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0633U - 공기조화기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0633U
KR19990020633U KR2019970034127U KR19970034127U KR19990020633U KR 19990020633 U KR19990020633 U KR 19990020633U KR 2019970034127 U KR2019970034127 U KR 2019970034127U KR 19970034127 U KR19970034127 U KR 19970034127U KR 19990020633 U KR19990020633 U KR 1999002063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ater core
doors
heat sourc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41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제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20199700341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0633U/ko
Publication of KR199900206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633U/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개폐정도에 따라 공기의 혼합비를 조절하기 위한 공기혼합도어; 공기조화덕트 내에서 소정비율로 혼합된 공기를 차실내로 분출시키기 위하여 개폐되는 복수의 분출도어; 상기 공기혼합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공기혼합도어 구동부; 상기 복수의 분출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복수의 분출도어 구동부; 상기 공기조화덕트 내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코어; 상기 히터코어로의 열원유입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밸브; 상기 히터코어로 유입되는 열원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부; 습기제거명령을 내리기 위한 열풍스위치부; 및 상기 습기제거명령 및 상기 온도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열원의 온도에 따라 상기 공기혼합도어의 개방정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공기혼합도어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분출도어가 닫히도록 상기 복수의 분출도어 구동부를 제어함과 동시에 기설정된 습기제거시간을 카운팅하고, 상기 습기제거시간 동안 상기 히터코어에 열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어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공기조화덕트 내로 유입되어 가열된 내외기에 의해 상기 공기조화덕트 내의 습기가 제거되도록 하고, 상기 히터코어의 가동시간이 상기 기설정된 습기제거시간을 경과할 경우 상기 복수의 분출도어가 개방되도록 상기 복수의 분출도어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건조장치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조화덕트 내부를 건조시켜서 악취발생을 제거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는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거나 냉온방에 의해 실내의 분위기를 적정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해 설치 운영되고 있다. 일례로 공기혼합형 공기조화장치가 한국특허공보 제 93-5172 및 제 93-9384 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공기혼합형 공기조화장치는 공기조화덕트 내에 송풍기, 냉난방장치, 공기혼합도어 및 복수의 분출도어를 포함하며, 내외기를 공기조화덕트 내로 강제 유입하여 설정요구 온도에 일치하여 냉난방장치를 경유한 내외기 공기를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차실내로 분출함으로써, 차내의 분위기를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송풍기에 의해 유입된 공기에는 수분이 함유되므로, 공기조화덕트 내부에 습기가 차게 된다. 그래서 종래의 공기조화장치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공기조화덕트 내에 여러 가지 곰팡이나 세균들이 서식하게 되고, 이로인해 공기조화장치의 초기동작시 심한 악취가 발생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악취는 운전자의 기분을 불쾌하게 할 뿐만아니라 운전자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공기조화덕트 내부의 습기 및 세균을 제거하기 위해서 분출도어들을 닫지 않은 상태에서 히터스위치를 난방쪽으로 전환하여 히터를 가동시켜야 하는 데, 이는 특히 하기에 차실내의 온도를 상승시켜서 운전자들을 불쾌하게 만든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열풍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분출도어들을 자동개폐하고, 공기조화덕트 내부를 건조시켜서 악취발생을 제거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장치는 개폐정도에 따라 공기의 혼합비를 조절하기 위한 공기혼합도어; 공기조화덕트 내에서 소정비율로 혼합된 공기를 차실내로 분출시키기 위하여 개폐되는 복수의 분출도어; 상기 공기혼합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공기혼합도어 구동부; 상기 복수의 분출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복수의 분출도어 구동부; 상기 공기조화덕트 내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코어; 상기 히터코어로의 열원유입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밸브; 상기 히터코어로 유입되는 열원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부; 습기제거명령을 내리기 위한 열풍스위치부; 및 상기 습기제거명령 및 상기 온도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열원의 온도에 따라 상기 공기혼합도어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공기혼합도어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분출도어가 닫히도록 상기 복수의 분출도어 구동부를 제어함과 동시에 기설정된 습기제거시간을 카운팅하고, 상기 습기제거시간 동안 상기 히터코어에 열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제어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공기조화덕트 내로 유입되어 가열된 내외기에 의해 상기 공기조화덕트 내의 습기가 제거되도록 하고, 상기 히터코어의 가동시간이 상기 기설정된 습기제거시간을 경과할 경우 상기 복수의 분출도어가 개방되도록 상기 복수의 분출도어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 건조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 건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공기조화덕트 2; 내외기 유입구 4; 송풍기
6; 증발기 8; 공기혼합도어 10; 제 1 분출구
12; 제 2 분출구 24; 제 3 분출구 16; 제 1 분출도어
18; 제 2 분출도어 20; 제 3 분출도어 22; 차실
24; 송풍기 구동부 26; 공기혼합도어 구동부
28; 제 1 분출도어 구동부 30; 제 2 분출도어 구동부
32; 제 3 붙출도어 구동부 34; 히터코어
36; 제어밸부 38; 온도감지부 40; 스위치부
42; 제어부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 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정도에 따라 공기 혼합비를 조절하기 위한 공기혼합도어(8)와, 공기조화덕트(1) 내에서 소정비율로 혼합된 공기를 차실내로 분출시키기 위하여 개폐되는 복수의 분출도어(16, 18, 20)와, 공기혼합도어(8)를 개폐시키기 위한 공기혼합도어 구동부(26)와, 복수의 분출도어(16, 18, 20)를 개폐시키기 위한 복수의 분출도어 구동부(28, 30, 32)와, 공기조화덕트(1) 내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코어(34)와, 히터코어(34)로의 열원유입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밸브(36)와, 히터코어(34)로 유입되는 열원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부(38)와, 습기제거명령을 내리기 위한 열풍스위치부(40)와, 상기 습기제거명령 및 온도감지부(38)에 의해 감지된 열원의 온도에 따라 공기혼합도어(8)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도록 공기혼합도어 구동부(26)를 제어하고, 복수의 분출도어(16, 18, 20)가 닫히도록 복수의 분출도어 구동부 즉, 제 1, 제 2 및 제 3 분출도어 구동부(28, 30, 32)를 제어함과 동시에 기설정된 습기제거시간을 카운팅하고, 상기 습기제거시간 동안 히터코어(34)에 열원을 공급하도록 제어밸브(36)를 제어하여 공기조화덕트(1) 내로 유입되어 가열된 내외기에 의해 공기조화덕트(1) 내의 습기가 제거되도록 하고, 히터코어(34)의 가동시간이 상기 기설정된 습기제거시간을 경과할 경우 복수의 분출도어(15, 18, 20)가 개방되도록 복수의 분출도어 구동부(28, 30, 32)를 제어하는 제어부(42)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작동전반을 도 2 의 플로우챠트를 인용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공기조화턱트(1)의 최상류측에는 내외기입구(2)와 송풍기(4)가 설치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송풍기(4)는 팬과 전동모터로 구성되는 데, 공기혼합도어 구동부(24)에 의해 상기 전동모터 및 팬이 구동되어 내외기유입구(2)를 통해 내외기를 강제 유입한다. 이렇게 유입된 내외기는 냉방장치의 증발기(6)를 경유하여 공기조화 턱트(1)의 하류측으로 보내진다. 통상적으로, 상기 증발기(6)는 압축기, 응축기, 건조기 및 팽창밸브(미도시)와 함께 냉각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공기혼합도어(8)는 증발기(6) 및 히터코어(34) 사이에 설치되고, 공기혼합도어 구동부(26)에 의해 구동되어 증발기(6)를 경유한 내외기 전량을 바이패스 시키기 위한 풀쿨위치(F.C)에서 내외기 전량이 히터코어(34)를 통과하도록 하는 풀히트위치(F.H)까지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며, 그 개폐정도에 따라 공기조화덕트(1)의 하류측에서 공기혼합비율을 결정짓는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공기혼합도어(8)는 습기제거모드에서 풀히트위치(F.H)와 풀쿨위치(F.C)의 중간에 놓이도록 설정된다.
히터코어(34)는 배관에 의해서 엔진(미도시)에 결합되고, 엔진(미도시)으로부터 열원인 냉각수를 공급받아 열교환에 의해 증발기(6)를 바이패스한 내외기를 열풍으로 변환시킨다. 이 히터코어(34)에 공급되는 냉각수의 유량은 제어밸부(36)에 의해 조절된다.
공기조화덕트(1)의 하류측에서 혼합된 설정요구온도의 공기는 사용목적에 따라 제 1, 제 2 및 제 3 분출구(10, 12, 14)를 통해서 차실내(22)로 분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분출구(10)는 서리제거분출구로서 창에 낀 서리를 제거하기 위해 창유리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제 2 분출구(12)는 벤트분출구로서 조화공기가 앞좌석 승객의 정면으로 분출되도록 배치되고, 제 3 분출구(14)는 바닥분출구로서 조화공기가 바닥으로 분출되도록 앞좌석의 바닥부분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분출구(10, 12, 14) 각각에 대응되어 설치된 제 1, 제 2 및 제 3 분출도어(16, 18, 20)는 해당되는 제 1, 제 2 및 제 3 구동부(28, 30, 32)에 의해 구동되어 계폐되고, 그 개폐에 따라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분출구(10, 12, 14)를 통한 조화공기의 분출이 통제된다.
한편, 온도감지부(38)는 엔진(미도시)으로부터 히터코어(30)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현재온도상태를 감지하고, 온도의 변화에 따른 전기신호인 감지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42)에 인가한다.
도 2 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공기조화덕트(1) 내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열풍스위치부(40)를 통해 습기제거명령을 내리면, 제어부(42)는 습기제거모드로 작동되며, 열풍스위치로부(40)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열풍스위치가 온(ON)인지를 판단한다(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판단결과, 열풍스위치가 온(ON)일 경우에 제어부(42)는 온도감지부(38)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고, 이 감지신호에 의해 열원 즉, 냉각수의 현재온도를 산출하고, 그 산출된 냉각수 온도(T)가 기설정된 냉각수 온도(Ts)보다 큰지를 판단한다(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계산된 냉각수 온도(T)가 기설정된 냉각수 온도(Ts) 보다 클 경우에 제어부(42)는 제 1, 제 2 및 제 3 분출도어(16, 18, 20)가 닫히도록 제 1, 제 2 및 제 3 분출도어 구동부(28, 30, 32)를 각각 제어한다(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 후 제어부(42)는 공기혼합도어(8)가 풀히트위치(F.H)와 풀쿨위치(F.C)의 중간위치에 놓이도록 공기혼합도어 구동부(26)를 제어한다(제 6 단계).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부(42)는 송풍기(4)가 차량의 내외기를 유입하도록 송풍기 구동부(24)를 제어한다(제 8 단계).
상기 제 8 단계 후, 제어부(42)는 냉각수가 히터코어(34)로 공급되도록 제어밸부(36)를 제어함으로써, 히터를 가동시킨다(제 10 단계). 이와 같이 히터가 가동될 때 히터코어(34)는 냉각수를 엔진(미도시)으로 환류시키면서 열교환에 의해 히터코어(34)로 유입되는 내외기를 열풍으로 변환시킨다.
상기 제 10 단계에서와 같이 히터가 가동될 시 제어부(42)는 내부에 마련된 타이머로 히터의 가동시간(t)을 카운팅하고, 이렇게 카운팅된 시간을 기설정된 습기제거시간(ts)과 비교판단한다(제 12 단계). 여기서, 슬기제거시간은 공기조화덕트 내의 습기를 충분히 제거할 수 있을 정도의 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2 단계의 판단결과, 히터의 가동시간(t)가 기설정된 습기제거시간시간(ts) 보다 클 경우에 제어부(42)는 제어밸브(36)가 닫히도록 제어밸브(36)를 제어하고, 히터의 가동을 중지시키고, 또한 송풍기(4)의 작동을 중지시킨다(제 14 단계).
상기한 단계들을 통해서 공기조화덕트 내의 습기를 제거한 후 제 1, 제 2 및 제 3 분출도어(16, 18, 20)가 원래의 상태로 열리도록 제어부(42)는 제 1, 제 2 및 제 3 분출도어 구동부(28, 30, 32)를 제어한다(제 16 단계).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열풍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복수의 분출도어를 자동 개폐하고, 히터코어를 가동하여 공기조화덕트 내에 잔존하는 습기 및 세균을 제거함으로써, 습기 및 세균 등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위생적이고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개폐정도에 따라 공기의 혼합비를 조절하기 위한 공기혼합도어;
    공기조화덕트 내에서 소정비율로 혼합된 공기를 차실내로 분출시키기 위하여 개폐되는 복수의 분출도어;
    상기 공기혼합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공기혼합도어 구동부;
    상기 복수의 분출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복수의 분출도어 구동부;
    상기 공기조화덕트 내로 유입된 내외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코어;
    상기 히터코어로의 열원유입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밸브;
    상기 히터코어로 유입되는 열원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부;
    습기제거명령을 내리기 위한 열풍스위치부; 및
    상기 습기제거명령 및 상기 온도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열원의 온도에 따라 상기 공기혼합도어의 개방정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공기혼합도어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분출도어가 닫히도록 상기 복수의 분출도어 구동부를 제어함과 동시에 기설정된 습기제거시간을 카운팅하고, 상기 습기제거시간 동안 상기 히터코어에 열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어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공기조화덕트 내로 유입되어 가열된 내외기에 의해 상기 공기조화덕트 내의 습기가 제거되도록 하고, 상기 히터코어의 가동시간이 상기 기설정된 습기제거시간을 경과할 경우 상기 복수의 분출도어가 개방되도록 상기 복수의 분출도어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건조장치.
KR2019970034127U 1997-11-27 1997-11-27 공기조화기 건조장치 KR1999002063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127U KR19990020633U (ko) 1997-11-27 1997-11-27 공기조화기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127U KR19990020633U (ko) 1997-11-27 1997-11-27 공기조화기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633U true KR19990020633U (ko) 1999-06-15

Family

ID=69696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4127U KR19990020633U (ko) 1997-11-27 1997-11-27 공기조화기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063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883B1 (ko) * 2007-10-11 2009-03-06 주식회사 두원공조 차량용 온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642761B1 (ko) 2023-11-27 2024-02-29 김환배 식재료의 수분짜는 기능을 갖는 주방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883B1 (ko) * 2007-10-11 2009-03-06 주식회사 두원공조 차량용 온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642761B1 (ko) 2023-11-27 2024-02-29 김환배 식재료의 수분짜는 기능을 갖는 주방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0633U (ko) 공기조화기 건조장치
KR100706411B1 (ko) 버스의 공기조화 시스템
KR101474825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KR20100022693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1198745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템프도어 제어방법
JP2781680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H0858359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117793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방법
JP3687211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926986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JP3084936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18757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9980052340U (ko) 차량의 냉난방용 공조시스템
KR20050112278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JP2551111Y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H0538929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3118985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0132617Y1 (ko) 자동차 실내 습도값 조절장치
JPH0558140A (ja) 車両用エアコンデイシヨナ
JPH08132851A (ja) 車両用空調装置および車両用空調方法
KR101220970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인테이크 및 템프 도어 제어 방법
JPH0542821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9990005847U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내/외기모드 자동제어장치
JP2007038819A (ja) 車両用空調装置
JPH0825943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