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3784B1 - 광 조사유닛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 Google Patents

광 조사유닛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3784B1
KR100793784B1 KR1020060107642A KR20060107642A KR100793784B1 KR 100793784 B1 KR100793784 B1 KR 100793784B1 KR 1020060107642 A KR1020060107642 A KR 1020060107642A KR 20060107642 A KR20060107642 A KR 20060107642A KR 100793784 B1 KR100793784 B1 KR 100793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ight
refrigerator
storage
irradi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7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석민
민들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7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37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3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3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66Reflectors for light sources specially adapted to cooperate with point like light sources; specially adapted to cooperate with light sources the shape of which is unspecif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조사유닛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고 본체; 상기 냉장고 본체 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보관실; 상기 보관실에 인접하여 위치하여 상기 보관실에 간접적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 조사유닛; 및 상기 광 조사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냉장고에 의하면 보관실에 간접적으로 빛을 조사하여 눈부심을 방지하고, 하나의 광원에 의해 다수개의 보관실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냉장고, 보관실, 광, 조사, 간접

Description

광 조사유닛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Light irradiation unit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조사유닛을 구비하는 냉장고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유닛을 구비하는 냉장고를 나타내는 정면도(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보관실에서 보관용기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였음),
도 3은 도 2에서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광 조사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도 5는 도 4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24, 27...보관실 22, 25, 28...보관실 개방부
23, 26, 29...보관용기 30...개방감지장치
40...광 조사유닛 50...돌출부
60...광원 70...PCB
본 발명은 광 조사유닛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접적으로 빛을 조사하며, 하나의 광원에 의해 복수개의 대상물에 빛을 조사할 수 있는 광 조사유닛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일반적으로 냉매의 냉각작용에 의해 식품을 저온으로 보관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인 냉장고의 구조가 도 1에 도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냉장고(1)는 상부의 냉동실(2)과 하부의 냉장실(4)로 구분된다. 냉장실(4)의 내부에는 각종 식품을 수납하는 수납공간과 함께, 그 하측에 야채류 또는 고기류 등을 보관하는 보관용기(7)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관실(6)을 포함한다.
한편, 사용자가 보관용기(7)에 용이하게 식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냉장고(1)에는 보관실(6)의 내부를 밝게 하는 조사유닛(8)이 구비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사유닛(8)은 보관실(6)의 상측에 설치되며, 그 하부를 향해 광을 조사하여 보관실(6)의 내부를 밝게 한다.
여기서, 종래의 조사유닛(8)은 다수개의 발광 다이오드(LED)를 구비하여 보관실(6)의 내부로 직접적으로 광을 조사하여 밝게 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조사유닛(8)은 발광 다이오드에 의해 직접적으로 대상물에 광을 조사하게 되므로, 한정된 구역만을 밝게 하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따라서, 보관실(6)이 커지는 경우에는 그에 따라 조사유닛(8)에 더 많은 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설치하던지, 아니면 더 많은 수의 조사유닛(8)을 보관실(6)의 상부에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또한, 종래의 조사유닛(8)은 광을 직접 조사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보관실(6)을 개방하여 조사유닛(8)을 응시하는 경우에 눈부심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나아가, 종래의 조사유닛(8)은 하나의 조사유닛이 하나의 보관실(6)만 조사하게 되므로, 보관실(6)을 다수개 구비하는 경우에는 보관실(6)의 개수에 대응하는 각각의 조사유닛(8)을 구비해야하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대상물에 간접적으로 빛을 조사하여 더 넓은 범위를 밝게 하며,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는 광 조사유닛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광원에 의해 다수개의 대상물에 광을 조사할 수 있는 광 조사유닛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고 본체; 상기 냉장고 본체 내에 개폐 가능하도록 적층되는 하나 이상의 보관실; 상기 보관실에 인접하여 위치하여 상기 보관실에 간접적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 조사유닛; 및 상기 광 조사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보관실에 각각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보관용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관용기들이 개방되는 것을 감지하는 개방감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방감지장치는 상기 보관용기의 전면부 내측에 설치되는 제1 접속부; 상기 제1 접속부와 선택적으로 접속하도록 상기 냉장고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2 접속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방감지장치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보관용기가 개방되는 경우에 상기 광 조사유닛이 빛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관용기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광 조사유닛은 상기 보관실에 인접하여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냉장고 보관실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각각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개방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빛을 공급하여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보관실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ED)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조사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광 전반사 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광 전반사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설치된 반사지 또는 반사코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조사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광 난반사 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광 난반사 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각 개방부의 높이에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의 내 면을 따라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각 개방부의 높이에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을 따라 형성된 제1 영역 및 상기 하우징의 내면을 따라 상기 제1 영역 이외에 형성된 제2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영역에 형성되는 상기 돌출부의 밀집도는 상기 제2 영역에 형성되는 상기 돌출부의 밀집도에 비하여 더 클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개방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보관실로 각각 조사되는 빛의 양이 일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개방부는 상기 하우징을 따라 상기 광원에서 멀어질수록 크기가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유닛을 구비한 냉장고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00)는 좌우측에 각각 냉동실(10)과 냉장실(20)을 구비하며, 냉장실(20)은 그 하부에 적층되는 다수개의 보관실(21, 24, 27), 보관실(21, 24, 27)에 빛을 조사하는 광 조사유닛(40) 및 광 조사유닛(40)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한다. 보관실(21, 24, 27)에는 개폐 가능하도록 보관용기(도 3 참조, 23, 26, 29)가 각각 설치되지만, 도 2에서는 광 조사유닛(40)을 도시하기 위해서 보관실(21, 24, 27)에서 보관용기(23, 26, 29)가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광 조사유닛(40)은 냉장고(100)의 보관실(21, 24, 27)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각 보관실(21, 24, 27)에 빛을 조사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광 조사유닛(4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실(21, 24, 27)의 배면에 인접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된다. 하지만, 이러한 광 조사유닛(40)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보관실(21, 24, 27)의 측면에서 조사하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냉장고(100)의 각 보관실(21, 24, 27)에는 광 조사유닛(40)에서 조사되는 빛을 통과시키는 보관실 개방부(22, 25, 28)가 각각 형성된다. 광 조사유닛(40)에서 조사하는 빛이 상기 보관실 개방부(22, 25, 28)를 관통하여 보관실(21, 24, 27)로 향하여 보관실(21, 24, 27)을 밝게 하게 된다.
전술한 광 조사유닛(40)의 배치상태는 도 3에서 더욱 명확하게 도시된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일부 단면도로서, 냉장고(100)의 내부에 배치된 광 조사유닛(40)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광 조사유닛(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냉장고(100)에 형성된 보관실(21, 24, 27)의 배면에 인접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각 보관실(21, 24, 27)에 형성된 보관실 개방부(22, 25, 28)를 통하여 보관실(21, 24, 27)에 광을 조사하게 된다. 따라서, 각 보관실(21, 24, 27)에 설치되는 보관용기(23, 26, 29)는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각 보관실(21, 24, 27)에는 보관용기(23, 26, 29)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는 보관용기(23, 26, 29)를 보관실(21, 24, 27)에서 분리하여, 즉 보관용 기(23, 26, 29)를 개방하고 보관용기(23, 26, 29)의 내부에 식품 등을 수납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00)는 보관용기(23, 26, 29)가 개방되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는 개방감지장치(30)를 포함한다. 개방감지장치(30)는 도 3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보관용기(23, 26, 29)의 전면부 내측에 설치되는 제1 접속부(32)와, 상기 제1 접속부(32)와 선택적으로 접속하도록 냉장고(10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2 접속부(34)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보관용기(23, 26, 29)가 보관실(21, 24, 27)의 내부에 수납되어 개방되지 않은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감지장치(30)의 제1 접속부(32)와 제2 접속부(34)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여 제어부(미도시)로 보관용기의 닫힘신호를 보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보관용기(23, 26, 29)를 보관실(21, 24, 27)에서 분리하여 보관용기(23, 26, 29)를 개방하는 경우에는 제1 접속부(32)와 제2 접속부(34)가 이격된다. 이에 의해 제어부(미도시)에 더 이상 닫힘신호가 수신되지 않고, 제어부는 이를 보관용기(23, 26, 29)가 개방된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어부가 보관용기(23, 26, 29)가 개방된 것으로 인식하게 되면, 제어부는 보관실(21, 24, 27)의 내부로 빛을 조사하도록 광 조사유닛(40)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개방감지장치(30)의 구성은 일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개방감지장치의 구성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보관용기(23, 26, 29)의 개방을 감지하는 적절한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광 조사유닛(40)은 개방부(44, 46, 48)가 형성된 하우징(42) 및 하우징(42)의 일측에 연결되어 하우징(42)의 내부로 빛을 공급하는 광원(60)을 포함하는데, 구체적인 구성은 도 4에 도시된다.
도 4는 도 3의 광 조사유닛(4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광 조사유닛(40)은 냉장고(100)의 보관실(도 3 참조, 21, 24, 27)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개방부(44, 46, 48)가 형성된 하우징(42) 및 하우징(42)의 일측에 연결되어 하우징(42)의 내부로 빛을 공급하는 광원(60)을 포함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하우징(42)은 소정길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하우징(42)은 냉장고(도 2 참조)에 구비되는 보관실(21, 24, 27)에 각각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보관실(21, 24, 27)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록 도면에서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대체될 수 있다. 나아가, 하우징(42)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작의 용이함을 위해서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한편, 하우징(42)의 일측, 구체적으로는 보관실(21, 24, 27)에 인접하는 측면에는 개방부(44, 46, 48)가 형성된다. 개방부(44, 46, 48)는 냉장고(100)에 구비되는 보관실(21, 24, 27)에 대응하는 갯수 및 높이를 갖도록 하우징(42)에 형성된다.
즉, 각 개방부(44, 46, 48)는 전술한 보관실 개방부(도 3 참조, 22, 25, 28) 와 동일한 갯수가 형성되며, 나아가 보관실 개방부(22, 25, 28)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하우징(42)에 형성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광원(60)에 의해 하우징(42)의 내부에 빛이 공급되면, 하우징(42)에 형성된 개방부(44, 46, 48) 및 보관실 개방부(22, 25, 28)를 통하여 보관실(21, 24, 27)로 빛이 공급된다.
비록 도면에는 개방부(44, 46, 48)가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세 개의 개방부(44, 46, 48)가 도시되었지만, 개방부의 갯수는 냉장고(100)에 형성되는 보관실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하우징(42)의 일단부에는 광원(60)이 설치되어 하우징(42)의 내부로 빛을 공급한다. 광원(60)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나,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 다이오드는 종래의 발광소자에 비해 발열이 적고, 효율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본 광 조사유닛(40)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나아가, 비록 도면에는 하우징(42)의 일단부에 하나의 광원이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광 조사유닛(40)을 통해 더 많은 빛을 조사해야 하는 경우에는 하우징(42)의 양단부에 광원이 연결될 수 있다.
광원(60)의 일측에는 PCB(70)가 연결되며, 냉장고(100)의 제어부는 PCB(70)를 통해서 광원(60)을 제어하게 된다.
도 5는 도 4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하우징(42)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42)의 일측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개방 부(44, 46, 48)가 형성되며, 상부를 형성하는 일단부에 광원(60)을 형성하는 발광 다이오드가 설치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상부에는 PCB(70)가 연결되며, 제어부는 PCB(70)를 통해서 광원(60)을 구동시켜 제어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하우징(42)의 내면에는 광원(60)에서 공급되는 빛을 전반사하는 반사지(43)가 설치된다. 반사지(43)는 하우징(42)을 내면을 따라 설치되어, 광원(60)에서 공급되는 빛이 하우징(42)의 내면에 닿는 경우에 전반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전반사 수단은 전술한 반사지(43)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반사코팅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하우징(42)의 내면에는 상기 반사지(43)와 더불어 광원(60)에서 공급되는 빛을 난반사시키는 다수개의 돌출부(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50)는 하우징(42)의 내면을 따라 형성되며, 광원(60)에서 공급되는 빛이 하우징(42)의 돌출부(50)가 형성된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에 난반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돌출부(50)는 하우징(42)의 내면을 따라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 하우징(42)에 형성된 개방부(44, 46, 48)의 높이에 대응하는 하우징(42)의 내면을 따라 정의되는 제1 영역(52)과, 하우징(42)의 내면을 따라 상기 제1 영역(52)을 제외한 부분으로 정의되는 제2 영역(54)에 형성된다.
하우징(42)의 내면을 따라 정의되는 제1 및 제2 영역(52, 54)에 각각 형성되는 돌출부(50)의 밀집도에는 차이가 있다. 즉, 제1 영역(52)에 형성되는 돌출부(50)의 밀집도가 제2 영역(54)에 형성되는 돌출부(50)의 밀집도에 비하여 더 크 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돌출부(50)의 밀집도는 단위 넓이의 하우징(42)의 내면 영역에 형성되는 돌출부(50)의 갯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하우징(42)의 내면에서 단위면적당 형성되는 돌출부(50)의 갯수는 제2 영역(54)에 비하여 제1 영역(52)에 형성되는 갯수가 더 많게 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42)의 내면에 돌출부(50)가 형성되면, 광원(60)에서 공급되는 빛이 하우징(42)의 내면에 닿는 경우에 반사지(43)에 의해 반사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돌출부(50)에 의해 난반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각 개방부(44, 46, 48)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제1 영역(52)에서는 돌출부(50)의 밀집도가 제2 영역(54)에 비하여 높으므로 난반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1 영역(52)에서 난반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제1 영역(52)에서 난반사된 빛들은 각 개방부(44, 46, 48)를 통하여 보관실(도 3 참조, 21, 24, 27)로 공급된다. 비록, 도면에서는 개방부(44, 46, 48)와 마주보는 하우징(42)의 내부 배면에만 돌출부(50)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돌출부(50)는 하우징(42)의 내부 양측면 및 개방부(44, 46, 48)가 형성된 내부 전면에도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 돌출부(50)는 하우징(42)의 내면을 따라 제1 및 제2 영역(52, 54)에 모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제1 영역(52)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하우징(42)의 내면을 따라 개방부(44, 46, 48)에 대응하는 높이에만 돌출부(50)가 형성되어 난반사를 이루어지게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한편, 광원(60)에서 공급되는 빛이 하우징(42)의 내부에 설치된 반사지(43) 또는 돌출부(50)에 닿아 난반사가 이루어지더라도, 광원(60)에서 멀어질수록 개방부를 통해 보관실에 공급되는 빛의 양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42)에 형성되는 개방부(44, 46, 48)는 크기는 광원(60)에서 멀어질수록,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 갈수록 커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42)에 형성되는 각 개방부(44, 46,48)의 크기는 각 보관실(21, 24, 27)에 공급되는 빛의 양이 실질적으로 일정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개방부(44, 46, 48)의 크기는 광원(60)에서 공급되는 빛의 양, 광원(60)에서 각 개방부(44, 46,48)까지의 거리 및 하우징(42)의 내부 크기 등을 고려하여 실험적으로 결정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개방부의 크기를 구체적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냉장고의 동작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가 냉장고(100)의 보관실 중에서 최상부의 보관실(21)에 식품을 수납하기 위하여 보관용기(23)를 보관실(21)에서 분리하는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개방감지장치(30)에 의해 보관용기(23)가 개방되었음을 인식하게 된다.
이어서, 제어부는 PCB(70)를 통해서 광원(60)을 구동시켜 하우징(42)의 내부로 빛을 공급하게 된다. 하우징(42)의 내부로 공급된 빛은 하우징(42)의 내면에 닿는 경우에 반사지(43)에 의해 반사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돌출부(50)에 의해 난반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하우징(42) 내면의 제1 영역(52)에서 난반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제1 영역(52)에서 난반사된 빛들은 각 개방부(44, 46, 48)를 통하여 보관 실(21, 24, 27)로 공급되어 보관실(21, 24, 27) 내부를 밝히게 된다.
후속하여 사용자가 식품을 모두 보관용기(23)에 수납하고 보관용기(23)를 닫게 되면, 제어부는 개방감지장치(30)에 의해 보관용기(23)가 닫혔음을 인식하게 되고, 광원(60)을 오프(OFF)하여 보관실(21, 24, 27)로 더 이상 빛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조사유닛은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보관실의 내부에 간접적으로 빛을 조사함으로써,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직접 조명에 비하여 더 넓은 범위의 대상물에 빛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광원에 의하여 다수개의 대상물, 즉 보관실에 빛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이에 의해 보관실의 크기가 커지거나 갯수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하나의 광 조사유닛에 의해 빛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보관실의 크기가 커지거나 갯수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다수개의 조사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설치비용 및 설치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Claims (25)

  1. 냉장고 본체;
    상기 냉장고 본체 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보관실;
    상기 보관실에 인접하여 위치하여 상기 보관실에 간접적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 조사유닛; 및
    상기 광 조사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광 조사유닛은, 상기 보관실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보관실에 대응하도록 각각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개방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빛을 공급하여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보관실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보관실에 인접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개방부는 상기 냉장고 보관실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실에 각각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보관용기; 및
    상기 보관용기들이 개방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개방감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감지장치는,
    상기 보관용기의 전면부 내측에 설치되는 제1 접속부;
    상기 제1 접속부와 선택적으로 접속하도록 상기 냉장고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2 접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방감지장치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보관용기가 개방되는 경우에 상기 광 조사유닛이 빛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용기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개방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보관실로 각각 조사되는 빛의 양이 일정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하우징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ED)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광 전반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전반사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설치된 반사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전반사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설치된 반사코팅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광 난반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 난반사 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각 개방부의 높이에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각 개방부의 높이에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을 따 라 형성된 제1 영역 및 상기 하우징의 내면을 따라 상기 제1 영역 이외에 형성된 제2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영역에 형성되는 상기 돌출부의 밀집도가 상기 제2 영역에 형성되는 상기 돌출부의 밀집도에 비하여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냉장고의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보관실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보관실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개방부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빛을 공급하여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보관실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보관실에 인접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개방부는 상기 냉장고 보관실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조사유닛.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조사유닛.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광 전반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조사유닛.
  22. 제19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광 난반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조사유닛.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광 난반사 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조사유닛.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각 개방부의 높이에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조사유닛.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각 개방부의 높이에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을 따라 형성된 제1 영역 및 상기 하우징의 내면을 따라 상기 제1 영역 이외에 형성된 제2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영역에 형성되는 상기 돌출부의 밀집도가 상기 제2 영역에 형성되는 상기 돌출부의 밀집도에 비하여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조사유닛.
KR1020060107642A 2006-11-02 2006-11-02 광 조사유닛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0793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642A KR100793784B1 (ko) 2006-11-02 2006-11-02 광 조사유닛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642A KR100793784B1 (ko) 2006-11-02 2006-11-02 광 조사유닛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3784B1 true KR100793784B1 (ko) 2008-01-11

Family

ID=39217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7642A KR100793784B1 (ko) 2006-11-02 2006-11-02 광 조사유닛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37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06447B2 (en) 2020-04-22 2022-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with light guide memb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4461A (ja) * 1991-12-12 1993-06-29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の照明装置
JPH08200941A (ja) * 1995-01-31 1996-08-09 Toshiba Corp 冷蔵庫の照明装置
KR19990007064U (ko) * 1997-07-30 1999-02-25 배순훈 냉장고의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4461A (ja) * 1991-12-12 1993-06-29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の照明装置
JPH08200941A (ja) * 1995-01-31 1996-08-09 Toshiba Corp 冷蔵庫の照明装置
KR19990007064U (ko) * 1997-07-30 1999-02-25 배순훈 냉장고의 조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06447B2 (en) 2020-04-22 2022-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with light guide memb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0018B2 (en) Illumination device for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331949B1 (ko) 조명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JP5106245B2 (ja) 冷蔵庫
JP5197185B2 (ja) 冷蔵庫
KR102014148B1 (ko) 냉장고
KR20100038237A (ko) 냉장고
JP5197172B2 (ja) 冷蔵庫
JP4702218B2 (ja) 冷蔵庫
KR20090074966A (ko) 살균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US8393746B2 (en) Lighting device for refrigerator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080090783A (ko) 냉장고
JP2008070001A (ja) 貯蔵装置
US8490426B2 (en) Door basket for refrigerator
KR100761355B1 (ko) 야채의 광합성이 가능한 야채실을 갖는 냉장고
KR101010495B1 (ko) 냉장고
KR101110507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내부 조명장치
KR20070049359A (ko) 냉장고
JP5354990B2 (ja) 冷蔵庫
KR100793784B1 (ko) 광 조사유닛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US11454388B2 (en) Refrigerator
KR20090132400A (ko) 냉장고의 조명장치
CN101317066A (zh) 冰箱
KR101553947B1 (ko) 냉장고
KR20070053013A (ko) 냉장고
JP5778520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