냉장고 덕트(15)내를 상승하여 냉장고내 덕트(17)에 설치한 여러개의 토출구(15a)로부터 냉기가 각각 냉장실(13)내에 토출된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쪽으로 돌출된 돌출부(16)가 냉장고내 덕트(15)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상자(11a)내의 천정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 돌출부(16)는 좌우 양측에 큰 개구부(16a, 16a)를 가지고 그 중앙부에는 작은 개구부(16b)를 가진다. 개구부(16b)의 앞쪽에는 냉장고 내부등 장착부(1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냉장고 내부등 장착부(17)는 앞쪽으로 돌출하는 2개의 베이스부(17a, 17a)와 한쪽의 베이스부(17a)에 설치된 L자 형상의 소케트부(17b)로 구성된 것이다. 소케트부(17b)의 전극(도시하지 않았음)에는 백열전등으로 이루어지는 냉장고 내부등(18)이 나사 결합되고, 냉장고 내부등(18)은 문의 개폐에 따라 점등 · 소등하도록 되어있다.
돌출부(16)에는 그 개구부(16a, 16b, 16c)를 막도록 가로로 긴 방열판(19)이 부착되어 있다. 이 방열판(19)은 냉장고 내부등(18)의 점등시에 냉장고 내부등(18)에서 발생하는 열을 차단하여 내부상자(11a)의 열변형을 방지하는 것으로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면부(19a)와 L자 형상의 경사곡면부(19b)와 수직면부(19c)를 연결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방열판(19)은 냉장고 내부등(18)으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기능도 가진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면부(19c)는 냉장고 내부등(18)의 배면측에 배치되고 경사면부(19b)는 수직면부(19c)의 양측에 배치되며, 각 개구부(16a)를 덮고 있다. 제7도는 냉장고 내부등(18)과 방열판(19)과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횡단면도이고, 각 경사면부(19b)는 수직면부(19c)에서 떨어짐에 따라 앞쪽으로 경사짐으로써 냉장고 내부등(18)을 감싸고 있다. 또한 제2도의 방열판(19)에 기입한 2점쇄선은 방열판(19)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방열판(19)은 광을 반사하는 금속재료로 형성하고, 냉장고 내부등(18)으로부터의 빛을 반사해서 냉장실(13) 및 냉동실(12)을 조사한다. 냉동실(12)과 냉장실(13)을 나누는 칸막이벽(14a)이나 냉장실(13) 내부를 나누는 여러개의 선반(14b)은 합성수지로 형성된 투명한 것으로 방열판(19)에서 반사된 광은 이들 선반(14b) 및 칸막이벽(14a)을 통과하여 내부상자(11a) 안쪽(냉장고 내부) 전역에 조사된다.
방열판(19)의 표면전역은 거친 면으로 해서 확산성 반사면을 형성하여 냉장고 내부등(18)의 빛이 확산 반사되고 내부상자(11a)안쪽 전역에 조사되게 된다. 또한 방열판(19)의 표면은 중심선 평균 거침(Ra)이 6.3a∼12.5a의 범위내로 되어 있다. 이 중심선 평균 거침(Ra)은 JIS B0601로 규정된 것으로 하기 (1) 식에서 산출되는 Ra를 ㎛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f(x)는 제5도에 나타낸 거침 곡선, L은 거침 곡선을 중심선 방향을 따라 뽑아 낸 측정 길이이다. 또한 f(x)는 뽑아 낸 부분의 중심선을 X축, 세로방향의 배율을 Y축으로 하고 있다.
냉장고 내부 덕트(15)의 상부에는 제1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냉장고 내부등(18) 및 방열판(19)을 덮는 커버(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냉장고 내부등 커버(20)는 반투명 합성수지를 재료로 하는 것으로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중앙부에는 두께를 두껍게 한 두께부(20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냉장고 내부등 커버(20)의 투과율은 두께부(20a)에서는 작고, 나머지 부분에서는 크게 된다. 또한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곡면부(19b)가 냉장고 내부등 커버(20)에서 만들어진 각도를 각각 θL, θR로 하면 「θL=θR=45°」라는 관계에 있다.
냉장고 내부등 커버(20)의 상단부에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형상의 걸어맞춤부(20b)가 2개 형성되고 하단부에도 호형상의 걸어맞춤부(20c)가 2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16)의 상부에는 걸어맞춤부(20b)를 받치고 있는 구멍형상의 피 걸어맞춤부(16c)가 2개 형성되어 있다. 냉장고 내부등 커버(27)의 각 걸어맞춤부(20b)를 돌출부(16)의 피걸어맞춤부(16c)에 걸어맞추고 냉장고 내부등 커버(20)의 각 걸어맞춤부(20c)가 냉장고 내부 덕트(15)의 상단면에 걸어 맞춰지면 냉장고 내부등 커버(27)가 냉장고 내부 덕트(15)에 장착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냉장고 본체(11)의 문을 개방하면 냉장고 내부등(18)이 점등되고 냉장고 내부등(18)에서 조사된 빛의 일부는 냉장고 내부등 커버(20)로 직접 향한다. 제6도의 파선으로 나타낸 그래프는 두께가 균일한 냉장고 내부등커버(3)를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사판(4)을 평행 배치하고 측정장소를 차례로 변화시키면서 P점의 표면조도를 검출한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두께가 균일한 냉장고 내부등 커버(3)의 경우, 냉장고 내부등(1)의 직전(L=0) 및 근방에서는 조도가 상당히 높고, 냉장고 내부등(1)에서 멀어짐에 따라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다(조도의 감소율은, 냉장고 내부등(1)에서 멀어짐으로써 작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냉장고 내부등 커버(20)의 각 부에 대한 투과율이 공급광량의 분포상태에 따라 조절되고 있기 때문에 공급광량이 많은 냉장고 내부등(18)의 직전 및 근방에 있어서 냉장고 내부등 커버(20)에서 투과되는 광량이 억제되게 된다. 제6도의 실선은 제7도에 있어서 L의 값을 차례로 변화시키면서 P점의 표면조도를 검출한 실험결과이다. 제6도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냉장고 내부등 커버(20)를 사용하면 냉장고 내부등(18)의 직전 및 근방에 대한 조도가 억제된다.
또한 냉장고 내부등(18)에서 조사된 나머지 광은 방열판(19)에 의해 반사된 후, 냉장고 내부등 커버(20)를 향한다. 이 경우 방열판(19)이 냉장고 내부등(18)의 빛을 확산반사하기 때문에 경사면부(19b)의 경사각을 따라 냉장고 내부등 커버(20)의 양측(광량이 적은 부분)에 반사광이 제공된다. 그 결과 냉장고 내부등(18)에서 멀어진 부분에서의 조도가 높게 되어 전체로서 표면조도 분포가 균일화된다. 또한 제6도의 측정에 있어서 표면이 백색인 반사판(4) 및 방열판(19)을 사용했다.
이와 같이 단일 광원을 사용한 준간접조명에 의해 냉장고 내부등 커버(20)가 명암차 없이 균일하게 발광하고 냉장고 내부등 커버(20)로부터 냉장고 안쪽을 향해 빛이 균일하게 투광되기 때문에 냉장고 안쪽의 조도분포가 균일화된다. 또한 냉장고 내부등 커버(20)가 얼룩형상으로 발광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미들프리저타입의 냉장고와 같이 냉장고 내부등(18)이 냉장고 안쪽 높은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냉장고 내부등(18)에서 조사된 빛이 사용자의 눈에 직접 비치거나 눈을 자극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냉장고 내부등(18)으로부터의 광확산되는 여러개의 냉장고 내부등(18)을 설치할 필요성이 없어진다. 따라서 냉장고 내부등의 수, 냉장고 내부등의 배선부품개수, 배선공정수의 증대가 억제되고 그 결과 비용상승도 억제된다. 또한 냉장고 내부등(18)을 형광등으로 구성할 필요성이 없어진다.
또한, 냉장고 내부등 커버(20)의 두께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냉장고 내부등 커버(20)의 투광율을 원하는 값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투과율 조절수단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표면조도의 미세한 조절이 가능하게 되며, 비용절감도 실현된다.
또한 냉장고 내부등(18)에 대응하는 냉장고 내부등 커버(20)의 중앙부를 두껍게 구성했기 때문에 상기 부분을 투과하는 광량이 억제된다. 따라서 이 점으로부터도 냉장고 내부등(18)의 빛이 직접 사용자의 눈에 비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냉장고 내부등(18)에서 발생한 열을 차단하기 위한 방열판(19)을 이용해서 반사부재를 구성했다. 따라서 반사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고 그 결과 비용절감이 실현된다.
또한 냉장고 내부를 나누기 위한 칸막이벽(14a) 및 선반(14b)을 투명부재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냉장고 내부에 조사된 빛이 냉장고 내부 전체에 두루 미치게 된다. 또한 방열판(19)에 경사면부(19b, 19b)를 형성했기 때문에 냉장고 내부등(18)의 빛이 경사면부(19b)에 의해 냉장고 내부등 커버(20)를 향해 반사되게 된다. 따라서 냉장고 내부등(18)의 빛이 유효하게 이용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제9도 내지 제11도에 의거 설명한다. 단,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달고, 다른 부분을 위주로 설명한다. 우선 제9도에 있어서 냉장고 내부 덕트(15)와 일체로 방열판(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방열판(21)은 수평면부(21a)와 단면 L자형상의 경사 굴곡부(21b)와 수직면부(21c)를 연결시킨 형상으로 제1 실시예의 방열판(19)과 동일형상이다. 방열판(21)의 표면전역은 거친면으로 확산반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냉장고 내부 덕트(15)와 방열판(21)을 일체로 형성해서 구성했기 때문에 제1 실시예와 같이 냉장고 덕트(15)에 금속제의 방열판(19)을 장착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부품개수가 적어지고 비용절감이 실현된다. 또한 제조하는 과정에서 성형 금형의 방열판(21)에 상당하는 면에 적절한 표면 거침을 갖게함으로써 확산 반사면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표면처리공정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서 제조작업성이 향상한다.
제10도에 나타낸 그래프는 냉장고 내부등 커버(20)에 대해서 제1 실시예에 나타낸 금속제의 방열판(19) 및 제2 실시예의 플라스틱제(21)를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도 θ만큼 경사지게 배치하고 각도 θ의 변화에 따른 P점의 조도를 측정해서 얻어진 것이다. 냉장고 내부등(18)에서 방열판(19, 21)에 이르는 거리 L은 50mm 및 130mm의 2가지로 변화한다.
제10도에서 반사부재로서 금속판제의 방열판(19) 또는 플라스틱제의 방열판(21)을 사용해도 P점의 조도(1x)에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방열판(21)은 금속보다 떨어지지 않는 반사특성을 가지므로 실용적으로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각도 θ에 대한 조도의 변화가 적기 때문에 빛의 확산성 면에서 금속보다 뛰어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서는 냉장고 내부등 커버(20)의 표면조도 분포가 한층 균일화되고, 그 결과 냉장고 내부 전역에 빛이 더욱 균일하게 조사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방열판(17, 21)에 수직면부(19c, 21c)를 형성하고 있지만 냉장고 내부등(18)에서 조사되는 열에 의한 내부상자(11a)의 열변형이 방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직면부(19c, 21c)를 폐지해도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제12도에 의거 설명한다. 단, 상기 제2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제2 실시예와 비교하면서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냉장고의 내부상자(11a')는 백색의 합성수지재료를 사출성형하고 그 천정면에는 돌출부(16')와 냉장고 내부등 장착부(17')와 방열판(2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 실시예에서는 돌출부(16')는 제2 실시예의 돌출부(16)와 거의 동일 형상이지만 개구부(16a,16b)는 없고 볼록형상의 피걸어맞춤부(16c', 16c'a)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제2 실시예와는 구성이 상이하다.
냉장고 내부등 장착부(17')는 제2 실시예의 냉장고 내부등 장착부(17)와 동일 형상이지만 한쪽의 베이스부(17a)가 폐지되어 있는 점에서 제2 실시예의 냉장고 내부등 장착부(17)와 구성이 상이하다. 또한 방열판(21')은 수평면부 21a와 2의 경사면부(21b)로 구성된 것으로 제2실시예에 보이는 수직면부(21c)는 없다.
냉장고 내부등(18) 및 방열판(21')은 냉장고 내부등 커버(20')에 의해 덮여져 있다. 이 냉장고 내부등 커버(20')에는 걸어맞춤부(20b',20b')를 가지고 있다. 각 걸어맞춤부(20b')는 돌출부(16')의 피 걸어맞춤부(16c')에 밀어 넣음으로써 냉장고 내부등 커버(20')를 내부상자(11a')에 원터치로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냉장고 구성부품인 내부상자(11a')에 방열판(21')을 일체로 형성했다. 그 결과, 비용절감, 제조작업성의 향상, 냉장고 내부등 커버(20')의 표면조도분포가 균일하게 된다는 제2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2 및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방열판(21,21')을 백색의 합성수지로 형성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백색계이면 약간 색이 부가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2 및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사출성형되는 냉장고 내부덕트(15) 및 내부상자(11a')에 방열판(21,21')을 일체로 형성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상기 제1~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방열판(19,21,21')의 표면전역에 확산반사면을 형성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냉장고 내부등(18)의 상측부분을 거울면 형상으로 형성하고. 나머지부분을 확산 반사면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냉장고 내부등(18)의 빛을 냉장고 내부등 커버(20, 20')를 향해 반사하기 때문에 냉장고 내부등 커버(20, 20')에 대한 경사면부(19b, 21b)의 경사각도를 45°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경사면부(19b, 21b) 대신에 만곡면부를 설치하고 이 만곡면부에 의해 냉장고 내부등 커버(20, 20')를 향해 빛을 반사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냉장고 내부등(18)이 냉장고 내부등 커버(20, 20')의 중앙부에 있는 경우 냉장고 내부등 커버(20, 20')의 중앙부를 두껍게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들면 냉장고 내부등(18)이 냉장고 내부등 커버(20, 20')의 모서리부에 있는 경우에는, 냉장고 내부등(18)의 위치에 맞추어 냉장고 내부등 커버(20, 20')의 모서리부를 두껍게 하면 좋다. 또한 방열판(19, 21, 21')으로부터의 확산 반사광이 국부적으로 집중하면 그 부분을 약간 두껍게 해도 좋다. 가령 공급되는 광량분포에 따라 각 부의 투과율을 조절하면 좋다.
또한 상기 제1 ∼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반사부재를 방열판(19, 21 21')으로 구성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냉장고 내부등(18)의 빛을 반사하는 전용의 반사부재를 설치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장실의 조명장치는, 커버는 냉장고내등의 직접광의 광량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조도분포를 균일화하도록 냉장고내등의 바로앞 근방의 두께를 다른 부분보다도 두껍게 했으므로 냉장고내 전체가 밝고 냉장고내등의 직접광이 사용자의 눈에 비치는 일도 없다. 냉장고내등의 뒤쪽에 냉장고내등에 의해 발생하는 열이 냉장실의 내부상자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열판을 설치하고 상기 방열판의 앞면은 반사면을 형성하여, 냉장고내등으로부터 위쪽 및 좌우를 향하는 광을 냉장고내측에 반사하도록 경사지게 배치하고 또한 반사면을 거친면에 의한 확산반사면으로 함으로써 눈에 부드러운 조명을 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내 덕트와 돌출부 및 방열판을 일체로 성형하면 부품의 수가 적어 제조 작업성이 향상되어 비용이 절감된다.

Claims (5)

  1. 냉장실 배면의 중앙부에 고정된 냉기를 인도하는 냉장고내 덕트에 연속하게 접하여 부착되고, 배면 및 천정면에 걸쳐 배치된 돌출부에 냉장고내등을 장착하고, 투광성 커버로 덮은 냉장고의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냉장고내등의 직접광의 광량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조도 분포를 균일화하도록 냉장고내등의 바로 앞 근방의 두께를 다른 부분 보다도 두껍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냉장고내등의 뒤쪽에 냉장고내등에 의해 발생하는 열이 냉장실의 내부상자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열판을 설치하고, 상기 방열판의 앞면은 반사면을 형성하여, 냉장고내등으로부터 위쪽 및 좌우를 향한 광을 냉장고내측에 반사하도록 경사지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냉장고내 덕트와 일체로 플라스틱으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조명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이 거친면에 의한 확산반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조명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이 돌출부와 일체로 플라스틱으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조명장치.
KR1019960002547A 1995-01-31 1996-01-30 냉장고의 조명장치 KR1001877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013893 1995-01-31
JP7013893A JPH08200941A (ja) 1995-01-31 1995-01-31 冷蔵庫の照明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745A KR960029745A (ko) 1996-08-17
KR100187764B1 true KR100187764B1 (ko) 1999-06-01

Family

ID=11845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2547A KR100187764B1 (ko) 1995-01-31 1996-01-30 냉장고의 조명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08200941A (ko)
KR (1) KR100187764B1 (ko)
CN (1) CN1103039C (ko)
TW (1) TW28251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431A1 (ko) * 2018-12-11 2020-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304566U1 (de) * 2003-03-21 2003-05-22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Kältegerät mit Innenraumbeleuchtung und Gebläse
KR100506604B1 (ko) * 2003-05-09 2005-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044696B1 (ko) * 2003-12-16 2011-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N100441986C (zh) * 2004-01-29 2008-12-10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电冰箱用库内灯保护装置
KR20050105344A (ko) * 2004-04-28 2005-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명부를 갖는 냉장고
CN100380077C (zh) * 2004-06-03 2008-04-09 三菱电机株式会社 冰箱
DE102005021562A1 (de) 2005-05-10 2006-11-1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Innenraumbeleuchtung
DE202005016829U1 (de) * 2005-10-27 2006-01-05 MEPLA-WERKE LAUTENSCHLäGER GMBH & CO. KG Beleuchtungseinrichtung für Möbelstücke
KR101210134B1 (ko) * 2005-12-13 2012-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조명등 설치구조
JP2008051366A (ja) * 2006-08-23 2008-03-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
JP4654168B2 (ja) * 2006-09-01 2011-03-1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KR100793784B1 (ko) * 2006-11-02 2008-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 조사유닛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CN101688726B (zh) * 2007-06-25 2011-05-04 Bsh博世和西门子家用器具有限公司 制冷设备用的灯/风扇单元
DE102008044302A1 (de) 2008-12-03 2010-06-1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ekorpus mit Innenbeleuchtung
JP5537267B2 (ja) * 2010-06-02 2014-07-02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TWI440807B (zh) * 2010-06-02 2014-06-11 Toshiba Kk 冰箱
JP5683870B2 (ja) * 2010-08-19 2015-03-11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CN102095371A (zh) * 2010-11-25 2011-06-15 天津大学 工业用彩色视觉检测装置和方法
JP5490850B2 (ja) * 2012-05-28 2014-05-14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JP5616511B2 (ja) * 2013-10-31 2014-10-29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JP5865407B2 (ja) * 2014-02-26 2016-02-17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CN105972926A (zh) * 2016-05-30 2016-09-28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一种灯盒组件及具有其的电器
JP6936651B2 (ja) * 2017-08-03 2021-09-22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431A1 (ko) * 2018-12-11 2020-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11454388B2 (en) 2018-12-11 2022-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745A (ko) 1996-08-17
CN1103039C (zh) 2003-03-12
CN1143741A (zh) 1997-02-26
JPH08200941A (ja) 1996-08-09
TW282510B (ko) 199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7764B1 (ko) 냉장고의 조명장치
US6550940B2 (en) Lighting device
US9266468B2 (en) Linear lighting device
US20030035299A1 (en) Led-type vehicular lamp having improved light distribution
CN101586768B (zh) 车辆用照明装置
US5113322A (en) Transit vehicle lighting fixture
JPH02176692A (ja) 光装置
US20190338941A1 (en) Lighting device for wall mounting in a domestic electrical device
KR20090074973A (ko) 냉장고 조명장치
JPH0532353Y2 (ko)
JP2011131642A (ja) 照明装置
JP4548677B2 (ja) 照明装置
US10874227B1 (en) Strip light used in showcase
CN109974386B (zh) 具有壁照明模块的家用冰箱
JP2006162211A (ja) 冷蔵庫
JPH0740283U (ja) 車輌用室内灯
JP2003118479A (ja) 車両用ルームランプ
JP2006103631A (ja) 車両の棚下空間用照明装置
JP2601633Y2 (ja) ハイマウントストップランプ
JP3728106B2 (ja) 冷却貯蔵庫
KR101328262B1 (ko) Led를 이용한 냉장고용 후면 램프
CN220817547U (zh) 直下式防眩线性灯及灯光系统
JP3331580B2 (ja) 車両用灯具
CN219347000U (zh) 搁盘组件和冰箱
JPH0663436U (ja) 車両用室内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