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7572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7572B1
KR100187572B1 KR1019960027626A KR19960027626A KR100187572B1 KR 100187572 B1 KR100187572 B1 KR 100187572B1 KR 1019960027626 A KR1019960027626 A KR 1019960027626A KR 19960027626 A KR19960027626 A KR 19960027626A KR 100187572 B1 KR100187572 B1 KR 100187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onditioner
opening
vehicle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7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8666A (ko
Inventor
임성훈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1019960027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7572B1/ko
Publication of KR980008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7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75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64Ventilators and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85Smell or pollution preven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냉·난방기의 초기 가동시 닥트에 쌓여 있는 먼지, 악취 및 열풍 등이 차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한 냉·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냉·난방장치와 연결되어 실내로 공기를 송풍하도록 송풍관로에 냉·난방기의 초기 가동시 송풍관로를 개방시키는 개·폐장치를 부가하여 차량용 냉·난방기의 초기 가동시 송풍관로를 개방시켜 송풍관로로 유입되는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지 아니하고 외부로 모두 방출시킴으로서 송풍관로 내에 쌓여있던 먼지, 악취 및 열풍 등을 외부로 모두 방출시킨 다음, 송풍 관로를 닫게 되므로 쾌적한 냉·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임.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
제1도는 종래 차량용 공조장치의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예시도.
제3도와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송풍관로 2 : 냉방장치
3 : 난방장치 4 : 풍향조절장치
5 : 온도조절장치 6 : 전원스위치
7 : 개·폐장치 8 : 온도감지센서
9 : 보조 팬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용 냉·난방기의 초기 가동시 닥트에 쌓여 있는 먼지, 악취 및 열풍 등이 차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한 냉·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제1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송풍팬(11)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다수의 닥트(12, 12, 12, …)가 구비되는 송풍관로(1)에 냉방장치(2)와 난방장치(3)가 연결되고, 상기 송풍관로(1)의 내측에는 닥트(12)의 풍향을 제어하는 풍향조절장치(4)가 설치되고, 냉·난방장치(2, 3)에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장치(5)로 되고, 전원스위치(6)와 상기 풍향 조절장치(4)의 조작에 따라 냉·온풍이 송풍관로(1)를 통해 차량 각 실내로 유입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송풍관로(1)로 유입되는 공기는 탑승자의 선택에 따라 외부공기(A) 또는 실내공기(B)가 유입되도록 절환 가능하도록 되고, 송풍되는 공기는 송풍팬(11)의 가동에 의해 난방장치(3)의 히터(30) 및 냉방장치(2)의 증발기(20)를 거쳐 실내로 유입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은 다음 순서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차량 탑승자가 공조장치 전원스위치(6)를 조작하여 전원을 인가시키면, 곧바로 공조장치의 송풍관로(1)에 설치된 송풍팬(11)이 회전하고, 이 팬(11)의 회전에 의해 외기공기(A) 또는 실내공기(B)가 송풍관로(1)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팬(11)에 의한 바람은 닥트(12, 12, 12…)를 통해 차량 실내 측으로 송풍되어진다.
공조장치의 전원스위치(6)가 연결되면서 동시에 난방장치(3) 또는 냉방장치(2)가 가동되고, 송풍팬(11)에서 발생된 바람은 송풍관로(1)를 통해 난방장치(3)의 히터(30) 또는 냉방장치(2)의 증발기(20)를 통과하면서, 온도조절장치(5)에 의해서 설정된 온도만큼 냉·온풍이 차량 실내로 유입되게 된다.
일단 온도조절장치(5)를 거친 바람은 풍향조절장치(4)에 의해 차량 실내 각부로 통하는 닥트(12, 12, …)를 통해 실내로 보내어지게 된다.
그렇지만 종래에는 송풍장치의 가동에 의해 냉·온풍은 항상 차량 실내로 직접 유입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서, 초기 구동시에는 계절적인 영향으로 일정기간 동안 사용하지 않아 송풍관로(1)로 유입되었던 먼지 등이 함께 차량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하절기 냉방장치 초기 구동시 냉방장치의 증발기 측에서 발생되는 악취와 엔진 룸 내부에서 가열되어 있던 공기가 실내로 직접 유입되게 되는 경우 승차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읠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공조장치의 초기가동시 최초 일정 시간동안 송풍장치로부터 발생된 냉·온풍을 외부로 배출시킨 후, 실내로 유입되어질 수 있게 하여 먼지, 악취, 열풍 등이 실내로 직접 유입되게 되는 것을 방지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냉·난방장치와 연결되어 실내로 공기를 송풍하도록 송풍관로에 냉·난방기의 초기 가동시 송풍관로를 개방시키는 개·폐장치를 부가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용 냉·난방기의 초기 가동시 송풍관로를 개방시켜 송풍관로로 유입되는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지 아니하고 외부로 모두 방출시킴으로서 송풍관로내에 쌓여 있던 먼지, 악취 및 열풍 등을 외부로 모두 방출시킨 다음, 송풍관로를 닫게 되므로 먼지, 악취 및 열풍 등이 실내로 직접 유입되는 일이 없어 쾌적한 냉·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제2도의 도시와 같이 송풍팬(11)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다수의 닥트(12, 12, 12, …)가 구비되는 송풍관로(1)에 냉방장치(2)와 난방장치(3)가 연결되고, 상기 송풍관로(1)의 내측에는 닥트(12)의 풍향을 제어하는 풍향조절장치(4)가 설치되고, 냉·난방장치(2, 3)에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장치(5)가 구비되어, 전원스위치(6)와 상기 풍향 조절장치(4)의 조작에 따라 냉·온풍이 송풍관로(1)를 통해 차량 각 실내로 유입되는 것은 종래와 모두 동일한 구성으로 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냉·난방장치(2, 3)와 연결되어 실내로 공기를 송풍하도록 송풍관로(1)의 일측면을 개·폐하는 개·폐장치(7)를 부가하여 공조장치의 초기 구동시 송풍관로(1)를 일정시간동안 개방시켜 송풍관로(1) 내의 먼지, 악취 등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개·폐장치(7)는 송풍팬(11)에 흡입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닥트(12)와 인접되는 위치에 설치하며, 상기 개·폐장치(7)에는 구동장치(가동장치)가 구비되어 공조장치의 초기 구동을 위한 전원스위치(6)의 조작에 따라 개·폐장치(7)가 송풍관로(1)를 개방 또는 폐쇠시키는 구성으로 되고 있다.
상기 개·폐장치(7)는 타이머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만 구동장치에 전원을 인가하여 송풍관로(1)를 일정시간동안(약 30초 내지 1분 정도) 개방하였다가 타이머에 설치된 시간이 경과하면 구동장치를 역회전시켜 개·폐장치(7)가 송풍관로(1)를 닫도록 되고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제3도는 개·폐장치(7)가 송풍관로(1)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8)에 의해 콘트롤러(80)가 개·폐장치(7)를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또한, 제4도와 같이 송풍관로(1)에 송풍 팬(11)에 의한 바람과 반대 방향으로 송풍할 수 있는 보조 팬(9)을 설치하여, 공조장치 전원연결시 설정시간동안 상기 보조 팬(9)이 작동하게 하여, 송풍관로(1) 내의 먼지, 이물질, 악취 등이 개·폐장치(7)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공조장치의 초기 가동시 송풍관로(1)를 개방 또는 밀폐시키는 개·폐장치(7)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송풍관로(1)를 개방시켜 송풍되는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게 한 후, 개폐장치가 송풍관로(1)를 닫게 됨에 따라 바람이 실내로 유입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은 다음 순서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차량 탑승자가 공조장치 전원스위치(6)를 조작하여 전원을 인가시키면, 곧바로 공조장치의 송풍관로(1)에 설치된 송풍팬(11)이 회전하고, 이 팬(11)의 회전에 의해 외기공기(A) 또는 실내공기(B)가 송풍관로(1)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팬(11)에 의한 바람은 닥트(12, 12, 12, …)을 통해 차량 실내 측으로 송풍되어진다.
공조장치의 전원스위치(6)가 연결되면서 동시에 난방장치(3) 또는 냉방장치(2)가 가동됨과 동시에 개·폐장치(7)가 함께 동작하여 일정시간 동안 송풍관로(1)를 개방시킴에 따라, 송풍 팬(11)에서 발생된 바람은 송풍관로(1)를 통해 난방장치(3)의 히터(30) 또는 냉방장치(2)의 증발기(20)를 통과한 냉·온풍은 차량 실내로 유입되지 아니하고 모두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개·폐장치(7)의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다시 송풍관로(1)를 개·폐장치(7)가 밀폐시키게 됨에 따라 송풍 팬(11)에서 발생되어 난방장치 또는 냉방장치를 통과한 바람은 송풍관로(1)와 닥트(12)를 통해 차량 실내로 유입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공조장치의 초기가동시 최초 일정시간동안 송풍장치로부터 발생된 냉·온풍을 송풍관로 중간에 설치된 개폐장치의 조작에 의해 외부로 충분히 배출시키게 되므로 먼지, 이물과 냉방장치 가동시의 먼지, 악취, 열풍이 실내로 직접 유입되는 일이 없는 장점이 있게 된다.

Claims (4)

  1. 송풍팬(11)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다수의 닥트(12, 12, 12, …)가 구비되는 송풍관로(1)에 냉방장치(2)와 난방장치(3)가 연결되고, 상기 송풍관로(1)의 내측에는 닥트(12)의 풍향을 제어하는 풍향조절장치(4)가 설치되고, 냉·난방장치(2, 3)에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장치(5)가 구비되어, 전원스위치(6)와 상기 풍향 조절장치(4)의 조작에 따라 냉·온풍이 송풍관로(1)를 통해 차량 각 실내로 유입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송풍관로(1)의 일측면을 개·폐하는 개·폐장치(7)를 부가하여 공조장치의 초기 구동시 송풍관로(1)를 일정시간동안 개방시키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7)는 송풍팬(11)에 흡입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닥트(12)와 인접되는 위치에 설치하며, 상기 개·폐장치(7)에는 구동장치가 구비되어 공조장치의 초기 구동을 위한 전원스위치(6)의 조작에 따라 개·폐장치(7)가 송풍관로(1)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송풍관로(1)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8)에 의해 개·폐장치(7)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송풍관로(1)에 송풍 팬(11)에 의한 바람과 반대 방향으로 송풍할 수 있는 보조 팬(9)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19960027626A 1996-07-09 1996-07-09 차량용 공조장치 KR100187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7626A KR100187572B1 (ko) 1996-07-09 1996-07-09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7626A KR100187572B1 (ko) 1996-07-09 1996-07-09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666A KR980008666A (ko) 1998-04-30
KR100187572B1 true KR100187572B1 (ko) 1999-06-01

Family

ID=19465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7626A KR100187572B1 (ko) 1996-07-09 1996-07-09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757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666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757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H08175154A (ja) 車両用空気調和システムの空調ダクト乾燥装置
JPH037821A (ja) 空調設備
JP2834232B2 (ja) 換気空調装置
KR100601834B1 (ko) 자동차 시트 공기조화장치
JP3073689B2 (ja) ブースターコイル式空調システム
JP3855572B2 (ja) 躯体蓄熱式空調システムの空調風制御装置
KR200174990Y1 (ko) 냉·온풍 겸용 에어컨디셔너의 구조
JP3084936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H08132864A (ja) バス用空調装置
KR100285812B1 (ko)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
KR19990020633U (ko) 공기조화기 건조장치
KR20110065137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80054943A (ko) 차량 공기 조화 장치의 냄새 제거 송풍 시스템
JPH0462354A (ja) 空気調和装置
JP4471458B2 (ja) 空気流路切換え式の空調装置
JPS5814088Y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100570987B1 (ko) 자동차 에어컨 건조장치
KR100200999B1 (ko) 자동차의 공조시스템
JPH0524428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0128032Y1 (ko) 자동차용 에어콘 취기 제거 장치
JPH08132858A (ja) バス用空調装置
KR20210054411A (ko) Hvac시스템 및 hvac시스템의 제어방법
JPH1058955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H08132856A (ja) バス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